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5567B1 -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15567B1 KR101915567B1 KR1020170000320A KR20170000320A KR101915567B1 KR 101915567 B1 KR101915567 B1 KR 101915567B1 KR 1020170000320 A KR1020170000320 A KR 1020170000320A KR 20170000320 A KR20170000320 A KR 20170000320A KR 101915567 B1 KR101915567 B1 KR 1019155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bar
- lightweight permanent
- insertion groove
- column
- lightw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61—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of slab-shaped building elements with each oth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 거푸집을 기둥 조립체 전면에서 결합하여 좌우 슬라이딩 이동시켜 고정함으로써, 선조립 기둥 조립체에 영구거푸집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시공성 향상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한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합성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기 위해 기둥의 각 모서리에 기둥 면과 일정 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형강재 및 상기 복수의 형강재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형강재의 외부에 결합되는 지지바로 구성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에 경량 영구거푸집을 결합하기 위한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은 콘크리트 기둥의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내측에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평판부와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의 단부에 일측 또는 양측으로 확대부가 돌출 형성된 돌기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외측에는 걸림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의 확대부가 상기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려 경량 영구거푸집이 지지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강합성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기 위해 기둥의 각 모서리에 기둥 면과 일정 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형강재 및 상기 복수의 형강재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형강재의 외부에 결합되는 지지바로 구성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에 경량 영구거푸집을 결합하기 위한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은 콘크리트 기둥의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내측에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평판부와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의 단부에 일측 또는 양측으로 확대부가 돌출 형성된 돌기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외측에는 걸림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의 확대부가 상기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려 경량 영구거푸집이 지지바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경량 거푸집을 기둥 조립체 전면에서 결합하여 좌우 슬라이딩 이동시켜 고정함으로써, 선조립 기둥 조립체에 영구거푸집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시공성 향상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한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에 대한 것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양생될 때까지의 짧은 기간에 유동성을 가진 콘크리트를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 설치하는 구조물로, 철근콘크리트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등 콘크리트 구조에서는 거푸집 공사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거푸집 공사는 기본적으로 목적하는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완성을 위한 가설공사로, 콘크리트에 접하는 거푸집널과 이를 지지하는 버팀보, 띠장, 긴결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특허 제10-0540641호 등). 이에 따라 거푸집 공사는 자재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거푸집이나 동바리의 조립 및 해체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특히, 규모가 큰 구조물일수록 이러한 가설 자재의 설치나 해체 작업시 부재 자중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크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 시공에 소요되는 자재 및 시공량의 증가는 공사비 및 공기 증가의 주원인으로,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작업은 전체 콘크리트 공사의 공사비와 공정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번거로운 공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 시공성 및 경제성 향상을 위한 영구거푸집의 개발이 요구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선조립 기둥 골조에 골데크거푸집을 부착한 골데크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에 대한 것이다(특허 제10-1490748호).
상기 등록기술에서는 거푸집(140)을 수평지지부재(120)에 직결나사 등으로 체결하여 선조립 골조에 결합하므로 작업이 편리하다.
그러나 거푸집(140) 결합을 위하여 수평지지부재(120)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야 하고, 직결나사를 하나하나 체결하여야 하므로 거푸집 부착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아울러 직결나사 부위를 통하여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누출될 우려가 있다.
도 2 도시된 또 다른 종래 기술은 거푸집을 하부에서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선조립 골조에 결합시킬 수 있는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에 대한 것이다(특허 제10-1618798호).
