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8451B1 -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8451B1
KR102528451B1 KR1020220048492A KR20220048492A KR102528451B1 KR 102528451 B1 KR102528451 B1 KR 102528451B1 KR 1020220048492 A KR1020220048492 A KR 1020220048492A KR 20220048492 A KR20220048492 A KR 20220048492A KR 102528451 B1 KR102528451 B1 KR 102528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fire
electric vehicle
fire extinguish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8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민
이상열
이국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즈케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즈케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즈케어
Priority to KR1020220048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8451B1/ko
Priority to PCT/KR2023/005288 priority patent/WO202320459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60P3/12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by supporting the whole vehicl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8Tow ropes, chai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8Tow ropes, chains or the like
    • B60D1/185Tow ropes, chains or the like comprising a cable or chain wind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1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actuated by fluid-operated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3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 B60P1/43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a loading ramp mounted on the vehicle the ramp being attached to or making part of the side- or tailboard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1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salvaging damag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8Semi-trailers, articulat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견인되어 이동가능하며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가 상차된 후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밀폐되는 수조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잠기도록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는 수조에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상차시킨 후,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잠기도록 소화용수를 수조에 공급하여 전기자동차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어, 신속하게 전기자동차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는 수조에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상차시킨 후 소화용수 공급이 용이한 곳으로 이동하여 전기자동차의 화재를 진압 할 수 있어 진압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A mobile carriage equipped with a water tank for fighting fires in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견인되어 이동가능하며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가 상차된 후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밀폐되는 수조에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잠기도록 소화용수가 공급되는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가솔린이나 디젤 연료를 사용하는 내연기관을 사용하였으나, 내연기관에서 발산하는 이산화탄소의 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친환경에너지 자동차인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지구온난화 문제로 전세계적으로 내연기관자동차의 퇴출 분위기는 점점 더 커질 것이고, 이에 반하여 전기자동차의 보급을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앞으로 그 점유율을 더욱 올라갈 것이다.
자동차 업계가 2021년 전기차의 대중화 원년으로 선언하면서, 전기자동차의 안전에 대한 불안이 커지고 있다. 원인불명의 전기자동차의 화재 사고와, 이에 따른 진압 및 구조의 어려움 등 눈앞에 닥친 문제를 해결할 뾰족한 방법이 없는 상태이기 때문이다.
전기자동차의 발화 요인은 전기적 요인이 2021년 기준 58.0%로 가장 많았다. 배터리 및 관련 부품이나 전기적 충격 등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도 17.5%나 됐다. 이 밖에 기계적 요인(14.5%), 교통사고(7.0%), 부주의(3.0%) 등이 있었다.
전기자동차는 대단히 높은 용량의 에너지를 저장한 배터리를 차량저면에 배치하고 있으며, 사고나 여타의 이유로 발화가 시작되었을 경우 발열점의 온도가 매우 높고 표면적인 화재의 진압이 되더라도 배터리가 고밀도로 집적된 형태로 배치되어 있어 지속적인 열 전이로 인한 재점화 현상 등으로 인해 화재진압이 어렵다.
