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0634B1 - 차량용 미니 크레인 - Google Patents

차량용 미니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0634B1
KR100600634B1 KR1020040097206A KR20040097206A KR100600634B1 KR 100600634 B1 KR100600634 B1 KR 100600634B1 KR 1020040097206 A KR1020040097206 A KR 1020040097206A KR 20040097206 A KR20040097206 A KR 20040097206A KR 100600634 B1 KR100600634 B1 KR 1006006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om
crane
outrigger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72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8242A (ko
Inventor
김중호
Original Assignee
대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호 (주) filed Critical 대호 (주)
Priority to KR10200400972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0634B1/ko
Publication of KR20060058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8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06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06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4Jib-cranes adapted for attachment to standard vehicles, e.g. agricultural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54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pneumatic or hydraulic motors, e.g. for actuating jib-cranes on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6Cranes in which the lifting movement is done with a hydraulically controlled plunger
    • B66C2700/062Cranes in which the lifting movement is done with a hydraulically controlled plunger mounted on motor vehicles
    • B66C2700/065Cranes in which the lifting movement is done with a hydraulically controlled plunger mounted on motor vehicles with a slewable ji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면서도 크레인 본래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고, 크레인 설치에 따른 적재함 공간 잠식을 줄일 수 있는 구조로 되며, 소형 차량에 적합한 간단한 구조의 아우트리거가 구비된 차량용 미니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전후 및 상하 동작을 하는 붐대와 상기 붐대를 회동시키는 회동축과 상기 붐대 및 회동축을 동작시키는 유압실린더들로 이루어진 크레인부와, 상기 크레인부를 적재함에 고정지지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로 이루어진 차량용 미니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을 상기 유압실린더의 신축작동에 의해 체인의 이동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베이스는 상기 회동축이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포스트와, 상기 회동축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를 수용하는 중공 프레임과, 상기 중공 프레임 양단에서 차량의 양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아우트리거가 더 구비되되, 상기 아우트리거는 하나의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좌우에 설치된 접지판이 동시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크레인, 붐대, 회동축, 링크, 브래킷, 유압실린더, 하부베이스, 아우트리거

Description

차량용 미니 크레인{MINI CRANE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요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를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6의 (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이 화물을 상하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크레인부 10 : 제1 붐대
11 : 제1 붐대의 제1 축 12 : 제1 붐대의 제2 축
13 : 제1 브래킷 20 : 제2 붐대
21 : 제2 브래킷 22 : 후크
30 : 회동축 31 : 스프로킷
35 : 회동장치 36 : 체인
37 : 장력조절구 38 : 아이들롤러
40 : 제1 유압실린더 42 : 제2 유압실린더
44 : 제3 유압실린더 50 : 제1 링크부재
52 : 제2 링크부재 50a, 50b, 52a, 52b, 52c : 연결점
200 : 하부베이스 210 : 중공 프레임
211 : 공간부 220 : 측면 프레임
240 : 지지포스트 300 : 아우트리거
310 : 지지대 311 : 중공 지지대
312 : 슬라이딩 지지대 313 : 접지판
314 : 고정볼트 315: 아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
316 : 아우트리거의 제2 브래킷 320 : 제4 유압실린더
400 : 유압발생장치 500 : 적재함
501 : 차체프레임
본 발명은 차량용 미니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화물차 량, 트랙터나 경운기 뒤에 부착된 트레일러 등의 차량에 장착되고, 저가형의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크레인 장착에 따른 적재함의 공간잠식을 줄이면서 상기 소형 화물차 등에 적합한 구조의 아우트리거가 구비된 차량용 미니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화물을 상하차하는 하역(荷役)작업을 이루도록 화물을 상하ㆍ좌우·전후 방향으로 운반하는 기계장치로서, 사용 목적과 형식 및 운동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되고 있다.
