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4704A - 선조립 벽체 모듈 - Google Patents

선조립 벽체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4704A
KR20200054704A KR1020180138328A KR20180138328A KR20200054704A KR 20200054704 A KR20200054704 A KR 20200054704A KR 1020180138328 A KR1020180138328 A KR 1020180138328A KR 20180138328 A KR20180138328 A KR 20180138328A KR 20200054704 A KR20200054704 A KR 20200054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module
horizontal
assembled wall
horizontal joint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7086B1 (ko
Inventor
이창남
Original Assignee
(주)센벡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센벡스 filed Critical (주)센벡스
Priority to KR1020180138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7086B1/ko
Priority to PCT/KR2019/014776 priority patent/WO2020101237A1/ko
Publication of KR20200054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70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70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56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 E04B2/58Load-bearing walls of framework or pillarwork; Walls incorporating load-bearing elongated members with elongated members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측 선조립 벽체 모듈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수평이음구가 이웃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 단부에 삽입되어 정착되도록 함으로써 양측 벽체의 이음을 쉽고 확실하게 진행할 수 있고, 현장 철근 배근 작업 및 가설재 시공 공정의 생략으로 공기 단축이 가능한 선조립 벽체 모듈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 선조립 벽체 모듈은 콘크리트 벽체 시공을 위한 것으로, 벽체의 내부에서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주형강재;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주형강재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지지부재; 두께 방향으로 마주보는 주형강재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간격지지부재; 및 상기 선조립 벽체 모듈의 일측 또는 양측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의 측단에 삽입되는 수평이음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선조립 벽체 모듈{Prefabricated wall module}
본 발명은 일측 선조립 벽체 모듈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수평이음구가 이웃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 단부에 삽입되어 정착되도록 함으로써 양측 벽체의 이음을 쉽고 확실하게 진행할 수 있고, 현장 철근 배근 작업 및 가설재 시공 공정의 생략으로 공기 단축이 가능한 선조립 벽체 모듈에 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는 현장에서 철근 배근 작업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순서로 각 구조부재의 시공이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현장에 많은 인력이 투입되어야 하고, 관련 시공에 공기가 많이 소요되며, 품질 확보가 용이하지 않다.
또한, 콘크리트 타설 전 외부 가설재에 의해 거푸집을 지지하여야 하므로, 가설재의 설치 및 해체 공정이 추가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재는 작업자의 통행에 불편을 초래하고, 안전 사고를 야기할 위험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시공에 공장 생산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는 제작 여건이나 양중 또는 운송 부담 등으로 인해 일정 크기 이상으로 제작하기 곤란하므로, 대형 부재의 적용에 한계가 있다.
이에 선조립 벽체 유니트를 미리 공장 제작하여 현장 시공 공정을 단축할 수 있는 선조립 벽체 골조 유니트에 대한 기술이 개발되었다(등록특허 제10-1490756호). 상기 등록기술은 현장 철근 배근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선조립 벽체 골조 유니트 자체에 가설재 없이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어 공기를 크게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등록기술은 수평철근을 수직지지부재의 레그에 용접하고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유니트의 수직지지부재를 볼트 결합하여 상호 연결하므로, 볼트 체결 작업이 번거로운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이음부에서 적절한 철근 이음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는 수평철근과 수직지지부재의 용접 길이가 규정치 이상 확보되어야 한다. 이에 용접 길이 확보를 위해 수직지지부재를 필요 단면 이상으로 과설계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벽체 시공시 현장 철근 배근 작업의 생략과 함께 가설재 없이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어, 벽체의 품질 확보가 용이하고 현장 내 충분한 작업공간 확보로 작업자의 원활한 통행 및 안전사고 예방이 가능한 선조립 벽체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제작이 간편하고,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 간 이음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선조립 벽체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콘크리트 벽체 시공을 위한 선조립 벽체 모듈에 관한 것으로, 벽체의 내부에서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주형강재;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주형강재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지지부재; 두께 방향으로 마주보는 주형강재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간격지지부재; 및 상기 선조립 벽체 모듈의 일측 또는 양측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의 측단에 삽입되는 수평이음구;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수평이음구는 선조립 벽체 모듈의 측단 외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이웃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의 