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5881B1 -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및 그 탈착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및 그 탈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5881B1
KR100585881B1 KR1020040055785A KR20040055785A KR100585881B1 KR 100585881 B1 KR100585881 B1 KR 100585881B1 KR 1020040055785 A KR1020040055785 A KR 1020040055785A KR 20040055785 A KR20040055785 A KR 20040055785A KR 100585881 B1 KR100585881 B1 KR 100585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vehicle
boom
loading box
lower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5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6670A (ko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대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 (주) filed Critical 대호 (주)
Priority to KR1020040055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5881B1/ko
Priority to PCT/KR2005/002128 priority patent/WO2006009356A1/en
Publication of KR20060006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6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5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58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4Jib-cran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tandard vehicles, e.g. agricultural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70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 B66C23/701Jibs constructed of sections adapted to be assembled to form jibs or various lengths telescop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6Cranes in which the lifting movement is done with a hydraulically controlled plunger
    • B66C2700/062Cranes in which the lifting movement is done with a hydraulically controlled plunger mounted on motor vehicles
    • B66C2700/065Cranes in which the lifting movement is done with a hydraulically controlled plunger mounted on motor vehicles with a slewable jib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화물용 차량 적재함에 별도의 인양 장비가 필요 없이 자력으로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한 구조의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및 그 탈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은 상하 이동 등의 동작을 하는 붐대와 상기 붐대를 회동시키는 회동축으로 구성된 크레인부와, 상기 붐대 및 회동축을 이동, 회동 등을 시키는 유압실린더들과, 상기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와, 상기 크레인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통상의 크레인을 차량 적재함에 설치하여 탈착할 수 있게 한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를 지지하고 상기 차량 적재함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회동축의 하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크레인부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차량 적재함 뒷쪽에 설치되는 아우트리거를 더 구비하되, 상기 하부베이스는 강제 프레임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강제 프레임에는 상기 하부 베이스를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바닥 면에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가 2개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크레인, 붐대, 회동축, 하부베이스, 프레임, 클램프, 아우트리거, 인출붐대

Description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및 그 탈착 방법{DETACHABLE CRANE FOR VEHICLE AND DETACHABLE METHOD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의 요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에서 아우트리거를 지면에 지지시켰을 때의 요부 배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부베이스 11 : 강제 프레임
12 : X자 프레임 13 : 체결부
13a : 클램프 13b : 고리
20 : 아우트리거 21 : 적재함 뒷문
30 : 회동축 31, 34 : 스프로킷
32 : 체인 33, 41 : 유압실린더
35 :지지 포스트 40 : 붐대
42 : 후크 43 : 인출붐대
50 : 크레인부 60 : 유압발생장치
70 : 컨트롤러 80 : 차량
81 : 적재함 82 : 차체 프레임
본 발명은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물용 차량 적재함에 별도의 인양 장비가 필요 없이 자력으로 용이하게 탈착이 가능한 구조의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및 그 탈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하역(荷役)작업을 이루도록 화물을 상하ㆍ좌우ㆍ전후 운반하는 기계장치로서, 사용목적과 형식 및 운동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며, 이들 중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설치된 크레인차가 있는 바, 이 크레인차는 고속으로 주행하여 이동할 수 있음은 물론 제한된 범위의 작업에 구애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크레인차에 부착된 크레인은 차량의 차체를 일부 개조해야 하므로 특장차 제조업체 등에서만 조립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조작방법이 까다롭고 대형 화물차에서만 부착이 가능하므로 일반인이 쉽게 구입하기에는 가격부담이 크고 사용하기도 곤란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중소형 차량에 장착되는 간이용의 크레인장치가 여러 발명이 안출되었는데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공보 공고번호 제1997-0010747호가 있다.
