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795B1 -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 Google Patents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75795B1 KR102075795B1 KR1020180136298A KR20180136298A KR102075795B1 KR 102075795 B1 KR102075795 B1 KR 102075795B1 KR 1020180136298 A KR1020180136298 A KR 1020180136298A KR 20180136298 A KR20180136298 A KR 20180136298A KR 102075795 B1 KR102075795 B1 KR 1020757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oading box
- cover
- guard
- driving force
- box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2—Platforms; Open load compartments
- B62D33/023—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 B62D33/027—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 B62D33/0276—Sideboard or tailgate structures movable by vertical transl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 F16H25/22—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 F16H25/2204—Screw mechanisms with balls, rollers, or similar members between the co-operating parts; Elements essential to the use of such members with ba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2—Heavy duty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적재함의 측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측면가드를 설치하여 적재함에 적재된 각종 적재물이 적재함의 좌우 양측으로 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측면가드를 포함하여 상기 적재함을 덮도록 덮개를 설치하여 적재물이 주행시 바람 또는 진동에 의해 적재함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적재함의 측면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측면가드를 설치하여 적재함에 적재된 각종 적재물이 적재함의 좌우 양측으로 낙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상기 측면가드를 포함하여 상기 적재함을 덮도록 덮개를 설치하여 적재물이 주행시 바람 또는 진동에 의해 적재함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덤프트럭은 자갈, 모래, 흙 등과 같은 적재물을 적재함에 실어 운반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토사, 골재 운반용 특수 화물 차량으로서, 적재함에는 주행 중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이 바람이나 진동에 의해 도로로 떨어져 도로를 파손하거나 낙하 적재물로 인한 후방 차량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덮개가 설치된다.
기존 덤프트럭의 적재함 덮개는 단순히 천막의 가장자리에 고무밴드를 고정한 구조로서, 별도로 접어 보관하였다가 적재함에 적재물을 적재시킨 후에는 운전자 또는 작업자가 적재함의 상부로 올라가 접혀진 덮개를 전개시켜 적재물을 덮은 후 적재함의 하측에 구비된 후크에 고정밴드를 잡아당겨 걸어 주는 방식으로 설치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의 적재함 덮개는 운전자나 작업자가 직접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 위로 올라가 덮개를 전개시켜야 하기 때문에 안전상에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적재물이 젖은 모래인 경우에는 옷이 젖는 등 작업상에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최근에는 덤프트럭의 적재함을 개폐하는 덮개장치가 개발되어 설치 운용되고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적재함 덮개장치는 적재함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소정의 회전 반경으로 회전하는 한 쌍의 덮개와, 상기 덮개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덮개로 전달하는 체인 또는 벨트 전동기구로 구성되어 상기 덮개를 소정의 회전 반경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적재함 덮개장치는 적재함 좌우 양측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덮개가 회전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확보되어야 함에 따라 협소한 작업 공간에서는 덮개장치를 제대로 작동시킬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기술에 따른 적재함 덮개장치는 기 설치된 적재함의 높이보다 높게 적재물이 적재되는 경우 덮개와 적재함 사이의 틈새가 발생하였고, 이러한 틈새로 인해 적재물이 낙하하여 도로를 파손하거나 후방 차량의 안전사고를 유발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적재함의 좌우 양측부에 측면가드를 설치하여 적재함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높이와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다량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고, 상기 측면가드를 포함하여 상기 적재함을 덮도록 덮개를 설치하여 적재물이 주행시 바람 또는 진동에 의해 적재함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덤프트럭의 적재함의 좌우 양측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측면가드; 및 상기 측면가드의 상부를 포함하여 상기 적재함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면가드는 상기 적재함의 좌측부에 설치된 좌측가드; 상기 적재함의 우측부에 설치된 우측가드; 및 상기 좌측가드와 상기 우측가드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측면가드는 상기 좌측가드 및 상기 우측가드의 상단부에 설치된 이물질 유입 방지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판은 상기 측면가드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적재함과 상기 측면가드 사이를 밀폐하여 흙이 모래, 혹은 자갈과 같은 적재물을 상기 적재함에 상하차할 때 상기 적재물이 상기 측면가드와 상기 적재함 사이로 낙하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승강수단은 전동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동 실린더는 상기 좌측가드와 상기 우측가드에 고정된 가이드를 상기 적재함의 측벽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좌측가드와 상기 우측가드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부 덮개는 상기 적재함의 전방측에 고정된 고정식 드럼; 일단부가 상기 고정식 드럼에 고정되고, 비전개시는 상기 고정식 드럼에 권취되고, 전개시에는 상기 적재함의 상부를 따라 펼쳐져 상기 적재함의 상부를 덮는 덮개; 및 상기 덮개를 전개시키는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적재함의 전방측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감속기; 상기 적재함의 외측면에 상기 적재함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평 가이드레일; 상기 감속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재; 및 상기 덮개의 타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상기 덮개를 접거나 펼쳐 전개하는 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은 후방측부가 하부방향으로 완만한 곡면을 갖도록 라운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체가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의 후방측으로 이동하면 자동으로 하방으로 기울어져 상기 이동체의 상단에 고정된 상기 덮개가 상기 적재함의 후방측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적재함의 좌우 양측부에 측면가드를 설치하여 적재함에 적재되는 적재물의 높이와 무관하게 안정적으로 다량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고, 상기 측면가드를 포함하여 상기 적재함을 덮도록 덮개를 설치하여 적재물이 주행시 바람 또는 진동에 의해 적재함으로부터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면가드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가드의 승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측면가드가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에서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측가드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좌·우측가드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덮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덮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측면가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면가드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가드의 승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측면가드가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에서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측가드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좌·우측가드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덮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덮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측면가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으로서, 덮개장치가 덤프트럭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는 적재함(1a)의 좌우 양측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측면가드(10)와, 측면가드(10)의 상부를 포함하여 적재함(1a)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덮개(20)를 포함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측면가드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측면가드(10)는 좌측가드(11), 우측가드(12), 좌·우측가드(11, 12)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3)을 포함한다.