측단에 삽입, 정착되는 정착바 및 일단이 상기 정착바에 결합되어 선조립 벽체 모듈 내측의 간격지지부재에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지지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수평이음구는 폐쇄된 단부가 선조립 벽체 모듈의 측단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U형 정착철근 및 일측면은 복수의 U형 정착철근의 일측에 결합되어 복수의 U형 정착철근을 상호 연결하고, 타측면은 수평지지부재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선조립 벽체 모듈의 외부로 돌출된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U형 정착철근의 일측에는 복수의 U형 정착철근을 상호 연결하는 보조지지바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수평이음구는 양측의 선조립 벽체 모듈에 걸쳐지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이음철근 및 상기 복수의 수평이음철근을 상호 연결하는 수직지지철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을 제공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상기 수평이음구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주형강재, 수평지지부재, 간격지지부재 및 수평이음구로 구성되는 선조립 벽체 모듈을 미리 제작하여 현장 설치하고, 거푸집 시공,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공정을 통하여 철근콘크리트 벽체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따라서 현장 철근 배근 작업의 생략으로 벽체의 품질 확보가 용이하고, 가설재 없이 선조립 벽체 모듈 자체에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어 현장 내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공기 단축이 가능하다.
둘째, 일측 선조립 벽체 모듈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는 수평이음구가 이웃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의 단부에 삽입되므로, 타측 벽체의 콘크리트 내부에 묻혀 정착되는 수평이음구에 의하여 양측 벽체가 이음된다. 그러므로 주형강재의 단면을 필요 이상으로 확대할 필요가 없고,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 간 이음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선조립 벽체 모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제1실시예에 의한 수평이음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조립 벽체 모듈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조립 벽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벽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선조립 벽체 모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6은 제2실시예에 의한 수평이음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선조립 벽체 모듈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선조립 벽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벽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 선조립 벽체 모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0은 제3실시예에 의한 수평이음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선조립 벽체 모듈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선조립 벽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벽체의 시공 순서를 도시하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선조립 벽체 모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1실시예에 의한 수평이음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선조립 벽체 모듈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선조립 벽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벽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선조립 벽체 모듈은 콘크리트 벽체 시공을 위한 선조립 벽체 모듈(1)에 관한 것으로, 벽체의 내부에서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주형강재(11);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주형강재(11)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지지부재(12); 두께 방향으로 마주보는 주형강재(11)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간격지지부재(13); 및 상기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일측 또는 양측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측단에 삽입되는 수평이음구(1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리 제작된 선조립 벽체 모듈(1)을 현장 시공함으로써 현장 철근 배근 작업의 생략으로 벽체의 품질 확보가 용이하고, 가설재 없이 선조립 벽체 모듈(1) 자체에 거푸집을 설치할 수 있어 현장 내 작업공간을 충분히 확보함과 동시에 공기 단축이 가능한 선조립 벽체 모듈(1)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1) 간 이음을 확실하고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선조립 벽체 모듈(1)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 선조립 벽체 모듈(1)은 주형강재(11), 수평지지부재(12), 간격지지부재(13) 및 수평이음구(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주형강재(11)는 벽체의 내부에서 벽체의 양측에 각각 복수 개가 배치된다.
상기 주형강재(11)는 벽체의 길이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주형강재(11)는 다양한 형강재를 이용할 수 있으며, 장방향인 벽체 부재의 형상적 특징상 ㄱ형강을 사용하는 것이 자립 면 등에서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지지부재(12)는 벽체의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주형강재(11)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한다.
상기 수평지지부재(12)는 벽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수평지지부재(12)는 벽체의 수평철근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평철(Flat bar), Z바, ㄱ형강, 철근 등으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간격지지부재(13)는 벽체의 두께 방향으로 마주보는 주형강재(11)를 상호 연결한다.
상기 간격지지부재(13)는 벽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된다.
