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9583A -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9583A
KR20190019583A KR1020170104714A KR20170104714A KR20190019583A KR 20190019583 A KR20190019583 A KR 20190019583A KR 1020170104714 A KR1020170104714 A KR 1020170104714A KR 20170104714 A KR20170104714 A KR 20170104714A KR 20190019583 A KR20190019583 A KR 20190019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d
cover
frame
rear cover
loading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주
지종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엠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엠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엠아이
Priority to KR1020170104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19583A/ko
Publication of KR20190019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2Covering of 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41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for utility vehicles, e.g. with slidable and foldable rigid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7/00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 B60J7/02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 B60J7/04Non-fixed roofs; Roofs with movable panels, e.g. rotary sunroofs of sliding type, e.g. comprising guide shoes with rigid plate-like element or elements, e.g. open roofs with harmonica-type folding rigid panels
    • B60J7/057Driving or actuating arrangements e.g. manually operated levers or kno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5Haulage vehicles, trailing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에 적재된 운송물의 낙하나 비산을 방지하도록 상기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에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으로 설치되는 덮개 프레임의 상기 후면 프레임 상에 다단식 덮개를 설치하여, 상기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에 걸쳐 설치된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다단식 덮개의 각각의 덮개를 겹쳐 모으거나 각각의 덮개로부터 인출되어 전개되도록 제어장치로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후면 프레임의 양측은 찬넬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수단의 일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각 덮개와 연결되어 가이드하도록 한 자동덮개에 구비되는 과적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면 프레임의 뒤쪽 끝단의 일부를 막는 후면커버; 및 상기 제어장치에 설치되고 후면커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수단에 의한 덮개의 인출전개와 함께 후면커버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자동덮개의 다단식 덮개의 각 덮개를 겹쳐 모으거나 펼쳐 전개하면서 적재함에 건설폐기물이나 흙 등을 담을 때, 상기 건설폐기물이나 흙 등의 적재물로 중량이 꽤나가는 적재물의 경우 각 덮개의 인출전개와 함께 이동하는 후면커버가 상기 적재물에 걸림과 동시에 이동제한수단으로 작동으로 상기 각 덮개의 인출전개와 함께 후면커버의 이동을 멈추도록 하는 과적방지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Apparatus for preventing overload of automatic cover for loading box}
본 발명은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는 상기 적재함 상부의 덮개 프레임의 후면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다단식 덮개의 각 덮개를 이동수단에 의해 인출전개하여 이동시키되, 상기 후면 프레임 뒤쪽 끝을 막아 설치한 후면커버가 같이 이동하면서 적재함 상부로 솟아난 적재물에 걸렸을 때, 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동제한수단의 작동으로 상기 각 덮개의 인출전개와 함께 후면커버의 이동을 멈추도록 하여 과적을 방지하도록 한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덤프트럭과 같은 화물차량은 적재함의 덮개가 없이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써, 운송작업시에 적재함에 적재된 운송물이 낙하되거나 교통안전을 위협하며, 상기 운송물로부터 발생하기도 하는 분진이 대기로 비산되어 대기오염 문제도 발생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화물 운송시 적재함 상부 개구부에 천, 비닐 등의 덮개를 임시적으로 덮어 설치하였으나, 상기 천이나 비닐 등의 양측으로 낙하물의 낙하와 분진 등의 비산을 막지 못하는 실정이었다.
또한 환경부는 2016년 7월 1일부터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을 시행하여 건설폐기물을 수집, 운반하는 경우 상기 건설폐기물이 비산되거나 누출되지 않도록 상부 전체를 금속 또는 이에 준하는 재질로서 환경부령이 정하는 재질로 덮여 있는 차량을 이용해야 한다고 고시하였다.
이에 따라 종래 화물차량의 상부를 덮는 덮개가 개발되어, 이러한 덮개 중에서 상기 덮개를 자동으로 펼쳐 덮거나 접을 수 있는 자동덮개를 사용하고 있는데, 상기 자동덮개는 프레임에 덮개를 씌우고 상기 프레임 양측에 배치된 찬넬을 프레임과 연결하여, 상기 프레임이 찬넬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덮개도 같이 이동하면서 상기 덮개를 펼치거나 접게 된다.
