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040B1 -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 Google Patents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040B1
KR101845040B1 KR1020170116765A KR20170116765A KR101845040B1 KR 101845040 B1 KR101845040 B1 KR 101845040B1 KR 1020170116765 A KR1020170116765 A KR 1020170116765A KR 20170116765 A KR20170116765 A KR 20170116765A KR 101845040 B1 KR101845040 B1 KR 101845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member
coupled
control chamber
fixed shaft
c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석환
이상훈
고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시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시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시티
Priority to KR1020170116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0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0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non-adjustable and non-inclinable jibs mounted solely for slewing movements
    • B66C23/022Pivot axis common with colum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4Slew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12Manhole shafts; Other inspection or access chamb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발명은 수직구에 설치되어 수직구의 상하로 작업자 또는/및 자재를 운송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 주변의 기초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가로질러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어실; 상기 수평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는 운송케이지; 상기 운송케이지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부재에 결합된 롤러를 거쳐 상기 제어실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와이어; 상기 제어실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상기 운송케이지를 상기 수직구의 상하로 이동시켜 작업자 또는/및 자재를 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로서, 수직구의 측면에 설치하거나 철거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신속하고 경제적이며 시공 작업이 편리하고, 작업자나 자재를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상하로 이송할 수 있어 시공 작업이 신속하며, 또한, 수직구의 시공 완료 후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재사용이 가능함으로써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A movable assembly type vertical tunnel elevator}
본 발명은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상세하게는 용이하게 이동하여 조립 설치할 수 있고, 수직구의 시공에 필요한 자재 및 작업자를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수직구의 상하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직터널 등의 수직구의 시공 과정은 수직방향으로 자재와 작업자의 계속적인 운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시공 중인 수직구의 측벽을 따라 상측에서 하측까지 계단을 설치하거나(도 8a 참조), 리프트(도 8b 참조)를 설치한 후 이를 이용하여 자재와 작업자의 운송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상기 방법들은 리프트나 계단의 설치 및 철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될 뿐 아니라, 이를 이용한 작업자의 이동이나 자재의 운송에도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됨으로써, 비경제적이고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리프트나 계단은 수직구의 시공 작업에 방해가 됨으로써 시공 작업이 비효율적인 문제점도 있다.
즉, 계단의 경우 계단을 설치하고, 수직구의 시공이 진행됨에 따라 계단을 철거하여야 하는데 이 설치 및 철거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될 뿐 아니라, 계단을 이용한 작업자의 이동이나 자재의 운송 역시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되고 비효율적이다.
또한, 리프트의 경우에도 리프트의 설치하고, 수직구의 시공이 진행됨에 따라 리프트를 철거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어 역시 비효율적이다.
또한, 상기 계단이나 리프트는 수직구의 시공 작업 공간에 존재함으로써 시공 작업에도 많은 방해가 될 뿐 아니라, 철거된 계단이나 리프트의 레일 등 많은 자재들은 재사용이 어려워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특허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37193호
전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수직구의 측면에 설치하거나 철거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신속하고 경제적이며 시공 작업이 편리한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작업자나 자재를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상하로 이송할 수 있어 시공 작업이 신속한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수직구의 시공 완료 후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재사용이 가능함으로써 경제적인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는, 수직구에 설치되어 수직구의 상하로 작업자 또는/및 자재를 운송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 주변의 기초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가로질러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어실; 상기 수평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는 운송케이지; 상기 운송케이지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부재에 결합된 롤러를 거쳐 상기 제어실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와이어; 상기 제어실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상기 운송케이지를 상기 수직구의 상하로 이동시켜 작업자 또는/및 자재를 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축은 하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축과, 상기 제1고정축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고정축보다 직경이 작은 제2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구멍에 상기 제2고정축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하측에 결합되는 웜기어, 상기 고정축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웜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송케이지의 상측 또는/및 하측에 거리측정 센서와 속도측정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운송케이지가 상기 수직구의 하측 및 상측에서는 저속으로 그 외의 구간에서는 고속으로 