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785A -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 Google Patents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785A
KR20190041785A KR1020170133459A KR20170133459A KR20190041785A KR 20190041785 A KR20190041785 A KR 20190041785A KR 1020170133459 A KR1020170133459 A KR 1020170133459A KR 20170133459 A KR20170133459 A KR 20170133459A KR 20190041785 A KR20190041785 A KR 201900417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
lightweight permanent
steel
lightweigh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남
Original Assignee
(주)센벡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센벡스 filed Critical (주)센벡스
Priority to KR1020170133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1785A/ko
Priority to PCT/KR2018/011931 priority patent/WO2019074283A1/ko
Publication of KR20190041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7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 영구거푸집을 선조립 철골 조립체의 전면에서 결합하여 슬라이딩 이동시켜 고정함으로써, 선조립 철골 조립체에 영구거푸집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시공성 향상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한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는 강합성콘크리트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부재의 각 모서리에 부재 면과 일정 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형강재 및 이웃하는 형강재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강재에 결합되는 것으로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레그가 형강재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바로 구성되는 선조립 철골 조립체에 경량 영구거푸집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은 부재의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내측에 부재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의 내측 단부에 일측 또는 양측으로 확대부가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타측 레그에는 상기 확대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ㄱ자형의 걸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Combination structure of permanent concrete form and prefabricated steel assembly for steel composite concrete}
본 발명은 경량 영구거푸집을 선조립 철골 조립체의 전면에서 결합하여 슬라이딩 이동시켜 고정함으로써, 선조립 철골 조립체에 영구거푸집을 용이하게 결합하여 시공성 향상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한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에 대한 것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어느 정도 양생될 때까지의 짧은 기간에 유동성을 가진 콘크리트를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 설치하는 구조물로, 철근콘크리트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등 콘크리트 구조에서는 거푸집 공사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거푸집 공사는 기본적으로 목적하는 건축물 또는 구조물의 완성을 위한 가설공사로, 콘크리트에 접하는 거푸집널과 이를 지지하는 버팀보, 띠장, 긴결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특허 제10-0540641호 등). 이에 따라 거푸집 공사는 자재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거푸집이나 동바리의 조립 및 해체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특히, 규모가 큰 구조물일수록 이러한 가설 자재의 설치나 해체 작업시 부재 자중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크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 시공에 소요되는 자재 및 시공량의 증가는 공사비 및 공기 증가의 주원인으로, 거푸집의 설치와 해체 작업은 전체 콘크리트 공사의 공사비와 공정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번거로운 공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면서 시공성 및 경제성 향상을 위한 영구거푸집의 개발이 요구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선조립 기둥 골조에 골데크거푸집을 부착한 골데크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에 대한 것이다(특허 제10-1490748호). 상기 등록기술에서는 거푸집(140)을 수평지지부재(120)에 직결나사 등으로 체결하여 선조립 골조에 결합하므로 작업이 편리하다.
그러나 거푸집(140) 결합을 위하여 수평지지부재(120)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야 하고, 직결나사를 하나하나 체결하여야 하므로 거푸집 부착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아울러 직결나사 부위를 통하여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누출될 우려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또 다른 종래 기술은 거푸집을 하부에서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선조립 골조에 결합시킬 수 있는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에 대한 것이다(특허 제10-1618798호). 상기 기술은 고정바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거푸집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선조립 골조에 쉽게 결합할 수 있다.
