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2777A - 복합 외장패널 - Google Patents

복합 외장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82777A
KR20170082777A KR1020160001968A KR20160001968A KR20170082777A KR 20170082777 A KR20170082777 A KR 20170082777A KR 1020160001968 A KR1020160001968 A KR 1020160001968A KR 20160001968 A KR20160001968 A KR 20160001968A KR 20170082777 A KR20170082777 A KR 201700827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panel
panel member
outer pane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1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7261B1 (ko
Inventor
이재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충전공영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충전공영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충전공영개발
Priority to KR1020160001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261B1/ko
Publication of KR201700827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27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02Details of connections
    • E04B2002/0243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or keys
    • E04B2002/0247Strips or ba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56Special features of building elements
    • E04B2002/026Splittable build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 외장패널에 관한 것으로, 복합 외장패널을 공장에서 유닛별로 제작하여 설치 장소에서 별도의 작업용 비계를 설치할 필요 없이 건축물 내부에서 조립식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작업용 비계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작업하는 것에 비해 공사 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현장작업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층 슬래브에서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 외장패널{Composite exterior panels}
본 발명은 별도의 작업용 비계를 설치할 필요 없이 건축물 내부에서 조립식으로 시공이 가능하고, 자동차 주차 건축물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외벽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스토퍼 역할 뿐만 아니라, 슬래브 상부에 외벽 콘크리트를 타설시 외부 거푸집 역할을 할 수 있고, 자동차의 외벽 충돌에 의한 추락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복합 외장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주차 건축물을 포함하는 건축물은 외부로 노출되는 바깥쪽 벽면에 주로 페인트를 칠하거나 벽돌 등으로 치장을 하였다.
그러나 최근 들어 건축물의 외벽을 보다 미려하게 장식하려는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하고 건축물의 시공기간을 단축하기 위해 건축물의 벽면 바깥쪽으로 석재 또는 금속재 등과 같은 판 구조물 즉, 외장패널을 고정시키는 시공방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외장패널을 건축물의 벽면에 고정해 주는 방법으로는 크게 습식방법과 건식방법이 있는데, 이 중 습식방법은 거푸집을 설치한 후 그 사이로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여 완성된 바깥쪽 벽면에 앵커 볼트를 고정하고, 브래킷과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하여 앵커 볼트에 외장패널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을 고정하는 방식이고, 건식방법은 금속 등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고정구를 포함하여 수개의 수직 및 수평 프레임 등을 고정 설치한 다음 수직 및 수평 프레임에 다시 브래킷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수직 및 수평 지지바 등을 설치하고 수개의 브래킷과 볼트 및 너트 등을 이용하여 벽면의 바깥쪽에 외장패널을 고정 설치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석재 또는 금속재의 판 구조물인 외장패널은 자체 하중이 무거워 취급이 까다롭고, 별도의 작업용 비계를 설치하여 벽면이 완성된 건축물의 바깥쪽에서 시공해야 하므로 고층의 경우, 고공작업 등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위험요소가 많은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건축물의 벽면에 외장패널을 고정시, 벽면과 외장패널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 볼트 및 너트의 체결작업이 이루어지므로 작업이 까다롭고, 외벽시공과 수선에 많은 노력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28473호(2010.12.08.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복합 외장패널을 공장에서 유닛별로 제작하여, 설치 장소에서 별도의 작업용 비계를 설치할 필요 없이 건축물 내부에서 조립식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작업용 비계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작업하는 것에 비해 공사 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현장작업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층 슬래브에서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복합 외장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지지브라켓이 콘크리트 스토퍼 역할을 하고, 슬래브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시 베이스유닛이 외부 거푸집 역할을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슬래브 및 외벽을 시공할 수 있는 복합 외장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수평 빔에 지지브라켓을 통해 베이스유닛과 하부 외장패널 부재를 결합한 후 베이스유닛에 상부결합유닛을 끼워 고정 시킴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복합 외장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중앙부외장패널부재와 상부외장패널부재 및 하부외장패널부재가 건축물의 외부를 마감하는 외장재 및 추락방지 역할을 함으로써, 건축물의 외벽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외벽 충돌에 의한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복합 외장패널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수평 빔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외측으로 결합되는 패널고정부재; 및 상단부가 상기 패널고정부재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에 결합되는 중앙부외장패널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외장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수평 