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3069A - 선조립 벽체 - Google Patents

선조립 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3069A
KR20200143069A KR1020190070906A KR20190070906A KR20200143069A KR 20200143069 A KR20200143069 A KR 20200143069A KR 1020190070906 A KR1020190070906 A KR 1020190070906A KR 20190070906 A KR20190070906 A KR 20190070906A KR 20200143069 A KR20200143069 A KR 20200143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ed wall
horizontal
lightweight permanent
vertical suppor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0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23855B1 (ko
Inventor
이창남
Original Assignee
(주)센벡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센벡스 filed Critical (주)센벡스
Priority to KR1020190070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855B1/ko
Priority to PCT/KR2020/004049 priority patent/WO2020251144A1/ko
Priority to SG11202112605RA priority patent/SG11202112605RA/en
Publication of KR20200143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3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8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11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 E04B2/8617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at least one form leaf with spacers being embedded in both form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호 이격 배치되는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 사이에 조인트 부재를 설치하여 연결하기만 하면 되어 선조립 벽체 유니트 간 접합부 시공이 매우 단순하고, 경량 영구거푸집의 사전 결합이 용이한 선조립 벽체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선조립 벽체는 장방형의 네 모서리에 배치되는 ㄱ형강인 수직지지부재, 인접하는 수직지지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지지부재 및 상기 수평지지부재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선조립 벽체 유니트가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선조립 벽체에서, 상기 선조립 벽체 유니트는 인접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의 사이 양측면에는 각각 조인트 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조인트 부재는 양단이 각각 양측의 선조립 벽체 유니트의 수직지지부재에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의 수평연결부재 외측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조립 벽체{Prefabricated walls}
본 발명은 상호 이격 배치되는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 사이에 조인트 부재를 설치하여 연결하기만 하면 되어 선조립 벽체 유니트 간 접합부 시공이 매우 단순하고, 경량 영구거푸집의 사전 결합이 용이한 선조립 벽체에 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시 현장 타설 철근콘크리트 공법은 현장에서 철근 배근 및 거푸집 설치 후 콘크리트 타설 공정을 진행하는 것으로, 현장 여건의 영향을 많이 받고 인력 집약적인 특징이 있다. 따라서 공기 단축에 한계가 있고, 품질 관리가 어려운 편이다. 뿐만 아니라 거푸집 설치시 거푸집을 지지하기 위한 가설 공사가 수반되며, 부재 크기가 클 경우 시스템 서포트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공기 및 공사비 증가 요인이 된다.
이에 콘크리트 부재를 미리 공장에서 만들어 현장에서 조립하는 프리캐스트콘크리트 공법(PC 공법)의 적용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러나 PC 공법은 부재 크기가 클 경우 양중 및 운송 부담이 상당한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출원인은 수직지지부재와 수평지지부재, 수직철근과 수평철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를 미리 공장 제작함으로써, 현장 철근 배근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 선조립 벽체 골조 유니트를 개발하였다(등록특허 제10-1490756호). 상기 등록특허에서는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골조 유니트의 수직지지부재를 맞닿게 밀착시킨 후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 등록특허는 단부의 수직지지부재 외측에 앵글과 같은 수평지지부재가 결합되는 경우, 수직지지부재 간 결합이 불가능하다.
또한, 폼 타이에 의해 벽체 양측의 선조립 거푸집이 고정되는데, 타설압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폼 타이 체결 개소가 많아져 선조립 거푸집 설치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영구거푸집 적용에 한계가 있다.
아울러 선조립 벽체 골조 유니트의 일측 단부로 다우얼 철근을 돌출시켜 타측 선조립 벽체 골조 유니트의 선조립 거푸집 내에 삽입되도록 한 선조립 벽체 골조 유니트에 대한 기술을 개발하였다(등록특허 제10-1499811호).
그러나 상기 등록기술은 선조립 벽체 골조 유니트의 측면으로 다우얼 철근이 돌출되므로, 운반 및 제작시 간섭되어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또한, 선조립 거푸집이 수직지지부재에 직접 결합되므로 수직지지부재의 피복 두께 확보가 어렵고, 수직지지부재 간격이 큰 경우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변형 우려가 있다.