그러나 거푸집을 하부에서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결합시키므로 최하부에 거푸집 시공을 위한 여유 공간이 필요하고, 하부를 별도의 거푸집으로 마무리하여야 한다. 또한, 수평지지부재인 제1고정바(4a)의 위치와 거푸집에 결합된 제2고정바(4b)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여야 하므로 제작의 정밀성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재래식 거푸집 시공에 따른 공사비 및 공기 증가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선조립 철골 조립체의 형강재를 연결하는 지지바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짧은 시간 안에 거푸집을 선조립 철골 조립체에 쉽게 결합할 수 있는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거푸집을 부재 단부에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여 결합할 필요가 없어, 최단부 거푸집 시공을 위한 여유 공간이나 기존 거푸집 공정의 병행이 불필요한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누출 염려가 없는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강합성콘크리트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부재의 각 모서리에 부재 면과 일정 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형강재 및 이웃하는 형강재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강재에 결합되는 것으로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레그가 형강재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바로 구성되는 선조립 철골 조립체에 경량 영구거푸집을 결합하기 위한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은 부재의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내측에 부재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의 내측 단부에 일측 또는 양측으로 확대부가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타측 레그에는 상기 확대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ㄱ자형의 걸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의 일측 단부에는 돌기부의 확대부가 외측으로 절곡된 제1결합돌기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돌기부의 확대부가 내측으로 절곡된 제2결합돌기부가 형성되어, 부재의 모서리에서 일측 경량 영구거푸집의 제1결합돌기부가 인접하는 타측 경량 영구거푸집의 제2결합돌기부와 상호 결합되되, 상기 제2결합돌기부의 확대부는 제1결합돌기부의 연결부에 밀착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부의 확대부에는 일부가 절취되어 제2결합돌기부의 확대부를 감싸 걸리도록 일정 각도로 절곡되는 걸림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형강재는 ㄱ형강으로 각 레그가 부재의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바의 단부에는 일측 레그가 부재의 내측으로 수직 절곡된 결합부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가 형강재의 레그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걸림공의 일측에는 절개된 타측 레그가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보강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지지바의 타측 레그 단부에는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부재는 슬래브의 하부를 지지하는 보 부재로, 측면의 지지바 상단 외측에는 ㄱ형강으로 형성되어 일측 레그 상부에 데크플레이트가 거치될 수 있도록 데크받침용 앵글이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측면의 지지바 상단의 타측 레그에는 ㄱ형강인 고정용 앵글의 일측 레그가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고정용 앵글의 타측 레그는 데크받침용 앵글의 타측 레그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 재래식 거푸집과 달리 선조립 철골 조립체에 경량 영구거푸집을 결합하므로, 가설재로서의 거푸집 시공 및 해체에 걸리는 시간 및 이에 소요되는 공사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아울러 거푸집의 자중이나 운반 및 양중 부담을 줄일 수 있다.
둘째, 선조립 철골 조립체를 구성하는 지지바의 걸림공에 경량 영구거푸집 내측에 형성된 돌기부의 확대부를 걸어 고정함으로써, 선조립 철골 조립체에 거푸집을 쉽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바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단시간 안에 거푸집을 결합할 수 있어 시공성 향상 및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셋째, 지지바의 타측 레그에 ㄱ자형의 걸림공이 형성되므로 선조립 철골 조립체의 전면에서 지지바에 경량 영구거푸집을 결합할 수 있으며, 경량 영구거푸집을 상하 또는 좌우로 슬라이딩하며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정밀 시공이 가능하다. 따라서 최단부 거푸집 시공을 위한 여유 공간이나 기존 거푸집 공정의 병행이 불필요하다.
넷째, 경량 영구거푸집에 결합공 등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거푸집 전면을 통한 콘크리트 페이스트의 누출 염려가 없다.
