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496B1 -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496B1
KR0182496B1 KR1019960017971A KR19960017971A KR0182496B1 KR 0182496 B1 KR0182496 B1 KR 0182496B1 KR 1019960017971 A KR1019960017971 A KR 1019960017971A KR 19960017971 A KR19960017971 A KR 19960017971A KR 0182496 B1 KR0182496 B1 KR 0182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room
fire
collision
carbon gas
detection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79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3632A (ko
Inventor
최형기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600179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496B1/ko
Publication of KR970073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3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4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92Gaseous extinguishing substances, e.g. liquefied gases, carbon dioxide sn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엔진룸에서 발생된 화재를 진압하지 못해 인명 손상을 가져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삽지부를 갖는 이동단자와 탄지홈을 갖는 고정단자로 이루어져 충돌시 상기 고정단자가 삽지부에 끼워져 접속되게 충격흡수용 범퍼의 이면으로 설치된 충돌감지센서와; 그 충돌감지센서의 일측에 접속되어 전류를 공급하게 된 밧데리와; 그 밧데리에 접속된 후 도통되는 전류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그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에 따라 내부의 탄소가스가 배출되는 가스탱크와; 상기 탄소가스가 공급되는 제1, 2호스와; 그 제1, 2호스에 수개소 설치한 다음 탄소가스를 분사시켜 엔진룸의 화재를 자동 진압시키는 노즐로 구성한 것으로, 자동차에 충돌 발생시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되면 충돌감지센서에 의해 탄소가스가 엔진룸으로 자동 분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초기 진압을 유도함에 따라 인명 손상 및 자동차의 소실을 예방할 수 있게 된 발명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자동소화장치의 설치 상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자동소화장치의 대략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충돌감지센서 20 : 이동단자
22 : 삽지부 30 : 고정단자
32 : 탄지홈 40 : 범퍼
50 : 밧데리 60 : 솔레노이드밸브
70 : 가스탱크 80, 82 : 제1, 2호스
90 : 엔진룸 100 : 노즐
본 발명은 자동차 충돌 및 전복시 화재가 발생될 때 엔진룸에 설치된 충돌감지센서에 의해 자동적으로 탄소가스를 엔진룸으로 배출시킴으로써 화재를 초기 진압시켜 인명 손상 및 자동차 소실을 예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를 주행하는 도중 도로상에서 운전자의 부주의에 의해 차량이 전복된다든지 다른 차량과 추돌이 발생하게 되어 연료탱크에 내장되어 있는 연료가 점화되어 화재가 발생함에 따라 엔진룸이나 심지어는 차량이 전소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차내부에는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통상의 소화기를 비치하고 있다. 즉 운전자 및 탑승자가 쉽게 찾을 수 있는 위치에 소화기를 장착하여 화재가 발생할 경우 초기 소화를 유도함으로써 차량 소실 및 인명 손상을 줄여줄 수 있도록 하고 있는 실정이다.
즉, 충돌이 발생했을 경우 먼저 엔진룸에서 발화된 화재가 차 내부로 번지기 전에 차내부에 비치된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거나, 비치된 소화기를 찾을 수 없을 때 재빨리 도어를 연 다음 운전자 및 탑승객들의 몸만 빠져나오거나 할 수 있었다. 그렇지만 최악의 상황이 발생했을 경우, 다시말해 탑승자가 차량 충돌 및 전복으로 인해 실신하거나 심하게 다쳐 몸을 가누지 못할 때에는 화재가 난 차 내부에서 빠져 나오지 못하고 그대로 있어야 하기 때문에 차내부로 번지는 불길에 의해 화상을 입거나 심지어는 목숨을 잃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었다. 아울러 차량이 소실되어 재산상의 손실을 감수해야 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충돌 및 전복으로 엔진룸에 화재 발생시 충돌감지센서에 의해 탄소가스가 배출되어 화재를 자동적으로 진압함으로써 인명 손상 및 차량 손실을 줄여 줄 수 있는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삽지부를 갖는 이동단자와 탄지홈을 갖는 고정단자로 이루어져 충돌시 상기 고정단자가 삽지부에 끼워져 접속되게 충격흡수용 범퍼의 이면으로 설치된 충돌감지센서와; 그 충돌감지센서의 일측에 접속되어 전류를 공급하게 된 밧데리와; 그 밧데리에 접속된 후 도통되는 전류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와; 그 솔레노이드밸브의 개폐에 따라 내부의 탄소가스가 배출되는 가스탱크와; 상기 탄소가스가 공급되는 제1, 2 호스와; 그 제1, 2호스에 수개소 설치한 다음 탄소가스를 분사시켜 엔진룸의 화재를 자동 진압시키는 노즐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해 자세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첨부도면 제1도 내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삽지부(22)를 갖는 이동단자(20)와 탄지홈(32)을 갖는 고정단자(30)로 이루어져 충돌시 상기 고정단자(30)가 삽지부(22)에 끼워져 접속되게 충격흡수용 범퍼(40)의 이면으로 설치된 충돌감지센서(10)와; 그 충돌감지센서(10)의 일측에 접속되어 전류를 공급하게 된 밧데리(50)와; 그 밧데리(50)에 접속된 후 도통되는 전류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60)와; 그 솔레노이드밸브(60)의 개폐에 따라 내부의 탄소가스가 배출되는 가스탱크(70)와; 상기 탄소가스가 공급되는 제1, 2 호스(80)(82)와; 그 제1, 2 호스(80)(82)에 수개소 설치한 다음 탄소가스를 분사시켜 엔진룸(90)의 화재를 자동 진압시키는 노즐(10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충격흡수센서(10)는 범퍼(40)의 이면과 엔진룸(90) 주연에 수개소 설치하여 전방 및 측방 충돌시에도 작동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한다.
