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9689B1 - 자동차의 소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소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9689B1
KR101049689B1 KR1020090059189A KR20090059189A KR101049689B1 KR 101049689 B1 KR101049689 B1 KR 101049689B1 KR 1020090059189 A KR1020090059189 A KR 1020090059189A KR 20090059189 A KR20090059189 A KR 20090059189A KR 101049689 B1 KR101049689 B1 KR 101049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jection
vehicle
bonnet
fire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91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1602A (ko
Inventor
곽성진
Original Assignee
곽성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곽성진 filed Critical 곽성진
Priority to KR10200900591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9689B1/ko
Publication of KR20110001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1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9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9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자동차의 소화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자동차의 소화 장치는 엔진이 수용되는 엔진룸과, 상기 엔진룸을 덮는 보닛(bonnet)을 포함하는 자동차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보닛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닛 하부에 발생되는 화재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부재는 내부에 소화액을 수용하는 소화액 수용 케이스와,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 내에 수용된 소화액에 분사압을 제공하는 분사 펌프와, 상기 분사 펌프에서 제공된 분사압에 의해 이동되는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상기 분사 노즐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는 노즐 방향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자동차의 소화 장치에 의하면, 보닛 하부에 발생되는 화재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 부재가 보닛 하부에 배치되거나, 트렁크 부근에 배치됨으로써, 자동차의 보닛 하부 또는 자동차의 후측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가 효율적으로 진압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소화 장치{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는 엔진이 수용되는 엔진룸과, 상기 엔진룸을 덮는 보닛(bonnet)이 형성된다. 충돌 사고 등에 의해 자동차에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보닛 하부에 그러한 화재가 빈번하게 발생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에서는, 그러한 차량 화재에 대비하기 위하여, 대부분 휴대용 소화기를 트렁크 등에 배치하는 정도로 그치는데, 이러한 경우 충돌 사고 등에 의해 탑승자가 하차를 할 수 없는 경우 휴대용 소화기는 전혀 작동되지 못하므로, 자동차의 화재에 취약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자동차의 소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는 엔진이 수용되는 엔진룸과, 상기 엔진룸을 덮는 보닛(bonnet)을 포함하는 자동차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보닛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닛 하부에 발생되는 화재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부재는 내부에 소화액을 수용하는 소화액 수용 케이스와,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 내에 수용된 소화액에 분사압을 제공하는 분사 펌프와, 상기 분사 펌프에서 제공된 분사압에 의해 이동되는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상기 분사 노즐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는 노즐 방향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에 의하면, 보닛 하부에 발생되는 화재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 부재가 보닛 하부에 배치됨으로써, 자동차의 보닛 하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가 효율적으로 진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의 전면부를 보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를 구성하는 분사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를 구성하는 분사 부재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를 구성하는 분사 부재의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를 구성하는 승강 부재가 하강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를 구성하는 승강 부재가 상승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100)는 분사 부재(110)와, 제어부(140)와, 승강 부재(160)와, 감지 센서(170)를 포함하여, 자동차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번호 10은 엔진이 수용되는 엔진룸을 덮는 보닛(bonnet)이고, 도면 번호 11은 자동차의 전측 범퍼이고, 도면 번호 12는 자동차의 전측 유리이고, 도면 번호 13은 워셔액 분사 노즐이고, 도면 번호 150은 자동차의 항법을 위해 자동차의 내부에 설치되는 네비게이션(navigation)이다.
상기 분사 부재(110)는 소화액 덮개(111)와,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와, 분사 노즐(120)과, 분사 펌프(123)와, 노즐 방향 조절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보 닛(10)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닛(10) 하부에 발생되는 화재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는 내부에 소화액을 수용할 수 있는 것으로, 베이스(116)와, 연결 홈부(117)와, 격벽(118)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116)는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의 바닥을 이루는 부분이고, 상기 격벽(118)은 상기 베이스(116)의 외측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소화액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 홈부(117)는 상기 베이스(116)의 대략 중앙에서 소정 높이로 돌출되고, 그 상부가 함몰된 형태를 이루는 것으로, 후술되는 상기 분사 노즐(120)의 하부의 연결 돌기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베이스(116)의 외곽에는 플랜지가 형성된다.
