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1815B1 - 내진 소화전함 - Google Patents

내진 소화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1815B1
KR102491815B1 KR1020220095256A KR20220095256A KR102491815B1 KR 102491815 B1 KR102491815 B1 KR 102491815B1 KR 1020220095256 A KR1020220095256 A KR 1020220095256A KR 20220095256 A KR20220095256 A KR 20220095256A KR 102491815 B1 KR102491815 B1 KR 102491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oor
valve
unit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5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현
Original Assignee
박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현 filed Critical 박재현
Priority to KR1020220095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18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1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1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20Hydrants, e.g. wall-hoses, wall units, plug-in cabi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5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 E05F15/5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fluid-pressure actuators for swinging w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1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 F16K31/18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actuated by fluid actuated by a flo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3Motors
    • E05Y2201/448Fluid motors; Details thereof
    • E05Y2201/458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96Screw mechanisms
    • E05Y2201/704Worm wheel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1Toothed gearing
    • E05Y2201/722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800/00Details, accessories and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5Y2800/25Emergency conditions
    • E05Y2800/252Emergency conditions the elements functioning only in case of emerg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진 소화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발신기, 표시램프, 기동램프, 경종, 방수 배관, 방수 밸브, 소방호스 및 관창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납되는 함체부;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 함체부를 이루는 여러 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면을 지지하는 함체 지지부; 및 상기 함체 지지부 및 상기 함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면 사이에 배치되어 지진 발생에 따른 상기 벽체의 흔들림이 상기 함체부로 전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는 내진 소화전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진 소화전함{EARTQUAK-PROOF HYDRANT BOX}
본 발명은 내진 소화전함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지진 발생시 지진파에 의한 건물의 진동이 소화전함에 전가되어 건물 벽체로부터 소화전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소화전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전함은 일정규모 이상의 건축물의 내부 및/또는 외부에 설치되는 법정 설치물로서, 소화전함에 구비된 발신기를 통해 건축물에 발생한 화재사실을 해당 건축물에 있는 사람들에게 알리는 기능과 함께, 소화용 호스 등의 소화용 기구가 내부에 설치되어 신속한 응급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소화전함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어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 1의 소화전함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통상적인 소화전함(1)은 내부공간(40a,40b)이 형성되는 함체(11)와, 함체(11)의 내부공간(40a,40b)을 상부공간(40b)과 하부공간(40a)으로 구획하는 격판(13)과, 함체(11)의 상부공간(40b)을 개폐하기 위한 상부도어(30)와, 함체(11)의 하부공간(40a)을 개폐하기 위한 하부도어(20)를 포함한다. 이때, 함체(11)의 상부공간(40b)에는 발신기(미도시), 표시램프(미도시), 기동램프(미도시), 경종(미도시) 등이 설치되고, 함체(11)의 하부공간(40a)에는 소화용 호스 등의 소화용 기구가 설치된다. 상부도어(30)에는 함체(11) 내부에서 설치되는 발신기, 표시램프 및 기동램프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발신구(33), 표시램프구(35) 및 기동램프구(37)가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부도어(30)에는 함체(11) 내부에 설치된 경종에 의해 발생하는 음향을 외부로 전달하도록 하는 다수의 음향구(39)가 관통 형성된다. 경종은 함체(11) 내부에서 경종걸이(53)에 결합된다. 도면부호 31및 21은 각각 상부도어(30) 및 하부도어(20)의 손잡이를 나타낸다.
