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874B1 - 고소 작업차량 - Google Patents

고소 작업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874B1
KR102437874B1 KR1020210008585A KR20210008585A KR102437874B1 KR 102437874 B1 KR102437874 B1 KR 102437874B1 KR 1020210008585 A KR1020210008585 A KR 1020210008585A KR 20210008585 A KR20210008585 A KR 20210008585A KR 102437874 B1 KR102437874 B1 KR 102437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detection sensor
telescopic master
work vehicle
sl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8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05788A (ko
Inventor
장진만
장영윤
장세윤
Original Assignee
장진만
장영윤
장세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진만, 장영윤, 장세윤 filed Critical 장진만
Priority to KR1020210008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7874B1/ko
Publication of KR20220105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05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9Other lif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고소 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 주행 가능한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어 작업대를 상하 이동시키는 붐대를 포함하는 고소 작업차량으로서, 본체에는 작업대의 붐대가 연결되어 붐대 및 작업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다단 붐을 갖는 텔레스코픽 마스터가 구비되고, 텔레스코픽 마스터에는 다단 붐의 출입을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제1 감지센서에 의해 다단 붐의 인출이 감지되면 컨트롤러가 본체를 록킹시켜 주행 불가하도록 제어하는 고소 작업차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고소 작업차량{High place working vehicles}
본 발명은 고소 작업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로 작업하는 작업대가 고소의 위치로 높이 조절된 상태에서는 차량의 주행이 불가한 고소 작업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소 작업차량은 높은 위치에서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로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통상 '바스켓' 또는 '버킷'이라고도 하며, 이하에서는 "작업대"로 통칭한다)와, 작업대를 리프팅시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리프팅 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고소 작업차량은 작업대를 높은 위치로 리프팅시킨 상태에서 고층 외벽공사나, 가로등 보수, 간판 설치 등의 고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고소 작업차량에는 고소 작업 중, 전복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아웃트리거가 구비되고, 아웃트리거를 고소 작업차량의 사방으로 펼쳐 설치함으로써 고소 작업차량을 지지 고정하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6439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에서 작업차의 일례인 농업용 고소 작업차량이 제안된 바 있다.
선행기술문헌1에 개시된 종래의 고소 작업차량은, 차량의 상면에 승강 가능하게 설치되어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가 구비되고, 차량의 전방의 양단에는 차량의 하부 지지면적을 확대하는 전방 아웃트리거가 구비되며, 차량의 후방의 양단에는 차량의 지지면적을 확대하는 후방 아웃트리거가 구비된다.
그리고, 전/후방 아웃터리거의 내부에는 지면의 경사나 굴곡에 따라 차량의 수평을 조절하는 수평조절수단이 더 구비돼 있다.
따라서, 종래의 고소 작업차량을 경사진 농사지(農事地, 이하 '지면' 이라 한다)에서 사용할 경우에는, 전방 아웃트리거와 후방 아웃트리거의 인출 및 회전구조를 조정하여 차체를 수평으로 유지한 다음, 작업자가 탑승된 작업대를 상승시켜 고소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고소 작업차량의 이동시는 아웃트리거를 일일이 접었다 펼치는 동작을 반복해야 하므로 기동성이 떨어지고, 수시로 이동과 정지를 반복하면서 고소 작업을 해야 하는 과수 농가에서는 고소 작업차량을 과수 수확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게다가, 종래의 고소 작업차량은 작업대의 높이(위치)와는 관계없이 항상 주행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대가 고소에 위치된 상태로 고소 작업차량이 울퉁불퉁한 노면을 주행하게 되면 높은 무게 중심으로 인해 작업차량이 심하게 흔들리게 되고, 이로 인해 작업차량이 전복되어 작업자가 크게 다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우려가 내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643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작업자가 탑승하는 작업대의 높이 즉 위치에 따라 작업차량의 주행을 제어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고소 작업차량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차량은, 서로 연결된 붐대 및 작업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다단 붐을 갖는 텔레스코픽 마스터를 주행 가능한 본체에 구비한 고소 작업차량으로서, 붐대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구비되고,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은 그 전,후단부가 각각 작업대의 펜스 후면과 말단 붐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구비되는 한편, 말단 붐의 전면에는 고정브라켓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이 