좌측가드(11)는 덤프트럭(1)을 후방측에서 바라볼 때 적재함(1a)의 좌측부에 설치되고, 우측가드(12)는 적재함(1a)의 우측부에 설치된다. 이때, 좌우측가드(11, 12)는 각각 적재함(1a)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외측면에도 설치가능하다.
좌측가드(11)는 도 2와 같이,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로 적층 설치된 복수 개의 측판(11a)과, 복수 개의 측판(11a) 사이를 연결하는 힌지부재(11b)를 포함한다.
측판(11a)은 각각 금속판재, 바람직하게는 가벼운 알루미늄 판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측판(11a)은 도 2와 같이, 3장의 알루미늄 판재가 상하로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이는 일례로서, 파손시 교체가 용이하도록 길이방향으로 다분할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측판(11a)은 여러 장의 알루미늄 판재가 상하방향뿐만 아니라 길이방향으로도 상호 결합된 다분할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힌지부재(11b)는 각 측판(11a) 사이에 설치되어 측판(11a)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따라, 측판(11a)은 힌지부재(11b)를 통해 일정 각도로 회동될 수 있다.
승강수단(13)은 좌·우측가드(11, 12)를 적재함(1a)을 따라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 2와 같이, 제1 구동모터(13a), 메인링크(13b), 메인 기어박스(13c), 분기링크(13d), 로컬 기어박스(13e), 볼 스크류(13f) 및 가이드 블록(13g)을 포함한다.
제1 구동모터(13a)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덤프트럭(1)의 전방측으로 적재함(1a)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좌·우측가드(11, 12)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한다.
메인링크(13b)는 일단부가 제1 구동모터(13a)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구동모터(13a)의 구동력을 전달한다. 즉, 제1 구동모터(13a)의 구동축과 연동하여 회전 운동한다.
메인 기어박스(13c)는 메인링크(13b)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메인링크(13b)를 통해 전달된 제1 구동모터(13a)의 구동력을 분기링크(13d)로 전달하는 기어장치이다. 즉, 메인링크(13b)와 분기링크(13d)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되어 있을 때, 이들 간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 웜기어나 베벨기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기링크(13d)는 메인 기어박스(13c)에서 양측으로 분리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링크로서, 각각은 메인링크(13b)와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메인 기어박스(13c)와 결합되어 메인 기어박스(13c)에서 전달된 구동력을 로컬 기어박스(13e)로 전달한다.
로컬 기어박스(13e)는 도 1과 같이, 적재함(1a)에 고정 설치되고, 분기링크(13d)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볼 스크류(13f)로 전달한다. 이러한 로컬 기어박스(13e)는 메인 기어박스(13c)와 마찬가지로 웜기어나 베벨기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블록(13g)은 일측부가 좌·우측가이드(11, 12)의 측판(11a, 12a)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볼 스크류(13f)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가이드 블록(13g)은 볼 스크류(13f)가 회전하면 볼 스크류(13f)를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측면가드의 승강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측면가드가 적재함에 설치된 상태에서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구동모터(13a)를 구동시키면, 제1 구동모터(13a)의 구동력(회전력)은 메인링크(13b)를 통해 메인 기어박스(13c)로 전달된다.
메인 기어박스(13c)는 메인링크(13b)를 통해 전달된 제1 구동모터(13a)의 구동력을 직교 방향으로 전환하여 분기링크(13d)를 통해 로컬 기어박스(13e)로 전달한다.
로컬 기어박스(13e)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은 볼 스크류(13f)를 회전시키고, 볼 스크류(13f)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 블록(13g)은 볼 스크류(13f)를 따라 상하로 승강한다.