이들 중 차량에 장착되어 이동이 용이한 차량 장착용 크레인이 있으며, 이러한 크레인이 장착된 차량은 신속하게 이동할 수 있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신속하게 화물을 상하차하는 하역작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소형화물을 상하차할 수 있게 소형 화물용 차량에 장착할 수 있는 크레인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소형 화물용 차량에 장착된 크레인은 크레인의 중량을 지지하기 위하여 적재함 바닥면에 고정되는 하부베이스와, 크레인이 화물을 원하는 곳에 하역하기 위하여 회동축을 회전시키는 회동장치와,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신축 붐대와, 상기 상하로 이동되는 수평 붐대와, 상기 수평 붐대에 배치되어 앵커와 연결된 와이어를 감고 푸는 와이어윈치 등이 필요하며, 그 편리성에도 불구하고 농촌 등에서 곡물포대 등의 상하차용으로 사용하기 위한 농민이나 소형 화물의 상하차 작업이 필요한 영세업자에게는 상기 크레인이 상당히 고가여서 구입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소형 화물용 차량에 장착된 크레인은 상기 크레인을 차량에 장 착하기 위하여 불가피하게 차량 적재함의 일정 공간을 차지하므로 적재함의 활용도가 저하되어 화물 적재량이 축소되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크레인이 화물을 상하차함에 있어서 원하는 작업 방향 및 작업 지점 등으로 이동하기 위하여 신축붐대, 와이어윈치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원활히 그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에도 위 장치들을 모두 구비하고 있어 구매한 상기 크레인의 비용에 비하여 작업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크레인은 차량의 적재함에 상기 하부베이스 설치를 위한 설치공간과 회동축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 설치공간이 각각 필요로 하게 되어 크레인 설치에 따른 적재함의 공간을 많이 잠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크레인의 상하차시 작업하중을 지면에 지지하여 안정성을 확보하는 아우트리거가 복잡한 구조로 되어 있고 경량화되지 못하여 소형차량에 적합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개발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면서도 크레인 본래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는 한편 크레인 설치에 따른 적재함 공간 잠식을 줄일 수 있는 구조의 차량용 미니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에 화물을 상하차할 때 횡하중에 대한 안정성이 확보되도록 소형 차량에 적합한 간단한 구조의 아우트리거가 구비된 차량용 미니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은화물을 차량의 적재함에 상하차 할 수 있도록 전후 동작 및 상하 동작을 하는 붐대와 상기 붐대를 회동시키는 회동축과 상기 붐대 및 회동축을 동작시키는 유압실린더들로 이루어진 크레인부와, 상기 크레인부를 차량 적재함에 고정지지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로 이루어진 차량용 미니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을 상기 유압실린더의 신축작동에 의해 체인의 이동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베이스는 상기 회동축이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포스트와, 상기 회동축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를 수용하는 중공 프레임과, 상기 중공 프레임 양단에서 차량의 양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차량 적재함 바닥에 고정되는 측면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은, 상기 크레인부의 작업 하중을 지면에 지지시키기 위한 아우트리거가 더 구비되되, 상기 아우트리거는 하나의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좌우에 설치된 접지판이 동시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에서 상기 아우트리거는 2단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구조로 되고 그 양단부에는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판이 구비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 하나 이상인 아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과, 상기 차량 적재함 하부의 차체에 고정되어 상기 아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과 힌지 결합된 아우트리거의 제2 브래킷과, 상기 아우트 리거의 제1 브래킷을 이동하게 하여 상기 지지대를 회동시키는 상기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은, 상기 붐대가 전후 동작을 하는 제1 붐대와 상하 동작을 하는 제2 붐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붐대와 제2 붐대는 링크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붐대는 제1 축과 제2 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은, 상기 하부베이스가 차량 적재함의 후미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은, 화물을 차량의 적재함에 상하차 할 수 있도록 전후 동작 및 상하 동작을 하는 붐대와 상기 붐대를 회동시키는 회동축과 상기 붐대 및 회동축을 동작시키는 유압실린더들로 이루어진 크레인부와, 상기 크레인부를 차량적재함에 고정지지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로 이루어진 차량용 미니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의 작업 하중을 지면에 지지시키기 위한 아우트리거가 더 구비되되, 상기 아우트리거는 하나의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좌우에 설치된 접지판이 동시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는 상기 아우트리거가 2단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구조로 되고 그 양단부에는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판이 구비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 하나 이상인 아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과, 상기 차량 적재함 하부의 차체에 고정되어 상기 아 