상기 기술은 고정바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거푸집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선조립 골조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거푸집을 하부에서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결합시키므로 최하부에 거푸집 시공을 위한 여유 공간이 필요하고, 하부를 별도의 거푸집으로 마무리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수평지지부재인 제1고정바(4a)의 위치와 거푸집에 결합된 제2고정바(4b)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여야 하므로 제작의 정밀성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래식 거푸집 시공에 따른 공사비 및 공기 증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수평지지부재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짧은 시간 안에 거푸집을 선조립 기둥 조립체에 쉽게 결합할 수 있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거푸집을 상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최하부 거푸집 시공을 위한 여유 공간이나 기존 거푸집 공정의 병행이 불필요한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누출 염려가 없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강합성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기 위해 기둥의 각 모서리에 기둥 면과 일정 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형강재 및 상기 복수의 형강재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형강재의 외부에 결합되는 지지바로 구성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에 경량 영구거푸집을 결합하기 위한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은 콘크리트 기둥의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내측에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평판부와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의 단부에 일측 또는 양측으로 확대부가 돌출 형성된 돌기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외측에는 걸림공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의 확대부가 상기 걸림공에 삽입되어 걸려 경량 영구거푸집이 지지바에 고정되되, 상기 지지바의 일측 단부에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일측 단부에는 지지바의 타측 레그 측단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홈 측으로 ㄷ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삽입홈 내측과의 사이에 걸림공을 형성하는 걸림부로 구성되는 고정클립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지지바의 외측에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확대부가 전면에서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은 상기 삽입홈의 내측 단부 일측에 상기 삽입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지지바는 단면이 ㄱ 형상으로 일측 레그는 형강재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 레그 외측에는 상기 삽입홈 및 걸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삽입홈의 일측 또는 양측 측면에는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제1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걸림공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 형성된 제2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지지바의 타측 레그 단부에는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삭제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수직 이음부는 상기 지지바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되, 상기 수직 이음부가 결합되는 지지바는 타측 레그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일측 레그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절곡 형성되며, 하부 경량 영구거푸집의 상부와 상부 경량 영구거푸집의 하부가 하부의 타측 레그 및 상부의 타측 레그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 재래식 거푸집과 달리 경량 영구거푸집을 결합하므로, 가설재로서의 거푸집 시공 및 해체에 소요되는 시간 및 이에 소요되는 공사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둘째, 선조립 기둥 조립체를 구성하는 수평 방향 부재인 지지바의 걸림공에 경량 영구거푸집 내측에 형성된 수직 방향 부재인 돌기부의 확대부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선조립 기둥 조립체에 거푸집을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바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단시간 안에 거푸집을 결합할 수 있어 시공성 향상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셋째, 지지바의 외측에 삽입홈이 형성되는 경우 선조립 기둥 조립체의 전면에서 지지바에 경량 영구거푸집을 결합할 수 있으며, 경량 영구거푸집을 좌우로 슬라이딩시키며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정밀 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거푸집을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필요가 없어 최하부 거푸집 시공을 위한 여유 공간이나 기존 거푸집 공정의 병행이 불필요하다.
넷째, 경량 영구거푸집에 결합공 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거푸집 전면을 통한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누출 염려가 없다.
다섯째, 경량 영구거푸집을 이용하므로, 거푸집의 자중이나 운반 및 양중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여섯째, 돌기부의 강성에 의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측압에 잘 견딜 수 있으며, 상부 슬래브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골데크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상부로 이동시켜 선조립 골조에 결합되는 거푸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선조립 기둥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사시도.
도 5는 지지바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바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을 지지바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제1, 2보강부가 구비된 지지바의 저면사시도.
도 10은 플랜지부가 구비된 지지바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지지바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지지바와 고정클립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코너부에서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경량 영구거푸집 수직 이음부에서의 지지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종래 상부로 이동시켜 선조립 골조에 결합되는 거푸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선조립 기둥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사시도.
도 5는 지지바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바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을 지지바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제1, 2보강부가 구비된 지지바의 저면사시도.
도 10은 플랜지부가 구비된 지지바의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지지바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2는 지지바와 고정클립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3은 코너부에서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4는 경량 영구거푸집 수직 이음부에서의 지지바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선조립 기둥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는 강합성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기 위해 기둥의 각 모서리에 기둥 면과 일정 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형강재(1) 및 상기 복수의 형강재(1)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형강재(1)의 외부에 결합되는 지지바(2)로 구성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에 경량 영구거푸집(3)을 결합하기 위한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콘크리트 기둥의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31) 및 상기 평판부(31)의 내측에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평판부(31)와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321)의 단부에 일측 또는 양측으로 확대부(322)가 돌출 형성된 돌기부(32)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2)의 외측에는 걸림공(2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의 확대부(322)가 상기 걸림공(24)에 삽입되어 걸려 경량 영구거푸집(3)이 지지바(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조립 기둥 조립체는 강합성콘크리트 기둥 형성을 위하여 미리 공장 등에서 제작 가능한 것으로, 기둥 모서리에서 일정 간격 내측에 위치하는 형강재(1)와 이웃하는 형강재(1)를 결합하는 지지바(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2)는 경량 영구거푸집(3)이 직접 결합되는 부분으로 형강재(1)의 외측에 리벳, 볼트,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한다.