고정브라켓에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는 그 양측 단부가 각각 고정브라켓과 작업대에 연결되어 작업대 및 붐대를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가 구비됨으로써,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의해 작업대와 붐대가 일체로 상하로 이동되어 높이 조절되고, 이 상태에서 텔레스코픽 마스터의 말단 붐에서 붐대가 상하로 회전됨에 따라 작업대의 위치를 말단 붐 위로 더 상승시키게 되거나 또는 말단 붐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게 되고, 텔레스코픽 마스터는 초단 붐이 가장 큰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고, 말단 붐은 가장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며, 중단 붐은 초단 붐과 말단 붐 사이의 중간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고, 텔레스코픽 마스터의 초단 붐의 상단부에는 말단 붐의 출입을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제1 감지센서에 의해 말단 붐의 인출이 감지되면 컨트롤러가 본체를 록킹시켜 주행 불가하도록 제어하도록 하고, 텔레스코픽 마스터의 말단 붐의 고정브라켓에 설치되어 붐대의 상부프레임의 측면을 통해 붐대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제2 감지센서에서 붐대의 상방향 회전이 감지되면 컨트롤러가 본체를 저속 주행 가능하도록 제어하되, 본체에는 경사지 주행시 경사도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가 구비되어, 경사지의 경사도가 설정 경사도 이상이면 텔레스코픽 마스터 및 붐대는 하강만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게다가, 제2 감지센서는 붐대의 측면을 감지하도록 구비되고, 붐대가 텔레스코픽 마스터에서 60도 이상 회전되면 저속 주행만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고소 작업차량에 따르면, 주행 가능한 고소 작업차량에 구비되어 고소 작업을 위해 작업자가 탑승하게 되는 작업대를 작업차량에서 상하로 직선 이동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작업대를 상하로 회전시켜 높이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작업 위치에 따른 작업차량의 이동은 작업대의 높이 즉 위치에 따라 제어되어 이동됨으로써, 작업차량의 전복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의 안전을 최대한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차량의 후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차량의 측면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차량에서 텔레스코픽 마스터가 상승 이동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차량에서 작업대의 붐대가 상승 회전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차량의 10도 미만의 경사지에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차량의 10도 이상의 경사지에 정지한 상태에서 작업대가 하강만 되는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차량의 구성 및 작동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차량(10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한편 좌우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크롤러(120)에 의해 주행 가능한 차체 바디 즉 본체(110)와, 본체(110)에서 제자리 회전 및 상하 이동되게 구비되는 작업대(4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고소 작업차량(100)은 작업대(200)를 상방으로 위치 이동시켜 고소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고소 작업차량(100)이 과수 농가에서 주로 사용되는 농업용 고소 작업차량을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이러한 본체(110)에는 동력원 및 동력원에서 발생된 동력을 크롤러(12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이 구비되고, 크롤러(120)는 지면에서 각각 구름되는 바퀴로 대체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고소 작업차량(100)의 작업대(400)는 작업자가 탑승하도록 판재 형상의 발판과, 작업자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발판의 둘레에는 펜스가 구비될 수 있다. 작업대(400)의 펜스는 봉 형상의 프레임들로 구비될 수도 있고, 적정 두께를 갖는 판재나 각형 프레임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펜스의 후면에는 후술될 붐대(300)가 결합되어 구비되며, 그 타측에는 작업자의 출입이 가능하도록 개방되는 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체(110)에는 작업대(400)를 수직 상방 또는 수직 하방으로 이동시키는 텔레스코픽 마스터(200)가 구비되고,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에는 붐대(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붐대(300)의 선단부에는 작업대(400)가 결합되어 구비된다.
텔레스코픽 마스터(200)는 신축 가능한 다단 붐이 구성되되, 다단 붐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상면에 결합되어 구비되는 초단 붐(210,이하 1단 붐)과, 1단 붐(210)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는 중단 붐(211, 이하 2단 붐)과, 2단 붐(211)에 슬라이드 이동되게 결합되는 말단 붐(212, 이하 3단 붐)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다단 붐이 3단 붐까지 구성된 것을 일례로 예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붐의 개수는 얼마든지 증감되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텔레스코픽 마스터(200)는 1단 붐(210)이 가장 큰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고, 3단 붐(212)은 가장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며, 2단 붐(211)은 1단 붐(210)과 3단 붐(212) 사이의 중간 직경을 갖도록 구비된다.