이와 같이, 제1 구동모터(13a)를 구동시키면, 제1 구동모터(13a)의 구동력은 메인링크(13b), 메인 기어박스(13c), 분기링크(13d) 및 로컬 기어박스(13e)를 통해 볼 스크류(13f)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가이드 블록(13g)이 볼 스크류(13f)를 따라 승강하여 가이드 블록(13g)에 고정된 좌·우측가드(11, 12)가 적재함(1a)을 따라 승강하다.
예를 들어, 제1 구동모터(13a)를 정회전시키면, 볼 스크류(13f)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이드 블록(13g)이 상승함으로써 좌·우측가드(11, 12)는 적재함(1a)을 따라 상승한다. 반면, 제1 구동모터(13a)를 역회전시키면, 볼 스크류(13f)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이드 블록(13g)이 하강함으로써 좌·우측가드(11, 12)는 하강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좌·우측가드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들로서, (a)는 비전개(하강)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전개(상승)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같이, 운전자 또는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제1 구동모터(13a)가 구동하여 좌·우측가드(11, 12)가 상승하여 전개되면 힌지부재(11b, 12b)를 통해 좌·우측가드(11, 12)의 측판(11a, 12a)은 내측(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좌·우측가드(11, 12)에서 상측에 위치한 측판(11a, 12a)이 상승할수록 내측으로 소정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설치됨으로써 적재함(1a)에 적재된 적재물의 상부 좌·우측을 감싸 적재물을 더욱 안정적으로 덮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좌·우측가드를 설명하기 위해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좌·우측가드(11, 12)는 측판(11a) 중 최상측에 위치한 측판의 내측에 설치된 고리(11c)와, 일단이 고리(11c)에 연결되고 타단이 측판(11a)을 관통하여 적재함(1a)에 고정되는 와이어(11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좌·우측가드(11, 12)는 상승시 측판(11a) 중 최상측에 위치한 측판의 내측이 와이어(11d)를 통해 적재함(1a)의 내측면에 고정됨에 따라 와이어(11d)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상승할수록 내측으로 일정 각도로 기울어지고, 하강시에는 힌지부재(11b)에 설치된 복귀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상부 덮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으로서, 덤프트럭의 적재함을 폭방향으로 절단한 상태에서 후면측에서 전방측을 바라본 도면이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덮개(20)는 적재함(1a)의 전방측에 설치된 권취롤러(21)와, 비전개시 권취롤러(21)에 권취되고 전개시 적재함(1a)의 상부를 덮는 덮개(22)와, 덮개(22)를 전개시키는 개폐수단(23)을 포함한다.
권취롤러(21)는 적재함(1a)의 전방측에 적재함(1a)을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개폐수단(23)에 의해 회전하여 덮개(22)를 외주면에 감거나 펼쳐 전개한다.
덮개(22)는 천막으로, 개폐수단(23)에 의해 비전개시에는 권취롤러(21)에 권취되고, 전개시에는 적재함(1a)의 길이방향으로 전개되어 적재함(1a)의 상부를 덮는다.
개폐수단(23)은 권취롤러(21)에 덮개(22)를 감거나 혹은 풀면서 적재함(1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덮개(22)를 통해 적재함(1a)을 덮어 밀폐하거나 개방한다.
이러한 개폐수단(23)은 도 1과 같이, 측면가드(10)와 간섭되지 않도록 적재함(1a)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된다. 바람직하게, 측면가드(10)가 적재함(1a)의 양측부 내측에 설치되는 경우 개폐수단(23)은 적재함(1a)의 양측부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개폐수단(23)은 적재함(1a)의 외측 전방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모터(미도시)와, 적재함(1a)의 일측부(좌측부)에 설치되어 권취롤러(21)의 일측(좌측부)에 연결된 제1 이동부(231)와, 적재함(1a)의 타측부(우측부)에 설치되어 권취롤러(21)의 타측(우측부)에 결합된 제2 이동부(232)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구동모터는 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제1 구동모터(13a)와 독립적으로 적재함(1a)의 외측, 예를 들면, 적재함(1a)의 전방측 하부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 이동부(231, 232)를 통해 권취롤러(21)를 적재함(1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이를 통해 덮개(22)를 전개 또는 비전개시켜 적재함(1a)의 상부를 덮어 밀폐하거나 개방한다.
제1 및 제2 이동부(231)는 서로 대칭하도록 적재함(1a)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 구동모터의 구동시 구동력을 동시에 전달받아 권취롤러(21)를 적재함(1a)의 길이방향으로 함께 이동시켜 덮개(22)를 전개시키거나 혹은 비전개시킨다.