상기 지지바(2)는 기둥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 배치된다.
상기 지지바(2)에는 기둥 외측에 면하는 단부에 걸림공(24)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걸림공(24)은 후술할 경량 영구거푸집(3)의 확대부(322)가 삽입되어 걸리는 부분으로, 지지바(2)를 상하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걸림공(24)은 지지바(2)의 길이 방향, 즉 기둥의 너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2)는 Z형강, ㄷ형강 등의 형강재 또는 경량 철골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콘크리트 기둥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평판부(31)와 평판부(31) 내측에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32)로 구성된다.
상기 평판부(31)는 평평한 외측면이 외부에 면한다.
상기 돌기부(32)는 기둥의 너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32)로 인하여 I 값이 증가하여 강성이 증가하므로, 경량 영구거푸집(3)이 콘크리트 측압에 잘 버틸 수 있다.
상기 돌기부(32)는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 내에 묻혀 일체화되므로, 경량 영구거푸집(3)이 콘크리트 내에 정착되어 구조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돌기부(32)는 연결부(321)와 확대부(322)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321)는 평판부(31)와 수직을 이루도록 평판부(31) 내측에 돌출 형성된다.
상기 확대부(322)는 연결부(321)의 단부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확대부(322)는 지지바(2)의 걸림공(24)에 삽입되어 걸려 경량 영구거푸집(3)을 지지바(2)에 고정한다. 경량 영구거푸집(3)을 지지바(2)에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걸림공(24)은 확대부(322)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대부(322)는 연결부(321)의 단부를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도 4와 같이, 하나의 평판을 절곡하여 평판부(31), 연결부(321) 및 확대부(32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좌우 양측 단부에도 돌기부(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돌기부(32)는 ㄱ자형 또는 T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3, 3')은 양측 단부에 형성된 돌기부(32, 32')의 연결부(321, 321')와 확대부(322, 322')를 각각 서로 밀착시킬 수 있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의 길이 방향, 즉 기둥 높이 방향 슬립(slip)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바(2)와 경량 영구거푸집(3)은 1매당 1개소 이상 점용접할 수 있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경량으로 거푸집 자중을 줄일 수 있으며, 기존 거푸집에 비하여 다루기 쉽고 설치가 용이하여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시공현장에서의 노동력 소요를 줄여 공사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형강재(1)에 결합된 지지바(2)에 사전 부착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현장 부착도 가능하다.
도 5는 지지바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바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2)의 외측에는 경량 영구거푸집(3)의 확대부(322)가 전면에서 삽입되는 삽입홈(25)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24)은 상기 삽입홈(25)의 내측 단부 일측에 상기 삽입홈(25)과 연통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5)은 지지바(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6의 (a)와 같이, 지지바(2)의 전면에서 삽입홈(25)에 경량 영구거푸집(3)의 확대부(322)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2)의 삽입홈(25)을 통하여 걸림공(24)에 확대부(322)를 삽입한 후에는 도 6의 (b)와 같이 경량 영구거푸집(3)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걸림공(24) 내측에 확대부(322)가 위치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좌우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경량 영구거푸집(3)을 지지바(2)에 결합하는 경우에는 상부 또는 하부에서 경량 영구거푸집(3)을 삽입하기 위한 상하부 여유 공간이 불필요하다.
아울러 지지바(2)의 수직 위치와 상관없이 경량 영구거푸집(3)을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5)의 너비, 이웃하는 삽입홈(25) 사이의 간격은 각각 경량 영구거푸집(3)의 돌기부(32) 너비, 이웃하는 돌기부(32)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조절한다.
