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9004Y1 -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9004Y1
KR200289004Y1 KR2020020016130U KR20020016130U KR200289004Y1 KR 200289004 Y1 KR200289004 Y1 KR 200289004Y1 KR 2020020016130 U KR2020020016130 U KR 2020020016130U KR 20020016130 U KR20020016130 U KR 20020016130U KR 200289004 Y1 KR200289004 Y1 KR 200289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hose
water spray
spray hose
high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1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범선
Original Assignee
(주)한서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서정공 filed Critical (주)한서정공
Priority to KR20200200161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90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9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9004Y1/ko

Links

Landscapes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의 잔류수 배출장치는 방화수 펌프와, 상기 방화수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원격지까지 압송하는 물분사호스를 갖는 산불진화 방제차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호스내의 잔류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물분사호스에 고압가스를 불어 넣어주는 고압가스 공급원을 포함하며, 상기 고압가스 공급원은 고압의 압축산소를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물분사호스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고압가스 저장용기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고압의 압축가스를 이용하여 물분사호스내의 잔류수를 완전히 빼줌으로써 동절기 물분사호스내에 차여있는 잔류수가 결빙되거나 또는 결빙된 잔류수에 의해 호스가 파열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DEVICE FOR DRAINING RESIDUAL WATER FROM WATER PIPE IN FOREST FIRE EXTINGUISHING VEHICLE}
본 고안은 산불진화 방제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분사호스로부터 잔류수를 완전히 배출시킴으로써 물분사호스내의 잔류수가 결빙되어 동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산불진화와 방제를 위한 산불진화 방제차들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산불진화 방제차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수 탱크(1)와, 방화수 탱크(1)의 물을 흡입·토출하는 방화수 펌프(3)와, 방화수 펌프(3)의 방화수를 제어하는 제어밸브(5)와, 제어밸브(5)로부터 토출되는 방화수를 원격지까지 압송하여 분사하는 물분사호스(7)와, 물분사호스(7)를 감는 릴조립체(8)와, 상기 방화수 펌프(3)와 릴조립체(8) 등을 제어하는 콘트롤러(9)를 갖추고 있으며, 화재발생지역 또는 방제지역까지 신속한 이동이 가능하여 신속한 산불진화 및 방제를 가능하게 한다.
한편, 이와 같은 산불진화 방제차는, 기온이 낮은 동절기에는 물분사호스(7)로부터 물을 배출시켜야 하는데, 물분사호스(7)로부터 물이 완전히 배출되지 않아 물분사호스(7)의 물(이하, "잔류수"라 칭함)이 그대로 결빙되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즉, 기온이 내려가는 동절기에는 물분사호스(7)에 남아있는 잔류수가 결빙되는 바, 결빙된 잔류수에 의해 물분사호스(7)가 막히고 심지어는 결빙된 잔류수에의해 물분사호스(7)가 파열되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에 따라 물분사호스(7)를 사용한 후, 반드시 물분사호스(7)에 차여있는 잔류수를 배출시켜주어야만 하였다. 그러나 릴조립체(8)에 감겨있는 물분사호스(7)로부터 잔류수를 배출시키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으며, 설사, 물분사호스(7)로부터 잔류수를 배출시키더라도 완전히 배출되지 않아 물분사호스(7)에 그대로 남아 결빙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물분사호스(7)에 남아있는 잔류수가 결빙되면,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에 물분사호스 (7)를 사용할 수 없는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물분사호스로부터 잔류수를 용이하게 배출시킬 수 있으면서 물분사호스로부터 잔류수를 완전히 배출시킬 수 있는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산불진화 방제차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가 설치된 산불진화 방제차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방화수 탱크 3: 방화수 펌프
5: 제어밸브 7: 물분사호스
7a: 연결구 8: 릴조립체
9: 콘트롤러 10: 고압가스 공급원
12: 고압가스 저장용기 14: 가스 분출구
