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90411A -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 Google Patents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90411A
KR20110090411A KR1020100010159A KR20100010159A KR20110090411A KR 20110090411 A KR20110090411 A KR 20110090411A KR 1020100010159 A KR1020100010159 A KR 1020100010159A KR 20100010159 A KR20100010159 A KR 20100010159A KR 20110090411 A KR20110090411 A KR 201100904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ladder
rail
horizontal ba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0971B1 (ko
Inventor
류순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텍
Priority to KR1020100010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971B1/ko
Publication of KR20110090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90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CLADDERS
    • E06C9/00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 E06C9/06Ladders characterised by being permanently attached to fixed structures, e.g. fire escapes movably moun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 Lad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층 건물에 구비된 베란다의 바닥면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맨홀이 형성되고, 상기 맨홀에 평상시의 안전을 위해 밀폐용 해치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위층 베란다의 난간과 아래층 베란다의 난간 사이에 사다리형 레일이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사다리형 레일에 다수개의 가로봉이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가로봉이 평상시에 홀딩기구에 의해 사다리형 레일의 상부에 홀딩되어 있고, 비상시에 해치를 열면 상기 가로봉이 레일을 따라 아래로 내려와 지지기구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 지지되게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화재피난장치는 평상시에는 베란다에 형성된 맨홀을 해치가 덮어 막아 주게 하는 상기 다수개의 가로봉이 사다리의 위층에 위치한 레일의 상단에 홀딩되어 있게 하고, 화재 등 비상의 경우에 해치를 열어 맨홀을 개방하면 상기 레일의 상단에 홀딩되어 있는 다수개의 가로봉이 레일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면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고층 건물에서 비상사태로 인하여 피신해야 하는 경우에, 베란다의 난간에 설치된 해치를 열고 맨홀을 통하여 다수개의 가로부재에 의해 만들어지는 사다리를 통하여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An apparatus for escaping from fire in the high building}
본 발명은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물에 베란다 바닥면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맨홀이 형성되고, 위층의 베란다 난간과 아래층의 베란다 난간 사이에 사다리형 레일이 설치되며, 상기 레일에 맨홀의 해치를 개방함에 따라 아래로 이동하여 사다리를 구성하게 해주는 다수개의 가로봉이 설치되어, 비상시에 해치를 열면 상하층 난간 사이에 만들어지는 사다리에 의해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게 한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호텔과 같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피난하기에 곤란한 경우가 많다.
특히 고층에서 화재가 발생하고 출입문을 통하여 바깥으로 탈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실내에 갇혀 연기에 질식하거나 화염에 그대로 노출되어 질식사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여러 가지 비상탈출장치가 제안되어 있기는 하나, 이들 대부분의 비상탈출구는 효과적으로 사용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종래의 대부분 비상탈출장치는 베란다에 설치된 난간에 여러 가지 보조장비를 설치하여 화염과 연기가 닿지 않는 건물의 바깥으로 피신하게 된 것이 많은데, 이러한 기존의 비상탈출장치는 여러 가지 보조장비를 사용하여 건물의 바깥으로 피신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높은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피신할 때 위험함을 느낄 뿐만 아니라 실제 위험하다는 문제가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특허출원 제 10-2009-50258, 55396호 등과 같은 발명에 따른 장치는 아파트의 베란다에 구비된 난간에 보조 확장사다리를 설치하고,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이 사다리를 확장하여 아래층의 