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7300B1 -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7300B1
KR101867300B1 KR1020170110043A KR20170110043A KR101867300B1 KR 101867300 B1 KR101867300 B1 KR 101867300B1 KR 1020170110043 A KR1020170110043 A KR 1020170110043A KR 20170110043 A KR20170110043 A KR 20170110043A KR 101867300 B1 KR101867300 B1 KR 101867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s
precast concrete
fixing
concrete walls
closed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금옥
Original Assignee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10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7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7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7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43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측면에 하나 이상의 연결 철근이 노출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연결 철근을 가로지르며 배치된 정착 철근; 및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사이에 채워져서 상기 연결 철근과 상기 정착 철근을 감싸도록 현장에서 타설된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 철근은 내부에 폐쇄 공간이 형성된 링형상으로서, 일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폐쇄 공간이 정면에서 보이도록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고,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서 서로를 향하여 돌출된 연결 철근은 내부의 폐쇄 공간이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정착 철근은 겹쳐진 폐쇄 공간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며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측면에 노출된 연결 철근이 겹치는 공간에 정착 철근이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배치함으로써, 인접한 벽체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전단력에 대한 대응력은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JOINING STRUCTURE OF PREFABRICATED SHEAR WALL}
본 발명은 전단벽체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현장에 조립하도록 제작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결합하여 조립식 전단벽체를 구성하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은 주요 구조물인 기둥, 보, 슬라브, 벽체 등으로 구성되며, 그중 벽체는 건물주변의 토사, 수압에 의해 발생하는 상하방향의 한 방향으로 전달되는 하중에 대해 저항하는 건물외부 옹벽과 X, Y축 양방향의 수평력(지진하중, 풍하중, 기타 측압 등)을 모두 부담하는 계단실 코어벽체, 내부벽체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하고 있다.
한편, 지진 등과 같은 수평력에 저항하도록 구성된 벽체를 전단벽체(shear wall)라고 하며, 내부벽체는 전단벽체로 구성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전단벽체는 길이방향으로도 강한 전단력을 부담할 수 있도록 많은 양의 수평철근을 배근하여야 하며, 종래에 현장에서 직접 벽체를 타설하여 시공하는 경우에는 철근을 겹침이음으로 연결한 뒤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전단벽체를 시공하였다.
최근 건축물을 이루는 주요 구성요소인 기둥, 보, 슬래브 등을 미리 공장에서 단위 유닛의 형태로 제작하고, 이러한 프리캐스트 유닛을 현장으로 반입하여 단순히 조립만 하거나 일부분을 타설함으로써 건축물을 시공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 공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으나, 전단벽체는 PC 공법을 적용하는 경우에 결합구조에 전단력을 부담하기 위한 구조를 구성하는 문제로 인하여 PC 공법을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전단벽체를 구성하기 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철근 배근 방법으로는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고리형태인 수평루프를 적용(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09086호)하거나 갈고리 모양으로 돌출된 구조를 적용하는 표준 후크 정착철근 이음 방식이 대표적이다.
도 9는 수평루프를 적용한 종래의 벽체 조립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수평루프(1100a, 1100b, 1100c)를 적용하는 경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벽체(1000c)를 수직으로 내려야 하는 공법의 특성상, 바닥 등의 하부구조물(2000)에 미리 매립된 접합부 하부철근(3100)이나 하부고정철근(2100)에 대한 정확한 위치에 벽체(1000c)를 세우는 과정에서 수평루프(1100b, 1100c)들의 위치가 서로 걸릴 수 있기 때문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제작시에 몰딩을 매입하고 조립 후 해당 몰딩제를 제거하면 루프철근이 자동으로 펼쳐지는 고가의 독일 제품인 할펜박스(HALFEN BOX)등 을 적용하여 시공 비용이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표준 후크 정착철근 이음 방식은 접합을 위한 폭이 길어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사이의 간격이 멀어지므로 현장에서 틈막이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해야 하는데, 현장 타설 공정이 어려워지는 단점이 있고, 표준화된 후크 길이를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두께가 좁은 벽체에는 적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009086호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단력에 대한 대응성은 유지하면서 부재연결 접합부의 폭을 최소화시켜 시공이 간편한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는, 측면에 하나 이상의 연결 철근이 노출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연결 철근을 가로지르며 배치된 정착 철근; 및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사이에 채워져서 상기 연결 철근과 상기 정착 철근을 감싸도록 현장에서 타설된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 철근은 내부에 폐쇄 공간이 형성된 링형상으로서, 일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폐쇄 공간이 정면에서 보이도록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고,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서 서로를 향하여 돌출된 연결 철근은 내부의 폐쇄 공간이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정착 철근은 겹쳐진 폐쇄 공간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며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측면에 노출된 연결 철근이 겹치는 공간에 정착 철근이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배치함으로써, 인접한 벽체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전단력에 대한 대응력은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연결 철근은 직선형의 철근을 휘어서 제작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제작되고, 철근이 겹치는 부분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내부에 매립된 구조인 것이 좋다. 별도의 용접 등을 수행하지 않고 연결 철근을 제작할 수 있으며, 겹치는 부분을 벽체 내부에 매립함으로써 연결 철근의 강성도 유지된다.
