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639Y1 - 자동차용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639Y1
KR200300639Y1 KR20-2002-0027054U KR20020027054U KR200300639Y1 KR 200300639 Y1 KR200300639 Y1 KR 200300639Y1 KR 20020027054 U KR20020027054 U KR 20020027054U KR 200300639 Y1 KR200300639 Y1 KR 2003006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engine room
extinguishing
engine
bon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0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Original Assignee
김성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훈 filed Critical 김성훈
Priority to KR20-2002-00270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6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006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3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룸을 폐쇄하는 보닛(bonnet) 내면에 설치되어 엔진룸(engine room)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 엔진룸 상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소화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자동차의 엔진과열, 전기합선 등으로 인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엔진룸(3)을 폐쇄하는 보닛(4) 내부면에 화재감지센서(6) 및 소화탱크(10)와 연결된 분사구(13)를 설치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6)의 감지신호 또는 수동비상스위치(14)에 연동하는 개폐밸브(8)를 에어컨 냉매가스공급관(7) 중도에 설치하여 엔진룸(3)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 시 신속하게 감지 및 소화작동을 수행토록 하여 신속한 화재진압으로 재산손실 및 귀중한 인명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소화탱크(10)내에 충진된 소화분말의 토출수단으로 저온의 에어컨 냉매가스를 사용함으로써 화재진압에 보다 높은 효율을 득할 수 있고, 소화분말 및 에어컨 냉매를 재충전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도 주어지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소화장치{Fire extinguishing apparatus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자동차의 엔진룸을 폐쇄하는 보닛(bonnet) 내면에 설치되어 엔진룸(engine room)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신속하게 감지하여 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 엔진룸 상에 설치되는 자동차용 소화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자동차에는 화재 시를 감안하여 소화기를 비치하고 있으나, 자동차 화재는 주행 중 충돌사고 시에 스파크가 일어나 누유된 인화물과 점화되어 화재가 발생하거나 엔진과열, 전기합선 등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운전자가 운전 중에 이러한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였다고 하더라도 소화기를 가지고 신속한 소화작업을 행하려면 자동차를 정차시킨 후 보닛을 개방한 후 소화기로 소화작업을 행하여야 하는 바,
이는 화재가 난 자동차의 보닛은 화기로 인하여 매우 뜨거우므로 운전자가 개방하는 데에도 어려움이 있음은 물론, 자칫 화재로 인한 폭발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어 화재진압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으며,
그로 인하여 실제 자동차에 화재가 발생하면 운전자가 자동차로부터 탈출하는데 그치고, 정작 화재진압작업은 소방차 출동시 까지 속수무책으로 일관하는 경우가 많아, 자동차에 비치하고 있는 소화기는 무용지물화 되는 경향이 많았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기존 자동차에서 발생하는 화재 중 가장 높은 빈도를 차지하는 엔진룸 내에서의 엔진과열, 전기합선 등으로 인한 화재를 신속하게 감지하고 이를 소화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소화장치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고안은 특히 자동차용 엔진룸 내부에 설치되어 엔진룸 내부에서 엔진과열, 전기합선 등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수단이 신속하게 감지하여 보닛 내부에 장착된 소화기를 에어컨 냉매가스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소화장치를 제공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자동차용 소화장치 2:자동차
3:엔진룸 4:보닛
5:엔진 6:화재감지센서
7:냉매가스공급관 8:개폐밸브
9:분기관 10:소화탱크
11:공급관 12:분사공
13:분사구 14:수동비상스위치
도 1은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용 소화장치(1)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상기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통상의 자동차(2)의 엔진룸(3) 내부, 더욱 구체적으로는 엔진룸(3)과 보닛(4)의 내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보닛(4)을 엔진룸(3) 상부에서 폐쇄했을 시에 엔진(5) 부분이 위치하는 대응 보닛(4) 내부면에는 엔진과열, 전기합선 등으로 인한 화재를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센서(6)를 부착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6)는 에어컨 냉매가스공급관(7) 중도에 연결된 개폐밸브(8)와 연결하여 상호 연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화재감지센서(6)는 연기감지센서, 온도감지센서 등 기존에 알려져 있는다양한 센서를 선택하거나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개폐밸브(8)에서 분기되는 분기관(9)은 소화분말이 충전된 소화탱크(10)와 연결하며, 소화탱크(10)에 충진된 소화분말은 공급관(11)을 통하여 보닛(4)에 설치된 다수개의 분사공(12)을 갖는 분사구(13)와 연결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밸브(8)는 필요에 따라 운전자가 화재감지센서(6)의 감지작동과는 별도로 비상 시에 수동 작동시킬 수 있도록 수동비상스위치(14)를 운전석 일측에 장착하여 개폐밸브(8)와 전기적으로 연결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소화장치(1)는 자동차의 에어컨 냉매가스를 사용하여 소화분말을 신속하게 분사시켜 자동차 엔진과열, 전기합선 등으로 화재가 발생 시 신속하게 소화를 행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이의 작용을 이하에 보다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자동차 주행 중 엔진과열, 전기합선 등의 현상으로 스파크가 일어나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엔진룸(3)을 폐쇄하고 있는 보닛(4)상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6)가 이를 감지하게 되어 개폐밸브(8)에 신호를 인가하게 되고, 개폐밸브(8)는 신호 인가에 따라 냉매가스공급관(7)을 분기관(9)과 연통시키게 되어 고압의 에어컨 냉매가 분기관(9)을 통하여 소화분말이 충진된 소화탱크(10)로 공급이 되어 충진된 소화분말을 토출시키게 되는 바, 상기 소화탱크(10) 내의 소화분말은 공급관(11)을 통하여 보닛(3)에 설치된 분사구(13)로 이동된 후 다수개의 분사공(12)을 통하여 엔진룸(3) 내부로 고압분사되어 화염을 소화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은 소화분말을 토출하기 위한 수단이 저온의 에어컨 냉매가스를 사용함으로써 화재진압 시에 보다 효율적인 진압이 가능하며, 에어컨 냉매가스 및 소화분말은 화재진압 후 재충전, 재사용 할 수 있어 매우 경제적인 이점이 주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밸브(8)는 운전자가 수동비상스위치(14)를 사용하여 별도로 개폐조작이 가능한 바, 이는 화재감지센서(6)가 오작동 시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방화 등으로 인한 차량화재가 발생 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자동차용 소화장치(1)는 자동차의 엔진과열, 전기합선 등으로 인한 엔진룸상의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자동차의 엔진룸(3)을 폐쇄하는 보닛(4) 내부면에 화재감지센서(6) 및 소화탱크(10)와 연결된 분사구(13)를 설치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6)의 감지신호 또는 수동비상스위치(14)에 연동하는 개폐밸브(8)를 에어컨 냉매가스공급관(7) 중도에 설치하여 엔진룸(3)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 시 신속하게 감지 및 소화작동을 수행토록 하여 신속한 화재진압으로 재산손실 및 귀중한 인명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소화탱크(10)내에 충진된 소화분말의 토출수단으로 저온의 에어컨 냉매가스를 사용함으로써 화재진압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소화분말 및 에어컨 냉매가스는 재충전하여 반복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도 주어지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다대한 고안이다.

