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299A -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 Google Patents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4299A
KR20210154299A KR1020200070946A KR20200070946A KR20210154299A KR 20210154299 A KR20210154299 A KR 20210154299A KR 1020200070946 A KR1020200070946 A KR 1020200070946A KR 20200070946 A KR20200070946 A KR 20200070946A KR 20210154299 A KR20210154299 A KR 20210154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arding
safety
rescued
fire
mov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9044B1 (ko
Inventor
이준호
박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우에스엠씨
Priority to KR1020200070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9044B1/ko
Publication of KR20210154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2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escue cages, bags, or the like
    • A62B1/04Single parts, e.g. fasten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구조자의 구조를 위해 마련된 작업대에 탑승하여 화재현장으로 진입하는 구조요원 및 구조되는 피구조자의 신체적 안녕을 유지함과 동시에 가열된 건축물 외벽에 신속 접근을 가능케 하고, 인명구조 전반에 걸쳐 피구조자의 정신적 안정을 제고하면서 효과적인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사용상 취급이 용이한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서, 구조요원과 피구조자의 탑승공간이 마련되어 피구조자의 구조를 가능케 하고, 화재현장으로 접근시 화재현장의 고열이 해당 탑승공간에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여 구조요원과 피구조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탑승대(100); 탑승대(100)에 연결되어 화재현장과 탑승대의 위치 차이를 보상하고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는 이동경로와 피구조자의 피난 이동경로를 설정하면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는 이동판(200); 탑승대(100)에 연결되어 이동판(200)의 측방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2개 1조로 이동판 양측에 밀착 끼움 결합되고,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거나 피구조자의 이동시 신체균형 유지를 위한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고정안전대(300);로 구성하여 신속한 인명구조와 구조요원 및 피구조자의 정신적·신체적 안정감을 확보하는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Workbench of a life-saving work vehicle}
본 발명은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현장으로 진입하는 구조요원 및 피구조자의 신체적 안녕을 유지할 뿐 아니라 건축물 외벽 등의 화재현장으로 신속 정확하게 접근 유도하며, 나아가 인명구조 전반에 걸쳐 피구조자의 정신적 안정을 제고하면서 효과적인 이동경로 제공에 기여하는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고층건물은 가연성 내장재 등이 다량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커 연소 확대의 속도가 빠르다. 또한, 외부 및 지상으로의 피난을 위한 한정된 피난로와 동선에 의해 화재현장의 피구조자가 화재장소로부터 대피하기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다. 한편, 화재시 통상적으로 지상으로 대피할 수 없는 상태라면 상층으로 올라가 구조를 기다리는 것이 권장된다.
소방당국은 위와 같이 미처 지상으로 피난하지 못한 피구조자의 인명구조를 위해 화재진압차량 외에도 인명구조용 사다리 작업차량을 운용하고 있다. 해당 작업차량은 인용구조용 탑승 케이지를 포함한다. 허나, 케이지에 탑승한 구조요원이 열기 및 유독가스로 인해 화재현장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없어 인명구조에 효과적이지 못하였고, 케이지 탑승을 위해 제공되는 이동발판 등이 소형이거나 경량화되어 있으므로 피구조자가 안전상 위험을 느껴 케이지 탑승 자체를 두려워하여 구조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사방이 개방된 상태로 외곽 프레임 및 외곽 프레임을 지지하는 프레임만 존재하는 케이지는 피구조자가 케이지 탑승 후에도 구조되었다는 안도감을 느끼지 못하여 구조요원이 피구조자를 안정시키는데 남은 기력을 다하므로 구조요원의 신체적, 정신적 피로가 가중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933376호에는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의 기술사상이 개시되어 있다. 해당 기술사상은 인명구조용 절첩식 사다리에 탑승함을 설치함과 동시에 붐대의 선단에 구조용 버켓을 설치하고 버켓과 활송장치를 연결함으로써 피구조자의 구조이후 신속하게 지상으로 이송하는 것에 장점이 있으나, 탑승함 자체의 견고함 및 이동경로의 제공이 미흡하여 종래의 문제점을 모두 개선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 제10-1933376호
본 발명은 위의 제반 문제점을 보다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피구조자의 구조를 위해 마련된 작업대에 탑승하여 화재현장으로 진입하는 구조요원 및 구조되는 피구조자의 신체적 안녕을 유지함과 동시에 가열된 건축물 외벽에 신속 접근을 가능케 하고, 인명구조 전반에 걸쳐 피구조자의 정신적 안정을 제고하면서 효과적인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사용상 취급이 용이한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위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구조요원과 피구조자의 탑승공간이 마련되어 피구조자의 구조를 가능케 하고, 화재현장으로 접근시 화재현장의 고열이 해당 탑승공간에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여 구조요원과 피구조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탑승대(100); 탑승대(100)에 연결되어 화재현장과 탑승대의 위치 차이를 보상하고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는 이동경로와 피구조자의 피난 이동경로를 설정하면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는 이동판(200); 탑승대(100)에 연결되어 이동판(200)의 측방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2개 1조로 이동판 양측에 밀착 끼움 결합되고,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거나 피구조자의 이동시 신체균형 유지를 위한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고정안전대(300);로 구성하여 신속한 인명구조와 구조요원 및 피구조자의 정신적·신체적 안정감을 확보한다.