이로써, 직경이 가장 큰 1단 붐(210) 내에 2단 붐(211)이 삽입되어 구비되고, 2단 붐(211) 내에는 3단 붐(212)이 삽입되어 구비되며, 3단 붐(212)에는 후술될 작업대(400)의 붐대(300)가 결합되어 구비된다.
게다가,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내부 즉 3단 붐(212) 내부에는 텔레스코픽 마스터(200)를 신축시키기 위한 실린더 수단(미도시)이 구비되고, 실린더 수단은 본체(110)에 결합되는 실린더본체와, 실린더본체에서 출입되는 한편 3단 붐(212)에 힌지 결합되는 실린더로드를 포함한다.
그리고, 각 붐(210)(211)(212) 사이에는 실린더의 작동시 각 붐을 인출시켜 신장시키거나 각 붐을 인입시켜 축소시키는 인출용 와이어 로프(미도시)와, 인입용 와이어 로프(미도시)가 연결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텔레스코픽 마스터(200)는 실린더 수단이 신장될 시 1단 붐(210) 내에서 3단 붐(212)이 상방으로 인출되어 상승 이동됨과 동시에 2단 붐(211) 역시도 1단 붐(210) 내에서 상방으로 인출되어 상승 이동되고, 실린더 수단이 축소될 시는 3단 붐(212)이 1단 붐(210) 내로 인입되어 하강 이동됨과 동시에 2단 붐(211) 역시도 1단 붐(210) 내로 인입되어 하강 이동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신축되는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3단 붐(212)에는 작업대(400)를 상하로 회전시키기 위한 붐대(30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러한 붐대(300)는 상부프레임(310)과 하부프레임(311)으로 구비되고, 상부프레임(310) 및 하부프레임(311)은 그 전,후단부가 각각 작업대(400)의 펜스 후면과 3단 붐(212)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때, 3단 붐(212)의 전면에는 "ㄴ"자 형상의 고정브라켓(312)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이 고정브라켓(312)에 상부프레임(310) 및 하부프레임(31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부프레임(310)과 하부프레임(311) 사이에는 그 양측 단부가 각각 고정브라켓(312)과 작업대(400)에 연결되어 작업대(400) 및 붐대(300)를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330)가 구비된다.
따라서,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에 의해 작업대(400)와 붐대(300)가 일체로 상하로 이동되어 높이 조절되고, 이 상태에서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3단 붐(212)에서 붐대(300)가 상하로 회전됨에 따라 작업대(400)의 위치를 3단 붐(212) 위로 더 상승시키게 되거나 또는 3단 붐(212)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시키게 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작업대(400)의 높이 조절은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에 의해 신속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높이 조절된 상태에서 작업대(400)의 회전에 의해 미세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에는 다단 붐의 출입을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220)와, 붐대(300)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320)가 구비된다.
이러한 제1 감지센서(220)는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1단 붐(210)에 고정 설치되어 1단 붐(210)에서 상방으로 인출되는 3단 붐(212)의 출입을 감지하도록 구비되고, 제2 감지센서(320)는 3단 붐(212)에 고정 설치되어 3단 붐(212)에서 상하로 회전되는 붐대(300)를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제1,2 감지센서(220)(320)는 근접센서로서, 하강된 3단 붐(212)과 붐대(300)의 밀접 상태에서 온(ON)되어 있다가 3단 붐(212) 및 붐대(300)가 회전되어 이격되면 오프(OFF)되면서 3단 붐(212)의 상방향 인출과 붐대(300)의 상방향 회전을 감지하게 되고, 이의 감지신호를 본체(110)에 구비되는 컨트롤러(미도시)로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제1,2 감지센서(220)(320)에 따라서 컨트롤러가 고소 작업차량(100)의 주행을 제어하게 된다.