그런데 화물차량으로 덤프트럭을 이용하는 경우 건설폐기물이나 토사를 상기 덤프트럭에 실을 때, 적재함 상부로 상기 건설폐기물이나 토사와 같은 적재물이 솟아오를 때까지 싣는 과적이 문제가 된다. 이러한 과적은 더욱이 상기 자동덮개와 같은 밀폐형 덮개의 경우 적재물이 어느 정도 실려 있는지 내부를 볼 수 없는 구조로 인해 과적을 일일이 확인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자동덮개를 밀폐형 덮개의 방식으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밀폐형 덮개로 적재함 상부를 덮기 전에 과적을 사전에 확인하여 조치할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에서 덮개 프레임의 후면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다단식 덮개의 각 덮개를 이동수단에 의해 펼쳐 전개하는 도중에, 상기 후면 프레임의 뒤쪽 끝을 막아 설치한 후면커버가 적재함 상부로 솟아오른 적재물에 걸렸을 때, 상기 각 덮개의 인출전개와 함께 상기 후면커버의 이동을 제한하기 위해, 상기 이동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에 설치된 이동제한수단이 상기 후면커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하도록 함으로써 과적을 확인하여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에 적재된 운송물의 낙하나 비산을 방지하도록 상기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에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으로 설치되는 덮개 프레임의 상기 후면 프레임 상에 다단식 덮개를 설치하여, 상기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에 걸쳐 설치된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다단식 덮개의 각각의 덮개를 겹쳐 모으거나 각각의 덮개로부터 인출되어 전개되도록 제어장치로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후면 프레임의 양측은 찬넬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수단의 일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각 덮개와 연결되어 가이드하도록 한 자동덮개에 구비되는 과적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면 프레임의 뒤쪽 끝단의 일부를 막는 후면커버; 및 상기 제어장치에 설치되고 후면커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수단에 의한 덮개의 인출전개와 함께 후면커버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후면커버의 하단부는 적재함 상면과 일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이동제한수단은 덮개의 인출전개와 함께 후면커버의 이동 시 적재함 위로 솟아난 적재물에 상기 후면커버의 하단부가 걸려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할 때, 상기 덮개의 인출전개와 함께 후면커버의 이동을 멈추도록 함으로써, 적재함 위로 적재되는 적재물의 과적을 방지하는 과적방지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과적방지수단은 후면커버의 하단부가 적재물에 걸려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할 때, 상기 덮개의 인출전개를 위해 이동수단에 일정한 전류값 이상으로 공급되는 과전류의 검출로 상기 덮개와 함께 후면커버의 이동을 멈추어 과적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에 의하면, 자동덮개의 다단식 덮개의 각 덮개를 겹쳐 모으거나 펼쳐 전개하면서 적재함에 건설폐기물이나 흙 등을 담을 때, 상기 건설폐기물이나 흙 등의 적재물로 중량이 꽤나가는 적재물의 경우 각 덮개의 인출전개와 함께 이동하는 후면커버가 상기 적재물에 걸림과 동시에 이동제한수단으로 작동으로 상기 각 덮개의 인출전개와 함께 후면커버의 이동을 멈추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각 덮개의 인출전개와 함께 후면커버의 이동이 정지되었을 때, 적재함 상부로 적재물이 솟아오른 과적의 상태를 조치한 후에 다시 덮개의 인출전개를 마무리함으로써 사전에 과적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중량이 가벼운 모래와 흙 같은 적재물의 경우에는 각 덮개의 인출전개와 함께 이동하는 후면커버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모래나 흙 같은 가벼운 적재물을 밀고가면서 적재함 바깥으로 떨어뜨림으로써, 상기 각 덮개의 인출전개가 완료되어 적재함 상부를 완전히 덮은 후에도 상기 적재함 상부로 적재물이 솟아오를 정도로 과적을 하지 못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과적방지장치가 설치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과적방지장치가 설치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사용 전 측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과적방지장치가 설치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사용 후 측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과적방지장치가 설치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정면 사시도 및 주요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앞쪽 체인연결부와 컨베이어형 찬넬을 보여주는 도 4의 'A'부분 확대 사시도
도 6은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뒤쪽 체인연결부와 컨베이어형 찬넬을 보여주는 도 2의 'B'부분 확대 사시도
도 7은 컨베이어형 찬넬만 별도로 보여주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사시도
도 8은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지지대 부분의 단면도 및 컨베이어형 찬넬을 보여주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물을 과적하였을 때 본 발명의 과적방지장치가 작동하는 것을 보여주는 상기 화물차량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과적방지장치가 설치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적방지장치가 설치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는 화물차량(1)의 적재함(1a) 상부에 덮개 프레임(2)을 먼저 설치하고, 상기 덮개 프레임(2)에 다수개의 덮개(30)가 겹쳐지거나 전개될 수 있도록 구성된 다단식 덮개(3)와, 이러한 다단식 덮개(3)의 각 덮개(30)의 중첩 또는 전개 동작을 위한 중첩수단(4) 및 전개수단(5), 상기 다단식 덮개(3)의 덮개(30) 중 최후방 덮개(31)의 이동을 위한 이동수단(6) 등을 설치한 것이다. 이에 상기 다단식 덮개(3)는 각 덮개(30)가 겹쳐 모아질 때 운전석이 있는 화물차량(1)의 전방을 향해 상기 각 덮개(30)를 이동시키며, 각 덮개(30)가 펼쳐 전개될 때 적재함(1a)이 있는 화물차량(1)의 후방을 향해 상기 각 덮개(30)를 이동시킨다.
