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429B1 - 프리캐스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429B1
KR100990429B1 KR1020100034923A KR20100034923A KR100990429B1 KR 100990429 B1 KR100990429 B1 KR 100990429B1 KR 1020100034923 A KR1020100034923 A KR 1020100034923A KR 20100034923 A KR20100034923 A KR 20100034923A KR 100990429 B1 KR100990429 B1 KR 100990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here
horizontal
vertical
members
bi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4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승용
백인혁
김주현
박정규
태기호
이문재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리다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리다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Priority to KR1020100034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08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preformed concrete slabs
    • E21D11/083Methods or devices for joining adjacent concrete seg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3/00Large underground chambers; Methods or apparatus for making them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5/00Lining shafts; Linings therefor
    • E21D5/04Lining shafts; Linings therefor with brick, concrete, stone, or similar building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프리캐스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각각 수직방향으로 개구된 수직구(12)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에 상기 수직구(12)와 연결된 수평구(14)가 형성되어 상호 상기 수직방향으로 조립된 복수의 수직구부재(10)들;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보다 폭이 넓거나 좁으며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수평구(22)가 형성되어 상호 수평방향으로 조립된 복수의 수평구부재(20)들; 상기 수평구부재(20)와 폭이 같으며 상기 수직구부재(10)의 수평구(14)에 대응되는 수평구(22)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구부재(20)의 수평구(22)와 상기 수직구부재(10)의 수평구(14)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구부재(20)와 상기 수직구부재(10) 사이에 조립된 연결부재(30); 상기 연결부재(30)와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를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일체로 결속하는 제1결속부재(40); 상기 연결부재(30)와 상기 복수의 수평구부재(20)들을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일체로 결속하는 제2결속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구조물(2)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을 제시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PRECASTING STRUCTURE, UNDERGROUND ELEVATION AND PASSAGEWAY TUNNEL STRUCTUR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건설,토목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프리캐스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도시철도(광역철도 포함) 정거장에 부대시설물(E/L, 환기구, 연결통로)을 신설할 경우, 현재 오픈컷(OPEN CUT)공법을 적용하여 개착을 실시한 후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을 현장에서 직접 시공하는 방법(현장타설공법)을 널리 이용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기존 공법으로 부대시설물(E/L, 환기구, 연결통로)을 설치할 경우에는 현장에서 직접 구조물을 제작하여야 하고, 구조물 벽체의 시공높이가 일정높이 이상일 경우에는 수화발열량 등으로 인한 일괄시공이 곤란하며, 또한 작업여건을 감안 단계별로 거푸집 설치, 철근배근, 동바리 설치, 콘크리트타설, 콘크리트양생 등 수회 반복공정으로 시공을 하므로서 부득이하게 시공이음부가 생기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한 공사기간의 증가와 도심지 구간내 시공공간의 협소로 구조물의 시공불량, 정밀시공 곤란 등 전반적인 품질저하를 야기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아울러 도심지에서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하여 수직구(터파기) 규모의 증가(토공량 증가, 거푸집 및 방수공사 시공면적 증가)에 따른 장기간 공사현장의 방치로 인하여 교통체증 유발 및 지역주민의 민원발생과 시공 상의 안전관리비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프리캐스트공법에 의해 시공되는 프리캐스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각각 수직방향으로 개구된 수직구(12)가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에 상기 수직구(12)와 연결된 수평구(14)가 형성되어 상호 상기 수직방향으로 조립된 복수의 수직구부재(10)들;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보다 폭이 넓거나 좁으며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수평구(22)가 형성되어 상호 수평방향으로 조립된 복수의 수평구부재(20)들; 상기 수평구부재(20)와 폭이 같으며 상기 수직구부재(10)의 수평구(14)에 대응되는 수평구(22)가 형성되어, 상기 수평구부재(20)의 수평구(22)와 상기 수직구부재(10)의 수평구(14)를 연결할 수 있도록 상기 수평구부재(20)와 상기 수직구부재(10) 사이에 조립된 연결부재(30); 상기 연결부재(30)와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를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일체로 결속하는 제1결속부재(40); 상기 연결부재(30)와 상기 복수의 수평구부재(20)들을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일체로 결속하는 제2결속부재(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구조물(2)을 제시한다.
