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9245B1 -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 Google Patents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9245B1
KR101799245B1 KR1020170110479A KR20170110479A KR101799245B1 KR 101799245 B1 KR101799245 B1 KR 101799245B1 KR 1020170110479 A KR1020170110479 A KR 1020170110479A KR 20170110479 A KR20170110479 A KR 20170110479A KR 101799245 B1 KR101799245 B1 KR 101799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water
fire
interlock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작
Original Assignee
박창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작 filed Critical 박창작
Priority to KR1020170110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92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9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92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3/00Floats for actuation of valves or other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소화전함에 접힘 상태로 구비되는 소방 호스의 인출에 연동하여 소화전 밸브를 개방하는 장치로서, 개방에 따라 소방수를 공급하는 매인 밸브; 소방수의 공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매인 밸브와 직렬로 연결되고 개방시 상기 소방 호스에 상기 소방수를 공급하는 연동 밸브; 및 상기 소방 호스의 인출에 연동하여 상기 연동 밸브를 구동하는 연동 밸브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밸브 구동부는, 밸브 구동수를 수용하는 수조; 상기 연동 밸브의 조작 축과 연결되어, 상기 수조에 수용되는 상기 밸브 구동수의 수면 높이에 따라 상기 연동 밸브의 개폐를 수행하는 부력 부재; 및 상기 소방 호스가 인출에 따라 상기 밸브 구동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DEVEICE FOR OPENIG A VALVE OF HYDRANT BOX}
본 발명은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소방호스가 일정 길이 이상 인출될 경우 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소화전용 소방호스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납 부피를 줄이기 위해 차곡차곡 접혀진 상태로 소화전함에 수용된다.
화재발생시 사용자는 소화전 밸브를 개방하고 소방호스를 잡아당겨 화재 위치까지 가지고 간 후, 관창을 통해 소화용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소방전함 구성에 의하면, 소화전 밸브를 개방하면 수압에 의해 접혀진 소방호스가 급격히 팽창하여 화재 진압자가 어린이 또는 노약자인 경우 소방호스를 놓칠 수 있어 부상을 입을 수 있다.
한편, 소화전 밸브를 충분히 개방하지 않고 소방호스를 인출하면 수압 부족으로 인하여 화재 진화에 충분한 물이 분사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화재 진압을 1인이 해야 하는 경우에 화재 진압자는 소화전 밸브를 개방을 위해 소화전으로 돌아와야 하므로, 긴급한 화재 진압 순간 치명적인 시간지체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화재 진압자가 소방호스를 들고 소화전함으로 돌아오는 순간에도 소방호스에서는 물이 계속 분사되므로 화재 현장이 아닌 다른 구역에 불필요한 침수 피해를 야기할 수도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0566호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6561호에는 소방호스를 인출하는 과정에서 소화전 밸브가 개방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제20-0280566호 또는 제10-0666561호는 감겨진 소방호스를 인출할 때 릴이 회전을 이용하여 밸브의 레버를 구동하는 구성을 제공하나, 릴의 부피 및 릴에 수용되는 소방호스의 길이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어, 도 1 또는 도 2와 같은 이미 설치된 기존 방식의 소화전함에는 적용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진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80566호 특허문헌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66561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방호스가 일정 길이 이상 인출될 경우 밸브가 개방되도록 하는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내진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는, 소화전함에 접힘 상태로 구비되는 소방 호스의 인출에 연동하여 소화전 밸브를 개방하는 장치로서, 개방에 따라 소방수를 공급하는 매인 밸브; 소방수의 공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매인 밸브와 직렬로 연결되고 개방시 상기 소방 호스에 상기 소방수를 공급하는 연동 밸브; 및 상기 소방 호스의 인출에 연동하여 상기 연동 밸브를 구동하는 연동 밸브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밸브 구동부는, 밸브 구동수를 수용하는 수조; 상기 연동 밸브의 조작 축과 연결되어, 상기 수조에 수용되는 상기 밸브 구동수의 수면 높이에 따라 상기 연동 밸브의 개폐를 수행하는 부력 부재; 및 상기 소방 호스가 인출에 따라 상기 밸브 구동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동 밸브 구동부는, 상기 소방 호스가 인출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밸브 구동수의 수위를 일정 높이로 유지하는 수면 높이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동 밸브 구동부는, 한쪽 끝이 상기 배출구와 연결구와 연결되는 물 버림 호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물 버림 호스의 다른 쪽 끝은 개방된 상태로서, 상기 밸브 구동수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도록 상기 소방 호스와 함께 접힘 상태로 수납될 수 있다.