16: 차단밸브 20: 원터치식 연결구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방화수 펌프와, 상기 방화수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원격지까지 압송하는 물분사호스를 갖는 산불진화 방제차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호스내의 잔류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물분사호스에 고압가스를 불어 넣어주는 고압가스 공급원을 포함하며, 상기 고압가스 공급원은 고압의 압축산소를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물분사호스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고압가스 저장용기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에 따른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2를 살펴보면, 본 고안의 잔류수 배출장치는 고압가스 공급원(10)을 갖는다. 고압가스 공급원(10)은 고압가스를 공급하는 것으로, 고압가스 저장용기(12)에 의해 구현된다. 고압가스 저장용기(12)는 내압용기로서, 두께가 두꺼운 강철의 원통체이며, 상부에는 가스 분출구 (14)가 형성되어 있다. 가스 분출구(14)에는 상기 가스 분출구(14)를 개폐하기 위한 차단밸브(16)가 설치되며, 이 차단밸브(16)는 물분사호스(7)와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물분사호스(7)와 연결된 차단밸브(16)는 저장용기(12)로부터 토출되는 고압의 압축가스를 상기 물분사호스(7)내로 불어넣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저장용기 (12)에 저장되는 고압가스는 압축산소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압축산소는 물분사호스(7)내로 유입되어 상기 물분사호스(7)내에 차여있는 잔류수를 밖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한다.
한편, 물분사호스(7)의 단부에는 차단밸브(16)의 토출구(16a)와 연결되는 연결구(7a)가 설치되는데, 이 연결구(7a)는 차단밸브(16)의 토출구(16a)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식 연결구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물분사호스(7)는 평소에는 방화수 펌프 (3)의 제어밸브(5)와 연결하여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에만, 즉 내부의 잔류수를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에만, 제어밸브(5)로부터 분리하여 저장용기(12)의 차단밸브(16)와 연결하여 사용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3에는 본 고안의 변형예가 도시되어 있다. 변형예의 본 고안은 원터치식 연결구(20)를 통하여 저장용기(12)와 물분사호스(7)를 신속하게 연결하고 신속하게 분리가능하게 한 구성을 갖는다. 즉, 원터치식 연결구(20)와 연결호스 (30)를 구비한 다음, 상기 원터치식 연결구(20)를 물분사호스(7)와 연결호스(30)의 단부에 각각 설치하고, 연결호스(30)의 타단을 저장용기(12)의 차단밸브(16)에 연결시킨 것이다. 이러한 변형예의 본 고안은 원터치식 연결구(20)를 이용하여 물분사호스(7)와 저장용기(12)를 신속하게 연결 및 분리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이 간편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원터치식 연결구(20)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것이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원터치식 연결구(20)를 사용하여 연결호스(30)와 물분사호스(7)를 연결하는 경우, 원터치식 연결구(20)가 설치된 물분사호스(7)와 방화수 펌프(3)의 제어밸브(5)가 서로 연결되지 않으므로, 상술한 연결호스(30)와 같은, 다른 연결호스(30)를 더 구비하여 물분사호스(7)와 제어밸브(5)를 연결해야 함은 물론이다.
한편, 도 4에는 본 고안의 잔류수 배출장치가 산불진화 방제차에 설치된 것을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잔류수 배출장치의 고압가스 저장용기(12)는 적재함의 펌프실(C)에 설치된다. 그리고 고압가스 저장용기(12)의 가스 분출구(14)에는 차단밸브(16)가 설치된다. 이렇게 설치된 고압가스 저장용기 (12)는 상부의 물분사호스(7)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방법 및 효과를 도 2와 도 3을 참고로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물분사호스(7)로부터 잔류수를 배출시키고자 할 경우, 방화수 펌프(3)의 제어밸브(5)로부터 물분사호스(7)를 분리한 다음, 분리된 물분사호스(7)를 저장용기(12)의 차단밸브(16)와 연결한다. 이때, 연결호스(30)를 이용할 경우에는, 상기 물분사호스(7)를 연결호스(30)와 연결하면 될 것이다.
그리고 물분사호스(7)와 저장용기(12)의 연결이 완료되면, 이어서 고압가스 저장용기(12)의 차단밸브(16)를 열어 개방한다. 그러면, 고압가스 저장용기(12)의 가스 배출구(14)로부터 고압의 압축산소가 토출되기 시작하며, 이렇게 토출된 고압의 압축산소는 연결호스(30)를 통하여 물분사호스(7)로 도입된다.
한편, 물분사호스(7)로 도입된 고압의 압축산소는 물분사호스(7)내에 차여있는 잔류수를 밀어내기 시작하는데, 이에 따라 물분사호스(7)내에 차여있는 잔류수는 단부로부터 배출되기 시작한다. 그리고 저장용기(12)로부터 고압의 압축산소가 계속적으로 토출됨으로써 물분사호스(7)내의 잔류수는 배출되게 된다. 한편, 물분사호스(7)내의 잔류수가 어느 정도 배출되면, 저장용기(12)의 차단밸브(16)를 더 열어 산소의 토출압력을 더 높여 준다. 그러면, 물분사호스(7)내의 잔류수는 완전히 배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잔류수 배출장치는 고압의 압축가스를 물분사호스(7)로 불어넣어 물분사호스(7)내의 잔류수를 완전히 빼줌으로써 동절기 물분사호스(7)내에 차여있는 잔류수가 결빙되거나 또는 결빙된 잔류수에 의해 호스가 파열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는, 고압의 압축가스를 이용하여 물분사호스내의 잔류수를 완전히 빼줌으로써 동절기 물분사호스내에 차여있는 잔류수가 결빙되거나 또는 결빙된 잔류수에 의해 호스가 파열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2)