베란다와 연결한 다음, 확장사다리를 타고 아래층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확장사다리가 건물의 바깥면을 통하여 펼쳐지기 때문에, 사람이 확장사다리를 타고 이동할 때 아래쪽에 아무런 안전 받침판이 없는 허공을 가로질러 가야하기 때문에 매우 위험하고 분위기도 좋지 않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한 화재피난장치로서, 고층건물의 베란다에 맨홀을 뚫고, 이 맨홀의 아래쪽 아래층에 사다리를 설치하여,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 맨홀과 사다리를 통하여 아래층의 피신할 수 있게 한 장치를 제안한 바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존 발명에 따른 장치는 위층에서 맨홀을 통과한 다음 아래층의 베란다 벽면에 설치된 사다리를 타고 내려갈 때 통상 위층의 난간과 아래층의 난간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하여 사람이 빈 허공으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통상적으로 고층아파트 등의 건물에서는 위층의 베란다와 아래층의 베란다가 연결되어 있지 않고 베란다의 난간과 난간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데, 만약 고층 아파트의 높은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아래층으로 피신할 경우에 베란다에 형성된 맨홀과 사다리를 타고 아래층으로 이동할 때, 사다리를 타고 아래층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사람이 허공의 빈공간으로 노출되기 때문에 공포심을 느끼게 될 뿐만 아니라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기존의 화재피난장치는 위층의 베란다와 아래층의 베란다는 연결하는 사다리가 고정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고정 사다리가 아래층 베란다의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고정 설치된 사다리로 인하여 방범 상의 문제가 생기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아파트와 같은 고층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건물의 바깥면을 거치지 않고 화재가 발생한 층에서 화재가 발생하지 않은 아래층으로 공포심을 느끼지 않고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평상시에는 아래층 베란다와 위층 베란다가 연결되어 있지 않게 하고, 긴급한 경우에만 사다리가 아래층 베란다와 위층 베란다는 연결하게 하여 피신할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방범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한 고층건물의 화재피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고층건물용 화재피난장치는, 고층 건물에 구비된 베란다의 바닥면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맨홀과, 상기 맨홀에 평상시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 밀폐용 해치, 위층 베란다의 난간과 아래층 베란다의 난간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된 사다리형 레일, 상기 사다리형 레일에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다수개의 가로봉, 상기 가로봉을 평상시에 사다리형 레일의 상부에 붙잡아 지지해 주는 홀딩기구 및, 상기 비상시에 해치를 열면 상기 가로봉이 사다리형 레일을 따라 아래로 내려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 지지되게 하여 사다리를 이루게 하는 지지기구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홀딩 기구는 해치의 선단에 연장된 받침판으로 이루어지게 하여, 상기 받침판에 사다리형 레일의 상단으로 밀어 부쳐진 가로부재가 지지되게 한 구조로 하거나, 또는 해치의 내부가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이 빈 공간 속에 다수개의 가로부재가 내장되게 한 구조로 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지지기구는 사다리형 레일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면서 아래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로부재의 양단에 설치되어 있으면서 직경이 서로 다르게 형성된 지지축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가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용 화재피난장치는 평상시에 맨홀을 덮어 주는 해치가 닫혀져 있을 때는 위층 베란다의 난간과 아래층 베란다의 난간이 사다리에 의해 연결되어 있지 않고, 화재 등 비상의 경우에 아래층으로 피신하기 위해 해치를 열면 위층의 베란다 난간에 설치된 가로부재가 사다리형 레일을 따라 아래로 이동하면서 사다리를 이루게 되므로, 고층에서 베란다의 맨홀과 사다리를 통하여 아래층으로 이동할 때 허공으로 노출된 공포심을 줄여 줌과 더불어, 평상시에 아래층에 사다리가 항상 고정 설치되어 있지 않게 함으로써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게 함과 더불어 방범상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층건물의 화재 피난장치에서 해치가 닫히고 위층 베란다의 난간과 아래층 베란다의 난간 사이에 피난사다리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비상상태가 발생하여 해치가 열리고 위층 베란다의 난간과 아래층 베란다의 난간 사이에 피난사다리가 연결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해치가 