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송케이지에 연결되는 보조와이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제어실의 결합은, 상기 수평부재의 하측에 결합되는 ㄷ형강과, 상기 제어실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ㄷ형강과, 상기 ㄷ형강의 하부플랜지와 상기 제2ㄷ형강의 상부플랜지를 상호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ㄷ형강과 상기 제2ㄷ형강 중 일측의 볼트공은 장공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어실은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제어실의 결합은, 상기 ㄷ형강의 하부플랜지와 상기 제2ㄷ형강의 상부플랜지를 감싸는 보조ㄷ형강을 끼운 후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실의 하측에서 상기 수평부재까지 연결되는 사다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의 타측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운송받침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의 상측과 상기 수평부재사이에 경사방향의 케이블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실에 구비되는 중앙제어반과, 상기 운송케이지에 구비되는 보조제어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운송케이지 대신 작업보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보조장치는 자재운반용적재대와, 상기 자재운방용적재대의 둘레에 구비된 안전망과, 상기 자재운반용적재대의 하측에 구비되는 운반용호퍼, 상기 운반용호퍼의 하측에 구비되는 보조작업대, 상기 자재운반용적재대와 상기 보조작업대 사이에 구비되는 사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는 후방 수평부재와 전방 수평부재로 구성되어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방 수평부재에는 유압장치가 결합되어 상기 전방 수평부재를 전후방으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실에는 컨트롤의자와 안전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송케이지는 둘레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작업대와, 상기 하부작업대의 둘레에 구비되는 안전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직구의 측면에 설치하거나 철거할 필요가 없어 작업이 신속하고 경제적이며 시공 작업이 편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나 자재를 신속하고도 효율적으로 상하로 이송할 수 있어 시공 작업이 신속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수직구의 시공 완료 후 다른 곳으로 이동하여 재사용이 가능함으로써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1a ~ 1c: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의 측면도, 평면도, 정면도이다.
도 2a ~ 2c: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의 분해도도이다.
도 3a, 3b: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의 제2구동모터와 웜기어를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2가지 실시예이다.
도 4: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의 중앙제어반과 보조제어반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 5c: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의 작업보조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평면도이다.
도 6a, 6b: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의 수평부재의 길이가 조절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a ~ 7c: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의 운송케이지의 하부에 하부작업대와 안전난간을 구비한 모습의 사시도, 측면도, 평면도이다.
도 8a, 8b는 종래기술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 1 내지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는, 수직구에 설치되어 수직구의 상하로 작업자 또는/및 자재를 운송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 주변의 기초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지지판(10); 상기 지지판(10)의 상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고정축(20); 상기 고정축(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26); 상기 회전축(26)을 가로질러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부재(30); 상기 수평부재(30)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어실(40); 상기 수평부재(30)의 타측에 구비되는 운송케이지(50); 상기 운송케이지(50)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부재(30)에 결합된 롤러를 거쳐 상기 제어실(40)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와이어(60); 상기 제어실(40)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60)를 감거나 푸는 구동모터(42);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42)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60)가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상기 운송케이지(50)를 상기 수직구의 상하로 이동시켜 작업자 또는/및 자재를 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지지판(10)은 수직구 주변 즉, 수직구에 가까운 곳의 기초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원형, 사각형, 오각형 형상의 강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지지판(10)은 기초부에 볼트, 너트 등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어, 필요시 용이하게 설치되고, 공사 후 쉽게 철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판(10)에는 둘레방향으로 관통공들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10)이 결합되는 기초부는 이동 가능한 철근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철근콘크리트 블록의 상측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일부가 노출되는 볼트가 복수개 매설되거나, 또는 볼트를 체결할 수 있는 앵커가 매설될 수 있다. 즉 상기 매설된 볼트들이 지지판(10)의 관통공 상측으로 노출되게 한 후 너트를 체결하거나, 또는 상기 지지판(10)의 관통공을 통해 삽입된 볼트를 상기 앵커에 체결함으로써, 지지판(10)이 기초부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기초부는 이동 가능한 철근콘크리트 블록으로 형성되고, 이를 본 실시예의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를 설치하고자 하는 곳에 이동 배치한 후 지지판(10)을 결합함으로써 신속히 이동 설치할 수 있다. 또한, 기초부는 이동 가능하지 않도록 지반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고정축(20)은 지지판(10)의 상측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지지판(10)과는 용접 결합되거나, 볼트 및 너트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축(20)의 단면은 원형, 사각형 등이 가능하다. 이 고정축(20)은 그 상측에 결합되는 부재들을 지지하여야 하므로 충분한 압축강도나 휨강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지지판(10)과 고정축(20) 사이에는 경사방향의 보강부재가 방사방향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결합됨으로써, 고정축(20)이 견고히 지지될 수 있다.