이러한 상기 자동덮개에 의해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적재된 적재물, 특히 적재물로써 건설폐기물 등의 운송물의 낙하를 방지하거나 상기 건설폐기물 등에서 발생하는 분진이나 먼지 등의 비산을 적절하게 차단하게 된다.
다음은 본 발명의 과적방지장치를 설명하기 전에 상기한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상세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과적방지장치가 설치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사용 전 측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과적방지장치가 설치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사용 후 측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과적방지장치가 설치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정면 사시도 및 주요부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컨베이어형 찬넬이 설치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 프레임(2), 각각의 덮개(30)로 구성된 다단식 덮개(3), 중첩수단(4), 전개수단(5), 이동수단(6) 및 제어장치(7)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덮개 프레임(2)은 화물차량의 적재함(1a) 상면에 맞추어 수평으로 배치되는 직사각의 후면 프레임(21)과, 이러한 후면 프레임(21)의 앞쪽에 연결되어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배치되는 직사각의 전면 프레임(22)으로 구성되며, 상기 후면 프레임(21)의 양측은 배치되는 위치에서 바깥쪽 상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날개형태의 레일가이드(9a)가 달리고, 하단부에 다수개의 롤러(9b)가 연결된 단면 형상
Figure pat00001
찬넬로 롤러 컨베이어(9)를 구성하여 컨베이어형 찬넬이 된다.
상기 다단식 덮개(3)는 오각의 아치형으로 된 다수개의 덮개(30)가 차례로 겹칠 수 있도록 모양은 같지만 조금씩 크기가 다른 형태로 구성되어, 이러한 다단식 덮개(3)가 상기 후면 프레임(21)의 양측에 각각 걸쳐 세워진다. 따라서 상기 다단식 덮개(3)의 최후방 덮개(31)에서 각각의 덮개(30)를 거쳐 최전방 덮개(32)로 갈수록 폭과 높이가 조금씩 미세하게 커진다. 이러한 다단식 덮개(3)의 최후방 덮개(31)와 최전방 덮개(32)를 포함한 각 덮개(30)는 오각의 아치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필요에 따라 둥근 아치형 또는 사각의 아치형으로 얼마든지 형태를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최후방 덮개(31)와 최전방 덮개(32)를 포함한 상기 각 덮개(30)는 폴리카보네이트(PC)의 재질로 일체로 성형되며, 이와 같이 일체로 성형할 때 상기 각 덮개(30) 내부의 상면 및 양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일자로 이어져 대응되는 삽입 안내홈(8)을 각각 형성한다. 이러한 각 삽입 안내홈(8)은 각 덮개(30) 외부의 상면에서는 돌출된 형태이므로, 예컨대 각 덮개(30)를 겹쳐 모을 때 최후방 덮개(31)가 인접하는 덮개(30)의 안쪽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최후방 덮개(31)의 삽입 안내홈(8)은 인접하는 덮개(30)의 삽입 안내홈(8)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각 삽입 안내홈(8)의 삽입은 각 덮개(30)를 겹쳐 모을 때 인접하는 덮개(30)에서 계속적으로 일어나므로, 상기 각 덮개(30)들이 이탈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겹쳐지게 된다. 상기 각 삽입 안내홈(8)은 더욱 확실한 덮개(3)의 중첩작용을 위해 각 덮개(30) 내부의 상면 및 양측면에서 폭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다수 개 형성할 수도 있다. 최후방 덮개(31)와 최전방 덮개(32)를 포함한 상기 각 덮개(30)는 폴리카보네이트(PC)의 재질로 되어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 덮개(30)는 계속 이동하기 때문에, 양쪽의 하단부의 앞쪽과 뒤쪽에 금속재질의 보호커버(17)를 각각 끼워 넣어 보호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첩수단(4)은 최후방 덮개(31)와 최전방 덮개(32)를 포함한 상기 각 덮개(30)의 상면 뒤쪽에서 폭방향으로 걸쳐 일정 높이의 지지대(40)를 부착하여 구성하며, 이러한 지지대 중 최후방 덮개(31)의 지지대(41)와 이동수단(6)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각 덮개(30)에서 최전방 덮개(32)에는 상면 뒤쪽의 지지대(42)와 함께 상면 앞쪽에도 상기 지지대(42)와 같은 형태의 보강지지대(43)가 부착되며, 이러한 지지대(42)와 보강지지대(43) 사이는 일정간격을 둔 다수개의 연결대(44)로 서로 연결하고 있다. 상기 최전방 덮개(32)는 덮개 프레임(2)의 후면 프레임(21) 앞쪽에 고정되어 있지만, 최전방 덮개(32)에서부터 안쪽으로 차례로 겹쳐지는 각 덮개(30)는 이동을 위해 이동수단(6)에 연결된 최후방 덮개(31)와 함께 후면 프레임(21)의 양측 상에서 일정간격을 두고 떠있다.