다섯째, 경량 영구거푸집 내측에 형성된 돌기부의 강성에 의하여 콘크리트 측압에 잘 견딜 수 있으며, 상부 슬래브 하중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섯째, 기둥뿐만 아니라 보 부재에도 본 발명을 폭넓게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골데크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상부로 이동시켜 선조립 골조에 결합되는 거푸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지지바의 상세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바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7은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을 지지바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9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경량 영구거푸집과 선조립 철골 조립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경량 영구거푸집과 선조립 철골 조립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부재 모서리에서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제1결합돌기부와 제2결합돌기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3은 결합부가 형성된 지지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4는 결합부가 형성된 지지바와 형강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는 보강부가 구비된 지지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플랜지부가 구비된 지지바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지지바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18은 상하로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수직 이음부와 지지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보 부재인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0은 고정용 앵글에 의한 지지바와 데크받침용 앵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1은 보 부재 상부에 데크플레이트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는 강합성콘크리트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부재의 각 모서리에 부재 면과 일정 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형강재(1) 및 이웃하는 형강재(1)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강재(1)에 결합되는 것으로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레그(21)가 형강재(1)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바(2)로 구성되는 선조립 철골 조립체에 경량 영구거푸집(3)을 결합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부재의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31) 및 상기 평판부(31)의 내측에 부재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321)의 내측 단부에 일측 또는 양측으로 확대부(322)가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32)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2)의 타측 레그(22)에는 상기 확대부(322)가 삽입되어 걸리는 ㄱ자형의 걸림공(2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선조립 철골 조립체는 기둥, 보 등 강합성콘크리트 부재 형성을 위하여 미리 공장 등에서 제작 가능한 것으로, 부재 각 모서리에서 부재 면과 일정 간격 내측에 위치하는 형강재(1)와 이웃하는 형강재(1)를 상호 결합하는 지지바(2)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2)는 경량 영구거푸집(3)이 직접 결합되는 부분으로 형강재(1)의 외측에 리벳, 볼트,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한다.
상기 지지바(2)는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 배치된다.
상기 지지바(2)는 단면이 ㄱ 형상으로 일측 레그(21)는 형강재(1)에 고정되고, 타측 레그(22)는 부재 외측에 위치된다.
상기 지지바(2)의 타측 레그(22)에는 단부에 ㄱ자형의 걸림공(22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공(221)은 경량 영구거푸집(3)의 확대부(322)가 삽입되어 걸리는 부분으로 외부와 연통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림공(221)은 지지바(2)의 길이 방향, 즉 부재의 너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2)는 Z형강, ㄷ형강 등의 형강재 또는 경량 철골을 사용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 영구거푸집(3)은 부재의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31), 상기 평판부(31)의 내측에 부재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321)의 내측 단부에 일측 또는 양측으로 확대부(322)가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32)로 구성된다.
상기 돌기부(32)도 걸림공(221)과 같이 부재의 너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32)에 의하여 I값 증가로 강성이 증가하므로, 경량 영구거푸집(3)이 콘크리트 측압에 잘 버틸 수 있다.
상기 돌기부(32)는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 내에 묻혀 일체화되므로, 경량 영구거푸집(3)이 콘크리트 내에 정착되어 구조 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돌기부(32)는 연결부(321)와 확대부(322)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321)는 평판부(31)와 수직을 이루도록 평판부(31) 내측에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확대부(322)는 연결부(321)의 내측 단부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다만, 걸림공(221)의 입구 폭이 커질 경우 걸림공(221) 주변의 레그 강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입구 폭을 최소화하기 위해 돌기부(32)는 확대부(322)가 일측으로만 돌출된 ㄱ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대부(322)가 지지바(2)의 걸림공(221)에 삽입되어 걸려 경량 영구거푸집(3)이 지지바(2)에 고정된다.
상기 확대부(322)는 연결부(321)의 단부를 절곡하여 일체로 형성 가능하다.
또한, 도 4와 같이, 하나의 평판을 절곡하여 평판부(31), 연결부(321) 및 확대부(322)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좌우 양측 단부에도 돌기부(32)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돌기부(32)는 ㄱ자형 또는 T자형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의 길이 방향, 즉 부재의 길이 방향 슬립(slip)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바(2)와 경량 영구거푸집(3)은 1매당 1개소 이상 점용접할 수 있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경량으로 거푸집 자중을 줄일 수 있으며, 기존 거푸집에 비하여 다루기 쉽고 설치가 용이하여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이로 인하여 시공현장에서의 노동력 소요를 줄여 공사비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형강재(1)에 결합된 지지바(2)에 사전 부착할 수 있으며, 현장 부착도 가능하다.
도 5는 지지바의 상세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지지바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지지바(2)와 경량 영구거푸집(3)의 결합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같이, 상기 지지바(2)의 타측 레그(22)에는 단부에 ㄱ자형의 걸림공(221)이 형성되므로, 도 6의 (a)와 같이, 지지바(2)의 전면에서 걸림공(221)에 경량 영구거푸집(3)의 확대부(322)를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2)의 걸림공(221)에 확대부(322)를 삽입한 후에는 도 6의 (b)와 같이 경량 영구거푸집(3)을 부재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걸림공(221) 내측에 확대부(322)가 걸리도록 설치한다.