회전축(26)은 고정축(20)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축(26)에 결합되는 후술하는 수평부재(30) 등은 회전축(26)의 회전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후술하는 운송케이지(50) 등이 수직구의 상측에 위치하거나 또는 수직구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회전될 수 있다.
수평부재(30)는 회전축(26)을 가로질러 수평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수평부재(30)는 회전축(26)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되고, 그 중 일측은 수직구의 외측에 위치하면서 후술하는 제어실(40)이 결합되고, 타측은 수직구의 내측에 위치하면서 운송케이지(50)가 매달리게 구비될 수 있다. 즉, 수평부재(30)는 그 하측에 복수의 롤러가 설치되며, 이 롤러에는 와이어(60)가 거치되어 결합되고, 운송케이지(50)는 상기 와이어(60)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60)는 복수개로 구성되고 일측은 제어실(40)의 구동모터(42)에 의해 윈치(44)에 감기거나 풀리게 구성되고, 와이어(60)의 타측은 운송케이지(50)에 연결됨으로써, 상기 구동모터(42)의 작동에 따라 운송케이지(50)가 수직구의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작업자나 자재를 운송할 수 있다.
복수의 와이어(60) 외에 운송케이지(50)에 결합되는 보조와이어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보조와이어는 상기 복수의 와이어(60) 중 일부가 절단되는 경우 운송케이지(50)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평부재(30)의 상측에는 그레이팅망 등이 설치되고, 그레이팅망의 상측으로 작업자가 이동하면서 장비의 설치, 점검 등을 할 수 있다.
제어실(40)은 수평부재(3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 제어실(40)에는 와이어(60)가 감기거나 풀리는 윈치(44)가 구비되고, 윈치(44)를 구동하는 구동모터(4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구동모터(42)의 작동에 따라 윈치(44)가 회전하여 와이어(60)가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운송케이지(50)가 수직구의 상하로 이동하면서 작업자가 자재를 이송할 수 있다.
상기 고정축(20)은 하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축(22)과, 상기 제1고정축(22)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고정축(22)보다 직경이 작은 제2고정축(24)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26)은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6)의 구멍에 상기 제2고정축(24)이 삽입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회전축(26)은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 이 구멍에 상기 제2고정축(24)이 삽입됨으로써 결합이 매우 신속하고, 회전축(26)은 안정된 상태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26)의 하측에는 웜기어(28)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축(20)의 상측에는 제2구동모터(29)와 제2구동모터(29)에 의해 상기 웜기어(28)를 회전시키는 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제2구동모터(29)가 구동되고, 이에 의해 웜기어(28)가 회전함으로써 회전축(26)은 고정축(20)의 상측에서 회전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회전축(26)에 결합된 수평부재(30), 수평부재(30)에 결합된 제어실(40), 운송케이지(50) 등이 회전할 수 있다.
도 3a는 웜기어(28)와 제2구동모터(29)의 제1실시예이고, 도 3b는 웜기어(28)와 제2구동모터(29)의 제1실시예이다. 웜기어(28)와 제2구동모터(29)는 제2구동모터(29)의 설치 위치에 따라 그 배치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고정축(20)의 상측과 회전축(26)의 하측에는 플랜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웜기어(28)는 상기 회전축(26)의 플랜지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플랜지는 고정축(20)과 회전축(26)이 원형관, 사각관 등으로 구성되는 경우 단부를 보강하고, 고정축(20)과 회전축(26)이 잘 회전되게 할 수 있다.
운송케이지(50)의 상측 또는/및 하측에 거리측정 센서와 속도측정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거리측정 센서와 속도측정 센서는 상호 작용으로 운송케이지(50)가 상기 수직구의 하측 및 상측 즉, 운송케이지(50)의 출발 시와 도착 시에는 저속으로 그 중간에는 고속으로 운송되게 함으로써, 충격을 방지하고 작업자의 승차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30)와 상기 제어실(40)의 결합은, 수평부재(30)의 하측에 결합되는 ㄷ형강(45)과 제어실(40)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ㄷ형강(47)을 상호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여 결합할 수 있다.