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과 힌지 결합된 아우트리거의 제2 브래킷과, 상기 아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을 이동하게 하여 상기 지지대를 회동시키는 상기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은, 상기 회동축을 상기 유압실린더의 신축작용에 의해 체인의 이동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베이스는 상기 회동축이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포스트와, 상기 회동축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를 수용하는 중공 프레임과, 상기 중공 프레임 양단에서 차량의 양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적재함 바닥에 고정되는 측면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은, 상기 하부베이스가 차량 적재함의 후미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에서 상기 붐대 연결구조는 전후 동작을 하는 제1 붐대와 상하 동작을 하는 제2 붐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붐대와 제2 붐대는 링크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붐대는 제1 축과 제2 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의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요부 평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에 장착된 상태를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은 크게 화물을 상하차시키는 크레인부(100)와, 상기 크레인부를 차량 적재함(500)에 고정시키며 회동장치(35) 설치를 위한 공간부(211)가 마련된 하부베이스(200)와, 크레인의 작업 하중을 지면에 지지시키는 아우트리거(300)와,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400)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크레인부(100)는, 전후 동작을 하는 제1 붐대(10)와, 선단에 후크(22)를 구비하여 상하 동작을 하는 제2 붐대(20)와, 상기 제1 붐대(10)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붐대(10)를 회동시키는 회동축(30)과, 상기 제1 붐대(10)를 전후 이동시키는 제1 유압실린더(40)와, 상기 제2 붐대(20)를 상하 이동시키는 제2 유압실린더(42)와, 상기 회동축(30)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35)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붐대(10)와 회동축(30)은 제1 링크부재(50)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붐대(10)와 제2 붐대(20)는 제2 링크부재(52)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링크부재(50)는 하부에 연결된 회동축(30)의 회동력을 상기 제1 붐대(10)로 전달하며, 상기 제1 링크부재(5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붐대(10)의 전후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2개의 연결점(50a, 50b)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점(50a)은 상기 제1 붐대의 제1 축(11)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점(50b)은 상기 제1 붐대의 제2 축(1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1 붐대(10)의 제1 축(11)의 중앙 하부에는 상기 제1 유압실린더(40)의 일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1 브래킷(1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붐대(10)의 제2 축(12)의 상단부는 상기 제1 유압실린더(40)의 신축 바의 단부가 결합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붐대(10)는 상기 제1 링크부재(50)를 두지 않고 상기 회동축(30)과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링크부재(52)는 상기 제1 붐대(10)를 제2 붐대(20)에 결합하는 역할을 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붐대(10)의 전후 이동 및 제2 붐대(20)의 상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3개의 연결점(52a, 52b, 52c)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점(52a)은 상기 제2 붐대(20)의 한쪽 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점(52b)은 상기 제1 붐대의 제1 축(11)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점(52c)은 상기 제1 붐대의 제2 축(12)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2 붐대(20)의 중앙 하부에는 상기 제2 유압실린더(42)의 일단부와 결합하기 위한 제2 브래킷(2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2 유압실린더(42)의 타단부는 상기 제2 링크부재(52)의 연결점(52b)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회동축(30)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35)는 하부베이스(200)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211)에 위치되는 것으로 도 4를 통하여 하부베이스(200) 구조와 함께 설명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베이스(200)는 내부에 회동축(30)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35)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211)가 마련된 중공 프레임(210)과, 상기 중공프레임(210)의 상부 한쪽에 원통형으로 설치되어 상기 공간부(211)와 연통된 지지포스트(240)와, 상기 중공 프레임(210)의 양단에서 차량의 양측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면 프레임(22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회동축(30)은 상기 지지포스트(240)에 삽입되어 회동축 하단에 설치된 스프로킷(31)이 상기 중공프레임(210)의 공간부(211) 한쪽으로 위치되며, 상기 회동장치(35)는 상기 중공 프레임의 공간부(211)로 위치된다.
