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74642B1 -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 Google Patents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74642B1
KR101074642B1 KR1020090076564A KR20090076564A KR101074642B1 KR 101074642 B1 KR101074642 B1 KR 101074642B1 KR 1020090076564 A KR1020090076564 A KR 1020090076564A KR 20090076564 A KR20090076564 A KR 20090076564A KR 101074642 B1 KR101074642 B1 KR 1010746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sket
base frame
corrugated pipe
lifesa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6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19024A (ko
Inventor
김학인
조의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광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광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광림
Priority to KR1020090076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746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19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9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46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46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66F11/046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of the telescoping typ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2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sliding-ropes, sliding-poles or chutes, e.g. hoses, pipes, sliding-grooves, sliding-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는, 전복 방지를 위한 아웃트리거가 마련되는 차량부; 인명 구조를 위하여 화재 지점이 위치한 높이까지 신장되는 신축 붐을 구비한 크레인부; 상기 신축 붐의 단부에 장착되며 인명의 탑승 공간이 되는 바스켓부; 상기 바스켓부 및 지면을 연결하는 주름 구조의 관이며, 상기 바스켓부에 수용된 인명을 지면으로 낙하시키는 통로가 되는 주름관;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HIGH PLACE CRANE FOR SAVING LIFE}
본 발명은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고가 사다리 소방차 및 굴절탑 소방차는 화재 현장까지 진입 가능하나 한번에 바스켓에 탑승할 수 있는 인원에 제한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고가 사다리 소방차의 경우, 붐대를 접고 펼 필요는 없으나 바스켓이 붐대를 타고 승강됨으로써 바스켓에 탑승된 인원을 지상까지 내려 안전하게 구조한 후 다시 화재 지점까지 바스켓이 올라가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구조 작업에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과 한정된 시간 내에 구조할 수 있는 인원에 제한이 있었다.
한편, 굴절탑 소방차는 바스켓이 붐대를 타고 이동되지 않으므로 바스켓을 지면까지 내리기 위해서는 붐대를 접고 펴는 동작을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고가 사다리 소방차보다 시간 소모가 더욱 큰 단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고가 사다리 소방차 및 굴절탑 소방차는 붐의 구조와 강도 측면에서 탑승 인원의 제한은 물론 넓은 구조 작업 범위를 확보하기 어렵다. 더욱이, 유독가스로 인해 화재현장에 가까이 접근하는데 제한이 있기 때문에 구조작업의 어려움은 배가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바스켓의 크기가 작더라도 단위 시간에 구조할 수 있는 인명 수가 획기적으로 증가되고, 바스켓이 붐을 따라 이동되거나 붐의 신축이나 폴딩 없이도 구조된 인명을 안전하게 지상으로 내려보낼 수 있는 특수한 구조의 바스켓부를 구비한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는, 전복 방지를 위한 아웃트리거가 마련되는 차량부; 인명 구조를 위하여 화재 지점이 위치한 높이까지 신장되는 신축 붐을 구비한 크레인부; 상기 신축 붐의 단부에 장착되며 인명의 탑승 공간이 되는 바스켓부; 상기 바스켓부 및 지면을 연결하는 주름 구조의 관이며, 상기 바스켓부에 수용된 인명을 지면으로 낙하시키는 통로가 되는 주름관; 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고가 사다리 소방차가 한 번에 바스켓에 탑승할 수 있는 인원의 제한이 있던 문제점을 개선하여 탈출구를 통하여 인명이 대피하는 한 바스켓부에는 무제한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인명 구조 작업시 종래의 고가 사다리 소방차와 같이 바스켓이 상하로 승강될 필요가 없고 종래의 굴절탑 소방차와 같이 붐을 접었다 펴는 반복적인 동작이 불필요하므로 작업 시간이 단축되어 단위 시간당 많은 인명을 구조할 수 있다.
또한, 바스켓부의 구조가 접철식으로 되어 있으며 주름관이 신축 가능한 주름 구조의 플렉시블 관이므로 필요한 경우 적은 부피로 접혀질 수 있다. 따라서, 고소 작업차의 주행시 또는 주차시 공기 저항이나 점유 공간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신장시 길이가 고층 건물의 높이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을 정도로 긴 주름관을 바스켓부에 연결해 두더라도 바스켓부 및 주름관을 접으면 점유 공간이 대폭 축소되므로 장비의 운용성이 뛰어나다.
본 발명은 화재시 고가 건물의 인명구조를 목적으로 하는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에 관한 것이다. 인명구조용 고소 작업차의 구조는 차대, 서브프레임 및 아우트리거, 선회대, 신축식 붐대, 구조용 접이식 바스켓, 축류형 송풍기, 구조용 주름관, 쿠션 매트 등으로 구성된다. 차대는 장비를 화재 및 재난장소로 장비를 이동시켜주며, 서브프레임 및 아우트리거는 지면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구조작업시에 장비의 전복을 방지한다.
