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0699A -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0699A
KR20160110699A KR1020150033547A KR20150033547A KR20160110699A KR 20160110699 A KR20160110699 A KR 20160110699A KR 1020150033547 A KR1020150033547 A KR 1020150033547A KR 20150033547 A KR20150033547 A KR 20150033547A KR 20160110699 A KR20160110699 A KR 201601106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earth retaining
vertical
steel
c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3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4668B1 (ko
Inventor
문원태
하태훈
이성호
Original Assignee
(주)대우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우건설 filed Critical (주)대우건설
Priority to KR1020150033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4668B1/ko
Publication of KR201601106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06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4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4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02Sheet piles or sheet pile bulkhead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20/00Temporary installations or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발명은 흙막이 벽체 내부의 수직 H 파일과 각각 수평적으로 직접 결합하여 받침대 역할을 하는 복수의 브라켓; 및 단부 하면이 상기 브라켓 상면에 결합하는 복수의 내부 철골보를 포함하는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철골보와 흙막이 벽체 내부의 수직 H 파일의 위치를 일치시켜 브라켓 또는 띠장 없이 지하층 골조의 시공이 가능하며, 띠장의 후속 공정 시공시의 간섭과 부속 철물에 의한 비경제성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CIP 구조에 비렌딜 트러스 부재를 사용하면, 브라켓이 필요없어 지하외벽 수직 철근의 배치가 용이하고, CIP에서 비렌딜 트러스 부재, 비렌딜 트러스 부재에서 슬래브로 토압이 직접 원활하게 전달된다.

Description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Structure for connecting earth retaining wall}
본 발명은 연결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하구조물 흙막이 벽체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지하구조물 시공방법은 시공하는 방향에 따라 순타 공법과 역타공법으로 나눌 수 있다.
순타 공법은 지상으로부터 흙막이벽과 함께 스트러트(strut), 레이커, 어스앵커, 락 볼트 등과 같은 가설 지지수단을 설치하여 흙막이벽이 붕괴되지 않게 지지한 상태로 기초 저면 레벨까지 지하 토공사를 완료한 다음, 가설 지지수단을 아래에서부터 해체하면서 최저층부터 지상까지 구조물을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공법을 말한다.
역타 공법은 탑다운(Top-Down) 공법이라고도 불리며, 지하 토공사를 수행해 나감과 동시에 지하층 본 구조물 공사를 병행함으로써 시공된 지하층 구조물이 토공사 중에는 횡토압에 대한 버팀대의 역할을 하도록 하면서 지하 구조물을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순타공법과는 반대 방향으로 시공하여 내려가는 공법이다.
종래의 역타공법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내부 철골보(IB)와 흙막이 벽체(W1) 수직 H 파일(P)의 위치가 서로 직교하여 연결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내부 철골보(IB)마다 지지대(SP) 혹은 띠장(WL)이 필요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띠장(WL) 설치를 위한 지지대(SP)를 다수 먼저 설치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지지대(SP)를 별도로 다수 설치하게 되면 CIP(C) 시공 오차로 인해 치수 변동이 심하고, 용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띠장(WL)과 CIP(C) 사이에 지지대(SP)가 설치되어 CIP(C) 측에 지지가 불량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띠장(WL)의 간섭으로 지하외벽 수직 철근(VB)의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띠장(WL)의 변형이 발생하면, 흙막이 벽체(WL)가 밀릴 우려가 있으며, 내부 철골보(IB)의 노출 부위에는 국부 좌굴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역타 시공 중 비워두는 공간(S)으로 인해 토압이 슬래브로 직접 전달되지 못하고, 띠장(WL)의 휨에 의해서 전달되며, 띠장(WL)이 장스팬이 되어 단면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토류벽(W3) 구간을 나타낸 도 4 및 도 5의 경우에도 동일한 문제점이 있으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서 한국등록특허 제1034583호에서는 흙막이벽의 전면 지지를 통한 지하구조물 역타 시공방법을 제시하였으나, H 파일과 본 구조의 철골보가 직교하지 않기 때문에 다수의 지지대(210, 220, 230)가 설치되고 이를 연결하는 받침보가 추가되어 부속 철물의 양이 증가하고 현장에서 시공 공정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34583호 (2011. 