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1021B1 -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11021B1
KR100611021B1 KR1020040112177A KR20040112177A KR100611021B1 KR 100611021 B1 KR100611021 B1 KR 100611021B1 KR 1020040112177 A KR1020040112177 A KR 1020040112177A KR 20040112177 A KR20040112177 A KR 20040112177A KR 100611021 B1 KR100611021 B1 KR 100611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om
crane
ground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21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73778A (ko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대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 (주) filed Critical 대호 (주)
Priority to KR10200401121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11021B1/ko
Priority to PCT/KR2005/002128 priority patent/WO2006009356A1/en
Publication of KR200600737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737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11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11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4Jib-cran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tandard vehicles, e.g. agricultural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 B60P1/5471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cranes for self-loading or self-unloading the crane being detachable from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6Cranes in which the lifting movement is done with a hydraulically controlled plunger
    • B66C2700/062Cranes in which the lifting movement is done with a hydraulically controlled plunger mounted on motor vehicles
    • B66C2700/065Cranes in which the lifting movement is done with a hydraulically controlled plunger mounted on motor vehicles with a slewable ji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간단하게 조립 설치되며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크레인 본래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고, 적재함 공간 잠식을 줄이는 한편 자력으로 적재함에서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한 구조의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착탈식 미니 크레인은, 화물을 차량의 적재함에 상하차 할 수 있도록 전후 동작 및 상하 동작을 하는 붐대와 상기 붐대를 회동시키는 회동축과 상기 붐대 및 회동축을 각각 동작시키는 유압실린더들로 이루어진 크레인부와, 상기 크레인부를 차량 적재함에 고정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와, 차량을 지면에 지지시키는 아우트리거로 이루어진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유압실린더 등으로 구성된 회동장치에 의하여 회동되고, 상기 아우트리거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신축되는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양단에서 지면에 접지 및 분리되도록 신축되는 수직지지대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베이스는 상기 회동장치 및 상기 수평지지대를 함께 수용하는 중공 프레임과 상기 중공 프레임 양단에서 연장되는 측면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크레인, 붐대, 회동축, 링크, 하부베이스, 아우트리거, 지지대, 걸림부재

Description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 방법{DETACHABLE MINI CRANE FOR VEHICLE AND DETACHABLE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요부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에서 아우트리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를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6a 내지 도6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이 화물을 상하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이 차량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크레인부 10 : 제1 붐대
11 : 제1 붐대의 제1 축 12 : 제1 붐대의 제2 축
13 : 제1 브래킷 20 : 제2 붐대
21 : 제2 브래킷 22 : 후크
30 : 회동축 31 : 스프로킷
35 : 회동장치 36 : 체인
37 : 장력조절구 38 : 아이들롤러
40 : 제1 유압실린더 42 : 제2 유압실린더
44 : 제3 유압실린더 50 : 제1 링크부재
52 : 제2 링크부재 50a, 50b, 52a, 52b, 52c : 연결점
200 : 하부베이스 210 : 중공 프레임
211 : 공간부 215 : 고정편
216 : 결합공 220 : 측면 프레임
240 : 지지포스트 300 : 아우트리거
310 : 수평지지대 320 : 수직지지대
321 : 결합부 322 : 지지축
323 : 접지판 340 : 걸림부재
350 : 걸림편 400 : 유압발생장치
500 : 적재함 501 : 차체프레임
502 : 적재함 뒷문
본 발명은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현장에서 소형 화물차량, 트랙터나 경운기 뒤에 부착된 트레일러 등의 보조 차량에 장착될 수 있도록 간단하게 조립 설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가격이 보다 저렴하고 크레인 장착에 따른 적재함의 공간잠식을 줄이는 한편 사용 후 별도의 인양장비가 필요없이 자력으로 적재함에서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한 구조의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화물을 상하차하는 하역(荷役)작업을 이루도록 화물을 상하ㆍ좌우·전후 방향으로 운반하는 기계장치로서, 사용 목적과 형식 및 운동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이들 중 차량에 장착되어 이동이 용이한 차량 장착용 크레인이 있으며, 이러한 크레인이 장착된 차량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신속하게 화물을 상하차하는 하역작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소형화물을 상하차할 수 있게 소형 화물용 차량에 장착할 수 있는 크레인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소형 화물용 차량에 장착된 크레인은 크레인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하여 적재함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베이스와, 크레인의 작업 하중을 지면에 지지하는 아우트리거와, 크레인이 화물을 원하는 곳에 하역하기 위하여 회동축을 회전시키는 