상기 탑승대(100)는 구조요원과 피구조자의 수용구역이면서 행동반경을 설정하고 설립 가능하도록 평판으로 구성되는 지지판(110); 지지판(110)의 외곽에 구성되어 구조요원 및 피구조자의 추락을 방지하면서 출입 영역을 설정하고, 이동판(200)의 위치를 구속하기 위해 2개 1조로 구성되는 제1·2이동판구속기(121,122)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120); 지지판(110)과 지지프레임(120)의 설정 위치에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유체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유체배관(132)과, 유체배관(132)과 연계되어 공급되는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기(134)를 포함하는 유체부(130); 로 구성되어 화재현장에 접근시 유체를 분사하여 열전도 차단 및 진입경로 상에 존재하는 유해연기를 분산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이동판(200)은 탑승대(100)의 어느 일측에 연결되고 접힘과 펼침 동작을 가능하게 구성하는 이동다리(210); 이동다리(210)의 일단에 힌지 결합하고 화재현장과 탑승대(100)의 위치 차이를 보상하는 선택사다리(220); 로 구성하여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는 이동경로와 피구조자의 피난 이동경로를 설정하면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고정안전대(300)는 탑승대(100)에 연결되되 접힘과 펼침 동작을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동판(200)의 거리에 비례한 거리를 갖으면서 이동판 양측에 결합하여 측방 유동을 방지하고,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거나 피구조자의 이동시 신체균형 유지를 위한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제1·2안전대(310,320);로 구성하고, 상기 제1·2안전대(310,320)는 탑승대(100)에 결합하되 일정 영역마다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고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거나 피구조자의 이동시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제1·2안전프레임(311,321); 제1·2안전프레임(311,321)의 어느 일면에 구비되어 탑승대(100)에 밀착된 접힘상태를 유지케 하는 제1·2안전대접힘고정기(312,322); 제1·2안전프레임(311,321)의 하부에 연결되고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어 이동판(200)의 하부로 인입하여 제1·2안전대(310,320)와 이동판(200)의 끼움 결합을 유도하는 제1·2끼움결합판(313,323); 제1·2안전프레임(311,321)의 하부에 구성되어 제1·2안전대(310,320)가 이동판(200)과 결합 상태로부터 탈락을 방지하고 해당 안전대의 펼침상태를 유지케 하는 제1·2안전대펼침고정기(314,324); 제1·2안전프레임(311,321)에 결합되어 구조요원 및 피구조자의 시선이 측방으로 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2가림판(315,32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더 포함한다.