이와 같이 전면에서 경량 영구거푸집(3)을 걸림공(221)에 삽입한 후 부재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경량 영구거푸집(3)이 걸림공(221)에 걸리도록 결합하는 경우에는 부재 단부에 경량 영구거푸집(3) 삽입을 위한 여유 공간이 불필요하다.
아울러 지지바(2)의 설치 높이와 상관없이 경량 영구거푸집(3)을 결합할 수 있다.
도 7은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8은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을 지지바에 결합하는 과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부재의 폭이 경량 영구거푸집(3)의 폭보다 크면 부재의 한 면에 여러 장의 경량 영구거푸집(3)이 결합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3, 3')은 일측 경량 영구거푸집(3)은 일측단 돌기부(32)를 연결부(321)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확대부(322)가 형성된 ㄱ형상으로 구성하고, 타측 경량 영구거푸집(3')은 이에 이웃하는 측단 돌기부(32')를 ㄱ형상의 돌기부(32)와 밀착되도록 연결부(321')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수직 절곡되어 확대부(322')가 형성된 ㄱ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3, 3')의 측단을 상호 밀착시킬 수 있어 견고하게 고정 가능하다.
도 7에 도시된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3, 3')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시공할 수 있다.
우선 도 8의 (a)와 같이 일측단 돌기부(32)가 ㄱ형상으로 구성되는 일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일측단을 지지바(2)의 걸림공(221)에 삽입한 다음, 경량 영구거푸집(3)을 부재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돌기부(32)의 확대부(322)가 걸림공(221)의 내측단에 걸리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도 8의 (b)와 같이, 상기 타측 경량 영구거푸집(3')을 단부의 돌기부(32')가 지지바(2)의 걸림공(221)에 삽입되도록 한 다음, 슬라이딩 이동시켜 이웃하는 양측 경량 영구거푸집(3, 3')의 돌기부(32, 32')가 상호 밀착되도록 설치한다.
도 9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경량 영구거푸집과 선조립 철골 조립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경량 영구거푸집과 선조립 철골 조립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부재 모서리에서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제1결합돌기부와 제2결합돌기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의 일측 단부에는 돌기부(32)의 확대부(322)가 외측으로 절곡된 제1결합돌기부(32a)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돌기부(32)의 확대부(322)가 내측으로 절곡된 제2결합돌기부(32b)가 형성되어, 부재의 모서리에서 일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제1결합돌기부(32a)가 인접하는 타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제2결합돌기부(32b')와 상호 결합되되, 상기 제2결합돌기부(32b')의 확대부(322b')는 제1결합돌기부(32a)의 연결부(321a)에 밀착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부(32a)의 확대부(322a)에는 일부가 절취되어 제2결합돌기부(32b')의 확대부(322b')를 감싸 걸리도록 일정 각도로 절곡되는 걸림부(323)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부재 모서리에서 상호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3, 3')은 일측 경량 영구거푸집(3)을 먼저 설치한 후 타측 경량 영구거푸집(3')을 설치하는 순서로 시공한다.
이때, 타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확대부(322b')는 일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걸림부(323)와 연결부(321a) 사이에 끼워지도록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다(도 12).
이에 따라 타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확대부(322b')에 일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걸림부(323)가 걸리므로, 일측 경량 영구거푸집(3)이 지지바(2)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경량 영구거푸집(3)은 돌기부(32)가 ㄱ자형의 걸림공(221)에 끼워져 걸리도록 슬라이딩 이동하여 결합함으로써 부재의 외측면 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경량 영구거푸집(3)이 다시 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면 돌기부(32)가 걸림공(221)에서 빠질 수 있다.
