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958A - 차량 손상 방지 자동 소화 장치 및 소화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손상 방지 자동 소화 장치 및 소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958A
KR20160040958A KR1020140134556A KR20140134556A KR20160040958A KR 20160040958 A KR20160040958 A KR 20160040958A KR 1020140134556 A KR1020140134556 A KR 1020140134556A KR 20140134556 A KR20140134556 A KR 20140134556A KR 20160040958 A KR20160040958 A KR 20160040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vehicle
fire extinguishing
extinguish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4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헌
이석
김만호
공태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
Priority to KR1020140134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40958A/ko
Publication of KR20160040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자동 소화 장치는 차량 내부 화재 발생을 탐지하는 화재 탐지부와 차량 내부에 결합되고 소화 물질이 분사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 소화 물질을 제공하는 소화물질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화재 탐지부의 측정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자동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재 탐지부는 차량 내부 구역을 구분하여 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센서들의 측정 값에 따라 각각의 노즐로 분사되는 소화 물질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손상 방지 자동 소화 장치 및 소화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Extiguisher for Vehicle with Preventing damage}
본 발명은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보급이 확대됨에 따라 차량의 충돌 및 추돌 사고는 주위에서 빈번하게 발생된다.
차량의 사고시 문제되는 것 중의 하나가 차량 화재인데 차량 화재는 차량 사고시 엔진이 파손되거나 연료공급 계통이 파손되어 누출된 연료가 과열된 엔진에 접촉되거나 충격으로 인하여 피복이 벗겨진 배선에서 발생한 전기장치의 스파크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차량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지 못하면 화재가 연료탱크로 이어져 폭발로 이어져 큰 사고를 초래한다.
그리고 이러한 차량의 화재는 비단 차량 사고 뿐만 아니라 차량이 노후화 되거나 정비가 불량하여 차량 운행중에 엔진룸이 과열되어 발생할 가능성도 있다.
이에 최근에는 이와 같은 차량 화재시 화재를 소화할 수 있는 차량 소화 장치가 엔진룸을 포함한 차량 내부에 구비되기도 한다.
그런데 차량 소화 장치를 작동함에 있어서 차량 화재 발생 초기에 신속히 화재 발화 지점에 소화 물질 분사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화재가 차량 내부 전체로 번져 화재가 진압되더라도 차량에 큰 손상을 준다.
그리고 화재 소화를 위해 차량에 분사되는 소화 물질은 통상 특수 약품의 분말 또는 액체 상태인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특수 약품의 소화 물질이 정밀 기계 및 전자 부품으로 이루어진 차량에 분사되어 잔존하는 경우 차량 성능에 안좋은 영향을 미칠 우려가 높다.
즉, 특수 약품으로 이루어진 분말 또는 액체 형태의 소화 물질이 차량 내부에 분사된 후 화재 열 또는 차량 내부 엔진 열이 식을 경우 미세 기계 또는 전자 부품 사이에서 응고될 가능성이 있는데 이러한 미세 기계 및 전자 부품 사이에 응고되어 잔존하는 소화 물질은 제거가 어려울 수 있으며 차후 차량 성능에 안좋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91588(2013.07.25. 엔진 후드에 장착되는 차량용 소화장치 한국 공개특허 제10-2014-0003853(2014.01.10. 엔진룸 화재 자동 소화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항을 고려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의 사고시 신속하게 화재 발생 구역별로 화재 소화 물질을 분사할 수 있는 차량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차량의 내부 화제 소화 후 즉시 차량 내부 화재 소화를 위해 분사된 소화액을 세척할 수 있는 차량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그리고 소화 물질과 세척 물질을 교환 가능하게 구비할 수 있는 차량 자동 소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자동 소화 장치는 차량 내부 화재 발생을 탐지하는 탐지부;와 차량 내부에 결합되고 소화 물질이 분사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 소화 물질을 제공하는 소화물질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화재 탐지부의 측정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자동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재 탐지부는 차량 내부 구역을 구분하여 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센서들의 측정 값에 따라 각각의 노즐로 분사되는 소화 물질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센서는 온도 센서 및 열 감지 튜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는 세척물질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 화재 발생 구역의 화재 소화 후 세척물질을 분사하여 차량 화재 발생 구역에 분사된 소화물질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저장부는 건조 가스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세척물질 분사 후 건조 가스를 분사하여 차량 화재 발생 구역에 분사된 세척물질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물질을 