  1. 방화수 펌프와, 상기 방화수 펌프로부터 토출되는 물을 원격지까지 압송하는 물분사호스를 갖는 산불진화 방제차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호스내의 잔류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물분사호스에 고압가스를 불어 넣어주는 고압가스 공급원을 포함하며, 상기 고압가스 공급원은 고압의 압축산소를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물분사호스와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고압가스 저장용기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분사호스와 상기 고압가스 저장용기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호스를 더 구비하며, 상기 연결호스와 상기 물분사호스는 원터치식 연결구에 의해 연결 및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
KR2020020016130U 2002-05-27 2002-05-27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 KR200289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30U KR200289004Y1 (ko) 2002-05-27 2002-05-27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6130U KR200289004Y1 (ko) 2002-05-27 2002-05-27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9004Y1 true KR200289004Y1 (ko) 2002-09-11

Family

ID=73123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130U KR200289004Y1 (ko) 2002-05-27 2002-05-27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9004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91101C1 (ru) Способ пожаротуш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JP4109549B2 (ja) 消防設備及び消防設備の駆動源
KR101690936B1 (ko) 선박용 소화시스템
KR101034175B1 (ko) 고압가스를 이용한 소화전
KR200289004Y1 (ko) 산불진화 방제차용 물분사호스의 잔류수 배출장치
KR200344303Y1 (ko) 소화기용 분사노즐
JP4768856B2 (ja) 消火液用の耐寒容器
KR102236260B1 (ko) 패키지형 호스릴 스프링클러장치
KR20110011731A (ko) 압축공기의 지속적 분사에 의한 셀프세차시설의 동파방지장치
KR101799245B1 (ko)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KR20130031503A (ko) 액화가스 이송시스템의 비상시 압력 제어장치
KR20230001501U (ko) 멀티 스테이지 에너지 스토리지 소방 시스템
JP2011087621A (ja) 消防用ポンプの接続方法
US20150321035A1 (en) Preaction sprinkler system operation booster
US20210260419A1 (en) Dry drop for a fire extinction vacuum network
CN111744129A (zh) 一种可自动修复的危险品化学仓库
KR200226884Y1 (ko) 소방차용 분말 소화장치
KR20080097261A (ko) 소형 소방차
KR200289003Y1 (ko) 산불진화 방제차의 급수관 동파 방지장치
KR102648656B1 (ko) 두 가지 이상의 소화약제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 있는 분사장치
KR101103262B1 (ko) 고압액상화물 비상방출 시스템
KR101729736B1 (ko) 해수를 이용한 선박의 진화장치
KR20180028006A (ko) 소방용 준비 작동식 밸브
KR200346398Y1 (ko) 소방펌프 배관의 잔여 수압 자동 유입 시스템
RU2411973C1 (ru) Морозостойкий контейнер для огнетушащей текучей сред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