회동장치와,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축 붐대와, 상기 상 하로 이동되는 수평 붐대와, 상기 수평 붐대에 배치되어 앵커와 연결된 와이어를 감고 푸는 와이어윈치 등이 필요하며, 그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농촌 등에서 곡물포대 등의 상하차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농민이나 소형 화물의 상하차 작업이 필요한 영세업자에게는 상기 크레인이 상당히 고가여서 구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소형 화물용 차량에 장착된 크레인은 상기 크레인을 차량에 장착하기 위하여 불가피하게 차량 적재함의 일정 공간을 차지하므로 적재함의 활용도가 저하되어 화물 적재량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크레인이 화물을 상하차함에 있어서 원하는 작업 방향 및 작업 지점 등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신축 붐대, 와이어윈치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원활히 그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에도 위 장치들을 모두 구비하고 있어 구매한 상기 크레인의 가격에 비하여 작업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크레인이 장착된 소형 화물용 차량에서 화물 적재함의 수용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하여 아우트리거를 화물 적재함 하방의 차체에 결합하게 하는 방법도 제안되었으나, 상기 아우트리거가 화물 적재함 하방의 차체에 결합되는 구조인 경우 화물 적재함 하방으로 설치된 여러 차량 부품 즉 스페어 타이어나 배기통 등의 각종 장해물로 인하여 설치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고, 또한 상기 아우트리거가 화물 적재함 하방으로 설치될 때 아우트리거가 지면과 가까워지게 되어 차량이 농촌의 비포장 도로의 요철 지면을 운행하거나 또는 논둑 등을 건널 경우 상기 아웃트리거가 지면과 충돌하게 되어 상기 아우트러거가 손상되는 문제점 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에 장착되는 크레인은 차량에 최초 설치하고자 할 경우 그 설치 구조가 복잡하고 중량이어서 현장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고객의 차량을 인수하여 공장에서 설치한 후 다시 고객에게 인계해야 되므로 설치 기간이 길어지고 그 기간 동안 고객이 차량을 사용하지 못하는 등 고객에게 많은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 장착용 크레인은 차량에 한번 장착하게 되면 그 크레인의 무거운 중량으로 인하여 차량으로부터 분리시키기가 용이하지 않고, 중량의 크레인을 차량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고객이 직접 해체 공장으로 가서 상기 크레인을 분리하든지, 또 다른 크레인 차량등과 같은 별도의 이동식 인양장비를 통하여 분리시켜야 하므로 차량에 장착된 크레인을 분리하는 작업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탈착의 번거로운 문제점으로 인하여 상기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차량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로 운행하게 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 한 것으로, 구조가 현장설치에 용이하도록 간단하고 컴팩트하며,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크레인 본래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크레인 설치에 따른 적재함 공간 잠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는 구조의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 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레인을 사용한 후나 재사용을 위하여 차량 적재함에 크레인을 장착하거나 분리시킬 때 별도의 인양장비가 필요 없이 자력으로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 방법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은, 화물을 차량의 적재함에 상하차 할 수 있도록 전후 동작 및 상하 동작을 하는 붐대와 상기 붐대를 회동시키는 회동축과 상기 붐대 및 회동축을 각각 동작시키는 유압실린더들로 이루어진 크레인부와, 상기 크레인부를 차량 적재함에 고정지지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와, 차량을 지면에 지지시키는 아우트리거로 이루어진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유압실린더 등으로 구성된 회동장치에 의하여 회동되고, 상기 아우트리거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양단에 결합되어 수직 상방향 및 수직 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고 지면에 접지 및 분리되도록 신축되는 수직지지대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베이스는 상기 회동장치 및 상기 아우트리거의 수평지지대를 함께 수용하는 중공 프레임과, 상기 중공 프레임 양단에서 차량의 양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차량 적재함 바닥에 고정되는 측면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직지지대가 그 일단부에 상기 수평지지대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그 다른 일단부에 지면과 접지하는 접지판과, 상기 결합부와 접지판 사이에는 상기 접지판이 지면에 고정될 때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며 신축 가능한 지지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축이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축에는 상기 수직지지대가 수직 상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수평지지대가 최대한 축소되었을 때 상기 중공프레임의 양쪽 상단에 형성된 걸림편과 결합되어 상기 수직지지대를 고정하게 하는 걸림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베이스는 상기 중공프레임과 수직 연통되는 지지포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회동장치는 회동축의 하단부에 형성된 스프로킷에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을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중공프레임의 외측에 차체 프레임에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차체 프레임이 형성된 위치에 고정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고정편이 차종에 따른 차체 프레임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기 위한 장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붐대는 전후동작을 하는 제1 붐대와 상하동작을 하는 제2 붐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붐대와 상기 회동축을 연결 결합하는 제1 링크부재가 각 결합점에서 핀 결합되고, 상기 제1 붐대와 제2 붐대를 연결 결합하는 제2 링크부재가 각 결합점에서 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크레인부가 차량 적재함의 후미 일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의 탈착방법은, 화물을 차량의 적재함에 상하차 할 수 있도록 전후 동작 및 상하 동작을 하는 붐대와 상기 붐대를 회동시키는 회동축과 상기 붐대 및 회동축을 동작시키는 유압실린더들로 이루어진 크레인부와, 상기 크레인부를 차량 적재함에 고정지지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크레인을 차량 적재함에 설치하여 탈착할 수 있게 