상기 수평구부재(20)의 폭이 상기 수직구부재(10)의 폭보다 넓으며,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제2결속부재(50)의 정착을 위한 정착공간이 상기 폭방향을 따라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결속부재(40)의 정착을 위한 정착공간이 상기 제2결속부재(50)의 정착을 위한 정착공간들 사이에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속부재(40)의 설치지점과 상기 제2결속부재(50)의 설치지점이 상기 수직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1결속부재(40)와 상기 제2결속부재(50)는 각각 긴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는 상기 나머지 수직구부재(10)들보다 상기 수직방향에 따른 단면이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나머지 수직구부재(10)들과 동심을 이루도록 조립되며,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와 상기 나머지 수직구부재(10) 사이의 단차부분에는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 및 상기 나머지 수직구부재(10)에 각각 정착되는 앵글(12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앵글(120)을 몰탈타설방법으로 복개하는 몰탈타설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구부재(10), 연결부재(30), 수평구부재(20)들은 상호 요철구조의 결합부(C)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술한 프리캐스트구조물(2)을 이용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로서, 상기 복수의 수직구부재(10)들의 수직구(12)는 엘리베이터(6)의 승강로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구부재(10)의 수평구(14)는 상기 엘리베이터(6)의 카의 출입구(6a)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수평구부재(20)들의 수평구(22)는 상기 엘리베이터(6)의 출입을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6)의 승강로보다 폭이 넓은 통행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을 제시한다.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는 상기 수평구부재(20)보다 상기 수직방향에 따른 높이가 더 크며,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는 상기 나머지 수직구부재(10)들보다 상기 수직방향에 따른 높이가 더 크며 복수의 세그먼트부재(100,102,104)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나머지 수직구부재(10)들은 일체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를 이루는 복수의 세그먼트부재(100,102,104)들은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 조립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부재(100,102,104)들은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 조립되어 상기 수직구(12)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구부재(10)의 수평구(22)가 형성된 상호 동일한 형상의 제1,제2세그먼트부재(100,102)들; 상기 제1,제2세그먼트부재(100,102)의 수평구(14a,14b) 중 상기 연결부재(30) 반대쪽 수평구(14b)를 복개하는 제3세그먼트부재(1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속부재(40)와 상기 제2결속부재(50)는 각각 긴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공법에 의해 수직로 및 수직로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수평로를 형성하는 프리캐스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구조물을 이용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도 1은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의 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 3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도 3은 사시도.
도 4는 도 3의 B-B선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도 3의 C-C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측면도.
도 7은 도 6의 확대부분의 단면도.
도 8은 분해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 1 이하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 수직방향은 좌표 Z, 수평방향은 좌표 X, 그 나머지 방향은 폭방향으로 좌표 Y로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캐스트구조물(2)은, 프리캐스트 공법에 의해 제작된 부재들의 조립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형성된 수직로(2a) 및 수직로(2a)에 수평방향으로 연결된 수평로(2b)를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프리캐스트구조물(2)은 여러가지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도시철도 등의 지중 구조물(4)에 엘리베이터(6)나 환기구, 연결통로 등의 부대시설물을 설치하는데 매우 유리하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구조물(2)이 엘리베이터(6) 설치를 위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로(2a)를 엘리베이터 승강로로 형성하고, 엘리베이터(6)의 출입을 위해 수평구(22)를 통행로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중 부대시설물을 프리캐스트공법에 의해 설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첫째, 일괄시공이 가능하여 공사기간이 현격히 단축될 수 있다.
둘째, 부재들을 공장에서 일괄제작함으로써 품질관리가 용이하여 품질이 향상될 수 있고 정밀시공이 가능하다.
셋째, 프리캐스트구조물(2)의 시공을 위한 작업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토공량 감소, 거푸집 및 방수공사 시공면적 감소 등의 이점을 가질 수 있다.
