KR100540185B1 -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 - Google Patents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40185B1
KR100540185B1 KR1020030028724A KR20030028724A KR100540185B1 KR 100540185 B1 KR100540185 B1 KR 100540185B1 KR 1020030028724 A KR1020030028724 A KR 1020030028724A KR 20030028724 A KR20030028724 A KR 20030028724A KR 100540185 B1 KR100540185 B1 KR 100540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uilding
exterior wall
coupling
tru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47935A (ko
Inventor
문석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경에스앤씨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경에스앤씨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경에스앤씨티
Publication of KR20030047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7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0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0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 E04B2/96Curtain walls comprising panels attached to the structure through mullions or trans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oad-Bearing And Curtain Walls (AREA)

Abstract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외벽 시공방법 및 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바아형상의 몸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결합공을 가지는 프레임을 건축물에 설치하고, 프레임에 결합가능한 트러스에 다수의 외장벽체를 커튼월 형태로 지지시킨 다음, 프레임의 각 결합공에 착탈가능한 결합고리를 가지는 결합부재를 매개하여 트러스를 프레임에 결합시킨다. 이에 따르면, 시공자재들을 별도로 적재시킬 필요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건축물의 외방벽체를 커튼월형태로 마감할 수 있어서, 시공기간 및 시공비용을 대폭 감축할 수 있다.
건축물, 석재판넬, 외벽시공, 시공방법, 트러스, 커튼월

Description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CONSTRUCTING STONE EXTERIOR WALL SUPPORTING FRAME UNIT}
도 1은 종래의 건축물 외장벽체 시공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건축물 외장벽체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벽 시공구조의 분해사시도로서,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 및 창호유니트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4의 요부확대도로,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를 보다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프레임유니트가 설치된 건축물 외장벽체 시공구조를 나타낸 도면,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벽체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건축물 슬라브 101, 150...프레임유니트
110, 151...프레임 111, 152...몸체
113, 154...결합공 114...앵커볼트
120, 161...트러스 121, 162...수직부재
122...수평부재 123, 181...결합부재
130, 230...석재판넬 131...고정구
166...피체결띠 171...체결고리
200...창호유니트 201...창호유니트
203...창호 220...창호트러스
237...유리창
본 발명은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와, 이 프레임유니트를 이용한 건축물 외벽 시공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대리석과 같은 석재판넬 등의 외장벽체를 건축물 외벽에 커튼월 형태로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유니트, 및 이러한 프레임유니트를 이용한 건축물 외벽 시공방법과 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축물중에는, 그 외벽면에 대리석이나 화강암등과 같은 석재판넬을 커튼월형태로 마감시공하여, 외관의 미를 향상시킨 것들이 제안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는 이러한 종래의 석재판넬을 사용한 외장벽체 시공구조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종래의 외장벽체 시공구조는, 건축물의 슬라브(10)에 철제빔으로 제작된 격자형 트러스(20)를 고정시키고, 이 트러스(20)에 다수의 석재판넬(30)이 커튼월 형태로 설치된다.
트러스(2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과 같은 철제빔을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한 수직부재(21)와 수평부재(22)를 용접 등에 의해 격자형으로 결합시킨 철재틀로 제작된다. 이러한 트러스(20)는 앵커(41), 브라켓(42), 및 앵커볼트(43) 등과 같은 고정구에 의해 건축물의 슬라브(10)에 고정가능하다.
그리고, 석재판넬(30)은, 슬라브(10)에 고정된 트러스(20)에 앵커볼트(51), 브라켓(52), 및 촉(53) 등과 같은 고정구를 사용하여 설치된다.
이러한 건축물 외장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을 도 3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우선, 석재판넬(30)을 지지하기 위한 철재 트러스(20)를 제작한다(S1). 여기서, 트러스(20)는 적당히 절단된 수직부재(21)와 수평부재(22)를 격자형태로 결합시켜 제작가능하다. 그런 다음, 제작 완료된 트러스(20)를 건축 현장으로 운반한 후(S2), 고정구를 사용하여 건축물의 슬라브(10)에 트러스(20)를 설치한다(S3).