이때, 연결 철근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 높이를 달리하여 2곳 이상에 매립 설치함으로써 견고한 구조로 연결될 수 있으며, 같은 높이에 2개 이상 매립 설치하여 더욱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이를 달리한 연결 철근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정착 철근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기둥 철근에 결합되어 세트를 구성하는 경우에 시공이 더욱 용이하다. 정착 철근은 일단이 기둥 철근에 결합되고 타단은 끝이 휘어진 갈고리 형상이거나, U자형으로 휜 철근의 양단이 기둥 철근에 결합된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정착 철근이 위치하는 연결 철근 사이 공간의 폭에 따라서 U자형으로 휜 부분을 단일의 곡선으로 구성하거나 폭이 더 넓도록 2개의 곡선 부분의 사이에 직선부분이 배치된 이중 곡선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정착 철근을 내부에 폐쇄 공간이 형성된 링형상으로 구성하고, 링형상의 정착 철근이 폐쇄 공간이 위에서 보이도록 지면에 평행한 수평한 상태로 위치하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별도의 현장배근 수직 철근이 링형상 정착 철근의 폐쇄 공간을 가로지르며 위치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측면에는,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별도의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틈막이 부재만으로 타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돌출된 턱막이가 적어도 하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면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측면에 노출된 연결 철근이 겹치는 공간에 정착 철근이 수평으로 가로지르게 배치함으로써, 부재연결 접합부의 폭을 최소화하여 인접한 벽체 사이의 간격이 좁은 경우에도 시공이 간편하면서도 전단력에 대한 대응력은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단벽체에 적용된 연결 철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적용된 정착 철근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정착 철근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정착 철근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형태의 정착 철근이 배치된 실시예의 모습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정착 철근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수평루프를 적용한 종래의 벽체 조립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평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공장에서 미리 제조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를 현장에서 서로 연결하여 조립하는 결합구조에 대한 것이며, 인접하는 2개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0a, 100b)에 대한 결합관계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0a, 100b)는 공장에서 미리 제조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이며, 제조과정에서 벽체 내부에 복수의 수직철근(110a, 110b)과 수평철근(130a, 130b)이 매립되며, 벽체를 다층으로 연결하는 과정에서 연속배근을 수행하기 위한 슬리브(120a, 120b)도 매립된다. 이러한 수직철근(110a, 110b)과 수평철근(130a, 130b) 및 슬리브(120a, 120b)의 구성은 일반적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 적용되는 기술이 제한되지 않고 적용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나아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0a, 100b) 측면 쪽에 U자 형상의 단부 보강근(140a, 140b)이 매립되며, 도면에서는 수평철근(130a, 130b)과 겹쳐진 부분이 표시되지 않았지만 벽체의 면을 따라서 단부 보강근(140a, 140b)이 연장된다.
본 실시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0a, 100b)는 측면에 일부가 노출되도록 연결 철근(150a, 150b)이 매립되어 있다. 연결 철근(150)의 구체적인 형태는 도 3에 도시하였다. 연결 철근(150)은 내부에 폐쇄 공간(152)이 형성된 링형상이고, 철근을 구부려서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용접공정 등을 수행하지 않고 간단하게 제작하였으며, 철근이 겹쳐진 부분은 벽체 내부에 매립되고, 반대쪽 부분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였다.
한편, 종래 기술에서도 벽체 옆면에 고리형 연결부재가 돌출된 구조를 적용하기도 하였으나, 도 3과 같이 지면에 평행하게 수평한 형태로 매립된 구조(수평루프)를 적용하였고, 수평으로 배열된 폐쇄 공간에 수직 철근을 배치하기 때문에 다층 구조를 연결하는 과정이 어려워지는 원인이 되었다.