각각의 노즐별로 분사된 소화물질량에 비례하여 세척물질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노즐부는 차량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부는 교환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자동 소화 장치는 차량 내부 화재 발생을 탐지하는 탐지부;와 차량 내부에 결합되고 소화 물질 및 세척물질이 분사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 소화 물질 및 세척물질을 제공하는 저장부; 및 상기 화재 탐지부의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 내부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소화 물질을 분사하여 화재를 소화한 후 차량 내부 화재 소화 구역에 세척물질을 분사하여 분사된 소화 물질을 세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자동 소화 방법은 차량 내부를 구역별로 구분하여 화재를 탐지하는 탐지 단계[A]; 구분된 구역중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소화물질을 분사하는 분사 단계[B]; 화재 소화 여부를 판단하는 소화 판단 단계[C]; 및 화재가 소화된 부분에 잔존하는 소화물질을 세척액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 단계[D];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자동 소화 장치는 차량 내부를 구역별로 구분하여 화재를 탐지하며 화재가 발생한 구역별로 화재 발생정도에 따라 소화 물질을 분사함으로써 차량 화재를 신속히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차량 내부 전체로 화재가 번져 화재가 큰 사고로 이어지거나 차량 전체에 화재로 인한 손상이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자동 소화 장치는 차량 화재 소화를 위해 분사한 소화 물질을 화재 소화 직후에 세척하여 주기 때문에 소화 물질이 차량 내부에 잔존하여 차량에 손상을 주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자동 소화 장치는 분사된 소화 물질량에 비례하여 세척액을 분사하여 주기 때문에 소화 물질을 완벽하게 세척하여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자동 소화 장치는 소화 물질과 세척 물질을 교환 가능하게 구비하여 주기 때문에 사용 기간이 지난 소화 물질을 교환하여 사용함으로써 소화 물질 성능이 저하되어 차량 화재 진압 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자동 소화 장치는 소화 물질과 세척 물질을 교환 가능하게 구비하여 주기 때문에 차량 화재 발생 후 간단히 소화 물질과 세척 물질만 교체하여 줌으로써 사용 및 비용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자동 소화 장치의 차량 장착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자동 소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자동 소화 장치의 작동 모습을 나타낸 참조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자동 소화 방법의 작동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발명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되거나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표현이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한정을 위한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즉,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장착된", "설치된", "접속된", "연결된", "지지된", "결합된" 등의 표현은, 다른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지시하거나 한정하고 있는 않는 한, 직접적인 그리고 간접적인 장착, 설치, 접속, 연결, 지지, 및 결합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접속된", "연결된", "결합된"이라고 하는 표현은, 물리적인 또는 기계적인 접속, 연결 또는 결합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하향, 상향, 후방, 바닥, 전방, 후부 등과 같이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도면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편의를 위해 도면에 대해 상대적인 방향(정상적으로 봤을 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방향을 나타내는 용어는, 어떠한 형태로든 본 발명을 그 문자대로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상대적인 중요도를 의미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손상 방지 자동 소화 장치(이하 차량 자동 소화 장치라 칭한다)의 차량 장착 모습을 나타낸 개략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자동 소화 장치(10)는 차량(1) 내부에 장착되어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자동으로 소화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차량(1)을 일반 승용차량으로 예시하였지만 차량은 동력을 이용하여 구동하는 모든 차량을 포함한다.
즉, 일반 승용 차량 이에외 SUV, 지프, 밴과 같은 차량도 포함되며 상업용 버스, 군용 차량, 건설용 포크레인, 트럭과 농업용 트랙터와 같은 모든 차량을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해상 운송용 소형 선박에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차량(1) 내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일반 승용 차량의 엔진이 장착되는 차량 전방 내부 부분으로 예시하였지만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차량 내부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모든 구역에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자동 소화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자동 소화장치(10)는 크게 저장부(20), 제어부(30), 노즐부(50) 및 탐지부(60)로 이루어진다.
저장부(20)는 노즐부(50)로 분사되는 물질을 저장하는 저장부로서 소화물질저장부(22), 세척물질 저장부(24) 및 건조 가스 저장부(26)를 포함한다.