빔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측면에 결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외측면에 상기 중앙부패널부재가 결합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높이조절 앵글; 및 상단부가 상기 중앙부외장패널부재의 하단부와 겹쳐지도록 상기 높이조절 앵글에 결합되는 하부외장패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외측으로 결합되는 패널고정부재; 및 상단부가 상기 패널고정부재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중앙부외장패널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외장패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 단부 또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며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연결프레임과 결합시, 상기 연결프레임을 감싸며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에 의하면, 복합 외장패널을 공장에서 유닛별로 제작하여 설치 장소에서 별도의 작업용 비계를 설치할 필요 없이 건축물 내부에서 조립식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작업용 비계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작업하는 것에 비해 공사 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현장작업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층 슬래브에서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지지브라켓이 콘크리트 스토퍼 역할을 하고, 슬래브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시 베이스유닛이 외부 거푸집 역할을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슬래브 및 외벽을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평 빔에 지지브라켓을 통해 베이스유닛과 하부 외장패널 부재를 결합한 후 베이스유닛에 상부결합유닛을 끼워 고정 시킴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앙부외장패널부재와 상부외장패널부재 및 하부외장패널부재가 건축물의 외부를 마감하는 외장재 및 추락방지 역할을 함으로써, 건축물의 외벽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외벽 충돌에 의한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빔과 수평 빔에 복합 외장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의 베이스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의 베이스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의 상부결합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의 상부결합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의 하부 외장패널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직 빔과 수평 빔에 복합 외장패널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의 베이스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의 베이스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의 상부결합유닛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의 상부결합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의 하부 외장패널 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를 기준으로 도면상 우측은 외측으로, 이와 반대쪽 도면상 좌측은 내측으로 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100)은, 슬래브(10) 하부에 상측 일부가 접합되는 수평 빔(12); 수평 빔(12)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110); 지지브라켓(110)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32); 지지프레임(132)의 상부에 외측으로 결합되는 패널고정부재(134); 및 상단부가 패널고정부재(134)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지지브라켓(110)에 결합되는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100)은 지지브라켓(110), 베이스유닛(130), 상부결합유닛(230) 및 하부외장패널부재(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지지브라켓(110), 베이스유닛(130), 상부결합유닛(230) 및 하부외장패널부재(16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할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외장패널(100)이 시공되는 대상 건축물은, 벽면을 제외한 층별 바닥 및 천장의 슬래브(10)와 기둥이 갖추어진 형태가 될 수 있고, 슬래브(10)와 기둥 등은 H 빔(beam)을 이용한 철골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복합 외장패널(100)은 건축물의 벽면에도 설치 가능하다는 것 역시 자명할 것이다.
먼저,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브라켓(110)은 측단면이 "ㄴ"자 형상을 갖게 절곡 형성된 것으로, 수평 빔(12)의 상측면에 수평 빔(12)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결합되는 받침부(110a)와, 받침부(110a)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고정부(110b)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지브라켓(110)은 고정부(110b)가 건축물의 외측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수평 빔(12)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것으로, 수평 빔(12)의 상측면에 받침부(110a)가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지지브라켓(110)은 수평 빔(12)에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지지브라켓(110)의 받침부(110a) 상측면에는 베이스유닛(130)의 지지프레임(132)이 수직하게 결합되고, 고정부(110b)의 외측면에는 높이조절 앵글(120)이 결합된다.
여기서, 지지브라켓(110)은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되며, 지지브라켓(110)에 의해 콘크리트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편리하게 슬래브(10)를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높이조절 앵글(120)은 지지브라켓(110)의 고정부(110b) 외측면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결합되는 결합부(120b)와, 결합부(120b)의 상측 단부로부터 외측을 향하도록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지지부(120a)를 포함한다.
여기서, 높이조절 앵글(120)은 결합부(120b)가 지지브라켓(1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브라켓(110)의 고정부(110b) 외측면에 결합부(120b)가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이때, 높이조절 앵글(120)은 지지브라켓(110)에 볼트와 너트 또는 리벳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높이조절 앵글(120)은 지지부(120a)에 설치되는 하부외장패널부재(160)의 위치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지지브라켓(110)의 고정부(110b) 외측면에 결합하게 된다.