닫혀 있으면서, 사다리의 가로봉이 해치의 뒤쪽 연장부에 의해 레일의 상단부에 붙잡혀 홀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해치가 열리는 순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해치가 완전하게 열리고 사다리의 가로봉이 레일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서 아래층과 연결하는 사다리를 만든 상태를 위층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6은 해치가 완전하게 열리고 사다리의 가로봉이 레일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서 아래층과 연결하는 사다리를 만든 상태를 아래층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평상시에 가로봉을 붙잡는 홀딩기구의 1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가로봉이 해치의 연장부에 의해 홀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비상의 경우에 해치를 열리고 레일의 상단에 홀딩된 가로봉이 레일의 홈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비상의 경우에 해치를 열리고 레일의 상단에 홀딩된 가로봉이 레일의 이동홈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 지지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사다리형 레일에 설치된 가로봉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사다리형 레일에 형성된 안내홈과 가로봉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12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층건물의 화재 피난장치에서 해치가 닫히고 위층 베란다의 난간과 아래층 베란다의 난간 사이에 피난사다리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사시도,
도 13은 비상상태가 발생하여 해치가 열리고 위층 베란다의 난간과 아래층 베란다의 난간 사이에 피난사다리가 연결되는 중간 과정을 나타낸 상태의 사시도,
도 14는 해치가 닫혀 있으면서, 사다리의 가로봉이 해치 속에 내장된 상태의 사시도,
도 15는 해치가 열리는 순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16은 해치가 완전하게 열리고 사다리의 가로봉이 레일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서 아래층과 연결하는 사다리를 만든 상태를 위층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7은 해치가 완전하게 열리고 사다리의 가로봉이 레일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서 아래층과 연결하는 사다리를 만든 상태를 아래층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평상시에 가로봉을 붙잡는 홀딩기구의 2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가로봉이 해치의 내부에 삽입되어 홀딩된 상태의 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비상의 경우에 해치를 열리면서 해치의 내부에 저장된 가로봉이 빠져나오는 상태의 측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비상의 경우에 해치를 열리고 가로봉이 레일의 홈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서 일정 간격을 두고 배열 지지된 상태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면 1 내지 도면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면 12 내지 도면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는 고층 건물에 구비된 베란다의 바닥면(1)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맨홀(2)이 형성되고, 상기 맨홀(2)에 평상시의 안전을 위해 밀폐용 해치(3)가 힌지(4)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며, 위층 베란다의 난간(5)과 아래층 베란다의 난간(6) 사이에 사다리형 레일(7)이 수직으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사다리형 레일(7)에 다수개의 가로봉(8)이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가로봉이 평상시에 홀딩기구(9)에 의해 사다리형 레일(7)의 상부에 홀딩되어 있고, 비상시에 해치(3)를 열면 상기 가로봉(8)이 레일(7)을 따라 아래로 내려와 지지기구(10)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 지지되게 되어 있다.
상기 맨홀(2)은 건물을 지을 때 베란다의 바닥면(1)에 일체로 형성하되, 사람이 충분하게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하면서 베란다의 난간(5)쪽 선단에 형성시켜 난간(5)과 연결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맨홀(2)에는 밀폐용 해치(3)를 설치하되 힌지(4)를 통하여 난간(5) 쪽으로 들어 열고 닫을 수 있게 해야 하는데, 이렇게 해치(3)를 열고 닫음으로써 레일(7)에 설치된 가로봉(8)이 아래로 내려오거나 내려오지 못하게 홀딩되어 있게 한다.
