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314A -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19314A
KR20120119314A KR1020110037157A KR20110037157A KR20120119314A KR 20120119314 A KR20120119314 A KR 20120119314A KR 1020110037157 A KR1020110037157 A KR 1020110037157A KR 20110037157 A KR20110037157 A KR 20110037157A KR 20120119314 A KR20120119314 A KR 201201193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frame
fixing
building
fitti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7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선
전인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유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주)유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Priority to KR1020110037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19314A/ko
Publication of KR201201193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93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천장 하부의 적어도 하나의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의 대향부에 상부 끼움홈과 하부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고정프레임과, 이 고정프레임 사이를 횡단하여 결합되도록 양쪽 단부가 상부 끼움홈에 슬라이딩되어 등간격으로 이격 결합된 복수의 지지프레임과, 하부 끼움홈에 단부가 끼워맞춤되어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된 마감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장식재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천장면을 마감재로 마감한 상태에서 장식재 설치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별도의 시공이 불필요하여 건축물의 마감재 시공시간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Structure for fixing ceiling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주택 또는 건축물에서 천장에 마감재를 설치하기 위해 천장면의 하부에 설치하는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장은 상부의 슬래브 구조물을 차폐하고 실내의 미관의 수려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열기의 차단이나 소음의 반사 등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건물의 천장 구조물에 천장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천장 고정물을 시공하고 여기에 천장마감재를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천장마감재를 부착하기 위한 천장틀의 일반적인 구조는, 천장마감재가 부착되는 마감재 부착부재와 이를 지지해 주는 지지부재로 구성되는 바, 마감재 부착부재는 다수개의 가로 프레임 및 세로 프레임이 서로 수평이 맞게 교차 연결되어 짜여진 격자형상의 프레임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부재는 건축물의 천장 슬래브 구조물 또는 벽면의 상단부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마감재 부착부재를 매달아서 지지해 주는 부재로서, 통상 다수개의 달대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천장의 고정구조에서 마감재 부착부재는 금속제 형강재들을 사용하여 천장면의 하부에 가로 및 세로로 교차하면서 결속시킨 격자형상 틀체로 완성되며, 그 자체의 하중과 하면에 부착되는 마감패널의 하중을 지지함은 물론, 천장 슬래브와 마감패널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는 전기배선 및 조명기구 등의 하중을 충분히 지지하는 지지강도를 보유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천장 고정구조물은, 상부 및 하부에 폭방향으로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형강재로서 채널형상의 형강재를 사용하여, 천장면과 마감재 사이의 공간이 확장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격자형상의 천장 고정구조물은 휨강도가 약한 채널형상의 형강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형강재들의 휨에 의한 천장면의 처짐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비교적 큰 단면을 가진 두꺼운 형강재들을 사용해야 하고, 형강재들을 촘촘히 배치해야 하며, 또한 이들의 하중을 지지하여 매달아 두기 위해서는 슬래브에 정착되는 달대부재를 많이 설치해야 하는 구조물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이유로 해서 천장 고정구조물의 전체적인 하중이 크게 늘어나 천장 슬래브에 정착된 달대부재의 결합부위에 하자가 발생될 위험이 있으며, 설치재의 과다한 소모로 인해 자재비용이 증대되고 많은 설치재들을 설치해야 하므로 작업시간이 늘어나 전반적인 공사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조밀하게 설치된 달대부재로 인해 천장면과 슬래브의 사이 공간이 복잡하게 되므로 이 공간에 배치되는 배관, 배선등의 다른 시설물들을 설치하는데 장애가 되며, 유지 및 보수에도 과다한 노력과 비용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고, 형강재들의 자체 강도가 저하되기 때문에 천장 구조물의 변경이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천장 고정구조물의 각 부재들은 시공완료후 해체가 상당히 어렵고, 해체시 각 부재들의 파손이 없이 해체가 거의 불가능하므로, 해체하여 분리된 각 부재들은 재사용할 수 없어 산업폐기물로 처리되어 자원의 낭비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격자형으로 조립되는 상부 및 하부 형강재의 결합시 형강재 사이의 교차부위에 용접작업을 빈번하게 사용하나, 번거로운 용접작업을 비좁은 실내에서 행해야 함으로써, 작업능률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용접가스의 분출로 인해 작업자들의 건강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천장 고정구조물에 마감재로 마감한 상태에서 벽면에 장식재를 설치하기 위한 설치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천장 고정구조물에 별도의 시공작업이 필요하여 건축물의 장식재 시공시간 및 시공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천장면을 마감재로 마감한 상태에서 장식재 설치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별도의 시공이 불필요하여 건축물의 마감재 시공시간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지지프레임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천장 고정구조물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키며, 장식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장식재의 시공시간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사이 및 고정프레임과 마감패널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천장 하부의 적어도 하나의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의 대향부에 상부 끼움홈과 하부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를 횡단하여 결합되도록 양쪽 단부가 상기 상부 끼움홈에 슬라이딩되어 등간격으로 이격 결합된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하부 끼움홈에 단부가 끼워맞춤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된 마감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하부 끼움홈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벽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벽면과의 사이에 장식재를 설치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1개 이상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천장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래킷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공간부에 장식재를 결합하도록 형성된 결합브래킷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상기 상부 끼움홈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상단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하부 끼움홈은, 상기 마감패널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하단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장식재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천장면을 마감재로 마감한 상태에서 장식재 설치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별도의 시공이 불필요하여 건축물의 마감재 시공시간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지지프레임에 고정브래킷을 설치하여 천장면에 고정함으로써, 지지프레임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천장 고정구조물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장식재의 설치를 위한 결합브래킷을 형성함으로써, 장식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장식재의 시공시간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고정프레임의 상부 끼움홈의 상단을 하방으로 절곡하고 하부 끼움홈의 하단을 상방으로 절곡함으로써, 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사이 및 고정프레임과 마감패널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을 나타내는 설치상태도.