상기 특허공고에 개시된 중소형 차량에 장착되는 간이용의 크레인장치는, 차량의 적재함에 고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바닥 플랜지와 지주축 및 회전 지지관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와, 이 지지부의 회전 지지관 내부에 베어링을 매개로 하부가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되고, 상부 면에는 차량의 배터리에 접속되어 스위치로 조작할 수 있도록 된 모터가 설치되어 후크와 연결된 와이어를 풀거나 감을 수 있도록 되며, 중앙에는 보조 샤프트를 매개로 회전뭉치가 상기 지주축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구성의 회동장치부 및, 이 회동장치부의 소정위치에 한쪽 끝이 힌지 결합되고 남은 한쪽의 자유단에는 상기 모터에 의해 감겨지거나 풀어지는 와이어의 마찰이 감소되도록 로울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모터에 의해 감겨지는 와이어에 결합된 후크를 걸 수 있도록 견인편이 설치된 붐대로 이루어진 견인장치부가 갖추어지는 한편, 이 견인장치부의 붐대와 상기 회동장치부의 회전뭉치를 힌지 결합시켜 붐대의 설치각도를 조정하는 받침 고정대와 상기 지주축의 하방으로 별도 설치되는 보조받침대로 이루어진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 부착용 크레인은 구매자의 차량에 최초 설치할 때 구매자의 차량이 설치공장까지 가야만 설치가 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 부착용 크레인은 차량에 한번 장착하게 되면 그 크레인의 무거운 중량으로 인하여 차량으로부터 분리시키기가 용이하지 않고, 중량의 크레인을 차량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선 레커차 등과 같은 별도의 인양장비를 통하여 분리시키게 되므로 분리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탈착의 번거로운 문제점으로 인하여 상기 크레인을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도 차량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로 운행하게 되는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차량 부착용 크레인은 일정 크기의 바닥 플랜지를 설치하여 상기 크레인을 장착 고정하고 있어, 상기 크레인이 화물을 싣거나 내리는 하역 작업시 크레인의 자체 중량 및 화물의 무게 등에 의하여 적재함이 과도하게 뒤틀리는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크레인을 차량 적재함에 설치하여 화물을 하역(荷役) 시키는데 용이한 작동 구조와 적재함 뒤틀림 방지구조를 가지며, 크레인을 차량 후미 쪽에 배치하여 좁은 창고 등에 접근성을 좋게 하고, 특히 차량 적재함에 크레인을 장착 및 분리시킬 때 별도의 인양장비가 필요 없이 자력으로 탈착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및 그 탈착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은, 상하 이동 등의 동작을 하는 붐대와 상기 붐대를 회동시키는 회동축으로 구성된 크레인부와, 상기 붐대 및 회동축을 이동, 회동 등을 시키는 유압실린더들과, 상기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와, 상기 크레인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통상의 크레인을 차량 적재함에 설치하여 탈착할 수 있게 한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를 지지하고 상기 차량 적재함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회동축의 하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크레인부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차량 적재함 뒷쪽에 설치되는 아우트리거를 더 구비하되, 상기 하부베이스는 강제 프레임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강제 프레임에는 상기 하부 베이스를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바닥 면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2개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은, 상기 회동축이 유압실린더의 신축작용에 의해 체인의 이동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은, 상기 붐대가 하강하여 지면에 지지될 경우 지면에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그 단부에 연결되는 탈착식의 인출붐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은, 상기 붐대의 단면이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은, 상기 아우트리거가 차량 적재함 뒷문에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은,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된 상기 차량 적재함 뒷문이 상기 하부베이스 단부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은, 상기 강제 프레임이 각 모서리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한 X자 프레임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은, 상기 크레인부가 차량 적재함의 후미 쪽의 하부베이스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의 탈착 방법은, 상하 이동 등의 동작을 하는 붐대와 상기 붐대를 회동시키는 회동축으로 구성된 크레인부와, 상기 붐대 및 회동축을 이동, 회동 등을 시키는 유압실린더들과, 상기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와, 상기 크레인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를 구비한 통상의 크레인을 차량 적재함에 설치하여 탈착할 수 있게 한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의 탈착 방법에 있어서, 차량 적재함 뒷문에 각각 설치된 아우트리거에 의하여 상기 크레인부가 지면에 지지되는 