상기 소화액 덮개(111)는 상기 분사 노즐(120)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고,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를 덮는다. 상기 베이스(116) 외곽의 플랜지가 상기 소화액 덮개(111)의 말단에 닿을 때까지, 상기 소화액 덮개(111)에는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가 상기 소화액 덮개(1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소화액 덮개(111)는 상기 보닛(10) 등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소화액 덮개(111)에 삽입된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가 상기 소화액 덮개(111)로부터 임의 이탈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가 상기 소화액 덮개(111)에 억지 끼움되거나,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를 지지하는 별도의 지지 부재(미도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소화액 덮개(111)에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면,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가 상기 보닛(10)에 대해 착탈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 내의 소화액이 모두 소진된 경우,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를 분리하여 보충한 다음, 다시 상기 소화액 덮개(111)에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를 간편하게 재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120)은 상기 분사 펌프(123)에서 제공된 분사압에 의해 이동되는 소화액을 분사한다. 상기 분사 노즐(120)은 상기 소화액 덮개(111)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보닛(10) 하부의 엔진룸 등 화재가 발생될 수 있고, 화재에 취약한 자동차의 구성 요소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21은 상기 분사 노즐(120)의 분사구이고, 도면 번호 122는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 내의 소화액이 상기 분사 노즐(120)로 유입되는 유입구이고, 도면 번호 134는 연통관이다. 상기 분사구(121)와 상기 유입구(122)는 상기 연통관(134)에 의해 서로 연통되어, 상기 유입구(122)로 유입된 소화액은 상기 분사구(121)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120) 상에 상기 분사 펌프(123)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 펌프(123)는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 내에 수용된 소화액에 분사압을 제공한다. 상기 분사 펌프(123)는 상기 분사 노즐(120) 내부에 부압(negative pressure)을 형성하거나,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 내에 정압(positive pressure)을 형성하는 등의 방식으로 상기 소화액에 분사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120)은 상기 소화액 덮개(111)와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분사 노즐(120)의 분사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이러한 분사 노즐(120)의 분사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는 것이 상기 노즐 방향 조절부(130)이다.
상기 노즐 방향 조절부(130)는 모터 등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구동부(131)와, 상기 구동부(131)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구동되는 원동 기어(132)와, 상기 원동 기어(132)에 맞물려 구동되는 종동 기어(133)와, 상기 종동 기어(133)에 연결되어 함께 구동될 수 있는 연통관(134)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131)가 작동되면, 상기 원동 기어(132), 상기 종동 기어(133) 및 상기 연통관(134)이 순차적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분사 노즐(120)의 분사 방향이 전환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보닛(10) 하부의 여러 부분, 특히 엔진룸 등 화재가 발생될 수 있거나, 화재에 취약한 부분에 모두 소화액이 분사될 수 있으므로, 소화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 노즐(120)의 분사 방향 전환 범위는 상기 보닛(10) 하부의 여러 부분 중 엔진룸 등 화재가 발생될 수 있거나, 화재에 취약한 부분에 소화액이 집중될 수 있도록 정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즐 방향 조절부(130)의 구성 요소로 상기 원동 기어(132), 상기 종동 기어(133) 등이 제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동력 전달 부재들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노즐 방향 조절부(130)를 제어하여 상기 분사 노즐(120)의 분사 방향이 전환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분사 펌프(123)를 제어하여 상기 소화액에 분사압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감지 센서(170)와 연결되어 작동될 수 있다.
도면 번호 141은 배터리이다. 상기 배터리(141)는 상기 자동차의 소화 장치(100)의 동력원이 된다. 상세히, 상기 배터리(141)는 상기 분사 부재(110), 상기 제어 부재(140) 등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한다.
상기 자동차의 소화 장치(100)에는 상기 자동차의 주 배터리(미도시)에서 1차적으로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주 배터리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에 예비적으로 상기 배터리(141)에서 전기 에너지 공급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상기 배터리(141)에서 1차적으로 상기 자동차의 소화 장치(100)에 전기 에너지가 공급될 수도 있다.