상기 간격지지부재(13)는 상호 대면하는 벽체 양측의 주형강재(11) 간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평철, Z바, ㄱ형강, 크로스 타이 등으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수평지지부재(12)나 간격지지부재(13)로 평철이나 Z바, ㄱ형강을 사용할 경우, 이들 부재를 주형강재(11)에 볼트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용접 공정 생략으로 안전성 및 균일한 품질 확보가 가능하다.
상기 수평이음구(14)는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일측 또는 양측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측단에 삽입된다.
즉, 상기 수평이음구(14)는 일측 선조립 벽체 모듈(1)의 단부에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의 단부에 삽입된다.
상기 수평이음구(14)는 양측 선조립 벽체 모듈(1, 1')의 설치 후 타설되는 콘크리트(C) 내부에 묻혀 정착됨으로써, 양측 선조립 벽체 모듈(1, 1')을 이음한다.
따라서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1, 1')의 주형강재(11)를 직접 연결하는 것이 아니라 양측 벽체의 콘크리트(C) 내부에 서로 매립되는 수평이음구(14)의 정착에 의해 양측 벽체가 수평 이음된다. 그러므로 주형강재(11)의 단면을 필요 이상으로 확대할 필요가 없다.
상기 수평이음구(14)는 벽체의 두께에 따라 1열 또는 2열로 배치 가능하다.
도 2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이음구(14)는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측단 외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이웃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측단에 삽입, 정착되는 정착바(141) 및 일단이 상기 정착바(141)에 결합되어 선조립 벽체 모듈(1) 내측의 간격지지부재(13)에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지지바(142)로 구성 가능하다.
즉, 상기 수평이음구(14)는 정착바(141)와 수평지지바(142)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정착바(141)는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측단 외부로 돌출되는 것으로, 벽체의 길이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정착바(141)는 이웃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측단에 삽입되는 부분으로,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 시공 후 타측 벽체 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 내에 정착되어 양측 벽체를 수평 이음한다.
상기 수평지지바(142)는 일단이 상기 정착바(141)에 결합되고, 타단은 선조립 벽체 모듈(1) 내측의 간격지지부재(13)에 고정된다.
상기 수평지지바(142)는 벽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수평지지바(142)는 간격지지부재(13)의 상하 간격에 대응되도록 구성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정착바(141)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에 묻혀 인장력을 전달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바(142)는 정착바(141)의 측면에 결합되면서 간격지지부재(13)의 상부 또는 하부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에 상기 정착바(141)와 수평지지바(142)는 각각 앵글 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정착바(141)의 일측 레그는 이웃하는 타측 벽체의 콘크리트(C) 내에 맞물려 인장력을 지지하고, 정착바(141)의 타측 레그는 수평지지바(142)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지지바(142)의 경우, 일단의 일측 레그는 정착바(141)의 타측 레그에 결합하고, 타단의 타측 레그는 간격지지부재(13)에 고정하여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정착바(141)와 수평지지바(142)를 앵글로 구성하는 경우, 정착바(141)와 수평지지바(142)는 볼트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도시된 수평이음구(14)의 실시예는 수평지지바(142)가 아닌 수직 방향의 정착바(141)에 의해 선조립 벽체 모듈(1)의 단부가 정착된다. 그러므로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외부 돌출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 설치시, 일측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수평이음구(14) 외측 단부가 삽입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의 단부는 정착바(141)와 간섭되지 않도록 간격지지부재(13)의 결합 없이 열린 단면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 선조립 벽체 모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제2실시예에 의한 수평이음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선조립 벽체 모듈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8은 도 5에 도시된 선조립 벽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벽체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이음구(14)는 폐쇄된 단부가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측단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U형 정착철근(143) 및 일측면은 복수의 U형 정착철근(143)의 일측에 결합되어 복수의 U형 정착철근(143)을 상호 연결하고, 타측면은 수평지지부재(12)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바(144)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이음구(14)는 U형 정착철근(143) 및 수직지지바(144)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U형 정착철근(143)은 U형이 되도록 철근 등을 180° 절곡하여 형성 가능한 것으로, 폐쇄된 U형 정착철근(143)의 단부가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측단으로 돌출된다.