통상적으로 소화전함(1)은 강판을 절곡하고 용접하여 형성되어 자체 중량도 상당한 편이며, 또한 내부에 소방호스와 같은 소방 설비들이 더 구비되므로 단순히 건물 벽체에 앙카로만 고정할 경우 지진 발생시 지진파 진동에 따라 소화전함(1)의 질량에 의해 발생되는 힘(관성)이 앙카의 고정력 보다 큰 경우, 건물 벽체로부터 소화전함(1)이 이탈되어 소화전함(1)의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특허문헌 1 : '소화전함'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105191호 공고일자 2012년01월13일 특허문헌 2 : '내진용 스프링 앙카볼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138143호 공개일자 2015년12월09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진 발생시 지진파에 의한 건물의 진동이 소화전함에 전가되어 건물 벽체로부터 소화전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지는 내진 소화전함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내진 소화전함은, 발신기, 표시램프, 기동램프, 경종, 방수 배관, 방수 밸브, 관창이 및 소방호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납되는 함체부; 및 바닥면에 고정되며, 상기 함체부를 이루는 바닥 면을 지지하는 함체 받침부를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다른 특징에 따른 내진 소화전함은, 발신기, 표시램프, 기동램프, 경종, 방수 배관, 방수 밸브, 관창이 및 소방호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납되는 함체부;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 함체부를 이루는 여러 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면을 지지하는 함체 지지부; 및 상기 함체 지지부 및 상기 함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면 사이에 배치되어 지진 발생에 따른 상기 벽체의 흔들림이 상기 함체부로 전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함체부는, 상기 발신기, 상기 표시램프, 상기 기동램프 및 상기 경종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납되는 제1 함체; 및 상기 제1 함체의 하측에 배치되며, 상기 방수 배관, 상기 방수 밸브, 상기 소방호스 및 상기 관창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납되는 제2 함체를 포함하고, 상기 함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면은 상기 제1 함체와 상기 제2 함체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함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면은, 상기 함체 지지부에 얹힘 지지되고, 상기 함체 지지부 및 상기 함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면은 각각 제1 수용홈 및 제2 수용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용홈 및 상기 제2 수용홈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결합하여, 상기 완충부를 수용하고, 상기 완충부는 원형 구체(球體)로서, 상기 제1 수용홈의 깊이 또는 상기 제2 수용홈의 깊이는 상기 원형 구체의 반지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진 발생시 상기 함체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강제 개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 강제 개방부는, 수압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도어를 내부에서 외측으로 밀어 개방시키는 개방 모듈; 진동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방수 배관으로부터 상기 개방 모듈에 수압을 인가하는 연동 밸브; 및 상기 연동 밸브를 닫힘 위치로 원복 시키는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밸브는, 삼방 밸브 형태의 것으로서, 벨브의 조작 축에 연결되어 벨브를 열림 / 닫힘 구동하는 부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 부재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삼방 밸브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중력에 의해 낙하할 경우 90°회전하여 상기 연동 밸브를 열림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부력 부재는, 상기 수조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개방 모듈을 통해 유출된 물에 의해 수위가 높아질 경우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연동 밸브를 닫힘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개방 모듈은, 상기 수압에 의해 회전하는 수차; 상기 수차에 회전축에서 연동하는 웜 기어; 및 상기 웜 기어에 의해 전진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톱니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진 소화전함에 의하면,
첫째, 지진 발생시 지진파에 의한 건물의 진동이 소화전함에 전가되어 건물 벽체로부터 소화전함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상기 함체 지지부 또는 상기 함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면 가운데 어느 하나에는 자성체가 구비되어, 상기 함체 지지부와 상기 함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면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되므로 생활 진동에 따른 소화전함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함체부를 상기 벽체에 밀착시키는 밀착부를 더 포함하므로, 소화전함을 잡아 당겨 발생할 수 있는 소화전 함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지진 발생시 상기 함체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강제 개방부를 포함하므로, 지진에 의해 소화전함이 변형되어 도어가 개방되지 않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도어 강제 개방부는 수압에 의해 기계적으로 구동되므로 지진에 의해 정전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 진다.
도 1은 종래의 소화전함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어를 제거한 상태에서 도 1의 소화전함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소화전함의 실물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따른 내진 소화함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화함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지진에 의해 벽체가 움직일 때 진동이 본발명에 따른 소화전함에 전가되지 않는 것을 설명한다.
도 7은 도어 강제 개방부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어 강제 개방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한다.
도 9는 개방 모듈을 설명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소화전함의 실물 사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진 소화전함(1000')은 함체부(100), 함체 받침부(500) 및 도어 강제 개방부(800)를 포함한다.
함체부(100)는 발신기, 표시램프, 기동램프, 경종, 방수 배관, 방수 밸브, 소방호스 및 관창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납한다. 도 1은 소화전함을 설치하는 과정중의 것으로서, 내부에 수납되는 소방기구인 발신기, 표시램프, 기동램프, 경종, 방수 배관, 방수 밸브, 소방호스 및 관창 등은 설치가 완료된 후 구비된다.