따라서 경량 영구거푸집(3)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제1결합돌기부(32a)에 걸림부(323)를 형성함으로써, 걸림부(323)가 인접하는 타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제2결합돌기부(32b')에 걸려 경량 영구거푸집(3)이 역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돌기부(32)가 걸림공(221)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상기 걸림부(323)는 경량 영구거푸집(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경량 영구거푸집(3)의 단부를 개선하여 걸림부(323)를 구성하면, 별도의 결합 부재 없이도 부재 모서리에서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3, 3')이 상호 결합되어 지지바(2)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은 결합부가 형성된 지지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결합부가 형성된 지지바와 형강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형강재(1)는 ㄱ형강으로 각 레그가 부재의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바(2)의 단부에는 일측 레그(21)가 부재의 내측으로 수직 절곡된 결합부(211)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211)가 형강재(1)의 레그 외측면에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2)는 형강재(1)에 결합되는 일측 레그(21)의 단부를 부재 내측에 위치되도록 수직으로 절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ㄱ형강인 형강재(1)의 모서리가 부재 내측으로 배치된 경우에도 도 14와 같이 용접 공정 없이 지지바(2)를 형강재(1)에 결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지지바(2)의 단부에서 일측 레그(21)와 타측 레그(22) 사이를 일정 길이 절단하고, 일측 레그(21)를 부재 내측으로 수직 절곡하여 결합부(21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결합부(211)는 형강재(1)의 레그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볼트 결합 가능하다.
상기 결합부(211)는 지지바(2)의 양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211) 형성을 위한 절개 길이는 이웃하는 형강재(1)의 상호 대면하는 레그의 거리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상기 결합부(211) 및 결합부(211)와 대응되는 형강재(1)의 레그 부분에는 미리 볼트 관통공을 형성하여 둘 수 있다.
도 15는 보강부가 구비된 지지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공(221)의 일측에는 절개된 타측 레그(22)가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보강부(22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222)는 걸림공(221) 형성을 위해 절개된 타측 레그(22) 부위를 보강하고 경량 영구거푸집(3)의 확대부(322)를 지지한다.
상기 걸림공(221) 형성을 위해 타측 레그(22)를 절개하고, 절개된 부분을 90°로 상향 또는 하향 절곡하여 보강부(222)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5에서는 걸림공(221)의 입구 측 양측에 하부로 절곡된 보강부(222)가 형성되었다. 물론, 걸림공(221)의 입구 측 일측에만 보강부(222)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걸림공(221)의 입구 측 일측에만 보강부(222)를 형성하는 경우, 보강부(222)가 확대부(322)를 직접 지지할 수 있도록 보강부(222)는 걸림공(221)의 내측 단부에 가까운 측면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보강부(222)는 걸림공(221)의 내측 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6은 플랜지부가 구비된 지지바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지지바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2)의 타측 레그(22) 단부에는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2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23)는 타측 레그(22)의 단부를 상부 또는 하부로 90° 절곡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지지바(2)의 단면 성능을 증가시킨다.