한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의 탈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베이스에 설치된 상기 아우트리거의 접지점을 조절하여 상기 크레인부를 지면에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바닥 면에 고정된 상기 하부베이스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 프레임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체결부위를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붐대를 하강시켜 상기 붐대의 단부가 지면에 접지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붐대 단부가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베이스가 차량 적재함 바닥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될 때까지 붐대를 더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하부베이스가 차량 적재함 바닥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에서 차량이 전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아우트리거의 접지점의 조절은 수평지지대를 회동축이 위치한 방향으로는 그 길이를 보다 길게 신장하고, 그 반대 방향의 수평지지대는 보다 짧게 신장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지지대들과 결합된 상기 수직지지대들을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붐대의 단부가 지면에 접지되도록 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2 붐대의 단부가 지면에 접지되는 지점은 상기 수직지지대들과 보다 멀리 수직으로 이격된 지점으로 하되, 상기 회동축이 위치한 지점, 즉 상기 회동축이 설치된 차량의 측면에서 가급적 가까운 위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요부 평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에서 아우트리거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를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은 크게 화물을 상하차시키는 크레인부(100)와, 상기 크레인부를 차량 적재함에 고정시키는 하부베이스(200)와, 크레인의 작업 하중을 지면에 지지시키는 아우트리거(300)와,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400)로 구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트리거(300)는 상기 하부베이스(200)에 연결되는 수평지지대 (310)와 지면에 접지 및 분리되는 수직지지대(320)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하부베이스(200)의 내부에는 상기 크레인부(100)를 회동시키는 회동장치(35)와 상기 아우트리거의 수평지지대가 수용되는 공간부(211)가 마련되어 있다.
먼저 상기 크레인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크레인부(100)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동작을 하는 제1 붐대(10)와, 선단에 후크(22)를 구비하여 상하 동작을 하는 제2 붐대(20)와, 상기 제1 붐대(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붐대(10)를 회동시키는 회동축(30)과, 상기 제1 붐대(10)를 전후 이동시키는 제1 유압실린더(40)와, 상기 제2 붐대(20)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2 유압실린더(42)와, 상기 회동축(30)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35)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붐대(10)와 회동축(30)은 제1 링크부재(50)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붐대(10)와 제2 붐대(20)는 제2 링크부재(52)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링크부재(50)는 하부에 연결된 회동축(30)의 회동력을 상기 제1 붐대(10)로 전달하며, 상기 제1 링크부재(5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붐대(10)의 전후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2개의 연결점(50a, 50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점(50a)은 상기 제1 붐대의 제1 축(1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점(50b)은 상기 제1 붐대의 제2 축(1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붐대(10)의 제1 축(11)의 중앙 하부에는 상기 제1 유압실린더(40)의 일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1 브래킷(1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붐대(10)의 제2 축(12)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유압실린더(40)의 신축 바의 단부가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붐대(10)는 상기 제1 링크부재(50)를 두지 않고 상기 회동축(30)과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링크부재(52)는 상기 제1 붐대(10)를 제2 붐대(20)에 결합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붐대(10)의 전후 이동 및 제2 붐대의 상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3개의 연결점(52a, 52b, 52c)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점(52a)은 상기 제2 붐대(20)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점(52b)은 상기 제1 붐대의 제1 축(1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점(52c)은 상기 제1 붐대의 제2 축(12)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붐대(20)의 중앙 하부에는 상기 제2 유압실린더(42)의 일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2 브래킷(2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유압실린더(42)의 타단부는 상기 제2 링크부재(52)의 연결점(52b)에 연결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베이스(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하부베이스(2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레인부(100)를 상기 차량의 적재함(500)에 견고히 고정하면서도 차량의 적재함(500)의 화물 수용 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하여 적재함(500)의 후미에 설치되고, 중공 프레임(210)과, 상기 중공프레임(210)의 상부 일측에 원통형으로 설치되어 상기 중공프레임(210)과 수직 연통된 지지포스트(240)와, 상기 중공 프레임(210)의 양단부로부터 차량의 양 측면을 따라 연장된 측면 프레임(2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상기 하부 베이스(200)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공프레임(210)과 측면프레임(220) 및 지지포스트(240)를 일체화함으로써 더욱 견고한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중공 프레임(210)은, 그 내부에 공간부(2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간부에는 상기 회동축(30)을 회동시키는 상기 회동장치(35)와 상기 아우트리거(300)의 수평지지대(310)를 수용하고 있다.
