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16758A -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 Google Patents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16758A
KR20210016758A KR1020190094933A KR20190094933A KR20210016758A KR 20210016758 A KR20210016758 A KR 20210016758A KR 1020190094933 A KR1020190094933 A KR 1020190094933A KR 20190094933 A KR20190094933 A KR 20190094933A KR 20210016758 A KR20210016758 A KR 20210016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corner
column
steel
lightweight perma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4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6827B1 (ko
Inventor
이승우
이승환
Original Assignee
이승우
이승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승우, 이승환 filed Critical 이승우
Priority to KR1020190094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6827B1/ko
Priority to SG10201913760PA priority patent/SG10201913760PA/en
Priority to PCT/KR2020/009106 priority patent/WO2021025309A1/ko
Publication of KR20210016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67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6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6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6Columns; Pillars; Struts of materials not covered by groups E04C3/32 or E04C3/34; of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조립 철골 조립체의 형강재를 연결하는 지지바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거푸집을 선조립 철골 조립체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형강재, 이웃하는 형강재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바 및 각 기둥면에서 지지바의 하부플랜지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으로 구성되되,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은 기둥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 상기 평판부의 내측면에 기둥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ㄱ자형 단면의 돌기부, 상기 평판부의 일측 단부에 이웃하는 기둥면 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코너절곡부 및 상기 코너절곡부의 단부 내측에 부재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기둥면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최외곽에 위치한 돌기부와 겹쳐지도록 ㄱ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외측 돌기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하부플랜지에는 입구가 상기 돌기부의 폭보다 넓은 ㄱ자형의 걸림공이 형성되어,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의 돌기부가 걸림공의 전면에서 삽입되어 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걸림공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Prefabricated steel assembly for steel composite concrete column with permanent concrete form}
본 발명은 선조립 철골 조립체의 형강재를 연결하는 지지바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거푸집을 선조립 철골 조립체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에 대한 것이다.
거푸집은 콘크리트가 일정 강도로 양생될 때까지의 짧은 기간에 유동성을 가진 콘크리트를 소정의 형태 및 치수로 형성하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철근콘크리트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등 콘크리트 구조에서는 거푸집 공사가 필수적이다.
이러한 거푸집은 기본적으로 콘크리트 면을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 패널과 거푸집 패널을 지지하여 강성을 유지하는 지지프레임으로 구성되고, 거푸집 공사시에는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가설 동바리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거푸집 공정은 자재가 과다하게 소요될 뿐만 아니라 거푸집이나 동바리의 조립 및 해체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된다.
특히, 부재 단면 크기가 3m 내외 또는 그 이상인 초대형 기둥은 양중의 한계로 PC 부재 사용이 불가능하여 RC 공법이 불가피한데, 이러한 가설 자재의 설치 및 해제 작업이 고공에서 이루어지므로 작업자 안전사고의 발생 가능성이 크고, 많은 가설재가 필요하여 공사비 증가 요인이 된다.
또한, 종래 거푸집 공사는 거푸집 해체를 위해 거푸집 패널 면에 박리제를 도포하게 되는데, 이러한 박리제는 환경 오염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뿐만 아니라 거푸집 해체 후 별도로 콘크리트 면 처리 작업을 해야 하여 불편하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은 이러한 종래 거푸집 공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선조립 기둥 골조에 골데크거푸집을 부착한 골데크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에 대한 것이다(특허 제10-1490748호). 상기 등록 기술은 거푸집을 강성이 큰 수평지지부재에 직결나사 등으로 체결하여 선조립 골조에 결합한 것으로 별도의 가설 동바리가 필요 없고, 거푸집 패널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거푸집 결합을 위해 수평지지부재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야 하고, 직결나사를 하나하나 체결하여야 하므로 거푸집 부착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직결나사 부위를 통해 콘크리트 페이스트가 외부로 누출될 우려가 있다.