넷째, 공사기간이 단축될 수 있으며 터파기공간이 줄어듦으로써 토공량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공사비가 절감될 수 있다.
다섯째, 부재들을 공장에서 제작함에 따라 고강도 콘크리트로 부재들을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수밀성 및 내구성이 증대될 수 있고, 부재들의 벽 두께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단면 슬립(slip)화 측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구조물(2)이 상술한 바와 같이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로 형성되는 경우,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구조물(2)이 바로 지중 구조물(4)에 접합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구조물(2)과 지중 구조물(4)이 현장타설공법에 의한 현타구조물(8)에 의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리캐스트구조물(2)은 특히 도 3 이하를 참조하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프리캐스트구조물(2)은 수직로(2a)를 형성하는 복수의 수직구부재(10)들 및, 수평로(2b)를 형성하는 복수의 수평구부재(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수직구부재(10)들은 각각, 수직로(2a)를 형성하기 위해, 수직방향으로 개구된 수직구(12)가 형성된 중공 박스형으로 형성되며, 상호 수직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의 수직구부재(10)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수직구(12)와 연결된 수평구(22), 즉 수직구(12)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수평구(14)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수평구부재(20)들은 각각, 수평로(2b)를 형성하기 위해,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수평구(22)가 형성된 중공 박스형으로 형성되며, 상호 수평방향으로 조립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구부재(20)는 수직방향에 대한 폭(즉 좌표 Y에 따른 폭)이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형수직구부재(10a)'라 한다)의 폭보다 넓거나 좁게 형성될 수 있으며, 수평구부재(20)의 수평구(22)와 제1형수직구부재(10a)의 수평구(14)를 연결할 수 있도록 수평구부재(20)와 수직구부재(10) 사이에 연결부재(30)가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연결부재(30)는 수평구부재(20)와 폭이 같으며 제1형수직구부재(10a)의 수평구(14)에 대응되는 수평구(32)가 형성된 판상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수직구부재(10)와 수평구부재(20)의 크기가 상호 상이하더라도 연결부재(30)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수직구부재(10) 및 수평구부재(20)가 상호 영향받지 않고 각각 최적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직구부재(10) 또는 수평구부재(20)를 상대에 맞춰 불필요하게 크게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수직구부재(10) 및 수평구부재(20)의 제작비 및 토공량 등을 최소화할 수 있고, 수직구부재(10) 및 수평구부재(20)가 상호 영향받지 않고 각각 최적설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직구부재(10) 및 수평구부재(20), 연결부재(30)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상호 결속될 수 있으며, 특히 다음과 같이 결속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제1형수직구부재(10a)와 연결부재(30)를 제1결속부재(40)에 의해 수평방향을 따라 일체로 결속하며, 아울러 복수의 수평구부재(20)들과 연결부재(30)를 제2결속부재(50)에 의해 수평방향을 따라 일체로 결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형수직구부재(10a)와 수평구부재(20)가 상호 크기가 상이하더라도, 제1결속부재(40) 및 제2결속부재(50)가 각각 꺽이지 않고 수평방향을 따라 일자형으로 설치될 수 있는 바, 제1결속부재(40) 및 제2결속부재(50)의 설치작업이 간소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수직구부재(10) 및 수평구부재(20), 연결부재(30)가 복잡하지 않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형수직구부재(10a)와 수평구부재(20)가 상호 직접적으로 조립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1형수직구부재(10a)와 수평구부재(20)가 상호 다른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형수직구부재(10a)와 수평구부재(20)가 상호 직접적으로 조립되는 것은 아니므로, 제1형수직구부재(10a)와 수평구부재(20)가 일괄 시공되지 않아도 된다. 