슬라브(10)에 트러스(20)가 설치되면, 석재판넬(30)을 앵커와 브라켓등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트러스(20)에 고정시킨다. 석재판넬(30)의 고정작업은, 작업자가 비계나 곤도라를 타고 이동하면서 수행가능하다. 이러한 작업을 거쳐, 건축물의 외면에 커튼월형태의 외장벽체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S4).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건축물 외장벽체 시공방법과 시공구조에서는, 다 음과 같은 문제점들이 있다.
가. 우선, 건축현장에 다수의 석재판넬(30)과 트러스(20)를 적재하여야 하기 때문에 야적공간이 필요하고 그 보관 또한 용이하지 않다.
나. 제작된 트러스(20)를 건축물의 슬라브(10)에 설치하는 공정이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우며, 이에 따른 작업시간이 오래 걸린다. 즉, 건축물의 슬라브(10)에 트러스(20)를 설치하기 위하여, 다수의 고정구 예를 들어, 앵커(41), 브라켓(42), 및 앵커볼트(43) 등이 필연적인데, 이들을 수작업으로 일일이 결합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그에 따른 작업지연이 발생하는 것이다.
다. 작업자가 비계나 곤도라를 타고 장시간에 걸쳐 다수의 석재판넬(30)을 트러스(20)에 설치하여야 하므로 위험하다.
라. 특히, 야적공간, 다수의 고정구, 장시간동안의 작업, 및 많은 작업인원이 필연적이기 때문에, 시공비용이 증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물의 외벽마감을 매우 간편하고 안전하게 시공가능하고, 그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시공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공된 상기 프레임유니트를 사용하여 간편하게 석재판넬을 커튼월형태로 시공할 수 있고, 그 시공비용 및 시공기간도 감축할 수 있도록 한 건축물의 외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구조 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자재들을 적재시킬 공간이나 수고가 필요없는 건축물의 외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물의 창호마감을 매우 간편하고 안전하게 시공가능하고, 그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시공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건축물의 창호유니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건축물에 다수의 외장벽체를 지지하여 외벽을 형성하는 프레임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에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바아형상의 몸체에 다수의 결합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프레임; 상기 외장벽체가 커튼월 형태로 지지되는 트러스; 및 상기 프레임의 각 결합공에 착탈가능한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트러스를 상기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다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트러스는, 상기 결합부재들을 일체로 구비하는 격자형상으로 구성하거나, 상기 결합부재를 수용하는 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직사각 통형상으로 구성가능하다.
그러면, 상기 외장벽체는 앵커볼트를 통해 상기 트러스에 설치할 수 있고, 한편, 상기 트러스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피체결띠에 결합되는 체결고리를 마련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외장벽체는, 석재판넬과 유리판넬을 포함하여 구성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의 결합공은,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돌기보다 크게 형성하여 기후의 변화에 따른 익스펜션 조인트 역할을 하도록 하게 하거나,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돌기보다 큰 장공부 및 맞물리는 물림공부를 상하로 일체 형성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와 그 프레임유니트를 이용한 건축물 외벽 시공방법과 시공구조 및 창호 유니트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101)는, 콘크리트벽 등과 같은 건축물의 슬라브(100)에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프레임(110), 및 슬라브(100)에 나란한 상태로 배치되도록 프레임(110)에 결합되는 격자형 트러스(120)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게 된다. 트러스(120)에는 프레임(110)을 향해 돌출된 결합돌기를 가지는 복수의 결합부재(12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프레임(110)은, 도 5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바아형상의 몸체(111)를 가진다. 몸체(111)에는 한 쌍의 날개부(112)가 양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이 날개부(112)에는 다수의 결합공(113)이 형성되어 있다. 결합공(113)들은 몸체(1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몸체(111)는 복수의 브라켓(115) 및 앵커볼트(114)를 사용하여 슬라브(100)에 고정된다.