도 4는 도 3의 "A"에 대한 확대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을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은 고정프레임(10), 지지프레임(20), 마감패널(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건축물의 천장을 마감재로 마감하게 된다.
고정프레임(10)은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채널부재로서, 천장면(100) 하부의 적어도 하나의 벽면(200)에 고정되며, 상부 끼움홈(11), 하부 끼움홈(13), 결합브래킷(15)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고정프레임(10)은 벽면(200)에 나사못을 사용해서 고정되거나, 벽면(200)에 결합홈을 별도로 형성하여 여기에 고정프레임(10)을 결합시켜 고정되는 것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부 끼움홈(11)은, 마주하는 고정프레임(10) 내부의 대향부 상측에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채널형상의 끼움홈으로서, 지지프레임(20)의 일단이 여기에 끼워맞춤되어 고정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20)이 서로 결합된다.
또한, 상부 끼움홈(11)은, 고정프레임(10)과 지지프레임(20)의 결합시 지지프레임(20)의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상단(12)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하부 끼움홈(13)은, 마주하는 고정프레임(10) 내부의 대향부 하측에 단면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 채널형상의 끼움홈으로서, 상부 끼움홈(11)의 하부에 형성되며 마감패널(30)의 일단이 여기에 끼워맞춤되어 고정프레임(10)과 마감패널(30)이 서로 결합된다.
또한, 하부 끼움홈(13)은, 고정프레임(10)과 마감패널(30)의 결합시 마감패널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하단(14)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하부 끼움홈(13)은, 고정프레임(10)의 하부에 벽면(200)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하부 끼움홈(13)과 벽면(200)과의 사이에 장식재를 설치하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공간부에는 커튼박스나 커튼레일 등을 설치하거나 액자고리 등을 설치하여 벽면(200)에 커튼이나 액자 등과 같은 다양한 장식재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브래킷(15)은, 고정프레임(10)의 하부에 설치된 하부 끼움홈(13)과 벽면(200)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에 커튼이나 액자 등의 장식재를 결합하도록 고정프레임(10)의 하부에 형성된다.
결합브래킷(15)은 하단이 벽면(200)을 향해서 절곡되어 벽면(200)에 접촉되며, 하부 끼움홈(13)과의 대향부위에는 커튼이나 액자 등의 장식재를 결합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끼움홈(13)에도 결합브래킷(15)과의 대향부위에 커튼이나 액자 등의 장식재를 결합하도록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프레임(20)은 단면이 대략 사각형상으로 형성된 관체로서, 고정프레임(10) 사이를 횡단하여 결합되도록 양쪽 단부가 상부 끼움홈(11)에 슬라이딩되어 복수개가 등간격으로 이격 결합된다.