이때, 대기 상태에서 상기 밸브 구동수는, 상기 연동 밸브의 조작 축의 높이에 대응되는 수면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동 밸브는, 90도의 조작 각도를 가지는 볼 밸브로서, 대기 상태에서 잠금 상태가 되도록 상기 부력 부재와 연결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동 밸브는, T형 삼방 밸브로서 상기 수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T형 삼방 밸브의 제1 연결부는 상기 배출구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T형 삼방 밸브의 제2 연결부는 상기 매인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T형 삼방 밸브의 제3 연결부는 상기 소방 호스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부력 부재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T형 삼방 밸브의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3 연결부와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소방 호스의 인출 상황에 따라 상기 밸브 구동수가 상기 제3 연결부를 통해 방출되면, 상기 T형 삼방 밸브의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제3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T형 삼방 밸브의 조작 축을 구동하도록 연결 배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연동 밸브 구동부는, 상기 밸브 구동수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높이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상기 부력 부재를 대기 상태인 위치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에 의하면,
첫째, 수조에 수용된 밸브 구동수는 소방 호스 인출에 따라 배출되므로, 조작자는 급격한 호스 팽창을 우려하지 않아도 되며, 따라서 매인 벨브의 완벽한 개방이 가능하다.
둘째,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수조에 수용된 밸브 구동수는 소방 호스 인출에 따라 배출되어 연동 밸브가 서서히 개방되므로 급격한 호스 팽창에 의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셋째, 연동 밸브 구동부는 수조에 수용된 밸브 구동수의 배출에 의해 연동 밸브가 구동되므로, 평시에 밸브 구동수는 연동 밸브의 개방을 제한하는 안전 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소화전함의 사진이다.
도 2는 또 다른 종래 소화전함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구체적인 동작 상황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서 T형 삼방 밸브의 동작 상황을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예의 구체적인 동작 상황을 설명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의 구체적인 동작 상황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제2 실시예에서 T형 삼방 밸브의 동작 상황을 설명한다. 도 7은 제2 실시예의 구체적인 동작 상황을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1000)는 소화전함에 접힘 상태로 구비되는 소방 호스(H)의 인출에 연동하여 소화전 밸브를 개방하는 장치로서, 매인 밸브(100), 연동 밸브(200) 및 연동 밸브 구동부(300)를 포함한다. 또한, 연동 밸브 구동부(300)는 수조(310), 부력 부재(320) 및 배출구(330)를 포함한다.
매인 밸브(100)는 개방에 따라 소방수(W1)를 소방 호스(H)에 공급하는 밸브이다. 매인 밸브(100)는 건물의 소방설비 구성에 따라 고압의 소방수를 소방 규정에 맞는 압력으로 감압시키는 감압 밸브일 수도 있고, 통상적인 밸브일 수도 있다.
연동 밸브(200)는 소방수(W1)의 공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매인 밸브(100)와 직렬로 연결되고 개방에 따라 호방 호스(H)에 소방수(W1)를 공급한다. 즉, 연동 밸브(200)는 매인 밸브(100)와 호방 호스(H) 사이에 배치된다.
연동 밸브 구동부(300)는 소방 호스(H)의 인출에 연동하여 연동 밸브(200)를 구동하여 호방 호스(H)에 소방수(W1)이 공급되게 한다.
이를 위해, 연동 밸브 구동부(300)는 수조(310), 부력 부재(320) 및 배출구(330)를 포함한다.
수조(310)는 밸브 구동수(W2)를 수용한다.
부력 부재(320)는 연동 밸브(200)의 조작 축(240)과 연결되어, 수조(310)에 수용되는 밸브 구동수(W2)의 수면 높이에 따라 연동 밸브(200)의 개폐를 수행한다.
