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23219A -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23219A
KR19980023219A KR1019960042664A KR19960042664A KR19980023219A KR 19980023219 A KR19980023219 A KR 19980023219A KR 1019960042664 A KR1019960042664 A KR 1019960042664A KR 19960042664 A KR19960042664 A KR 19960042664A KR 19980023219 A KR19980023219 A KR 199800232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ngine room
vehicle
signal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2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병대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42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23219A/ko
Publication of KR19980023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3219A/ko

Link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후드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엔진룸의 화재발생을 감지하고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는 광 감지 센서와, 이 광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입력받아 화재진화신호를 출력하는 엔진제어장치와, 이 엔진제어장치로부터 화재진화신호를 입력받아 엔진룸에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소화 수단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엔진룸 측면의 펜더 내측에 소화 수단을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로 인한 엔진룸의 화재발생시에 초기 진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
본 발명은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의 엔진룸 측면의 펜더 내측에 소화 수단을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로 인한 엔진룸의 화재발생시에 초기 진화가 가능하도록 한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고속도로나 일반도로상에서 고속주행시 예기치 못한 추돌이나 충돌사고로부터 운전자 및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화하기 위해 차량에 에어백을 장착하고 있으며, 측면 충돌로부터 탑승자를 보호하기 위해 도어에는 임팩트 빔을 설치하고 있다.
한편, 차량의 충돌시에 문제되는 것중의 하나는 차량의 전면, 다시 말해 엔진룸이 크게 파손되는 경우에 시동이 꺼지지 않은 이상 연료 펌프는 계속 작동하므로 연료는 계속 엔진으로 공급된다. 이 때 엔진이 파손되거나 연료공급 계통이 파손되면 연료가 누출되는데 휘발유를 연료로 사용하는 차량의 경우에 특히 위험하다. 왜냐하면, 휘발유의 발화점은 30℃∼200℃로 과열된 엔진에 누출된 휘발유가 접촉되거나 충격으로 인하여 피복이 벗겨진 배선에서 발생한 전기장치의 스파크가 누출된 연료로 튀게 되면 연료가 발화하며 화재가 발생하고 초기진화를 하지 못하면 연료탱크의 폭발로 이어진다. 이러한 차량의 화재는 교통사고 발생후에 충돌에 의한 충격으로 인하여 운전자 및 탑승자가 몸을 움직일 수 없는 상태 또는 미처 자동차에서 대피하지 못한 상태에서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종래에는 차량 충돌사고 발생시에 연료펌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함으로써 연료펌프의 작동을 중단시켜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했다.
그러나, 연료펌프의 작동을 중단시켜 엔진으로 공급되는 연료를 차단하는 것만으로는 차량의 충돌사고 발생시에 엔진의 파괴나 연료계통의 파손으로 인하여 누출되는 연료까지 차단시키지 못하므로 화재발생을 완전히 방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차량의 추돌이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연료의 누출을 일차적으로 방지하며, 차량의 전면 펜더의 내측에 소화 수단을 장착하여 엔진룸 화재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초기에 화재를 진화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후드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엔진룸의 화재발생을 감지하고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는 광 감지 센서와, 이 광 감지 센서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입력받아 화재진화신호를 출력하는 엔진제어장치와, 이 엔진제어장치로부터 화재진화신호를 입력받아 엔진룸에 소화약재을 분사하는 소화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광 감지 센서 2 : 엔진제어장치
3 : 소화 수단 4 : 충격감지 센서
5 : 연료 펌프 6 : 연료차단 스위치
7 : 소화약재 용기 8 : 솔레노이드 밸브
9 : 공급관 10 : 분사 노즐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후드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의 불빛을 감지하고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는 광 감지 센서(1)와, 이 광 감지 센서(1)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입력받아 화재진화신호를 출력하며 엔진의 연료계통 및 센서계통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엔진제어장치(2)와, 이 엔진제어장치(2)로부터 화재진화신호를 입력받아 엔진룸에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소화 수단(3)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엔진제어장치(2)에는 자동차가 급격한 가속도의 변화로 정지할 때에 충격신호를 출력하는 충격감지 센서(4)가 연결되며, 이 충격감지 센서(4)의 충격신호를 입력받은 엔진제어장치(2)의 연료차단신호를 입력받아 연료펌프(5)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켜 엔진으로의 연료공급을 중단시키는 연료차단 스위치(6)가 연결된다.