상기 배터리(141)는 상기 자동차의 운행 시 상기 주 배터리와 함께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의 충돌 시, 상기 배터리(141)의 손상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사기 배터리(141)는 상기 자동차의 실내 하부, 예를 들어 상기 자동차의 데쉬보드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 부재(140)는 상기 분사 부재(110)에서 소화액 분사가 이루어져야 하는 상황인 경우, 상기 자동차의 주 배터리와 상기 자동차의 각 부분의 전기 에너지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자동차의 비상등 및 상기 자동차의 소화 장 치(100)의 각 구성에, 상기 배터리(141)에서 전기 에너지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감지 센서(170)는 상기 전측 범퍼(11), 상기 보닛(10) 등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 예를 들어 차량 충돌에 따른 충격 등을 감지하거나, 상기 보닛(10) 하부의 온도, 예를 들어 엔진룸 등의 온도를 감지하거나, 상기 충격과 상기 온도를 모두 감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감지 센서(170)에서 감지되는 충격, 온도 등의 감지값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것으로 상기 제어부(140)에서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분사 부재(110)가 소화액을 분사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분사 부재(110)가 상기 자동차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닛(10)의 하부 후측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승강 부재(160)는 상기 분사 부재(110)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보닛(10)의 후측 부분을 상승시키거나, 상승된 상기 보닛(10)을 원위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승강 부재(160)의 예시로 유압 실린더(161)가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유압 실린더(161)는 자동차의 프레임 등에 고정되는 고정부(163)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고, 그 작용하는 유압에 따라 노출 길이가 가변되는 피스톤(162)을 가진다. 상기 피스톤(162)이 상기 보닛(10)의 후측 연결부(15)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됨으로써, 상기 승강 부재(160)가 상기 보닛(1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승강 부재(160)에 의해 상기 보닛(10)이 상승되면, 작업자가 상기 분사 부재(110)에 대해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어서, 그 교 환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승강 부재(160)에 의해 상기 보닛(10)이 하강되어 원위치되면, 상기 분사 부재(110)가 상기 보닛(10) 하부에 작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분사 부재(110)의 작동에 관한 정보, 예를 들어 상기 분사 부재(110)를 통해 소화액이 분사되는지 여부, 분사되는 소화액의 양, 분사 후의 소화액 잔여량, 상기 분사 부재(110)의 분사 방향 등의 정보가 상기 네비게이션(15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러면, 탑승자가 실시간으로 상기 네비게이션(150)을 통해 상기 분사 부재(110)의 작동에 관한 각종 정보를 용이하게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네비게이션(150)을 통해 탑승자가 상기 분사 부재(110)의 작동 명령을 내리면, 그에 따라 상기 분사 부재(110)가 작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네비게이션(150) 외에, 상기 분사 부재(110)의 작동을 위한 별도의 작동 버튼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자동차의 소화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감지 센서(170)에서 일정 값 이상의 충격, 온도 등이 감지되거나, 상기 네비게이션(150)을 통해 작동 명령이 전달되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분사 부재(110)를 작동시킨다.
상세히, 상기 분사 펌프(123)에 구동 명령이 전달되어, 상기 분사 펌프(123)에서 분사압이 형성되고, 그러한 분사압에 의해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111) 내의 소화액이 상기 분사 노즐(120)을 통해 화재가 발생된 상기 보닛(10) 하부의 소 정 부분에 분사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어부(140)에 의해, 또는 상기 네비게이션(150)을 통한 작동 명령에 의해, 상기 노즐 방향 조절부(130)가 작동되어, 상기 분사 노즐(120)이 일정 방향으로 회전되거나, 일정 범위 내에서 지속적으로 회전되면서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의 후면부를 보이는 평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차의 소화 장치(200)가 자동차의 후면부에 설치되는 분사 부재(210)와, 감지 센서(270)를 포함한다.
도면 번호 20은 트렁크 덮개(20)이고, 도면 번호 21은 자동차의 후측 범퍼이고, 도면 번호 22는 자동차의 후측 유리이다.
상기 감지 센서(270)는 상기 후측 범퍼(21) 등에 설치되어, 상기 자동차의 후측에서의 자동차의 충돌 등을 감지한다.
상기 분사 부재(210)는 상기 트렁크 덮개(20)와 상기 후측 유리(22) 사이 부분 등에 후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감지 센서(270)에서 충돌 등이 감지되면, 소화액을 상기 트렁크 덮개(20) 상단에서 상기 자동차의 후측 방향으로 분사시킨다. 상기 분사 부재(210)의 몸체는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고, 분사 노즐(220)만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자동차의 후측에 상기 분사 부재(210)가 설치됨에 따라, 상기 자동차의 후측에서 타 자동차의 충돌 등에 의해 화재가 발생되거나, 충돌된 후측 차량의 화재가 번지더라도, 상기 화재의 번짐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분사 부재(210)의 작동 상태 등 사기 자동차의 소화 장치(200)에 대한 각종 정보는 자동차 내부의 네비게이션에 디스플레이되고, 상기 네비게이션을 통해 작동 명령 입력도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상기된 실시예들과 같은 소화 장치(100, 200)가 자동차의 전측 및 후측에 모두 설치되는 실시예도 제시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에 의하면, 자동차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의 전면부를 보이는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를 구성하는 분사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를 구성하는 분사 부재의 결합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를 구성하는 분사 부재의 분리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를 구성하는 승강 부재가 하강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를 구성하는 승강 부재가 상승된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 장치가 적용된 자동차의 후면부를 보이는 평면도.