즉, ㄷ형강(45)의 하부플랜지와 제2ㄷ형강(47)의 상부플랜지에는 볼트공들을 형성하고, 이 볼트공들에 볼트를 삽입하여 체결할 수 있다. 또한, ㄷ형강(45)과 제2ㄷ형강(47) 중 일측의 볼트공은 장공으로 형성함으로써, 제어실(40)을 수평부재(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운송케이지(50)의 무게가 무겁거나, 작업자나 자재의 무게가 무거운 경우 제어실(40)을 회전축(26)에서 멀리 설치하고, 운송케이지(50)의 무게가 가볍거나, 작업자나 자재의 무게가 가벼운 경우 제어실(40)을 회전축(26)에 가깝게 설치함으로써, 회전축(26)을 중심으로 균형을 잘 맞출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30)와 상기 제어실(40)의 결합은, 상기 ㄷ형강(45)의 하부플랜지와 상기 제2ㄷ형강(47)의 상부플랜지를 감싸는 보조ㄷ형강(49)을 결합한 후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할 수 있다. 이 보조ㄷ형강(49)은 ㄷ형강(45)과 제2ㄷ형강(47)을 견고히 결합함으로써 제어실(40)을 수평부재(30)에 견고히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실(40)의 하측에서 상기 수평부재(30)까지 연결되는 사다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다리는 수평부재(30)의 상측으로 작업자가 올라가서 장비를 설치하거나 점검하는데 편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재(30)의 타측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운송받침지지대(3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송받침지지대(32)는 본 실시예의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를 분할하여 이송하는 과정에서 수평부재(30)를 안전하게 거치하는 데 편리하다. 즉, 이송 중 수평부재(30)을 안정되게 거치하고, 수평부재(30)의 하측에 결합된 롤러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 운송받침지지대(32)는 이동하여 설치한 후에는 회전하여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축(26)의 상측과 상기 수평부재(30)사이에 경사방향의 케이블(34)이 설치될 수 있다. 이 케이블(34)은 운송케이지(50)의 타측의 처짐을 방지하고, 수평부재(30)의 휨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실(40)에는 중앙제어반(70)이 구비되고, 상기 운송케이지(50)에는 보조제어반(72)이 구비될 수 있다. 중앙제어반(70)은 본 실시예의 운송케이지(5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고 비상정지 시키거나, 회전축(26)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보조제어반(72)은 운송케이지(50) 내측에 탑승한 탑승자가 운송케이지(50)의 이동을 조작을 할 수 있고, 비상시 운송케이지(50)의 이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수평부재(30)의 타측에는 상기 운송케이지(50) 대신 작업보조장치(8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작업보조장치(80)는 자재운반용적재대(82)와, 상기 자재운반용적재대(82)의 둘레에 구비된 안전망(84)과, 상기 자재운반용적재대(82)의 하측에 구비되는 운반용호퍼(86), 상기 운반용호퍼(86)의 하측에 구비되는 보조작업대(88), 상기 자재운반용적재대(82)와 상기 보조작업대(88) 사이에 구비되는 사다리를 포함함으로써, 운반용호퍼(86)를 이용하여 콘크리트 등를 용이하게 운반하여 타설할 수 있다. 또한 자재운반용적재대(82)는 작업자가 탑승하거나 필요한 자재를 용이하게 운송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수평부재(30)는 후방 수평부재(30a)와 전방 수평부재(30b)로 구성되어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방 수평부재(30b)에는 유압장치(31)가 결합되어 전방 수평부재(30b)를 전후방으로 조정함으로써 수평부재(3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즉, 후방 수평부재(30a)와 전방 수평부재(30b)는 각각 한 쌍의 부재로 형성되고, 예컨데 한 쌍의 ㄷ자 형상의 부재로 형성되고 전방 수평부재(30b)인 ㄷ자 형상의 부재는 후방 수평부재(30a)의 ㄷ자 형상의 부재의 홈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수평부재(30)의 길이의 조절은 다양한 거리의 작업반경을 확보할 수 있어 수직구의 내부(근거리, 원거리) 모두에서 유용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후방 수평부재(30a)와 전방 수평부재(30b)의 슬라이딩은 후방 수평부재(30a)에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공(36)을 형성하고, 전방 수평부재(30b)에 결합되고 후방 수평부재(30a)의 슬라이딩공(36)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바퀴(37)가 설치됨으로써 잘 수행될 수 있다. 즉, 전방 수평부재(30b)에 결합된 바퀴(37)가 후방 수평부재(30a)의 슬라이딩공(36) 내에서 회전함에 따라 전방 수평부재(30b)가 후방 수평부재(30a)에 대해 잘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34)은 전방 수평부재(30b)의 길이에 맞게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제어실(40)에는 컨트롤의자(41)와 안전바(43)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실(40)에 컨트롤의자(41)와 안전바(43)를 구비함으로써,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고, 또한 지면과 수직구로 이동하는 제어실(40) 내의 작업자의 안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운송케이지(50)는 둘레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작업대(52)와, 상기 하부작업대(52)의 둘레에 구비되는 안전난간(54)을 구비할 수 있다.