상기 회동장치(35)는 회동축(30) 하단의 스프로킷(31)에 연결되는 체인(36)과 이 체인(36)을 이동시키는 제3 유압실린더(44)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유압실린더(44)는 양쪽으로 로드가 이동되는 통상의 양로드식 복동실린더가 바람직하며, 상기 체인(36)의 이동 경로상에는 제3 유압실린더(44) 로드의 양쪽 단부가 체인(36)에 연결되어 있고 또한 체인의 장력조절을 위하여 통상의 장력조절구(37)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체인(36)은 원활한 회전을 위하여 아이들롤러(38)에 의해 회전이 지지된다.
상기 제3 유압실린더(44)의 로드가 이동되면 체인(36)이 이동되고 상기 체인(36)에 연결된 회동축(30)의 스프로킷(31)이 회전되어 회동축(30)이 회동되는 작동구조를 가진다. 또한 상기 작동구조에 의해 제3 유압실린더(44)의 로드가 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체인(36)에 연동되는 크레인부(100)의 회동축 회전방향이 결정되는 것이다.
상기 중공 프레임(210)은 그 폭이 상기 회동장치(35)가 수용되었을 때 상기 회동장치(35)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정도의 최소한의 폭으로 형성된 다.
상기 회동장치(35)가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충분한 회동력을 발휘하는 한편 하부베이스(200)의 중공 프레임(210) 공간부(211)로 위치되어 크레인 설치에 따른 적재함(500)의 공간잠식을 줄이게 된다.
또한 상기 회동장치(35)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축(30)의 회동범위는 0~360도로 차량 주변의 모든 둘레에서 화물의 상하차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 하부베이스(20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하부베이스(200)는 상기 크레인부(100)를 상기 차량의 적재함(500)에 견고히 고정하면서도 차량의 적재함(500)의 화물 수용 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하기 위하여 적재함(500)의 후미에 설치되며 내부에 상기 회동축(30) 하부 및 회동장치(35)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부(211)가 마련된 중공 프레임(210)과, 상기 중공 프레임(210)의 양단에서 연장되어 적재함(500)의 양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측면 프레임(22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부 베이스(200)는 'ㄷ'자 형상의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부베이스(200)는 상기 중공 프레임(210)의 상부 한쪽에 상기 회동축(30)의 둘레를 미끄럼 지지하는 원통형의 지지포스트(240)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포스트(240)는 상기 중공 프레임(210)과 용접 등에 의해 일체화됨으로써 크레인부의 상하차 작업시의 상기 회동축(30)이 받는 횡하중, 굽힘 모멘트 등을 견고하게 지탱한다. 또한 상기 지지포스트(240)에 상기 회동축(30)을 삽입시키는 것에 의해서 상기 크레인부(100)를 상기 하부베이스(200)에 간단하게 결합되 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상기 하부베이스(200)는 지지포스트(240)와 중공프레임(210)과 측면프레임(220)이 일체화되어 더욱 견고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 중공프레임(210)은 특정부위를 클램프나 U볼트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차량의 적재함(500)을 관통하여 차체 프레임(501)에 견고히 고정시키고, 상기 측면 프레임(220)의 일단부는 U볼트 등의 고정부재로 차량의 적재함(500)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하부베이스(200)의 측면 프레임(220)은 화물 및 크레인부(100)의 하중을 보다 잘 적응하고 무게를 줄이기 위하여 하중을 많이 받는 부분인 차량 적재함(500) 후미 부분은 그 단면의 크기를 크게 하고 하중이 덜 받는 부분은 그 단면의 크기를 작게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측면 프레임(220)은 그 단면의 크기를 상기 차량 적재함(500)의 후미로부터 적재함(500) 내부로 갈수록 작아지도록 형성한다.