트러스(120)는, 알루미늄 샤시와 같은 철제 빔을 일정한 규격으로 절단한 수직부재(121)와 수평부재(122)를 용접등에 의해 결합시켜 격자형상의 틀로 제작된다. 이러한 격자형 트러스(120)에는, 그 수직부재(121)의 양측단 테두리에 결합돌기를 가지는 결합부재(123)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형성되어 있다. 이들 결합부재(123)들은 그 결합돌기가 프레임(110)의 몸체(111)에 형성된 결합공(113)과 각각 상보적으로 대응하도록 마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프레임(110)의 몸체에 형성된 각 결합공(113)들은, 가로폭(내경)의 치수가 결합부재(123)의 결합돌기의 두께 치수에 대하여 1.5 내지 3배의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면, 상온에서는, 각 결합공(113)에 결합된 결합돌기가 결합공(113)의 내부에서 수평방향으로 유동가능하다. 하지만, 예를 들어, 혹서기나 혹한기와 같이 기온이 낮아지는 경우, 이러한 결합공(113)은 금속신장율의 차이를 흡수할 수 있는 소위, 익스펜션 조인트(Expension Joint)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결합부재(123)의 결합돌기는 한편, 결합공(113)에 결합된 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선단부가 상방 또는 하방으로 굴곡된 후크형태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의 프레임유니트(101)를 이용한 건축물 외장벽체 시공구조에서는, 콘크리트벽과 같은 건축물의 슬라브(100)에 복수의 프레임(110)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고정된다. 여기서, 프레임(110)은 앵커볼트(114)와 브라켓(115)등과 같은 통상적인 고정구를 사용하여 간단히 고정가능하다.
그리고, 트러스(120)에는 다수의 석재판넬(130)이 커튼월 형태로 설치되어, 하나의 단위시공부품으로 형성된다. 이 때, 석재판넬(130)은 앵커볼트와 브라켓 및 촉 등과 같은 통상적인 고정구(131)를 매개하여 간단히 트러스(20)에 설치가능하다.
이렇게 다수의 석재판넬(130)이 커튼월 형태로 설치된 단위 트러스(120)도 또한, 프레임(110)에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즉, 단위 트러스(120)의 결합부재(123)에 형성된 결합돌기들을 프레임(110)의 결합공(113)에 상보적으로 결합시키면, 프레임(110)의 전면에 단위 트러스(120)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방식으로 복수의 단위 트러스(120)들을 프레임(110)에 순차적으로 설치하면, 건축물의 외장벽체가 커튼월 형태로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는, 다른 실시예로 변형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은 이러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프레임유니트가 건출물의 외벽에 설치된 상태의 부분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프레임유니트(150)도, 상기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프레임(151), 프레임(151)에 착탈가능한 트러스(161), 및 프레임(151)과 트러스(161) 사이에 개재되는 결합부재(181)를 포함한다.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은, 트러스(161)의 형상이 직사각통형상을 가지며, 결합부재(181)가 트러스(161)와 분리되어 있다는 것이다.
프레임(151)은,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바아형상의 몸체(152)를 가진다. 몸체(152)의 전면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결합공(154, 157)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결합공(154)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익스펜션 조인트역할을 하는 다소 큰 가로폭을 가지는 것으로 형성가능하다. 한편, 큰 가로폭을 가지는 상측 장공부(155)와, 이 상측 장공부(155)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하측 물림공부(156)를 구비하는 결합공(157)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익스펜션 조인트역할을 하는 결합공(154)은, 기온의 변화등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그 좌우방향으로 다소 여유공차가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결합부재(181)의 결합돌기(182)가 수용되는 경우 약간의 유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결합공(154)에서는, 일반적인 석재판넬의 커튼월형태의 시공시, 석재판넬(130)들을 일직선상으로 배치시키기 위한 조정이 수반된다. 하지만, 결합공(157)의 물림공부(156)는 이러한 여유공차를 거의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결합부재(181)의 결합돌기(182)가 유동할 염려가 없고, 따라서, 석재판넬(130)들을 추가적으로 조정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배제시킬 수 있다.
직사각통형상의 트러스(161)는, 골격을 형성하는 4개의 수직부재(162)와 이들 수직부재(162)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피체결띠(166)로 구성된다. 4개의 수직부재(162)중 프레임(151)과 대응하는 후방측 수직부재에는 각각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안내부가 마련되어 있다. 이 슬라이딩안내부의 양측 연부에는, 후술하는 결합부재(181)의 슬라이딩결합을 위한 슬라이딩홈(169)이 형성되어 있다.
