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94486B1 - 차량용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94486B1
KR100494486B1 KR10-2002-0031370A KR20020031370A KR100494486B1 KR 100494486 B1 KR100494486 B1 KR 100494486B1 KR 20020031370 A KR20020031370 A KR 20020031370A KR 100494486 B1 KR100494486 B1 KR 1004944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vehicle
engine room
driv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1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93648A (ko
Inventor
이존찬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13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486B1/ko
Publication of KR20030093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936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4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룸 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량의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화제가 충전되며, 차량의 엔진룸 내에 장착되는 용기부(100)와; 다수의 노즐부(111)가 구비되며, 상기 용기부(100)와 연결되어 엔진룸의 주변을 따라 설치되는 배관부(110)와; 상기 용기부(100)와 상기 배관부(110) 사이에 구비되어 소화제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부(120)와; 운전석의 대시패널 측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부(120)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레버(130)로 구성되어,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 시에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소화장치{Extinguishing apparatus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룸 내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차량의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룸 등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차량을 정지시킨 다음에 차량 내에 설치된 소화기를 꺼내 후드를 열고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그러나, 갑자기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에 이를 인식한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차량에서 소화기를 꺼내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서는 적잖은 시간이 소요되며, 이 과정에서 차량이 전소되거나 인명 피해가 발생할 수가 있다.
또한,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이를 진압하기 위해 후드를 열게 되면, 이 과정에서 가스나 화염에 의해 안면 화상의 위험과 함께 유독가스를 흡입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가 엔진룸의 화재 발생여부를 신속히 감지할 수 있으며, 또한 운전석에서 운전자가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차량용 소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화제가 충전되며, 차량의 엔진룸 내에 장착되는 용기부와; 다수의 노즐부가 구비되며, 상기 용기부와 연결되어 엔진룸의 주변을 따라 설치되는 배관부와; 상기 용기부와 상기 배관부 사이에 구비되어 소화제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부와; 운전석의 대시패널 측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부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레버로써 달성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차량용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에 차량용 소화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엔진룸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부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차량용 소화장치는 소화제가 충전되며, 차량의 엔진룸 내에 장착되는 용기부(100)와; 다수의 노즐부(111)가 구비되며, 상기 용기부(100)와 연결되어 엔진룸의 주변을 따라 설치되는 배관부(110)와; 상기 용기부(100)와 상기 배관부(110) 사이에 구비되어 소화제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부(120)와; 운전석의 대시패널 측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부(120)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레버(130)로 구성되는 것을 기술상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제는 불을 끄기 위해 산소공급을 차단하며, 가연성 물질을 냉각할 수 있는 물질이 사용될 수가 있으며, 통상의 포말소화제, 분말소화제가 사용될 수가 있으며, 또는 이산화탄소가 이용될 수가 있다.
상기 배관부(110)는 엔진룸의 주변을 따라 적절히 설치되며, 배관부(110)에는 다수의 노즐부(111)가 형성되어 용기부(100)에 충전된 소화제가 노즐부(111)를 통하여 분사되어 엔진룸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상기 용기부(100)와 상기 배관부(110) 사이에는 밸브부(120)가 구비되어 용기부(100)에 충전된 소화제의 배출을 단속하게 된다.
운전석의 대시패널 측에는 상기 밸브부(120)와 연결되어 밸브부(120)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레버(130)가 구비된다.
상기 레버는 운전자가 신속히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석 측에 설치되며, 레버(130)의 조작에 의해 기계적으로 밸브부(120)의 개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를 참고하면, 밸브부(120)는 몸체에 고정된 케이싱(101)과; 탄성체(123)에 탄지되어 케이싱(101) 내에 삽입되어 상기 용기부(100)와 상기 배관부(110)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핀(121)과; 이 차단핀(121)과 운전석에 설치되는 레버를 연결하는 케이블(122)로 이루어질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운전자는 엔진룸 내에 화재 발생 시에 운전석에 구비된 레버를 당기게 되면, 이 레버와 연결된 케이블(122)에 의해 용기부(121)의 노즐을 차단하고 있던 차단핀(121)이 해제되어 소화제가 분사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소화장치에는 엔진룸 내에 화재가 발생 시에 이를 신속히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 있는 화재경고수단이 추가로 구성될 수가 있다.
상기 화재경고수단은 엔진룸 내에 화재를 감지하기 위해 엔진룸 후드의 저면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부(200)와; 이 화재감지센서부(2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출력된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경보수단으로 구성될 수가 있다.
상기 화재감지센서부(200)는 바람직하게는 엔진의 상측부에 위치하도록 엔진룸 후드에 설치가 되며, 화재를 감지하기 위하여 열을 감지하여 일정 온도 이상에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통상의 열센서, 또는 어느 일정온도 이상의 가스나 연기를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통상의 가스 센서 또는 연기센서가 이용될 수가 있다. 또는 이러한 다수의 센서들을 병용하여 이들 신호로부터 화재발생 여부를 최종 판단하여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감지센서들과 제어유니트로 화재감지센서부를 구성할 수가 있다.
상기 경보수단으로는 화재감지센서부의 신호에 따라 동작하는 통상의 스피커, 또는 램프 등에 의해 제공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소화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화재감지센서부(200)는 화재발생을 감지하게 되며, 화재감지센서부(200)와 연결된 경보수단은 운전자에게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알려주게 된다.
경보수단을 통해 화재가 발생하였음을 인지한 운전자는 운전석에 구비된 레버(130)를 당기게 되면, 이 레버(130)와 연결된 케이블(122)에 의해 밸브부(120)의 차단핀(121)이 해제되며, 차단핀(121)이 해제됨에 따라 용기부(121)에 충전된 소화제가 배관부(110)에 형성된 다수의 노즐부(111)를 통해 분사되어 엔진룸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엔진룸에 발생된 화재가 진압된 후에 운전자가 레버(130)를 놓게 되면, 밸브부(120)의 차단핀(121)은 탄성체(123)에 의해 원위치로 리턴되어 용기부(100)의 노즐을 폐쇄하여 소화제의 분사를 차단하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소화장치는 화재감지센서부 및 경보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엔진룸의 화재 발생 시에 이를 신속히 운전자에게 알려줄 수가 있으며, 또한 운전석에서 직접 조작할 수 있는 소화장치를 엔진룸에 구비함으로써 신속히 엔진룸에 발생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차량용 소화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엔진룸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브부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용기부 110 : 배관부
111 : 노즐부 120 : 밸브부
130 : 레버 200 : 화재감지센서부