05. 06), "흙막이벽의 전면 지지를 통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요철표면 대응형 거푸집" 한국등록특허 제0531385호 (2005. 11. 21),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띠장의 후속 공정 시공시의 간섭과 부속 철물에 의한 비경제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띠장 없이 흙막이 벽체와 직접 연결되는 지하층 골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는 흙막이 벽체 내부의 수직 H 파일과 각각 수평적으로 직접 결합하여 받침대 역할을 하는 복수의 브라켓; 및 단부 하면이 상기 브라켓 상면에 결합하는 복수의 내부 철골보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하외벽 수직 철근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내부 철골보의 단부 상측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부 철골보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 ㄱ형강과, 상기 외측 ㄱ형강들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내측 ㄱ형강을 구비하는 비렌딜 트러스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외측 ㄱ형강은, 거푸집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수평 플랜지가 각각 외부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내측 ㄱ형강은, 필요에 따라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외측 ㄱ형강에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측 ㄱ형강은, 수직 철근과의 간섭시 삽입이 가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삽입홀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흙막이 벽체가 CIP (Cast In Place Pile)일 경우, 상기 내부 철골보는, ㄱ형강으로서, 상기 수직 H 파일의 양측에 배치된 CIP의 단부와 맞닿도록 양측에 경사지게 결합하는 경사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내부 철골보의 단부 상측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일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띠장 역할을 하도록 수평 플랜지가 각각 상기 흙막이 벽체를 향해 배치되고, 상기 내부 철골보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외측 ㄷ형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외측 ㄷ형강은, 웨브에 상기 흙막이 벽체를 향해 복수의 스터드 볼트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측 ㄷ형강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 ㄷ형강의 일측에 결합하는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에 의하면,
첫째, 내부 철골보와 흙막이 벽체 내부의 수직 H 파일의 위치를 일치시켜 지지대 또는 띠장 없이 지하층 골조의 시공이 가능하며, 띠장의 후속 공정 시공시의 간섭과 부속 철물에 의한 비경제성을 해결할 수 있다.
둘째, CIP 구조에 비렌딜 트러스 부재를 사용하면, 브라켓의 크기와 수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지하외벽 수직 철근의 배치가 용이하고, CIP에서 비렌딜 트러스 부재, 비렌딜 트러스 부재에서 슬래브로 토압이 직접 원활하게 전달된다.
셋째, 비렌딜 트러스 부재는 브라켓이 필요없고 띠장 방식에 비해 강재량이 감소하며, 시공 오차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
넷째, 비렌딜 트러스 부재의 외측 ㄱ형강이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하여 거푸집 역할을 하게 할 수 있다.
다섯째, 비렌딜 트러스 부재의 내측 ㄱ형강은 외측 ㄱ형강에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수직 철근과의 간섭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여섯째, 비렌딜 트러스 부재의 내측 ㄱ형강은 수직 방향으로 삽입홀이 형성되어 수직 철근과의 간섭시 삽입이 가능하다.
일곱째, CIP일 경우 내부 철골보가 경사부재를 더 포함하여 수직 H 파일의 양측에 배치된 CIP와의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여덟째, 내부 철골보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외측 ㄷ형강과 복수의 스터드 볼트를 구비하면 일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합성 구조의 띠장 역할을 할 수 있게 되어 지하외벽 시공시에 간섭을 최소화 할 수 있고, 비렌딜 트러스 부재를 생략함으로써 공사기간 및 공사비를 감소시킬 수 있고, 지하외벽 내에 연결 철물이 생성할 수 있는 물길이 최소화되어 지하수의 침투를 감소시킬 수 있다.