상기 탑승대(100)는 지지프레임(120) 상에 결합하여 구조요원의 시야를 확보하는 발광부(140); 지지판(110) 하부에 구비되고 거리감지를 위한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블럭(1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140)는 다수의 LED로 구성되어 화재현장으로 진입시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는 LED램프(141); 지지프레임(120) 주변부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광원을 수용하는 주변발광램프수용부(142);로 구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제1·2안전대접힘고정기(312,322)가 인입 고정되어 이동판(200)이 탑승대(100)에 밀착 접힘상태를 유지케 하는 제1·2지지접힘결합부(123,1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다리(210)는 펼침 동작시 탑승대(100)와 면 접촉 유도되어 구조요원 및 피구조자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토록 하는 다리지지판(212); 이동다리(210)와 탑승대(100)에 연결되어 해당 이동다리의 접힘과 펼침 동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공압실린더(214); 이동다리(210)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제1·2이동판구속기(121,122)가 인입 고정되는 이동판탑승대결합부(216); 이동판탑승대결합부(216)와 소정의 간격을 갖으면서 이동다리 측면부에 구비되어 제1·2안전대펼침고정기(314,324)가 인입 고정되는 이동판안전대결합부(217);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선택사다리(220)는 이동다리(210)의 일단에 힌지 결합하고 판형으로 구성되는 선택플레이트(222); 선택플레이트(222) 상에서 등간격으로 함몰 형성되어 구조요원 또는 피구조자가 이동다리(210)를 향해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발판공(224); 선택플레이트(220) 상에서 발판공(224)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구조요원 또는 피구조자가 발판공(224)을 통해 승강시 파지 가능케 하는 선택파지부(2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1·2가림판(315,325)이 제1·2안전프레임(311,321)에 결합함에 따라 제1·2안전승강파지부(316,326);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피구조자의 구조를 위해 마련된 작업대에 탑승하여 화재현장으로 진입하는 구조요원 및 구조되는 피구조자의 신체적 안녕을 유지함과 동시에 가열된 건축물 외벽에 신속 접근을 가능케 한다.
또한, 인명구조 전반에 걸쳐 피구조자의 정신적 안정을 제고하면서 효과적인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사용상 취급이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의하여 구성되는 사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리고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단순 기술분야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선행기술을 특정하는 것이 아님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이로 인한 작용, 효과에 대해 일괄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구조요원과 피구조자의 탑승공간이 마련되어 피구조자의 구조를 가능케 하고, 화재현장으로 접근시 화재현장의 고열이 해당 탑승공간에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여 구조요원과 피구조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탑승대(100); 탑승대(100)에 연결되어 화재현장과 탑승대의 위치 차이를 보상하고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는 이동경로와 피구조자의 피난 이동경로를 설정하면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는 이동판(200); 탑승대(100)에 연결되어 이동판(200)의 측방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2개 1조로 이동판 양측에 밀착 끼움 결합되고,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거나 피구조자의 이동시 신체균형 유지를 위한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고정안전대(300);로 구성하여 신속한 인명구조와 구조요원 및 피구조자의 정신적·신체적 안정감을 제고한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피구조자의 구조를 위해 마련된 작업대에 탑승하여 화재현장으로 진입하는 구조요원 및 구조되는 피구조자의 신체적 안녕을 유지함과 동시에 가열된 건축물 외벽에 신속 접근을 가능케 하고, 인명구조 전반에 걸쳐 피구조자의 정신적 안정을 제고하면서 효과적인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사용상 취급이 용이하다.
상세하게는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탑승대(100)는 구조요원과 피구조자의 수용구역이면서 행동반경을 설정하고 설립 가능하도록 평판으로 구성되는 지지판(110); 지지판(110)의 외곽에 구성되어 구조요원 및 피구조자의 추락을 방지하면서 출입 영역을 설정하고, 이동판(200)의 위치를 구속하기 위해 2개 1조로 구성되는 제1·2이동판구속기(121,122)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120); 지지판(110)과 지지프레임(120)의 설정 위치에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유체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유체배관(132)과, 유체배관(132)과 연계되어 공급되는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기(134)를 포함하는 유체부(130); 로 구성되어 화재현장에 접근시 유체를 분사하여 열전도 차단 및 진입경로 상에 존재하는 유해연기를 분산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지지판(110)은 판형의 플레이트로서 구조요원이 최초 탑승하고 화재현장으로부터 피구조자 구조 후 동승하는 영역으로 둘 이상의 인체가 탑승할 정도의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선형의 프레임들이 모여 일정 형태를 가지며 지지판(110) 외곽을 둘러 연결되어 있으며 어느 일 측을 개방하여 출입구를 설정한다.
상기 유체부(130)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인명구조용 차량으로부터 공급호스를 통해 유체를 공급을 받으며, 공급된 유체는 유체배관(132)을 거쳐 유체분사기(134)를 통해 분사되는 것이다. 이때 유체분사기(134)는 통칭 스프링쿨러의 동작과 같을 수 있으며 별도의 제어를 통해 분사되도록 유도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게다가, 상기 탑승대(100)는 지지프레임(120) 상에 결합하여 구조요원의 시야를 확보하는 발광부(140); 지지판(110) 하부에 구비되고 거리감지를 위한 센서를 수용하는 센서블럭(1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140)는 다수의 LED로 구성되어 화재현장으로 진입시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는 LED램프(141); 지지프레임(120) 주변부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광원을 수용하는 주변발광램프수용부(142);로 구분된다.