소화물질 저장부(22)는 차량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소화하기 위한 소화 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부로서 소화가스와 폼 소화약제가 저장된다.
상기 소화 물질은 개시된 다양한 형태로 사용가능한데 바람직하기로는 친환경적인 소화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량 내부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한 후 차량 또는 주변 환경에 오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세척 물질 저장부(24)는 차량 내부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하여 소화 물질이 분사된 후 이와 같이 분사된 소화 물질을 차량 화재 소화 후 바로 세척하여 주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세척 물질로는 다양한 형태의 세척 물질이 사용될 수 있는데 고압의 정류수를 포함하여 화학 약품인 소화 물질을 세척하기 위한 다양한 형태의 세척 물질을 이용하여 줄 수 있다.
다음으로 건조 가스 저장부(26)는 이와 같이 분사된 세척 물질을 건조하기 위하여 구비된다.
이는 차량 화재로 파손된 차량 엔진 내부로 물이 스며들어 잔존하게 되면 정밀 기계 부품인 차량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세척 후 세척 물질을 바로 건조하여 없애주기 위하여 구비된다.
상기 건조 가스는 고온 고압의 가스를 포함하여 세척 물질을 건조하기 위한 다양한 가스 형태로 이용하여 줄 수 있다.
소화물질 저장부(22), 세척물질 저장부(24) 및 건조가스 저장부(26)는 개별 저장부 별로 교체 가능하게 구비되거나 저장부(20) 전체가 교체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사용후 교체하여 주거나 사용 기간이 지난 개별 물질을 교체하여 주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교체 형태는 다양한 방법에 의해 실시기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10)는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차량 소화 효과를 증진하여 차량 내부 손상을 극소화 하면서도 사용자의 사용 편의성과 비용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는 노즐부(50)와 탐지부(60)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노즐부(50)와 탐지부(60)는 화재 탐지 및 저장부(20)에 구비된 물질들을 분사하기 위한 장치로서 노즐과 센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노즐(54)과 센서(5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 프레임(52)에 각각 복수개 구비된다.
이와 같이 노즐(54)과 센서(56)가 복수개 구비되는 이유는 차량 내부를 구역별로 구분하여 화재 발생을 탐지한 후 이에 맞추어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제어부를 통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저장부(20)와 노즐부(50)는 관 형태의 연결부(42)를 통해 서로 연결되는데 관 형태는 고정된 금속 파이프 형태의 관과 가요성이 있는 고무관 형태등 모두 실시가 가능하다.
다만 바람직하기로는 가요성이 있는 고무관 형태로 이루어지는게 바람직한데 이는 노즐부(50)가 차량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노즐부(50)는 구역별로 탐지된 화재 발생 구역에서 화재 발생 구역의 발화지점에 좀 더 정확하게 소화 물질을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54)이 발화지점의 중심부에 맞춰지도록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노즐부(50)의 이동은 노즐부(50)를 차량(1) 내부에 레일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 후 모터등을 이용하여 노즐부(50)를 레일위에서 움직이도록 하는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는 노즐부(50) 전체가 이동되는 형태가 아니라 각각의 노즐(54)이 이동하도록 구성하여 줄 수 있으며 또는 각각의 노즐(54) 분사 각도가 제어되도록 구비하여 줄 수 있다.
다음으로 저장부(20)와 노즐부(50)는 관형태의 연결부를 통해 연결되는데 연결부(42)는 복수의 관으로 저장부와 각각의 노즐(54)과 개별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으며 또는 하나의 관으로 저장부(20)와 노즐부 프레임(52)을 연결한 후 노즐부 프레임(52) 내부에서 관이 분기되는 분기관(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하여 주어 각각의 노즐(54)로 연결되는 형태로 구비하여 줄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0)는 저장부(20)의 물질 분사 개폐 및 각각의 노즐별로 물질 분사량을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제어하는 제어 밸브부(40)를 포함한다.
제어 밸브부(40)는 물질 분사 개폐 밸브(도시하지 않음)와 물질 유량 제어 밸브(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물질 분사 개폐 밸브는 저장부(20)에 일체형으로 구비 될 수 있으며 물질 유량 제어 밸브는 상기 노즐부 프레임(52)의 분기관에 같이 구비하여 줄 수 있다.