상기 전개수단(5)은 다단식 덮개(3)의 최후방 덮개(31)와 최전방 덮개(32)를 포함한 각 덮개(30)에 부착된 지지대(40)(41)(42)의 하면 사이를 한 줄로 연결하는 와이어(5a)로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5a)는 각 지지대(40)(41)(42)에 설치된 U볼트(5b)와 같은 것을 통해 상기 지지대(40)(41)(42)의 하면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와이어(5a)는 각 지지대(40)(41)(42)의 중간쯤에서 한 줄로 연결되지만, 필요에 따라 다단식 덮개(3)의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 덮개(30)의 안정적인 전개를 위해 상기 각 지지대(40)(41)(42)의 양쪽에서 2줄로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는 상기 와이어(5a)가 각 지지대(40)(41)(42) 내부의 하면을 연결하여 설치한 것으로 되어 있지만, 각 지지대(40)(41)(42) 외부의 상면을 연결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또 상기 후면 프레임(21)의 뒤쪽 끝, 즉 다단식 덮개(3)의 최후방 덮개(31)에 부착된 지지대(41)의 후면에는 별도의 후면커버(14)를 장착하여 뒤쪽으로 낙하물이 낙하하거나 분진이 비산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적재함의 과적도 방지하도록 하나, 이에 대해서는 상세히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후면커버(14)는 최후방 덮개(31)의 지지대(41) 후면에서 상부를 향해 절반높이에서 걸쳐 설치된 일자형 커버지지대(14a)에 힌지(15)를 통해 연결한다. 이러한 후면커버(14)는 힌지(15)를 통해 연결하였기 때문에 최후방 덮개(31)의 안쪽으로 후면커버(14)를 접을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과적방지를 위해서 후면커버(14)를 접을 수 없도록 커버지지대(14a)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앞쪽 체인연결부와 컨베이어형 찬넬을 보여주는 도 4의 'A'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6은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뒤쪽 체인연결부와 컨베이어형 찬넬을 보여주는 도 2의 'B'부분 확대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이동수단(6)은 덮개 프레임(2)의 전면 프레임(22)에 설치되는 감속모터(61)와, 상기 감속모터(61)의 모터축에 연결된 회동축(62)과, 상기 회동축(62)에 연결된 덮개 전후진수단(63)으로 구성되며, 상기 덮개 전후진수단(63)으로 스프로켓 휠(63a)과 체인(63b)을 이용한다. 상기 감속모터(61)는 감속기능을 포함한 모터이며 전면 프레임(61)의 상부 중간에 모터축을 위로 한 상태로 고정되고, 상기 모터축에 헬리컬 기어의 조합으로 회전운동이 변환된 회동축(62)의 중간이 연결되어, 전면 프레임(61)의 상부에서 베어링(10)을 장착한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 걸쳐 설치된다. 상기 회동축(62)의 양 끝단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로켓 휠(63a)이 각각 장착되며, 이러한 스프로켓 휠(63a)은 바로 아래의 후면 프레임(21)의 양측 앞쪽에서 상하로 약간의 간격을 두고 각각 2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후면 프레임(21)의 양측 뒤쪽에서 각각 1개씩 휠브래킷(12)을 통해 설치된다. 상기 체인(63b)은 각 스프로켓 휠(63a)을 통해 그 사이를 각각 연결하여 체인연결부로 구성하며, 양쪽의 상기 체인(63b)은 체인브래킷(11)을 통해 최후방 덮개(31)의 지지대(41)의 양쪽 하단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감속모터(61)의 구동으로 회동축(62)이 회전하면, 자전거의 체인과 같이 스프로켓 휠(63a)도 회전하면서 체인(63b)이 궤도운동을 하고, 다단식 덮개(30)의 최후방 덮개(31)가 상기 체인(63b)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상기 최후방 덮개(31)는 체인(63b)의 궤도운동에 따라 전진 및 후진이동을 하게 된다. 도면에서 는 덮개 전후진수단(6)으로 스프로켓 휠(63a)과 체인(63b)을 사용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덮개 전후진수단(6)으로 풀리와 회전벨트(미도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풀리와 회전벨트를 사용하는 경우 풀리는 스프로켓 휠(63a)과 동일하게 회동축(62) 등에 설치되고, 상기 풀리에 체인(63b)의 대용으로 회전벨트가 연결될 것이다.