상기 지지프레임(120)은 제1·2안전대접힘고정기(312,322)가 인입 고정되어 이동판(200)이 탑승대(100)에 밀착 접힘 상태를 유지케 하는 제1·2지지접힘결합부(123,124)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판(200)은 탑승대(100)의 어느 일측에 연결되고 접힘과 펼침 동작을 가능하게 구성하는 이동다리(210); 이동다리(210)의 일단에 힌지 결합하고 화재현장과 탑승대(100)의 위치 차이를 보상하는 선택사다리(220); 로 구성하여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는 이동경로와 피구조자의 피난 이동경로를 설정하면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한다.
상기 이동다리(210)는 탑승대(100)의 지지판(110)과 연결되어 있으며 소정의 회전반경이 마련되어 펼침과 접힘 동작이 구현된다. 여기서 연결이라 함은 힌지 결합으로 지칭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이동다리(210)는 펼침 동작시 탑승대(100)와 면 접촉 유도되어 구조요원 및 피구조자로부터 인가되는 하중을 지지토록 하는 다리지지판(212); 이동다리(210)와 탑승대(100)에 연결되어 해당 이동다리의 접힘과 펼침 동작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공압실린더(214); 이동다리(210)의 측면부에 형성되어 제1·2이동판구속기(121,122)가 인입 고정되는 이동판탑승대결합부(216); 이동판탑승대결합부(216)와 소정의 간격을 갖으면서 이동다리 측면부에 구비되어 제1·2안전대펼침고정기(314,324)가 인입 고정되는 이동판안전대결합부(217);를 더 포함한다.
즉, 상기 다리지지판(212)이 이동다리(212)의 펼침 동작에 회전반경을 제한하는데 이는 다리지지판(212)과 탑승대(100)의 지지판(110)이 면 접촉하는 것에 기인한다.
상기 선택사다리(220)는 이동다리(210)의 일단에 힌지 결합하고 판형으로 구성되는 선택플레이트(222); 선택플레이트(222) 상에서 등간격으로 함몰 형성되어 구조요원 또는 피구조자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하는 발판공(224); 선택플레이트(220) 상에서 발판공(224)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되 구조요원 또는 피구조자가 발판공(224)을 통해 승강시 파지 가능케 하는 선택파지부(226);를 더 포함한다.
상기 선택사다리(220)는 이동다리(210)에 절첩되어 있으며, 소정의 회전반경이 마련되어 회전에 의해 전방으로 확장되는 동작을 구현한다. 해당 선택사다리는 옥상 등으로부터 피구조자를 구조할 때 탑승대(100), 이동판(200)과의 위치 차이를 보상하기 위해 구성됨으로써 마련되는 회전반경은 이동다리(210)가 갖는 회전반경보다 크다. 또한, 피구조자가 구조되는 과정에서 신체적 균형 유지, 정신적 안정감을 갖도록 선택파지부(226)가 더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발판공(224)은 수평으로 함몰 형성되어 인체의 발이 인입되어 피구조자가 승강할 수 있도록 하고, 선택파지부(226)는 승강하면서 피구조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발판공(224)과 선택파지부(226)는 상호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안전대(300)는 탑승대(100)에 연결되되 접힘과 펼침 동작을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동판(200)의 거리에 비례한 거리를 갖으면서 이동판 양측에 결합하여 측방 유동을 방지하고,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거나 피구조자의 이동시 신체균형 유지를 위한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제1·2안전대(310,320);로 구성하고, 상기 제1·2안전대(310,320)는 탑승대(100)에 결합하되 일정 영역마다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고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거나 피구조자의 이동시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제1·2안전프레임(311,321); 제1·2안전프레임(311,321)의 어느 일면에 구비되어 탑승대(100)에 밀착된 접힘 상태를 유지케 하는 제1·2안전대접힘고정기(312,322); 제1·2안전프레임(311,321)의 하부에 연결되고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어 이동판(200)의 하부로 인입하여 제1·2안전대(310,320)와 이동판(200)의 끼움 결합을 유도하는 제1·2끼움결합판(313,323); 제1·2안전프레임(311,321)의 하부에 구성되어 제1·2안전대(310,320)가 이동판(200)과 결합 상태로부터 탈락을 방지하고 해당 안전대의 펼침상태를 유지케 하는 제1·2안전대펼침고정기(314,324); 제1·2안전프레임(311,321)에 결합되어 구조요원 및 피구조자의 시선이 측방으로 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2가림판(315,325);를 포함한다.