즉, 컨트롤러는 제1 감지센서(220)에 의해 3단 붐(212)의 인출 즉 상승이 감지되면(제1 감지센서(220)의 감지신호 오프 상태) 본체(110)의 크롤러(120)를 록킹시켜 주행 불가한 상태로 제어하게 되고, 제2 감지센서(320)에 의해 3단 붐(212)에서 작업대(400)의 붐대(30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상향 회전되면(제2 감지센서(320)의 감지신호 오프 상태) 본체(110)의 크롤러(120)가 저속 주행만 가능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제1,2 감지센서(220)(320)는 리미트 스위치로 대체되어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보다 정밀한 작동 및 제어를 위해서는 근접센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2 감지센서(220)(320)의 구체적인 설치구조를 설명하면, 제1 감지센서(220)는 1단 붐(210)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3단 붐(212)을 가장 밀접한 위치에서 감지하도록 구비되고, 제2 감지센서(320)는 3단 붐(212)의 고정브라켓(312)에 설치되어 고정브라켓(312)에서 회전되는 붐대(300)를 가장 밀접한 위치에서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특히, 제2 감지센서(320)는 고정브라켓(312)에 설치되어 붐대(300)의 측면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되, 구체적으로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감지센서(320)는 붐대(300)를 구성하는 프레임 중 상부프레임(310)의 측면을 감지하도록 구비된다.
물론, 제2 감지센서(320)가 붐대(300)의 하부프레임(311) 측면을 감지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는 작업대(400)를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330)와 유압케이블 및 전선케이블 등이 붐대(300)의 상부프레임(310)과 하부프레임(311) 사이에서 하부로 처짐이 발생되는 점을 감안하여, 제2 감지센서(320)가 하부프레임(311)보다 상부프레임(310)의 측면을 감지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제2 감지센서(320)의 오작동을 최대한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제2 감지센서(320)가 붐대(300)의 상부프레임(310) 측면을 감지함으로써, 상부프레임(310)의 상하 폭에 대응한 폭으로 제2 감지센서(320)의 위치를 고정브라켓(312)에서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부프레임(310)의 상하 폭 내에서는 붐대(300)가 상향 회전되어도 고소 작업차량(100)이 정상 주행 가능하게 된다.
특히, 제2 감지센서(320)의 설치 위치는 붐대(300)의 상부프레임(310)이 제2 감지센서(320)를 넘어가 감지신호가 오프되는 시점이 텔레스코픽 마스터(200)가 신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상으로부터 1.5m의 높이가 되는 시점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때 붐대(300)는 텔레스코픽 마스터(200)로부터 80도 정도로 회전된 상태가 된다.
이에 따라, 붐대(300)가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에서 80도 이상 회전되면 저속 주행만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즉, 붐대(300)가 80도 이상 회전되면 작업대(400)가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높이와 대등한 위치(즉, 텔레스코픽 마스터(200)가 신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지상으로부터 1.5m 이상의 높이)로 구비되어 무게 중심이 높아진 상태로서, 이 상태에서 정상 주행시엔 본체(110)에 큰 흔들림이 발생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작업대(400)에 탑승한 작업자의 움직임에 의해 무게 중심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어 결국에는 고소 작업차량(100)이 전복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텔레스코픽 마스터(200)가 신장되지 않은 원 상태에서 붐대(300)가 80도 이상 회전되면 고소 작업차량(100)은 1㎞/h 미만으로 저속 주행되도록 제어된다.
특히, 상기와 같은 고소 작업차량(100)의 주행 제어는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인출이 1순위 고려 대상이고, 붐대(300)의 회전은 2순위 고려 대상으로 설정된다.
즉, 이는 작업대(400)의 높이를 주 조절하는 구성이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이고,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에 의해 작업대(400)의 높이가 상방향으로 수m 내지 10m 이상으로 높이 조절되어 그만큼 무게중심이 높아져 전복사고의 우려가 크므로 텔레스코픽 마스터(200)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붐대(300)의 회전과는 상관없이 반드시 고소 작업차량(100)의 주행이 불가하도록 제어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고소 작업차량(100)은 경사지를 주행할 수 있고, 본체(110)에는 경사지 주행시 경사도를 측정하여 표시할 수 있는 자이로센서(미도시)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고소 작업차량(100)의 경사지 주행시 경사지의 경사도(θ2)가 10도 이상인 경우는 도 6에서와 같이 컨트롤러에 의해 텔레스코픽 마스터(200) 및 붐대(300)는 상승되지 않고 하강만 이루어지도록 제어된다.
따라서, 경사지에선 작업대(400)의 상승을 원천 차단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더욱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즉, 고소 작업차량(100)이 경사지에 정지된 상태에서의 작업시 작업대(40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바, 이러한 작업대(400) 상하 이동은 도 5에서와 같이 10도 미만의 경사도(θ1)를 갖는 경사지(θ1)에서 고소 작업차량이 정지한 상태에서만 이루어지고, 10도 이상의 경사도(θ2)를 갖는 경사지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작업대(400)의 상승은 불가하고 하강만 가능하도록 제어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소 작업차량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고소 작업차량(100)은 리모컨이나 조이스틱 등과 같은 조정장치의 조작을 통해 주행 및 작업대(400)의 승강 등 전반적인 작동을 할 수 있다.