다음으로 아우트리거(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아우트리거(300)는 차량 후미방향의 차체에 힌지 연결되는 지지대(310)와 상기 지지대(310)를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켜 접지시키는 제4 유압실린더(320)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아우트리거(300)의 지지대(310)는 차량의 양측 방향으로 길이가 수동으로 신축 가능한 2단 구조로서, 양단으로 통로가 형성된 중공 지지대(311)와 상기 중공 지지대(311)의 양쪽 통로에 각각 삽입되는 한쌍의 슬 라이딩 지지대(3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중공 지지대(311)의 통로상에서 상기 슬라이딩 지지대(312)를 수동으로 밀거나 당기면 이동되어 지지대(310)의 길이가 신축되는 것으로써, 특정 길이로 신축되었을 때 신축된 상태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중공 지지대(311)의 일측에는 고정볼트(314)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볼트(314)를 조이거나 풀게되면 상기 중공 지지대(311)의 통로상에서 슬라이딩 지지대(312)가 고정되거나 고정이 해제된다.
상기 슬라이딩 지지대(312)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슬라이딩 지지대(312)가 상기 중공 지지대(311)의 양쪽으로 신장될 때 크레인부(100)가 설치된 쪽으로 더 길게 신장되도록 하여(도 2 참조) 크레인 작업시의 차량의 안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한쌍의 슬라이딩 지지대(312)의 단부에는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판(313)이 각각 힌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중공 지지대(311)의 상단에는 하나 이상의 아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315)이 고정 설치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중공 지지대(311)의 상단에 한쌍인 아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315)이 차체 프레임(501)과 같은 폭으로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아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315)은 상단에는 연결점(315a)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점(315a)은 차체 프레임(501)에 고정되는 아우트리거의 제2 브래킷(316)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아우트리거의 제2 브래킷(316)은 차체 프레임(501)에 U볼트 등의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 유압실린더(320)는 상기 지지대(310)를 상기 아우트리거의 제1, 제 2 브래킷(315, 316)의 힌지결합된 연결점(315a)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지면에 접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써, 일단부는 상기 아우트리거의 제2 브래킷(316)의 상단 일측에 핀결합되며, 신장되는 타단부는 상기 아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315)의 중간부위에 형성된 연결점(315b)에 핀결합된다. 상기 제4 유압실린더(320)의 일단부는 차체에 직접 결합시켜도 무방하다.
상기 제4 유압실린더(320)는 1개가 설치되며, 위치는 상기 지지대(310)를 최대 신장시켰을 때 신장된 지지대(310)의 대략 중간 지점이 되도록 상기 한쌍의 아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315) 중 오른쪽의 아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에 연결됨이 구조적 바람직하다(도 2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에서 상기 아우트리거(300)는 상기 제4 유압실린더(320) 1개를 이용하여 지지대(310)의 양쪽 접지판(313)을 동시에 접지시키는 구조로 되는 것이다.
상기 아우트리거(300)에서 제4 유압실린더(320)가 수축된 최초 상태에서는 상기 지지대(310)가 지면과 이격되어 수평 상태를 이루며, 이후 상기 유압실린더(320)를 신장시키면 아우트리거의 제1, 제2 브래킷(315, 316)의 힌지 연결된 연결점(315a)을 중심으로 상기 지지대(311)가 회동되고 상기 제4 유압실린더(320)를 최대 신장시키면 상기 지지대(311)는 지면에 대해 수직상태를 이루며 이때 상기 접지판(313)이 지면에 양쪽으로 접지된다.(도 3 참조)
상기와 같이 지지대(311)의 접지판(313)이 지면에 접지되었을 때 아우트리거(300)는 크레인부(100)의 작업하중을 지면에 지지시키게 되어 차량의 횡하중에 대 한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유압발생장치(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이 차량 적재함(500)에 장착된 상태를 도 3과 다른 방향에서 바라 본 측면도로서, 상기 유압발생장치(400)는 상기 여러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것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적재함(500) 하부에 설치되도록 한다.