베이스유닛(130)은 지지브라켓(110)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132)과, 지지프레임(132)의 상부에 외측으로 결합되는 패널고정부재(134) 및 상단부가 패널고정부재(134)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지지브라켓(110)에 결합되는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를 포함한다.
지지프레임(132)은 중공의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상단부에 끼움홈(138)이 형성되고, 지지브라켓(110)의 받침부(110a) 상측면에 수직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은 지지프레임(132)의 상부 외측면에는 지지프레임(132)과 수직하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패널고정부재(134)가 결합되며, 상단부에는 상부결합유닛(230)의 연결프레임(232)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36)가 결합된다.
패널고정부재(134)는 중공의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프레임(132)의 상부 외측면에 지지프레임(132)과 수직하게 결합되며, 외측 단부에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가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부재(136)는 지지프레임(132)의 일부를 감싸도록 평단면이 대략 "ㄷ" 형상으로 형성되며, 지지프레임(132)의 끼움홈(138)에 끼워져 결합되는 상부결합유닛(230)의 연결프레임(232)을 감싸며 지지하게 된다.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는 강판(steel plate)으로 서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상단부가 패널고정부재(134)에 설치되며, 하단부가 지지브라켓(110) 및 하부외장패널부재(160)의 상단부와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는 수직으로 형성되며, 패널고정부재(134)의 단부를 감싸며 결합되도록 상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된 다음 상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어 삽입홈(142)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의 하단부는 하부외장패널부재(160)의 상단부와 면접하며 결합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된다.
여기서,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는 슬래브(10) 상부에 콘크리트(16)를 타설시 내부 거푸집(미도시)과 함께 외부 거푸집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슬래브(10) 상부에 콘크리트(16)를 타설시 내부 거푸집(미도시)과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에 의해 콘크리트(16)의 흘러내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보강부재(150)가 수직하게 결합되며, 보강부재(150)는 외부 패널부재(300)를 견고히 결합하는 것과 풍압에 의한 하중을 분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하부외장패널부재(160)는 강판(steel plate)으로 횡 방향으로 배치되어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상단부가 높이조절 앵글(120)의 지지부(120a)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하부외장패널부재(160)는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의 하부에 수직으로 형성되며, 높이조절 앵글(120)의 지지부(120a)를 감싸며 결합되도록 상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된 다음 상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어 삽입홈(162)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하부외장패널부재(160)의 하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된 다음 하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내측으로 절곡된 다음 상측으로 절곡되어 하부를 마감하게 된다.
이때, 하부외장패널부재(16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보강부재(150)가 수직하게 결합되며, 보강부재(150)는 외부 패널부재(300)를 견고히 결합하는 것과 풍압에 의한 하중을 분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부결합유닛(230)은 지지프레임(132)의 상부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232)과, 연결프레임(232)의 상부에 외측으로 결합되는 패널고정부재(234) 및 상단부가 패널고정부재(234)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외장패널부재(240)를 포함한다.
연결프레임(232)은 중공의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하단부에 끼움돌기(238)가 형성되고, 끼움돌기(238)가 지지프레임(132)의 끼움홈(138)에 끼워지며 지지프레임(132)의 상단에 결합된다.
이와 같이, 수평 빔(12)에 지지브라켓(110)을 통해 베이스유닛(130)과 하부 외장패널 부재(160)를 결합한 후 베이스유닛(130)에 상부결합유닛(230)을 끼워 고정 시킴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결프레임(232)의 상부 외측면에는 연결프레임(232)과 수직하게 외측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패널고정부재(234)가 결합되며, 상단부에는 상부를 마감하는 마감커버(236)가 결합된다.
패널고정부재(234)는 중공의 사각 파이프 형상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연결프레임(232)의 상부 외측면에 연결프레임(232)과 수직하게 결합되며, 외측 단부에 상부외장패널부재(240)가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연결프레임(232)의 상부에는 두 개의 패널고정부재(234)가 상하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결합되며, 상하 두 개의 패널고정부재(234)에는 상부외장패널부재(240)가 상하로 배치되어 서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마감커버(236)는 연결프레임(232)의 상단부에 결합되어 상부를 마감하게 된다.