Claims (4)

  1. 소화제가 충전되며, 차량의 엔진룸 내에 장착되는 용기부와;
    다수의 노즐부가 구비되며, 상기 용기부와 연결되어 엔진룸의 주변을 따라 설치되는 배관부와;
    상기 용기부와 상기 배관부 사이에 구비되어 소화제의 배출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부와;
    운전석의 대시패널 측에 설치되어 상기 밸브부의 개폐를 조작하기 위한 레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엔진룸 내에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화재감지센서부와;
    상기 화재감지센서부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경보수단이 추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는 이산화탄소 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일측이 상기 레버와 케이블로 연결되며, 탄성체에 의해 가압되어 상기 용기부와 상기 배관부 사이를 차단하는 차단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화장치.
KR10-2002-0031370A 2002-06-04 2002-06-04 차량용 소화장치 KR100494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370A KR100494486B1 (ko) 2002-06-04 2002-06-04 차량용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1370A KR100494486B1 (ko) 2002-06-04 2002-06-04 차량용 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648A KR20030093648A (ko) 2003-12-11
KR100494486B1 true KR100494486B1 (ko) 2005-06-13

Family

ID=32385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1370A KR100494486B1 (ko) 2002-06-04 2002-06-04 차량용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48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6699A1 (en) * 1994-12-02 1996-06-06 Norsk Hydro A/S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and prevention of fire hazard
JPH08273069A (ja) * 1995-03-31 1996-10-18 Aisin Seiki Co Ltd 車両火災認識装置
KR19980023219A (ko) * 1996-09-25 1998-07-06 양재신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
KR19980036371A (ko) * 1996-11-18 1998-08-05 김영귀 자동차용 엔진룸의 소화장치
KR19990034620A (ko) * 1997-10-30 1999-05-15 양재신 자동차의 소화장치
KR19990032360A (ko) * 1997-10-17 1999-05-15 최경숙 자동차 화재 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차
US5941315A (en) * 1997-11-17 1999-08-24 Lai; Taming Automobile engine fire extinguishing system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16699A1 (en) * 1994-12-02 1996-06-06 Norsk Hydro A/S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and prevention of fire hazard
JPH08273069A (ja) * 1995-03-31 1996-10-18 Aisin Seiki Co Ltd 車両火災認識装置
KR19980023219A (ko) * 1996-09-25 1998-07-06 양재신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
KR19980036371A (ko) * 1996-11-18 1998-08-05 김영귀 자동차용 엔진룸의 소화장치
KR19990032360A (ko) * 1997-10-17 1999-05-15 최경숙 자동차 화재 방지장치 및 이를 갖는 자동차
KR19990034620A (ko) * 1997-10-30 1999-05-15 양재신 자동차의 소화장치
US5941315A (en) * 1997-11-17 1999-08-24 Lai; Taming Automobile engine fire extinguish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93648A (ko) 200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102042A (ko) 차량 화재 자동 진압 장치 및 제어방법
KR20200101147A (ko) 차량탑재식 소화방법 및 소화시스템
KR101746304B1 (ko) 차량의 엔진룸 화재 대응 장치
KR100494486B1 (ko) 차량용 소화장치
KR20040098747A (ko) 소화기의 자동 소화 시스템
JPH09225056A (ja) 消火器
JP4537275B2 (ja) 油タンク消火設備
KR20120103216A (ko) 차량용 소화시스템
KR100423005B1 (ko) 자동차용 자동 소화장치
KR200300639Y1 (ko) 자동차용 소화장치
KR100559624B1 (ko)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 방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006145146A (ja) 電子レンジ
KR20040042444A (ko) 차량용 소화장치
JPH07222814A (ja) 車両消火システム
JPH0522197Y2 (ko)
KR100191957B1 (ko) 차량실내 화재시의 자동 소화장치
JP6083530B2 (ja) 塵芥収集車用消火装置
KR20000072039A (ko) 가스누설 감지 및 화재 진압 기능을 갖춘 레인지후드
JP2005046570A (ja) 自動消火装置
JP2007159868A (ja) 消火装置および消火方法
KR960009022Y1 (ko) 가스레인지용 자동소화장치(automatic fire·extingulsher for gas range)
CN110898350B (zh) 一种车载灭火装置
KR200360302Y1 (ko) 가스누출화재 경보차단장치
KR20220052438A (ko) 스마트 엔진룸 화재 자동 진화 장치
JPH06316905A (ja) 廃材再生用ドライヤにおける火災消火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