함체부(100)는 제1 함체(110) 및 제2 함체(120)를 포함한다.
제1 함체(110)에는 발신기, 표시램프, 기동램프 및 경종과 같은 화재경보를 수행하는 전기 부품들이 수납된다.
제2 함체(120)는 제1 함체(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방수 배관, 방수 밸브, 소방호스 및 관창과 같은 실제 화재 진압에 필요한 도구들을 수납한다.
제1 함체(110)와 제2 함체(120)는 각각 제작된 함체를 상하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함체부를 제작하고 공간을 분할하는 판재를 통해 제1 함체(110)와 제2 함체(120)를 구분할 수 있다.
제1 함체(110) 및 제2 함체(120)는 각각 전면에 도어(미도시)를 구비한다.
함체 받침부(500)는 건축물의 바닥면에 고정되며, 함체부(100)를 이루는 하측면을 지지한다. 함체 받침부(500)는 함체부(100)를 설치하고자 하는 높에에 맞추는 일종의 고정 다리 역할을 한다. 함체 받침부(500)는 건축물의 바닥면에 스프링 앙카 볼트 방식으로 고정되어, 지진 발생시 진동이 함체부(100)에 인가되는 것을 완충할 수 있다.
도어 강제 개방부(800)는 지진 발생시 함체부(100)의 전면에 배치되는 도어를 개방한다. 지진 발생시 진동 및 충격에 의해 건축물 또는 함체부(100)가 변형될 수도 있다. 특히 제2 함체(120)가 변형될 경우 도어를 개방하지 못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도어 강제 개방부(800)는 수압에 의해 구동되는 것으로서 진동 감지에 의해 동작하여 도어(특히 제2 함체(120)의 도어)를 개방시킨다. 도어 강제 개방부(800)는 도 3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도 7 내지 도 9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내진 소화함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화함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지진에 의해 벽체가 움직일 때 진동이 본발명에 따른 소화전함에 전가되지 않는 것을 설명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내진 소화전함(1000)은 함체부(100), 함체 지지부(200), 완충부(300), 밀착부(400) 및 도어 강제 개방부(800)를 포함한다.
함체부(100)는 발신기, 표시램프, 기동램프, 경종, 방수 배관, 방수 밸브, 소방호스 및 관창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납한다. 간결한 도시를 위해 내부에 수납되는 소방기구인 발신기, 표시램프, 기동램프, 경종, 방수 배관, 방수 밸브, 소방호스 및 관창과, 함체부(100)에 구비되는 도어는 도시 생략하였다.
함체 지지부(200)는 벽체(W)에 고정되며, 함체부(100)를 이루는 여러 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면을 지지한다.
완충부(300)는 함체 지지부(200) 및 함체 지지부(200)에 의해 지지되는 면 사이에 배치되어 지진 발생에 따른 벽체(W)의 흔들림이 함체부(100)로 전가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르면, 함체부(100)는, 제1 함체(110) 및 제2 함체(120)를 포함한다.
제1 함체(110)에는 발신기, 표시램프, 기동램프 및 경종과 같은 화재경보를 수행하는 전기 부품들이 수납된다.
제2 함체(120)는 제1 함체(110)의 하측에 배치되며, 방수 배관, 방수 밸브, 소방호스 및 관창과 같은 실제 화재 진압에 필요한 도구들을 수납한다.
제1 함체(110)와 제2 함체(120)는 각각 제작된 함체를 상하 결합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하나의 함체부를 제작하고 공간을 분할하는 판재를 통해 제1 함체(110)와 제2 함체(120)를 구분할 수 있다.
함체 지지부(200)에 의해 지지되는 면은 제1 함체(110)와 제2 함체(120) 사이에 구비된다.
즉, 제2 함체(120)의 상측면 또는 제1 함체(110)와 제2 함체(120)의 공간을 분할하는 판재가 함체 지지부(200)에 의해 지지되는 면(121)이 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함체 지지부(200)에 의해 지지되는 면(121)은 함체 지지부(200)에 얹힘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함체 지지부(200)는 ㄱ자 브라켓으로 실시될 수 있다. 함체 지지부(200)는 벽체(W)에 고정되는 벽체 고정면(220)과 함체부(100)의 면(121)을 얹힘 지지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면(210)을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받침면(210)에 면(121)이 얹히는 형태로 함체부(100)가 함체 지지부(200)에 지지된다.