상기 유압발생장치(400)는 차량의 적재함(500)에 설치할 수도 있지만 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고려하여 상기 적재함(500)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시 고정부재에 의해 부착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은, 현장에서 조립설치가 용이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크레인부(100)에서 붐대(10, 20) 및 링크부재(50, 52)들의 연결구조가 힌지 핀에 의한 결합구조로 되어있고, 하부베이스(200)가 차량의 적재함(500)에 고정부재에 의해 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또한 아우트리거(300)가 차체프레임에 고정부재에 의해 고정되는 한편 지지대(310), 접지판(313), 브래킷(315,316) 및 유압실린더(320) 등이 각종 핀에 의한 연결구조로 되어 있어서, 각 부품들을 현장에서 각종 핀에 의해 결합시키며 또한 고정부재에 의해 차량에 부착시킴으로써 차량에 용이하게 조립 설치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도 6의 (a), (b), (c)를 참고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이 화물을 상하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의 (a), (b), (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이 화물을 상하차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도 6의 (a)는 아우트리거를 지면에 접지시킨 상태에서 차량의 좌측에 위치하고 있는 화물을 상기 제2 붐대(20)의 선단에 있는 후크(21)에 거는 작업을 하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6의 (b)는 상기 후크(21)에 걸려 있는 화물을 들어올린 상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6의 (c)는 상기 후크(21)에 걸려 있는 화물을 차량의 적재함에 싣는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상하차 작업시의 차량의 안정성 확보를 위하여 아우트리거(300)를 지면에 접지시킨다. 상기 아우트리거(300)를 접지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지지대(310)를 차량의 양쪽 횡방향으로 신장시키기 위하여 중공 지지대(311)의 양쪽 통로에 삽입된 슬라이딩 지지대(312)를 양방향으로 지지하기에 적당한 위치까지 손으로 각각 신장시킨 뒤 고정볼트(314)로 고정시킨다. 이후 제4 유압실린더(320)를 최대 신장시켜서 지지대(310)를 수직상태로 회동시켜 양쪽 접지판(313)을 지면에 접지시킨다.
이후, 화물을 상기 제2 붐대(20)의 선단에 있는 후크(22)에 거는 작업을 하기 위해서 우선 제2 붐대(20)를 상기 화물이 위치한 지점으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3 유압실린더(44)를 조작하여 상기 회동축(30)을 회동시켜 제1 붐대(10) 및 제2 붐대(20)를 상기 화물이 위치한 지점으로 회동시킨다. 이후 상기 제2 유압실린더(42)를 조작하여 상기 제2 붐대(20)를 하강시켜 상기 후크(22)에 화물을 걸기에 적합한 위치로 이동한다. 이 경우에도 필요하다면 제1 붐대(10)의 전후 이동에 의하여 제1 붐대(10)의 경사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을 들어올리기 위해서는 상기 제2 붐대(20)를 상승시키면 되는데 이 경우 상기 제2 유압실린더(42)를 조작하여 상기 제2 유압실린더(42)의 신축 바를 신장시키면 된다. 이 경우에도 필요하다면 제1 붐대(10)의 전후 이동에 의하여 제1 붐대(10)의 경사를 조절할 수도 있다.
도 6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들어올린 화물을 차량의 적재함(500)에 싣기 위해서는 상기 제1 유압실린더(40)를 조작하여 상기 제1 붐대(10)를 우측으로 적정 위치까지 이동시킨 뒤, 상기 제2 유압실린더(42)를 조작하여 상기 제2 붐대(20)를 하강시킨다. 이후 후크로부터 화물을 분리시키고, 지면에 접지된 아우트리거(300)를 지면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된다.
상기 접지된 아우트리거(300)를 지면으로부터 분리시켜 최초상태로 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제4 유압실린더(320)를 최대 축소시켜서 지지대(310)를 수평상태로 회동시켜 접지판(313)을 지면에서 분리시킨다. 이후 신장되었던 지지대(310)가 최초 길이로 축소되도록 고정볼트(314)를 풀어 중공 지지대(311)와 슬라이딩 지지대(312)간의 고정상태를 해제한 후 슬라이딩 지지대(312)를 중공 지지대(311)의 양쪽 통로에 손으로 밀어 넣어 고정볼트(314)로 고정시키면 된다.