Claims (2)

  1. 자동차(2)의 엔진룸(3) 내부에 화재가 발생 시 이를 자동 소화할 수 있는 자동차용 소화장치(1)를 구성함에 있어서;
    자동차 엔진룸(3)을 폐쇄하는 보닛(4)의 내부면에는 화재감지센서(6)를 부착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6)는 에어컨 냉매가스공급관(7) 중도에 연결된 개폐밸브(8)와 연결하여 상호 연동 개폐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개폐밸브(8)에서 분기되는 분기관(9)은 소화분말이 충전된 소화탱크(10)와 연결하며, 소화탱크(10)에 충진된 소화분말은 공급관(11)을 통하여 보닛(4)에 설치된 다수개의 분사공(12)을 갖는 분사구(13)와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8)는 자동차 운전석에 설치되는 수동비상스위치(1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개폐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소화장치.
KR20-2002-0027054U 2002-09-10 2002-09-10 자동차용 소화장치 KR2003006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054U KR200300639Y1 (ko) 2002-09-10 2002-09-10 자동차용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054U KR200300639Y1 (ko) 2002-09-10 2002-09-10 자동차용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39Y1 true KR200300639Y1 (ko) 2003-01-14

Family

ID=493985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054U KR200300639Y1 (ko) 2002-09-10 2002-09-10 자동차용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63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657B1 (ko) * 2006-02-17 2010-12-21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
KR101830674B1 (ko) * 2016-12-08 2018-02-22 (주)대한솔루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657B1 (ko) * 2006-02-17 2010-12-21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조화 장치
US8006505B2 (en) 2006-02-17 2011-08-30 Daikin Industries, Ltd. Air conditioning apparatus
KR101830674B1 (ko) * 2016-12-08 2018-02-22 (주)대한솔루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자동차용 후드 인슐레이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4614B1 (ko) 차량의화재위험자동감지및화재예방/소화방법및장치
US8148943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discharging an energy storage system for electrical energy
CN113384835B (zh) 用于车辆的灭火装置
KR20070102042A (ko) 차량 화재 자동 진압 장치 및 제어방법
CN109125981A (zh) 公共交通车辆消防安全防护系统及其控制方法
JP2009502376A (ja) 自動車における安全システム
KR20200101147A (ko) 차량탑재식 소화방법 및 소화시스템
KR101373131B1 (ko) 엔진룸 화재 자동 소화장치
CN209092574U (zh) 公共交通车辆消防安全防护系统
US20190193658A1 (en) Modular safety kit
KR200300639Y1 (ko) 자동차용 소화장치
KR20200061155A (ko) 차량화재 진압용 자동소화장치
KR20020090776A (ko) 차량화재 자동 소화방법 및 장치
KR20120103216A (ko) 차량용 소화시스템
KR100423005B1 (ko) 자동차용 자동 소화장치
KR100559624B1 (ko)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 방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218223B1 (ko) 자동차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CN212914280U (zh) 一种车载灭火器和应用其的汽车
KR0129072Y1 (ko) 자동차용 화재진압장치
CN213313053U (zh) 一种重型汽车自动灭火系统
CN219878974U (zh) 一种车用灭火系统及牵引车
KR20220116884A (ko) 자동차 엔진룸의 자동소화장치
KR100412904B1 (ko) 자동차의 소화장치
KR100494486B1 (ko) 차량용 소화장치
TWM537494U (zh) 具環繞式之阻燃構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