또는 이와 같은 형태 이외에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맞게 자유롭게 실시하여 줄 수 있다.
다음으로 노즐부(50)에는 탐지부(60)인 복수의 센서(56)가 구비되는데 복수의 센서(5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를 각각의 구역(A, B, C등)으로 구분한 후 이들 각각의 구역의 화재 발생 여부를 개별적으로 탐지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센서(56)는 화재를 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센서로 구비가 가능한데 바람직하기로는 화재 온도를 탐지하는 온도 센서 또는 일정한 압력으로 밀폐된 튜브에 열이 발생하여 튜브의 일부가 녹거나 구멍이 발생하여 압력이 손실되어 열이 발생한 것을 감지하는 열 감지 튜브 형태로 구비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로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자동 소화 장치(10)의 화재 소화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재 소화 방법은 크게 탐지 단계(A), 분사 단계(B), 소화 판단 단계(C), 세척 단계(D)를 포함하며 세척 단계(D) 이후에 건조 단계(E)를 포함하여 줄 수 있다.
먼저 구역별로 차량 내부의 화재 발생 여부를 탐지하는 탐지부(60)가 차량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30)로 측정값을 송신하면 제어부(30)는 구역별로 화재 발생 여부를 탐지한다.
제어부(30)는 차량 엔진룸의 경우 온도가 높기 때문에 기 설정된 판단 데이터를 통해 화재 발생 여부를 탐지한다.
제어부(30)는 차량 내부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저장부(20)의 제어 밸브부(40)를 제어하여 소화물질이 화재 발생 해당 구역의 노즐(54)로 분사되도록 한다.
제어부(30)는 이와 같은 소화물질의 노즐 분사에 있어서 화재 발생 해당 구역의 노즐에 가장 많은 소화 물질이 분사되도록하며 주위 노즐로 소정의 소화 물질이 분사되도록 하여 주위로 번진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화재 소화가 이루어지는 동안 탐지부(60)는 계속 차량 내부의 온도를 측정한다.
이와 같은 탐지부(60)의 측정값은 계속 제어부로 전송되며 제어부(30)는 이와 같이 전송되는 데이터와 기설정된 소화 판단 기준값과 비교하여 화재 소화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30)는 차량 내부 화재가 소화되었다고 판단하면 다시 제어 밸브부(40)를 제어하여 세척 물질을 화재 발생 해당 구역의 노즐로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30)는 세척 물질을 각 노즐별로 분사된 소화 물질량에 비례하여 분사하도록 제어 밸브부(400를 제어한다.
이는 소화물질량과 비례하여 세척 물질을 분사하여 줌으로써 소화물질을 완전히 세척하여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어부(30)는 기설정된 세척 완료 데이터 값에 맞게 세척 물질을 분사하여 주는데 이와 같은 세척 완료 데이터 값은 화재 발생정도, 소화시간 및 소화물질 분사량등을 통해 설정하여 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세척단계(D)가 완료 되면 제어부(30)는 제어 밸브부(40)를 제어하여 건조 가스가 화재 발생 해당 구역의 노즐로 분사되도록 하여 세척 물질을 완전히 건조하여 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 자동 소화 장치(10)는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차량의 화재를 신속히 진압하고 소화 물질을 세척 및 건조하여 줌으로써 차후 차량에 발생할 수 있는 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여 줄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차량 자동 소화 장치: 10 저장부: 20 제어부: 30
노즐부: 50 탐지부: 60

Claims (9)

  1. 차량 내부 화재 발생을 탐지하는 탐지부;와
    차량 내부에 결합되고 소화 물질이 분사되는 복수의 노즐을 포함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 소화 물질을 제공하는 소화물질 저장부를 포함하는 저장부; 및
    상기 화재 탐지부의 측정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자동 소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재 탐지부는 차량 내부 구역을 구분하여 탐지하는 복수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센서들의 측정 값에 따라 각각의 노즐로 분사되는 소화 물질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손상 방지 자동 소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온도 센서 및 열 감지 튜브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 소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세척물질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차량 화재 발생 구역의 화재 소화 후 세척물질을 분사하여 차량 화재 발생 구역에 분사된 소화물질을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자동 소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건조 가스 저장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세척물질 분사 후 건조 가스를 분사하여 차량 화재 발생 구역에 분사된 세척물질을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손상 방지 자동 소화 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척물질을 각각의 노즐별로 분사된 소화물질량에 비례하여 세척물질을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손상 방지 자동 소화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차량 내부에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손상 방지 자동 소화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교환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손상 방지 자동 소화 장치.