상기 가로봉(8)은 도면 7 내지 도면 9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7)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이동홈(71)속에 삽입 설치되어 있으면서, 도면 10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봉(8)의 양단에 형성된 연장축(81)이 이동홈(71) 속에 삽입되고, 연장축(81)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턱(82)이 이동홈(71)속에 걸려져 빠져나오지 못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가로봉(8)이 레일(7)의 이동홈(71)을 통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도면 1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평상시에 상기 가로봉(8)을 레일(7)의 상부에 붙잡아 두고 레일(7)을 따라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게 하는 홀딩기구(9)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실시예에 따른 약간 차이가 있는바, 도면 1내지 도면 11에 도시하여 나타낸 1실시예의 홀딩기구(9)는 해치(3)의 뒤쪽에 연장부(3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31)에 다수개의 가로봉(8)이 차례대로 얹혀지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1실시예의 홀딩기구(9)는 먼저 가로봉(8)을 레일(7)의 이동홈(71)을 따라 위쪽으로 이동시킨 후, 해치(3)를 닫으면 도면 1과 도면 3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해치(3)의 뒤쪽에 연장된 연장부(31)가 레일(7)의 상부에 밀어 올려져 있는 가로봉(8)을 받쳐 지지함으로써 아래쪽으로 내려오지 못하게 붙잡아 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해치(3)가 닫혀 있는 평상시의 상태에서, 비상사태가 발생하여 해치(3)를 들어올리면, 해치(3)의 후방에 연장 형성된 연장부(31)가 아래로 회동하게 되므로, 상기 연장부(31) 위에 얹혀져 있는 가로봉(8)이, 도면 8과 도면 9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레일(7)의 이동홈(71)을 따라 아래로 내려오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지지기구(10)에 의해 레일(7)에 수직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 고정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지지기구(10)는 여러 가지 타입으로 할 수 있는바, 예컨대 도면 11에 확대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레일(7)의 이동홈(71)이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함과 더불어, 상기 가로봉(8)의 양쪽 선단에 연장 형성되어 이동홈(71)에 끼워지는 연장축(81)의 직경이 위쪽 가로봉에서부터 아래쪽 가로봉으로 내려갈수록 작아지게 만들어, 상기 연장축(81)의 직경과 이동홈(71)의 폭이 일치되는 지점에서 걸리게 함으로써, 아래쪽 가로봉(8)은 이동홈(71)의 위쪽에서 걸리지 않고 아래쪽에서 차례대로 걸리게 하여 가로봉(8)이 레일(7)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지되게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비상시에 해치(3)를 들어올리면 가로봉(8)의 홀딩상태가 해제되므로, 레일(7)에 설치된 다 수개의 가로봉(8)이 레일(7)의 이동홈(71) 속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사람이 타고 내려갈 수 있는 완전한 사다리를 구성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해치(3)의 저면에는 소정 개수의 손잡이 봉(32)이 설치되어 맨홀(2)을 타고 아래로 내려갈 때 상기 손잡이 봉(32)을 붙잡고 아래로 내려갈 수 있게 한다.
또한, 위층 난간(5)과 아래층 난간(6)에는 기본적으로 상기 레일(7)과 상하로 연결될 수 있는 사다리(51,61)가 각각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레일(7)에 가로봉(8)이 적당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면 위층 난간(5)에서부터 아래층 난간(6)까지 연결된 완전한 사다리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하면 도면 3과 도면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치(3)를 들어올리면 맨홀(2)을 개방시킴과 더불어 위층 난간(5)과 아래층 난간(6)이 사다리에 의해 연결되기 때문에, 피난하고자 하는 사람이 해치(3)의 손잡이 봉(32)을 잡고 가로봉(8)에 발을 디디면서 아래층으로 간편하게 피신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 3에서 도면 5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난간(5)에 걸림고리(51)가 마련되고 해치(3)에는 걸림핀(33)이 구비되어 해치(3)를 들어올린 다음 걸림핀(33)에 걸림고리(51)를 걸어서 해치(3)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게 함으로써, 손잡이 봉(32)을 잡고 맨홀(2)을 통해 아래로 내려갈 때 해치(3)가 자중에 의해 닫히려 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다.
도면 12 내지 도면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2실시예가 적용된 경우를 도시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2실시예는 상기에서 설명한 1실시예와 가로봉(8)을 붙잡아 지지해 주는 홀딩기구(9) 만 다를 뿐 나머지 전체의 구성은 동일하다.