따라서 효과적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은 배터리 전체에 대한 온도하강에 있으므로 막대한 양의 물을 살수하거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39405호에 개시된 전기차 화재방재용 구조물이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76222호에 개시된 화재발생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안정화 시키기 위한 냉각조와 같이 전기자동차를 물에 잠기게 하여 화재 진압을 하는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상기의 구조들은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이동시키지 않고 화재현장에서 주로 설치되므로, 장소가 협소한 경우에는 적용이 어려우며 화재가 난 상태에서 고열로 인해 전기자동차 둘레로 수조나 냉각조 구조를 설치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39405호 : 전기차 화재 방재용 구조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76222호 : 화재발생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냉각조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상차시킨 후, 전기자동차가 적재된 공간에 소화용수가 충진되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소화용수에 잠겨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며, 차량에 견인되어 이동이 가능한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는 후방 측에 개폐가능한 상차도어가 마련된 수조와; 상기 수조의 양측부에 장착되어 구름운동 가능한 복수의 바퀴와; 상기 수조의 전단측에 연결되어 견인 차량과 연결되는 견인부와; 상기 상차도어가 열려 후방측으로 개방된 상기 수조에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끌어올리기 위한 상차용 윈치와; 상기 수조 상차된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소화용수에 잠길 수 있도록 상기 상차도어가 닫혀 전후 좌우 측방으로 밀폐된 상기 수조에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소화용수 공급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화용수 공급부는 상기 수조의 길이방향 또는 폭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조의 내부공간으로 소화용수를 토출하는 다수의 제1공급노즐이 장착되는 제1소화용수공급관과, 상기 수조의 외측으로 연장된 상기 제1소화용수공급관의 단부에 장착되며 소화전이나 소방차량에서 연장된 소방호스와 연결가능한 호스 연결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조는 상기 전기자동차 상차를 위해 기울어지도록 상기 견인부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일측이 상기 견인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조에 연결되어 길이신축에 따라 상기 견인부에 대해 상기 수조를 경사지거나 나란하게 회동시키는 틸팅구동실린더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조는 상차된 상기 전기자동차를 지지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단측에 상기 상차도어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 양단에서 상기 내부공간에 상차된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보다 높게 상방으로 연장된 복수의 측벽과, 상기 베이스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상기 측벽과 동일하거나 높게 연장되며 복수의 상기 측벽들을 연결하는 전단측벽을 구비하고, 상기 상차도어는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상기 수조에 장착되어 상기 수조의 후방이 개방되게 회동 시 지면과 접해 상기 전기자동차가 상차될 수 있는 경사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는 상기 수조의 후방측이 닫히도록 상기 상차도어가 수직하게 회동 시 상기 수조의 폭 방향 양측벽 후단부와 마주하는 상기 상차도어의 일면 폭 방향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수조의 후방측을 밀폐시키는 복수의 제1수밀부재와, 복수의 상기 제1수밀부재 사이의 상기 상차도어 일면과 상기 베이스의 후단측을 덮도록 연장되며 상기 상차도어가 수직회게 회동 시 구부러짐이 가능한 소재로 형성된 제2수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수밀부재는 상기 상차도어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수조의 후방측이 닫히도록 상기 상차도어가 수직하게 회동 시 상기 수조의 폭 방향 양측벽 후단부 접하되 상기 수조의 폭 방향 양측벽의 각 두께보다 큰 폭을 가져 일측이 상기 수조의 폭 방향 양측벽에 대해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연장부와, 상기 제1연장부의 폭 방향 일단에서 상기 제1연장부와 직교하여 상기 상차도어의 일면에 대해 돌출되며 상기 상차도어가 수직하게 회동 시 상기 수조의 양측벽의 내측면을 덮는 제2연장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는 복수의 상기 측벽의 각 상단에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채워진 소화용수가 측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유실 방지 회동도어와, 상기 전단측벽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상승 시 상기 유실방지 회동도어들과 접하여 소화용수가 전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실방지 승강도어와, 상기 내부공간에 상차된 상기 전기자동차와 마주하는 상기 유실방지 회동도어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전기자동차 측으로 회동된 상기 유실방지 회동도어를 상기 전기자동차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무자석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는 수조에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상차시킨 후,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잠기도록 소화용수를 수조에 공급하여 전기자동차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어, 신속하게 전기자동차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는 수조에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상차시킨 후 소화용수 공급이 용이한 곳으로 이동하여 전기자동차의 화재를 진압 할 수 있어 진압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에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윈치를 이용하여 상차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에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가 상차된 후 소화용수가 충진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에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소화용수 공급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에 대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에 대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요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요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10)는 후방 측에 개폐가능한 상차도어(20)가 마련된 수조(11)와; 수조(11)의 양측부에 장착되어 지면에 접해 구름운동 가능한 복수의 바퀴(21)와; 수조(11)의 전단측에 연결되어 견인 차량과 연결가능한 견인부(31)와; 상차도어(20)가 열려 후방측으로 개방된 수조(11)에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끌어올리기 위한 상차용 윈치(41)와; 견인부(31) 측에 지지되게 장착되고 수조(11)보다 높은 위치로 연장되며 상단에 윈치(41)가 고정장착되는 윈치지지프레임(46)과; 수조(11) 상차된 전기자동차(1)의 하부에 설치된 배터리(미도시)가 소화용수에 잠길 수 있도록 상차도어(20)가 닫혀 전후 좌우 측방으로 밀폐된 수조(11)에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소화용수 공급부(51);를 구비한다.