제1 이동부(231)는 도 1과 같이, 상기 제2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결합되도록 동축 상으로 적재함(1a)의 일측방향(좌측방향)에 설치된 제1 풀리(또는 스프로킷)(231a)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이동부(231)는 적재함(1a)의 일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1 가이드 레일(231b)을 포함하고, 제1 가이드 레일(231b)의 상부에는 랙기어(231c)가 설치된다.
제1 가이드 레일(231b)의 내부에는 제1 이동롤러(231d)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1 가이드 레일(231b)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1 이동롤러(231d)는 제1 고정핀(231e)와 제1 연결부재(231f)를 통해 제1 이동체(231g)와 연결된다.
제1 이동체(231g)는 일단부가 권취롤러(21)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연결부재(231f)와 제1 고정핀(231e)을 통해 제1 이동롤러(231d)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이동체(231g)를 관통하도록 제1 회전축(231h)이 결합된다. 그리고, 제1 회전축(231h)의 후단부에는 랙기어(231c)와 치합되는 구동기어(231i)가 결합되고, 전단부에는 체인(231k)을 통해 종동기어(231l)에 연결된 연결기어(231j)가 결합된다.
종동기어(231l)는 도 7과 같이, 권취롤러(21)의 일측부에 결합되고, 체인(231k)을 통해 구동기어(231i)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권취롤러(21)를 회전시킨다.
제2 이동부(232)는 도 1과 같이, 상기 제2 구동모터의 구동축과 결합되도록 동축 상으로 적재함(1a)의 타측방향(우측방향)에 설치된 제2 풀리(또는 스프로킷)(미도시)을 포함한다.
제2 이동부(232)는 적재함(1a)의 타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제2 가이드 레일(232b)를 포함한다. 제2 가이드 레일(232b)는 제1 가이드 레일(231b)과 나란하도록 설치된다.
제2 가이드 레일(232b)의 내부에는 제2 이동롤러(232d)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제2 가이드 레일(232b)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제2 이동롤러(232d)는 제2 고정핀(232e)과 제2 연결부재(232f)를 통해 제2 이동체(232g)와 연결된다.
제2 이동체(232g)는 제1 이동체(231g)와 대칭하도록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부는 권취롤러(21)의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그 타단부는 제2 연결부재(232f)와 제2 고정핀(232e)을 통해 제2 이동체(232g)와 결합된다.
제2 이동체(232g)에는 제2 이동체(232g)를 관통하도록 제2 회전축(232h)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제2 이동체(232g)는 제2 회전축(232h)을 축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1 이동부(231)는 일단이 제1 풀리(231a)에 고정되는 제1 와이어(231m)를 포함하고, 제2 이동부(232) 또한 상기 제2 풀리에 고정되는 제2 와이어(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와이어는 제1 와이어(231m)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제1 와이어(231m)의 타단은 적재함(1a)의 후방측 일측부에 설치된 제1 아이들 풀리(231n)에 지지된 후 제1 이동체(231g)에 고정되고, 상기 제2 와이어의 타단 또한 적재함(1a)의 후방측 타측부에 제1 아이들 풀리(231n)와 대칭을 이루도록 나란하게 설치된 제2 아이들 풀리(미도시)에 지지된 후 제2 이동체(232g)에 고정된다.
한편, 도 8과 같이, 덮개(22)를 팽팽하게 적재함(1a)의 폭 방향으로 잡아당기기 위해 제1 보조 와이어(231p)와 제2 보조 와이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보조 와이어(231p)는 덮개(22)의 일측부에 고정되고, 적재함(1a) 전방측 일측부에 설치된 제1 보조 아이들 풀리(231o)에 지지된다. 상기 제2 보조 와이어는 덮개(22)의 타측부에 고정되고, 적재함(1a) 전방측 일측부에 설치된 제1 보조 아이들 풀리(231o)에 지지된다.
한편,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231b, 232b)에는 적재함(1a)의 후방측으로 제1 및 제2 이동롤러(231d, 232d)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덮개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운전자에 의해 상기 제2 구동모터를 정방향으로 구동시키면, 상기 구동모터와 축 결합된 제1 풀리(231a)와 상기 제2 풀리가 회전한다.
제1 풀리(231a)와 상기 제2 풀리가 회전하면, 제1 풀리(231a)와 제1 아이들 풀리(231n) 사이에 연결된 제1 와이어(231m)와, 상기 제2 풀리와 상기 제2 아이들 풀리 사이에 연결된 상기 제2 와이어가 감기면서 제1 및 제2 이동체(231g, 232g)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231d, 232d)을 따라 적재함(1a)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1 이동롤러(231d)의 이동에 따라 제1 가이드 레일(231d)의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랙기어(231c)가 회전하고, 랙기어(231c)의 회전으로 인해 랙기어(231c)와 치합되는 구동기어(231i)가 구동한다. 그리고, 구동기어(231i)가 회전함에 따라 제1 회전축(231h)을 통해 구동기어(231i)와 축 결합된 연결기어(231j)가 회전한다.