한편, 상기 소화 수단(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 펜더의 내측에 설치되어 소화약재를 저장하는 소화약재 용기(7)와, 이 소화약재 용기(7)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제어장치(2)의 화재진화신호를 입력받아 소화약재 용기(7)의 입구를 개방하여 소화약재가 분출되도록하는 솔레노이드 밸브(8)와, 이 솔레노이드 밸브(8)를 통하여 분출되는 소화약재가 일정한 압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급관(9)과, 이 공급관(9)의 종단에 설치되며 차량의 후드에 고정되어서 공급관(9)을 통하여 공급되는 소화약재를 엔진룸의 각부분으로 골고루 분사시키는 다수개의 분사 노즐(1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차량의 엔진룸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종류가 대부분 유류화재(B급화재)이므로 소화약재 용기(7)에 저장되는 소화약재는 화학소화액이나 분말 또는 CO2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은 먼저, 자동차의 주행중에 전방의 장애물 또는 차량과의 충돌 등으로 인하여 자동차가 정지하게 되면, 충격감지 센서(4)는 충격을 감지하고 충격신호를 출력한다. 충격감지 센서(4)의 충격신호를 입력받은 엔진제어장치(2)에서 연료차단 스위치(6)로 연료차단신호를 출력하면, 연료차단 스위치(6)는 연료 펌프(5)에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므로 연료 펌프(5)는 작동을 중단하게 되어 엔진에는 더 이상 연료가 공급되지 않는다.
한편, 충격감지 센서(4)의 충격신호가 엔진제어장치(2)로 입력되면 엔진제어장치(2)는 광 감지 센서(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체크하기 시작한다. 왜냐하면, 차량의 충돌이 없는 상태에서도 광 감지 센서(1)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체크하면 엔진룸의 화재 이외의 원인으로 인하여 광 감지 센서(1)에 조사되는 광량이 설정된 광도 이상이 되기만 하면 소화 수단(3)이 작동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엔진에 화재가 발생할 확률이 높은 경우인 주행중에 외부로부터 충격이 가해진 후에만 소화 수단(3)이 작동되게 하기 위하여 충격감지 센서(4)로부터의 충격신호가 엔진제어장치(2)로 입력될 때만 광 감지 센서(1)의 입력을 체크하는 것이다.
충격감지 센서(4)로부터 충격신호가 엔진제어장치(2)로 입력되어 광 감지 센서(1)의 출력신호를 체크하는 도중에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하면, 광 감지 센서(1)는 엔진룸의 화염으로부터 빛을 감지하고 엔진제어장치(2)로 화재발생신호를 입력한다. 그러면, 엔진제어장치(2)는 소화 수단(3)의 솔레노이드 밸브(8)로 화재진화신호를 출력하여 솔레노이드 밸브(8)를 작동시켜 소화약재 용기(7)의 입구를 개방시킨다. 일반적으로 소화약재 용기내부에는 고압의 소화약재가 저장되어 있으므로, 고압의 소화약재는 개방된 솔레노이드 밸브(8)를 통하여 일정한 압력을 유지하면서 공급관(9)으로 유입된다. 공급관(9)으로 유입된 소화약재는 공급관(9)의 끝에 설치된 분사 노즐(10)을 통하여 엔진룸의 구석 구석에 분사된다. 따라서, 엔진룸에 발생한 불은 초기에 진화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추돌이나 충돌이 발생하면 연료 펌프의 작동을 중단시켜 일차적으로 연료누출을 방지하며, 연료의 누출을 차단하였음에도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되면 이를 감지하여 전방 펜더 내측에 설치된 소화 수단을 작동시켜 초기에 화재를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엔진룸의 화재발생을 감지하고 화재발생신호를 출력하는 광 감지 센서(1)와, 이 광 감지 센서(1)로부터 화재발생신호를 입력받아 화재진화신호를 출력하는 엔진제어장치(2)와, 이 엔진제어장치(2)로부터 화재진화신호를 입력받아 엔진룸에 소화약재를 분사하는 소화 수단(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 수단(3)이 차량의 전방 펜더의 내측에 소화약재를 저장하는 소화약재 용기(7)와, 이 소화약재 용기(7)의 입구에 설치되어 상기 엔진제어장치(2)의 화재진화신호를 입력받아 소화약재 용기(7)의 입구를 개방하여 소화약재가 분출되도록하는 솔레노이드 밸브(8)와, 이 솔레노이드 밸브(8)를 통하여 분출되는 소화약재가 일정한 압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공급관(9)과, 이 공급관(9)의 종단에 설치되며 차량의 후드에 고정되어서 공급관(9)을 통하여 공급되는 소화약재를 엔진룸의 각부분으로 골고루 분사되도록하는 분사 노즐(1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