상기 제1·2안전대(310,320)는 상호 대칭되어 종국적으로 이동판(200)의 양측에 결합되어 이동판(200)으로 보행하는 구조요원 및 피구조자의 하중을 지탱하고 이동판(200)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제1·2안전프레임(311,321)은 구조요원 또는 피구조자가 이동다리(210) 및 선택사다리(220)로 진입하여 보행시 파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이동다리(210)의 거리와 대응된 거리로 형성된다.
상기 제1·2끼움결합판(313,323)은 'ㄴ' 형태로 절곡되어 이동판(200)의 이동다리(210)의 하측으로 인입되어 제1·2안전대(310,320)와 이동다리(210)의 밀착 결합을 유도한다.
상기 제1·2안전대펼침고정기(314,324)는 제1·2끼움결합판(313,323)과 더불어 제1·2안전대(310,320)와 이동다리(210)의 밀착 결합을 유지케 하고 완전 결합을 실시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동다리(210)에는 이동판안전대결합부(217)가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제1·2가림판(315,325)은 당황한 피구조자가 고층에서 구조되는 과정에서 하방으로 보이는 높이, 즉 고소공포증 등으로 인해 생성되는 공포를 제거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으로, 피구조자의 시야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신속한 인명구조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이 세부적인 동작과 그에 필요한 결합관계 및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서술하기로 하며 앞서 서술한 것과 중복된 설명은 배제하기로 한다.
도 5 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는 화재현상으로 상승하면서 접근한다. 초기 상태는 탑승대(100)의 지지판(110)을 지지프레임(120)과 이동판(200)이 포위하고 있으며 고정안전대(300)가 탑승대의 지지프레임(120)에 고정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제1·2이동판구속기(121,122)가 이동판(200)의 이동다리(210)의 이동판탑승대결합부(216)에 인입 하여 이동판(200)이 탑승대(100)에 고정되어 위치 구속된다. 이를 이동판(200)의 접힘 상태로 지칭한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120)에는 제1·2지지접힘결합부(123,124)가 더 형성되고 제1·2지지접힘결합부(123,124)에 고정안전대(300)의 제1·2안전대(310,320)의 제1·2안전대접힘고정기(312,322)가 인입되어 지지프레임(120)에 고정안전대(300)가 위치 구속된다.
위와 같은 상태를 접힘 상태로 지칭하고 구조요원이 탑승한 직후나 화재현장으로 출동하는 상태일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화재현장으로 상승하면서 열전도 차단 및 연기 분산을 위해 유체부(130)에서 유체를 분사하도록 하고 센서블럭(150)에 수용된 적외선 센서가 거리를 감지하여 이동판(200)의 거리에 대응하게 상승 동작 종결위치를 결정될 수 있다. 이로써, 화재현장에 구조요원이 신속하게 도착하도록 한다.
화재현장에 도달하면 상기 지지프레임(120)의 제1·2이동판구속기(121,122)와 이동판탑승대결합부(216)의 결합 상태를 해제한 다음 이동판(200)을 가압하여 회전되도록 한다. 이를 이동판(200)의 펼침 상태로 지칭한다. 이동판(200)을 펼침 상태로 형성하면 이동경로가 제공된다. 이후 고정안전대(300)의 제1·2안전대(310,320)의 제1·2안전대접힘고정기(312,322)와 제1·2지지접힘결합부(123,124)의 결합을 해제하여 제1·2안전대(310,320)가 이동판(200)의 이동다리(210)측으로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제1·2안전대(310,320)는 제1·2끼움결합판(313,323)이 이동다리(210)의 하부로 인입되는 거리만큼 회전되고 이동다리(210)와 접촉한다. 이렇게 접촉 고정된 상태에서 제1·2안전대펼침고정기(314,324)가 이동판안전대결합부(217)에 인입되도록 함으로써 고정안전대(300)와 이동판(200)이 결합한다. 이를 고정안전대(300)의 펼침 상태 즉, 제1·2안전대(310,320)의 펼침 상태로 지칭한다.