단계와;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바닥 면에 고정된 하부베이스를 분리하기 위하여 클램프의 체결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붐대를 하강시켜 상기 붐대의 단부가 지면에 접지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붐대 단부가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베이스가 차량 적재함 바닥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될 때까지 붐대를 더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하부베이스가 차량 적재함 바닥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에서 차량이 전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의 탈착 방법은,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바닥 면에 고정된 하부베이스를 분리하기 위하여 클램프의 체결을 해제하는 단계와; 차량 적재함 뒷문에 각각 설치된 아우트리거에 의하여 상기 크레인부가 지 면에 지지되는 단계와; 상기 붐대를 하강시켜 상기 붐대의 단부가 지면에 접지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붐대의 단부가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베이스가 차량 적재함 바닥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될 때까지 붐대를 더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하부베이스가 차량 적재함 바닥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에서 차량이 전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의 탈착 방법은, 상기 차량이 전진하는 단계 후에 상기 차량 적재함 뒷문을 일반 차량 적재함의 뒷문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의 요부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에서 아우트리거를 지면에 지지시켰을 때의 요부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은, 상하 이동 및 전후 신축 동작을 하는 붐대(40)와 상기 붐대(40)를 회동시키는 회동축(30)으로 구성된 크레인부(50)와, 상기 붐대(40) 및 회동축(30)을 이동, 신축,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들과, 상기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60) 와, 상기 크레인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0)를 구비한 크레인(50)을 차량 적재함에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크레인부(50)를 지지하도록 상기 회동축의 하단부가 연결 지지되고 차량 적재함(81)에 체결되는 하부베이스(10)와, 상기 크레인 하중을 지면에 지지시키는 역할을 하며 차량 적재함 뒷문(21)에 1개 이상 설치된 아우트리거(20, Outrigger)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 상기 크레인부(5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크레인부(50)는 화물을 인양 및 이동시키거나 상기 하부베이스(10)를 적재함(81) 바닥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작용을 가지는 것으로서, 그 구성은 하부베이스(10)에 설치되어 회동되는 회동축(30)과 이 회동축(30) 상단부에 연결되어 전후방향의 신축 및 상하 방향 선회되는 붐대(4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회동축(30)은 도 1, 도 2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재함(81) 후미 쪽의 상기 하부베이스(10)의 코너 부분에 지지되어 회동이 자유롭게 수직 설치되고, 그 하단에는 상기 하부베이스(10)의 스프로킷(34)과 체인(32)에 의해 연결되는 스프로킷(31)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체인(32)의 한쪽은 유압실린더(33)에 연결되어 이 유압실린더(33)의 신축작용으로 상기 체인(32)이 이동되며 이 체인(32)의 이동방향에 따라 상기 회동축(30)은 정,역방향으로 회동이 되는 구조이다.
상기 회동축(30)은 하역작업시의 횡하중에 대한 견고한 수직구조를 보강 받도록 상기 하부베이스(10)에 고정된 지지 포스트(35, Post)에 의하여 상기 회동축(30)의 하부 둘레가 미끄럼 상태로 지지받는 구조이다.
상기 크레인부(50)의 붐대(40)는 일실시예로서 전후 신축 동작이 되는 다단 구조이며, 이 경우 한쪽은 상기 회동축(3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그 반대쪽에는 화물을 걸 수 있도록 후크(42)가 구비되며, 상기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유압실린더(41)의 신축작용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선회가 되는 한편 붐대(40)에 내설된 유압실린더(미도시)의 신축작용에 의해 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게 된다.
상기 붐대(40)의 신장 길이와 하강 각도는 상기 하부베이스(10)와 차량(80) 적재함(81) 바닥과의 체결이 해제된 상태에서, 붐대(40) 단부를 차량(80) 측방의 지면에 접지시킨 후 더욱 하강시켰을 때 반작용으로 상기 하부베이스(10) 한쪽이 적재함(81) 바닥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충분한 신장 길이와 하강 각도를 가져야 된다.
상기 붐대(40)가 하강하여 지면에 지지될 경우 상기 붐대(40) 단부에는 지면으로부터 용이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지면에 수직으로 지지되는 탈착식의 인출붐대(43)를 더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붐대(40)의 단면은 하중에 보다 견고히 견디기 위하여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크레인부(50)의 붐대(40)는 전후 신축 동작이 되는 다단구조가 아닌 수평 붐대로 하여 상부에 와이어 윈치를 설치하여 연결된 와이어에 의하여 화물의 하역작업을 할 수도 있다.