상기 U형 정착철근(143)은 벽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구비된다.
각 U형 정착철근(143)은 양단이 상하로 위치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세워서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형 정착철근(143)의 폐쇄된 단부가 이웃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설치 후 타설되는 콘크리트(C) 내부에 묻혀 정착됨으로써, 양측 선조립 벽체 모듈(1, 1')을 이음한다.
상기 수직지지바(144)의 일측면은 복수의 U형 정착철근(143)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웃하는 복수의 U형 정착철근(143)을 상호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수직지지바(144)의 타측면은 수평지지부재(12)에 고정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직지지바(144)의 일측면은 U형 정착철근(143)의 외측면에 결합하고, 타측면은 수평지지부재(12)의 내측면에 결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수평이음구(1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선조립 벽체 모듈(1)과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에 각각 서로 반대 방향으로 고정하여, 설치시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수평이음구(14)의 실시예는 외부가 폐쇄된 U형 정착철근(143)에 의해 선조립 벽체 모듈(1)의 단부가 정착된다. 그러므로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외부 돌출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아울러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 설치시, 일측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수평이음구(14) 외측 단부가 삽입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의 단부는 U형 정착철근(143)과 간섭되지 않도록 열린 단면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6,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외부로 돌출된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U형 정착철근(143)의 일측에는 복수의 U형 정착철근(143)을 상호 연결하는 보조지지바(14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보조지지바(145)는 U형 정착철근(143)의 일측에서 복수의 U형 정착철근(143)을 서로 고정한다.
이와 같이, 상기 U형 정착철근(143)의 측면에 수직지지바(144)에 더하여 보조지지바(145)가 구비되면, 운반 또는 양중 중 U형 정착철근(14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수직지지바(144)와 보조지지바(145)는 평면상 상호 일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 설치시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상기 보조지지바(145)는 U형 정착철근(143)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본 발명 선조립 벽체 모듈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3실시예에 의한 수평이음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선조립 벽체 모듈을 도시하는 정면도이고,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선조립 벽체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벽체의 시공 순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이음구(14)는 양측의 선조립 벽체 모듈(1, 1')에 걸쳐지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이음철근(146) 및 상기 복수의 수평이음철근(146)을 상호 연결하는 수직지지철근(147)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수평이음구(14)는 수평이음철근(146)과 수직지지철근(147)으로 구성 가능하다.
상기 수평이음철근(146)은 양측이 각각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1, 1')에 걸쳐지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수평이음철근(146)이 이웃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의 벽체 내부에 정착되어 이웃하는 양측 벽체가 상호 이음된다.
상기 수평이음철근(146)은 이웃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1, 1') 설치 후 양측 벽체에 타설되는 콘크리트(C) 내부에 매립되어 정착된다.
상기 수평이음철근(146)은 양측 벽체 콘크리트(C) 내에 철근 정착길이 이상이 매립되도록 충분한 길이로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수평이음철근(146)은 벽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배치된다.
상기 수직지지철근(147)은 상하로 이웃하는 복수의 수평이음철근(146)을 상호 연결한다.
상기 수직지지철근(147)은 수평이음철근(146)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이음철근(146)은 간격지지부재(13)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직지지철근(147)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게 구성할 수 있다.
특히, 도 10과 같이, 상기 수평이음구(14)를 벽체의 두께 방향으로 상호 이격배치되는 수평이음철근(146)과 각 수평이음철근(146)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수직지지철근(147)으로 구성된 선조립 철근망으로 제작하는 경우, 수평이음구(14)의 제작이 용이하다.
아울러 선조립 벽체 모듈(1) 제작시 선조립 철근망 형태의 수평이음구(14)를 먼저 제작하여 각 선조립 벽체 모듈(1)의 내부에 배치할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제작 및 시공이 용이하다.