여기서, 상기 엔진룸(90)의 자동소화장치는 범퍼(40)의 후면으로 충돌감지센서(10)를 설치하여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하다 차량의 전방 충돌시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 그 충격력에 의해 고정단자가(30)가 이동단자(20)의 삽지부(22)에 끼워져 접촉됨과 동시에 상기 가스탱크(70)의 탄소가스가 엔진룸(90)으로 분사되게 함으로써 화재를 자동적으로 진압할 수 있게 한 발명이다.
즉, 일정속도 이상으로 주행중 차량의 충돌 발생시 그 충격력이 충격흡수용 범퍼(40)에 전달됨에 따라 그 범퍼(40) 후면에 설치된 충돌감지센서(10)에 전달되는 데, 그 충돌감지센서(10)의 구성부인 이동단자(20)의 삽지부(22)에 상기 고정단자(30)가 끼워지게 된다. 이때 상기 이동단자(20)의 삽지부(22)가 고정단자(30)로 인해 벌어졌다가 완전히 끼워지게 되면, 그 복원력으로 다시 조여져 상기 고정단자(30)가 이동단자(20)의 삽지부(22)에 완전히 접촉되는 상태로 된다.
이렇게 되면, 그 접촉순간 상기 밧데리(50)의 전원이 솔레노이드밸브(60)를 작동 개방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가스탱크(70)의 탄소가스는 제1 호스(80)를 따라 이동하다가 제2 호스(82)로 유입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그 제2 호스(82)로 유입된 탄소가스는 각 노즐(100)을 통해 엔진룸(90)으로 분사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작동은 화재가 발생될 확률이 가장높은 차량의 정면 충돌이 발생함과 동시에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므로, 화재를 초기 진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일정속도 이하로 주행하다 차량 충돌시에는 그 충격력이 미약하여 엔진룸(90)에 화재가 발생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충격감지센서(10)의 고정단자(30)가 이동단자(20)의 삽지부(22)로 끼워지지 않게 되어 탄소가스가 배출되지 않게 된다.
또한, 차량 전복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차량이 전복됨과 동시에 충격흡수용 범퍼(40)가 지면과 부딪히게 되고, 그 범퍼(40)에 전달된 충격력은 범퍼(40)후면에 설치된 충돌감지센서(10)에 전달되면서, 상기 충돌감지센서(10)의 고정단자가 이동단자(20)의 삽지부(22)에 끼워져 접속됨과 동시에 밧데리(50)의 전원이 솔레노이드밸브(60)를 개방시켜 가스탱크(70)의 탄소가스를 엔진룸으로 분사되게 하여 엔진룸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충돌감지센서(10)는 상기 범퍼(40)의 이면에 수개소로 설치될 수 있다. 이는 충돌이 범퍼(40)의 중앙 뿐만 아니라 양측단 어느 부위로 충돌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충돌감지센서(10)에 의해 밧데리(50)의 전원이 솔레노이드밸브(60)를 작동 개방시켜 탄소가스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아울러 상기 충돌감지센서(10)를 엔진룸(90) 주연에 수개소 설치하여 측방충돌시에도 고정단자(30)가 이동단자(20)의 삽지부(22)에 접촉됨과 동시에 밧데리(50)의 전원이 솔레노이드밸브(60)를 작동 개방시켜 탄소가스가 자동적으로 분사되게 함으로써 화재진압을 좀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에 따르면, 일정속도 이상 주행을 하다 화재가 발생될 확률이 가장높은 자동차의 정면 충돌 및 전복시 엔진룸에 화재가 발생되면 충돌감지센서의 고정단자가 이동단자의 삽지부에 끼워져 접촉됨과 동시에 밧데리의 전원이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 개방시켜 탄소가스가 엔진룸으로 자동 분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초기 진압을 유도함에 따라 인명 손상 및 자동차의 소실을 예방할 수 있게 된 발명이다.