선회대는 붐대 및 이에 연결된 구조용 바스켓의 선회동작을 가능하게 하고 붐대를 견고하게 지지해주며, 신축식 붐대는 다단의 신축용 구조물 및 실린더, 체인등의 기계장치로 구성되어 고가건물의 화재현장에 진입해 인명을 구조할 수 있다.
또한 구조용 바스켓에는 축류형 송풍기와 지면까지 연결되는 구조용 주름관이 설치되어 있으며, 축류형 송풍기는 구조 작업시에 유독가스의 유입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게 되고 구조용 주름관은 특수 신축성 직물로 제작되어 구조된 인명이 바스켓에서 주름관 내부를 통해 지면까지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구조용 주름관은 신축성이 높은 특수한 재질과 충격흡수 구조로 제작되어 구조 인명의 이동시 급격한 자연낙하를 방지하고 사람의 몸무게에 의한 자연 하강으로 안전한 이동이 가능하다.
또한 지면과 맞닿는 구조용 주름관의 끝단에는 쿠션매트를 설치하고 구조인 명이 주름관을 통해 낙하시 충격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안전한 구조작업이 가능하다.
인명 구조용 고소작업차의 장점으로는 기존의 구조장비에 비해 단시간에 많은 인원의 구조가 가능하며, 구조시 유독가스에 의한 질식사를 미연에 방지하고, 20층 이상의 고가건물에서도 구조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협소한 공간에서도 장비의 설치가 가능하고, 일단 장비가 설치된 후부터는 장비의 작동 없이도 계속적인 인명구조가 가능하여 긴박한 화재현장에서 많은 인명을 구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를 이용한 인명 구조 작업 방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스켓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스켓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스켓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스켓부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며, 본 발명의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는 차량부(100), 크레인부(200), 바스켓부(300), 주름관(400)을 포함한다.
차량부(100)는 인명 구조 작업시 크레인부(200)가 신장됨에 따라 고소 작업차가 전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고소 작업차의 폭방향으로 펼쳐지며, 고소 작업차의 하중을 지지한다.
크레인부(200)는 고층 건물(10)에 화재 발생시 인명 구조를 위하여 화재 지점이 위치한 높이까지 신장됨으로써, 바스켓부(300)를 소정 높이로 이동시키는 신축 붐(201)을 구비한다. 신축 붐(201) 및 차량부(100)는 선회대(202)로 연결되며, 선회대(202)의 회전에 따라 신축 붐(201) 및 신축 붐(201)의 말단에 설치된 바스켓부(300)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다.
바스켓부(300)는 신축 붐(201)의 단부에 장착되며, 구조된 인명 및 소방수의 탑승 공간이 된다. 바스켓부(300)는 베이스 프레임(310)과, 탈출구 프레임(340)과, 송풍 프레임(320)과, 보호 프레임(330a,330b)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한다.
베이스 프레임(310)은 신축 붐(201)에 연결되며 바스켓부(300)의 기본 골격에 해당하는 플레이트 형상의 구조물이다. 신축 붐(201)에 대하여 인명 구조 지점을 향하여 바스켓부(300)가 회전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하여 베이스 프레임(310)은 신축 붐(2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베어링(203) 및 베어링(20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고정부(311)가 베이스 프레임(310) 및 신축 붐(201)의 단부에 각각 마련되어, 베이스 프레임(310)은 신축 붐(2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바스켓부(300)에 구조된 인명이 주름관(400)을 통하여 탈출할 수 있도록 주름관(400)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탈출구(341)가 탈출구 프레임(340)의 중앙에 천공된다. 탈출구 프레임(340)은 베이스 프레임(310)의 주변으로 연장되며, 고소 작업차의 이동시 접촉 간섭이나 공기 저항을 줄일 수 있도록 접철식으로 마련된다.
즉, 탈출구 프레임(340)은 베이스 프레임(310)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탈출구 프레임(340)이 베이스 프레임(310)의 상측에 포개지면 탈출구(341)에 연결된 주름관(400)이 탈출구 프레임(340)의 상측에 접혀짐으로써 주름관(400) 및 탈출구 프레임(340)의 점유 공간이 축소된다.