결국, 구동기어(231i)의 회전력은 제1 회전축(231h)과 체인(231k)을 통해 종동기어(231l)로 전달되어 권취롤러(2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따라서, 제1 및 제2 이동체(231g, 232g)의 이동에 의해 덮개(22)는 권취롤러(21)로부터 풀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231b, 232b)을 따라 제1 및 제2 이동체(231g, 232g)의 계속적인 이동으로 적재함(1a) 후방에 형성된 상기 스토퍼에 제1 및 제2 이동롤러(231d, 232d)가 접촉하는 경우 제1 및 제2 이동롤러(231d, 232d)는 더 이상 적재함(1a) 후방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정지된다. 이때, 제1 및 제2 이동롤러(231d, 232d)가 정지된 상태에서 상기 제2 구동모터의 구동으로 제1 및 제2 이동체(231g, 232g)는 제1 및 제2 회전축(231h, 232h)과, 제1 및 제2 고정축(231e, 232e)를 힌지축으로 하여 시계방향으로 자연스럽게 회동하여 권취롤러(21)는 적재함(1a)의 리어 게이트(R)를 넘어 적재함(1a)에 대한 밀폐 작업(포장작업)은 완료된다.
그리고, 제1 보조 와이어(231p)는 제1 보조 아이들 풀리(231o)에 지지되고, 와 상기 제2 보조 와이어는 상기 제2 보조 아이들에 지지된 후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231b, 232b)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덮개(22)를 적재함(1a)에 밀착 고정할 수 있다.
한편, 적재함(1a)의 상부에 밀폐된 덮개(22)를 제거하여 적재함(1a)의 상부를 개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구동모터를 역회전시킨다. 상기 제2 구동모터가 역회전 구동력은 제1 풀리(231a)와 상기 제2 풀리에 전달된다. 이에 따라, 제1 풀리(231a)와 상기 제2 풀리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와이어(231m)와 상기 제2 와이어는 제1 풀리(231a)와 상기 제2 풀리에 감기게 되어 제1 및 제2 이동체(231g, 232g)는 제1 및 제2 가이드레일(231b, 232b)을 따라 전방측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덮개(22)는 제1 및 제2 가이드 레일(231b, 232b)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된 랙기어(231c)와 치합하는 구동기어(231i)의 회전으로 연결기어(231j)와 종동기어(231l)를 상호 연결하는 체인(231k)에 의해 권취롤러(21)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적재함(1a)으로부터 분리되면서 권취롤러(21)에 감기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운전자나 작업자의 의한 상기 제2 구동모터의 스위치 조작으로 지면 또는 운전실에서 덮개(22)를 적재함(1a)에 대해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측면가드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는 도 1 및 도 8에 도시된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와 마찬가지로, 적재함(1a)의 좌우 양측부에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 측면가드(110)와, 측면가드(110)의 상부를 포함하여 적재함(1a)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덮개(120)를 포함한다.
측면가드(110)는 도 10과 같이, 적재함(1a)의 좌우측에 설치된 측면 가이드 레일(미도시)에 결합되는 가이드(111)와, 가이드(111)에 조립식 볼트(111a)를 통해 고정된 좌우측가드(112, 113), 좌우측가드(112, 113)를 승강시키는 승강수단으로서, 전동 실린더(114)를 포함한다.
이러한 좌측가드(112)와 우측가드(113)는 각각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로 적층 설치되고 알루미늄 판재로 이루어진 측판으로 이루어진다. 혹은 복수 개의 측판과, 상기 복수 개의 측판 사이를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측면가드(110)는 좌우측가드(112, 113)의 상단부에 설치된 이물질 유입 방지판(115)을 포함한다. 이물질 유입 방지판(115)은 측면가드(110)가 하강한 상태에서 적재함(1a)와 측면가드(110) 사이를 밀폐하여 적재함(1a)에 실린 흙이나 모래, 혹은 자갈 등을 하차하거나, 혹은 적재함(1a)에 흙이나 모래, 혹은 자갈 등을 상차할 때 이들이 측면가드(110)와 적재함(1a) 사이로 낙하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이물질 유입 방지판(115)은 측면가드(110)가 하강한 상태에서 적재함(1a)와 측면가드(110) 사이를 밀폐하기 위해 대략 'ㄱ'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동 실린더(114)는 안정적으로 좌측가드(112)와 우측가드(113)를 승강시키기 위해 적재함(1a)의 측면에 각각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동 실린더(114)는 각각 실린더 본체가 적재함(1a)의 측면에 고정되고, 실린더 로드는 좌측가드(112)와 우측가드(113)가 조립식 볼트(111a)에 고정된 가이드(111)와 연결된다.