상부외장패널부재(240)는 강판(steel plate)으로 서로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상단부가 패널고정부재(234)에 설치되며, 하단부가 하부에 위치한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의 상단부와 결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부외장패널부재(240)는 수직으로 형성되며, 패널고정부재(234)의 단부를 감싸며 결합되도록 상단부는 외측으로 절곡된 다음 상측으로 절곡되고 다시 내측으로 절곡되어 삽입홈(242)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외장패널부재(240)의 하단부는 하부에 위치한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의 상단부와 면접하며 결합되도록 외측으로 절곡된다.
이때, 상부외장패널부재(240)의 일측 또는 양측에는 보강부재(250)가 수직하게 결합되며, 보강부재(250)는 외부 패널부재(300)를 견고히 결합하는 것과 풍압에 의한 하중을 분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 상부외장패널부재(240) 및 하부외장패널부재(160)의 전면에는 장식적인 미감을 더욱 부각시키도록 외부패널부재(300)가 부착된다.
외부패널부재(300)는 알루미늄 박판 등의 비철 박판으로 이루어지되 도장하여 색상을 입히고,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 상부외장패널부재(240) 및 하부외장패널부재(160)의 전면과 동일한 크기로 제작되어 외풍 및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이탈되지 않고 견고히 지지되도록 각 패널부재(140, 240 ,160)에 부착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의 복합 외장패널(100)을 설치하는 순서를 살펴보면,
먼저, 베이스유닛(130), 상부결합유닛(230) 및 하부외장패널부재(160)는 공장에서 기성품으로 미리 제작되며, 제작된 베이스유닛(130), 상부결합유닛(230) 및 하부외장패널부재(160)를 설치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하게 된다.
또한, 베이스유닛(130)의 지지프레임(132) 하단부에 지지브라켓(110)이 결합 되고, 지지브라켓(110)의 고정부(110b) 외측면에 높이조절 앵글(120)이 결합된 상태로 출고된다. 즉, 베이스 유닛(130)의 지지프레임(132), 패널고정부재(134), 지지부재(136), 중앙부 외장패널 부재(140)와 지지브라켓(110) 및 높이조절 앵글(120)이 결합된 상태로 출고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유닛(130)의 지지프레임(132) 하단부에 지지브라켓(110)이 결합된 상태에서 지지브라켓(110)의 받침부(110a)를 수평 빔(12)의 상측면에 용접하여 결합하고,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어서, 높이조절 앵글(120)의 지지부(120a)의 상측면에 하부외장패널부재(160)를 조립한다.
그리고, 베이스유닛(130)의 끼움홈(138)에 연결프레임(232)의 끼움돌기(238)를 끼워 상부결합유닛(230)을 조립한다.
계속해서,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와 나란하게 내측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이격되도록 내부 거푸집을 설치하고, 내부 거푸집과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 사이에 콘크리트(16)를 타설하여 외벽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복합 외장패널(100)을 공장에서 유닛별로 제작하여 설치 장소에서 별도의 작업용 비계를 설치할 필요 없이 건축물 내부에서 조립식으로 시공이 가능하므로 작업용 비계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작업하는 것에 비해 공사 기간을 크게 단축할 수 있고, 현장작업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층 슬래브(10)에서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슬래브 콘크리트 타설시 지지브라켓(110)이 콘크리트 스토퍼 역할을 하고, 슬래브(10) 상부에 콘크리트(16)를 타설시 베이스유닛(130)이 외부 거푸집 역할을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슬래브 및 외벽을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평 빔(12)에 지지브라켓(110)을 통해 베이스유닛(130)과 하부 외장패널 부재(160)를 결합한 후 베이스유닛(130)에 상부결합유닛(230)을 끼워 고정 시킴으로써, 보다 편리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중앙부외장패널부재(140)와 상부외장패널부재(240) 및 하부외장패널부재(160)가 건축물의 외부를 마감하는 외장재 및 추락방지 역할을 함으로써, 건축물의 외벽을 보다 미려하게 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외벽 충돌에 의한 추락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복합 외장패널 110 : 지지브라켓
120 : 높이조절 앵글 130 : 베이스유닛
132 : 지지프레임 134 : 패널고정부재
136 : 지지부재 138 : 끼움홈
140 : 중앙부외장패널부재 150 : 보강부재
160 : 하부외장패널부재 230 : 상부결합유닛
232 : 연결프레임 234 : 패널고정부재
236 : 마감커버 238 : 끼움돌기
240 : 상부외장패널부재 250 : 보강부재
300 : 외부패널부재

Claims (6)

  1. 수평 빔에 결합되는 지지브라켓;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측면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외측으로 결합되는 패널고정부재; 및
    상단부가 상기 패널고정부재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지지브라켓에 결합되는 중앙부외장패널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외장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은,
    상기 수평 빔의 상측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측면에 결합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외측 단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며, 외측면에 상기 중앙부패널부재가 결합되는 고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외장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높이조절 앵글; 및
    상단부가 상기 중앙부외장패널부재의 하단부와 겹쳐지도록 상기 높이조절 앵글에 결합되는 하부외장패널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외장패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연결프레임;
    상기 연결프레임의 상부에 외측으로 결합되는 패널고정부재; 및
    상단부가 상기 패널고정부재에 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중앙부외장패널부재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상부외장패널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외장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측 단부 또는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며 상기 지지프레임과 상기 연결프레임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외장패널.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연결프레임과 결합시, 상기 연결프레임을 감싸며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외장패널.