특히, 고소 작업차량(100)의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와 붐대(300)가 완전히 하강된 원 상태에서는 제1,2 감지센서(220)(320)가 온 감지된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는 고소 작업차량(100)이 정상 주행이 가능하므로 작업 장소까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는 기동성이 확보된다.
그리고, 작업 장소로 이동된 고소 작업차량(100)은 정지되고, 정지된 상태에서만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1단 붐(210)에서 2,3단 붐(211)(212)이 도 3에서와 같이 인출되어 그 길이가 신장될 수 있으며, 제일 높이 올라가는 텔레스코픽 마스터(200)의 3단 붐(212)에 붐대(300)로서 연결된 작업대(400)를 과수 높이까지 신속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작업하고자 하는 과수 높이까지 올라간 작업대(400)를 도 4에서와 같이 3단 붐(212)에서 작업대(400)를 상방으로 회전시켜 작업대(400)의 높이를 정밀 조정하여 고소의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1,2 감지센서(220)(320)가 오프 감지된 상태로서 고소 작업차량(100)은 이동 불가한 상태로 고정되므로 작업을 안전하게 할 수 있고, 작업 후 이동하고자 할 시에도 텔레스코픽 마스터(200)가 인출돼 있기 때문에 고소 작업차량(100)의 이동은 계속해서 불가한 상태이다.
따라서, 고소 작업차량(100)의 이동을 위해서는 반드시 텔레스코픽 마스터(200)를 완전히 하강시켜 3단 붐(212)이 1단 붐(210)에 설치돼 있는 제1 감지센서(220)에 온 감지된 상태에서만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도 제2 감지센서(320)가 오프 감지된 상태면, 고소 작업차량(100)은 저속 주행만 가능하게 되고, 제2 감지센서(320)가 온 감지된 상태면 작업대(400)가 안전한 위치로 하강된 상태이므로 정상 주행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와 같은 고소 작업차량(100)은 경사지에서도 주행 가능하고, 경사지에서도 정지된 상태에서 작업대(40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만, 도 5에서와 같이 경사지의 경사도가 10도 미만인 경우(θ1)에는 고소 작업차량(100)이 정지한 상태에서만 작업대(400)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고, 도 6에서와 같이 경사지의 경사도가 10도 이상인 경우(θ2)에는 작업대(400)의 상승 이동은 불가하고 하강 이동만 가능하도록 제어되므로 작업대(400)에 탑승한 작업자를 차량 전복 등의 안전사고로부터 보다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작업차량 110 : 본체
120 : 크롤러 200 : 텔레스코픽 마스터
210,211,212 : 붐 220 : 제1 감지센서
300 : 붐대 310,311 : 프레임
312 : 고정브라켓 320 : 제2 감지센서
330 : 유압실린더 400 : 작업대
θ1 : 경사지의 10도 미만 경사도
θ2 : 경사지의 10도 이상 경사도

Claims (4)

  1. 서로 연결된 붐대 및 작업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다단 붐을 갖는 텔레스코픽 마스터를 주행 가능한 본체에 구비한 고소 작업차량으로서,
    붐대는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으로 구비되고,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은 그 전,후단부가 각각 작업대의 펜스 후면과 말단 붐의 전면에 힌지 결합되어 구비되는 한편, 말단 붐의 전면에는 고정브라켓이 고정되게 구비되고, 이 고정브라켓에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되며, 상부프레임과 하부프레임 사이에는 그 양측 단부가 각각 고정브라켓과 작업대에 연결되어 작업대 및 붐대를 회전시키는 유압실린더가 구비됨으로써, 텔레스코픽 마스터에 의해 작업대와 붐대가 일체로 상하로 이동되어 높이 조절되고, 이 상태에서 텔레스코픽 마스터의 말단 붐에서 붐대가 상하로 회전됨에 따라 작업대의 위치를 말단 붐 위로 더 상승시키게 되거나 또는 말단 붐보다 낮은 위치로 하강시킬 수 있게 되고,
    텔레스코픽 마스터는 초단 붐이 가장 큰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고, 말단 붐은 가장 작은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며, 중단 붐은 초단 붐과 말단 붐 사이의 중간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고,
    텔레스코픽 마스터의 초단 붐의 상단부에는 말단 붐의 출입을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제1 감지센서에 의해 말단 붐의 인출이 감지되면 컨트롤러가 본체를 록킹시켜 주행 불가하도록 제어하도록 하고,
    텔레스코픽 마스터의 말단 붐의 고정브라켓에 설치되어 붐대의 상부프레임의 측면을 통해 붐대의 회전을 감지하는 제2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제2 감지센서에서 붐대의 상방향 회전이 감지되면 컨트롤러가 본체를 저속 주행 가능하도록 제어하되,
    본체에는 경사지 주행시 경사도를 감지하는 자이로센서가 구비되어, 경사지의 경사도가 설정 경사도 이상이면 텔레스코픽 마스터 및 붐대는 하강만 이루어지도록 구비되는 고소 작업차량.