피체결띠(166)들은 알루미늄 샤시등을 수직부재(162)의 외면에 수평방향으로 배치시켜 구성가능하며, 그 상측 및 하측 길이방향 연부(167)가 상향 절곡되어 있다. 피체결띠(166)의 상하 절곡연부(167)는 후술하는 석재판넬(130)에 고정된 체결고리(171)와 결합되는 걸림턱을 형성한다.
결합부재(181)는 "T"형 단면형상을 가지며, 프레임(151)의 각 몸체(152)에 형성된 결합공(154)에 수용되는 결합돌기(182)를 구비한다. 결합돌기(182)는 결합공(154)의 상측 장공부(155)를 통해 용이하게 수용되어, 그 하중에 의해 하향 이동한 후 하측 물림공부(155)에 위치고정된다. 이러한 결합부재(181)는 그 양측 결합연부를 트러스(161)의 수직부재에 형성된 슬라이딩홈(169)에 수용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여 결합고정된다. 이에 의해, 트러스(161)는 프레임(151)의 전면에 착탈가능하다.
이러한 결합부재(181)들은 또한, 도면을 참조하면, 기립방향으로 일체형성가능함은 물론이다. 즉, 단일의 바아(183)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결합돌기(184)들을 돌출시킨 형태로 변형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결합돌기(184)들은, 도 4 및 도 5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로, 후크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석재판넬(130)의 배면에는 트러스(161)의 피체결띠(166)에 체결되는 체결고리(171)이 고정된다. 체결고리(171)는 좌우 한 쌍으로 상하 대응하게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체결고리(171)들은 앵커볼트등을 사용하여 석재판넬(130)의 배면에 고정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프레임유니트(150)를 사용한 건축물 외장벽체 시공구조는, 도 7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볼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단위 트러스(160) 즉, 석재판넬(130)이 결합된 일정한 크기의 트러스(160)를 건축물의 외벽면(14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한 쌍의 프레임(151)이 필요하다. 한 쌍의 프레임(151)은 건축물의 외벽면(140)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이들 사이에는 연결부재(도 6의 158)가 개재된다.
그리고, 직사각통형상의 트러스(161)에는 전면 및 양측면에 각각 복수의 석재판넬(130)들이 커튼월형태로 결합된다. 트러스(130)의 배면에는 한편, 복수의 결합부재(181)들이 프레임(151)에 형성된 결합공(154)에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단위 시공부품을 형성한다. 이러한 단위 시공부품 즉, 단위 트러스(160)는, 결합부재(181)의 결합돌기(182)를 대응하는 결합공(154)에 끼워 넣어 간단히 설치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복수의 단위 트러스(130)들를 프레임(151)에 순차적으로 설치하면, 건축물의 외장벽체가 커튼월 형태로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프레임유니트(101)(150)를 이용한 건축물 외장벽체 시공방법을 도 8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외장벽체 즉, 석재판넬(130)이 설치될 건축물의 슬라브(100) 혹은 외벽(140)에 프레임(110, 15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11). 이 때, 프레임(110, 151)의 길이 혹은 배치에 따라 단위 트러스(120, 160)의 길이 및 크기를 적절히 설정가능하다. 그런 다음, 다수의 석재판넬(130)을 커튼월 형태로 지지하기 위한 철제트러스를 제작한다(S12). 여기서, 도 4 및 도 5와 관련된 일실시예에서는 수직부재(121)와 수평부재(122)를 사용한 격자형 트러스(120)가 제작된다. 그리고, 도 6 및 도 7과 관련된 다른 실시예에서는 수직부재(162)와 피결합띠(66) 를 사용한 직사각통형상의 트러스(161)로 제작된다.
트러스(120, 161)의 제작이 완료되면, 다수의 석재판넬(130)을 커튼월 형태로 설치하여 하나의 단위 시공부품으로 완성한다(S13). 이 때, 일 실시예에서는, 석재판넬(130)을 앵커볼트와 브라켓 및 촉 등과 같은 통상적인 고정구(131)를 사용하여 트러스(120)에 커튼월 형태로 고정시킨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석재판넬(130)의 배면에 한 쌍의 체결고리(171)를 설치한 후, 이들 체결고리(171)를 트러스(161)의 피결합띠(166)에 결합시킴으로써 보다 간단히 설치가능하다.