예컨대, 수직구부재(10)들과 연결부재(30)를 먼저 설치하여 제1결속부재(40)에 의해 상호 결속한 후, 수평구부재(20)들을 설치하여 제2결속부재(50)에 의해 연결부재(30)와 결속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결속부재(40) 및 제2결속부재(50)는 제1형수직구부재(10a), 수평구부재(20), 연결부재(30)들을 상호 결속시킬 수 있다면 어떠한 것이든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건설,토목분야 등에서 많이 사용되는 긴장재를 포함할 수 있다. 긴장재의 정착은 건설,토목분야 등에서 많이 알려져 있는바, 보다 구체적인 구성 및 그 시공에 관하여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결속부재(40) 및 제2결속부재(50)가 긴장재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형수직구부재(10a) 및 수평구부재(20), 연결부재(30)에는 각각 긴장재가 관통되는 관통홀들이 형성되며, 긴장재의 끝단의 정착작업을 위해 상술한 관통홀과 연결되며 외부에 개방된 홈 구조의 정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형수직구부재(10a)에는 제1결속부재(40)의 정착을 위한 제1결속부재 정착공간(16)들이 형성되며, 수평구부재(20)에는 제2결속부재(50)의 정착을 위한 제2결속부재 정착공간(24)들이 형성되고, 연결부재(30)에는 제1결속부재(40)의 정착을 위한 제1결속부재 정착공간(34)들 및 제2결속부재(50)의 정착을 위한 제2결속부재 정착공간(36)들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구부재(20)의 폭이 수직구부재(10)의 폭보다 넓은 경우, 연결부재(30)의 제2결속부재 정착공간(36)들은 폭방향을 따라 양쪽 측면(즉 좌표 Y에 따른 양쪽 면)에 각각 형성되며, 연결부재(30)의 제1결속부재 정착공간(34)들은 폭방향을 따라 연결부재(30)의 제2결속부재 정착공간(36)들 사이에 수평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 달리 연결부재(30)의 제2결속부재 정착공간(36)들은 수평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연결부재(30)와 제1형수직구부재(10a) 사이의 공간을 제2결속부재(50)의 정착작업을 위한 공간으로서 넓게 확보하여야 하는 바, 토공량이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1결속부재(40)의 설치지점과 제2결속부재(50)의 설치지점은 수직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결속부재(40)와 제2결속부재(50)가 수직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결속부재(40)의 정착작업과 제2결속부재(50)의 정착작업이 상호 간섭되지 않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형수직구부재(10a)는 수평구(22)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수직구부재(10)(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형수직구부재(10b)'라 한다)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제3결속부재(60)에 의해 일체로 결속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3결속부재 정착공간(18)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형수직구부재(10a)는 제2형수직구부재(10b)보다 수직방향에 따른 단면(즉 평단면)이 더 크되, 제2형수직구부재(10b)들과 동심을 이루도록 조립될 수 있다. 아울러, 제1형수직구부재(10a)와 제2형수직구부재(10b) 사이의 단차부분에는 제1형수직구부재(10a) 및 제2형수직구부재(10b)에 각각 정착되는 앵글(120)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앵글(120)에 의해 제1형수직구부재(10a) 및 제2형수직구부재(10b)가 보다 견고하게 상호 결속될 수 있으며, 제1형수직구부재(10a)와 제2형수직구부재(10b)의 이음부분이 보다 긴밀하게 이음될 수 있다. 여기서, 앵글(120)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제1형수직구부재(10a) 및 제2형수직구부재(10b)에 정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건설,토목분야 등에서 많이 알려진 앵커(130)에 의해 정착될 수 있다. 나아가, 앵글(120)은 몰탈타설방법으로 이루어진 몰탈타설부(140)에 복개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형수직구부재(10a)와 제2형수직구부재(10b)의 이음부분이 보다 긴밀하게 이음될 수 있다.
또한 수직구부재(10) 및 수평구부재(20), 그리고 연결부재(30)들은 상호 요철구조의 결합부(C)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즉 요철구조의 결합부(C)에 의해 수직구부재(10) 및 수평구부재(20), 그리고 연결부재(30)들의 상호 접합면이 평면 대신 요철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상호 접합면적이 보다 넓게 확보될 수 있어서 상호 접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아울러, 수직구부재(10) 및 수평구부재(20), 그리고 연결부재(30)들의 상호 접합면에는 시공 및 구조물 제작오차로 인한 접합부 누수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지수와 방수역할을 충분히 할 수 있는 지수재(110)가 도입될 수 있다. 특히 복합지수재(수팽창지수재+부틸지수재) 재료를 사용하여 우수한 수밀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구조물(2)이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로 형성되는 경우, 나아가 다음과 같이 형성됨이 보다 바람직하다.