상기 제어장치(7)는 감속모터(61)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의 구동과 정지 및 다단식 덮개(3)의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 덮개(30)의 이동거리 등을 제어하는 장치로 별도의 조작리모컨과 같은 형태로 구성할 수 있지만, 보통은 화물차량의 운전석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운전석의 전면에 설치하게 된다. 다만 상기 제어장치(7)에 의한 감속모터(61)의 구동으로 다단식 덮개(3)의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 덮개(30)를 겹쳐 모으거나 펼쳐 전개하지 않고, 제어장치(7) 없이 이를 수동으로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이동수단(6)으로 최후방 덮개(31)의 지지대(41)에 손잡이와 같은 것을 고정하여, 상기 손잡이를 잡고 최후방 덮개(31)를 전진 또는 후진이동시켜 다단식 덮개(3)의 각 덮개(30)를 겹쳐 모으거나 펼쳐 전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체인(63b)의 궤도운동을 감속모터를 통해 하지 않고, 예컨대 회동축(62)을 수동으로 회전시켜 체인(63b)이 궤도운동을 하도록 함으로써 다단식 덮개(3)의 각 덮개(30)를 겹쳐 모으거나 펼쳐 전개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자동덮개에서 본 발명의 컨베이어형 찬넬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 프레임(2)의 후면 프레임(21) 양측은 종단면으로 보았을 때 단면
Figure pat00002
형상 찬넬로 각각 형성하고, 상기 각 단면
Figure pat00003
형상 찬넬은 바깥쪽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평으로 날개형태의 레일가이드(9a)가 각각 달려 있고, 하단부 안쪽에 구름수단으로서 다수개의 롤러(9b)가 연결된 롤러 컨베이어로(9)로 구성한다. 이와 같이 후면 프레임(21)의 양측을 형성하는 각 단면
Figure pat00004
형상 찬넬로 된 롤러 컨베이어(9)의 홈 안에는 체인(63b)에 연결된 지지대(41)의 양쪽 하단부가 최후방 덮개(31)의 양쪽 하단부와 함께 각각 삽입되어 있다. 상기 체인(63b)을 회전벨트로 사용하는 경우 상기 각 단면
Figure pat00005
형상 찬넬로 된 롤러 컨베이어(9)의 홈 안에는 회전벨트가 각각 삽입되어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각 단면
Figure pat00006
형상 찬넬로 된 롤러 컨베이어(9)의 레일가이드(9a)가 오른쪽 상부에 형성되어 있지만, 반대편의 후면 프레임(21) 측면에서는 상기 레일가이드(9a)가 당연히 왼쪽 상부에 형성되어 있을 것이다. 이러한 상기 체인(63b)이나 회전벨트는 롤러 컨베이어(9) 내에서 롤러(9a)를 사이에 두고 아래위로 지나가게 되며, 아래로 지나가는 체인(63b)은 상기 롤러 컨베이어(9)의 안쪽 벽에 부착된 보호관(18) 내로 삽입되어 구동 중 처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7은 컨베이어형 찬넬만 별도로 보여주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베이어형 찬넬은 자동덮개의 덮개 프레임(2)의 후면 프레임(21) 양측에 서로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배치된 긴 좌측판(90)과 우측판(91), 그리고 상기 좌측판(90)과 우측판(91)의 한쪽 단부인 각각의 하단부를 사이에 두고 구름수단으로서 다수개의 롤러(9b)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폭방향으로 연결된 롤러 컨베이어(9)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롤러 컨베이어(9)에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 프레임(2)의 전면 프레임(22)에 설치된 각 지지대(40)가 각각 연결된다.