그런 다음, 제작완료된 단위 트러스(120, 16)를 건축현장으로 운반한다(S14). 이렇게 운반되는 단위 트러스(120, 161)는 건축현장 주위에 별도로 쌓아둘 필요없이, 건축물에 설치된 프레임(110, 151)에 바로바로 결합시킨다(S15). 이와 같이, 복수의 단위 트러스(120, 160)를 순차적으로 결합해 나감으로써, 커튼월형태를 가지는 건축물의 외장벽체를 신속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시공방법에서는, 건축물에 프레임(110, 151)을 설치하는 단계가 트러스(120, 161)를 제작하는 단계보다 선행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건축물에 프레임(110, 151)을 설치하는 것은, 단위 트러스(120, 160)를 제작하여 건축현장에 옮긴 후, 단위 트러스(120, 160)의 길이 및 크기를 고려하면서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변경가능하다. 그리고, 건축물에 프레임(110, 151)을 설치하는 작업과 단위 트러스(120, 160)를 제작하는 작업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사상임은 물론이다.
한편, 상술에서는, 건축물의 외장벽체의 시공을 위한 프레임유니트(101, 150), 이 프레임유니트(101, 150)를 사용한 시공방법 및 그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본원발명은 창호유니트(201) 및 이를 사용한 시공방법 및 그 구조에도 적용가능하다. 도 4에는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창호유니트(201)도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창호유니트(201)는 유리창(237)이 끼워진 창틀(235)과 석재판넬(230)이 결합된 창호트러스(220)를 포함한다.
창호트러스(220)는 건축물에 개구되도록 형성된 창호(203) 혹은 창호프레임(205)의 규격에 대응한다. 이러한 창호트러스(220)에는 알루미늄 샤시와 같은 창틀(235)이 설치된다. 여기서, 창틀(235)은 창호(203) 혹은 창호프레임(205)에 대응하는 수로 마련되며, 복수의 창틀(235)은 소정의 이격공간을 두고 배치된다. 그리고, 창틀(235)에는 유리창(237)이 설치되고, 창틀(235) 사이의 이격공간에는 석재판넬(230)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유리창(237) 및 석재판넬(230)를 창호트러스(220)에 결합시켜, 일정 규격의 단위 창호 유니트(200)로 제공가능한 것이다.
한편, 창호트러스(220)의 양측에는 프레임(110, 151)의 결합공(113, 154)에 각각 상보적으로 결합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는 결합부재(123, 181)이 설치된다. 따라서, 창호트러스(220)의 결합부재(123, 181)를 프레임(110, 151)의 결합공(113, 154)에 상보적으로 결합시키면, 건축물의 창호를 간편하게 마감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창호유니트(201)를 사용한 시공방법은, 도 4 내지 도 7과 관련된 프 레임유니트(101, 151)를 사용한 시공방법과 대동소이하다. 따라서,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로 대신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작완료된 단위 트러스를 건축현장으로 운반한 후 매우 간편하고 안전하게 건축물 외벽마감을 시행가능하고, 그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시공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건축물의 창호마감을 매우 간편하고 안전하게 시공가능한 건축물의 창호유니트도 제공된다.
그리고, 본 프레임유니트 및 창호유니트를 사용하면, 간편하게 석재판넬 및 유리창을 커튼월형태로 시공할 수 있고, 이 때, 건축물의 외벽을 시공하기 위한 자재들을 적재시킬 공간이나 수고가 필요없으며, 이에 의해, 시공비용 및 시공기간을 대폭 감축할 수 있는 건축물의 외벽 시공방법 및 그 시공구조가 제공된다.