도 2에 도시된 또 다른 종래 기술은 거푸집을 하부에서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선조립 골조에 결합시키는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특허 제10-1618798호). 상기 등록 기술은 고정바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거푸집을 쉽게 결합할 수 있고, 직결나사가 없어 거푸집 설치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거푸집을 하부에서 상부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결합시키므로, 부재 최하부에 거푸집 시공을 위한 여유 공간이 필요하다. 이에 하부를 별도의 거푸집으로 마무리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수평지지부재인 제1고정바의 위치와 거푸집에 결합된 제2고정바의 위치가 정확히 일치하여야 하므로, 부재 제작의 정밀성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조립 철골 조립체의 형강재를 연결하는 지지바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거푸집을 선조립 철골 조립체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다각형의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기 위해 기둥 모서리에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기둥의 각 모서리에 기둥면에서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형강재, 이웃하는 형강재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강재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ㄱ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웨브가 형강재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바 및 각 기둥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의 하부플랜지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으로 구성되되,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은 기둥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 상기 평판부의 내측면에 기둥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ㄱ자형 단면의 돌기부, 상기 평판부의 일측 단부에 이웃하는 기둥면 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코너절곡부 및 상기 코너절곡부의 단부 내측에 부재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기둥면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최외곽에 위치한 돌기부와 겹쳐지도록 ㄱ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외측 돌기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의 하부플랜지에는 입구가 상기 돌기부의 폭보다 넓은 ㄱ자형의 걸림공이 형성되어,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의 돌기부가 걸림공의 전면에서 삽입되어 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걸림공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지지바의 하부플랜지의 코너절곡부 측 일단에는 돌기부의 내측에 삽입되어 돌기부가 지지되는 지지연장부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코너절곡부의 내측에는 코너스티프너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코너스티프너의 돌기부 측 단부에는 돌기부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제1연장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 돌기부 측 단부에는 외측 돌기부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제2연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코너스티프너가 코너절곡부와 만나는 측단에는 수직 절곡되어 코너절곡부 면에 지지되는 지지날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마주보는 모서리에 위치하는 형강재는 브레이싱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형강재와 지지바 및 경량 영구거푸집을 결합하여 선조립 철골 조립체를 미리 조립 가능하므로, 거푸집의 시공 및 해체에 걸리는 시간 및 이에 소요되는 공사비를 크게 줄일 수 있다.
둘째, 경량 영구거푸집이 기둥 내부의 지지바를 통해 형강재에 지지되므로, 거푸집 지지를 위한 별도의 가설 동바리가 필요 없다. 이에 따라 기존 건물 또는 대지 사용 중 추가로 대형 기둥의 시공이 필요한 경우 사용성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셋째, 내부의 지지바가 거푸집의 지지프레임 역할을 하므로 거푸집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기존 거푸집에 비해 경량으로 작업자 취급이 용이하다.
넷째, 기둥 전면에서 선조립 철골 조립체를 구성하는 지지바의 걸림공에 경량 영구거푸집 내측에 기둥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돌기부를 삽입한 후 기둥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경량 영구거푸집을 지지바의 걸림공에 결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지지바의 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거푸집을 선조립 철골 조립체에 신속하고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아울러 기둥 단부에 경량 영구거푸집 삽입을 위한 여유 공간이 불필요하다.
다섯째, 기둥 코너 부위에서 기둥면의 경량 영구거푸집에 코너절곡부를 일체로 연장 형성하고,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과의 접합부를 기둥면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코너 부위 측압에 안정적으로 저항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골데크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의 사시도
도 2는 종래 상부로 이동시켜 선조립 골조에 결합되는 거푸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지지바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지지바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과정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기둥 모서리에서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기둥의 각 면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순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코너스티프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코너스티프너가 결합된 경량 영구거푸집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코너스티프너가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브레이싱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5는 지지바의 상세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지지바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과정을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7은 기둥 모서리에서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는 다각형의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기 위해 기둥 모서리에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기둥의 각 모서리에 기둥면에서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형강재(1), 이웃하는 형강재(1)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강재(1)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ㄱ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웨브(21)가 형강재(1)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바(2) 및 각 기둥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2)의 하부플랜지(22)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3)으로 구성되되,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기둥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31), 상기 평판부(31)의 내측면에 기둥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ㄱ자형 단면의 돌기부(32), 상기 평판부(31)의 일측 단부에 이웃하는 기둥면 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코너절곡부(33) 및 상기 코너절곡부(33)의 단부 내측에 부재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기둥면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3')의 최외곽에 위치한 돌기부(32')와 겹쳐지도록 ㄱ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외측 돌기부(34)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2)의 하부플랜지(22)에는 입구가 상기 돌기부(32)의 폭보다 넓은 ㄱ자형의 걸림공(221)이 형성되어,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의 돌기부(32)가 걸림공(221)의 전면에서 삽입되어 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걸림공(221)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선조립 철골 조립체는 다각형의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미리 공장 등에서 제작 가능하다.