또한, 수평이음철근을 수평철근에 임시로 결합하였다가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 설치 완료 후 수평이음철근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결합하도록 한 선조립 벽체 프레임에 대한 기술을 개발하였다(등록특허 제10-1570790호).
그러나 위 종래기술은 매 수평이음철근마다 결속을 해제하여 타측 선조립 벽체 유니트 측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재결속하는 작업이 번거로울 수 있다. 그리고 수직지지부재에 수평이음철근이 결합되므로, 영구거푸집의 사전 부착이 필요한 경우 적용이 어려운 한계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경량 영구거푸집을 사전에 결합하기 용이하고,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 간 접합부 시공이 매우 단순하여 시공성이 우수한 선조립 벽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장방형의 네 모서리에 배치되는 ㄱ형강인 수직지지부재, 인접하는 수직지지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지지부재 및 상기 수평지지부재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선조립 벽체 유니트가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선조립 벽체에서, 상기 선조립 벽체 유니트는 인접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의 사이 양측면에는 각각 조인트 부재가 설치되되, 상기 조인트 부재는 양단이 각각 양측의 선조립 벽체 유니트의 수직지지부재에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연결부재 및 상기 복수의 수평연결부재 외측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은 부재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 및 상기 평판부의 내측면에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열로 돌출 형성되는 ㄱ자형 단면의 돌기부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 및 수평연결부재는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레그가 수직지지부재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 레그에는 입구가 상기 돌기부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어 걸리는 ㄱ자형의 걸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조인트 부재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평판부와 수평연결부재의 일측 레그를 관통하여 선조립 벽체 유니트의 수직지지부재에 체결되는 체결볼트에 의해 선조립 벽체 유니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를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조인트 부재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평판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수평연결부재의 일측 레그에 형성된 체결공 사이에 슬리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 사이에 조인트 부재를 설치하여 연결함으로써,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 간 접합부 시공이 매우 단순한 선조립 벽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조립 벽체 유니트의 단부에서 수직지지부재 외측에 수평지지부재 등이 결합되더라도 상호 간섭 없이 쉽게 시공 가능하다.
둘째, 선조립 벽체 유니트의 수평지지부재와 조인트 부재의 수평연결부재에 각각 경량 영구거푸집을 결합하여 일체로 조립 생산 가능하므로, 경량 영구거푸집의 사전 결합이 용이하다.
셋째, 선조립 벽체 유니트와 조인트 부재의 설치 후 내부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하기만 하면 되므로, 시공이 용이하고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도 1은 선조립 벽체 유니트와 조인트 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조인트 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선조립 벽체 유니트와 조인트 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내측 입면도.
도 4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수평지지부재와 수직지지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수평지지부재 또는 수평연결부재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조인트 부재의 설치 순서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8은 체결볼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선조립 벽체 유니트와 조인트 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조인트 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선조립 벽체 유니트와 조인트 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내측 입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선조립 벽체는 장방형의 네 모서리에 배치되는 ㄱ형강인 수직지지부재(11), 인접하는 수직지지부재(11)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지지부재(12) 및 상기 수평지지부재(12)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13)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가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선조립 벽체(1)에서, 상기 선조립 벽체 유니트(10)는 인접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10')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의 사이 양측면에는 각각 조인트 부재(20)가 설치되되, 상기 조인트 부재(20)는 양단이 각각 양측의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의 수직지지부재(11)에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연결부재(22) 및 상기 복수의 수평연결부재(22) 외측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량 영구거푸집(13)을 사전에 쉽게 결합할 수 있고,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 간 접합부 시공이 매우 단순한 선조립 벽체(1)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선조립 벽체(1)는 복수의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가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상기 선조립 벽체 유니트(10)는 내부에 현장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철골철근콘크리트(SRC) 벽체를 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선조립 벽체(1)는 장방형의 네 모서리에 배치되는 ㄱ형강인 수직지지부재(11), 인접하는 수직지지부재(11)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지지부재(12) 및 상기 수평지지부재(12)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지지부재(11)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10)에서 장방형의 네 모서리에 배치된다.
상기 수직지지부재(11)는 부재 형상에 대응되고, 강성이 강한 ㄱ형강으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부재(12)는 인접하는 수직지지부재(11)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한다.