Claims (2)

  1. 삽지부(22)를 갖는 이동단자(20)와 탄지홈(32)을 갖는 고정단자(30)로 이루어져 충돌시 상기 고정단자(30)가 삽지부(22)에 끼워져 접속되게 충격흡수용 범퍼(40)의 이면으로 설치된 충돌감지센서(10)와; 그 충돌감지센서(10)의 일측에 접속되어 전류를 공급하게 된 밧데리(50)와; 그 밧데리(50)에 접속된 후 도통되는 전류에 의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밸브(60)와; 그 솔레노이드밸브(60)의 개폐에 따라 내부의 탄소가스가 배출되는 가스탱크(70)와; 상기 탄소가스가 공급되는 제1, 2호스(80)(82)와; 그 제1, 2호스(80)(82)에 수개소 설치한 다음 탄소가스를 분사시켜 엔진룸(90)의 화재를 자동 진압시키는 노즐(10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센서(10)는 범퍼(40)의 이면과 엔진룸(90) 주연에 수개소 설치하여 전방 및 측방 충돌시에도 작동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KR1019960017971A 1996-05-27 1996-05-27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KR01824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7971A KR0182496B1 (ko) 1996-05-27 1996-05-27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7971A KR0182496B1 (ko) 1996-05-27 1996-05-27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632A KR970073632A (ko) 1997-12-10
KR0182496B1 true KR0182496B1 (ko) 1999-04-01

Family

ID=19459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7971A KR0182496B1 (ko) 1996-05-27 1996-05-27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4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4058A (zh) * 2012-12-04 2013-03-20 李良杰 车辆发动机仓灭火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1517B1 (ko) * 2000-12-19 2003-07-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화재진압장치
KR101020610B1 (ko) * 2008-08-21 2011-03-11 김팔만 자동차의 자동 소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74058A (zh) * 2012-12-04 2013-03-20 李良杰 车辆发动机仓灭火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632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3564A (en) Vehicle engine fire extinguisher apparatus
US7198111B2 (en) Automotive vehicle with fire suppression system
US7597153B2 (en) Automotive onboard fire suppression system reservoir having multifunction control valve
US6334490B1 (en) Passenger and cargo area safety system for vehicles
KR0182496B1 (ko)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KR19980023219A (ko) 차량 엔진룸 화재 소화장치
US7431099B2 (en) Automotive onboard fire suppression system reservoir with discharge port controlled by piloted spool valve
KR100406695B1 (ko) 소화기
KR20030050611A (ko) 운전자의 무릎보호용 에어백장치
US8151896B2 (en) Onboard fire suppression system with nozzles having pressure-configurable orifices
KR200343750Y1 (ko) 자동차의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
RU2747586C1 (ru) Бачок стеклоомывателя автомобиля, предотвращающий пожар в моторном отсеке в момент аварии
KR0162072B1 (ko) 차량충돌시 연료의 자동귀환장치
KR20220019357A (ko) 엔진룸 자동 소화기
KR19980052573U (ko) 차량의 충돌 사고시 자동 소화장치
KR0134316Y1 (ko) 차량용 소화장치
KR20050007047A (ko)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 방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0129072Y1 (ko) 자동차용 화재진압장치
JP3016343U (ja) 自動車の安全消防装置
KR200158504Y1 (ko) 어린이보호용 에어백 시스템
KR200184763Y1 (ko) 차량사고 진단용 도료 분사장치
KR100214975B1 (ko) 차량충돌시 화재방지장치
KR200431749Y1 (ko) 사이드 에어백의 분출가스 압력 강하 방지용 장치
KR100210138B1 (ko) 롤스위치를 이용한 차량용 연료차단회로
KR19990027287A (ko) 자동차의 연료주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