이 경우 상기 지지바(2)는 냉간 압연된 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고, 일반적인 ㄷ형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플랜지부(23)는 경량 영구거푸집(3)의 확대부(322)가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7과 같이 ㄱ 형상의 걸림공(221)을 타측 레그(22)의 단부에 형성하되, 걸림공(221)의 입구 두께를 플랜지부(23)의 두께만큼만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확대부(322)가 타측 레그(22) 단부에 가깝게 위치되므로, 콘크리트 타설시 지지바(2) 하부의 공기 배출을 위한 에어홀(223)을 타측 레그(22)에 별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은 상하로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수직 이음부와 지지바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3a, 3b)의 수직 이음부는 상기 지지바(2)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되, 상기 수직 이음부가 결합되는 지지바(2)는 타측 레그(22, 22')가 한 쌍으로 구비되어 일측 레그(2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절곡 형성되며, 하부 경량 영구거푸집(3a)의 상부와 상부 경량 영구거푸집(3b)의 하부가 하부의 타측 레그(22') 및 상부의 타측 레그(22)에 각각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하로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3a, 3b)의 수직 이음부가 지지바(2) 사이에 위치할 경우, 경량 영구거푸집(3a, 3b)의 상하부 캔틸레버 길이가 길어져 콘크리트 타설압에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8과 같이 상하 경량 영구거푸집(3a, 3b)의 수직 이음부를 지지바(2)에 위치시키고 지지바(2)를 ㄷ 형상으로 구성하여, 상하 경량 영구거푸집(3a, 3b)의 단부를 지지바(2)의 상하 타측 레그(22, 22')에 각각 결합시킴으로써 수직 이음부에서 상하 경량 영구거푸집(3a, 3b)을 견고하게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ㄷ 형상의 지지바(2)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상하 타측 레그(22, 22')에는 각각 에어홀(22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8과 같은 ㄷ 형상의 지지바(2)를 별도로 설치하기 어려우면, 상하 경량 영구거푸집(3a, 3b)의 수직 이음부 근처에서 지지바(2)의 수직 간격을 100㎜ 정도로 좁혀서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상하 경량 영구거푸집(3a, 3b)의 캔틸레버 길이를 감소시킴으로써 경량 영구거푸집(3)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9는 보 부재인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0은 고정용 앵글에 의한 지지바와 데크받침용 앵글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1은 보 부재 상부에 데크플레이트가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재는 슬래브의 하부를 지지하는 보 부재로, 측면의 지지바(2') 상단 외측에는 ㄱ형강으로 형성되어 일측 레그 상부에 데크플레이트(6)가 거치될 수 있도록 데크받침용 앵글(4)이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슬래브 시공을 위한 데크플레이트(6) 설치시 데크플레이트(6)를 상부의 형강재(1)에 직접 거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형강재(1)와 경량 영구거푸집(3) 사이에 콘크리트가 제대로 타설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데크플레이트(6)를 경량 영구거푸집(3)의 외부에 거치하여 상부의 형강재(1)와 경량 영구거푸집(3) 사이가 개방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보 부재의 측면에 위치하는 지지바(2') 외측에 별도의 데크받침용 앵글(4)을 구비하여 데크플레이트(6)가 경량 영구거푸집(3)의 외측에 거치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측면의 지지바(2') 상단의 타측 레그(22)에는 ㄱ형강인 고정용 앵글(5)의 일측 레그가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고정용 앵글(5)의 타측 레그는 데크받침용 앵글(4)의 타측 레그에 밀착되어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보 부재 측면의 지지바(2')는 ㄱ형강으로 데크받침용 앵글(4)을 지지바(2')에 직접 결합하기 곤란하다. 따라서 별도의 고정용 앵글(5)을 지지바(2')에 결합하고 고정용 앵글(5)을 매개로 하여 데크받침용 앵글(4)을 지지바(2')에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고정용 앵글(5)은 지지바(2')에 결합되어 지지바(2')와 함께 전체적으로 단면상 Z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1: 형강재 2, 2': 지지바
21: 일측 레그 211: 결합부
22, 22': 타측 레그 221: 걸림공
222: 보강부 223: 에어홀
23: 플랜지부 3, 3', 3a, 3b: 경량 영구거푸집
31, 31': 평판부 32, 32': 돌기부
321, 321': 연결부 322, 322': 확대부
32a: 제1결합돌기부 321a: 연결부
322a: 확대부 32b, 32b': 제2결합돌기부
321b, 321b': 연결부 322b, 322b': 확대부
323: 걸림부 4: 데크받침용 앵글
5: 고정용 앵글 6: 데크플레이트

Claims (7)