이하, 상기 하부베이스(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베이스(10)는 사각형상의 강제 프레임 (11)으로 되어 있고, 상기 강제 프레임(11)의 폭 방향의 치수는 상기 차량 적재함(81)의 내부 폭의 치수와 동일하거나 다소 적게 형성하고, 상기 강제 프레임(11)의 길이방향의 치수는 상기 차량 적재함(81)의 길이방향의 치수보다 적게 형성한다. 이는 일반적인 화물용 차량의 적재함이 화물적재 용량이 동일한 경우 폭 방향의 길이가 동일하나, 화물용 차량의 운전석 뒤에 사람을 태울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지 여부에 따라 차량 적재함의 길이방향의 치수가 차이가 난다는 점에 착안하여 화물적재 용량이 동일한 차량에는 차량적재함의 길이방향의 치수와는 관계없이 모두 적용이 가능한 치수로 형성한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강제 프레임(11)의 길이방향의 치수가 상기 차량 적재함(81)의 길이방향의 치수보다 적게 형성한 경우, 나머지 길이방향의 공간은 상기 강제 프레임(11)과 같은 높이의 스페이스 블록(16)이 더 대어져 화물을 적재하기 용이하도록 한다.
상기 강제 프레임(11)은 크레인 작동시의 비틀림 응력의 보강과 적재함 바닥 면의 보강을 위하여 각 모서리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한 X자 프레임(12)을 더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강제 프레임(11)의 상부에는 크레인부(50)가 설치되지 않은 부분에 화물을 적재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차량 적재함(81)과 같이 평판이 되도록 마감재인 강판으로 덮는다(미도시).
또한 상기 강제 프레임(11)의 상부에 상기 강판을 덮기 전, 강제 프레임(11)과 X자 프레임(12) 사이의 안쪽 공간에는 마감재인 상기 강판이 찌그러지지 않도록 버팀목을 소정간격으로 설치할 수 있다(미도시).
그리고 상기 하부 베이스(10)를 차량 적재함(81)의 바닥 면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강제 프레임(11)의 특정 부위에 U자형 고리(13b)가 형성되고 이 고리(13b)가 클램프(13a)에 의하여 고정되는 체결부(13)가 2개 이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체결부(13)가 형성되는 위치는 차체 프레임(82) 상방에서 만나는 강제 프레임(11)에 전, 후 2개씩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체결부(13)는 상기 하부 베이스(1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차량 적재함(81) 바닥면의 아래에 형성된 차체 프레임(82)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하부베이스(10)의 X자 프레임(12)에는 체인(32)이 걸쳐지는 스프로킷(3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로킷(34)은 회동축(30)이 적재함(81) 후미 쪽의 하부베이스(10) 코너에 설치될 때 이 회동축(30)의 하단에 고정된 스프로킷(31)과 체인(32)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체인(32) 이동시의 긴장 상태를 유지하여 회전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체인(32)의 이동은 체인(32) 한쪽에 연결된 유압실린더(33) 신축작용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압실린더(33)는 다른 한쪽이 X자 프레임(12)에 힌지 결합되어 지지된다.
상기 아우트리거(2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아우트리거(20)는 크레인의 횡하중, 후하중에 대하여 차량(80)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한편, 차량(80)으로부터 크레인 분리시 상기 하부베이스(10)를 적재 함(81) 바닥 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상기 아우트리거(20)는 적재함 뒷쪽에 설치되어 유압력에 의한 신축작용으로 지면에 지지되거나 분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아우트리거(20)는 적재함 뒷문(21)에 고정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재함 뒷문(21)은 기존 화물 차량에 설치된 적재함 뒷문을 제거하여 새롭게 설치된 것이고, 상기 하부베이스(10)에 힌지축(14)에 의하여 힌지 결합되어 있으며, 크레인이 화물 하역 작업시 하중을 상기 아우트리거에 전달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를 가져야 한다.
상기 아우트리거(20)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아우트리거(20)는 상기 유압발생장치(60)로부터 작동유를 공급받아 신축 작용에 의하여 지면에 지지하며, 적재함 뒷문(21)에 1개 이상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아우트리거(20)는 지면에 지지하여야 할 하중에 따라 적재함 뒷문의 중앙에 1개를 고정 설치할 수 있고, 또는 적재함 뒷문의 양 단부에 각각 1개씩 고정 설치할 수 있으며, 또는 적재함 뒷문의 중앙 및 양 단부에 각각 고정 설치할 수 도 있다.