도 9와 같이, 상부 덮개(120)는 적재함(1a)의 전방측에 고정되어 덮개(122)가 권취되는 고정식 드럼(121)과, 일단부가 상기 고정식 드럼(121)에 고정되고 비전개시 고정식 드럼(121)에 권취되고 전개시에는 적재함(1a)의 상부를 따라 펼쳐져 적재함(1a)의 상부를 덮는 덮개(122)와, 덮개(122)를 전개시키는 개폐수단(123)을 포함한다.
개폐수단(123)은 고정식 드럼(121)에 덮개(122)를 감거나 혹은 풀면서 적재함(1a)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덮개(122)를 통해 적재함(1a)을 덮어 밀폐하거나 개방한다.
이러한 개폐수단(123)은 도 9와 같이, 적재함(1a)의 전방측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감속기(123a)와, 적재함(1a)의 외측면에 형성된 수평 가이드레일(123b)과, 감속기(123a)의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체인, 기어(및/또는 풀리) 및 와이어 등을 포함하는 구동력 전달부재(123c)와, 덮개(122)의 타단부가 결합되고 구동력 전달부재(123c)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수평 가이드레일(123b)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덮개(122)를 접거나 펼쳐 전개하는 이동체(123d)를 포함한다.
이때, 구동력 전달부재(123c)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따른 상부 덮개(20)의 구동력 전달부재, 예를 들면 체인, 풀리, 기어, 와어어 등과 동일한 방식으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 가이드레일(123b)은 후방측부가 하부방향으로 완만한 곡면을 갖도록 라운딩됨에 따라 이동체(123d)가 수평 가이드레일(123b)의 후방측으로 이동하면 자동으로 하방으로 기울어져 이동체(123)의 상단에 고정된 덮개(122), 즉 천막은 리어 게이트(R)를 넘어가 적재함(1a)에 대한 밀폐 작업(포장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이처럼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결합을 통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 덤프트럭 1a : 적재함
10, 110 : 측면가드 11, 112 : 좌측가드
11a : 측판 11b : 힌지부재
11c : 고리 11d : 와이어
12, 113 : 우측가드 13 : 승강수단
13a : 제1 구동모터 13b : 메인링크
13c : 메인 기어박스 13d : 분기링크
13e : 로컬 기어박스 13f : 볼 스크류
13g : 가이드 블록 20, 120 : 상부 덮개
21 : 권취롤러 22 : 덮개
23 : 개폐수단 231 : 제1 이동부
231a : 제1 풀리 231b : 제1 가이드 레일
231c : 랙기어 231d : 제1 이동롤러
231e : 제1 고정핀 231f : 제1 연결부재
231g : 제1 이동체 231h : 제1 회전축
231i : 구동기어 231j : 연결기어
231k : 체인 231l : 종동기어
231m : 제1 와이어 231n : 제1 아이들 풀리
231o : 제1 보조 와이어 풀리 231p : 제1 보조 와이어
232 : 제2 이동부 232b : 제2 가이드 레일
232d : 제2 이동롤러 232e : 제2 고정핀
232f : 제2 연결부재 232g : 제2 이동체
232h : 제2 회전축 R : 리어 게이트(적재함)
111 : 가이드 114 : 전동 실린더(승강수단)
111a : 조립식 볼트 121 : 고정식 드럼
122 : 덮개(천막) 123 : 개폐수단
123a : 감속기 123b : 수평 가이드레일
123c : 구동력 전달부재 123d : 이동체
10, 110 : 측면가드 11, 112 : 좌측가드
11a : 측판 11b : 힌지부재
11c : 고리 11d : 와이어
12, 113 : 우측가드 13 : 승강수단
13a : 제1 구동모터 13b : 메인링크
13c : 메인 기어박스 13d : 분기링크
13e : 로컬 기어박스 13f : 볼 스크류
13g : 가이드 블록 20, 120 : 상부 덮개
21 : 권취롤러 22 : 덮개
23 : 개폐수단 231 : 제1 이동부
231a : 제1 풀리 231b : 제1 가이드 레일
231c : 랙기어 231d : 제1 이동롤러
231e : 제1 고정핀 231f : 제1 연결부재
231g : 제1 이동체 231h : 제1 회전축
231i : 구동기어 231j : 연결기어
231k : 체인 231l : 종동기어
231m : 제1 와이어 231n : 제1 아이들 풀리
231o : 제1 보조 와이어 풀리 231p : 제1 보조 와이어
232 : 제2 이동부 232b : 제2 가이드 레일
232d : 제2 이동롤러 232e : 제2 고정핀
232f : 제2 연결부재 232g : 제2 이동체
232h : 제2 회전축 R : 리어 게이트(적재함)
111 : 가이드 114 : 전동 실린더(승강수단)
111a : 조립식 볼트 121 : 고정식 드럼
122 : 덮개(천막) 123 : 개폐수단
123a : 감속기 123b : 수평 가이드레일
123c : 구동력 전달부재 123d : 이동체
Claims (7)
- 덤프트럭(1)의 적재함(1a)의 좌우 양측부에 상하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 측면가드(10, 110)와 상기 측면가드(10, 110)의 상부를 포함하여 상기 적재함(1a)의 상부를 개폐하는 상부 덮개(20, 120)로 구성된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드(10, 110)는
상기 적재함(1a)의 좌측부에 설치된 좌측가드(11, 112);
상기 적재함(1a)의 우측부에 설치된 우측가드(12, 113); 및
상기 좌측가드(11, 112)와 상기 우측가드(12, 113)를 상하로 승강시키는 승강수단(13);을 포함하되,
상기 좌측가드(11, 112)와 우측가드(12, 113)는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로 적층 설치된 복수 개의 측판(11a, 12a)과, 복수 개의 측판(11a, 12a) 사이에 설치되어 측판(11a, 12a)을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여 일정 각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는 힌지부재(11b, 12b)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수단(13)은