상기 지지바(2)는 다양한 단면 형상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 5 등과 같이 ㄱ 형상의 단면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지지바(2)의 양측 레그 중 일측 레그(21)는 형강재(1)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 레그(22)는 외측에 상기 삽입홈(25) 및 걸림공(24)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삽입홈(25)을 깊게 형성하면 콘크리트 타설시 지지바(2) 하부 공기의 배출을 위해 타측 레그(22)에 별도의 에어홀(223)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그리고 도 6의 (b)와 같이 경량 영구거푸집(3)의 평판부(31)는 타측 레그(22)의 단부에 밀착시킬 수 있어 더욱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다.
상기 지지바(2)는 일반적인 열간 압연 형강(hot rolled steel)의 앵글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은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을 지지바에 결합하는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기둥의 폭이 경량 영구거푸집(3)의 폭보다 크면 기둥 한 면에 여러 장의 경량 영구거푸집(3)이 결합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3, 3')은 일측 경량 영구거푸집(3)은 일측단 돌기부(32)를 ㄱ형상으로 구성하고, 타측 경량 영구거푸집(3')은 이에 이웃하는 측단 돌기부(32')를 ㄱ형상의 돌기부(32)와 밀착되도록 T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3, 3')의 측단을 상호 밀착시킬 수 있어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3, 3')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시공할 수 있다.
우선 도 8의 (a)와 같이 일측단 돌기부(32)가 ㄱ형상으로 구성되는 일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일측단을 지지바(2)의 삽입홈(25)에 삽입한 다음 경량 영구거푸집(3)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돌기부(32)의 확대부(322)가 걸림공(24)에 걸리도록 설치한다.
이와 이웃하는 타측의 경량 영구거푸집(3')은 단부에 위치하는 돌기부(32')가 T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돌기부(32')는 연결부(321')를 한 겹으로 형성하고 확대부(322')는 일단을 절곡하여 두 겹으로 형성하여 연장하되, 확대부(322')의 연장된 단부는 일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확대부(322)와 겹치도록 한 겹으로 형성한다.
상기 타측 경량 영구거푸집(3')은 단부의 돌기부(32')를 지지바(2)의 삽입홈(25)에 삽입한 다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이웃하는 양측 경량 영구거푸집(3, 3')의 돌기부(32, 32')가 상호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3, 3')이 결합되는 부분에서 돌기부(32, 32')의 전체적인 형상은 다른 부위의 돌기부(32)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9는 제1, 2보강부가 구비된 지지바의 저면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홈(25)의 일측 또는 양측 측면에는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제1보강부(2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221)는 삽입홈(25) 형성을 위해 절개된 타측 레그(22) 부위를 보강하고 경량 영구거푸집(3)의 확대부(322)를 지지한다.
상기 삽입홈(25) 형성을 위해 타측 레그(22)를 절개하는 경우, 절개된 부분을 90°로 상향 또는 하향 절곡하여 제1보강부(221)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삽입홈(25)과 제1보강부(221)를 동시에 형성 가능하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삽입홈(25) 형성을 위해 타측 레그(22)가 절개되는 부분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 부분을 하향 절곡하여 삽입홈(25)의 양측 측면에 제1보강부(221)를 형성하였다.
삽입홈(25) 형성을 위해 타측 레그(22)의 절개되는 부분의 일측만 절곡하면 삽입홈(25)의 일측에만 제1보강부(221)가 형성된다(미도시).
상기 삽입홈(25)의 일측에만 제1보강부(221)를 형성하는 경우, 제1보강부(221)가 경량 영구거푸집(3)의 확대부(322)를 직접 지지할 수 있도록 제1보강부(221)는 걸림공(24) 측 측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걸림공(24)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제2보강부(2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부(222)는 걸림공(24) 형성을 위해 절개되는 타측 레그(22) 부위를 보강하고 경량 영구거푸집(3)의 확대부(322)를 지지한다.