한편, 차량의 적재함에 실린 화물을 하차할 경우에는 먼저 지면에 아우트리거(300)를 접지시키고, 이후 상기 제1 붐대(10), 제2 붐대(20) 및 회동축(30)을 상기 상차의 역순으로 진행시키며, 이후 상기 접지된 아우트리거(300)를 지면으로부터 분리시키면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은 간단한 구조로서 통상의 차량용 크레인에 구비된 신축 붐대, 윈치가 없이도 원활히 화물을 상하차하는 하역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회동장치(35)가 하부베이스(200) 내부로 위치되고 회동축(30)이 360도 회동이 가능함은 물론 아우트러거(300)가 간단한 구조로 되어 있어 경량화되거나 소형화된 화물트럭 등에 더욱 용이하게 장착 사용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아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미니 크레인은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하면서도 크레인 본래의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회동장치가 하부베이스의 중공 프레임 내부로 위치되어 크레인 설치에 따른 적재함의 공간잠식을 더욱 줄이게 되는 이점이 있고, 간단한 구조의 회동장치에 의한 회동축의 회동범위가 0~360도로 되어 차량 주변의 모든 둘레에서 상하차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형 트럭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의 아우트리거가 장착되어 차량의 횡하중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 부품들이 각종 핀에 의한 결합되거나 고정부재에 의해 차량에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어 현장에서 조립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화물을 차량의 적재함에 상하차 할 수 있도록 전후 동작 및 상하 동작을 하는 붐대와 상기 붐대를 회동시키는 회동축과 상기 붐대 및 회동축을 동작시키는 유압실린더들로 이루어진 크레인부와, 상기 크레인부를 차량 적재함에 고정지지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로 이루어진 차량용 미니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을 상기 유압실린더의 신축작동에 의해 체인의 이동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베이스는 상기 회동축이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포스트와, 상기 회동축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를 수용하는 중공 프레임과, 상기 중공 프레임 양단에서 차량의 양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차량 적재함 바닥에 고정되는 측면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니 크레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의 작업 하중을 지면에 지지시키기 위한 아우트리거가 더 구비되되,
    상기 아우트리거는 하나의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좌우에 설치된 접지판이 동시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니 크레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는, 2단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구조로 되고 그 양단부에는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판이 구비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 하나 이상인 아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과, 상기 차량 적재함 하부의 차체에 고정되어 상기 아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과 힌지 결합된 아우트리거의 제2 브래킷과, 상기 아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을 이동하게 하여 상기 지지대를 회동시키는 상기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니 크레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는 전후 동작을 하는 제1 붐대와 상하 동작을 하는 제2 붐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붐대와 제2 붐대는 링크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붐대는 제1 축과 제2 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니 크레인.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베이스는 차량 적재함의 후미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니 크레인.
  6. 화물을 차량의 적재함에 상하차 할 수 있도록 전후 동작 및 상하 동작을 하는 붐대와 상기 붐대를 회동시키는 회동축과 상기 붐대 및 회동축을 동작시키는 유압실린더들로 이루어진 크레인부와, 상기 크레인부를 차량적재함에 고정지지하는 하부베이스와, 상기 유압실린더들에 작동유를 공급하는 유압발생장치로 이루어진 차량용 미니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부의 작업 하중을 지면에 지지시키기 위한 아우트리거가 더 구비되되,
    상기 아우트리거는 하나의 유압실린더의 작동에 의하여 좌우에 설치된 접지판이 동시에 접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니 크레인.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우트리거는, 2단으로 형성되어 차량의 폭 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구조로 되고 그 양단부에는 지면에 접지되는 접지판이 구비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특정 위치에 고정 설치된 하나 이상인 아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과, 상기 차량 적재함 하부의 차체에 고정되어 상기 아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과 힌지 결합된 아우트리거의 제2 브래킷과, 상기 아우트리거의 제1 브래킷을 이동하게 하여 상기 지지대를 회동시키는 상기 유압실린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니 크레인.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을 상기 유압실린더의 신축작용에 의해 체인의 이동으로 회동시키는 회동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하부베이스는 상기 회동축이 끼워져 결합되는 지지포스트와, 상기 회동축을 회동시키는 회동장치를 수용하는 중공 프레임과, 상기 중공 프레임 양단에서 차량의 양측면을 따라 연장되어 적재함 바닥에 고정되는 측면 프레임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니 크레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베이스는 차량 적재함의 후미쪽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니 크레인.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붐대 연결구조는 전후 동작을 하는 제1 붐대와 상하 동작을 하는 제2 붐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붐대와 제2 붐대는 링크부재로 연결되며, 상기 제1 붐대는 제1 축과 제2 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미니 크레인.