감속기를 포함하는 것으로, 덤프트럭(1)의 전방측으로 적재함(1a)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어 좌·우측가드(11, 12)를 승강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모터(13a);
일단부가 제1 구동모터(13a)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구동모터(13a)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메인링크(13b);
메인링크(13b)의 타단부와 결합되고, 메인링크(13b)를 통해 전달된 제1 구동모터(13a)의 구동력을 분기링크(13d)로 전달하는 메인 기어박스(13c);
메인 기어박스(13c)에서 양측으로 분리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는 링크로서, 각각은 메인링크(13b)와 직교하도록 설치되고, 메인 기어박스(13c)와 결합되어 메인 기어박스(13c)에서 전달된 구동력을 로컬 기어박스(13e)로 전달하는 분기링크(13d);
적재함(1a)에 고정 설치되고, 분기링크(13d)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을 볼 스크류(13f)로 전달하는 로컬 기어박스(13e);
일측부가 좌·우측가이드(11, 12)의 측판(11a, 12a)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고, 볼 스크류(13f)에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볼 스크류(13f)가 회전하면 볼 스크류(13f)를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가이드 블록(13g);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20)는
적재함(1a)의 전방측에 적재함(1a)을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도록 설치된 권취롤러(21)와;
비전개시 권취롤러(21)에 권취되고 전개시 적재함(1a)의 상부를 덮는 덮개(22)와;
덮개(22)를 전개시키는 개폐수단(23)을 포함하되,
상기 개폐수단(23)은
적재함(1a)의 외측 전방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모터(미도시)와;
적재함(1a)의 일측부(좌측부)에 설치되어 권취롤러(21)의 일측(좌측부)에 연결된 제1 이동부(231)와;
적재함(1a)의 타측부(우측부)에 설치되어 권취롤러(21)의 타측(우측부)에 결합된 제2 이동부(2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가드(10)는
상기 좌측가드(11) 및 상기 우측가드(12)의 상단부에 설치된 이물질 유입 방지판(11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유입 방지판(115)은 상기 측면가드(10)가 하강한 상태에서 상기 적재함(1a)과 상기 측면가드(10) 사이를 밀폐하여 흙이 모래, 혹은 자갈과 같은 적재물을 상기 적재함(1a)에 상하차할 때 상기 적재물이 상기 측면가드(10)와 상기 적재함(1a) 사이로 낙하하여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13)은
전동 실린더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동 실린더는 상기 좌측가드(11)와 상기 우측가드(12)에 고정된 가이드를 상기 적재함(1a)의 측벽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상하로 승강시켜 상기 좌측가드(11)와 상기 우측가드(12)를 승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20)는,
상기 적재함(1a)의 전방측에 고정된 고정식 드럼(121);
일단부가 상기 고정식 드럼(121)에 고정되며, 비전개시는 상기 고정식 드럼(121)에 권취되고, 전개시에는 상기 적재함(1a)의 상부를 따라 펼쳐져 상기 적재함(1a)의 상부를 덮는 덮개(122); 및
상기 덮개(122)를 전개시키는 개폐수단(12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23)은,
상기 적재함(1a)의 전방측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감속기(123a);
상기 적재함(1a)의 외측면에 상기 적재함(1a)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평 가이드레일(123b);
상기 감속기(123a)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재(123c); 및
상기 덮개(122)의 타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구동력 전달부재(123c)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123b)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왕복 이동하여 상기 덮개(122)를 접거나 펼쳐 전개하는 이동체(123d);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123b)은 후방측부가 하부방향으로 완만한 곡면을 갖도록 라운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이동체(123d)가 상기 수평 가이드레일(123b)의 후방측으로 이동하면 자동으로 하방으로 기울어져 상기 이동체(123d)의 상단에 고정된 상기 덮개(122)가 상기 적재함(1a)의 후방측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밀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6298A KR102075795B1 (ko) | 2018-11-08 | 2018-11-08 |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36298A KR102075795B1 (ko) | 2018-11-08 | 2018-11-08 |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75795B1 true KR102075795B1 (ko) | 2020-02-10 |