수조(11)는 상차된 전기자동차(1)를 지지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후단측에 상기 상차도어가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베이스(12)와, 베이스(12)의 폭 방향 양단에서 수조(11)의 상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11a)에 상차된 전기자동차(1)의 배터리보다 높게 상방으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좌측벽(14) 및 우측벽(16)과, 베이스(12)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좌측벽(14) 및 우측벽(16)과 동일하거나 높게 연장되며 복수의 좌측벽(14)과 우측벽(16)들을 연결하는 전단측벽(18)과, 베이스(12)의 후단측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수조(11)의 후방이 개방되게 회동 시 지면과 접해 전기자동차(1)가 상차될 수 있는 경사로를 형성하는 상차도어(20)를 구비한다.
베이스(12)는 일전한 폭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데, 폭 중심측에 하방으로 인입되며 전후방향으로 길이연장된 관 수용홈(13)이 형성된다.
견인부(31)는 견인 차량을 향하는 베이스(12)의 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되되 전방으로 갈수록 상호 인접하도록 베이스(12)의 폭 방향 중심측에서 베이스(12)의 길이방향 연장선상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경사연장부(32,33)와, 제1 및 제2경사연장부(32,33)가 만나는 단부측 상단에 고정장착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단측에 견인차량의 견인봉(2)과 연결되는 견인커플러(34)와, 제1 및 제2경사연장부(32,33)의 상단에 장착되어 윈치지지프레임(46)의 하부가 고정장착되는 판상의 프레임지지판(36)를 구비한다.
그리고, 견인부(31)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견인커플러(34)의 후단측에는 상하로 길이연장되어 지면에 지지 가능한 텅잭을 구비할 수 있다.
상차용 윈치(41)는 권취되거나 권취해제되는 와이어의 단부에 고리가 마련된 전동윈치로서, 견인차량와 전기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요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10)는 상차용 윈치(41)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가 구비될 수도 있다.
소화용수공급부(51)는 관수용홈(13)에 수용되게 수조(1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내부공간(11a)으로 소화용수를 토출하는 다수의 제1공급노즐(54)이 장착되는 제1소화용수공급관(52)과, 관수용홈(13)에서 베이스(12)의 전단측을 관통하여 견인부(31) 측으로 돌출연장된 제1소화용수공급관(52)의 타측 단부에 장착되며 소화전이나 소방차량에서 연장된 소방호스(3)와 연결가능한 호스연결구(56)를 구비한다.
호스연결구(56)는 소방호스(3)의 일단에 장착된 수커플링(4)에 탈착가능한 일반적인 암커플링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호스연결구(56)가 소방호스(3)의 수커플링(4) 분리 시, 수조에서 제1소화용수공급관(52)를 통해 소화용수가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소화용수공급관(52)은 타측 단부에 개폐밸브가 장착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요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10)는 소방호스(3)가 마련된 이동형 소화용수 공급시설(5)에 호스연결구(56)가 연결되어 소화용수를 공급받을 수도 있다.