  1. 강합성콘크리트 부재를 형성하기 위해 부재의 각 모서리에 부재 면과 일정 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형강재(1) 및 이웃하는 형강재(1)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강재(1)에 결합되는 것으로 단면이 ㄱ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레그(21)가 형강재(1)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바(2)로 구성되는 선조립 철골 조립체에 경량 영구거푸집(3)을 결합하기 위한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부재의 외측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31) 및 상기 평판부(31)의 내측에 부재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부(321)의 내측 단부에 일측 또는 양측으로 확대부(322)가 돌출 형성되는 돌기부(32)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2)의 타측 레그(22)에는 상기 확대부(322)가 삽입되어 걸리는 ㄱ자형의 걸림공(22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의 일측 단부에는 돌기부(32)의 확대부(322)가 외측으로 절곡된 제1결합돌기부(32a)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돌기부(32)의 확대부(322)가 내측으로 절곡된 제2결합돌기부(32b)가 형성되어, 부재의 모서리에서 일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제1결합돌기부(32a)가 인접하는 타측 경량 영구거푸집(3')의 제2결합돌기부(32b')와 상호 결합되되, 상기 제2결합돌기부(32b')의 확대부(322b')는 제1결합돌기부(32a)의 연결부(321a)에 밀착되고, 상기 제1결합돌기부(32a)의 확대부(322a)에는 일부가 절취되어 제2결합돌기부(32b')의 확대부(322b')를 감싸 걸리도록 일정 각도로 절곡되는 걸림부(3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3. 제1항에서,
    상기 형강재(1)는 ㄱ형강으로 각 레그가 부재의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지지바(2)의 단부에는 일측 레그(21)가 부재의 내측으로 수직 절곡된 결합부(211)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부(211)가 형강재(1)의 레그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4. 제1항에서,
    상기 걸림공(221)의 일측에는 절개된 타측 레그(22)가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되어 형성된 보강부(2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5. 제1항에서,
    상기 지지바(2)의 타측 레그(22) 단부에는 상부 또는 하부로 수직 절곡 형성된 플랜지부(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6. 제1항에서,
    상기 부재는 슬래브의 하부를 지지하는 보 부재로, 측면의 지지바(2') 상단 외측에는 ㄱ형강으로 형성되어 일측 레그 상부에 데크플레이트(6)가 거치될 수 있도록 데크받침용 앵글(4)이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7. 제6항에서,
    상기 측면의 지지바(2') 상단의 타측 레그(22)에는 ㄱ형강인 고정용 앵글(5)의 일측 레그가 밀착되어 결합되고, 상기 고정용 앵글(5)의 타측 레그는 데크받침용 앵글(4)의 타측 레그에 밀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KR1020170133459A 2017-10-13 2017-10-13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KR2019004178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459A KR20190041785A (ko) 2017-10-13 2017-10-13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PCT/KR2018/011931 WO2019074283A1 (ko) 2017-10-13 2018-10-11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459A KR20190041785A (ko) 2017-10-13 2017-10-13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785A true KR20190041785A (ko) 2019-04-23

Family

ID=66101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459A KR20190041785A (ko) 2017-10-13 2017-10-13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90041785A (ko)
WO (1) WO2019074283A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1144A1 (ko) * 2019-06-14 2020-12-17 (주)센벡스 선조립 벽체
WO2021025309A1 (ko) * 2019-08-05 2021-02-11 이승우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KR20210062482A (ko) * 2019-11-21 2021-05-31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측면 및 하부강판을 고정철물과 연결강봉을 이용하여 일체화시키는 강판 거푸집 보
KR102261093B1 (ko) * 2019-12-04 2021-06-04 (주)센벡스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선조립 철근 조립체 및 이의 제작 방법
KR102277223B1 (ko) * 2020-12-11 2021-07-14 주식회사 폼웍스 강판-콘크리트 복합보 구조
KR20210093544A (ko) * 2020-01-20 2021-07-28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측면, 하부 및 코너강판과 고정철물을 이용하여 일체화시키는 강판 거푸집 보
KR102284778B1 (ko) * 2021-02-01 2021-08-02 주식회사 한화건설 와이드 경량 pc 거더
WO2022164128A1 (ko) * 2021-02-01 2022-08-04 (주)센벡스 단부 매립형 거더 접합 구조를 갖는 합성 프레임
CN115126230A (zh) * 2022-09-01 2022-09-30 中铁九局集团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浇筑施工用模壳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9302B1 (ko) 2019-05-13 2019-10-07 (주)센벡스 강합성 콘크리트 부재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EP4022151A4 (en) * 2019-08-28 2023-09-06 Form 700 Pty Ltd IMPROVEMENTS TO COLUMN FORMWORK
CN113049328B (zh) * 2021-03-11 2023-03-31 华东交通大学 制备不同沉积角度砂土试样的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908U (ko) * 2008-01-31 2009-08-05 주식회사 아이앤티강업 콘크리트 기둥용 철제 거푸집
KR20140090816A (ko) * 2013-01-10 2014-07-18 황기수 조립식 보 거푸집.