상기 선조립 철골 조립체는 복수의 형강재(1), 지지바(2) 및 경량 영구거푸집(3)으로 구성된다.
상기 형강재(1)는 기둥 모서리에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기둥의 각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형강재(1)는 기둥면에서 일정 간격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상기 형강재(1)의 배치에 따라 원형에 가까운 기둥 단면도 구현 가능하다.
사각 기둥의 경우, ㄱ자형 단면의 형강재(1)를 사용 가능하다.
팔각 기둥 등과 같이 기둥 모서리가 둔각인 경우, 형강재(1)의 휨 강성이 부족할 수 있으므로 형강재(1)의 양측을 내측으로 추가 절곡하여 단면계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바(2)는 이웃하는 형강재(1)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강재(1)의 외측면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바(2)는 웨브(21)와 하부플랜지(22)로 구성되는 ㄱ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바(2)의 웨브(21)는 리벳, 볼트, 용접 등의 방법으로 형강재(1)에 고정 결합 가능하다.
상기 지지바(2)의 하부플랜지(22)는 부재 외측을 향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지지바(2)는 경량 영구거푸집(3)이 직접 결합되는 부분으로,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 배치 가능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지지바(2)는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Z형강을 사용할 수 있으며, ㄷ형강 등의 형강재 또는 경량 철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형강재(1)와 지지바(2)가 만나는 부분에서는 형강재(1)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지지바(2)의 상부플랜지(23) 단부를 일부 절취할 수 있다(도 5).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각 기둥면에 구비된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지지바(2)의 하부플랜지(22) 외측 단부에 결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기둥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31), 상기 평판부(31)의 내측면에 기둥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ㄱ자형 단면의 돌기부(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상기 평판부(31)의 일측 단부에 이웃하는 기둥면 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코너절곡부(33) 및 상기 코너절곡부(33)의 단부 내측에 부재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기둥면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3')의 최외곽에 위치한 돌기부(32')와 겹쳐지도록 ㄱ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외측 돌기부(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지지바(2)의 하부플랜지(22)에는 입구가 상기 돌기부(32)의 폭보다 넓은 ㄱ자형의 걸림공(221)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공(221)은 경량 영구거푸집(3)의 돌기부(32)가 삽입되어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공(221)은 지지바(2)의 길이 방향, 즉 기둥의 너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32)도 지지바(2)의 하부플랜지(22)에 형성된 걸림공(221)과 같이 기둥의 너비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32)에 의하여 단면의 I값 증가로 강성이 증가하므로, 경량 영구거푸집(3)은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에 대한 우수한 저항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돌기부(32)는 콘크리트 타설 후 콘크리트 내에 묻혀 콘크리트와 일체화된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의 돌기부(32)가 걸림공(221)의 전면에서 삽입되어 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걸림공(221)에 걸림으로써, 경량 영구거푸집(3)이 지지바(2)에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타설시에는 기둥 코너 부위에서 콘크리트 측압이 집중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기둥의 코너 부위에서 경량 영구거푸집(3)에 평판부(31)와 일체로 코너절곡부(33)를 연장 형성하고,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3')과의 접합부를 기둥면 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코너 부위 측압에 안정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외측 돌기부(34)는 ㄱ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이웃하는 기둥면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3')의 타측 최외곽 돌기부(32')와 겹쳐진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 돌기부(34)의 이웃하는 기둥면에 결합된 경량 영구거푸집(3')의 타측 최외곽 돌기부(32')가 만나는 부위의 외측에는 설계된 용접 길이에 따라 플레어 용접(W)으로 이들을 서로 고정할 수 있다. 이로써, 콘크리트 타설압에 대해 기둥의 폭 방향으로 접합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 가능하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하나의 평판을 절곡하여 평판부(31), 돌기부(32), 코너절곡부(33) 및 외측 돌기부(34)를 일체로 형성 가능하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형강재(1)에 결합된 지지바(2)에 사전 부착할 수 있으며, 현장 부착도 가능하다.
기둥의 폭이 큰 경우에는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을 분할하고, 한 면에 여러 매의 경량 영구거푸집(3)을 결합할 수 있다.