아홉째,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동시 타설이 가능하고, 적정 스팬의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도 1은 종래의 역타공법 지하층 골조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CIP 구간 흙막이 벽체 연결 구조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CIP 구간 흙막이 벽체 연결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토류벽 구간 흙막이 벽체 연결 구조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토류벽 구간 흙막이 벽체 연결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비렌딜 트러스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가설 철골보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A-A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B-B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가설 철골보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C-C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D-D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류벽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토류벽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단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비렌딜 트러스 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7에 도시된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는 복수의 브라켓(100) 및 복수의 내부 철골보(200)를 포함한다.
복수의 브라켓(100)은 흙막이 벽체(W1) 내부의 수직 H 파일(P)과 각각 수평적으로 직접 용접 등에 의해 결합하여 받침대 역할을 한다. 브라켓(100)은 도시된 것처럼 H 형강을 경사지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는 CIP(C) 구간에 브라켓(100) 및 복수의 내부 철골보(200)가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내부 철골보(200)와 흙막이 벽체(W1) 내부의 수직 H 파일(P)의 위치를 일치시켜 브라켓 또는 띠장 없이 지하층 골조의 시공이 가능하다.
복수의 내부 철골보(200)는 단부 하면이 브라켓(100) 상면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한다.
여기서, 지하외벽(W2) 수직 철근(VB)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내부 철골보(200)의 단부 상측에 결합하는 비렌딜 트러스(vierendeel truss)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렌딜 트러스 부재(300)는 내부 철골보(200)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 ㄱ형강(310)과, 외측 ㄱ형강들(310)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내측 ㄱ형강(320)을 구비한다.
이때, 외측 ㄱ형강(310)은 거푸집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수평 플랜지(311)가 각각 외부를 향해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 ㄱ형강(320)은 필요에 따라 수직 철근(VB)과의 간섭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외측 ㄱ형강(310)에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내측 ㄱ형강(320)에는 슬라이딩 돌기(321)가, 외측 ㄱ형강(310)에는 그에 대응하는 슬라이딩 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 돌기(321) 및 슬라이딩 홀(311)의 위치나 개수는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하며, 일부의 내측 ㄱ형강(320)만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 ㄱ형강(320)은 수직 철근(VB)과의 간섭시 삽입이 가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삽입홀(322)이 형성될 수도 있다. 삽입홀(322)의 개수 및 위치는 수직 철근(VB)의 배치에 따라 대응되게 달라진다.
비렌딜 트러스 부재(300)를 사용하면, 브라켓의 크기와 수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지하외벽(W2) 수직 철근(VB)의 배치가 용이하고, CIP(C)에서 비렌딜 트러스 부재(300), 비렌딜 트러스 부재(300)에서 슬래브로 토압이 직접 원활하게 전달된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가설 철골보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A-A 단면도, 도 13은 도 11에 도시된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B-B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여기서도 복수의 브라켓(100)은 흙막이 벽체(W1) 내부의 수직 H 파일(P)과 각각 수평적으로 직접 용접 등에 의해 결합하여 받침대 역할을 한다. 도 11 및 도 12에는 CIP(C) 구간에 브라켓(100), 본 내부 철골보(200) 및 가설 내부 철골보(200')가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흙막이 벽체(W1)가 CIP(C)일 경우, 내부 철골보(200)는 ㄱ형강으로서 수직 H 파일(P)의 양측에 배치된 CIP(C)의 단부와 맞닿도록 양측에 경사지게 용접 등에 의해 결합하는 경사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재(210)를 포함하여 수직 H 파일(P)의 양측에 배치된 CIP(C)와의 지지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물론 경사부재(210)의 단부는 지압판(211)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 내지 도 1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가설 철골보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C-C 단면도,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CIP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D-D 단면도이다.
도 14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여기서도 복수의 브라켓(100)은 흙막이 벽체(W1) 내부의 수직 H 파일(P)과 각각 수평적으로 용접 등에 의해 직접 결합하여 받침대 역할을 한다. 도 14 및 도 15에는 CIP(C) 구간에 브라켓(100), 본 내부 철골보(200) 및 가설 내부 철골보(200')가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내부 철골보(200)의 단부 상측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띠장 역할을 하도록 수평 플랜지(410)가 각각 흙막이 벽체(W1)를 향해 배치되고, 내부 철골보(200)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외측 ㄷ형강(4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외측 ㄷ형강(400)의 일측에는 콘크리트(CC)가 타설되어 합성 구조로서 띠장 역할을 할 수 있다.