반면에, 본 실시예의 연결 철근(150a, 150b)은 지면에 수직하게 세워서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폐쇄 공간(152)이 벽체의 정면에 보이도록 수직으로 배치되고, 나아가 인접한 벽체의 연결 철근(150a, 150b)의 끝부분이 서로 겹쳐서 폐쇄 공간이 겹치는 공유 공간(154)이 벽체의 정면에 보이도록 수직으로 배치된다.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공유 공간(154)을 가로지르는 정착 철근(200-1, 200-2)을 수평방향으로 설치하기 때문에, 종래에 비하여 다층 구조를 연결하기에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높이를 달리하여 2곳 이상에 연결 철근(150a, 150b)을 매립 설치하였으며, 같은 높이에도 2개의 연결 철근(150a, 150b)이 위치하도록 하였다. 이때,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0a, 100b)에서 각각 돌출된 연결 철근(150a, 150b)의 끝부분이 겹칠 수 있도록, 한쪽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0b)에서 돌출된 연결 철근(150b)을 휘어서 구성하였다. 연결 철근(150a, 150b)의 끝부분이 겹칠 수 있도록 구성한 구조는 본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 철근의 위치에 따라서 다양하게 선택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다층 구조의 연속 배근을 위한 슬리브(120a, 120b)의 위치에 의해서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를 선택하였다.
도 1의 정착 철근(200)은 인접한 벽체에서 각각 돌출된 연결 철근(150a, 150b)의 끝부분이 서로 겹쳐서 폐쇄 공간이 겹치는 공유 공간(154)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며 설치된 철근이다. 이러한 정착 철근(200)은 현장에서 인접한 벽체에서 각각 돌출된 연결 철근(150a, 150b)의 끝부분이 서로 겹치도록 배치한 뒤에 설치되며,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이후에 자세하게 설명한다.
현장타설 콘크리트(300)는 현장에서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0a, 100b)의 사이에 채워지며, 현장타설 콘크리트(300)가 연결 철근(150a, 150b)과 정착 철근(200)을 모두 감싸며 조립된 벽체에 전단력에 대해 대항하는 구조가 완성된다.
이때, 현장타설 콘크리트(300)를 타설하기 전에, 현장배근 수직 철근(400)을 먼저 배근함으로써, 현장타설 콘크리트(300) 및 조립된 벽체 전체에 대하여 강성을 보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현장배근 수직 철근(400)이 연결 철근(150a, 150b)의 폐쇄 공간을 관통하는 등의 위치 관계에 있지 않으므로, 현장배근 수직 철근(400)을 배근하는 과정이 용이하고, 현장배근 수직 철근(400)의 배근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0a, 100b)의 배치 사이의 순서도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현장타설 콘크리트(300)를 타설하는 과정에서 경화되는 동안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구성이 필요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0a, 100b) 측면 각각에 2개의 돌출된 턱막이(160a, 160b)를 형성하고, 턱막이(160a, 160b)의 사이에는 틈막이 부재(500)를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시공하도록 구성하였다. 종래 기술과 같이 인접한 벽체 사이의 간격이 넓은 경우에는 틈막이 부재만으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누출을 막기 위해서는 턱막이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서, 제작이나 이동 또는 설치과정에서 파손될 위험이 매우 높지만, 본 실시예의 경우는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0a, 100b) 사이의 간격이 좁기 때문에 2개의 돌출된 턱막이(160a, 160b)를 형성하여도 파손의 위험이 극히 적으며, 틈막이 부재(500)만으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누출을 막을 수 있기 때문에 공정이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통해서 정착 철근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예에서 적용된 정착 철근의 다양한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정착 철근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4의 정착 철근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정착 철근은 그 형태에 따라서, 끝 부분이 90ㅀ 이하의 각도가 되도록 휜 갈고리 형상의 정착부 철근(210-1)을 구비한 후크형 정착 철근(200-1)과 끝 부분이 단일 곡선 형상의 정착부 철근(210-2)을 구비한 단일 곡선형 정착 철근(200-2) 및 끝 부분이 2개의 곡선부분과 사이의 직선 부분을 포함하는 형상의 정착부 철근(210-3)을 구비한 이중 곡선형 정착 철근(200-3)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정착 철근들은 정착부 철근을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기둥 철근(220-1, 220-2, 220-3)에 용접 결합하여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하는 정착부 철근들을 세트화 함으로써 시공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단일 곡선형 정착 철근(200-2)과 이중 곡선형 정착 철근(200-3)은 철근을 U자형으로 휘어서 양단을 기둥 철근(220-2, 220-3)에 용접 결합하는 방법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정착부 철근의 형태는 연결 철근(150a, 150b)의 외형에 따라서 폐쇄 공간이 겹쳐진 공유 공간에 삽입될 수 있는 적합한 형태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후크형 정착 철근(200-1)은 폐쇄 공간이 겹쳐진 공유 공간이 좁은 형태의 연결 철근(150a, 150b)에 대하여 적용한다. 단일 곡선형 정착 철근(200-2)과 이중 곡선형 정착 철근(200-3)은 폐쇄 공간이 겹쳐진 공유 공간이 적절한 수준으로 넓을 때에 사용하며, 이중 곡선형 정착 철근(200-3)의 경우 공유 공간이 더 넓을 때에 적용할 수 있다.