복수의 수직구부재(10)들의 수직구(12)는 엘리베이터(6)의 승강로로 형성되고, 복수의 수평구부재(20)들의 수평구(22)는 엘리베이터(6)의 출입을 위해 엘리베이터(6)의 승강로보다 폭이 넓은 통행로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1형수직구부재(10a)의 수평구(22)는 엘리베이터(6)의 출입을 위한 것으로서 엘리베이터(6)의 카의 출입구(6a)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아울러 제1형수직구부재(10a)는 제2형수직구부재(10b)들보다 수직방향에 따른 높이가 더 크며 복수의 세그먼트부재(100,102,104)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분리형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2형수직구부재(10b)들은 일체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형수직구부재(10a)는 엘리베이터(6)의 카의 출입구(6a)의 크기로 인해 최소 크기가 엘리베이터(6)의 카의 출입구(6a)보다 크도록 제한되지만, 이와 같은 제한이 제2형수직구부재(10b)는 적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형수직구부재(10a)는 분리형 구조로 제작하여 각각의 세그먼트부재의 크기를 최소화하고, 제2형수직구부재(10b)는 일체형 구조이되 제1형수직구부재(10a)보다 작은 크기로 제작함으로써, 프리캐스트구조물(2)의 제작 및 운반, 시공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형수직구부재(10a)는 여러가지 구조로 분리될 수 있으며, 다만 수평방향을 따라 분리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즉 제1형수직구부재(10a)를 이루는 복수의 세그먼트부재(100,102,104)들은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 조립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결속부재(40)에 의해 제1형수직구부재(10a)와 연결부재(30)를 결속함과 동시에 제1형수직구부재(10a)를 이루는 복수의 세그먼트부재(100,102,104)들도 함께 일체로 결속할 수 있는 바, 제1형수직구부재(10a)를 이루는 복수의 세그먼트부재(100,102,104)들을 결속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제1형수직구부재(10a)를 이루는 복수의 세그먼트부재(100,102,104)들은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 조립되어 수직구(12)를 형성하며, 제1형수직구부재(10a)의 수평구(22)가 형성된 상호 동일한 형상의 제1,제2세그먼트부재(100,102)들과; 제1,제2세그먼트부재(100,102)의 수평구(14a,14b) 중 연결부재(30) 반대쪽 수평구(14b)를 복개하는 제3세그먼트부재(104)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제2세그먼트부재(100,102)들이 상호 동일한 형상으로서 제1,제2세그먼트부재(100,102)들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며 제3세그먼트부재(104)가 매우 간소한 판상 구조이므로, 제1형수직구부재(10a)의 제작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제1형수직구부재(10a)는 복수의 수직구부재(10)들의 최하측에 위치된 경우, 제1형수직구부재(10a)의 수직구(12)에 위치된 엘리베이터(6)의 카의 하측으로 엘리베이터(6)의 승강을 위한 기계장비 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수평구부재(20)보다 수직방향에 따른 높이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연결부재(30)는 제1형수직구부재(10a)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됨으로써, 제1형수직구부재(10a)와 수직방향을 따라 여러지점에서 제1결속부재(40)에 의해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프리캐스트구조물(2)이 지중에 설치되는 경우, 지중의 개착 후 흙막이구조물이 가설된 상태에서 복수의 수직구부재(10)들 및 복수의 수평구부재(20)들, 연결부재(30)가 차례차례 설치되며, 프리캐스트구조물(2) 설치 후 남은 공간에 토사가 채워질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수직구부재(10)들을 일괄 설치 후 토사를 채울 수도 있으나, 복수의 수직구부재(10)들을 여러차례에 나눠 설치하며 그 중간중간에 토사 채움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2; 프리캐스트구조물 6; 엘리베이터
10; 수직구부재 10a; 제1형수직구부재
10b; 제2형수직구부재 12; 수직구
20; 수평구부재 22; 수평구
30; 연결부재 40; 제1결속부재
50; 제2결속부재

Claims (13)

  1. 복수가 상호 수직방향을 따라 조립되며, 각각 상기 수직방향으로 개구되어 상호 연결되는 수직구(12)가 형성되며, 복수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수직구(12)와 연결되며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
    복수가 상호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조립되며, 각각 상기 수평방향으로 개구되어 상호 연결되는 수평구(22)가 형성되며, 각각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보다 폭이 넓거나 좁게 형성된 수평구부재(20);