상기 회동장치(35)는, 상기 중공프레임(210)의 일측에 수직 연통된 지지포스트(240)에 삽입되어 제1 붐대에 회동력을 전달하는 회동축(30)의 하단부에 형성된 스프로킷(31)에 연결되는 체인(36)과, 상기 체인(36)을 이동시키는 제3 유압실린더(44)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장치(35)의 상세한 구조 및 그 작동 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제3 유압실린더(44)는 양쪽으로 로드가 이동되는 통상의 양로드식 복동실린더로 되어 있으며, 상기 유압실린더(44) 로드의 양쪽 단부는 상기 체인(36)의 이동 경로 상에 체인(36)과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체인(36)은 상기 체인(36)의 장력조절을 위하여 통상의 장력조절구(37)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체인(36)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아이들롤러(38)에 의하여 지지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3 유압실린더는 편로드식 복동실린더로 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제3 유압실린더(44)의 로드가 이동하면 상기 체인(36)이 이동되고 상기 체인(36)에 연결된 회동축(30)의 스프로킷(31)이 회전되어 회동축(30)이 회동되는 작동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작동구조에 의해 상기 제3 유압실린더(44)의 로드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체인(36)과 연동되는 상기 회동축(30)의 회전방향이 결정되고, 한편으로 상기 제3 유압실린더(44)의 로드가 이동되는 거리에 따라 상기 체인(36)과 연동되는 상기 회동축(30)의 회전각도가 결정된다.
상기 유압실린더(44)에 의하여 동작되는 상기 체인(36)은 와이어로도 대체할 수 있다.
상기 회동축(30)의 회전각도의 범위는 0~360도로 하여 차량 주변의 모든 둘레에서 화물의 상하차 작업이 가능하도록 한다.
상기 중공 프레임(21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211)의 일측에는 상기 체인(36), 장력조절구(37), 아이들롤러(38) 및 유압실린더(44)로 구성된 상기 회동장치(35)가 수용되고, 상기 회동장치(35)의 작동에 지장이 없을 정도의 최소한의 간격을 두며, 상기 공간부(211)의 다른 일측에 상기 아우트리거(300)의 수평지지대(310)가 수용된다.
즉, 상기 중공 프레임(210)의 폭(차량 적재함의 길이 방향)은 상기 회동장치(35)가 수용되는 폭과 상기 회동장치(35)의 작동에 지장이 없을 정도의 최소한의 간격 및 상기 아우트리거(300)의 수평지지대(310)의 폭에 의하여 결정된다.
상기 공간부(211)에서 상기 아우트리거(300)의 수평지지대(310)가 수용되는 일측의 양 단부는 상기 아우트리거(300)의 수평지지대(31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소통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아우트리거(300)의 수평지지대(310)가 수용되는 일측은 상기 수평지지대(311)가 삽입되어 상기 양 단부로부터 신축 이동될 때 적재함 측문과의 간섭이 되지 않도록 적재함(500) 후미방향으로 더 돌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하부베이스(200)를 적재함(500)에 설치할 때 적재함 뒷문(502)은 먼저 떼어내고 상기 하부베이스의 중공프레임(210)에서 상기 아우트리거(300)의 수평지지대(310)가 수용되는 부분을 적재함(500) 후미로 돌출되게 한다.
상기 아우트리거(300)의 수평지지대(310)가 수용되는 상기 공간부(211) 일측은 상기 아우트리거(300)의 수평지지대(310)가 신축될 때 슬라이딩이 용이한 구조로 한다.
한편, 상기 지지포스트(240)는, 상기 중공프레임(210)의 상부 일측에 원통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중공프레임(210)과 수직 연통되어 상기 회동축(30)을 삽입 수용하여 상기 회동축(30)의 둘레를 미끄럼 지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지지포스트(240)는 상기 중공 프레임(210)과 용접 등에 의해 일체화됨으로써 크레인부의 상하차 작업시의 상기 회동축이 받는 횡하중, 굽힘 모멘트 등을 견고하게 지탱하고, 상기 회동축(30)을 삽입 수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상기 크레인부(100)를 상기 하부베이스(200)에 간단하게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측면 프레임(220)은 상기 중공 프레임(210)의 양단부로부터 차량의 양 측면을 따라 연장된 것으로써, 그 단면은 화물 및 크레인부(100)의 하중을 보다 잘 적응하고 중량을 보다 적게 하기 위하여 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인 차량 적재함 후미 부분은 그 크기를 크게 하고, 차량의 양 측면을 따라 그 크기를 갈수록 작게 하는 형상으로 형성한다. 상기 측면 프레임(220)은 대략 사각주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하부베이스(200)를 차량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기 중공프레임(210)을 차체 프레임(501)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차체 프레임(501)이 형성된 위치에 상기 중공프레임(210)의 고정편(215)을 형성하여 상기 고정편(215)의 결합공(216)을 통하여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상기 중공프레임(210)을 상기 차체 프레임(501)과 견고히 고정시킨다.
상기 차체 프레임(501)은 동일한 적재용량을 가진 화물 차량이라도 제조회사에 따라 그 형성 위치가 다소 상이한 경우가 있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에도 용이하게 상기 결합공(216)을 장홀으로 형성하여 상기 차체 프레임(501)이 형성 위치가 상이한 경우에도 상기 중공프레임(21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측면 프레임(220)을 적재함(500) 바닥면과 고정하기 위하여 그 단부에 클램프 또는 U볼트를 사용하거나 그 단부에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볼트로서 견고히 체결한다.