마감패널(30)은 천장을 마감하는 판재형상의 마감부재로서, 고정프레임(1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끼움홈(13)에 단부가 끼워맞춤되어 지지프레임(20)의 하부에 나사못(32)에 의해 결합된 보드판(31)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드판(31)으로는 2매의 석고보드를 겹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보드판(31)의 일단은 고정프레임(10)의 하부 끼움홈(13)에 끼워맞춤되어 결합되며 타단은 나사못(32)에 의해 지지프레임(20)의 하부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보드판(31)의 일단을 고정프레임(10)에 끼워맞춤하고 타단을 지지프레임(20)의 하부에 나사못(32)으로 결합함으로써, 마감패널(30)의 시공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시간을 단축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벽면(200) 사이의 거리가 긴 경우에는 지지프레임(20)의 길이도 길게 설치되므로, 지지프레임(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1개 이상이 설치되어 지지프레임(20)을 천장면(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래킷(40)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브래킷(40)은 상단이 상부 체결구(43)를 사용해서 천장면(100)에 고정되고, 하단이 하부 체결구(42)를 사용해서 지지프레임(20)에 고정되는 보강바아(4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지지프레임(20)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고정브래킷(40)을 사용하여 천장면(100)에 지지프레임(20)을 고정함으로써, 지지프레임(20)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본 실시예의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장식재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부를 형성함으로써, 천장면을 마감재로 마감한 상태에서 장식재 설치공간을 마련하기 위한 별도의 시공이 불필요하여 건축물의 마감재 시공시간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지지프레임에 고정브래킷을 설치하여 천장면에 고정함으로써, 지지프레임의 지지력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천장 고정구조물의 지지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장식재의 설치를 위한 결합브래킷을 형성함으로써, 장식재의 설치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장식재의 시공시간 및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고정프레임의 상부 끼움홈의 상단을 하방으로 절곡하고 하부 끼움홈의 하단을 상방으로 절곡함으로써, 고정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사이 및 고정프레임과 마감패널 사이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 고정프레임 20: 지지프레임
30: 마감패널 40: 고정브래킷

Claims (5)

  1. 천장 하부의 적어도 하나의 벽면에 고정되며, 내부의 대향부에 상부 끼움홈과 하부 끼움홈이 각각 형성된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사이를 횡단하여 결합되도록 양쪽 단부가 상기 상부 끼움홈에 슬라이딩되어 등간격으로 이격 결합된 복수의 지지프레임; 및
    상기 하부 끼움홈에 단부가 끼워맞춤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된 마감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하부 끼움홈이 상기 고정프레임의 하부에 벽면과 이격되도록 형성되어 벽면과의 사이에 장식재를 설치하는 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으로 따라 1개 이상이 설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을 천장면에 고정시키는 고정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은, 상기 공간부에 장식재를 결합하도록 형성된 결합브래킷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끼움홈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을 지지하도록 상단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끼움홈은, 상기 마감패널의 하부면을 지지하도록 하단이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
KR1020110037157A 2011-04-21 2011-04-21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 KR2012011931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157A KR20120119314A (ko) 2011-04-21 2011-04-21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7157A KR20120119314A (ko) 2011-04-21 2011-04-21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9314A true KR20120119314A (ko) 2012-10-31

Family

ID=47286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7157A KR20120119314A (ko) 2011-04-21 2011-04-21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1931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8869A (zh) * 2015-05-28 2015-09-02 广州市广京装饰材料有限公司 天花龙骨结构及安装方法
CN113073771A (zh) * 2021-03-25 2021-07-06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穿孔铝板的阶梯式造型单元设计结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78869A (zh) * 2015-05-28 2015-09-02 广州市广京装饰材料有限公司 天花龙骨结构及安装方法
CN113073771A (zh) * 2021-03-25 2021-07-06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穿孔铝板的阶梯式造型单元设计结构
CN113073771B (zh) * 2021-03-25 2022-08-23 苏州金螳螂建筑装饰股份有限公司 一种穿孔铝板的阶梯式造型单元设计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16974B (zh) 用于插入的框架结构
KR101322409B1 (ko) 유리 커튼 월 지지구조 및 이를 구비하는 유리 커튼 월 시스템
CN107816157B (zh) 一种连续横梁式玻璃幕墙系统
KR20170142582A (ko) 건축물 커튼 월 외장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278673B1 (ko) 천정 마감용 스크린 타입 루버 시공 방법 및 루버 시공 구조체
KR102095789B1 (ko) 외장패널 설치구조
CN207878742U (zh) 一种大跨度无肋全玻璃幕墙安装系统
KR20020061844A (ko) 천정틀의 설치구조
KR20120119314A (ko) 건축물의 천장 고정구조물
KR100903018B1 (ko) 철제 모듈 천정 구조
KR20070035288A (ko) 천장틀 지지구조
KR20120119312A (ko) 건축물의 우물천장 고정구조물
CN111677158A (zh) 一种石材幕墙的入口圆柱石材连接系统
KR20130116786A (ko) 천장패널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JP6145380B2 (ja) 天井構造
RU186046U1 (ru) Конструкция модуля навесных облицовочных панелей
CN205100599U (zh) 洁净手术室的门廊
RU139180U1 (ru) Навесной фасад для отделки зданий и облицовочная панель для него (варианты)
KR101367849B1 (ko) 처짐 방지용 천장패널
JP6304523B2 (ja) 吊り天井構造
JP6152980B2 (ja) 吊り天井構造
KR20110037515A (ko) 공동주택용 천장의 경량틀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10107026A (ko) 스크린 루바 시공용 행거장치
JP6264600B2 (ja) 吊り天井構造
CN201588357U (zh) 一种无焊接外墙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