  8. 차량 내부 화재 발생을 탐지하는 탐지부;와
    차량 내부에 결합되고 소화 물질 및 세척물질이 분사되는 노즐부;와
    상기 노즐부로 소화 물질 및 세척물질을 제공하는 저장부; 및
    상기 화재 탐지부의 신호를 제공받아 상기 저장부를 제어하여 상기 차량 내부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소화 물질을 분사하여 화재를 소화한 후 차량 내부 화재 소화 구역에 세척물질을 분사하여 분사된 소화 물질을 세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자동 소화 장치.
  9. 차량 내부를 구역별로 구분하여 화재를 탐지하는 탐지 단계[A];
    구분된 구역중 화재가 발생한 구역에 소화물질을 분사하는 분사 단계[B];
    화재 소화 여부를 판단하는 소화 판단 단계[C]; 및
    화재가 소화된 부분에 잔존하는 소화물질을 세척액을 분사하여 세척하는 세척 단계[D];를 포함하는 차량 손상방지 자동 소화 방법.
KR1020140134556A 2014-10-06 2014-10-06 차량 손상 방지 자동 소화 장치 및 소화 방법 KR20160040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556A KR20160040958A (ko) 2014-10-06 2014-10-06 차량 손상 방지 자동 소화 장치 및 소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4556A KR20160040958A (ko) 2014-10-06 2014-10-06 차량 손상 방지 자동 소화 장치 및 소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958A true KR20160040958A (ko) 2016-04-15

Family

ID=55801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4556A KR20160040958A (ko) 2014-10-06 2014-10-06 차량 손상 방지 자동 소화 장치 및 소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409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725A (ko) * 2018-12-14 2020-06-24 곽만석 대용량의 자동 소화장치 및 시스템
KR20210044540A (ko) * 2019-10-15 2021-04-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8137A (ko) * 2020-01-06 2021-07-14 박상훈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3725A (ko) * 2018-12-14 2020-06-24 곽만석 대용량의 자동 소화장치 및 시스템
KR20210044540A (ko) * 2019-10-15 2021-04-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선박 화재 통합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10088137A (ko) * 2020-01-06 2021-07-14 박상훈 엔진룸 자동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222735A1 (en) System and controlling method for extinguishing fire in battery of vehicle
KR101020610B1 (ko) 자동차의 자동 소화장치
JP3179000U (ja) 自動消火装置
KR20160040958A (ko) 차량 손상 방지 자동 소화 장치 및 소화 방법
CN113384834B (zh) 用于车辆的轮胎的灭火系统
US20080264652A1 (en) Safety System in a Motor Vehicle
KR100821142B1 (ko) 자동차 엔진룸 화재 진압장치
KR101373131B1 (ko) 엔진룸 화재 자동 소화장치
CN112451875B (zh) 用于车辆轮胎的灭火系统
KR101746304B1 (ko) 차량의 엔진룸 화재 대응 장치
KR20020090776A (ko) 차량화재 자동 소화방법 및 장치
CN101229417A (zh) 一种强力自动灭火装置
CN107448328B (zh) 燃气发动机喷嘴泄露保护与检测的控制方法
CN105457191A (zh) 用于汽车火灾事故的分布式自动辅助灭火装置
US11590373B2 (en)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vehicle
KR20120061440A (ko) 차량의 엔진룸 화재 자동 진화장치
KR100559624B1 (ko) 자동차 엔진룸의 화재 방지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639Y1 (ko) 자동차용 소화장치
CN112638481A (zh) 紧密靠近的喷嘴系统
RU2747586C1 (ru) Бачок стеклоомывателя автомобиля, предотвращающий пожар в моторном отсеке в момент аварии
KR20090001822U (ko) 자동 소화장치
JP2003095404A (ja) ゴミ収集車
KR102189071B1 (ko) 차량용 내부 압력 소화장치
KR102649985B1 (ko) 전기 자동차용 화재 진압 장치
KR20140006250A (ko) 엔진룸 화재 진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