상기 걸림공(24) 형성을 위해 타측 레그(22)를 절개하는 경우, 절개된 부분을 90° 상향 또는 하향 절곡하여 제2보강부(222)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걸림공(24)과 제2보강부(222)를 동시에 형성 가능하다.
상기 걸림공(24)은 삽입홈(25)과 달리 폭이 좁아 양측으로 절곡하기에 무리가 있다. 따라서 절개된 부분을 일측으로만 수직 절곡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10은 플랜지부가 구비된 지지바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지지바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2)의 타측 레그(22) 단부에는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23)는 타측 레그(22)의 단부를 상부 또는 하부로 90°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지지바(2)의 단면 성능을 증가시킨다.
이 경우 상기 지지바(2)는 냉간 압연된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ㄷ형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랜지부(23)는 경량 영구거푸집(3)의 확대부(322)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으므로, 도 11과 같이 걸림공(24)을 타측 레그(22)의 단부에 형성하고 삽입홈(25)의 깊이를 플랜지부(23)의 두께만큼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삽입홈(25)의 면적이 충분하지 않으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지지바(2) 하부의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에어홀(223)을 타측 레그(22)에 별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는 지지바와 고정클립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3은 코너부에서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2)의 일측 단부에는 삽입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2)의 일측 단부에는 지지바(2)의 타측 레그(22) 측단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부(41) 및 상기 지지부(41)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홈(25') 측으로 ㄷ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삽입홈(25') 내측과의 사이에 걸림공(24')을 형성하는 걸림부(42)로 구성되는 고정클립(4)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바(2)의 일측 단부, 특히 기둥 모서리에 위치되는 지지바(2)의 일측 단부에는 고정클립(4)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정클립(4)은 지지부(41) 및 걸림부(4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41)의 일측면은 지지바(2)의 일측 단부에서 타측 레그(22) 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41)는 상하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타측 레그(22)는 물론 일측 레그(21) 측면과 소정 길이 결합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상기 걸림부(42)는 지지부(41)의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삽입홈(25') 측으로 돌출되도록 ㄷ자형으로 절곡된다.
이에 따라 걸림부(42)와 삽입홈(25') 내측과의 사이에 걸림공(24')이 형성된다.
기둥 모서리에 경량 영구거푸집(3")이 배치되는 경우, 돌기부(32")가 경량 영구거푸집(3")의 측단에 형성되면 이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지지바(2)의 일측 단부에 걸림공(24')이 형성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지지바(2)의 단부가 개방되어 걸림공(24')을 형성하기 어렵다.
따라서 지지바(2)의 일측 단부에 고정클립(4)을 결합하여 돌기부(32") 삽입을 위한 걸림공(24')을 별도로 형성한다.
상기 고정클립(4)은 지지바(2)의 타측 레그(22) 측면에 용접 결합한다.
도 13의 (a)에서는 일측 경량 영구거푸집(3)에 직교 방향으로 설치되는 타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연결부(321") 및 확대부(322")가 고정클립(4)의 일측면에 밀착 결합되는 과정이 도시된다.
타측 경량 영구거푸집(3")을 설치한 후에는 도 13의 (b)와 같이 이에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는 일측 경량 영구거푸집(3)을 지지바(2)에 결합한다.
이때, 일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단부에 배치되는 돌기부(32)는 타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돌기부(32")와 밀착시킨다.