도 8은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지지대 부분의 단면도 및 컨베이어형 찬넬을 보여주는 주요부 확대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다단식 덮개(3)의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 덮개(30)가 겹쳐 모아지거나 펼쳐져 전개되는 이동을 할 때,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 덮개(30)가 후면 프레임(21)의 양측에서 이탈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전진 또는 후진 이동하도록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 덮개(30)에 장착된 지지대(40)(41)와 후면 프레임(21)의 양측 사이에 고정락장치(13)을 각각 연결한다. 즉 상기 각 지지대(40)(41)의 바깥쪽 하단 측면에서 돌출하여 각각 부착되는 고정락장치(13)의 끝단에 홈이 안쪽으로 향하는 고정홈(13a)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각 고정홈(13a)을 후면 프레임(21)의 양측을 형성하는 각 단면
Figure pat00007
형상 찬넬로 된 롤러 컨베이어(9)의 날개인 레일가이드(9a)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상기 각 레일가이드(9a)는 고정락장치(13)가 각각 이동할 때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 덮개(30)와 함께 잡아주면서 안내하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롤러 컨베이어(9)의 각 롤러(9b)는 구체적으로 고정축(9b1)와 파이프(9b2)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축(9b1)은 롤러 컨베이어(9)를 구성하는 단면
Figure pat00008
형상 찬넬의 좌측판(90)과 우측판(91) 사이에 연결되어 고정되고, 상기 파이프(9b2)는 상기 고정축(9b1)에 삽입되어 자유롭게 회전한다.
이때 상기 다단식 덮개(3)의 각 덮개(30)의 하단부에 장착된 보호커버(17)가 롤러 컨베이어(9)의 롤러(9b)에 얹혀 상기 롤러(9b)를 타고, 즉 자유롭게 회전하는 파이프(9b2)를 타고 이동하므로, 상기 각 덮개(30)를 보호하면서 부드럽고 원활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 컨베이어(9)를 구성하는 단면
Figure pat00009
형상 찬넬의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판 형상의 지지브래킷(19)이 각각 부착되어 적재함(1a)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다. 이러한 각 지지브래킷(19)은 상기 롤러 컨베이어(9)를 받쳐 줌으로써 처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각 지지브래킷(19)은 다른 도면에서도 그 설치 형태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적재함 자동덮개의 구성에서 본 발명의 과적방지장치는 최후방 덮개(31)에 부착된 후면 프레임(21)의 지지대(41)에 설치된 후면커버(14)와,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 덮개(30)의 인출전개와 함께 상기 후면커버(14)을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후면커버(14)와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제어장치(7)에 설치한 이동제한수단으로 구성하게 된다. 이때 상기 후면커버(14)의 하단부는 적재함(1a)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덮개(30)의 인출전개와 함께 상기 후면커버(14)가 이동할 때, 모래나 흙 같은 중량이 가벼운 적재물이라면 후면커버(14)의 이동과 함께 적재함(1a)의 상면에 맞추어 밀고가면서 상기 적재함(1a) 바깥으로 떨어뜨려 과적과는 상관이 없지만, 중량이 무거운 건설폐기물과 같은 적재물(20)의 경우 적재함(1a)의 상부로 솟아올라 과적을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각 덮개(30)의 인출전개와 함께 상기 후면커버(14)가 이동하다가 상기 적재물(20)에 걸리면 더 이상 이동을 하지 못한다. 그러나 상기 각 덮개(30)의 인출전개와 함께 상기 후면커버(14)를 이동시키도록 하는 이동수단은 계속해서 인출전개와 함께 이동시키려고 하므로, 상기 이동수단을 작동을 담당하는 감속모터(61)에 과부하가 걸리게 된다.
이러한 과부하는 각 덮개(30)의 인출전개와 함께 상기 후면커버(14)의 정상적인 이동을 위해 감속모터(61)에 공급되는 일정한 전류값 이상의 과전류값을 발생시키므로 센서를 포함하여 제어장치(7)에 설치된 이동제한수단이 이를 검출함과 동시에 상기 감속모터(61)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각 덮개(30)의 인출전개와 함께 상기 후면커버(14)의 이동도 이때 동시에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제한수단은 적재함(1a) 상부로 적재물(20)이 솟아오른 과적을 하였을 때 각 덮개(30)의 인출전개와 함께 상기 후면커버(14)의 이동을 제한하여, 과적을 조치한 후에 다시 각 덮개(30)의 인출전개와 함께 상기 후면커버(14)가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과적방지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과적방지장치가 설치되는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의 작동상태를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다단식 덮개(3)의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 덮개(30)를 최전방 덮개(32) 내로 겹쳐 모은 상태에서 건설폐기물 등과 같은 운송물을 적재함(1a)에 적재하고 화물차량(1)이 이동할 때, 상기 각 덮개(30)를 펼쳐 전개함으로써 화물차량(1)의 적재함(1a) 상부를 덮는다. 이는 이동수단(6)과 전개수단(5)을 통해서 하게 된다. 즉 감속모터(61)를 제어장치(7)로 구동시켜 예컨대 정회전시키면 회동축(62)과 스프로켓 휠(63a)을 통해 양쪽이 체인(63b)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궤도운동을 하고, 상기 각 체인(63b)에 연결된 최후방 덮개(31)는 후진이동을 한다. 이렇게 되면 전개수단(5)인 와이어(5a)로 최후방 덮개(31)와 최전방 덮개(32)를 포함한 각 덮개(30)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고정된 최전방 덮개(32)를 제외한 각 덮개(30)가 인접하는 덮개들로부터 차례로 인출되어 빠져나오면서 전개된다. 이때 최후방 덮개(31)와 최전방 덮개(32)를 포함한 각 덮개(30)의 지지대(40)(41)(42) 사이를 와이어(5a)로 연결하였기 때문에, 최후방 덮개(31)와 최전방 덮개(32)를 포함한 각 덮개(30)의 지지대(40)(41)(42) 사이의 와이어(5a) 길이만큼 최후방 덮개(31)와 최전방 덮개(32)를 포함한 각각의 덮개(30)는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하는 제한을 받게 된다.