하부작업대(52)는 운송케이지(50)의 하측 둘레를 따라 강판 등을 용접 등으로 결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안전난간(54)은 하부작업대(52)의 둘레를 따라 강봉과 체인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운송케이지(50)가 단순한 운송장치의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하부작업대(52)와 안전난간(54)을 구비함으로써, 수직구의 어떤 위치에서도 작업자가 운송케이지(50)의 외측으로 나와서 수직구 내측에 필요한 작업들을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구성되거나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지지판
20: 고정축
22: 제1고정축
24: 제2고정축
26: 회전축
28: 웜기어
29: 제2구동모터
30: 수평부재
30a: 후방 수평부재
30b: 전방 수평부재
31: 유압장치
32: 운송받침지지대
34: 케이블
36: 슬라이딩공
37: 바퀴
40: 제어실
41: 컨트롤의자
42: 구동모터
43: 안전바
44: 윈치
45: ㄷ형강
47: 제2ㄷ형강
49: 보조ㄷ형강
50: 운송케이지
52: 하부작업대
54: 안전난간
60: 와이어
70: 중앙제어반
72: 보조제어반
80: 작업보조장치
82: 자재운반용적재대
84: 안전망
86: 운반용호퍼
88: 보조작업대

Claims (15)

  1. 수직구에 설치되어 수직구의 상하로 작업자 또는/및 자재를 운송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구 주변의 기초부에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상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을 가로질러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수평부재;
    상기 수평부재의 일측에 결합되는 제어실;
    상기 수평부재의 타측에 구비되는 운송케이지;
    상기 운송케이지에 결합되고, 상기 수평부재에 결합된 롤러를 거쳐 상기 제어실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와이어;
    상기 제어실에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구동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상기 운송케이지를 상기 수직구의 상하로 이동시켜 작업자 또는/및 자재를 운송하고,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제어실의 결합은,
    상기 수평부재의 하측에 결합되는 ㄷ형강과, 상기 제어실의 상측에 결합되는 제2ㄷ형강과, 상기 ㄷ형강의 하부플랜지와 상기 제2ㄷ형강의 상부플랜지를 상호 결합하는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ㄷ형강과 상기 제2ㄷ형강 중 일측의 볼트공은 장공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제어실은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위치를 조절하여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축은 하측에 설치되는 제1고정축과, 상기 제1고정축의 상측에 결합되는 것으로 제1고정축보다 직경이 작은 제2고정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은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의 구멍에 상기 제2고정축이 삽입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하측에 결합되는 웜기어,
    상기 고정축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웜기어를 회전시키는 제2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송케이지의 상측 또는/및 하측에 거리측정 센서와 속도측정 센서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운송케이지가 상기 수직구의 하측 및 상측에서는 저속으로 그 외의 구간에서는 고속으로 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송케이지에 연결되는 보조와이어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와 상기 제어실의 결합은,
    상기 ㄷ형강의 하부플랜지와 상기 제2ㄷ형강의 상부플랜지를 감싸는 보조ㄷ형강을 끼운 후 볼트 및 너트로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실의 하측에서 상기 수평부재까지 연결되는 사다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의 타측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운송받침지지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의 상측과 상기 수평부재사이에 경사방향의 케이블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실에 구비되는 중앙제어반과, 상기 운송케이지에 구비되는 보조제어반을 더 포함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운송케이지 대신 작업보조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작업보조장치는 자재운반용적재대와, 상기 자재운반용적재대의 둘레에 구비된 안전망과, 상기 자재운반용적재대의 하측에 구비되는 운반용호퍼, 상기 운반용호퍼의 하측에 구비되는 보조작업대, 상기 자재운반용적재대와 상기 보조작업대 사이에 구비되는 사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재는 