도 7과 도 8를 통해서 다른 형태의 정착 철근을 적용한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를 살펴본다.
도 7은 다른 형태의 정착 철근이 배치된 실시예의 모습을 도시한 평단면도이며, 도 8은 도 7의 정착 철근이 배치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의 정착 철근(200-4)은 내부에 폐쇄 공간이 형성된 링형상으로 구성하되, 지면에 평행하게 수평한 상태로 연결 철근(150a, 150b)의 폐쇄 공간이 겹쳐진 공유 공간을 가로지르며 배치된다. 도 7의 정착 철근(200-4)은 링형상이 지면에 평행하게 수평한 상태로 배치되기 때문에, 도 4 내지 도 6의 정착 철근(200-1, 200-2, 200-3)과 같이 기둥 철근(220-1, 220-2, 220-3)에 결합하여 세트화 하기는 어렵지만, 도시된 것과 같이 현장에서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0a, 100b)의 사이에 배근되는 현장배근 수직 철근(400)이 정착 철근(200-4)의 폐쇄 공간 내부를 지나도록 배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0a, 100b) 측면 각각에 2개의 돌출된 턱막이를 형성하였던 앞선 경우와 달리, 도 7은 건물의 외부(OUT) 측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0a, 100b) 측면 각각에 1개의 돌출된 턱막이(160a, 160b)를 형성하고 반대방향인 건물의 내부(IN) 측에는 별도의 턱막이 없이 개방된 구조를 적용하여 현장타설 과정에서 거푸집(600)를 부착하여 타설된 콘크리트의 누출을 막도록 구성하였다. 이는 앞선 실시예에 비하여 정착 철근(200-4)과 현장배근 수직 철근(400) 사이의 배치 등을 위한 작업 공간이 필요하지만, 틈막이 거푸집 작업이 건물의 외부(OUT) 측에서는 어렵고 건물의 내부 측에서 수행하는 것이 용이하기 때문에, 건물의 외부(OUT) 측은 턱막이(160a, 160b)이를 적용하여 거푸집 작업 없이 틈을 막고 건물의 내부(IN) 측은 별도의 턱막이 없이 개방하여 현장배근 작업을 수행한 뒤에 틈막이 거푸집 작업을 수행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100a, 100b)는 2개의 턱막이를 형성하는 것이 필수적인 구성은 아니며, 구조물의 형태와 현장의 특성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a, 100b: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110a, 110b: 수직 철근
120a, 120b: 슬리브
130a, 130b: 수평 철근
140a, 140b: 단부 보강근
150, 150a, 150b: 연결 철근
152: 폐쇄 공간
154: 공유 공간
160a, 160b: 턱막이
200, 200-1, 200-2, 200-3, 200-4: 정착 철근
210-1, 210-2, 210-3: 정착부 철근
220-1, 220-2, 220-3: 기둥 철근
300: 현장타설 콘크리트
400: 현장 배근 수직 철근
500: 틈막이 부재
600: 거푸집

Claims (9)

  1. 측면에 하나 이상의 연결 철근이 노출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연결 철근을 가로지르며 배치된 정착 철근; 및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사이에 채워져서 상기 연결 철근과 상기 정착 철근을 감싸도록 현장에서 타설된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 철근은 내부에 폐쇄 공간이 형성된 링형상으로서, 일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폐쇄 공간이 정면에서 보이도록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고,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서 서로를 향하여 돌출된 연결 철근은 내부의 폐쇄 공간이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정착 철근은 겹쳐진 폐쇄 공간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며 위치하고,
    상기 연결 철근은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 높이를 달리하여 2곳 이상에 매립 설치되고,
    높이를 달리한 연결 철근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정착 철근이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기둥 철근에 결합되어 세트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철근은 직선형의 철근을 휘어서 제작되며, 적어도 일부분이 겹치도록 제작되고, 철근이 겹치는 부분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내부에 매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 철근은 같은 높이에 2개 이상 매립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착 철근은, 일단이 기둥 철근에 결합되고, 타단은 끝이 휘어진 갈고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착 철근은, U자형으로 휜 철근의 양단이 기둥 철근에 결합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8. 측면에 하나 이상의 연결 철근이 노출되어 위치하는 복수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연결 철근을 가로지르며 배치된 정착 철근; 및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 사이에 채워져서 상기 연결 철근과 상기 정착 철근을 감싸도록 현장에서 타설된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 철근은 내부에 폐쇄 공간이 형성된 링형상으로서, 일부는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 매립되어 있으며, 상기 폐쇄 공간이 정면에서 보이도록 지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설치되고,