이때, 함체 지지부(200) 및 함체 지지부(200)에 의해 지지되는 면(121)은 각각 제1 수용홈(210v) 및 제2 수용홈(121v)을 구비하고, 제1 수용홈(210v) 및 제2 수용홈(121v)은 서로 대칭되는 형태로 결합하여, 완충부(300)를 수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받침면(210)에 제1 수용홈(210v)이 구비되고, 면(121)에 제2 수용홈(121v)이 구비된다. 제1 수용홈(210v)은 완충부(300)가 수용되도록 하측으로 움푹한 형태이고, 제1 수용홈(210v)은 완충부(300)를 덮도록 위로 볼록한 형태를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제1 수용홈(210v) 및 제2 수용홈(121v)은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지는 것이 좋다.
완충부(300)는 원형 구체(球體)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수용홈(120v)의 깊이 및 상기 제2 수용홈(121v)의 깊이는 원형 구체인 완충부(300)의 반지름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받침면(210)이 면(121)을 얹힘 지지할 때 두 면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도록 완충부(300)가 제1 수용홈(210v) 및 제2 수용홈(121v) 사이에 완전히 수용되도록 각 수용홈의 깊이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는 지진에 의해 벽체가 움직일 때 진동이 본 발명에 따른 소화전함에 전가되지 않는 것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도 6의 (a)는 완충부(300)가 제1 수용홈(210v) 및 제2 수용홈(121v) 사이에 완전히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며, 도 6의 (b)는 지진 발생에 따라 벽체(W)의 순간적인 이동이 발생할 때 함체부(100)는 관성에 의해 자기 자리를 유지하려 하는 상황을 설명한다.
완충부(300)가 제1 수용홈(210v) 및 제2 수용홈(121v)의 경사면을 따라 일부 이동하여 벽체(W)의 순간적인 이동이 함체부(100)로 전가되는 것을 완충하는 것을 알수 있다.
한편, 함체 지지부(200) 또는 함체 지지부(200)에 의해 지지되는 면(121) 가운데 어느 하나에는 자성체(M)가 구비되어, 함체 지지부(200)와 함체 지지부(200)에 의해 지지되는 면(121)은 자기력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도 4에 의하면, 받침면(210)의 일부에 자성체(M)가 구비되어 있다. 함체(100)는 강판으로 형성되므로 자기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면(210)에 구비된 자성체(M)가 면(121)을 고정하므로, 생활 진동과 같은 경미한 진동에 의해 함체부(10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어를 열고 닫을 때 함체부(100)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밀착부(400)는 함체부(100)를 벽체(W)에 밀착시킨다. 이를 위해 밀착부(400)는 앙카(410) 및 용수철(420)을 포함한다.
앙카(410)는 벽체(W)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으로 연결된 용수철(420)을 지지한다. 앙카(410)는 통상적인 앙카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특허문헌 2 ('내진용 스프링 앙카볼트'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5-0138143호 공개일자 2015년12월09일)에 개시된 앙카를 사용할 수도 있다.
용수철(420)은 일 단은 앙카(410)에 결합하고 타 단은 함체부(100)의 모서리 가운데 어느 한 모서리의 내측에 결합하여, 용수철의 탄성으로 함체부(100)가 벽체(W)에 밀착되게 한다. 실시 형태에 따라 밀착부(400)는 함체부(100)의 상측면 모서리 및 하측면 모서리에 구비될 수 있다.
도 7은 도어 강제 개방부를 모식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도어 강제 개방부의 동작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9는 개방 모듈을 설명하는 모식적인 사시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도어 강제 개방부(800)는 개방 모듈(810), 연동 밸브(820) 및 수조(830)를 포함한다.
개방 모듈(810)은 수압에 의해 구동되어 도어를 내부에서 외측으로 밀어 개방시킨다.
연동 밸브(820)는 방수 배관(FF)으로부터 개방 모듈(810)에 수압을 인가하는 밸브이다. 연동 밸브(820)는 물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방수 밸브(600)가 위치한 지점보다 상류지점에 배치된다. 필요에 따라 연동 밸브(820)는 방수 배관(FF)으로부터 분기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연동 밸브(820)는 진동(즉, 지진)에 의해 개방되는 것으로서 개방 모듈(810)에 수압을 인가한다. 즉, 개방되어 물을 공급한다. 연동 밸브(820)와 개방 모듈(810)은 연결관(821)으로 연결된다.