도 6의 (a) 내지 (b)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공(221)의 입구는 돌기부(3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돌기부(32)는 지지바(2)의 전면에서 직접 삽입 가능하여, 경량 영구거푸집(3)을 기둥 전면에서 직접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돌기부(32)가 걸림공(221)에 삽입되도록 경량 영구거푸집(3)을 지지바(2)의 전면에 밀착시킨 후, 경량 영구거푸집(3)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돌기부(32)가 걸림공(221)의 내측에 쉽게 걸리게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평판부(31)에서 연장 형성된 코너절곡부(33)에 의해 기둥의 코너가 형성되고, 코너절곡부(33)의 단부에 형성된 외측 돌기부(34)는 이웃하는 기둥면에 결합된 경량 영구거푸집(3')의 타측 최외곽 돌기부(3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서로 겹쳐진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설치 후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바(2)와 경량 영구거푸집(3)은 1매당 1개소 이상 점 용접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기둥 전면에서 경량 영구거푸집(3)을 걸림공(221)에 삽입한 후 기둥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경량 영구거푸집(3)이 걸림공(221)에 걸리도록 결합한다. 그러므로 기둥 단부에 경량 영구거푸집(3) 삽입을 위한 여유 공간이 불필요하고, 기둥의 전 구간에 ㄱ자형 돌기부(32)가 형성된 경량 영구거푸집(3)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이 기둥 내부의 지지바(2)를 통해 형강재(1)에 지지되므로, 거푸집 지지를 위한 별도의 가설 동바리가 필요 없다. 이에 따라 기존 건물 또는 대지 사용 중 추가로 대형 기둥의 시공이 필요한 경우 사용성에 지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내부의 지지바(2)가 거푸집의 지지프레임 역할을 하므로 거푸집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기존 거푸집에 비해 경량으로 작업자 취급이 용이하다.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2)의 하부플랜지(22)의 코너절곡부(33) 측 일단에는 돌기부(32)의 내측에 삽입되어 돌기부(32)가 지지되는 지지연장부(24)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2)의 하부플랜지(22) 단부에 연장 형성된 지지연장부(24)가 경량 영구거푸집(3)의 돌기부(32) 내측에 삽입되어 지지되면, 기둥의 코너 부위에서 콘크리트 측압에 의해 경량 영구거푸집(3)이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기둥의 각 면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순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기둥의 각 면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3)의 결합 순서를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8의 (a)와 같이, 상기 지지바(2)의 하부플랜지(22)에는 단부에 ㄱ자형의 걸림공(221)이 형성되므로, 경량 영구거푸집(3)을 기둥 일면의 지지바(2) 측에 밀착시켜 지지바(2)의 전면에서 걸림공(221)에 경량 영구거푸집(3)의 돌기부(32)를 삽입한다.
그리고 경량 영구거푸집(3)을 기둥의 폭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걸림공(221) 내측에 돌기부(32)가 걸리도록 설치한다.
다음으로, 도 8의 (a)와 같은 순서로 상기 기둥 일면에 이웃하는 다른 면의 경량 영구거푸집(3)을 설치한다(도 8의 (b)).
이때, 경량 영구거푸집(3) 단부의 코너절곡부(33)에 형성된 외측 돌기부(34)가 이웃하는 기둥면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3')의 타측 최외곽 돌기부(32')와 겹쳐지도록 배치한다.
그러면 경량 영구거푸집(3)을 수평 슬라이딩 이동할 때 기둥 코너부에서 간섭 없이 코너부를 마무리할 수 있다.
이후, 기둥의 다른 면들의 경량 영구거푸집(3)을 순차적으로 결합함으로써 거푸집 시공을 완료한다.
도 9는 코너스티프너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코너스티프너가 결합된 경량 영구거푸집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11은 코너스티프너가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너절곡부(33)의 내측에는 코너스티프너(4)가 결합될 수 있다.
기둥의 규모가 크거나 콘크리트 1회 타설 높이가 높은 경우, 기둥 코너 부위에는 측압이 크게 작용한다.
코너 부위에서 이러한 큰 측압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코너절곡부(33)의 내측에 코너스티프너(4)를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코너스티프너(4)는 기둥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를 이격되게 구비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1회 타설 높이에 따라 설치 간격을 결정 가능하다.
한편, 콘크리트 타설시 코너스티프너(4)의 하부에 공기가 갇혀 콘크리트가 밀실하게 타설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코너스티프너(4)에는 에어홀(4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너스티프너(4)의 돌기부(32) 측 단부에는 돌기부(32)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제1연장부(42)가 구비되고, 외측 돌기부(34) 측 단부에는 외측 돌기부(34)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제2연장부(4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부(42)는 ㄱ자형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어 돌기부(32)를 감싸 돌기부(32) 면에 용접(W)에 의해 고정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1연장부(42)가 돌기부(32)를 감싸도록 구성되므로, 점 용접만으로도 코너스티프너(4)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부(43)는 외측 돌기부(34)의 내측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구성 가능하다.