위와 같이 상기 중공프레임(210)을 상기 차체 프레임(501)과 고정시키고, 상기 측면 프레임(220)을 적재함(500)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상기 하부프레임(200)이 차량에 장착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아우트리거(300)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아우트리거(300)는 상기 하부베이스(200)의 중공프레임(210) 내부의 공간부(211)에서 차량의 폭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수평지지대(310)와, 상기 수평지지대(310)의 양단에 결합되어 지면에 접지 및 분리되도록 신축되고 수직 상방향 및 수직 하방향으로 수동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된 수직지지대(320)로 구성된다.
상기 수평지지대(310)는 차량의 양측 폭 방향으로 길이가 수동으로 신축 가능한 구조로서, 수동으로 당기거나 밀게 되면 상기 중공 프레임(210)의 공간부(211)상에서 양쪽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그 길이가 외부로 신장되거나 축소된다.
또한, 상기 수평지지대(310)는 상기 하부베이스(200)의 중공프레임(210)에 지지되어 크레인의 작업하중을 수직지지대(320)에 전달한다.
상기 수평지지대(310)는 특정 길이로 신축되었을 때 신축된 상태가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중공프레임의 일측에는 고정볼트(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볼트를 조이거나 풀게되면 상기 중공프레임(210)의 공간부(211) 통로상에서 수평지지대(310)가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된다.
상기 수직지지대(320)는 그 일단부에 상기 수평지지대(310)와 결합되는 결합부(321)와, 그 다른 일단부에 지면과 접지하는 접지판(323)과, 상기 결합부(321)와 접지판(323)사이에는 상기 접지판(323)이 지면에 고정 될 때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는 신축이 가능한 지지축(322)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322)의 중간 부분에는 상기 수직지지대(320)가 수직 상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수평지지대(310)가 최대한 축소되었을 때 상기 중공프레임(210)의 양쪽 상단에 형성된 걸림편(350)과 결합되어 상기 수직지지대(320)를 고정하게 하는 걸림부재(34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322)은 상기 접지판이 지면에 접지되거나 분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신축작용을 하는 유압실린더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우트리거(300)의 수평지지대(310)는 양쪽 길이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2를 통하여 알 수 있는바와 같이 수평지지대가 왼쪽보다는 오른쪽이 더 길게 즉 크레인부(100)의 회동축이 설치된 방향으로 더 길게 하여 설치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아우트리거는 작업 환경 및 작업 조건에 따라 상기 수평지지대(310)의 양측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크레인 작업시의 차량의 안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컴팩트하여 간단한 구조로 되면서도 아우트리거의 본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아우트리거(300)는 수평지지대(310)가 통상의 경우 크레인부(100)가 설치된 쪽으로 더 길게 신장되도록 하여(도 2 참조) 크레인 작업시의 차량의 안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유압발생장치(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500)에 장착된 상태를 도 1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 본 측면도로서, 상기 유압발생장치(400)는 상기 여러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적재함 하방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유압발생장치(400)는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상기 적재함(500)의 하부에 설치하여도 좋으나, 그 설치작업의 편이성을 위하여 상기 하부베이스(200)의 중공 프레임(210)에 인접하여 차량의 적재함(500)에 설치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은, 각 구성의 연결구조가 힌지 핀 등에 의한 결합 분리 구조로 되어 있이 현장에서 조립설치가 용이하다.
즉, 상기 크레인부(100)에서 상기 제1 붐대(10)와 상기 회동축(30)을 연결 결합하는 제1 링크부재(50)가 각 결합점에서 핀 힌지 결합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 붐대(10)와 제2 붐대(20)를 연결 결합하는 제2 링크부재(52)가 각 결합점에서 핀 힌지 결합되어 있어, 각 결합점에서 핀 결합을 해제할 경우, 상기 크레인부(100)는 상기 제1 붐대(10), 제2 붐대(20), 회동축(30), 제1 링크부재(50), 제2 링크부재(52)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크레인부(100)는 그 회동축(30)이 상기 하부베이스(200)의 지지포스트(240)에 삽입되어 간단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 하부베이스(200)는 차량의 적재함에 상기 중공프레임(210)을 상기 차체 프레임(501)과 고정시키고 상기 측면 프레임(220)을 적재함(500)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것으로서 간단하게 차량에 장착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상기 아우트리거(300)의 수평지지대(310)를 상기 하부베이스(200)의 중공프레임(210)의 공간부(211)에 삽입시켜 설치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간단하고 용이하게 현장에서 조립 설치가 가능하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c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이 화물을 하역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이 화물을 하역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도 6a는 아우트리거(300)를 지면에 접지시킨 상태에서 차량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화물을 상기 제2 붐대(20)의 선단에 있는 후크(22)에 거는 작업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b는 상기 후크(22)에 걸려 있는 화물을 들어올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6c는 상기 후크(22)에 걸려 있는 화물을 차량의 적재함(500)에 싣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하역작업시의 차량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상기 아우트리거(300)를 지면에 접지시킨다. 상기 아우트리거(300)를 접지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수평지지대(320)를 차량의 양쪽 횡방향으로 신장시키기 위하여 수직지지대의 걸림부재(340)에 걸림 상태를 해제시킨 후 상기 중공프레임(210)의 공간부 양쪽 통로에 삽입된 수평지지대(310)를 작업 환경 및 조건에 따라 양쪽 방향으로 적당한 위치까지 손으로 각각 신장시킨다. 그 다음 상기 수직지지대(320)를 수직 하방향으로 회동시킨 후 유압 실린더를 지면까지 신장시켜 접지판(330)을 지면에 접지시킨다.