    인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에서 서로를 향하여 돌출된 연결 철근은 내부의 폐쇄 공간이 서로 겹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정착 철근은, 내부에 폐쇄 공간이 형성된 링형상이고, 겹쳐진 폐쇄 공간을 수평으로 가로지르며 위치하되, 링형상의 정착 철근이 폐쇄 공간이 위에서 보이도록 지면에 평행한 수평한 상태로 위치하며, 길이방향으로 배치된 별도의 현장배근 수직 철근이 상기 링형상 정착 철근의 폐쇄 공간을 가로지르며 위치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벽체의 측면에는, 상기 현장타설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별도의 거푸집을 사용하지 않고 틈막이 부재만으로 타설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돌출된 턱막이가 적어도 하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KR1020170110043A 2017-08-30 2017-08-30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KR101867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043A KR101867300B1 (ko) 2017-08-30 2017-08-30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043A KR101867300B1 (ko) 2017-08-30 2017-08-30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7300B1 true KR101867300B1 (ko) 2018-06-14

Family

ID=6262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043A KR101867300B1 (ko) 2017-08-30 2017-08-30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730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4581A (zh) * 2019-08-20 2019-11-08 湖南远大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剪力墙及施工方法
KR102182537B1 (ko) * 2020-03-09 2020-11-24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용접 철망을 이용한 pc 벽체의 이음 구조 및 이음 방법
KR102295850B1 (ko) * 2021-04-20 2021-08-31 엔케이이앤씨 주식회사 회전연결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벽체의 겹침철근 연속화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210111618A (ko) * 2020-03-03 2021-09-13 김영호 프리캐스트 패널을 활용한 다각형 선조립 기둥
KR102371555B1 (ko) * 2021-05-14 2022-03-07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중공슬래브 접합 벽체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387104B1 (ko) * 2021-08-20 2022-04-15 엔케이이앤씨 주식회사 회전형 겹침철근 연속화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220049720A (ko) * 2020-10-15 2022-04-22 삼성물산 주식회사 다층높이의 프리캐스트 벽체를 활용한 코어부 급속시공구조
KR20220135503A (ko) 2021-03-30 2022-10-07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KR102502190B1 (ko) * 2022-07-27 2023-02-20 전금화 적층 구조식 모듈 옹벽
KR20230142117A (ko) 2022-04-01 2023-10-11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수직배치된 루프근 및 이음용 바를 이용한 피씨벽체의 연결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3143A (ja) * 1996-01-29 1997-08-05 Tokyu Koken Kk 壁式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壁板鉛直部の 接合方法
KR20010091697A (ko) * 2000-03-17 2001-10-23 배종렬 루프바를 이용한 피씨 벽체의 이음부위 연결방법
KR20050009086A (ko) 2003-07-15 2005-01-24 유승룡 조립식 전단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벽부재
KR20120037222A (ko) * 2010-10-11 2012-04-1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진 보강 접합구조를 갖는 pc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내진 시공 방법
KR101348379B1 (ko) * 2012-06-15 2014-01-07 홍종국 건축용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03143A (ja) * 1996-01-29 1997-08-05 Tokyu Koken Kk 壁式プレキャスト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壁板鉛直部の 接合方法