상기 수평지지부재(12)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10)의 전면 및 후면과 양 측면에서 인접하는 수직지지부재(11)를 상호 연결한다.
상기 선조립 벽체 유니트(10)의 전면 및 후면에 위치되는 수평지지부재(12)는 벽체의 수평철근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지지부재(12)는 수직지지부재(11)인 ㄱ형강의 레그에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 가능하다.
상기 수평지지부재(12)에는 관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공에 수직철근을 관통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부재(12)는 수직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13)은 수평지지부재(12)에 결합된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13)은 박판을 절곡하여 형성 가능한 것으로, 수평지지부재(12)의 외측에 결합 가능하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13)이 선조립 벽체 유니트(10)에 일체로 결합되므로, 현장에서 거푸집 설치 공정을 생략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13)은 강성이 강한 수평지지부재(12)에 의해 수직지지부재(11)에 고정되므로, 거푸집 지지를 위한 별도의 가설 부재가 필요 없다.
또한, 내부의 수평지지부재(12)가 경량 영구거푸집(13)의 지지프레임 역할을 하므로, 거푸집의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본 발명을 이용하는 경우, 벽체를 이루는 철골과 철근 및 거푸집을 선조립한 후, 현장에서는 콘크리트만 타설하면 되기 때문에 공기 단축이 가능하고 부재의 중량이 가벼워 대형 벽체 등의 시공에 유리하다.
상기 선조립 벽체 유니트(10)는 횡방향으로 인접하는 다른 선조립 벽체 유니트(10')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에 따라 선조립 벽체 유니트(10)의 단부에서 수직지지부재(11) 외측에 수평지지부재(12)가 결합되더라도 상호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의 사이 이격된 공간에는 조인트 부재(20)가 설치되어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를 서로 연결한다.
상기 조인트 부재(20)는 양단이 각각 양측의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의 수직지지부재(11)에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연결부재(22) 및 상기 복수의 수평연결부재(22) 외측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23)으로 구성된다.
상기 조인트 부재(20)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10)의 경량 영구거푸집(13)과 동일한 경량 영구거푸집(23)이 전후면에 각각 결합되어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 사이 이격된 공간을 폐쇄한다.
상기 선조립 벽체 유니트(10)의 수평철근에 해당하는 수평지지부재(12)가 연속되어 벽체를 구속할 수 있도록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의 수평지지부재(12, 12')는 조인트 부재(20)의 수평연결부재(22)로 연결 가능하다.
상기 조인트 부재(20)의 수평연결부재(22)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의 수평지지부재(12, 12')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 가능하다.
상기 선조립 벽체 유니트(10)의 수직지지부재(11) 전면에는 좌우로 수평연결부재(22)와 수평지지부재(12)가 결합된다. 상기 수평연결부재(22)와 수평지지부재(12)는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하로 엇갈리게 결합할 수 있다(도 3).
상기 수평연결부재(22)는 수평지지부재(12, 12')를 연속되도록 할 뿐 아니라 조인트 부재(20)의 경량 영구거푸집(23)이 고정되어 경량 영구거푸집(23)을 지지하는 역할도 한다.
상기 수평연결부재(22)와 경량 영구거푸집(23)을 일체화하여 조인트 부재(20)를 구성함으로써, 양측의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 설치 후 사이에 조인트 부재(20)를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기만 하면 간단하게 선조립 벽체(1)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도 4는 경량 영구거푸집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수평지지부재와 수직지지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6은 수평지지부재 또는 수평연결부재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13, 23)은 부재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131, 231) 및 상기 평판부(131, 231)의 내측면에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열로 돌출 형성되는 ㄱ자형 단면의 돌기부(132, 232)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12) 및 수평연결부재(22)는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레그(121, 221)가 수직지지부재(11)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 레그(122, 222)에는 입구가 상기 돌기부(132, 23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132, 232)가 삽입되어 걸리는 ㄱ자형의 걸림공(123, 223)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조립 벽체 유니트(10)의 경량 영구거푸집(13)과 조인트 부재(20)의 경량 영구거푸집(23)은 각각 부재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131, 231) 및 상기 평판부(131, 231)의 내측면에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ㄱ자형 단면의 돌기부(132, 232)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돌기부(132, 232)는 경량 영구거푸집(13, 23)의 양단 및 내측에 복수 열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지지부재(12) 및 수평연결부재(22)는 일측 레그(121, 221)와 타측 레그(122, 222)를 포함하여 ㄱ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일측 레그(121, 221)는 수직지지부재(11)에 고정 결합된다.