상기 수평이음구(14)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평이음철근(146)은 선조립 벽체 모듈(1)의 내부에 별도로 고정하지 않아도 된다.
즉, 상기 수평이음철근(146)은 간격지지부재(13)의 상부에 거치하면 되고 별도로 고정하지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수평이음철근(146)을 간격지지부재(13)의 상부에 거치하여 지지하면, 자중에도 불구하고 수평이음구(14)를 안정적으로 지지시킬 수 있다.
도 12의 (a)와 같이, 상기 수평이음구(14)는 일측 선조립 벽체 모듈(1)의 내부에 수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2의 (b)와 같이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을 설치한 후, 도 12의 (c)와 같이 수평이음구(14)를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 측으로 수평 이동시켜 수평이음철근(146)이 양측 선조립 벽체 모듈(1, 1')에 걸쳐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후 양측 선조립 벽체 모듈(1, 1')의 외측에 거푸집을 대고 콘크리트(C)를 타설 및 양생하여 벽체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도 12의 (d)).
상기 수직지지철근(147)에 의해 복수의 수평이음철근(146)이 일체화되므로, 수평이음구(14) 전체를 동시에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수평이음구(14)는 일측 선조립 벽체 모듈(1') 내부에 수납 가능하므로, 이웃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 설치 작업시 간섭이 없다.
1: 선조립 벽체 모듈
11: 주형강재
12: 수평지지부재
13: 간격지지부재
14: 수평이음구
141: 정착바
142: 수평지지바
143: U형 정착철근
144: 수직지지바
145: 보조지지바
146: 수평이음철근
147: 수직지지철근
C: 콘크리트

Claims (6)

  1. 콘크리트 벽체 시공을 위한 선조립 벽체 모듈(1)에 관한 것으로,
    벽체의 내부에서 양측에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주형강재(11);
    폭 방향으로 이웃하는 주형강재(11)를 수평 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수평지지부재(12);
    두께 방향으로 마주보는 주형강재(11)를 상호 연결하는 복수의 간격지지부재(13); 및
    상기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일측 또는 양측단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웃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측단에 삽입되는 수평이음구(14);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
  2. 제1항에서,
    상기 수평이음구(14)는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측단 외부에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어 이웃하는 타측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측단에 삽입, 정착되는 정착바(141) 및 일단이 상기 정착바(141)에 결합되어 선조립 벽체 모듈(1) 내측의 간격지지부재(13)에 고정되는 복수의 수평지지바(14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
  3. 제1항에서,
    상기 수평이음구(14)는 폐쇄된 단부가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측단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U형 정착철근(143) 및 일측면은 복수의 U형 정착철근(143)의 일측에 결합되어 복수의 U형 정착철근(143)을 상호 연결하고, 타측면은 수평지지부재(12)에 고정되는 수직지지바(14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
  4. 제3항에서,
    상기 선조립 벽체 모듈(1)의 외부로 돌출된 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U형 정착철근(143)의 일측에는 복수의 U형 정착철근(143)을 상호 연결하는 보조지지바(145)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
  5. 제1항에서,
    상기 수평이음구(14)는 양측의 선조립 벽체 모듈(1, 1')에 걸쳐지도록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수평이음철근(146) 및 상기 복수의 수평이음철근(146)을 상호 연결하는 수직지지철근(14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
  6. 제5항에서,
    상기 수평이음구(14)는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조립 벽체 모듈.