이후, 화물을 상기 제2 붐대(20)의 선단에 있는 후크(22)에 거는 작업을 하기 위해서 우선 제2 붐대(20)를 상기 화물이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3 유압실린더(44)를 조작하여 상기 회동축(30)을 회동시켜 제1 붐대(10) 및 제2 붐대(20)를 상기 화물이 위치한 지점으로 회동시킨다. 이후 상기 제2 유압실린더(42)를 조작하여 상기 제2 붐대(20)를 하강시켜 상기 후크(22)에 화물을 걸기에 적합한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도 필요하다면 제1 붐대(10)의 전후 이동에 의하여 제1 붐대(10)의 경사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상기 제2 붐대(20)를 상승시키면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제2 유압실린더(42)를 조작하여 상기 제2 유압실린더(42)의 신축 바를 신장시키면 된다. 이 경우에도 필요하다면 제1 붐대(10)의 전후 이동에 의하여 제1 붐대의 경사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어올린 화물을 차량 적재함에 싣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유압실린더(40)를 조작하여 상기 제1 붐대(10)를 우측으로 적정 위치까지 이동시킨 뒤, 상기 제2 유압실린더(42)를 조작하여 상기 제2 붐대(20)를 하강시키고 후크(22)로부터 화물을 분리시켜 상기 화물을 적재함에 적재한다..
상기와 같이 화물 하역작업이 완료하였을 경우 지면에 접지된 아우트리거(300)를 지면으로부터 분리시킨다.
상기 접지된 아우트리거(300)를 지면으로부터 분리시켜 최초상태로 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수직지지대(320)를 최대 축소시켜서 지면에서 분리시키며 수직지지대(320)를 수직 상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후 신장되었던 수평지지대(310)가 최초 길이로 축소되도록 중공프레임(210)내의 공간부(211)로 수동으로 밀어 넣으면 슬라이딩 이동된 후 상기 걸림편(350)에 의해 수직지지대(320)의 걸림부재(340)가 탄력적으로 고정되어 아우트리거(300)는 최초 상태가 된다.
한편, 차량의 적재함에 실린 화물을 하차할 경우에는 먼저 지면에 아우트리거(300)를 접지시키고, 이후 상기 제1 붐대(10), 제2 붐대(20) 및 회동축(30)을 상기 상차의 역순으로 진행시키며, 이후 상기 접지된 아우트리거(300)를 지면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은 간단한 구조로서 통상의 차량용 크레인에 구비된 신축 붐대, 윈치가 없이도 원활히 화물을 상하차하는 하역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은 회동장치(35)와 아우트리거의 수평지지대(310)가 하부베이스(200) 내부로 위치되어 적재함(500) 공간잠식을 줄이면서 회동축(30)이 360도 회동이 가능하며 경량화되거나 소형화된 화물트럭 등에 더욱 용이하게 장착 사용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을 차량의 적재함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으로부터 분리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부베이스(200)에 설치된 상기 아우트리거(300)의 접지점을 조절하여 상기 크레인부(100)를 지면에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적재함(200)의 바닥 면에 고정된 상기 하부베이스(200)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 프레임(210) 및 상기 측면 프레임(220)의 체결부위를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제2 붐대(10, 20)를 하강시켜 상기 제2 붐대의 단부가 지면에 접지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제2 붐대 단부가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베이스(200)가 차량 적재함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될 때까지 제1, 제2 붐대를 더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하부베이스(200)가 차량 적재함 바닥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에서 차량이 전 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베이스(200)에 설치된 아우트리거(300)에 의하여 상기 크레인부(100)를 지면에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적재함(500)의 바닥 면에 고정된 하부베이스(200)를 분리하기 위하여 체결부위를 해제하는 단계는 서로 순서를 바꾸어도 좋다.
상기 차량이 전진하는 단계 후에 상기 중공프레임(210)의 후방에 설치된 상기 차량 적재함 뒷문(502)을 일반 차량 적재함의 뒷문의 본래 결합 위치로 설치하면, 상기 차량은 완전히 일반용 화물차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 붐대(20)의 단부에는 지면에 용이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보조붐대(25)를 더 연결할 수도 있다.