이동형 소화용수 공급시설(5)은 베이스프레임(6)과, 베이스프레임(6)에 지지된 소화용수저장탱크(7)와, 베이스프레임(6)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소방호스(3)가 권취 또는 권취해제되는 호스릴(8)과, 소화용수저장탱크(7)에서 연장되며 소방호스(3)와 연결된 메인공급관(9a)과, 메인공급관(9a)과 연결되어 소화용수저장탱크(7)에 저장된 소화용수를 소방호스(3)로 펌핑하는 소화용수 펌프(9b)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관 수용홈(13)은 베이스(12)의 길이방향으로 직선 연장되어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베이스(12)의 폭 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로 연장되면서 베이스(1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으며, 관 수용홈(13)에 수용되는 제1소화용수공급관(52)의 일측도 이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베이스(11)의 폭 방향 양측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바퀴는 바퀴축(22)에 상호 연결되며, 바퀴축(22)은 다수의 판스프링(25)이 적층된 판스프링유닛(24)에 지지되고, 판스프링유닛(24)의 양측은 베이스(11) 하면에 베이스(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후로 상호 이격된 한쌍 지지바(26)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요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10)는 바퀴축(22)이 수용되는 U볼트(28)와, 판스프링유닛(24)에 대해 하방으로 연장된 U볼트(28)의 양단을 연결하는 구속플레이트(30)와, 구속플레이트(30)에 대해 하방으로 돌출된 U볼트(28)에 결합되는 구속너트(29)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요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10)는 상차도어(20)가 수직하게 회동시 수조(11)의 내부공간(11a)이 밀폐될 수 있도록 제1 수밀부재(61)와 제2수밀부재(81)를 구비한다.
제1수밀부재(61)는 수조(11)의 후방측이 닫히도록 상차도어(20)가 수직하게 회동 시 수조(11)의 폭 방향 좌측벽(14)과 우측벽(16)과 마주하는 상차도어(20)의 일면 폭 방향 양측에 장착되어 수조(11)의 후방측을 밀폐시킨다.
제2수밀부재(81)는 제1수밀부재(61)들 사이의 상차도어(20) 일면과 베이스(12)의 후단측을 덮도록 연장되며 상차도어(20)가 수직회게 회동 시 구부러짐이 가능한 고무와 같은 소재로 형성된다.
제1수밀부재(61)는 상차도어(20)의 일면에 장착되어 수조(11)의 후방측이 닫히도록 상차도어(20)가 수직하게 회동 시 수조(11)의 폭 방향 좌측벽 및 우측벽 후단부 접하되 수조(11)의 폭 방향 양측벽의 각 두께보다 큰 폭을 가져 일측이 수조(11)의 폭 방향 양측벽에 대해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연장부(62)와, 제1연장부(62)의 폭 방향 일단에서 제1연장부(62)와 직교하여 상차도어(20)의 일면에 대해 돌출되며 상차도어(20)가 수직하게 회동 시 수조(11)의 좌측벽 및 우측벽의 내측면을 덮는 제2연장부(64)를 구비한다.
상차도어(20)는 상차용 윈치(41)의 고리(42)에 단부가 걸려 상차용 윈치(41) 구동에 따라 수직하게 회동되거나 경사로를 형성하도록 회동조작될 수 있으며,
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요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10)는 길이신축에 따라 상차도어(20)을 회동시키는 회동조작실린더(71)와, 회동조작실린더(71)의 길이신축을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유체공급부는 회동조작실린더(71)의 실린더본체의 양단에 각각 제1 및 제2유체공급라인과, 제1 및 제2유체공급라인에 유체공급을 위한 유체저장탱크와, 유체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제1 또는 제2유체공급라인으로 펌핑하기 위한 펌프와, 제1 또는 제2유체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컨트롤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요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10)는 윈치(41)의 구동과, 회동조작실린더(71)의 길이신축을 위해 펌프와 컨트롤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요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10)는 수조에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상차시킨 후,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잠기도록 소화용수를 수조에 공급하여 전기자동차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어, 신속하게 전기자동차의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요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10)는 수조에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상차시킨 후 소화용수 공급이 용이한 곳으로 이동하여 전기자동차의 화재를 진압 할 수 있어 진압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요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10)는 수조에 상차된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잠기도록 소화용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안정한 장소로 이동할 수 있어 안전사고 방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요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110)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요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110)는 복수의 유실 방지 회동도어(121)와, 유실방지 승강도어(131)와, 고무자석부재(126)와, 승강고정핀(136)과, 소화용수 보조공급부(151)를 더 구비하는 것을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요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1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복수의 유실 방지 회동도어(121)는 좌측벽(14) 또는 우측벽(16)의 각 상단에 베이스(12)의 폭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내부공간(11a)에 채워진 소화용수가 측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복수의 고무자석부재(126)는 내부공간(11a)에 상차된 전기자동차(1)의 양측면 마주하는 유실방지 회동도어(121)의 일면 폭 방향 단부 측에 장착되어 전기자동차(1) 측으로 회동된 유실방지 회동도어(121)를 전기자동차(1)에 고정한다.