    상기 수평구부재(20)와 상기 수직구부재(10) 사이에 조립되며, 상기 수평구부재(20)와 폭이 같도록 형성되고, 상기 수직구부재(10)의 수평구(14)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구부재(20)의 수평구(22)와 상기 수직구부재(10)의 수평구(14)를 연결하는 수평구(32)가 형성된 연결부재(30);
    상기 연결부재(30)와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를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일체로 결속하는 제1결속부재(40);
    상기 연결부재(30)와 상기 복수의 수평구부재(20)를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일체로 결속하는 제2결속부재(5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구조물(2).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부재(20)의 폭이 상기 수직구부재(10)의 폭보다 넓으며,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제2결속부재(50)의 정착을 위한 정착공간이 상기 폭방향을 따라 양쪽 측면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결속부재(40)의 정착을 위한 정착공간이 상기 제2결속부재(50)의 정착을 위한 정착공간 사이에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구조물(2).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결속부재(40)의 설치지점과 상기 제2결속부재(50)의 설치지점이 상기 수직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구조물(2).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결속부재(40)와 상기 제2결속부재(50)는 각각 긴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구조물(2).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는 상기 나머지 수직구부재(10)보다 상기 수직방향에 따른 단면이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나머지 수직구부재(10)와 동심을 이루도록 조립되며,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와 상기 나머지 수직구부재(10) 사이의 단차부분에는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 및 상기 나머지 수직구부재(10)에 각각 정착되는 앵글(12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구조물(2).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앵글(120)을 몰탈타설방법으로 복개하는 몰탈타설부(1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구조물(2).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부재(10), 연결부재(30), 수평구부재(20)는 상호 요철구조의 결합부(C)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구조물(2).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의 프리캐스트구조물(2)을 이용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로서,
    상기 복수의 수직구부재(10)의 수직구(12)는 엘리베이터(6)의 승강로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구부재(10)의 수평구(14)는 상기 엘리베이터(6)의 카의 출입구(6a)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수평구부재(20)의 수평구(22)는 상기 엘리베이터(6)의 출입을 위해 상기 엘리베이터(6)의 승강로보다 폭이 넓은 통행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는 상기 수평구부재(20)보다 상기 수직방향에 따른 높이가 더 크며,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의 높이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는 상기 나머지 수직구부재(10)보다 상기 수직방향에 따른 높이가 더 크며 복수의 세그먼트부재(100,102,104)에 의해 이루어지고, 상기 나머지 수직구부재(10)는 일체형 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14)가 형성된 수직구부재(10)를 이루는 복수의 세그먼트부재(100,102,104)는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세그먼트부재(100,102,104)는
    상기 수평방향을 따라 상호 조립되어 상기 수직구(12)를 형성하며 상기 수직구부재(10)의 수평구(22)가 형성된 상호 동일한 형상의 제1,제2세그먼트부재(100,102);
    상기 제1,제2세그먼트부재(100,102)의 수평구(14a,14b) 중 상기 연결부재(30) 반대쪽 수평구(14b)를 복개하는 제3세그먼트부재(1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
  13.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결속부재(40)와 상기 제2결속부재(50)는 각각 긴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