외측 ㄷ형강(400)은 웨브(420)에 흙막이 벽체(W1)를 향해 복수의 스터드 볼트(4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외측 ㄷ형강(400)을 지지하기 위하여 외측 ㄷ형강(400)의 일측에 결합하는 지지 브라켓(4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토류벽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일부 확대 평면도,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토류벽 구간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토류벽(W3) 구간에서도, 복수의 브라켓(100)은 흙막이 벽체(W1) 내부의 수직 H 파일(P)과 각각 수평적으로 직접 결합하여 받침대 역할을 한다. 도 17 및 도 18에는 토류벽(W3) 구간에 브라켓(100), 본 내부 철골보(200) 및 가설 내부 철골보(200')가 구비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가설 내부 철골보(200')는 본 내부 철골보(200)의 사이에 보조적으로 설치되는 내부 철골보를 의미한다.
토류벽(W3)에서도 내부 철골보(200)와 흙막이 벽체(W1) 내부의 수직 H 파일(P)의 위치를 일치시켜 브라켓 또는 띠장 없이 지하층 골조의 시공이 가능하다. 복수의 내부 철골보(200)는 단부 하면이 브라켓(100) 상면에 용접 등에 의해 결합한다.
이렇게,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철골보(200)와 흙막이 벽체 내부의 수직 H 파일(P)의 위치를 일치시켜 지지대 또는 띠장 없이 지하층 골조의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동시 타설이 가능하고, 적정 스팬의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하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브라켓 200...내부 철골보
300...비렌딜 트러스 부재 400...외측 ㄷ형강

Claims (9)

  1. 흙막이 벽체 내부의 수직 H 파일과 각각 수평적으로 직접 결합하여 받침대 역할을 하는 복수의 브라켓; 및
    단부 하면이 상기 브라켓 상면에 결합하는 복수의 내부 철골보를 포함하는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지하외벽 수직 철근이 배치되는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내부 철골보의 단부 상측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내부 철골보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외측 ㄱ형강과,
    상기 외측 ㄱ형강들 사이에 수직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내측 ㄱ형강을 구비하는 비렌딜 트러스(vierendeel truss)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외측 ㄱ형강은,
    거푸집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수평 플랜지가 각각 외부를 향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 ㄱ형강은,
    필요에 따라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외측 ㄱ형강에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내측 ㄱ형강은,
    수직 철근과의 간섭시 삽입이 가능하도록 수직 방향으로 삽입홀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흙막이 벽체가 CIP (Cast In Place Pile)일 경우,
    상기 내부 철골보는,
    ㄱ형강으로서, 상기 수직 H 파일의 양측에 배치된 CIP의 단부와 맞닿도록 양측에 경사지게 결합하는 경사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 철골보의 단부 상측에 결합하는 것으로서,
    일측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띠장 역할을 하도록 수평 플랜지가 각각 상기 흙막이 벽체를 향해 배치되고, 상기 내부 철골보와 수직으로 배치되는 외측 ㄷ형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외측 ㄷ형강은,
    웨브에 상기 흙막이 벽체를 향해 복수의 스터드 볼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측 ㄷ형강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측 ㄷ형강의 일측에 결합하는 지지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KR1020150033547A 2015-03-11 2015-03-11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KR101664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547A KR101664668B1 (ko) 2015-03-11 2015-03-11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3547A KR101664668B1 (ko) 2015-03-11 2015-03-11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0699A true KR20160110699A (ko) 2016-09-22
KR101664668B1 KR101664668B1 (ko) 2016-10-13

Family

ID=571026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3547A KR101664668B1 (ko) 2015-03-11 2015-03-11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46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8350A (zh) * 2017-05-10 2017-07-14 中铁隧道集团四处有限公司 深基坑附属结构的快速施工方法