상기 제2연장부(43)는 콘크리트 타설시 코너절곡부(33)가 측압에 의해 외부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웃하는 기둥면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3')의 최외곽에 위치한 돌기부(32')는 코너스티프너(4)의 제2연장부(43)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는 외측 돌기부(34)에 걸려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즉, 경량 영구거푸집(3)의 일단은 코너스티프너(4)에 의해 지지되고, 타단은 최외곽 돌기부(32)가 이웃하는 기둥면의 경량 영구거푸집(3') 단부에 걸려 양단 모두 견고하게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코너스티프너(4)에 의해 코너절곡부(33)가 보강되므로, 기둥 모서리 부위에서 경량 영구거푸집(3)을 상호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코너 비드나 클립 없이도 견고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코너스티프너(4)가 코너절곡부(33)와 만나는 측단에는 수직 절곡되어 코너절곡부(33) 면에 지지되는 지지날개부(4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너스티프너(4)를 코너절곡부(33) 내에 삽입하여 용접 고정할 때, 코너절곡부(33) 내에서 코너스티프너(4)의 위치를 고정하고 코너스티프너(4)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날개부(44)를 절곡 형성 가능하다.
상기 지지날개부(44)는 코너절곡부(33)와 접하는 두 단부에 모두 형성함으로써, 이방향으로 지지날개부(44)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날개부(44)에 의해 이방향으로 지지되어 코너스티프너(4)의 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므로, 코너스티프너(4)의 용접 작업이 용이하다.
도 12는 브레이싱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모서리에 위치하는 형강재(1)는 브레이싱재(5)에 의해 상호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기둥 단면이 대형인 경우에는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에 의해 형강재(1)에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변형을 방지하기 위하여 마주보는 형강재(1)를 브레이싱재(5)로 상호 연결하여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브레이싱재(5)를 연결하기 위해 형강재(1)의 내측에는 연결플레이트(51)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결플레이트(51)에 브레이싱재(5)의 단부를 볼트 결합하여 고정 가능하다.
상기 브레이싱재(5)는 콘크리트 타설시 측압에 의한 형강재(1)의 변형 발생을 방지할 뿐 아니라 수직 하중에 의한 형강재(1)의 좌굴 또한 방지 가능하다.
1: 형강재 2: 지지바
21: 웨브 22: 하부플랜지
221: 걸림공 23: 상부플랜지
24: 지지연장부 3: 경량 영구거푸집
31: 평판부 32: 돌기부
33: 코너절곡부 34: 외측 돌기부
4: 코너스티프너 41: 에어홀
42: 제1연장부 43: 제2연장부
44: 지지날개부 5: 브레이싱재
51: 연결플레이트 W: 용접

Claims (6)

  1. 다각형의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을 형성하기 위해 기둥 모서리에 대응되는 형상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기둥의 각 모서리에 기둥면에서 내부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복수의 형강재(1), 이웃하는 형강재(1)를 상호 연결하도록 형강재(1)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ㄱ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웨브(21)가 형강재(1)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바(2) 및 각 기둥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2)의 하부플랜지(22) 외측 단부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3)으로 구성되되,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은 기둥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31), 상기 평판부(31)의 내측면에 기둥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ㄱ자형 단면의 돌기부(32), 상기 평판부(31)의 일측 단부에 이웃하는 기둥면 측으로 절곡 형성되는 코너절곡부(33) 및 상기 코너절곡부(33)의 단부 내측에 부재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기둥면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3')의 최외곽에 위치한 돌기부(32')와 겹쳐지도록 ㄱ자형 단면으로 형성되는 외측 돌기부(34)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바(2)의 하부플랜지(22)에는 입구가 상기 돌기부(32)의 폭보다 넓은 ㄱ자형의 걸림공(221)이 형성되어,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3)의 돌기부(32)가 걸림공(221)의 전면에서 삽입되어 측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걸림공(221)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2. 제1항에서,
    상기 지지바(2)의 하부플랜지(22)의 코너절곡부(33) 측 일단에는 돌기부(32)의 내측에 삽입되어 돌기부(32)가 지지되는 지지연장부(24)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3. 제1항에서,
    상기 코너절곡부(33)의 내측에는 코너스티프너(4)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4. 제3항에서,
    상기 코너스티프너(4)의 돌기부(32) 측 단부에는 돌기부(32)를 감싸도록 연장되는 제1연장부(42)가 구비되고, 상기 외측 돌기부(34) 측 단부에는 외측 돌기부(34)의 내측에 삽입되도록 연장되는 제2연장부(4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5. 제3항에서,