KR1020180138328A 2018-11-12 2018-11-12 선조립 벽체 모듈 KR1021870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328A KR102187086B1 (ko) 2018-11-12 2018-11-12 선조립 벽체 모듈
PCT/KR2019/014776 WO2020101237A1 (ko) 2018-11-12 2019-11-04 선조립 벽체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328A KR102187086B1 (ko) 2018-11-12 2018-11-12 선조립 벽체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704A true KR20200054704A (ko) 2020-05-20
KR102187086B1 KR102187086B1 (ko) 2020-12-04

Family

ID=70731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328A KR102187086B1 (ko) 2018-11-12 2018-11-12 선조립 벽체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87086B1 (ko)
WO (1) WO202010123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82122A (zh) * 2020-10-16 2021-01-29 合力建设有限公司 一种住宅的钢结构组合墙
CN113756477A (zh) * 2021-09-10 2021-12-07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断热型预制装配式剪力墙的施工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811B1 (ko) * 2014-01-02 2015-03-10 이승우 선조립 벽체 골조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선조립 벽체의 시공 방법
KR20170013011A (ko) * 2015-07-27 2017-02-06 주식회사 네비엔 더블 월 피씨들의 접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접합구조
KR20170013009A (ko) * 2015-07-27 2017-02-06 주식회사 네비엔 더블 월 피씨들의 접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접합구조, 이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및 우수저류조의 시공방법
JP2017082527A (ja) * 2015-10-29 2017-05-18 大成ユーレック株式会社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7265B2 (ja) * 1991-10-09 1995-11-15 鹿島建設株式会社 地下連続壁の鉄筋カゴ接合工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811B1 (ko) * 2014-01-02 2015-03-10 이승우 선조립 벽체 골조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선조립 벽체의 시공 방법
KR20170013011A (ko) * 2015-07-27 2017-02-06 주식회사 네비엔 더블 월 피씨들의 접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접합구조
KR20170013009A (ko) * 2015-07-27 2017-02-06 주식회사 네비엔 더블 월 피씨들의 접합 시공방법 및 이에 의한 접합구조, 이를 이용한 지하주차장 및 우수저류조의 시공방법
JP2017082527A (ja) * 2015-10-29 2017-05-18 大成ユーレック株式会社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板の接合構造および接合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82122A (zh) * 2020-10-16 2021-01-29 合力建设有限公司 一种住宅的钢结构组合墙
CN113756477A (zh) * 2021-09-10 2021-12-07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断热型预制装配式剪力墙的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101237A1 (ko) 2020-05-22
KR102187086B1 (ko) 2020-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6828B1 (ko) 선조립 벽체 모듈을 이용한 선조립 벽체의 시공 방법
KR101867300B1 (ko)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KR101379305B1 (ko) 프리캐스트 전면벽체 및 프리캐스트 배면벽체를 이용한 벽체구조물 제작방법
KR101071273B1 (ko)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및 이들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KR101182536B1 (ko) 용도와 기능에 맞는 표면재와 구조용 철근을 적용하고 조립식 구조를 갖는 더블월 피씨패널
KR101776129B1 (ko) 슬래브 및 벽체 겸용 조립형 프리캐스트 이중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이중 구조 pc 벽체의 시공 방법
KR100969586B1 (ko) 기초 및 벽체의 크기가 최소화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903628B1 (ko) 내진 성능이 강화된 더블 pc벽체 및 이를 이용한 pc벽체 구조물의 시공방법
JP4318397B2 (ja) 建築構造の建設に使用する建築パネル
KR102011412B1 (ko) 매립철근의 일체화를 위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보와 기둥의 연결공법
KR20110032687A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부 시공방법
KR102263295B1 (ko) 플립 타입 스토퍼가 구비된 더블월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20110067961A (ko) 철근 선조립기둥의 상호 이음방법
KR101587583B1 (ko) 메가컬럼 및 이의 시공방법
KR20200054704A (ko) 선조립 벽체 모듈
KR20100043731A (ko)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KR20140110490A (ko) 선제작된 pc패널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499811B1 (ko) 선조립 벽체 골조 유니트 및 이를 이용한 선조립 벽체의 시공 방법
KR1017350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용 바닥판
KR101427208B1 (ko) 모듈러 거푸집이 구비된 선조립 골조
KR101458435B1 (ko) 안장형 띠철근과 이중 대근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WO2001002657A1 (en) Structure
KR100937252B1 (ko) 프리스트레스 강합성빔 및 그 제작 방법
KR102269141B1 (ko) 지하 흙막이 가시설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합벽 설치공법
JP3999591B2 (ja) 繊維補強セメント系材料によるコンクリート系構造物の制震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