즉, 기존의 시공방법과 시공구조에서 필수적으로 소요되는 앵커와 브라켓 등과 같은 다수의 고정구를 배제할 수 있고, 또한 석재판넬을 트러스에 커튼월 형태로 설치하는 과정을 지상에서 시공하여 미리 완성하게 되므로, 기존의 시공방법에서와 같이 작업자가 비계나 곤도라를 타고 다수의 석재판넬을 트러스에 하나하나씩 설치하는 과정을 배제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또한, 대동소이한 구조 및 형상의 프레임을 창호유니트와 프레임유니트 양측에 채용가능하다. 즉, 종래 프레임유니트용 프레임과 창호유니트용 프레임을 구별되어 사용하던 것을 혼용할 수 있어서,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이 간편한 효과가 제공되는 것이다.

Claims (11)

  1. 건축물에 다수의 외장벽체를 지지하여 외벽을 형성하는 프레임유니트에 있어서,
    상기 건축물에 수직상태로 설치되는 바아형상의 몸체에 다수의 결합공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된 프레임;
    상기 외장벽체가 커튼월 형태로 지지되는 트러스; 및
    상기 프레임의 각 결합공에 삽입되는 결합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트러스를 상기 프레임에 결합시키는 다수의 결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트러스는, 상기 결합부재를 수용하는 슬라이딩홈을 구비하는 직사각 통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벽체는, 상기 트러스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된 피체결띠에 결합되는 체결고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장벽체는, 석재판넬과 유리판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결합공은,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돌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익스펜션 조인트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결합공은,
    상기 결합부재의 결합돌기보다 큰 장공부 및 맞물리는 물림공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30028724A 2003-02-06 2003-05-06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 KR100540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7567 2003-02-06
KR1020030007567 2003-0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935A KR20030047935A (ko) 2003-06-18
KR100540185B1 true KR100540185B1 (ko) 2006-01-10

Family

ID=29578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724A KR100540185B1 (ko) 2003-02-06 2003-05-06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40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2954A (zh) * 2021-07-20 2021-10-15 浙江宏超建设集团有限公司 建筑外立面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1419B1 (ko) * 2005-11-10 2007-07-20 주식회사 대경에스앤씨티 건축물 외장용 석재 판넬의 시공구조
CN111236514B (zh) * 2020-03-11 2020-11-27 台州市拓基科技有限公司 一种建筑外墙及辅助工具和装拆方法
KR102490085B1 (ko) * 2022-07-18 2023-01-18 주식회사 민예 단열석재복합패널 및 시스템찬넬을 이용한 건축용 커튼월 구조
KR20240055334A (ko) * 2022-10-20 2024-04-29 주식회사 대동에스앤티 트러스 구조에 외장재를 부착한 사전제작 기둥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2954A (zh) * 2021-07-20 2021-10-15 浙江宏超建设集团有限公司 建筑外立面安装结构及其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7935A (ko) 200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1325B2 (en) Curtain wall system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ystem
KR20190041785A (ko)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CA2481278A1 (en) Tilt-up concrete wall panel form and method of fabricating same
KR101948307B1 (ko) 건물 외벽 시공방법
JP4900673B2 (ja) フェンス及びその構築方法
CN114341445B (zh) 外装板设置结构
KR20170142582A (ko)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540185B1 (ko)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
JP4202892B2 (ja) 間仕切部分における柱撤去梁補強方法及び梁補強構造
KR200405441Y1 (ko) 이동이 가능한 내화벽체 시스템
KR101614935B1 (ko) 조립식 경량 패널
KR101614937B1 (ko) 마감패널 시공용 조립체
KR200324353Y1 (ko)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JP2002089004A (ja) パネルの取付構造及び手摺構造
KR100614959B1 (ko) 커텐박스 결합구조체
KR101336667B1 (ko)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2345446B1 (ko) 슬라이드 결합 방식을 가지는 친환경 경량 패널 어셈블리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318654Y1 (ko)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 유니트 및 그를 이용한건축물 외벽 시공구조
KR101915567B1 (ko)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KR20160148163A (ko) 조립식 시설구조물의 조립부재
JP2004353390A (ja) カーテンウォール
KR20120119314A (ko)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
KR102584534B1 (ko) 덕트 설치구간용 바닥패널유닛 및 바닥시공방법
KR20170082777A (ko) 복합 외장패널
RU17054U1 (ru) Комплект объемно-переставной опалубк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