상기 적재함 뒷문(21)이 지면에 수직 하방향이 되었을 때 상기 아우트리거(20)가 신장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접지됨으로써 차량이 전복되지 않도록 수평 안정성을 확보하며, 또한 상기 접지상태에서 상기 하부베이스(10)의 체결상태를 해제한 후 상기 아우트리거(20)를 더욱 신장시켰을 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베이스(10)의 한쪽을 적재함(81) 바닥 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작용도 할 수 있다.
상기 유압발생장치(60)는 크레인 작동을 위하여 상기 아우트리거(20)와 여러 유압실린더(33,41 등)와 같이 유압력이 작용되는 부위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유압발생장치(60)는 차량(80)의 전원(차량의 배터리)으로 작동되며, 설치위치는 상기 하부베이스(10) 안쪽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제 프레임(11)과 X자 프레임(12) 사이의 공간에 설치됨이 공간 활용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압발생장치(60)의 동력은 차량 전원 뿐 만 아니라 차량 자체에 동력인출장치(P.T.O., Power Take Off)가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동력인출장치의 동력을 활용할 수 있고, 차량의 엔진이나 별도의 엔진에서 인출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70)는 크레인의 화물 하역 동작이나 적재함(81) 바닥 면으로부터의 하부베이스(10)를 이격시키는 동작을 조정하는 것으로서, 상기 각종 실린더에 공급되는 작동유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와 이를 조작하는 다수의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이 화물을 적재하는 과정의 일예를 설명한다.
우선, 상기 하부베이스(10)에 연결된 적재함 뒷문(21)을 지면에 수직 하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유압발생장치(60)로부터 작동유를 공급받는 아우트리거(20)를 신장시켜 지면에 접지시킨다.
다음, 상기 체인(32)에 연결된 유압실린더(33)의 신축작용으로 회동축(30)의 스프로킷(31)을 회전시켜 회동축(30) 상단의 붐대(40)가 화물이 있는 방향이 되도록 회동시키고, 상기 붐대(40)를 유압실린더(41)의 신축으로 상하 선회하여 적정 각도를 유지함과 상기 붐대(40)를 신장시켜 화물이 놓인 위치에 근접시킨다.
다음, 상기 붐대(40) 단부의 후크(42)에 화물을 걸고 상기 붐대(40)의 상하 각도를 조절하여 원하는 높이만큼 화물을 인양시킨 후, 상기 회동축(30)을 적재함(81) 방향으로 회동시켜 원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다음, 화물을 적재하기에 원하는 위치에서 상기 붐대(40)의 상하 각도 및 신장 길이를 조절한 후 후크(42)에 걸린 화물을 풀면 화물의 적재가 완료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붐대(40)는 전후 신축 동작이 되는 다단구조가 아닌, 수평 붐대로서 상부에 와이어 윈치를 설치하여 연결된 와이어에 의하여 화물의 하역 작업을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을 차량(80)의 적재함(81)으로부터 분리시키는 방법의 일예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으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로서,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81)으로부터 분리되는 일련의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량 적재함 뒷문(21)에 설치된 아우트리거(20)에 의하여 상기 크레인부(50)를 지면에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적재함(81)의 바닥 면에 고정된 하부베이스(10)를 분리하기 위하여 클램프(13a)의 체결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붐대(40)를 하강시켜 상기 붐대(40) 단부가 지면에 접지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붐대 (40) 단부가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베이스(10)가 차량 적재함(81) 바닥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될 때까지 붐대(40)를 더 하강하는 단계와, 상기 하부베이스(10)가 차량 적재함(81)의 바닥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에서 차량(80)이 전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 적재함 뒷문(21)에 설치된 아우트리거(20)에 의하여 상기 크레인부(50)가 지면에 지지되는 단계와 상기 차량 적재함(81)의 바닥 면에 고정된 하부베이스(10)를 분리하기 위하여 클램프(13a)의 체결을 해제하는 단계는 서로 순서를 바꾸어도 좋다.