KR1019960042664A 1996-09-25 1996-09-25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 KR199800232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664A KR19980023219A (ko) 1996-09-25 1996-09-25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2664A KR19980023219A (ko) 1996-09-25 1996-09-25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3219A true KR19980023219A (ko) 1998-07-06

Family

ID=66325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2664A KR19980023219A (ko) 1996-09-25 1996-09-25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23219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4189A (ko) * 2002-11-20 2003-01-14 양철호 자동차 소화기 자동 작동시스템
KR20030018097A (ko) * 2001-08-27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룸 소화장치
KR20040005264A (ko) * 2002-07-09 2004-01-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룸 소화장치
KR100494486B1 (ko) * 2002-06-04 2005-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소화장치
KR100821142B1 (ko) 2006-11-08 2008-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엔진룸 화재 진압장치
KR101291588B1 (ko) * 2012-06-26 2013-08-01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엔진 후드에 장착되는 차량용 소화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8097A (ko) * 2001-08-27 2003-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룸 소화장치
KR100494486B1 (ko) * 2002-06-04 2005-06-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소화장치
KR20040005264A (ko) * 2002-07-09 2004-01-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엔진 룸 소화장치
KR20030004189A (ko) * 2002-11-20 2003-01-14 양철호 자동차 소화기 자동 작동시스템
KR100821142B1 (ko) 2006-11-08 2008-04-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 엔진룸 화재 진압장치
KR101291588B1 (ko) * 2012-06-26 2013-08-01 현대합성공업 주식회사 엔진 후드에 장착되는 차량용 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384835B (zh) 用于车辆的灭火装置
KR19980023219A (ko)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
CN112451875B (zh) 用于车辆轮胎的灭火系统
US3413013A (en) Vehicle safety assembly
KR0182496B1 (ko)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KR0132587Y1 (ko) 자동차의 연료공급 차단장치
KR20220019357A (ko) 엔진룸 자동 소화기
KR200343750Y1 (ko)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
KR100559624B1 (ko)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 방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0162072B1 (ko) 차량충돌시 연료의 자동귀환장치
RU2747586C1 (ru) Бачок стеклоомывателя автомобиля, предотвращающий пожар в моторном отсеке в момент аварии
KR200401919Y1 (ko) 차량의 화재방지를 위한 연료통
KR20070100044A (ko) 차량의 화재 진화 장치 및 그에 따른 화재 진화 방법
KR200147894Y1 (ko) 차량 사고시 연료 누출 방지 장치
KR20050061186A (ko) 차량의 연료탱크 화재예방장치
KR19980056285A (ko) 자동차의 자동 소화 장치
KR19990011882A (ko) 차량의 자동소화장치 및 방법
KR19980051280U (ko) 차량 충돌시 연료 차단 및 해저드 램프 작동 장치
KR19980036193U (ko) Lp가스 차량용 가스 검출 및 안전장치
KR0142750B1 (ko) 자동차의 소화장치
KR19990032360A (ko) 자동차 화재 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차
KR19980051830U (ko) 엔진 룸 소화장치
KR19990004458U (ko) 자동차의 연료탱크 발화 방지장치.
KR100224225B1 (ko) 자동차용 에어백
KR200431749Y1 (ko) 사이드 에어백의 분출가스 압력 강하 방지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