이를 위하여 도 7 및 도 8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서로 이웃하는 타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돌기부(32")와 일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돌기부(32)는 각각 ㄱ자형과 T자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기둥 모서리에서 만나는 양측 경량 영구거푸집(3, 3")의 결합 부분, 즉 일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평판부(31) 단부와 타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연결부(321") 단부 사이에는 경량 영구거푸집(3, 3")의 유동 방지 등의 목적으로 실리콘 등의 코킹재(26)를 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량 영구거푸집(3, 3")이 횡방향으로 미끄러져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코킹재(26)의 제거만으로 일부 경량 영구거푸집(3, 3")을 해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4는 경량 영구거푸집 수직 이음부에서의 지지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3a, 3b)의 수직 이음부는 상기 지지바(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되, 상기 수직 이음부가 결합되는 지지바(2)는 타측 레그(22, 22')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일측 레그(2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절곡 형성되며, 하부 경량 영구거푸집(3a)의 상부와 상부 경량 영구거푸집(3b)의 하부가 하부의 타측 레그(22') 및 상부의 타측 레그(22)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하로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3a, 3b)의 수직 이음부가 지지바(2)의 사이에 위치할 경우 경량 영구거푸집(3a, 3b)의 상하부 캔틸레버 길이가 길어져 콘크리트 타설압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4와 같이 상하 경량 영구거푸집(3a, 3b)의 수직 이음부를 지지바(2)에 위치시키고 지지바(2)를 ㄷ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하부 영구거푸집(3a, 3b)의 단부를 지지바(2)의 상하 타측 레그(22, 22')에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수직 이음부에서 상하부 경량 영구거푸집(3a, 3b)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지지바(2)가 ㄷ 형상으로 구성되어 지지바(2) 내부 콘크리트 타설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하부 타측 레그(22, 22')에는 에어홀(22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4와 같은 별도의 ㄷ 자형 지지바(2)의 설치가 어려운 경우에는 상하 경량 영구거푸집(3a, 3b)의 수직 이음부 근처에서 지지바(2)의 수직 간격을 100㎜ 정도로 좁혀서 배치하여 경량 영구거푸집(3a, 3b)의 캔틸레버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경량 영구거푸집(3)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1: 형강재 2, 2': 지지바
21: 일측 레그 22, 22': 타측 레그
221: 제1보강부 222: 제2보강부
223: 에어홀 23: 플랜지부
24, 24': 걸림공 25, 25': 삽입홈
26: 코킹재 3, 3', 3", 3a, 3b: 경량 영구거푸집
31, 31': 평판부 32, 32': 돌기부
321, 321', 321": 연결부 322, 322', 322": 확대부
4: 고정클립 41: 지지부
42: 걸림부
21: 일측 레그 22, 22': 타측 레그
221: 제1보강부 222: 제2보강부
223: 에어홀 23: 플랜지부
24, 24': 걸림공 25, 25': 삽입홈
26: 코킹재 3, 3', 3", 3a, 3b: 경량 영구거푸집
31, 31': 평판부 32, 32': 돌기부
321, 321', 321": 연결부 322, 322', 322": 확대부
4: 고정클립 41: 지지부
42: 걸림부
Claims (8)
- 강합성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기 위해 기둥의 각 모서리에 기둥 면과 일정 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형강재(1) 및 상기 복수의 형강재(1)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도록 형강재(1)의 외부에 결합되는 지지바(2)로 구성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에 경량 영구거푸집(3)을 결합하기 위한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콘크리트 기둥의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31) 및 상기 평판부(31)의 내측에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평판부(31)와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는 연결부(321)의 단부에 일측 또는 양측으로 확대부(322)가 돌출 형성된 돌기부(32)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2)의 외측에는 걸림공(24)이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의 확대부(322)가 상기 걸림공(24)에 삽입되어 걸려 경량 영구거푸집(3)이 지지바(2)에 고정되되,
상기 지지바(2)의 일측 단부에는 삽입홈(2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2)의 일측 단부에는 지지바(2)의 타측 레그(22) 측단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부(41) 및 상기 지지부(41)의 단부에서 상기 삽입홈(25') 측으로 ㄷ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삽입홈(25') 내측과의 사이에 걸림공(24')을 형성하는 걸림부(42)로 구성되는 고정클립(4)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 제1항에서,
상기 지지바(2)의 외측에는 경량 영구거푸집(3)의 확대부(322)가 전면에서 삽입되는 삽입홈(25)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공(24)은 상기 삽입홈(25)의 내측 단부 일측에 상기 삽입홈(25)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 제2항에서,
상기 지지바(2)는 단면이 ㄱ 형상으로 일측 레그(21)는 형강재(1)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 레그(22) 외측에는 상기 삽입홈(25) 및 걸림공(2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 제3항에서,