따라서, 2실시예에서는 구성이 다른 홀딩기구(9)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실시예의 홀딩기구(9)는 도면 18 내지 도면 20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해치(3)의 내부가 빈 공간(S)으로 형성되고, 해치(3)의 뒤쪽 선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빈 공간(S) 속에 다수개의 가로봉(8)이 저장할 수 있게 구성되고, 해치(3)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뒤쪽 개방단이 레일(7)의 이동홈(71)과 일치하게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홀딩기구(9)는 도면 18에 도시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상기 가로봉(8)이 해치(3)의 빈 공간(S) 속에 저장되어 있고, 이러한 평상시의 상태에서 화재 등 비상시의 경우에 해치(3)의 록크 상태를 해제하고 들어올리면 해치(3)가 힌지(4)를 중심으로 하여 뒤쪽으로 기울어지면서,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가로봉(8)이 개방된 해치(3)의 뒤쪽 선단을 통하여 레일(7)의 이동홈(71)속으로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해치(3)를 들어올리면 자동으로 해치(3)의 내부 빈 공간(S) 속에 저장되어 있던 다수개의 가로봉(8)이 레일(7)의 이동홈(71)속으로 들어가서 차례대로 아래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레일(7)의 이동홈(71)속으로 들어간 가로봉(8)의 1실시예의 경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가로봉(8)의 양단에 마련된 연장축(81)과 이동홈(71)의 직경 차이에 의해 차례대로 이동하면서 걸려지게 되어 다수개의 가로봉(8)이 레일(7)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 정지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장치는 평상시에 도면 1에서와 같이 해치(3)가 닫혀져 있고, 상하 난간(5,6)이 단순한 기둥형태의 레일(7)에 의해서만 연결되어 있으며, 다수개의 가로봉(8)은 레일(7)의 상단에 걸려져 홀딩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러한 평상시의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해치(3)를 열면 레일(7)의 상단에 홀딩되어 있던 다수개의 가로봉(8)이 레일(7)을 타고 내려가서 레일(7)의 상하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상기 레일(7)과 가로봉(8)이 사다리를 이루게 되므로, 도면 2와 같이 상하층 난간(5,6)이 사다리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도면 3은 해치(3)가 닫혀져 있는 상태를 실내에서 나타낸 것으로서, 해치(3)의 후단에 마련된 연장부(31)에 의해 다수개의 가로봉(8)이 레일(7)의 상단에 홀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4는 도면 3의 상태에서 해치의 록크상태를 개방하고, 해치(3)를 위쪽으로 들어올려 개방하는 순간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 5는 해치(3)가 완전하게 들어 올려지고, 가로봉(8)이 레일(7)을 타고 아래로 내려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사다리를 이루고 있는 상태를 위층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면 6은 도면 5에서와 같이 해치(3)가 완전하게 개방되고, 가로봉(8)이 레일(7)을 타고 아래로 내려와 사다리를 이루고 있는 상태를 아래층에서 위쪽으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로서, 베란다의 바닥면(1)에 개방된 맨홀(2)과 난간(5,6)의 상하를 연결하는 사다리를 통하여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피신할 수 있게 한다.
도면 12와 도면 13은 본 발명에 따른 2실시예의 홀딩기구(9)를 갖춘 장치의 평상시와 비상시의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2실시예의 홀딩기구(9)를 갖춘 장치에서는 평상시에 다수개의 가로봉(8)이 해치(3) 속에 저장되어 있기 때문에 닫힌 해치(3)의 위쪽에 가로봉(9)이 보이지 않게 된다.(도면 14)
그러나 해치(3)를 들어올리면 해치(3)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던 가로봉(8)이 레일(7)의 이동홈(71) 속으로 들어가서 아래로 내려가 상기 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하 난간(5,6)을 연결하는 사다리를 이루게 된다.(도면 16, 도면 17)
이와 같이 위층의 난간(5)과 아래층의 난간(6)이 레일(7)과 다수개의 가로봉(8)에 만들어지는 사다리에 의해 연결되면, 상기 사다리의 가로봉(8)을 딛고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베란다의 바닥면에 맨홀(2)이 형성되고, 위층의 난간(5)과 아래층의 난간(6) 사이에 사다리형 레일(7)이 설치되며, 상기 사다리형 레일(7)의 상단에 다수개의 가로봉(8)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되는 한편, 상기 가로봉(8)이 맨홀(2)을 덮어 주는 해치(3)를 개방시킴에 따라 레일(7)을 따라 아래로 내려와서 사다리를 이루게 함으로써, 화재 등 비상사태의 경우에 건물의 바깥으로 나가지 않고서도, 베란다의 맨홀(2)과 상하층의 난간(5,6)을 연결하는 사다리를 통하여 아래층으로 안전하게 피신할 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비상사태가 아닌 평소에는 상하층의 난간(5,6)이 사다리에 의해 연결되지 않고, 단지 상하로 레일(7)만 배치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다리가 베란다의 공간을 점유하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다리의 고정 설치로 인한 방범등의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할 수가 있다.