Claims (8)

  1. 엔진이 수용되는 엔진룸과, 상기 엔진룸을 덮는 보닛(bonnet)을 포함하는 자동차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자동차의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닛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닛 하부에 발생되는 화재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는 분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부재는
    내부에 소화액을 수용하는 소화액 수용 케이스와,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 내에 수용된 소화액에 분사압을 제공하는 분사 펌프와, 상기 분사 펌프에서 제공된 분사압에 의해 이동되는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과, 상기 분사 노즐의 분사 방향을 조절하는 노즐 방향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소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부재는
    상기 보닛에 대해 착탈될 수 있고, 내부에 소화액을 수용하는 소화액 수용 케이스와,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 내에 수용된 소화액에 분사압을 제공하는 분사 펌프와, 상기 분사 펌프에서 제공된 분사압에 의해 이동되는 소화액을 분사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소화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부재는 상기 분사 노즐이 결합되고 상기 소화액 수용 케이스를 덮는 소화액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소화 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에 가해지는 충격과, 상기 보닛 하부의 온도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는 감지 센서; 및
    상기 감지 센서에 의해 감지되는 감지값이 미리 정해진 값 이상인 경우, 상기 분사 부재가 소화액을 분사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소화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부재는 상기 자동차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보닛의 하부 후측에 배치되고,
    상기 자동차의 소화 장치는 상기 분사 부재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상기 보닛의 후측 부분을 상승시키거나, 상승된 상기 보닛을 원위치시킬 수 있는 승강 부재;를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소화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에는 상기 자동차의 항법을 위한 네비게이션(navigation)이 배치되고,
    상기 분사 부재의 작동에 관한 정보가 상기 네비게이션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소화 장치.
  8. 삭제
KR1020090059189A 2009-06-30 2009-06-30 자동차의 소화 장치 KR101049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189A KR101049689B1 (ko) 2009-06-30 2009-06-30 자동차의 소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9189A KR101049689B1 (ko) 2009-06-30 2009-06-30 자동차의 소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602A KR20110001602A (ko) 2011-01-06
KR101049689B1 true KR101049689B1 (ko) 2011-07-14

Family

ID=4361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9189A KR101049689B1 (ko) 2009-06-30 2009-06-30 자동차의 소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968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747B1 (ko) * 2016-12-26 2018-04-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자동차 엔진 룸의 화재 진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9171B1 (ko) * 2018-08-28 2020-03-13 금홍주 자동차의 엔진룸 본넷 차음재를 이용한 자동소화 장치
KR200494734Y1 (ko) * 2018-10-29 2021-12-09 구강영 자동차 엔진룸내 화재진압을 위해, 카울 어셈블리에 소화용 노즐 추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0201U (ko) * 1994-12-14 1996-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화재시 자동으로 작동되는 소화장치
KR20020082331A (ko) * 2001-04-21 2002-10-31 이기원 자동차용 자동 소화시스템
KR20020090776A (ko) * 2001-05-29 2002-12-05 조대위 차량화재 자동 소화방법 및 장치
KR20030018097A (ko) * 2001-08-27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룸 소화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0201U (ko) * 1994-12-14 1996-07-1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화재시 자동으로 작동되는 소화장치
KR20020082331A (ko) * 2001-04-21 2002-10-31 이기원 자동차용 자동 소화시스템
KR20020090776A (ko) * 2001-05-29 2002-12-05 조대위 차량화재 자동 소화방법 및 장치
KR20030018097A (ko) * 2001-08-27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룸 소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7747B1 (ko) * 2016-12-26 2018-04-10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자동차 엔진 룸의 화재 진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1602A (ko) 201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81683B1 (en) Sensor cleaning system for vehicles
JP2013135720A (ja) 電動車両の消火構造
KR102437707B1 (ko) 차량용 배터리 화재 진화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049689B1 (ko) 자동차의 소화 장치
KR20100023227A (ko) 자동차의 자동 소화장치
CN112512642A (zh) 具有高电压存储器的车辆以及高电压存储器
KR20100072176A (ko) 전력 기기와 그것을 이용한 전자 기기와 전력 공급 소자 검사 설비
JP5827163B2 (ja) 車両用洗浄装置
JP2012202066A (ja) 電動式作業車両及びその電源ユニット
CN107439522B (zh) 自走式植保机
JP2011026925A (ja) 充電パレットとそれを備えた機械式駐車装置
JP5262466B2 (ja) 燃料電池車両
EP3909650A1 (en) Vehicle with a fire extinguishung system
KR20110015939A (ko) 액체분사가 가능한 진압차량과 그 진압차량시스템
JP2011089257A (ja) 自走式作業車両
JP5892644B2 (ja) 車両のバッテリ装置
KR20160040958A (ko) 차량 손상 방지 자동 소화 장치 및 소화 방법
JP2017225374A (ja) 自走式防除機
CN218187380U (zh) 车载消毒装置
KR19980023219A (ko)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
CN215752649U (zh) 车身结构以及车辆
JPH11147058A (ja) 無線操縦ヘリコプター
KR102669826B1 (ko) 전기자동차의 화재진압 시스템
KR20170033160A (ko) 소형 다목적 소방차
KR102564158B1 (ko) 전기차 배터리 화재 진압용 소화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