KR1020040097206A 2004-11-25 2004-11-25 차량용 미니 크레인 KR1006006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206A KR100600634B1 (ko) 2004-11-25 2004-11-25 차량용 미니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7206A KR100600634B1 (ko) 2004-11-25 2004-11-25 차량용 미니 크레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242A KR20060058242A (ko) 2006-05-30
KR100600634B1 true KR100600634B1 (ko) 2006-07-13

Family

ID=371533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7206A KR100600634B1 (ko) 2004-11-25 2004-11-25 차량용 미니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063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8105A (zh) * 2013-11-19 2014-02-19 辽宁鑫丰矿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中部槽液压起吊车
KR101363369B1 (ko) * 2012-09-04 2014-02-19 차중권 베이스블록이 구비된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KR101545337B1 (ko) 2015-03-09 2015-08-19 이희재 굴삭기 붐의 좌우 회전장치
KR102171114B1 (ko) 2019-06-11 2020-10-28 최정욱 차량용 중량물의 상하차용 장치
KR20220084461A (ko) 2020-12-14 2022-06-21 최정욱 차량용 화물 상하차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021B1 (ko) 2004-12-24 2006-08-09 대호 (주)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 방법
KR101304011B1 (ko) * 2013-06-17 2013-09-10 최석관 트랙터용 하우스 파이프 이송 장치
CN105347203B (zh) * 2015-12-08 2018-06-12 河南工学院 一种用于货车装卸货物的车载起重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특개2000-83436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3369B1 (ko) * 2012-09-04 2014-02-19 차중권 베이스블록이 구비된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CN103588105A (zh) * 2013-11-19 2014-02-19 辽宁鑫丰矿电设备制造有限公司 一种中部槽液压起吊车
KR101545337B1 (ko) 2015-03-09 2015-08-19 이희재 굴삭기 붐의 좌우 회전장치
KR102171114B1 (ko) 2019-06-11 2020-10-28 최정욱 차량용 중량물의 상하차용 장치
KR20220084461A (ko) 2020-12-14 2022-06-21 최정욱 차량용 화물 상하차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8242A (ko) 2006-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985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ading cargo on an ATV
US5387071A (en) Rotatable recovery vehicle
JP5297624B2 (ja) 可変位置カウンタウエイトユニットを装備している自走式リフトクレーン及びその操作方法
US20070104560A1 (en) Log Transport Device
JP2008532876A (ja) 車載式クレーン
KR100600634B1 (ko) 차량용 미니 크레인
JP2007230747A (ja) 作業方法および作業機械
US4216941A (en) Yoke hoist for use with pickup truck
JPH11503101A (ja) 車両へのコンテナの積み卸しのための機構
US20050079037A1 (en) Lifting and carrying apparatus for vehicles
KR100611021B1 (ko) 차량용 탈착식 미니 크레인 및 그의 탈착 방법
KR100600629B1 (ko) 차량에 장착되는 상하차용 미니 크레인
JP4922780B2 (ja) クレーンおよびクレーンの分解組立方法
KR100585881B1 (ko)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및 그 탈착 방법
JP4782946B2 (ja) 車両搭載型のクレーン
WO2006009356A1 (en) Detachable mini crane for vehicle and detachable method thereof
JP4121023B2 (ja) ステップ一体型荷受台昇降装置
JP4199936B2 (ja) 荷受台昇降装置における油圧配管等の配設構造
JP2574326Y2 (ja) 車載型クレーンのアーム支持構造
KR200366656Y1 (ko) 차량용 탈착식 크레인
US4892290A (en) Combination hoist and stand
US2002011044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porting with an automotive vehicle a straddled sports vehicle
JP7372802B2 (ja) トレーラ車のアンダーリフト構造
JP2007326712A (ja) トラック用簡易型クレーン
KR102411165B1 (ko) 피엘에스 차량의 컨테이너 흔들림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