위와 같이 각 구성들이 완전 결합한 상태로 구조요원이 이동다리(210)와 선택사다리(220)를 통해 화재현장에 진입하고 피구조자 구조 후 탑승대(100)로 복귀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1·2가림판(315,325)이 제1·2안전프레임(311,321)에 결합함에 따라 제1·2안전승강파지부(316,326);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해당 제1·2안전승강파지부(316,326)의 구성은 선택사다리(220)를 통해 이동다리(210)로 진입하는 과정에서 피구조자의 안정감을 제고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로 인해 하측에서 진입하는 피구조자의 신체적 균형을 유지케 하여 두려움을 절감하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케이지에 탑승한 구조요원이 열기 및 유독가스로 인해 화재현장으로 신속하게 진입할 수 없어 인명구조에 효과적이지 못하였고, 케이지 탑승을 위해 제공되는 이동발판 등이 소형이거나 경량화되어 있으므로 피구조자가 안전상 위험을 느껴 케이지 탑승 자체를 두려워하여 구조시간이 증대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피구조자가 케이지 탑승 후에도 구조되었다는 안도감을 느끼지 못하여 구조요원이 피구조자를 안정시키는데 남은 기력을 다하므로 구조요원의 신체적, 정신적 피로가 가중되는 또 다른 문제점을 적극 개선하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구성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명확히 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탑승대 110 : 지지판
120 : 지지프레임 121 : 제1이동판구속기
122 : 제2이동판구속기 130 : 유체부
132 : 유체배관 134 : 유체분사기
140 : 발광부 150 : 센서블럭
200 : 이동판 210 : 이동다리
212 : 다리지지판 214 : 공압실린더
216 : 이동판탑승대결합부 217 : 이동판안전대결합부
220 : 선택사다리 300 : 고정안전대
310 : 제1안전대 311 : 제1안전프레임
312 : 제1안전대접힘고정기 313 : 제1끼움결합판
314 : 제1안전대펼침고정기 315 : 제1가림판
320 : 제2안전대 321 : 제2안전프레임
322 : 제2안전대접힘고정기 323 : 제2끼움결합판
324 : 제2안전대펼침고정기 325 : 제2가림판

Claims (4)

  1. 구조요원과 피구조자의 탑승공간이 마련되어 피구조자의 구조를 가능케 하고, 화재현장으로 접근시 화재현장의 고열이 해당 탑승공간에 전도되는 것을 차단하여 구조요원과 피구조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탑승대(100);
    탑승대(100)에 연결되어 화재현장과 탑승대의 위치 차이를 보상하고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는 이동경로와 피구조자의 피난 이동경로를 설정하면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는 이동판(200);
    탑승대(100)에 연결되어 이동판(200)의 측방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2개 1조로 이동판 양측에 밀착 끼움 결합되고,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거나 피구조자의 이동시 신체균형 유지를 위한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고정안전대(300);
    로 구성하여 신속한 인명구조와 구조요원 및 피구조자의 정신적·신체적 안정감을 확보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탑승대(100)는,
    구조요원과 피구조자의 수용구역이면서 행동반경을 설정하고 설립 가능하도록 평판으로 구성되는 지지판(110);
    지지판(110)의 외곽에 구성되어 구조요원 및 피구조자의 추락을 방지하면서 출입 영역을 설정하고, 이동판(200)의 위치를 구속하기 위해 2개 1조로 구성되는 제1·2이동판구속기(121,122)를 포함하는 지지프레임(120);
    지지판(110)과 지지프레임(120)의 설정 위치에 구성되고 외부로부터 유체를 공급받아 유체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유체배관(132)과, 유체배관(132)과 연계되어 공급되는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기(134)를 포함하는 유체부(130);
    로 구성되어 화재현장에 접근시 유체를 분사하여 열전도 차단 및 진입경로 상에 존재하는 유해연기를 분산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200)은,
    탑승대(100)의 어느 일측에 연결되고 접힘과 펼침 동작을 가능하게 구성하는 이동다리(210);
    이동다리(210)의 일단에 힌지 결합하고 화재현장과 탑승대(100)의 위치 차이를 보상하는 선택사다리(220);
    로 구성하여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는 이동경로와 피구조자의 피난 이동경로를 설정하면서 가해지는 하중을 지탱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안전대(300)는,
    탑승대(100)에 연결되되 접힘과 펼침 동작을 가능하게 구성하고 이동판(200)의 거리에 비례한 거리를 갖으면서 이동판 양측에 결합하여 측방 유동을 방지하고,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거나 피구조자의 이동시 신체균형 유지를 위한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제1·2안전대(310,320);
    로 구성하고,
    상기 제1·2안전대(310,320)는,