송풍 프레임(320)은 후술하는 팬(321)이 설치되는 구조물로서, 인명 구조 작업시 베이스 프레임(310) 또는 상기 탈출구 프레임(340)에 직립 자세로 연결된다. 반면에 고소 작업차의 이동시 송풍 프레임(320)은 베이스 프레임(310)에 겹쳐짐으로써 점유 공간을 줄인다. 이와 같이 송풍 프레임(320)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 프레임(310)에 접철된다. 즉, 보호 프레임(330a,330b)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베이스 프레임(310)에 접철된다.
보호 프레임(330a,330b)은 바스켓부(300)에 구조된 인명이 바스켓부(300)의 외측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 장치이다. 화재 작업시, 보호 프레임(330a,330b)은 베이스 프레임(310), 탈출구 프레임(340), 송풍 프레임(320)의 주변에 설치되어 인명의 낙하를 방지한다.
주름관(400)은 바스켓부(300) 및 지면을 연결하는 통로로서, 구조된 인명을 지면으로 탈출시키는 수단이다. 주름관(400)은 주름 구조의 플렉시블한 관으로서 고소 작업차의 이동시 접촉 간섭을 줄이기 위하여 그 길이 방향으로 접철 가능한 구조를 취한다.
주름관(400)의 일단부는 바스켓부(300)의 바닥면에 개구되어 인명의 탈출 통로가 되는 탈출구(341)와 연결되며, 주름관(400)의 타단부는 지면에 마련되어 인명의 낙하 충격을 줄여주는 쿠션 매트(20)와 대면된다.
한편, 화재시 열기 및 유독 가스로 인하여 바스켓부(300)에 구조된 인명이 피해를 입을 수 있으므로 열기 또는 가스를 차단하는 팬(321)이 바스켓부(300)에 마련된다. 팬(321)은 바스켓부(300)의 외측 방향, 즉 화재가 발생한 고층 건물(10) 방향을 향하는 공기 유동을 생성하여 화재 지점에서 발생한 열기 또는 가스가 바스켓부(3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러한 인명 보호용 공기 유동의 흐름을 더욱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송풍관(322)이 마련된다. 송풍관(322)은 주름 구조의 접철 가능한 플렉시블 재질의 관으로서, 일단부는 팬(321)을 감싸고 타단부는 화재 지점을 향하여 개구된다. 송풍관(322)은 팬(321)에서 생성된 공기 유동을 바스켓부(300)의 외측으로 유도하는 기능을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 프레임(310), 송풍 프레임(320), 탈출구 프레임(340), 보호 프레임(330a,330b)이 서로 포개진 상태가 도시된다. 이를 참조하면, 베어링 고정부(311)를 구비한 베이스 프레임(310)의 상측에 송풍 프레임(320) 및 보호 프레임(330a,330b)이 접혀지고, 그 위에 탈출구 프레임(340)이 접혀진다. 탈출구 프레임(340)의 상측에는 주름관(400)이 접혀진 상태로 올려진다. 주름관(400)의 길이를 생각하면 주름관(400)이 연결된 탈출구 프레임(340)이 바스켓부(300)의 최상측에 놓여져야 하므로, 송풍 프레임(320) 및 보호 프레임(330a,330b)이 탈출구 프레임(340) 및 베이스 프레임(310) 사이에 개재되는 구조로 바스켓부(300)가 접혀진다. 따라서, 고소 작업차의 주행시 공기 저항에 의한 바스켓부(3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고 주차시 점유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를 이용한 인명 구조 작업 방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스켓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스켓부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스켓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스켓부의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건물 20...쿠션 매트
100...차량부 110...아웃트리거
200...크레인부 201...신축 붐
202...선회대 203...베어링
300...바스켓부 310...베이스 프레임
311...베어링 고정부 320...송풍 프레임
321...팬 322...송풍관
330a,330b...보호 프레임 340...탈출구 프레임
341...탈출구 400...주름관

Claims (9)

  1. 전복 방지를 위한 아웃트리거가 마련되는 차량부;
    인명 구조를 위하여 화재 지점이 위치한 높이까지 신장되는 신축 붐을 구비한 크레인부;
    상기 신축 붐의 단부에 장착되며 인명의 탑승 공간이 되는 바스켓부;
    상기 바스켓부 및 지면을 연결하는 주름 구조의 관이며, 상기 바스켓부에 수용된 인명을 지면으로 낙하시키는 통로가 되는 주름관을 포함하며,
    상기 바스켓부의 외측을 향하는 공기 유동을 생성하는 팬이 상기 바스켓부에 마련되어 상기 화재 지점에서 발생한 열기 또는 가스가 상기 바스켓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며,
    일단부는 상기 팬을 감싸고 타단부는 상기 화재 지점을 향하여 개구되는 송풍관이 상기 바스켓부에 마련되어 상기 팬에서 생성된 공기 유동을 상기 바스켓부의 외측으로 유도하는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관의 일단부는 상기 바스켓부의 저면에 개구된 탈출구와 연결되며, 상기 주름관의 타단부는 쿠션 매트와 대면되는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스켓부는,
    상기 신축 붐에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주름관이 연결되는 탈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주변으로 연장되는 탈출구 프레임과,
    상기 바스켓부의 외측을 향하는 공기 유동을 생성하는 팬이 설치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 또는 상기 탈출구 프레임에 연결되는 송풍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기 탈출구 프레임, 상기 송풍 프레임의 주변에 설치되어 인명의 낙하를 방지하는 보호 프레임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6. 제5항에 있어서,