KR1020160001968A 2016-01-07 2016-01-07 복합 외장패널 KR101887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968A KR101887261B1 (ko) 2016-01-07 2016-01-07 복합 외장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1968A KR101887261B1 (ko) 2016-01-07 2016-01-07 복합 외장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2777A true KR20170082777A (ko) 2017-07-17
KR101887261B1 KR101887261B1 (ko) 2018-08-09

Family

ID=5944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1968A KR101887261B1 (ko) 2016-01-07 2016-01-07 복합 외장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26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0267B1 (ko) * 2021-03-31 2021-10-08 우광티엔씨(주) 유닛블록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1868A (ja) * 1995-11-22 2003-08-08 Clion Co Ltd 建物の壁
KR200438982Y1 (ko) * 2006-12-15 2008-03-14 (주)석철 건물의 내외장형 석재 고정 트러스 구조물
KR20100128473A (ko) 2009-05-28 2010-12-08 (주)부흥석재트러스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1868A (ja) * 1995-11-22 2003-08-08 Clion Co Ltd 建物の壁
KR200438982Y1 (ko) * 2006-12-15 2008-03-14 (주)석철 건물의 내외장형 석재 고정 트러스 구조물
KR20100128473A (ko) 2009-05-28 2010-12-08 (주)부흥석재트러스 건물의 외벽시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261B1 (ko) 2018-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54053B2 (ja) 壁の上部分への設置用の取外し可能な柵
KR101611595B1 (ko) 알루미늄복합패널의 레일형 설치구조
KR101887261B1 (ko) 복합 외장패널
KR101590093B1 (ko) 오픈조인트공법용 기능성 외장마감재 고정장치
KR200324353Y1 (ko) 석재판넬 시공유니트
JP5718624B2 (ja) 腰壁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6970610B2 (ja) 建物の施工方法
KR101422687B1 (ko) 인도교
JP6795940B2 (ja) 接続部材
KR20130012422A (ko) 벽면에 내/외장재로 시공되는 조립식 패널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101222115B1 (ko) 지붕구조물
JP5103108B2 (ja) バルコニー構造及びバルコニーユニット
KR101712851B1 (ko) 건축물의 내,외장패널 고정장치
JP4367940B2 (ja) 軽金属製手摺
JP2012167462A (ja) 仕口部材とこれを用いた仕口構造、並びに鉄骨建築物
JP6265677B2 (ja) 外部張出し構造
JP5259490B2 (ja) ダブルスキンカーテンウォールの構築方法
JP2016199882A (ja) バルコニーにおける手摺取付構造
JP6783038B2 (ja) 建物構造
JP5308168B2 (ja) ユニット式建物
KR20170018147A (ko) 내장재 고정용 클립
JP6835533B2 (ja) 簡易構造物
JP4948993B2 (ja) 延長床付き階段
JP3559536B2 (ja) 家屋の改築工法
JP6464459B2 (ja) 柱脚金具及び柱脚金具を備える建物ユニット並びにその設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