  2. 청구항 1에 있어서,
    제2 감지센서는 붐대의 측면을 감지하도록 구비되고, 붐대가 텔레스코픽 마스터에서 60도 이상 회전되면 저속 주행만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고소 작업차량.
  3. 삭제
  4. 삭제
KR1020210008585A 2021-01-21 2021-01-21 고소 작업차량 KR102437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585A KR102437874B1 (ko) 2021-01-21 2021-01-21 고소 작업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8585A KR102437874B1 (ko) 2021-01-21 2021-01-21 고소 작업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88A KR20220105788A (ko) 2022-07-28
KR102437874B1 true KR102437874B1 (ko) 2022-09-01

Family

ID=8260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8585A KR102437874B1 (ko) 2021-01-21 2021-01-21 고소 작업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87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599A (ja) * 1999-03-19 2000-09-26 Aichi Corp ブーム式作業車の安全装置
JP2001130895A (ja) * 1999-10-29 2001-05-15 Aichi Corp 自走式高所作業車の走行制御装置
JP2010222134A (ja) * 2009-03-25 2010-10-07 Daimei Kk 高所作業自動車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62297Y2 (ja) * 1992-05-28 1998-02-10 ヤンマー農機株式会社 高所作業車に於けるアーム位置による車速制御装置
KR101046439B1 (ko) 2008-10-31 2011-07-05 한아에쎄스 주식회사 농업용 덤프겸용 고소작업차량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4599A (ja) * 1999-03-19 2000-09-26 Aichi Corp ブーム式作業車の安全装置
JP2001130895A (ja) * 1999-10-29 2001-05-15 Aichi Corp 自走式高所作業車の走行制御装置
JP2010222134A (ja) * 2009-03-25 2010-10-07 Daimei Kk 高所作業自動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05788A (ko) 2022-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04286B2 (en) Motorized scaffold with displaceable worker support platform
KR101213713B1 (ko) 고소작업차의 붐대 제어장치
KR101046439B1 (ko) 농업용 덤프겸용 고소작업차량
US1345304A (en) Derrick for vehicles
KR102073180B1 (ko) 농업용 고소차
US9598902B2 (en) Aerial ladder truck
KR100907727B1 (ko) 송전탑 설치용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CN209942205U (zh) 建筑施工吊篮
KR102038526B1 (ko) 틸팅 및 롤링 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
KR20170113897A (ko) 사다리차 운반카의 각도 제어장치
KR102437874B1 (ko) 고소 작업차량
KR101473434B1 (ko)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KR102646249B1 (ko) 확장형 아웃트리거를 갖는 고소 작업차량
KR101765421B1 (ko) 틸팅 가능한 작업대를 갖는 고소작업차
KR102612322B1 (ko) 4방향 확장형 아웃트리거를 갖는 고소 작업차량
KR200497469Y1 (ko) 천장 구조물 설치용 리프팅 장치
JP5719143B2 (ja) 高所作業車
JP5944722B2 (ja) 高所作業車
KR200306657Y1 (ko)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KR102390718B1 (ko) 고소 작업차
CN110526141A (zh) 一种快速架设塔式起重机的起重臂翻折装置
CN210888950U (zh) 一种隧道施工台车
JP3923362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US3339669A (en) Platform assembly for a crane
JP3068419B2 (ja) 高所作業車の安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