    베어링 및 상기 베어링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 고정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신축 붐에 각각 마련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신축 붐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 프레임 및 상기 보호 프레임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접철되는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구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상기 탈출구 프레임이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포개지면 상기 주름관이 상기 탈출구 프레임의 상측에 접혀짐으로써 상기 주름관의 점유 공간이 축소되는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 붐 및 상기 차량부는 선회대로 연결되며, 상기 선회대의 회전에 따라 상기 신축 붐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KR1020090076564A 2009-08-19 2009-08-19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KR1010746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564A KR101074642B1 (ko) 2009-08-19 2009-08-19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6564A KR101074642B1 (ko) 2009-08-19 2009-08-19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024A KR20110019024A (ko) 2011-02-25
KR101074642B1 true KR101074642B1 (ko) 2011-10-19

Family

ID=43776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6564A KR101074642B1 (ko) 2009-08-19 2009-08-19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746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376B1 (ko) * 2018-08-24 2018-12-28 류시열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KR20200072873A (ko) * 2018-12-13 2020-06-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36173A (zh) * 2018-09-08 2019-01-18 天津大学 一种带送风装置的梯子
CN116675162B (zh) * 2023-07-19 2023-11-17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霍山县供电公司 一种智能输配电系统用高安全性高空作业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4099A (en) * 1975-06-05 1976-12-10 Shin Meiwa Ind Co Ltd High place operation vehicle
US4099595A (en) 1976-04-20 1978-07-11 Thomas Ray Tracy Escape device
US4240520A (en) 1979-01-29 1980-12-23 Lagrone Janet L Hi rise escape tunnels and slide
WO1998057708A1 (en) * 1997-06-04 1998-12-23 Esko Raappana Boom apparatus for fire and rescue u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4099A (en) * 1975-06-05 1976-12-10 Shin Meiwa Ind Co Ltd High place operation vehicle
US4099595A (en) 1976-04-20 1978-07-11 Thomas Ray Tracy Escape device
US4240520A (en) 1979-01-29 1980-12-23 Lagrone Janet L Hi rise escape tunnels and slide
WO1998057708A1 (en) * 1997-06-04 1998-12-23 Esko Raappana Boom apparatus for fire and rescue use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3376B1 (ko) * 2018-08-24 2018-12-28 류시열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KR20200072873A (ko) * 2018-12-13 2020-06-23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
KR102181244B1 (ko) * 2018-12-13 2020-11-20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탈출구가 구비된 소방 바스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9024A (ko) 2011-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8968B2 (en) Transportable rescue conveyer
KR101074642B1 (ko) 인명 구조용 고소 작업차
KR101933376B1 (ko)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KR101054379B1 (ko) 인명구조용 굴절붐과 인명구조용 고가 사다리가 일체로 구비된 소방차
US9260916B1 (en) Combination fire-truck ladder and slide
JP2008113743A (ja) 伸縮式タワーおよびタワークレーン
JP2008214983A (ja) 昇降式移動足場
JPH04244173A (ja) 移動式クレーン車に取付け可能な踊り場
CN215136145U (zh) 一种超高空消防救援系统
KR100849712B1 (ko) 인명구조용 안전매트차량
JP3002079B2 (ja) 伸縮式タワー
US20070267249A1 (en) Roof safety system
CN211873752U (zh) 一种建筑墙体施工防护装置
CN113244541A (zh) 一种超高空消防救援系统及其救援方法
JP4210324B2 (ja) 伸縮式タワー
US4869345A (en) Radome ladder
KR200306657Y1 (ko) 고소작업차의 전복방지장치
CN2686581Y (zh) 滑梯式救护车
KR102536517B1 (ko) 크레인 차량
CN215136144U (zh) 一种超高空救援装置
RU2236271C2 (ru) Пожарная машина
KR200209814Y1 (ko) 인명구조용 보조사다리 시스템이 구비된 고가사다리 소방차
JPH04364864A (ja) 伸縮式タワー
CN214787132U (zh) 一种折叠式自助救援扶梯
KR19990084582A (ko) 사다리 소방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