상기 타측 레그(122, 222)에는 ㄱ자형의 걸림공(123, 223)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공(123, 223)은 입구의 폭이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13, 23)의 돌기부(132, 232)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132, 232)가 쉽게 삽입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상기 걸림공(123, 223)은 경량 영구거푸집(13, 23)의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부(132, 232)가 삽입되어 걸리는 부분이다.
상기 걸림공(123, 223)에 삽입된 돌기부(132, 232)는 수평 이동하여 걸림공(123, 223) 내측에 걸려 외부로 탈락하지 않는다.
상기 걸림공(123, 223)은 경량 영구거푸집(13, 23)의 돌기부(132, 232) 위치에 대응되도록 수평지지부재(12) 또는 수평연결부재(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조립 벽체 유니트(10)의 경량 영구거푸집(13)은 수직지지부재(11)의 일면에 복수의 수평지지부재(12)가 결합 완료된 상태에서 복수의 수평지지부재(12)에 걸치도록 설치된다.
그런데 경량 영구거푸집(13)의 길이가 긴 경우, 경량 영구거푸집(13)을 수평지지부재(12)의 걸림공(123)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결합시키는 작업이 번거로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걸림공(123)의 입구를 경량 영구거푸집(13)의 돌기부(132) 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돌기부(132)가 수평지지부재(12)의 전면에서 직접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에 따라 경량 영구거푸집(13)을 벽체 전면에서 손쉽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 부재(20)의 경우도 마찬가지로 수평연결부재(22)의 타측 레그(222)에 형성되는 걸림공(223)의 입구를 경량 영구거푸집(23)의 돌기부(232) 폭보다 넓게 형성하여, 돌기부(232)가 수평연결부재(22)의 전면에서 직접 쉽게 삽입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평지지부재(12) 또는 수평연결부재(22)와 경량 영구거푸집(13, 23)의 결합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량 영구거푸집(13, 23)의 돌기부(132, 232)가 수평지지부재(12) 또는 수평연결부재(22)의 걸림공(123, 223)에 삽입되도록 경량 영구거푸집(13, 23)을 수평지지부재(12)의 전면에 밀착시킨다.
이후, 도 6의 (b)와 같이,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13, 23)을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돌기부(132, 232)가 걸림공(123, 223)의 내측에 걸리도록 한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13, 23)의 설치 후 경량 영구거푸집(13, 23)이 벽체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평지지부재(12) 또는 수평연결부재(22)와 경량 영구거푸집(13, 23)은 1매당 1개소 이상 점용접할 수 있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13, 23)은 수평지지부재(12) 또는 수평연결부재(22)의 폭과 동일한 폭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13, 23)은 평판부(131, 231)의 양단에 돌기부(132, 232)를 형성하여 횡방향으로 이웃하는 경량 영구거푸집(13, 23)의 돌기부(132, 232)와 겹쳐지도록 구성 가능하다.
도 7은 조인트 부재의 설치 순서를 도시하는 평면도이고, 도 8은 체결볼트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 부재(20)는 경량 영구거푸집(23)의 평판부(231)와 수평연결부재(22)의 일측 레그(221)를 관통하여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의 수직지지부재(11, 11')에 체결되는 체결볼트(24)에 의해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에 고정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고하여 상기 조인트 부재(20)의 설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의 (a)와 같이, 양측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를 상호 이격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도 7의 (b)와 같이,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 사이에 조인트 부재(20)가 위치하도록 조인트 부재(20)를 결합한다.
이때, 상기 조인트 부재(20)를 구성하는 경량 영구거푸집(23)의 일측 단부에 위치한 돌기부(232)를 일측 선조립 벽체 유니트(10)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13)의 단부에 위치한 돌기부(132) 내측에 밀착시킨 후, 조인트 부재(20)의 타측 단부를 회전시켜 타측 선조립 벽체 유니트(10')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13')의 단부에 위치한 돌기부(132) 외측에 밀착시킨다.