고무자석부재(126)는 전기자동차(1)와 접촉이 용이하도록, 전기자동차(1)와 마주하는 일면이 유실방지 회동도어(121)의 폭 방향 단부로 갈수록 유실방지 회동도어(121)와 이격된 거리가 짧아지게 호형곡률을 갖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유실방지 회동도어(121)는 좌측벽(14) 및 우측벽(16)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연장되어 후술되는 유실방지승강도어(131)와 접한다.
유실방지승강도어(131)은 전단측벽(18)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상승 시 유실방지 회동도어(121)들과 접하여 소화용수가 전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실방지승강도어(131)은 전단측벽(18)에 수용되는 하부에 전후방향으로 관통된 제1핀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되며, 전단측벽(18)의 상부에는 상승된 유실방지승강도어(131)의 제1핀관통공과 연통되는 제2핀관통공(19)이 형성된다.
승강고정핀(136)은 제1 및 제2핀관통공을 관통하여, 상승된 유실방지승강도어(131)의 하강을 제한한다.
소화용수 보조공급부(151)는 전단측벽(18)에 인접한 제1소화용수공급관(52)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분기되며 전기자동차(2)의 배터리보다 높게 연장된 수직연장부(153)와, 수직연장부(153)를 중심으로 베이스(1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평연장부(154)와, 제1수평연장부(154)의 양단에서 좌측벽 및 우측벽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복수의 제2수평연장부(155)를 포함하는 제2소화용수공급관(152)과; 제1 및 제2수평연장부(154,155)에 일정간격마다 설치되어 수직연장부(153)와, 제1 및 제2수평연장부(154) 내로 유입된 소화용수를 하방에 위치한 베이스(12)의 폭 방향 측으로 하향토출하는 다수의 제2공급노즐(156)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110)는 복수의 유실 방지 회동도어(121)와, 유실방지 승강도어(131)가 마련되어 있어, 수조에 상차된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잠기도록 소화용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이동 시, 수조 내의 소화용수가 외부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견인차량에 의해 이동 중에서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안전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110)는 소화용수공급부(51)를 통해 공급되는 소화용수에 의해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잠기기 전부터 소화용수 보조공급부(151)를 통해 전기자동차의 측부로 소화용수를 공급하므로 화재 확산 방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대차(210)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대차(210)는 수조(211)가 전기자동차 상차를 위해 기울어지도록 견인부(231)에 상하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대차(210)는 양측부에 바퀴(21)가 장착되는 수조(211)와; 수조(211)의 전방측 하부에 수조(211)에 대해 상대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견인부(231)와; 수조(211)에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끌어올리기 위한 상차용 윈치(41)와; 견인부(231) 또는 수조(211)의 전단측에 지지되게 장착되고 상단에 윈치(41)가 고정장착되는 윈치지지프레임(246)과; 밀폐된 수조(211)에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소화용수 공급부(51)와; 일측이 견인부(231)에 연결되고 타측이 수조(211)에 연결되어 길이신축에 따라 견인부(231)에 대해 수조(211)를 경사지거나 나란하게 회동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틸팅구동실린더(281);를 구비한다.
수조(211)는 틸팅구동실린더(281)가 길이신장 시 전기자동차(1) 상차를 위해 후방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견인부(23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수조(211)는 견인부(231)에 대해 경사지게 회동시 지면과 접해 전기자동차(1)가 상차될 수 있는 경사로를 형성하며 관수용홈(13)이 형성된 베이스(12)와, 베이스(12)의 폭 방향 양단에서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좌측벽(14) 및 우측벽(16)과, 베이스(12)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전단측벽(18)과, 좌측벽(14) 또는 우측벽(16)에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상차도어(220)를 구비한다.
그리고, 수조(211)는 베이스(12)의 전방측 폭 방향 양측 하부에는 후술되는 견인부(31)와 연결을 위한 복수의 축 결합편(213)을 구비한다.