KR101415699B1 (ko) * 2013-03-13 2014-07-04 (주)센벡스 기둥용 거푸집
KR101381858B1 (ko) * 2013-04-02 2014-04-04 이창남 시트 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및 보
KR101618798B1 (ko) * 2015-08-25 2016-05-09 (주)센벡스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51144A1 (ko) * 2019-06-14 2020-12-17 (주)센벡스 선조립 벽체
KR20200143069A (ko) * 2019-06-14 2020-12-23 (주)센벡스 선조립 벽체
WO2021025309A1 (ko) * 2019-08-05 2021-02-11 이승우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KR20210016758A (ko) * 2019-08-05 2021-02-17 이승우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KR20210062482A (ko) * 2019-11-21 2021-05-31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측면 및 하부강판을 고정철물과 연결강봉을 이용하여 일체화시키는 강판 거푸집 보
KR102261093B1 (ko) * 2019-12-04 2021-06-04 (주)센벡스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선조립 철근 조립체 및 이의 제작 방법
KR20210093544A (ko) * 2020-01-20 2021-07-28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측면, 하부 및 코너강판과 고정철물을 이용하여 일체화시키는 강판 거푸집 보
KR102277223B1 (ko) * 2020-12-11 2021-07-14 주식회사 폼웍스 강판-콘크리트 복합보 구조
KR102284778B1 (ko) * 2021-02-01 2021-08-02 주식회사 한화건설 와이드 경량 pc 거더
WO2022164128A1 (ko) * 2021-02-01 2022-08-04 (주)센벡스 단부 매립형 거더 접합 구조를 갖는 합성 프레임
KR20220111082A (ko) * 2021-02-01 2022-08-09 (주)센벡스 단부 매립형 거더 접합 구조를 갖는 합성 프레임
CN115126230A (zh) * 2022-09-01 2022-09-30 中铁九局集团第一建设有限公司 一种浇筑施工用模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74283A1 (ko) 2019-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1785A (ko)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KR101490748B1 (ko) 골데크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FI112969B (fi) Rakennuksen runko
KR101490808B1 (ko) 거푸집 탈부착형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선조립 골조
KR102029302B1 (ko) 강합성 콘크리트 부재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2011412B1 (ko) 매립철근의 일체화를 위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
KR101618798B1 (ko)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KR101766806B1 (ko) Pc기둥에 설치된 임시브래킷을 활용한 pc기둥 및 pc보의 강접합 결합구조, 이를 이용한 모듈러 시스템
KR102054364B1 (ko) 측판 분할형 선조립 경량 거푸집
KR20090003307U (ko) 걸이형 슬라브 거푸집
JP565665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
KR102460363B1 (ko) 거푸집 고정용 십자조인트
KR101427208B1 (ko) 모듈러 거푸집이 구비된 선조립 골조
KR101915567B1 (ko)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KR101038756B1 (ko) 건축용 패널유닛 및 이를 이용한 보거푸집시스템
KR101785723B1 (ko)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2236827B1 (ko)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KR100942693B1 (ko) 건축구조물 시공을 위한 강재 거푸집 고정 및 보강구조
KR200486761Y1 (ko)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
KR102007937B1 (ko) 영구거푸집 패널이 구비된 선조립 철골조립체
KR100540185B1 (ko) 건축물 외장벽체 지지용 프레임유니트
KR101951095B1 (ko) 학교 건축물 창호 개구부를 활용한 내진보강공법
KR200405361Y1 (ko) 슬라이딩 엔드 패널
KR20160116274A (ko) 조립형강과 데크 플레이트를 활용한 일체화 구조를 갖는 수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