상기 차량(80)이 전진하는 단계 후에 상기 차량 적재함 뒷문(21)을 일반 차량 적재함의 뒷문으로 설치하면, 상기 차량(80)은 완전히 일반용 화물차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붐대(40) 단부에는 지면에 용이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인출붐대(43)를 설치할 수 있다.
차량(80)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을 분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이 분리된 이후, 상기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은 아우트리거(20)의 1개소 이상의 접지점과 붐대(40) 단부의 접지점의 지지에 의하여 넘어지지 않고 분리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을 차량(80)으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인 자립구조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붐대(40) 단부의 접지 위치를 크레인의 무게가 많은 쪽의 차량(80) 측방으로 하여 지면에 접지하되, 상기 붐대(40) 를 신장시켜 보다 멀리 접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을 차량(8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다시 차량(80)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차량(80)의 적재함(21)이 상기 하부베이스(10)와 일치하도록 하여 차량을 후진시키고, 상기 분리방법의 역순으로 진행하면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및 그 탈착 방법은, 크레인을 차량 적재함에 설치 및 분리시킬 때 별도의 인양장비가 필요 없이 자력으로 탈착이 가능하여 적시에 크레인을 탈착하여 차량 운영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또한 그 탈착 방법이 단순하여 농가에서나 수산, 공업 현장 등에서 사용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량의 적재함에 화물을 하역 시키는데 있어 용이한 작동 구조와 컨트롤러를 이용한 간편한 조작성을 가지며, 크레인이 차량 후미 쪽에 배치되어 있어 좁은 창고 등에 하역 작업할 때 접근성이 좋고, 회전각도가 360°로 되므로 작업반경이 넓은 이점이 있다.
또한, 차량 적재함의 크기에 상응한 넓은 면적의 하부베이스가 차량적재함에 고정 설치되고 있으므로, 화물의 하역 작업시 크레인의 자중이나 화물의 무게 등으로 인한 적재함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상하 이동 등의 동작을 하는 붐대와 상기 붐대를 회동시키는 회동축으로 구성된 크레인부와, 상기 붐대 및 회동축을 이동, 회동 등을 시키는 유압실린더들과, 상기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와, 상기 크레인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통상의 크레인을 차량 적재함에 설치하여 탈착할 수 있게 한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를 지지하고 상기 차량 적재함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회동축의 하단부에 연결 설치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크레인부를 지면에 지지하기 위한 차량 적재함 뒷쪽에 설치되는 아우트리거를 더 구비하되,
    상기 하부베이스는 강제 프레임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강제 프레임에는 상기 하부 베이스를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바닥 면에 고정하기 위한 클램프를 체결할 수 있는 체결부가 2개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은 유압실린더의 신축작용에 의해 체인의 이동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는 붐대가 하강하여 지면에 지지될 경우 지면에 용이하게 지지되도록 그 단부에 연결되는 탈착식의 인출붐대가 더 구비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의 단면은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사다리꼴 형상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는 차량 적재함 뒷문에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가 설치된 상기 차량 적재함 뒷문은 상기 하부베이스 단부에 힌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 프레임은 각 모서리를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한 X자 프레임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는 차량 적재함의 후미 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9. 상하 이동 등의 동작을 하는 붐대와 상기 붐대를 회동시키는 회동축으로 구성된 크레인부와, 상기 붐대 및 회동축을 이동, 회동 등을 시키는 유압실린더들과, 상기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와, 상기 크레인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통상의 크레인을 차량 적재함에 설치하여 탈착할 수 있게 한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의 탈착 방법에 있어서,
    차량 적재함 뒷문에 설치된 아우트리거에 의하여 상기 크레인부를 지면에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바닥 면에 고정된 하부베이스를 분리하기 위하여 클램프의 체결을 해제하는 단계와;
    상기 붐대를 하강시켜 상기 붐대의 단부가 지면에 접지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붐대 단부가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베이스가 차량 적재함 바닥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될 때까지 붐대를 더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하부베이스가 차량 적재함 바닥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에서 차량이 전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의 탈착 방법.