KR20010091697A (ko) * 2000-03-17 2001-10-23 배종렬 루프바를 이용한 피씨 벽체의 이음부위 연결방법
KR20050009086A (ko) 2003-07-15 2005-01-24 유승룡 조립식 전단벽체의 시공방법 및 그에 사용되는 벽부재
KR20120037222A (ko) * 2010-10-11 2012-04-19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내진 보강 접합구조를 갖는 pc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내진 시공 방법
KR101348379B1 (ko) * 2012-06-15 2014-01-07 홍종국 건축용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24581A (zh) * 2019-08-20 2019-11-08 湖南远大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剪力墙及施工方法
KR102354647B1 (ko) * 2020-03-03 2022-01-21 김영호 프리캐스트 패널을 활용한 다각형 선조립 기둥
KR20210111618A (ko) * 2020-03-03 2021-09-13 김영호 프리캐스트 패널을 활용한 다각형 선조립 기둥
KR102182537B1 (ko) * 2020-03-09 2020-11-24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용접 철망을 이용한 pc 벽체의 이음 구조 및 이음 방법
KR102484159B1 (ko) * 2020-10-15 2023-01-16 삼성물산 주식회사 다층높이의 프리캐스트 벽체를 활용한 코어부 급속시공구조
KR20220049720A (ko) * 2020-10-15 2022-04-22 삼성물산 주식회사 다층높이의 프리캐스트 벽체를 활용한 코어부 급속시공구조
KR20220135503A (ko) 2021-03-30 2022-10-07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n형 수직 조인트 보강철근을 이용한 피씨벽체 이음부 연결구조
KR102295850B1 (ko) * 2021-04-20 2021-08-31 엔케이이앤씨 주식회사 회전연결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벽체의 겹침철근 연속화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371555B1 (ko) * 2021-05-14 2022-03-07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중공슬래브 접합 벽체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387104B1 (ko) * 2021-08-20 2022-04-15 엔케이이앤씨 주식회사 회전형 겹침철근 연속화장치 및 그 시공방법
WO2023022337A1 (ko) * 2021-08-20 2023-02-23 엔케이이앤씨 주식회사 회전형 겹침철근 연속화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230142117A (ko) 2022-04-01 2023-10-11 아이에스동서 주식회사 수직배치된 루프근 및 이음용 바를 이용한 피씨벽체의 연결구조
KR102502190B1 (ko) * 2022-07-27 2023-02-20 전금화 적층 구조식 모듈 옹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7300B1 (ko) 조립식 전단벽체의 결합구조
KR102307326B1 (ko) 바닥판이 구비된 수평부재 결합형 무용접 모듈러 구조물
KR102263295B1 (ko) 플립 타입 스토퍼가 구비된 더블월 구조물 및 시공방법
KR101458434B1 (ko) 선제작된 pc패널을 이용한 hpc기둥의 제작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298436B1 (ko) 콘크리트 수직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6574336B2 (ja) 鉄骨鉄筋コンクリート造の柱、及びこれを用いた建物
KR1017350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교량용 바닥판
JPH07292783A (ja) Pc部材の接続構造
JP6850143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の接合構造
KR20200054704A (ko) 선조립 벽체 모듈
JP659057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端部の接合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梁柱架構
JPH0480444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と鉄骨梁との接続ユニット
KR100990429B1 (ko) 프리캐스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
JP7213154B2 (ja) 立坑の頂版構築方法及び頂版構造
JP6978894B2 (ja) 柱梁接合構造の構築方法
JP7087260B2 (ja) 柱梁の接合構造
KR100456192B1 (ko) 외력을 받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외벽 시스템
KR102175517B1 (ko) Pc패널을 연결하기 위한 커플러 및 이를 포함하는 pc패널벽체
KR20060023915A (ko) 테두리보가 생략된 이렉션 파일을 이용한 지하층의슬래브-외벽 동시 타설 구축방법
JP2019157489A (ja) ハーフPCa柱とPCa壁又はPCa梁との接合構造
JPH1150538A (ja) 建築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TWI816594B (zh) 建築結構及其建造方法
JPH084196A (ja) 建物用パネル
JP2711932B2 (ja) Pc柱とpc壁との接合方法
KR102568888B1 (ko) 합성데크형 조인트필라스터가 구비된 내진 지하연속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