상기 삽입홈(25)의 일측 또는 양측 측면에는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제1보강부(22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 제3항에서,
상기 걸림공(24)의 전방 또는 후방에는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 형성된 제2보강부(2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 제3항에서,
상기 지지바(2)의 타측 레그(22) 단부에는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 삭제
- 제3항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3a, 3b)의 수직 이음부는 상기 지지바(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되, 상기 수직 이음부가 결합되는 지지바(2)는 타측 레그(22, 22')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일측 레그(2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절곡 형성되며, 하부 경량 영구거푸집(3a)의 상부와 상부 경량 영구거푸집(3b)의 하부가 하부의 타측 레그(22') 및 상부의 타측 레그(22)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0320A KR101915567B1 (ko) | 2017-01-02 | 2017-01-02 |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0320A KR101915567B1 (ko) | 2017-01-02 | 2017-01-02 |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9748A KR20180079748A (ko) | 2018-07-11 |
KR101915567B1 true KR101915567B1 (ko) | 2018-11-06 |
Family
ID=62917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0320A KR101915567B1 (ko) | 2017-01-02 | 2017-01-02 |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1556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9302B1 (ko) | 2019-05-13 | 2019-10-07 | (주)센벡스 | 강합성 콘크리트 부재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8939B1 (ko) * | 2007-02-01 | 2007-08-13 | (주) 선암기술연구소 | 이방향 골판형 합성상판 |
KR101584008B1 (ko) * | 2014-11-10 | 2016-01-20 |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 성형강판을 이용한 기둥 영구거푸집 |
KR101618798B1 (ko) * | 2015-08-25 | 2016-05-09 | (주)센벡스 |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
-
2017
- 2017-01-02 KR KR1020170000320A patent/KR10191556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48939B1 (ko) * | 2007-02-01 | 2007-08-13 | (주) 선암기술연구소 | 이방향 골판형 합성상판 |
KR101584008B1 (ko) * | 2014-11-10 | 2016-01-20 |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 성형강판을 이용한 기둥 영구거푸집 |
KR101618798B1 (ko) * | 2015-08-25 | 2016-05-09 | (주)센벡스 |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79748A (ko) | 2018-07-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90041785A (ko) |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 |
KR101490748B1 (ko) | 골데크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 |
KR101683641B1 (ko) | 거푸집 선조립형 기둥 구조물 | |
KR102401463B1 (ko) | 절곡강판을 이용한 비탈형 보 거푸집 | |
KR101432260B1 (ko) |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 |
KR101618798B1 (ko) |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 |
KR102029302B1 (ko) | 강합성 콘크리트 부재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 |
KR101965791B1 (ko) | 웨브 연결형 강합성콘크리트 기둥-보 접합 구조 | |
KR101920417B1 (ko) | 철근콘크리트 프레임 내진 보강 구조 | |
KR101915567B1 (ko) |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 |
KR102460363B1 (ko) | 거푸집 고정용 십자조인트 | |
KR101427208B1 (ko) | 모듈러 거푸집이 구비된 선조립 골조 | |
KR102007936B1 (ko) | 선조립 철골조립체와 영구거푸집 패널의 고정 구조 | |
KR101946500B1 (ko) | 힌지 결합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 |
KR101373262B1 (ko) | 연결판 교차식 콘크리트 충전 강관기둥 | |
KR102236827B1 (ko) |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 |
KR20130103420A (ko) | 합성보를 이용한 클린룸 골조 | |
KR102007937B1 (ko) | 영구거푸집 패널이 구비된 선조립 철골조립체 | |
KR101591224B1 (ko) | 조립식 플레이트와 정착 채널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구조물의 복합화 시공방법 | |
KR101202296B1 (ko) | 조립식 거푸집 | |
KR100942693B1 (ko) | 건축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 고정 및 보강구조 | |
JP3878546B2 (ja) | 横桁一体型コンクリート床版の施工方法 | |
KR102011987B1 (ko) | 하지 매립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를 이용한 층간 방화 구조 | |
KR20160110699A (ko) |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 |
KR102693744B1 (ko)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내외측 패널에 설치된 합성부재로 접합부 합성성능을 개선한 더블월, 이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더블월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