CN113174962A (zh) * 2021-04-22 2021-07-27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坑底板传力结构及其施工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521A (ko) * 2000-07-14 2002-01-29 조재형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지하구조물 구축방법
KR100531385B1 (ko) 2004-09-17 2005-11-29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KR100634726B1 (ko) * 2005-04-19 2006-10-16 (주)한국건설공법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
KR20080100740A (ko) * 2007-05-14 2008-11-19 (주) 씨엠파트너스 건축사사무소 지하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가설 개방형 판재를 이용한흙막이벽의 역타지지구조 및 이를 적용한 건축물 지하합벽의 연속 시공방법
KR101034853B1 (ko) * 2010-06-22 2011-05-17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흙막이벽의 전면 지지를 통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요철표면 대응형 거푸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7521A (ko) * 2000-07-14 2002-01-29 조재형 건물의 영구 구조부재를 흙막이용 버팀대로 사용하는지하구조물 구축방법
KR100531385B1 (ko) 2004-09-17 2005-11-29 주식회사 한빛구조엔지니어링 매립형 철골띠장과 슬래브 강막작용을 이용하여 지하외벽의 연속시공이 가능하도록 한 지하 구조물 시공방법
KR100634726B1 (ko) * 2005-04-19 2006-10-16 (주)한국건설공법 지하구조물의 슬래브 구축용 구조체와 이를 이용한테두리보가 생략된 슬래브 및 지하옹벽 시공방법
KR20080100740A (ko) * 2007-05-14 2008-11-19 (주) 씨엠파트너스 건축사사무소 지하합벽의 연속시공을 위한 가설 개방형 판재를 이용한흙막이벽의 역타지지구조 및 이를 적용한 건축물 지하합벽의 연속 시공방법
KR101034853B1 (ko) * 2010-06-22 2011-05-17 (주)씨엠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흙막이벽의 전면 지지를 통한 지하구조물의 역타 시공방법 및 이에 이용되는 요철표면 대응형 거푸집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48350A (zh) * 2017-05-10 2017-07-14 中铁隧道集团四处有限公司 深基坑附属结构的快速施工方法
CN113174962A (zh) * 2021-04-22 2021-07-27 上海建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坑底板传力结构及其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4668B1 (ko) 2016-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7495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KR102243984B1 (ko) 자립형 거푸집을 이용한 합벽 순타 시공용 무지주 거푸집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US20060070803A1 (en) Prestressed scaffolding system
KR100968048B1 (ko) 철재 토류판 설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94971A (ko) 지하구조물 역타설 시공방법
KR101107567B1 (ko) Rc 구조물 역타 공법을 위한 보구조체와 수직 강재부재의 접합장치, 전용지지틀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21970B1 (ko) 무가시설 지하구조물 시공방법
KR101805900B1 (ko) 지하구조물 시공용 거푸집 틀을 이용한 지하 구조물의 시공방법
JP2018168600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及びその構築方法
KR101664668B1 (ko) 무띠장 흙막이 벽체 직접 연결 구조
KR101414155B1 (ko) 선반을 이용한 자립식 가시설 흙막이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00113957A (ko) 연결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하구조물 구축방법
KR101908943B1 (ko) Rc 벽체 역타 구조
JP6368584B2 (ja) 基礎の施工方法
JP3958319B2 (ja) プレストレスト仮設工法
US20080075540A1 (en) Underground earth retention strut construction method using horizontal frame structure
KR20190142547A (ko) 개량된 흙막이 띠장 프리스트레스 공법
KR20090101993A (ko) 흙막이 구조물 설치방법
JP5278849B2 (ja) 地下システム仮枠
KR101978766B1 (ko) 벽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KR20210098162A (ko) 주열식 강관 벽체를 이용한 지중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058982B1 (ko) 피에이치씨파일로 구성된 흙막이벽의 층간 보 및 그 시공방법
KR20080103260A (ko) 분리타설을 위한 철근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역타 지지구조
KR101623901B1 (ko) 흙막이 벽체 연결 구조
KR102582018B1 (ko) 철골보 단부 매립형 테두리보를 이용한 철골보 역타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