다음에 다단식 덮개(3)로 화물차량(1)의 적재함(1a)을 덮는 것이 필요 없어지면 다시 상기 다단식 덮개(3)의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 덮개(30)를 최전방 덮개(32) 내로 겹쳐 모으게 된다. 이는 이동수단(6)과 중첩수단(4)을 통해서 하게 된다. 즉 감속모터(61)를 제어장치(7)로 구동시켜 예컨대 역회전시키면 회동축(62)과 스프로켓 휠(63a)을 통해 양쪽의 체인(63b)이 시계 방향으로 궤도운동을 하고, 상기 각 체인(63b)에 연결된 최후방 덮개(31)는 전진이동을 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최후방 덮개(31)가 인접하는 덮개(30)의 밑으로 삽입되어 겹치면서, 중첩수단(4)인 최후방 덮개(31)의 지지대(41)가 인접하는 덮개(30)의 지지대(40)를 밀고, 각 지지대(40)는 인접하는 덮개의 각 지지대를 차례로 밀어 각각의 덮개(30)가 인접하는 덮개의 밑으로 계속해서 삽입되어, 마지막에는 고정된 최후방 덮개(32)의 밑으로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모든 덮개(30)가 모여 겹쳐지게 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이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 덮개(30)가 겹쳐 모아질 때,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 덮개(30)에 형성된 삽입 안내홈(8)이 인접하는 덮개 및 최전방 덮개(32)의 삽입 안내홈(8)에 삽입되면서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 덮개(30)가 겹쳐지므로,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 덮개(30)의 중첩동작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다단식 덮개(3)의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 덮개(30)를 모두 겹쳐 모았을 때 각 지지대(40)(41)의 삽입공에 고정핀(16)을 각각 삽입하는 것으로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 덮개(30)를 고정하는 잠금장치로 하면, 최후방 덮개(31)를 포함한 각각의 덮개(30)가 인접하는 덮개로부터 임의로 빠져나와 이탈하는 일이 없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한 자동덮개의 작동에 의해 다단시 덮개(3)의 각 덮개(30)의 인출전개와 함께 상기 후면커버(14)가 이동할 때, 적재함(1a) 상부로 적재물(20)이 솟아오르도록 과적을 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적재물(20)에 후면커버(14)가 걸려 각 덮개(30)가 인출전개가 되지 못함과 동시에 상기 후면커버(14)도 이동하지 못하므로, 적재물(20)의 과적을 조치한 후에야 다시 각 덮개(30)의 인출전개와 함께 후면커버(14)를 이동시켜 적재함(1a) 상부를 완전히 덮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덮개의 각 덮개(30)의 인출전개에 의해 적재함(1a) 상부를 완전히 덮어 밀폐하여도, 사전에 적재물의 과적을 조치한 후에야 밀폐하게 되므로 적재물의 과적이 있을 수 없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 화물차량 1a : 적재함
2 : 덮개 프레임 21 : 후면 프레임
22 : 전면 프레임 3 : 다단식 덮개
30 : 덮개 30a : 연결부
30b,30c : 분할된 덮개 31 : 최후방 덮개
32 : 최전방 덮개 4 : 중첩수단
40 : 지지대 41 : 최후방 덮개의 지지대
42 : 최전방 덮개의 지지대 43 : 보강지지대
44 : 연결대 5 : 전개수단
5a : 와이어 5b : U형볼트
6 : 이동수단 61 : 감속모터
62 : 회동축 63 : 덮개 전후진수단
63a : 스프로켓 휠 63b : 체인
7 : 제어장치 8 : 삽입 안내홈
9 : 롤러 컨베이어 9a : 레일가이드
9b : 롤러 9b1 : 고정축
9b2 : 파이프 10 : 베어링
11 : 체인브래킷 12 : 휠브래킷
13 : 고정락장치 13a : 고정홈
14 : 후면커버 14a : 커버지지대
15 : 힌지 17 : 보호커버
18 : 보호관 19 : 지지브래킷
20 : 적재물

Claims (4)

  1. 화물차량의 적재함에 설치되어 상기 적재함에 적재된 운송물의 낙하나 비산을 방지하도록 상기 화물차량의 적재함 상부에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으로 설치되는 덮개 프레임의 상기 후면 프레임 상에 다단식 덮개를 설치하여, 상기 전면 프레임과 후면 프레임에 걸쳐 설치된 이동수단에 의해 상기 다단식 덮개의 각각의 덮개를 겹쳐 모으거나 각각의 덮개로부터 인출되어 전개되도록 제어장치로 상기 이동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후면 프레임의 양측은 찬넬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수단의 일부가 삽입되면서 상기 각 덮개와 연결되어 가이드하도록 한 자동덮개에 구비되는 과적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면 프레임의 뒤쪽 끝단의 일부를 막는 후면커버; 및