차량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을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이 분리된 이후, 상기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은 아우트리거(300)의 양쪽 접지점과 붐대 단부의 접지점의 지지에 의하여 넘어지지 않고 분리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은 크레인부(100)와 하부베이스(200)와 아우트리거(300)가 일체로 되어 차량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으로, 그 무게 중심은 크레인부(100)의 회동축(30)의 위치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상기 하부베이스(200)에 설치된 상기 아우트리거(300)의 접지점을 조절하여 상기 크레인부(100)를 지면에 지지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300)의 접지점의 조절은 수평지지대(310)를 회동축(30)이 위치한 방향으로는 그 길이를 보다 길게 신장하고, 그 반 대 방향의 수평지지대(310)는 보다 짧게 신장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지지대(310)들과 결합된 상기 수직지지대(320)들을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여 무게 중심의 균형을 이루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붐대를 하강시켜 상기 제2 붐대의 단부가 지면에 접지되도록 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2 붐대의 단부가 지면에 접지되는 지점은, 상기 상기 수직지지대(320)들과 보다 멀리 수직으로 이격된 지점으로 하되, 상기 회동축(30)이 위치한 지점, 즉 상기 회동축(30)이 설치된 차량의 측면에서 가급적 가까운 위치가 되도록 한다.
즉, 상기 크레인부(100)와 하부베이스(200)와 아우트리거(300)가 일체화된 자립구조가 안정적으로 자립되기 위해서는 상기 크레인부(100)와 하부베이스(200)와 아우트리거(300)가 일체화된 자립구조의 무게 중심이 상기 좌우 수직지지대(320)의 양쪽 접지점과 상기 제2 붐대의 접지점으로 이루어지는 삼각형의 내부에 존재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는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아우트리거(300)의 수평지지대(310)가 좌우 길이를 달리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은 차량으로부터 탈착되었을 때 보다 안정적인 자립구조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을 차량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다시 차량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차량의 적재함(500)이 상기 하부베이스(200)와 일치하도록 하여 차량을 후진시키고, 상기 분리방법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은 컴팩트화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크레인 본래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회동장치와 아우트리거의 수평지지대가 하부베이스의 중공 프레임 내부로 위치되고 하부베이스가 'ㄷ'자 형상으로 되어 크레인 설치에 따른 적재함의 공간잠식을 더욱 줄이게 되는 이점이 있고, 간단한 구조의 회동장치에 의한 회동축의 회동범위가 0~360도로 되어 차량 주변의 모든 둘레에서 상하차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크레인을 차량에 설치하기에 용이한 분리 구조로 되어 있어 현장에서 차량에 조립 및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크레인을 차량 적재함에 설치 및 분리시킬 때 별도의 인양장비가 필요 없이 자력으로 탈착이 가능하고, 탈착된 크레인은 보다 안정적인 자립구조를 가짐으로써 적시에 크레인을 탈착하여 차량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또한 그 탈착 방법이 단순하여 농가에서나 수산, 공업 현장 등에서 사용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3)

  1. 화물을 차량의 적재함에 상하차 할 수 있도록 전후 동작 및 상하 동작을 하는 붐대와 상기 붐대를 회동시키는 회동축과 상기 붐대 및 회동축을 각각 동작시키는 유압실린더들로 이루어진 크레인부와, 상기 크레인부를 차량 적재함에 고정지지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와, 차량을 지면에 지지시키는 아우트리거로 이루어진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상기 유압실린더 등으로 구성된 회동장치에 의하여 회동되고,
    상기 아우트리거는 차량의 폭 방향으로 신축 가능한 수평지지대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양단에 결합되어 수직 상방향 및 수직 하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한 구조로 되고 지면에 접지 및 분리되도록 신축되는 수직지지대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베이스는 상기 회동장치 및 상기 아우트리거의 수평지지대를 함께 수용하는 중공 프레임과, 상기 중공 프레임 양단에서 차량의 양 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차량 적재함 바닥에 고정되는 측면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지지대는 그 일단부에 상기 수평지지대와 결합되는 결합부와, 그 다른 일단부에 지면과 접지하는 접지판과, 상기 결합부와 접지판 사이에는 상기 접지판이 지면에 고정될 때 차량의 하중을 지지하며 신축 가능한 지 지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은 유압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에는 상기 수직지지대가 수직 상방향에 위치되고 상기 수평지지대가 최대한 축소되었을 때 상기 중공프레임의 양쪽 상단에 형성된 걸림편과 결합되어 상기 수직지지대를 고정하게 하는 걸림부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베이스는 상기 중공프레임과 수직 연통되는 지지포스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장치는 회동축의 하단부에 형성된 스프로킷에 연결되는 체인과, 상기 체인을 이동시키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프레임의 외측에는 차체 프레임에 고정 결합하기 위하여 차체 프레임이 형성된 위치에 고정편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편은 차종에 따른 차체 프레임의 형성 위치에 대응하기 위한 장홀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는 전후동작을 하는 제1 붐대와 상하동작을 하는 제2 붐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붐대와 상기 회동축을 연결 결합하는 제1 링크부재가 각 결합점에서 핀 결합되고, 상기 제1 붐대와 제2 붐대를 연결 결합하는 제2 링크부재가 각 결합점에서 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는 차량 적재함의 후미 일측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11. 