  10. 상하 이동 등의 동작을 하는 붐대와 상기 붐대를 회동시키는 회동축으로 구성된 크레인부와, 상기 붐대 및 회동축을 이동, 회동 등을 시키는 유압실린더들과, 상기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와, 상기 크레인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통상의 크레인을 차량 적재함에 설치하여 탈착할 수 있게 한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의 탈착 방법에 있어서,
    상기 차량 적재함의 바닥 면에 고정된 하부베이스를 분리하기 위하여 클램프의 체결을 해제하는 단계와;
    차량 적재함 뒷문에 설치된 아우트리거에 의하여 상기 크레인부를 지면에 지지하는 단계와;
    상기 붐대를 하강시켜 상기 붐대의 단부가 지면에 접지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붐대의 단부가 지면에 접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베이스가 차량 적재함 바닥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될 때까지 붐대를 더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하부베이스가 차량 적재함 바닥 면으로부터 이격되어 분리된 상태에서 차량이 전진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의 탈착 방법.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이 전진하는 단계 후에 상기 차량 적재함 뒷문을 일반 차량 적재함 뒷문으로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의 탈착 방법.
KR1020040055785A 2004-07-16 2004-07-16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및 그 탈착 방법 KR1005858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785A KR100585881B1 (ko) 2004-07-16 2004-07-16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및 그 탈착 방법
PCT/KR2005/002128 WO2006009356A1 (en) 2004-07-16 2005-07-05 Detachable mini crane for vehicle and detachable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5785A KR100585881B1 (ko) 2004-07-16 2004-07-16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및 그 탈착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444U Division KR200366656Y1 (ko) 2004-07-27 2004-07-27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670A KR20060006670A (ko) 2006-01-19
KR100585881B1 true KR100585881B1 (ko) 2006-06-07

Family

ID=371183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5785A KR100585881B1 (ko) 2004-07-16 2004-07-16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및 그 탈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58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040B1 (ko) 2017-09-12 2018-04-03 주식회사 네오시티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75333A0 (fi) * 2007-05-10 2007-05-10 Teijo Seppaelae Nostolaitesovitelma ajoneuvossa
KR200482046Y1 (ko) * 2012-08-30 2016-12-08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유압장비의 에어 보틀 취외 장치
CN203877770U (zh) * 2013-04-17 2014-10-15 栾亚伦 用发电机组做动力的多功能电动-液压吊车
GB2542158A (en) * 2015-09-09 2017-03-15 Marshall Land Systems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ehicle-mounted cranes
CN110577159B (zh) * 2019-09-17 2020-12-22 国网山东省电力公司烟台市福山区供电公司 电力检修车用设备装卸的起吊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040B1 (ko) 2017-09-12 2018-04-03 주식회사 네오시티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6670A (ko) 2006-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86739B2 (en) Topper lift system and method
CN210456694U (zh) 一种移动式后翻液压翻板
KR100585881B1 (ko)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및 그 탈착 방법
JPS62131835A (ja) トラツク荷台シ−トの着脱装置
KR200366656Y1 (ko)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CN104512817A (zh) 车载起重装置
KR100600634B1 (ko) 차량용 미니 크레인
CN101284551B (zh) 车载备胎自动收放装置
US7713019B2 (en) Flat-bed truck with crane, lift or hoist
JP2004026315A (ja) 荷役装置
CN212098304U (zh) 挂接装置及牵引车
CN203754298U (zh) 车载起重装置
KR100611021B1 (ko)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 방법
CN208037960U (zh) 一种便于存放电池的工业车辆
CN208234472U (zh) 一种适用于工业车辆的电池存取结构
JP3446090B2 (ja) トラック用簡易型クレーン
JP3161938U (ja) 軽トラック用吊上装置
CN216613823U (zh) 一种车载调运装卸用随车吊
JP2660614B2 (ja) クレーンを搭載したトラックの支持装置
CN108263992A (zh) 一种便于存放电池的工业车辆
KR100554148B1 (ko) 사다리차
JP3851102B2 (ja) ホースカー荷役装置
CN214114725U (zh) 一种起重机副卷扬系统及起重机
CN213894989U (zh) 一种用于卡车的吊装机构
CN211223170U (zh) 一种运矿车的底盘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