    상기 제어장치에 설치되고 후면커버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이동수단에 의한 덮개의 인출전개와 함께 후면커버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면커버의 하단부는 적재함 상면과 일치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제한수단은 덮개의 인출전개와 함께 후면커버의 이동 시 적재함 위로 솟아난 적재물에 상기 후면커버의 하단부가 걸려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할 때, 상기 덮개의 인출전개와 함께 후면커버의 이동을 멈추도록 함으로써, 적재함 위로 적재되는 적재물의 과적을 방지하는 과적방지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과적방지수단은 후면커버의 하단부가 적재물에 걸려 더 이상 이동하지 못할 때, 상기 덮개의 인출전개를 위해 이동수단에 일정한 전류값 이상으로 공급되는 과전류의 검출로 상기 덮개와 함께 후면커버의 이동을 멈추어 과적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
KR1020170104714A 2017-08-18 2017-08-18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 KR201900195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714A KR20190019583A (ko) 2017-08-18 2017-08-18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714A KR20190019583A (ko) 2017-08-18 2017-08-18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583A true KR20190019583A (ko) 2019-02-27

Family

ID=65561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714A KR20190019583A (ko) 2017-08-18 2017-08-18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195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75A (ko)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휴레스 화물차량의 적재함 덮개장치
KR102632954B1 (ko) 2023-10-06 2024-02-02 서강기업 주식회사 넘침 방지용 운송 적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675A (ko) * 2019-05-31 2020-12-09 주식회사 휴레스 화물차량의 적재함 덮개장치
KR102632954B1 (ko) 2023-10-06 2024-02-02 서강기업 주식회사 넘침 방지용 운송 적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65031B1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
US3964781A (en) Cover assembly for open top truck bodies
US7207370B2 (en) Retractable safety barrier
US8474896B2 (en) Vehcile topper that encloses the cargo bed of a vehicle such as a pickup truck, yet provides convenient open access thereto
US7168119B1 (en) Aircraft passenger boarding bridge having a chute for transport of baggage between boarding bridge and ground level
KR20190019583A (ko) 적재함 자동덮개의 과적방지장치
KR101351538B1 (ko) 덮개 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적재함
EP0018073A1 (en) Movable side curtains for freight containers
WO1996033882A1 (en) Retractable tarpaulin cover apparatus for open-topped containers such as truck bodies
KR101844569B1 (ko) 적재함 자동덮개의 컨베이어형 찬넬
KR102226279B1 (ko) 화물차 적재함용 자동덮개장치
CN108791091B (zh) 用于机动车辆的货舱组件
KR200462915Y1 (ko) 화물차량의 화물덮개 장치
CN106985729B (zh) 载货汽车及其载货车箱
KR20190013442A (ko) 적재함 자동덮개의 컨베이어형 찬넬
KR20210026968A (ko) 화물차량의 적재함 자동덮개
DE102021104075A1 (de) Ladungssicherungsvorrichtung
KR20090105215A (ko) 차량 적재함의 자동커버장치
KR100267498B1 (ko) 덤프트럭 적재함의 덮개 자동개폐장치
KR102103211B1 (ko) 차량적재함용 자동 덮개
WO2004067316A2 (en) Trailers particularly suited to hauling crushed and flattened vehicles
BE1003414A3 (nl) Afsluitbare laadbak.
KR950005123Y1 (ko) 덤프트럭의 적재함 자동덮개장치
EP1964703A2 (en) Apparatus for enclosing vehicle transported material
DE102020003981B4 (de) Plane mit integriertem Antrieb zum vorübergehenden Verschließen von Öffnung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