이후, 도 7의 (c)와 같이, 체결볼트(24)에 의해 조인트 부재(20)를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에 고정한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24)는 경량 영구거푸집(23)의 평판부(231)와 수평연결부재(22)의 일측 레그(221)를 관통하여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의 수직지지부재(11, 11')에 체결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 부재(20)는 양측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 사이를 폐쇄하므로, 선조립 벽체(1) 내부에서는 조인트 부재(20)를 수직지지부재(11, 11')에 고정하는 작업이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선조립 벽체(1)의 외부에서 체결볼트(24)에 의해 조인트 부재(20)의 양단을 각각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의 수직지지부재(11, 11')에 고정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24)가 관통되어 체결되는 수직지지부재(11, 11')의 레그 후면에는 고정너트(25)를 용접 등에 의해 사전 고정하여, 작업자가 조인트 부재(20)의 외부에서 체결볼트(24)를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다(도 8).
도 2, 도 7, 도 8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인트 부재(20)는 경량 영구거푸집(23)의 평판부(231)에 형성된 체결공과 수평연결부재(22)의 일측 레그(221)에 형성된 체결공 사이에 슬리브(2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볼트(24) 조임시 과도한 조임력이 가해질 경우 박판인 경량 영구거푸집(23)에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연결부재(22)와 경량 영구거푸집(23) 사이에 슬리브(26)를 구비하여 체결볼트(24)를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6)는 체결볼트(24)의 관통을 위하여 경량 영구거푸집(23)의 평판부(231)에 형성된 체결공과 수평연결부재(22)의 일측 레그(221)에 형성된 체결공 사이에 구비 가능하다.
상기 슬리브(26)는 체결볼트(24) 조임시 수평연결부재(22)의 일측 레그(221)를 가압하여 체결볼트(24)가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슬리브(26)는 수직지지부재(11)와 수평연결부재(22) 사이의 전단마찰력을 증가시켜 수평지지부재(12)의 응력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한다.
상기 슬리브(26)의 양단은 경량 영구거푸집(23)의 평판부(231) 내측과 수평연결부재(22)의 일측 레그(221)에 각각 용접 고정할 수 있다.
1: 선조립 벽체
10: 선조립 벽체 유니트
11: 수직지지부재
12: 수평지지부재
121: 일측 레그
122: 타측 레그
123: 걸림공
13: 경량 영구거푸집
131: 평판부
132: 돌기부
20: 조인트 부재
22: 수평연결부재
221: 일측 레그
222: 타측 레그
223: 걸림공
23: 경량 영구거푸집
231: 평판부
232: 돌기부
24: 체결볼트
25: 고정너트
26: 슬리브

Claims (4)

  1. 장방형의 네 모서리에 배치되는 ㄱ형강인 수직지지부재(11), 인접하는 수직지지부재(11)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지지부재(12) 및 상기 수평지지부재(12)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13)으로 구성되는 복수의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가 횡방향으로 연결되어 구성되는 선조립 벽체(1)에서,
    상기 선조립 벽체 유니트(10)는 인접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10')와 일정 간격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의 사이 양측면에는 각각 조인트 부재(20)가 설치되되,
    상기 조인트 부재(20)는 양단이 각각 양측의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의 수직지지부재(11)에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연결부재(22) 및 상기 복수의 수평연결부재(22) 외측에 결합되는 경량 영구거푸집(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
  2. 제1항에서,
    상기 경량 영구거푸집(13, 23)은 부재의 외면을 형성하기 위한 평판부(131, 231) 및 상기 평판부(131, 231)의 내측면에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 열로 돌출 형성되는 ㄱ자형 단면의 돌기부(132, 232)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지지부재(12) 및 수평연결부재(22)는 ㄱ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 레그(121, 221)가 수직지지부재(11)에 고정 결합되고, 타측 레그(122, 222)에는 입구가 상기 돌기부(132, 232)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어 상기 돌기부(132, 232)가 삽입되어 걸리는 ㄱ자형의 걸림공(123, 22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
  3. 제2항에서,
    상기 조인트 부재(20)는 경량 영구거푸집(23)의 평판부(231)와 수평연결부재(22)의 일측 레그(221)를 관통하여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의 수직지지부재(11, 11')에 체결되는 체결볼트(24)에 의해 선조립 벽체 유니트(10, 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