배출구(330)는 호방 호스(H)가 인출됨에 따라 밸브 구동수(W2)를 배출시킨다. 밸브 구동수(W2)의 배출을 위해 배출구(330)는 수조(310)의 하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밸브 구동수(W2)는 부력 부재(320)에 부력을 인가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통의 물이면 충분하다. 밸브 구동수(W2)는 매인 밸브(100)와 분기되는 소방수 공급 라인으로부터 공급받을 수도 있으며, 상수도 라인으로부터 공급 받도록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밸브 구동수(W2)는 증발 등과 같은 이유로 손실될 수 있으므로, 연동 밸브 구동부(300)는 호방 호스(H)가 인출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 밸브 구동수(W)의 수위를 일정 높이로 유지하는 수면 높이 유지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밸브 구동수(W2)를 공급하는 별도의 물 공급라인이 있는 경우 수면 높이 유지 부재는 물 공급라인과 연동되는 뜨개 밸브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서, 제1 실시예에 의하면, 연동 밸브 구동부(300)는 물 버림 호스(350)를 더 포함한다.
물 버림 호스(350)는 한쪽 끝은 배출구(330)와 연결되고 다른 쪽 끝은 개방된 상태로 대기 상태에서의 밸브 구동수(W2)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도록 소방 호스(H)와 함께 접힘 상태로 소화전 함에 수납된다.
물 버림 호스(350)의 수납 위치가 밸브 구동수(W2)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므로, 대기 상태에서는 밸브 구동수(W2)가 배출되지 않는다.
밸브 구동수(W2)는 수조(310)에서 연동 밸브(200)의 조작 축(240)이 배치되는 높이에 대응되는 수면을 가지도록 구비된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 부재(320)는 부력에 의해 밸브 구동수(W2)의 수면에 맞는 높이를 가진다.
즉, 연동 밸브(200)는 밸브 구동수(W2)가 채워진 대기 상태에서 잠금 상태가 되도록 부력 부재(320)와 연결 배치되도록 한다.
제1 실시예에서, 연동 밸브(200)는 90도의 조작 각도를 가지는 볼 밸브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력 부재(320)는 연결 암(321)을 통해 연동 밸브(200)의 조작 축(240)과 연결되며, 밸브 구동수(W2)가 채워진 대기 상태에서는 부력에 의해 부력 부재(320)가 조작 축(240)을 잠금 상태로 유지한다.
한편, 도 4와 같이 사용자가 소방 호스(H)를 인출하면 물 버림 호스(350)의 개방된 끝이 배출구(330)보다 아래를 향하게 되므로, 물 버림 호스(350)를 통해 수조(310)에 수용된 밸브 구동수(W2)가 배출 된다.
밸브 구동수(W2) 배출에 따라 수위가 낮아지고, 부력 부재(320)가 하강하며, 따라서 연동 밸브(200)의 조작 축(240)이 90도 회전하여 연동 밸브(20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사용자는 소방 호스(H) 인출 전에 매인 밸브(100)를 먼저 개방한 상태이므로, 이와 같이 소방 호스(H)를 인출하여 화재 현장으로 끌고 가는 행위만으로 연동 밸브(200)의 개방이 이루어져 소방 호스(H)에 소방수(W1)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한 것으로서,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연동 밸브(200')는 T형 삼방 밸브로 실시된다.
구체적으로 연동 밸브(200')는 T형 삼방 밸브로서, 수조(310)의 하측에 배치된다.
이때, T형 삼방 밸브(200')의 제1 연결부(210')는 배출구(330)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소방 호스(H)의 인출시 밸브 구동수(W2)가 제1 연결부(210')를 통해 배출된다. 밸브 구동수(W2)의 배출 원리는 도 6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T형 삼방 밸브(200')의 제2 연결부(220')는 매인 밸브(100)와 연결된다.
연동 밸브(200')는 소방수(W1)의 공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매인 밸브(100)와 직렬로 연결되고 개방에 따라 호방 호스(H)에 소방수(W1)를 공급한다. 즉, 연동 밸브(200')는 매인 밸브(100)와 호방 호스(H) 사이에 배치되며, 상세하게는 제2 연결부(220')가 매인 밸브(100)와 연결된다.
T형 삼방 밸브(200')의 제3 연결부(230')는 소방 호스(H)와 연결된다.