상차도어(200)는 우측벽(16)에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나, 도시된 바와 다르게 좌측벽(14)에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될 수도 있다.
상차도어(200)는 수조의 내부공간(11a)의 후방이 닫히도록 회동 시, 좌측벽(14)과 우측벽(16)의 후단을 덮을 수 있도록 베이스(12)의 폭에 대응되게 길이연장되며 좌측벽(14) 및 우측벽(16)과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길이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수조(211)는 내부공간(11a)의 후방을 폐쇄하도록 회동된 상차도어(200)의 전방을 향하는 일면을 덮어, 베이스(12), 좌측벽(14) 및 우측벽(16)이 이루는 공간에 끼움결합되는 판상의 제3수밀부재(219)를 구비한다. 수조(211)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내부공간(11a)의 후방을 폐쇄한 상차도어(200)의 회동을 제한하는 잠금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윈치지지프레임(246)은 전단측벽(18)의 전방을 향하는 일면에 장착되어 윈치(41)를 지지한다. 도시된 바와 다르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대차(21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의 윈치지지프레임(46)의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또는, 도시된 바와 다르게, 윈치(41)는 전단측벽(18)의 상부에 직접 지지되게 결합되고, 전단측벽(18)의 폭 방향 중심측 상부에는 윈치(41)의 고리(42)와 연결된 와이어가 관통가능한 와이어 관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견인부(231)는 축결합편(213)을 관통하는 회동지지축(214)과, 회동지지축(214)과 연결되어 베이스(12)의 전단부의 하부에 각각 상하로 상대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전방으로 갈수록 상호 인접하도록 베이스(12)의 폭 방향 중심측에서 베이스(12)의 길이방향 연장선상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경사연장부(32,33)와, 제1 및 제2경사연장부(32,33)가 만나는 단부측 상단에 고정장착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전단측에 견인차량의 견인봉(2)과 연결되는 견인커플러(34)와, 견인커플러(34)의 후방측에 상하로 길이연장되어 지면에 지지 가능한 텅잭(38)을 구비한다.
소화용수공급부(51)는 다수의 제1공급노즐(54)이 장착되는 제1소화용수공급관(52)과, 관수용홈(13)에서 베이스(12)의 전단측을 관통하여 견인부(231) 상방으로 돌출연장된 제1소화용수공급관(52)의 타측 단부에 장착되며 소화전이나 소방차량에서 연장된 소방호스(3)와 연결가능한 호스연결구(56)를 구비한다.
틸팅구동실린더(281)는 일측이 제1경사연장부(32)와 제2경사연장부(33)를 연결하는 실린더지지축(239)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일측보다 전방에 위치되게 베이스의 전방측에 하단에 상하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요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210)는 텅잭(38)과 윈치(41)사이에 위치되게 견인부(231)의 상부에 장착되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차용 윈치(41)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와, 틸팅구동실린더(281)의 길이신축을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의 펌프나 컨트롤밸브가 수용되는 파워케이스(217)가 장착될 수 있다.