화물을 차량의 적재함에 상하차 할 수 있도록 전후 동작 및 상하 동작을 하는 붐대와 상기 붐대를 회동시키는 회동축과 상기 붐대 및 회동축을 동작시키는 유압실린더들로 이루어진 크레인부와, 상기 크레인부를 차량 적재함에 고정지지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로 이루어진 통상의 크레인을 차량 적재함에 설치하여 탈착할 수 있게 한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의 탈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베이스에 설치된 상기 아우트리거의 접지점을 조절하여 상기 크레 인부를 지면에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바닥 면에 고정된 상기 하부베이스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중공 프레임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체결부위를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붐대를 하강시켜 상기 붐대의 단부가 지면에 접지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붐대 단부가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베이스가 차량 적재함 바닥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될 때까지 붐대를 더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하부베이스가 차량 적재함 바닥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에서 차량이 전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의 탈착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의 접지점의 조절은 수평지지대를 회동축이 위치한 방향으로는 그 길이를 보다 길게 신장하고, 그 반대 방향의 수평지지대는 보다 짧게 신장한 상태에서 상기 수평지지대들과 결합된 상기 수직지지대들을 지면에 지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의 탈착 방법.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붐대의 단부가 지면에 접지되도록 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제2 붐대의 단부가 지면에 접지되는 지점은 상기 수직지지대들과 보다 멀리 수직으로 이격된 지점으로 하되, 상기 회동축이 위치한 지점, 즉 상기 회동축이 설치된 차량의 측면에서 가급적 가까운 위치로 하는 것을 특징으 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의 탈착 방법.
KR1020040112177A 2004-07-16 2004-12-24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 방법 KR100611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177A KR100611021B1 (ko) 2004-12-24 2004-12-24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 방법
PCT/KR2005/002128 WO2006009356A1 (en) 2004-07-16 2005-07-05 Detachable mini crane for vehicle and detachabl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112177A KR100611021B1 (ko) 2004-12-24 2004-12-24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778A KR20060073778A (ko) 2006-06-29
KR100611021B1 true KR100611021B1 (ko) 2006-08-09

Family

ID=3716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2177A KR100611021B1 (ko) 2004-07-16 2004-12-24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110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681B1 (ko) * 2014-06-13 2014-12-26 주식회사 에이엔케이 고강도 원형 파이프 형태의 붐을 구비한 미니 크레인
KR20230031637A (ko) *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차량용 아우트리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0132B1 (ko) * 2020-10-12 2021-02-25 드래곤모터스 주식회사 측면적재차량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242A (ko) 2004-11-25 2006-05-30 대호 (주) 차량용 미니 크레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8242A (ko) 2004-11-25 2006-05-30 대호 (주) 차량용 미니 크레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681B1 (ko) * 2014-06-13 2014-12-26 주식회사 에이엔케이 고강도 원형 파이프 형태의 붐을 구비한 미니 크레인
KR20230031637A (ko) * 2021-08-27 2023-03-07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차량용 아우트리거
KR102622463B1 (ko) 2021-08-27 2024-01-05 주식회사 현대에버다임 차량용 아우트리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73778A (ko) 2006-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52636A (en) Truck bed extender
US5544944A (en) Adjustable utility trailer
US4647270A (en) Transporting unit for trucks and the like
US5993133A (en) Retractable spare tire carrier
CA2565910A1 (en) Log transport device
KR101843011B1 (ko) 윈치의 탈부착이 용이한 다목적 로우더
CA2569357C (en) Length-adjustable chain mount and storage apparatus
US4216941A (en) Yoke hoist for use with pickup truck
US6957847B2 (en) Truck with picker crane and sleeper unit for extended duty
US20050079037A1 (en) Lifting and carrying apparatus for vehicles
KR100600634B1 (ko) 차량용 미니 크레인
KR100611021B1 (ko)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 방법
CA2400658C (en) Latch assembly arrangement for tag axle
US20060120842A1 (en) Vehicle mounted hoist
WO2006009356A1 (en) Detachable mini crane for vehicle and detachable method thereof
KR100585881B1 (ko)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및 그 탈착 방법
KR100600629B1 (ko) 차량에 장착되는 상하차용 미니 크레인
JP4121023B2 (ja) ステップ一体型荷受台昇降装置
CA2441358C (en) Vehicle ramp and hitch tie-down structure
JP2574326Y2 (ja) 車載型クレーンのアーム支持構造
KR200366656Y1 (ko)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KR20020060416A (ko) 화물차, 덤프차의 덤핑장치
KR102411165B1 (ko)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흔들림 방지장치
US11890982B2 (en) Load-lifting device
KR102500230B1 (ko) 크레인이 부설된 화물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