부력 부재(310')는 대기 상태에서 T형 삼방 밸브(200')의 제1 연결부(210')가 제3 연결부(230')와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소방 호스(H)의 인출 상황에 따라 밸브 구동수(W2)가 제3 연결부(230')를 통해 방출되면, T형 삼방 밸브(200')의 제2 연결부(220')가 제3 연결부(230')와 연결되도록 T형 삼방 밸브(200')의 조작 축(240')을 구동하도록 연결 배치된다.
도 6은 T형 삼방 밸브 T형 삼방 밸브의 동작 상황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a)는 대기 상태에서 T형 삼방 밸브(200')의 제1 연결부(210')가 제3 연결부(230')와 연결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b)는 밸브 구동수(W2)가 배출되어 부력 부재(320')가 T형 삼방 밸브(200')를 개방하는 위치로 이동하여 제2 연결부(220')가 제3 연결부(230')와 연결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다.
한편, 도 7과 같이 사용자가 소방 호스(H)를 인출하면 수조(310)에 수용된 밸브 구동수(W2)는 접혀진 소방 호스(H)로 흘러들어간다. 대기 상태에서 소방 호스(H)는 접힘 상태로 구비되며, 사용자가 호방 호스(H)를 인출하면 접혀진 상태가 풀리면서 소방 호스(H)가 자체 무게에 의해 수조(310) 보다 낮3은 위치인 바닥으로 떨어지고, 밸브 구동수(W2)는 위치 에너지에 의해 접혀진 소방 호스(H)로 흘러들어간다.
밸브 구동수(W2) 배출에 따라 수위가 낮아지고, 부력 부재(320')가 하강하며, 따라서 연동 밸브(200')의 조작 축(240')이 90도 회전하여 연동 밸브(200')의 개방이 이루어진다.
이때, 연동 밸브 구동부(300)는 밸브 구동수(W2)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높이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부력 부재(320')를 대기 상태인 위치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력 부재(320')는 밸브 구동수(W2)의 배출에 따라 천천히 하강하게 되는데, 이렇게 되면 연동 밸브(200')인 T형 삼방 밸브(200')의 개방, 즉 제2 연결부(220')가 제3 연결부(230')와 연결되는 상태가 명확하지 않게 되므로, 밸브 구동수(W2)가 충분히 배출될 때 까지 부력 부재(320')의 하강을 억제하는 고정 부재가 필요하다.
즉, 제2 부력 부재의 수면이 정해진 수면 이하가 되었을 때 부력 부재(320')의 고정이 해지되도록 고정 부재를 구현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제2 부력 부재(미도시)와 연동되는 트리거 형태로 구현할 수도 있으며, 고정 부재는 실시자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해도 무방하다.
사용자는 소방 호스(H) 인출 전에 매인 밸브(100)를 먼저 개방한 상태이므로, 이와 같이 소방 호스(H)를 인출하여 화재 현장으로 끌고 가는 행위만으로 연동 밸브(200')의 개방이 이루어져 소방 호스(H)에 소방수(W1)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100 : 매인 밸브
200 : 연동 밸브
300 : 연동 밸브 구동부

Claims (7)

  1. 소화전함에 접힘 상태로 구비되는 소방 호스의 인출에 연동하여 소화전 밸브를 개방하는 장치로서,
    개방에 따라 소방수를 공급하는 매인 밸브;
    소방수의 공급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매인 밸브와 직렬로 연결되고 개방시 상기 소방 호스에 상기 소방수를 공급하는 연동 밸브; 및
    상기 소방 호스의 인출에 연동하여 상기 연동 밸브를 구동하는 연동 밸브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밸브 구동부는,
    밸브 구동수를 수용하는 수조;
    상기 연동 밸브의 조작 축과 연결되어, 상기 수조에 수용되는 상기 밸브 구동수의 수면 높이에 따라 상기 연동 밸브의 개폐를 수행하는 부력 부재; 및
    상기 소방 호스가 인출에 따라 상기 밸브 구동수를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 밸브 구동부는,
    상기 소방 호스가 인출되지 않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밸브 구동수의 수위를 일정 높이로 유지하는 수면 높이 유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 밸브 구동부는,
    한쪽 끝이 상기 배출구와 연결구와 연결되는 물 버림 호스를 더 구비하고,
    상기 물 버림 호스의 다른 쪽 끝은 개방된 상태로서, 상기 밸브 구동수의 수위보다 높은 위치를 가지도록 상기 소방 호스와 함께 접힘 상태로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대기 상태에서 상기 밸브 구동수는,
    상기 연동 밸브의 조작 축의 높이에 대응되는 수면을 가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연동 밸브는,
    90도의 조작 각도를 가지는 볼 밸브로서,
    대기 상태에서 잠금 상태가 되도록 상기 부력 부재와 연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동 밸브는,
    T형 삼방 밸브로서 상기 수조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T형 삼방 밸브의 제1 연결부는 상기 배출구의 역할을 수행하고,