    탑승대(100)에 결합하되 일정 영역마다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고 구조요원이 화재현장으로 접근하거나 피구조자의 이동시 파지영역을 제공하는 제1·2안전프레임(311,321);
    제1·2안전프레임(311,321)의 어느 일면에 구비되어 탑승대(100)에 밀착된 접힘상태를 유지케 하는 제1·2안전대접힘고정기(312,322);
    제1·2안전프레임(311,321)의 하부에 연결되고 절곡된 형태로 구성되어 이동판(200)의 하부로 인입하여 제1·2안전대(310,320)와 이동판(200)의 끼움 결합을 유도하는 제1·2끼움결합판(313,323);
    제1·2안전프레임(311,321)의 하부에 구성되어 제1·2안전대(310,320)가 이동판(200)과 결합 상태로부터 탈락을 방지하고 해당 안전대의 펼침상태를 유지케 하는 제1·2안전대펼침고정기(314,324);
    제1·2안전프레임(311,321)에 결합되어 구조요원 및 피구조자의 시선이 측방으로 분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2가림판(315,325);
    를 포함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KR1020200070946A 2020-06-11 2020-06-11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KR102399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946A KR102399044B1 (ko) 2020-06-11 2020-06-11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946A KR102399044B1 (ko) 2020-06-11 2020-06-11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299A true KR20210154299A (ko) 2021-12-21
KR102399044B1 KR102399044B1 (ko) 2022-05-18

Family

ID=79165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946A KR102399044B1 (ko) 2020-06-11 2020-06-11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904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991B1 (ko) * 2012-02-15 2013-05-10 주식회사 에버다임 사다리차용 승강기
JP2017227034A (ja) * 2016-06-22 2017-12-28 東光産業株式会社 避難用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避難システム
KR101933376B1 (ko) 2018-08-24 2018-12-28 류시열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KR200491486Y1 (ko) * 2018-09-14 2020-04-14 이준호 수관 결합구조를 갖는 인명구조용 소방차 작업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991B1 (ko) * 2012-02-15 2013-05-10 주식회사 에버다임 사다리차용 승강기
JP2017227034A (ja) * 2016-06-22 2017-12-28 東光産業株式会社 避難用梯子およびそれを用いた避難システム
KR101933376B1 (ko) 2018-08-24 2018-12-28 류시열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KR200491486Y1 (ko) * 2018-09-14 2020-04-14 이준호 수관 결합구조를 갖는 인명구조용 소방차 작업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9044B1 (ko) 2022-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6351A (en) Emergency escape system for use in multistoried buildings
US8745792B2 (en) Firefighter rapid emergency extraction device
US7308968B2 (en) Transportable rescue conveyer
CN102068768B (zh) 跟进抱夹式攀爬消防救生舱
KR101933376B1 (ko) 탑승함과 활송장치를 이용한 인명구조용 사다리
US20160136017A1 (en) Method for Rescue and Recovery of Incapacitated Persons
CN104118827B (zh) 一种高层疏散电梯救援车
US5497855A (en) Exterior fire fighting and evacuation system for high rise buildings
KR102399044B1 (ko)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의 작업대
GB2421940B (en) High-rise fire fighting, rescue and construction equipement
CN212347527U (zh) 一种用于高层建筑铺设消防水带的背架
KR20100135582A (ko) 헬리콥터에 부착 가능한 소방 및 구조 유닛
CN209848198U (zh) 一种消防救生扶手
CN208916604U (zh) 一种高层建筑消防救援系统
RU184749U1 (ru) Трап спасательный пожарный
KR101769567B1 (ko) 재난 재해용 들것
CN105459125B (zh) 一种基于互联网的高层救援机器人系统及其快速救援方法
CN205867367U (zh) 一种消防水泵升降平台
KR102399045B1 (ko) 인명구조용 고소작업차량 운용시스템
CN210888764U (zh) 一种舞美展位搭接用具有防护机构的置景装置
CN213751495U (zh) 一种用于直升机飞行模拟器的移动救生舱
JPH0246376Y2 (ko)
CN2297208Y (zh) 安全逃生用可调控缓降器
CN211149745U (zh) 绳索综合模拟训练设施
CN106276578A (zh) 一种轮胎式龙门起重机司机应急救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