KR1020100034923A 2010-04-15 2010-04-15 프리캐스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 KR100990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923A KR100990429B1 (ko) 2010-04-15 2010-04-15 프리캐스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4923A KR100990429B1 (ko) 2010-04-15 2010-04-15 프리캐스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429B1 true KR100990429B1 (ko) 2010-10-29

Family

ID=43135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4923A KR100990429B1 (ko) 2010-04-15 2010-04-15 프리캐스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42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472A1 (ko) * 2017-05-17 2018-11-22 한국과학기술원 프리캐스트 컴포넌트들의 위치 추정 방법 및 위치 추정 장치
KR101971831B1 (ko) 2018-07-02 2019-04-23 박진감 수직구 연결통로용 섀시 및 거푸집 구조와 이를 이용한 수직구 연결통로 시공 방법
KR20240011518A (ko) * 2022-07-19 2024-01-26 윤준섭 프리캐스트 방식 수직터널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103B1 (ko) 2003-10-21 2006-09-22 이형훈 구조물이동수단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구조물 설치방법
JP2008002234A (ja) 2006-06-26 2008-01-10 Hokukon Co Ltd 地下容体一体型ガレー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7103B1 (ko) 2003-10-21 2006-09-22 이형훈 구조물이동수단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구조물 설치방법
JP2008002234A (ja) 2006-06-26 2008-01-10 Hokukon Co Ltd 地下容体一体型ガレー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12472A1 (ko) * 2017-05-17 2018-11-22 한국과학기술원 프리캐스트 컴포넌트들의 위치 추정 방법 및 위치 추정 장치
KR101971831B1 (ko) 2018-07-02 2019-04-23 박진감 수직구 연결통로용 섀시 및 거푸집 구조와 이를 이용한 수직구 연결통로 시공 방법
KR20240011518A (ko) * 2022-07-19 2024-01-26 윤준섭 프리캐스트 방식 수직터널
KR102645179B1 (ko) 2022-07-19 2024-03-07 윤준섭 프리캐스트 방식 수직터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63795B1 (en) Composite structural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CN108951870A (zh) 一种低层全装配式混凝土剪力墙结构体系的建造方法
KR101626428B1 (ko) 프리캐스트 매입형 합성기둥 및 이의 시공방법
CN106245753A (zh) 一种装配式预制结构墙板的钢筋混凝土连接体系
CN108951869A (zh) 一种低层全装配式混凝土剪力墙结构体系
CN106400952A (zh) 一种装配式预制结构墙板单元及其连接节点
KR102263295B1 (ko) 플립 타입 스토퍼가 구비된 더블월 구조물 및 시공방법
US20160319541A1 (en) Constructive system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KR20110033650A (ko) 슬러리월공법을 이용한 지하차도 시공공법
KR20130044855A (ko) 전단키 결합방식의 조립식 프리캐스트 패널, 이를 이용한 벽체 및 그 시공방법
CN106759420A (zh) 预制装配式变电站基础结构
CN112502186A (zh) 建筑空间结构一体化的装配式地铁车站结构
KR100990429B1 (ko) 프리캐스트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지중 승강 및 연결통로 터널구조물
KR101459003B1 (ko) 무량판 원-웨이 구조식 와이드 거더
AU2023202575A1 (en) Beam support cable and building structure
CN204112525U (zh) 高强度混凝土预制框架内嵌带竖缝预制剪力墙结构
KR101178168B1 (ko) 건축물의 장스팬 고하중용 아이엠티 슬래브
KR101614722B1 (ko) 피씨 복합화 건축물용 플랫 리브드 슬래브
CN110552706A (zh) 永临结合盾构吊装孔封闭结构及方法
JP5143666B2 (ja) Pc橋梁の架設方法
KR101054450B1 (ko) 프리캐스트 구조물
KR100639153B1 (ko) 횡력 지지가 가능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패널을 이용한 슬래브 구조체
KR20210069209A (ko) 외벽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그 시공 방법
CN216893135U (zh) 通过分段钢筋连接的装配式混凝土连接构造
CN205990663U (zh) 一种装配式预制结构墙板单元及其连接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