    상기 T형 삼방 밸브의 제2 연결부는 상기 매인 밸브와 연결되고,
    상기 T형 삼방 밸브의 제3 연결부는 상기 소방 호스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부력 부재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T형 삼방 밸브의 상기 제1 연결부가 상기 제3 연결부와 연결되는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소방 호스의 인출 상황에 따라 상기 밸브 구동수가 상기 제1 연결부를 지나 상기 제3 연결부로 방출되면, 상기 T형 삼방 밸브의 상기 제2 연결부가 상기 제3 연결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T형 삼방 밸브의 조작 축을 구동하도록 연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연동 밸브 구동부는,
    상기 밸브 구동수의 수위가 미리 정해진 높이 이하로 내려갈 때까지 상기 부력 부재를 대기 상태인 위치로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KR1020170110479A 2017-08-30 2017-08-30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KR101799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479A KR101799245B1 (ko) 2017-08-30 2017-08-30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0479A KR101799245B1 (ko) 2017-08-30 2017-08-30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9245B1 true KR101799245B1 (ko) 2017-11-17

Family

ID=6080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479A KR101799245B1 (ko) 2017-08-30 2017-08-30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92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461A (ko) 2018-01-04 2019-07-12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KR102491815B1 (ko) * 2022-08-01 2023-01-27 박재현 내진 소화전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249Y1 (ko) 2004-12-14 2005-03-14 양희남 캐비넷형 소화기
KR200413487Y1 (ko) 2006-01-09 2006-04-07 임철호 지하수 열교환시스템의 누수측정장치
KR100898301B1 (ko) 2008-09-29 2009-05-18 조은경 3방향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249Y1 (ko) 2004-12-14 2005-03-14 양희남 캐비넷형 소화기
KR200413487Y1 (ko) 2006-01-09 2006-04-07 임철호 지하수 열교환시스템의 누수측정장치
KR100898301B1 (ko) 2008-09-29 2009-05-18 조은경 3방향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3461A (ko) 2018-01-04 2019-07-12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KR102491815B1 (ko) * 2022-08-01 2023-01-27 박재현 내진 소화전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228B1 (ko) 소화전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99245B1 (ko)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KR100995148B1 (ko) 셔틀탱커의 보우로딩시스템용 자동소화장치
KR101866462B1 (ko) 소방호스 릴 구조
KR101792767B1 (ko) 고층 건축물 화재 진압장치
CN206837269U (zh) 一种仓库内自动消防装置
KR101799246B1 (ko) 소화전 밸브 잠금 장치
JP2005334528A (ja) 消火栓装置
KR102236260B1 (ko) 패키지형 호스릴 스프링클러장치
JP5718110B2 (ja) パッケージ型消火装置
JP4668578B2 (ja) パッケージ型消火装置
KR20110092016A (ko) 소방펌프 에어제거장치
JP4601343B2 (ja) 消火装置
KR200421466Y1 (ko) 유조탱크의 소화용 소화 챔버 구조
KR20080097261A (ko) 소형 소방차
JP2003290383A (ja) パッケージ型自動消火設備
JP2003290378A (ja) 消火設備
JP4210864B2 (ja) パッケージ型自動消火設備
JPH10127812A (ja) 住宅用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CN220090331U (zh) 灭火装置及灭火系统
CN217311692U (zh) 一种船舶湿式消防系统
KR100443580B1 (ko) 스프링클러 헤드 비상장치
KR101729736B1 (ko) 해수를 이용한 선박의 진화장치
JP2782522B2 (ja)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KR200289004Y1 (ko)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