연동 밸브(820)는 일 실시 형태에 의하면, 삼방 밸브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소화전용 방수 배관(FF)에 인가되는 수압이 고압인 관계로 기밀성, 신뢰성 및 내구성 측면에서 삼방 밸브 형태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뜨개 밸브 형태의 것도 연동 밸브(820)로 사용될 수 있다.
수조(830)은 연동 밸브(820)를 닫힘 위치로 원복시킨다. 개방 모듈(810)에 공급되는 물은 수조(830)로 회수되어 연동 밸브(820)를 닫힘 위치로 돌려놓는다.
연동 밸브(820)는 밸브의 조작 축에 연결되어 밸브를 열림 / 닫힘 구동하는 부력 부재(822)를 포함한다.
부력 부재(822)는 대기 상태에서는 삼방 밸브(즉, 연동 밸브(820)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중력에 의해 낙하할 경우 90°회전하여 상기 연동 밸브를 열림 상태로 전환한다.
수조(830)에는 부력 부재(822)를 닫힘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걸림부재(831)가 구비된다. 걸림부재(831)는 일정 크기 이상의 진동이 인가되면 걸림이 해지되는 것이다. 지진 발생시 걸림부재(831)에 의한 고정이 해지되면, 중력에 의해 부력 부재(822)가 낙하되므로 개방 모듈(810)에 수압이 인가되게 된다. 즉 물이 공급되어 개방 모듈(810)이 구동된다.
부력 부재(822)는 수조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므로, 개방 모듈(810)에서 유출된 물에 의해 수조의 수위가 높아지면 부력 부재(822)가 상승하여 연동 밸브(820)가 닫힘 상태로 전환된다. 따라서, 물이 계속 유출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에 따르면 개방 모듈(810)은 연동 밸브(820)에 인접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 뿐으로서, 개방 모듈(810)은 함체부(100)에서 도어가 닫히는 부분 내측에 배치된다. 도어는 여닫이 방식의 것이며, 개방 모듈(810)은 경첩 부분이 아닌 반대쪽의 손잡이 부분의 내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방 모듈(810)은 수차(811), 웜 기어(812) 및 톱니 레일(813)을 포함한다. 연결관(821)을 통해 공급된 물은 수차(811)를 회전시키고, 수차(81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연동하는 웜 기어(812)는 톱니 레일(813)을 전진 시킨다. 톱니 레일(813)의 도어의 내측을 밀어 도어를 개방시킨다.
도 9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모식적인 형태로서, 수차(811), 웜 기어(812) 및 톱니 레일(813)의 연결 관계는 실시자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톱니 레일(813)에 걸리는 힘을 높이기 위해 웜 기어(812)를 다단 기어 방식으로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0, 1000' : 내진 소화전함
100 : 함체부
200 : 함체 지지부
300 : 완충부
400 : 밀착부
500 : 함체 받침부
600 : 방수 밸브
800 : 도어 강제 개방부

Claims (7)

  1. 삭제
  2. 발신기, 표시램프, 기동램프, 경종, 방수 배관, 방수 밸브, 관창이 및 소방호스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납되는 함체부;
    벽체에 고정되며, 상기 함체부를 이루는 여러 면 가운데 적어도 하나의 면을 지지하는 함체 지지부; 및
    상기 함체 지지부 및 상기 함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면 사이에 배치되어 지진 발생에 따른 상기 벽체의 흔들림이 상기 함체부로 전가되는 것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포함하고,
    지진 발생시 상기 함체부의 전면에 배치되는 도어를 개방하는 도어 강제 개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도어 강제 개방부는,
    수압에 의해 구동되어 상기 도어를 내부에서 외측으로 밀어 개방시키는 개방 모듈;
    진동에 의해 개방되어, 상기 방수 배관으로부터 상기 개방 모듈에 수압을 인가하는 연동 밸브; 및
    상기 연동 밸브를 닫힘 위치로 원복 시키는 수조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 밸브는,
    삼방 밸브 형태의 것으로서, 벨브의 조작 축에 연결되어 밸브를 열림 / 닫힘 구동하는 부력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부력 부재는,
    대기 상태에서 상기 삼방 밸브가 닫힘 상태를 유지하고,
    중력에 의해 낙하할 경우 90°회전하여 상기 연동 밸브를 열림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부력 부재는,
    상기 수조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개방 모듈을 통해 유출된 물에 의해 수위가 높아질 경우 부력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연동 밸브를 닫힘 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개방 모듈은,
    상기 수압에 의해 회전하는 수차;