Family
ID=69627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36298A KR102075795B1 (ko) | 2018-11-08 | 2018-11-08 |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75795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107892A (zh) * | 2022-07-22 | 2022-09-27 | 安徽开乐专用车辆股份有限公司 | 一种应用于核电宝运输系统的车载平台 |
KR102528451B1 (ko) * | 2022-04-19 | 2023-05-03 | 주식회사 비즈케어 |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
CN117885821A (zh) * | 2023-02-13 | 2024-04-16 | 彭宗臣 | 一种农牧业用木材运输车车厢 |
KR102712987B1 (ko) | 2024-03-08 | 2024-10-04 | 엠함안 주식회사 | 트럭 적재함 스크래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래핑 방법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3001Y1 (ko) * | 1999-10-13 | 2000-03-15 | 김봉철 | 화물차량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
KR100654291B1 (ko) | 2005-04-25 | 2006-12-08 | (주)에이티맥스 | 트럭 적재함 덮개 장치 |
KR20100124379A (ko) | 2009-05-19 | 2010-11-29 | 정문주 | 덤프트럭의 적재함 덮개장치 |
KR20110003203A (ko) * | 2009-07-03 | 2011-01-11 | 위지웅 | 설치가 쉬운 화물차의 접이식 적재함 보호장치 |
KR20180000978U (ko) * | 2016-09-30 | 2018-04-09 | 조성환 |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 장치 |
-
2018
- 2018-11-08 KR KR1020180136298A patent/KR1020757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3001Y1 (ko) * | 1999-10-13 | 2000-03-15 | 김봉철 | 화물차량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
KR100654291B1 (ko) | 2005-04-25 | 2006-12-08 | (주)에이티맥스 | 트럭 적재함 덮개 장치 |
KR20100124379A (ko) | 2009-05-19 | 2010-11-29 | 정문주 | 덤프트럭의 적재함 덮개장치 |
KR20110003203A (ko) * | 2009-07-03 | 2011-01-11 | 위지웅 | 설치가 쉬운 화물차의 접이식 적재함 보호장치 |
KR20180000978U (ko) * | 2016-09-30 | 2018-04-09 | 조성환 | 화물차량용 적재함 커버 장치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28451B1 (ko) * | 2022-04-19 | 2023-05-03 | 주식회사 비즈케어 | 전기자동차 화재 진압용 수조가 마련된 이동식 대차 |
CN115107892A (zh) * | 2022-07-22 | 2022-09-27 | 安徽开乐专用车辆股份有限公司 | 一种应用于核电宝运输系统的车载平台 |
CN117885821A (zh) * | 2023-02-13 | 2024-04-16 | 彭宗臣 | 一种农牧业用木材运输车车厢 |
KR102712987B1 (ko) | 2024-03-08 | 2024-10-04 | 엠함안 주식회사 | 트럭 적재함 스크래핑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래핑 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75795B1 (ko) | 덤프트럭 적재함 덮개장치 | |
US5498057A (en) | Automatic vehicle load cover | |
KR20150129434A (ko) | 중량물 상,하차용 화물차의 리프트장치 | |
CN107650761B (zh) | 一种车载伸缩传送带自动卸料设备 | |
KR101351538B1 (ko) | 덮개 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적재함 | |
CN109823152B (zh) | 一种顶部开启式货物运输车厢 | |
KR101579685B1 (ko) | 화물차량용 윙바디 | |
KR20100124379A (ko) | 덤프트럭의 적재함 덮개장치 | |
US3687186A (en) | Boxcar full-side closure | |
KR100408096B1 (ko) | 측면 접이식 윙 바디 컨테이너 | |
WO1998024656A1 (en) | Device for covering cargo spaces | |
CN211281019U (zh) | 拨盖装置 | |
KR101540456B1 (ko) | 화물 운반 차량용 화물 적재함 | |
KR20200020059A (ko) |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 |
JP2007270555A (ja) | 可動デッキ | |
CN210363836U (zh) | 一种货运敞口车的摆臂卷簧式顶盖开闭装置 | |
CN1121964C (zh) | 货船舱口盖的转动机构 | |
KR101618607B1 (ko) | 양방향 개폐가능한 밀폐형 적재함 덮개 | |
KR102226276B1 (ko) |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 |
KR20190019583A (ko) |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 | |
SU1079476A2 (ru) | Складной тент дл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 |
KR200173001Y1 (ko) | 화물차량 적재함의 자동덮개장치 | |
KR102205946B1 (ko) | 무개화차용 자동루프 워킹플로어 윙바디 구조 | |
JPH09290829A (ja) | 幌つき荷台の幌駆動装置 | |
KR20190012402A (ko) | 트럭 적재함의 덮개방법 및 그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