틸팅구동실린더(281)의 길이신축을 위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부는 틸팅구동실린더(281)의 실린더본체(282)의 양단에 각각 제1 및 제2유체공급라인과, 제1 및 제2유체공급라인에 유체공급을 위한 유체저장탱크와, 유체저장탱크에 저장된 유체를 제1 또는 제2유체공급라인으로 펌핑하기 위한 펌프와, 제1 또는 제2유체공급라인을 개폐하는 컨트롤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요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210)는 윈치(41)의 구동과, 틸팅구동실린더(281)의 길이신축을 위해 펌프와 컨트롤밸브의 구동을 제어하는 조작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요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210)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적용된 복수의 유실 방지 회동도어(121)와, 유실방지 승강도어(131)와, 고무자석부재(126)와, 승강고정핀(136)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11 : 수조 20 : 상차도어
31 : 견인부 41 : 상차용 윈치
51 : 소화용수공급부 52 : 제1수화용수공급관
54 : 제1공급노즐 56 : 호스연결구

Claims (6)

  1. 후방 측에 좌우로 회동되는 상차도어에 의해 개폐가능한 내부공간이 마련된 수조와;
    상기 수조에 장착되며 지면에 접해 구름운동 가능한 복수의 바퀴와;
    상기 수조의 전단측에 연결되어 전방의 견인 차량과 연결가능한 견인부와;
    상기 상차도어가 열려 후방측으로 개방된 상기 수조에 화재가 발생된 전기자동차를 끌어올리기 위한것으로 권취되거나 권취해제되는 와이어의 단부에 고리가 마련된 상차용 윈치와,
    상기 수조에 상차된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가 소화용수에 잠길 수 있도록 상기 상차도어가 닫혀 전후 좌우 측방으로 밀폐된 상기 수조에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소화용수 공급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조는
    상기 전기자동차 상차를 위해 후방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기울어질 수 있도록 전방측 하부에 상기 견인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을 위한 축결합편과, 상차된 상기 전기자동차를 지지하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중심측에 하방으로 인입되며 전후방향으로 길이연장된 관수용홈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 양단에서 상기 내부공간으로 상차된 상기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보다 높게 상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된 좌측벽 및 우측벽과, 상기 베이스의 전단에서 상방으로 상기 좌측벽 및 상기 우측벽과 동일하거나 높게 연장되며 상기 좌측벽의 전단과 상기 우측벽의 전단을 연결하는 전단측벽을 구비하고,
    일측이 상기 견인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수조에 연결되어 길이신축에 따라 상기 견인부에 대해 상기 수조를 경사지거나 나란하게 회동시키는 틸팅구동실린더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차도어는 상기 좌측벽 또는 우측벽에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소화용수 공급부는
    상기 관수용홈에 수용되게 상기 수조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조의 내부공간으로 소화용수를 토출하는 다수의 제1공급노즐이 장착되는 제1소화용수공급관과, 상기 관수용홈에서 상기 베이스의 전단측을 관통하여 상기 견인부 측으로 돌출 연장된 상기 제1소화용수공급관의 단부에 장착되며 소화전이나 소방차량에서 연장된 소방호스와 연결가능한 호스 연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측벽에 인접한 상기 제1소화용수공급관의 일측에서 상방으로 분기되며 상기 배터리보다 높게 연장된 수직연장부와, 상기 수직연장부를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제1수평연장부와, 상기 제1수평연장부의 양단에서 상기 좌측벽 및 상기 우측벽의 연장방향을 따라 상호 나란하게 연장된 복수의 제2수평연장부를 포함하는 제2소화용수공급관과; 상기 제1 및 제2수평연장부에 일정간격마다 설치되어 수직연장부와 상기 제1 및 제2수평연장부 내로 유입된 소화용수를 하방에 위치한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 측으로 하향토출하는 다수의 제2공급노즐;을 포함하는 소화용수 보조공급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조는
    상기 내부공간의 후방을 폐쇄하도록 회동된 상기 상차도어의 전방을 향하는 일면을 덮어, 상기 베이스, 상기 좌측벽 및 상기 우측벽이 이루는 공간에 끼움결합되는 판상의 제3수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벽과 상기 우측벽의 각 상단에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채워진 소화용수가 측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복수의 유실 방지 회동도어와,
    상기 전단측벽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장착되어 상승 시 상기 유실방지 회동도어들과 접하여 소화용수가 전방으로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실방지 승강도어와,
    상기 내부공간에 상차된 상기 전기자동차와 마주하는 상기 유실방지 회동도어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전기자동차 측으로 회동된 상기 유실방지 회동도어를 상기 전기자동차에 고정하는 복수의 고무자석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KR1020220048492A 2022-04-19 2022-04-19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KR102528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492A KR102528451B1 (ko) 2022-04-19 2022-04-19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PCT/KR2023/005288 WO2023204590A1 (ko) 2022-04-19 2023-04-19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8492A KR102528451B1 (ko) 2022-04-19 2022-04-19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8451B1 true KR102528451B1 (ko) 2023-05-03