  4. 제3항에서,
    상기 조인트 부재(20)는 경량 영구거푸집(23)의 평판부(231)에 형성된 체결공과 수평연결부재(22)의 일측 레그(221)에 형성된 체결공 사이에 슬리브(2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
KR1020190070906A 2019-06-14 2019-06-14 선조립 벽체 KR102223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906A KR102223855B1 (ko) 2019-06-14 2019-06-14 선조립 벽체
PCT/KR2020/004049 WO2020251144A1 (ko) 2019-06-14 2020-03-25 선조립 벽체
SG11202112605RA SG11202112605RA (en) 2019-06-14 2020-03-25 Prefabricated wa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0906A KR102223855B1 (ko) 2019-06-14 2019-06-14 선조립 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3069A true KR20200143069A (ko) 2020-12-23
KR102223855B1 KR102223855B1 (ko) 2021-03-05

Family

ID=73781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0906A KR102223855B1 (ko) 2019-06-14 2019-06-14 선조립 벽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23855B1 (ko)
SG (1) SG11202112605RA (ko)
WO (1) WO2020251144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756B1 (ko) * 2013-08-01 2015-02-06 이승우 선조립 벽체 골조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선조립 벽체 골조
KR20180013048A (ko) * 2016-07-28 2018-02-07 (주)센벡스 수처리 시설용 frp 영구거푸집
KR20190041785A (ko) * 2017-10-13 2019-04-23 (주)센벡스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808B1 (ko) * 2013-08-27 2015-02-06 이승우 거푸집 탈부착형 강-콘크리트 합성부재용 선조립 골조
KR101570790B1 (ko) * 2014-08-05 2015-11-23 이승우 선조립 벽체 프레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0756B1 (ko) * 2013-08-01 2015-02-06 이승우 선조립 벽체 골조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선조립 벽체 골조
KR20180013048A (ko) * 2016-07-28 2018-02-07 (주)센벡스 수처리 시설용 frp 영구거푸집
KR20190041785A (ko) * 2017-10-13 2019-04-23 (주)센벡스 강합성콘크리트용 선조립 철골 조립체와 경량 영구거푸집의 결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2112605RA (en) 2021-12-30
KR102223855B1 (ko) 2021-03-05
WO2020251144A1 (ko) 2020-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008B1 (ko) 성형강판을 이용한 기둥 영구거푸집
KR102236828B1 (ko) 선조립 벽체 모듈을 이용한 선조립 벽체의 시공 방법
KR20150005411A (ko) 골데크거푸집 일체형 선조립 기둥
KR20110032687A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부 시공방법
KR20190052390A (ko) V형 띠철근을 이용한 기둥 보강 구조
KR20060098555A (ko) 헤드철근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기둥의 접합부 연결시스템
KR100946940B1 (ko) 강관 기둥과 철근콘크리트 플랫슬래브 간의 전단보강 접합구조
KR20180106292A (ko) 웨브 연결형 강합성콘크리트 기둥-보 접합 구조
KR101618798B1 (ko) 데크거푸집 고정 구조
KR102144476B1 (ko) 모듈형 강판 거푸집
KR101619067B1 (ko) 보구조체의 범용 접합구조를 가진 조립 기둥구조체
KR20100043731A (ko)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JP2000170285A (ja) 鋼板コンクリート構造壁の接合方法および接合部構造
KR102460363B1 (ko) 거푸집 고정용 십자조인트
KR101427208B1 (ko) 모듈러 거푸집이 구비된 선조립 골조
KR102223855B1 (ko) 선조립 벽체
KR101050167B1 (ko) 사전제작형 슬래브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녹-다운형 모듈러 건축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JP6574336B2 (ja)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柱、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
JP4447632B2 (ja) 梁、および梁と柱の接合構造ならびにその接合方法
KR101463106B1 (ko) 건축용 pc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KR101946500B1 (ko) 힌지 결합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KR20200054704A (ko) 선조립 벽체 모듈
KR102465099B1 (ko) 트러스거더가 합성된 보 거푸집 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19286A (ko) 단부다이아프램을 구비한 psc거더 및 이를 이용한 반일체식 교량 시공방법
KR20190046336A (ko) 샌드위치 피씨-월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