후방 수평부재와 전방 수평부재로 구성되어 상호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전방 수평부재에는 유압장치가 결합되어 상기 전방 수평부재를 전후방으로 조정함으로써 상기 수평부재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실에는 컨트롤의자와 안전바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송케이지는 둘레 하측에 구비되는 하부작업대와, 상기 하부작업대의 둘레에 구비되는 안전난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KR1020170116765A 2017-09-12 2017-09-12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KR101845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765A KR101845040B1 (ko) 2017-09-12 2017-09-12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765A KR101845040B1 (ko) 2017-09-12 2017-09-12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040B1 true KR101845040B1 (ko) 2018-04-03

Family

ID=61973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765A KR101845040B1 (ko) 2017-09-12 2017-09-12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0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6140A (zh) * 2022-01-16 2022-05-06 广州中科环保建筑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施工的吊运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9104B1 (ko) * 2001-06-13 2003-09-26 주식회사 형주엔지니어링 수직터널용 자재운반장치
KR100431578B1 (ko) * 1995-11-14 2004-10-02 시메 오이 화물이송방법
KR100586506B1 (ko) * 2006-01-10 2006-06-07 주식회사 현진기업 경보장치 및 보강축을 구비한 지브크레인
KR100585881B1 (ko) 2004-07-16 2006-06-07 대호 (주)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및 그 탈착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578B1 (ko) * 1995-11-14 2004-10-02 시메 오이 화물이송방법
KR100399104B1 (ko) * 2001-06-13 2003-09-26 주식회사 형주엔지니어링 수직터널용 자재운반장치
KR100585881B1 (ko) 2004-07-16 2006-06-07 대호 (주)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및 그 탈착 방법
KR100586506B1 (ko) * 2006-01-10 2006-06-07 주식회사 현진기업 경보장치 및 보강축을 구비한 지브크레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6140A (zh) * 2022-01-16 2022-05-06 广州中科环保建筑有限公司 一种用于建筑施工的吊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6631B1 (en) Apparatu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CN107013045B (zh) 装载平台
US10280637B2 (en) Load carrying platform shuttle
MX2014011961A (es) Procesos de montaje de tanques y dispositivos para realizarlo.
US11274450B2 (e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and installing commercial roofing
JP2017075496A (ja) 延伸ベルトコンベヤによるトンネル掘削土の搬送方法
KR101845040B1 (ko) 이동조립식 수직구 운송장치
JP6379128B2 (ja) トンネル用作業台、及びトンネル用作業セット
CN111254974A (zh) 管廊施工中楼板运输安装工法
JP2659170B2 (ja) ポール柱地上組立装置
KR200378217Y1 (ko) 고소작업용 틀비계
JP2001213584A (ja) 大型昇降ステージとこれを用いた揚重方法および逆打工法
KR102058311B1 (ko) 가설 구조물 이동장치
JP2019014599A (ja) フォークリフト用運搬据付治具及びそれを用いた部材運搬据付方法
JP4933881B2 (ja) 管体搬送用台車及び管体の敷設方法
KR200329414Y1 (ko) 건축용 갱폼 인양기
CN211143635U (zh) 一种建筑垃圾电动传送装置
Pogonina et al. Investigation of Trailed Equipment of a Machine for Installing Flexible Cable Fencing on Roads Using Intelligent Control Systems and Mathematical Modeling
JP3660844B2 (ja) 壁面作業台車
JP2023107444A (ja) 起立傾倒装置
WO2001069008A2 (en) Scaffolding system
KR101607603B1 (ko) 사갱 시공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JP2832139B2 (ja) 鉄筋搬送装置
JP2023136233A (ja) 法面ブロックの搬送装置
JP5937422B2 (ja) 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