Family

ID=86380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8492A KR102528451B1 (ko) 2022-04-19 2022-04-19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28451B1 (ko)
WO (1) WO2023204590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4555B1 (ko) * 2023-07-17 2023-10-05 주식회사 포비드림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KR102599451B1 (ko) * 2023-06-26 2023-11-07 주식회사 세이브라이프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용 수조 컨테이너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93873A (zh) * 2019-07-23 2019-11-01 武汉理工大学 一种船载电动汽车的防火隔离系统
KR102075795B1 (ko) * 2018-11-08 2020-02-10 김재만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KR102315209B1 (ko) * 2021-05-06 2021-10-20 주식회사 성주특장 로딩 기능이 구비된 덤프트럭
KR102339405B1 (ko) 2021-04-14 2021-12-14 이온어스(주) 전기차 화재 방재용 구조물
KR102376222B1 (ko) 2021-06-09 2022-03-18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화재발생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냉각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7061U (ko) * 1994-11-08 1996-06-17 승합차량의 적재함구조
KR20130042070A (ko) * 2011-10-18 2013-04-26 박평인 돈사에서 폐사된 돼지의 처리 및 다목적 이동장치
DE102020101233A1 (de) * 2020-01-20 2021-07-22 Helmut Fliegl Fahrzeuganhänger für verunfallte kraftfahrzeug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795B1 (ko) * 2018-11-08 2020-02-10 김재만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CN110393873A (zh) * 2019-07-23 2019-11-01 武汉理工大学 一种船载电动汽车的防火隔离系统
KR102339405B1 (ko) 2021-04-14 2021-12-14 이온어스(주) 전기차 화재 방재용 구조물
KR102315209B1 (ko) * 2021-05-06 2021-10-20 주식회사 성주특장 로딩 기능이 구비된 덤프트럭
KR102376222B1 (ko) 2021-06-09 2022-03-18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화재발생된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를 안정화시키기 위한 냉각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9451B1 (ko) * 2023-06-26 2023-11-07 주식회사 세이브라이프 전기자동차 화재진압용 수조 컨테이너 시스템
KR102584555B1 (ko) * 2023-07-17 2023-10-05 주식회사 포비드림 전기 자동차 밑판을 부분 제거하여 전기자동차 화재를효율적으로 진압·대응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04590A1 (ko) 2023-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28451B1 (ko)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JP4302139B2 (ja) 貯蔵コンテナを輸送車両に対して積み降ろしするための装置、並びに関連するシステム及び方法
US6155770A (en) Apparatus for lifting, handling and transporting a container
US10600526B2 (en) Cask transport assembly
CN212478702U (zh) 带隔离区的停车设备
BRPI0610844A2 (pt) aparelho para elevar, manusear e transportar um contêiner
AU2012207014B2 (en) Hold crane as well as pipefeeder vessel with such hold crane
CN107531175B (zh) 车辆拖车系统
JPS59501403A (ja) 車輪持上げ装置
ES2914339T3 (es) Vehículo para la manipulación de cargas
US20070020076A1 (en) Cargo lifting apparatus for a vehicle
KR101553047B1 (ko) 자동수평조절장치를 구비하는 특장차
EP0277686B1 (en) Device for controlling a loading platform for transport vehicles
US9199705B2 (en) Compact self-monitoring self-stabilizing air displacement watercraft lift
CA2740189A1 (en) Trailer for the transportation by road of containers
US20040033124A1 (en) Goods transshipment apparatus
KR102564158B1 (ko) 전기차 배터리 화재 진압용 소화 장치 및 시스템
US3740075A (en) Dredge convertible to land vehicle for portability
KR102631579B1 (ko) 전기차 화재 진압 시스템 및 그를 이용한 전기차 화재 진압 방법
JP4268675B2 (ja) 船艇搬送装置及び船艇搬送方法
RU2733352C1 (ru) Компоновочная схема пожарной автоцистерны
RU2399578C1 (ru) Подъемник автомобильный гидравлический
EP3463977B1 (en) Boat trailer with installation for launching a boat into the water
CN213734754U (zh) 一种拱架安装台车用轮胎式工程机械底盘
RU215131U1 (ru) Установка малогабаритная самоходная сваебойна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