1 - 베란다 바닥면 2 - 맨홀
3 - 해치 4 - 힌지
5 - 위층 난간 6 - 아래층 난간
7 - 레일 8 - 가로봉
9 - 홀딩기구 10 - 지지기구
31 - 연장부 32 - 손잡이 봉
71 - 이동홈 81 - 연장축
82 - 걸림턱

Claims (4)

  1. 고층 건물에 구비된 베란다의 바닥면(1)에 사람이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 맨홀(2)과, 상기 맨홀(2)에 평상시의 안전을 위해 설치된 밀폐용 해치(3), 위층 베란다의 난간(5)과 아래층 베란다의 난간(6) 사이에 수직으로 연결된 사다리형 레일(7), 상기 사다리형 레일(7)에 상하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다수개의 가로봉(8), 상기 가로봉(8)을 평상시에 사다리형 레일의 상부에 붙잡아 주는 홀딩기구(9) 및, 상기 해치(3)를 열면 상기 가로봉(8)이 사다리형 레일(7)을 따라 아래로 내려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열 지지되게 하는 지지기구(1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기구(9)가 해치(3)의 뒤쪽에 연장부(3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31)에 다수개의 가로봉(8)이 차례대로 얹혀져 아래로 내려가지 못하게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기구(9)가 해치(3)의 내부가 빈 공간(S)으로 형성되고, 해치(3)의 뒤쪽 선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상기 빈 공간(S) 속에 다수개의 가로봉(8)이 저장할 수 있게 구성되고, 해치(3)가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뒤쪽 개방단이 레일(7)의 이동홈(71)과 일치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기구(10)가 레일(7)의 이동홈(71)이 아래쪽으로 내려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함과 더불어, 상기 가로봉(8)의 양쪽 선단에 연장 형성되어 이동홈(71)에 끼워지는 연장축(81)의 직경이 위쪽 가로봉에서부터 아래쪽 가로봉으로 내려갈수록 작아지게 하여, 상기 연장축(81)의 직경과 이동홈(71)의 폭이 일치되는 지점에서 걸리게 함으로써, 다수개의 가로봉(8)이 레일(7)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하로 배열 지지 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층 건물의 화재피난장치
KR1020100010159A 2010-02-03 2010-02-03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130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159A KR101130971B1 (ko) 2010-02-03 2010-02-03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159A KR101130971B1 (ko) 2010-02-03 2010-02-03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90411A true KR20110090411A (ko) 2011-08-10
KR101130971B1 KR101130971B1 (ko) 2012-03-28

Family

ID=4492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159A KR101130971B1 (ko) 2010-02-03 2010-02-03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9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35B1 (ko) 2016-04-11 2016-12-08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702044B1 (ko) 2016-06-29 2017-02-02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8213A (ko) 2020-03-31 2020-04-10 임춘만 아파트 베란다와 거실천장에 설치된것이 물체를 돌출할수 있도록 유도하는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5039U (ja) * 1999-04-23 2000-01-28 有限会社ティー・エム・ジー 非常用伸縮式梯子
KR101029640B1 (ko) * 2007-12-07 2011-04-15 김문찬 고층건물 피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4335B1 (ko) 2016-04-11 2016-12-08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KR101702044B1 (ko) 2016-06-29 2017-02-02 송남용 피난기능을 구비한 난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30971B1 (ko) 2012-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3585B1 (ko)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0996129B1 (ko) 절첩식 구난장치
KR101030286B1 (ko) 베란다의 난간대에 전용 탑승구가 구비된 긴급 피난장치
KR102021931B1 (ko) 양세대 화재 피난장치
KR101080808B1 (ko) 베란다의 난간대를 이용한 긴급 피난장치
KR101119886B1 (ko) 건물의 층간 비상탈출장치
KR100909447B1 (ko) 공동주택의 피난 기능을 구비한 건축용 안전 난간
KR100738377B1 (ko) 비상용 피난 사다리
KR101130971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0613880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171248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101548010B1 (ko) 공동주택의 비상대피 기능을 갖춘 베란다 휀스장치
KR101141297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357968Y1 (ko) 피난용 난간
KR20100137131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153789B1 (ko) 절첩식 구난 사다리
JP5814596B2 (ja) 仮設足場の昇降装置
KR20100138588A (ko)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20110083820A (ko) 화재 대피용 회전식 구난 사다리가 부착된 안전 난간대
KR100481693B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사다리
KR101096500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378175Y1 (ko) 발코니의 난간을 이용한 비상 대피장치
KR101069206B1 (ko) 고층 건물의 화재 피난장치
KR200341256Y1 (ko) 베란다 난간용 화분거치대 겸용 비상 피난장치
KR101141299B1 (ko) 화재 대피용 구난 사다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3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