    상기 코너스티프너(4)가 코너절곡부(33)와 만나는 측단에는 수직 절곡되어 코너절곡부(33) 면에 지지되는 지지날개부(4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6. 제1항에서,
    마주보는 모서리에 위치하는 형강재(1)는 브레이싱재(5)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KR1020190094933A 2019-08-05 2019-08-05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KR102236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933A KR102236827B1 (ko) 2019-08-05 2019-08-05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SG10201913760PA SG10201913760PA (en) 2019-08-05 2019-12-30 Prefabricated steel assembly for steel concrete composite column with permanent form
PCT/KR2020/009106 WO2021025309A1 (ko) 2019-08-05 2020-07-10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4933A KR102236827B1 (ko) 2019-08-05 2019-08-05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6758A true KR20210016758A (ko) 2021-02-17
KR102236827B1 KR102236827B1 (ko) 2021-04-05

Family

ID=745036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4933A KR102236827B1 (ko) 2019-08-05 2019-08-05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36827B1 (ko)
SG (1) SG10201913760PA (ko)
WO (1) WO20210253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85625A (zh) * 2021-07-26 2021-11-02 中铁一局集团(广州)建设工程有限公司 品字型钢筋笼主筋安装导向管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1628A (ko) * 2011-04-27 2012-11-06 (주)동하이엔지 컬럼 구조용 거푸집
KR101584008B1 (ko) * 2014-11-10 2016-01-20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성형강판을 이용한 기둥 영구거푸집
KR20190041785A (ko) * 2017-10-13 2019-04-23 (주)센벡스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8798B1 (ko) * 2015-08-25 2016-05-09 (주)센벡스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US20180298624A1 (en) * 2017-04-17 2018-10-18 Ilmar LAURINDO Assembly of profiles for sustaining, molding and finishing the concrete of slab, beam and colum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21628A (ko) * 2011-04-27 2012-11-06 (주)동하이엔지 컬럼 구조용 거푸집
KR101584008B1 (ko) * 2014-11-10 2016-01-20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성형강판을 이용한 기둥 영구거푸집
KR20190041785A (ko) * 2017-10-13 2019-04-23 (주)센벡스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25309A1 (ko) 2021-02-11
KR102236827B1 (ko) 2021-04-05
SG10201913760PA (en) 202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KR102029302B1 (ko) 강합성 콘크리트 부재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KR101490748B1 (ko) 골데크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KR101523532B1 (ko) 기둥용 폐단면 강재조립체
KR20190041785A (ko)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KR101513055B1 (ko)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선조립 골조
KR101587583B1 (ko) 메가컬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895988B1 (ko) 탈부착 경량거푸집 구조
KR101900310B1 (ko) L형 강재의 모서리가 내향 설치된 선조립 src 기둥 구조체
KR102236827B1 (ko) 경량 영구거푸집이 구비된 강합성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
KR101672991B1 (ko) 철근 콘크리트 기둥용 선조립 구조물
KR101734187B1 (ko) 시공 자립도가 확보되고 패널존이 보강된 철근 선조립 기둥
KR102104382B1 (ko) 철골 보, 합성 기둥, 및 이들의 접합 구조
JP3106881B2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との混合構造
KR20060036595A (ko) 철근콘크리트 골조와 일체거동이 가능하게 결합된강판전단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149128B1 (ko) 앵글형 선조립 기둥
KR101990733B1 (ko) 유로폼을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915567B1 (ko) 선조립 기둥 조립체용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KR102007937B1 (ko) 영구거푸집 패널이 구비된 선조립 철골조립체
KR200486761Y1 (ko)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
KR100685440B1 (ko) 거푸집용 지지구
KR102540266B1 (ko) Cft기둥의 거푸집 선조립형보 접합구조
KR102149129B1 (ko) 앵글형 선조립 기둥
KR102390999B1 (ko) 선조립 대구경 철근 모듈을 이용한 콘크리트 기둥
KR101648071B1 (ko) 슬래브 타설용 데크패널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