    상기 수차에 회전축에서 연동하는 웜 기어; 및
    상기 웜 기어에 의해 전진하여 상기 도어를 개방시키는 톱니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 소화전함.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20095256A 2022-08-01 2022-08-01 내진 소화전함 KR1024918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256A KR102491815B1 (ko) 2022-08-01 2022-08-01 내진 소화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5256A KR102491815B1 (ko) 2022-08-01 2022-08-01 내진 소화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1815B1 true KR102491815B1 (ko) 2023-01-27

Family

ID=8510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5256A KR102491815B1 (ko) 2022-08-01 2022-08-01 내진 소화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181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191B1 (ko) 2009-11-27 2012-01-13 주식회사 헤드 소화전함
KR20130046330A (ko) * 2011-10-27 2013-05-07 (주) 케어스워터 산불 진화 장치
KR20150138143A (ko) 2015-11-20 2015-12-09 김대식 내진용 스프링 앙카볼트
KR101799245B1 (ko) * 2017-08-30 2017-11-17 박창작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KR101812133B1 (ko) * 2017-09-20 2017-12-26 류진환 주소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이용한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114587B1 (ko) * 2019-08-09 2020-05-22 이철진 내진 소화전함
KR20210127576A (ko) * 2020-04-14 2021-10-22 배근우 스마트 소화방재장치
KR102383709B1 (ko) * 2021-08-18 2022-04-08 (주)코넥 지진재해에 대응 가능한 안전 도어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191B1 (ko) 2009-11-27 2012-01-13 주식회사 헤드 소화전함
KR20130046330A (ko) * 2011-10-27 2013-05-07 (주) 케어스워터 산불 진화 장치
KR20150138143A (ko) 2015-11-20 2015-12-09 김대식 내진용 스프링 앙카볼트
KR101799245B1 (ko) * 2017-08-30 2017-11-17 박창작 소화전 밸브 개방 장치
KR101812133B1 (ko) * 2017-09-20 2017-12-26 류진환 주소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이용한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2114587B1 (ko) * 2019-08-09 2020-05-22 이철진 내진 소화전함
KR20210127576A (ko) * 2020-04-14 2021-10-22 배근우 스마트 소화방재장치
KR102383709B1 (ko) * 2021-08-18 2022-04-08 (주)코넥 지진재해에 대응 가능한 안전 도어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06372B2 (ja) 消火設備用流水検知装置
KR102491815B1 (ko) 내진 소화전함
US9539453B2 (en) Cartridge monitoring system
US9162096B2 (en)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apable of discharging fire-extinguishing agent to fire site
KR102114587B1 (ko) 내진 소화전함
JP5937289B2 (ja) 室内設備の冠水を防止する防火扉
KR102130928B1 (ko) 상부 가구장용 자동잠금장치
KR102316190B1 (ko) 이상감지기능을 구비한 지중배전라인 지지장치
KR101945323B1 (ko) 옥내 소화전함용 내진 지지체
JP6063848B2 (ja) 機器の水没防止構造
JP5718110B2 (ja) パッケージ型消火装置
JP2006271696A (ja) 消火栓装置
JP5951020B2 (ja) 機器の水没防止構造
JP5522869B1 (ja) 空調ダクトの止水ダンパ
JP2020066930A (ja) 水害時の壁状体の開放機構
TWI813811B (zh) 水流偵測裝置
CN220714636U (zh) 灭火器箱
TWI813812B (zh) 水流偵測裝置
KR102391488B1 (ko) 전기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안전 관리시스템
JP5519831B1 (ja) 止水装置を備えた空調ダクト
CN219228009U (zh) 用于穿戴式设备的壳体及穿戴式设备
JP3139295U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JP7013268B2 (ja) 止水板
JP6699224B2 (ja) 収納構造
JP2020074833A (ja) 消火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