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70912B1 - 천장 점검 구 - Google Patents

천장 점검 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70912B1
KR102270912B1 KR1020190179347A KR20190179347A KR102270912B1 KR 102270912 B1 KR102270912 B1 KR 102270912B1 KR 1020190179347 A KR1020190179347 A KR 1020190179347A KR 20190179347 A KR20190179347 A KR 20190179347A KR 102270912 B1 KR102270912 B1 KR 1022709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eight
parts
fixing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3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중배
Original Assignee
신중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중배 filed Critical 신중배
Priority to KR10201901793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09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09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09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8Built-in cupboards; Masks of niches; Covers of holes enabling access to install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장 점검 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상세하게는 잠금부를 구비하여 잠금 또는 잠금을 해제가 가능하고 천장에 설치하는 천장 점검 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천장에 구비된 전선 또는 배관 등을 점검할 수 있는 천장 점검 구(100)에 있어서, 전선 또는 배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도어부(1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도어부(10)는 폐쇄시 둘러싸고 있는 몸통부(20)와 천장에 부착되는 접착부(21)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도어부(10)는 안쪽 하측면에 구비된 우측도어고정틀부(30)와 좌측도어고정틀부(31)를 구비하고 있으며 좌측이동틀부(40)와 우측이동틀부(41)에 각각 우측도어고정나사부3(160), 좌측도어고정나사부3(161)와 우측도어고정너트부3(192), 좌측도어고정너트부1(193)을 결합하여 상기 도어부(10)을 열고 닫을 수 있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도어부(10)의 배면부 상단에 구비된 열쇠구멍부(60)는 열쇠를 삽입시켜 도어부(10)안쪽면에 구비된 잠금부회전부(80)을 회전시켜 잠금부(70)를 상승 또는 하강 시켜 도어부(10)를 개폐할 수 있는 천장 점검 구(100)를 제공한다.
상기 제시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열쇠삽입부(60)는 열쇠를 삽입하여 잠금부회전부(80)를 회전시켜 잠금부(70)를 회전하여 도어부(10)를 개방한다.
상기 도어부(10)는 개방시 도어부 하측면에 구비된 도어우측고정틀부(30)와 도어좌측고정틀부(31), 하측 구비된 몸통부(20)와 결합된 접착부(21)는 접착부우측고정틀부(50)와 접착부좌측고정틀부(51)를 연결해주는 우측이동틀부(40)와 좌측이동틀부(41)가 펼쳐지면서 도어부(10)가 개방된다.
상기 우측이동틀부(40)와 좌측이동틀부(41)는 움직이기 위해서 도어우측고정틀부(30), 도어좌측고정틀부(31)에 각각 구비된 도어우측고정나사부3(160), 도어좌측고정나사부3(161)가 우측이동틀부(40)와 좌측이동틀부(41)의 가운데 파인 홈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도어부(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움직이는 특징이 있다.
상기 도어우측고정나사부3(160)와 도어좌측고정나사부3(161)는 도어부(10)로 상승시 개방이 가능하며 이때 도어부(10)의 안쪽에 구비된 잠금부(70)를 열쇠삽입부(60)에 열쇠를 삽입시켜 잠금부회전부(80)과 함께 좌측으로 회전시켜 잠금부(70)를 해제해야만 개방이 가능하다.
상기 도어우측고정나사부3(160)와 도어좌측고정나사부3(161)는 도어부(10)에서 하강시 폐쇄 가능하며 이때 도어부(10)의 안쪽에 구비된 잠금부(70)를 열쇠삽입부(60)에 열쇠를 삽입시켜 잠금부회전부(80)과 함께 우측으로 회전시켜 잠금부(70)를 다시 상승키켜야 폐쇄가 가능하다.
상기 도어부(10)는 오랜기간 사용함에 따라 재질 특성에 의해 부패 또는 낡음 등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도어부(10)는 교체가 가능하며 도어부 하측면에 구비된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와 도어좌측고정막대부(200)를 도어부(10)를 정면에서 본 기준으로 중앙으로 옮겨 도어부(10)를 제거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10)를 제거하여 교체시 도어우측고정틀부(30)와 도어좌측고정틀부(31)에 구비된 도어우측고정나사부3(160)와 도어좌측고정나사부3(161)에 결합된 도어우측고정너트부3(192)와 도어좌측고정너트부3(195)를 해제한 후에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와 도어좌측고정막대부(200)를 도어부(10)를 정면에서 본 기준으로 중앙으로 옮겨 도어부(10)를 제거하여 새로운 도어부(10)로 교체할 수 있는 천장 점검 구(100)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천장 점검 구{The ceiling access door}
본 발명은 천장 점검 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상세하게는 잠금부를 구비하여 잠금 또는 잠금을 해제가 가능하고 천장에 설치하는 천장 점검 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천장 내부에는 실내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배관, 배전선로 같은 각종 설비 등이 배치되며, 이들 설비들에 대하여 정기적으로 유지보수를 하거나 고장발생시 수리작업을 하기 위해 해당 천장면에는 점검구가 설치된다.
실내의 천장은 각종의 재질과 형상 또는 모양으로 이루어진 천장 마감재를 이용하여 천장과 일정의 간격을 두고 마감 처리한다.
그리고 천장재 위에는 전기 공급을 위하여 케이블이나 전선 등이 배선되거나 공기 순환을 위하여 덕트(duct, 풍도) 등이 배관된다.
천장 마감재로 마감 처리된 천장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각종 배선이나 배관상태를 점검하기 위하여 천장 점검구가 천장재에 결합 설치된다.
천장 점검구의 마감재에는 일정 크기의 고정프레임이 결합되고, 고정프레임 내측의 통공에 결합되어 개폐가 가능한 도어가 일체로 설치된다.
도어는 고정프레임의 일측에 힌지 등으로 결합되고, 도어에는 개폐를 위한 손잡이가 구비된다.
아파트나 빌라 등의 다층구조의 건물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건물의 상하로 이어지는 화재대피실을 구비하고 화재대피실을 이용하여 비상탈출을 할 수 있게 하는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로서 사용가능하다.
실용문헌 0001은 제품의 구성은 크게 틀(1)과 문(4)으로 이루어져 있고 틀(1)은 스텐레스 스틸 재질이며 스텐레스 스틸 재질로 이루어진 문을 정첩(3)을 사용하여 연결하였고, 외부에서는 보이지 않도록 틀(1)과 문(4)내부에 가스 스프링(2)을 장착하였다.
일반적으로 후레임 외경의 크기는 최소 50CMX50CM에서 최대 150CMX150CM정도까지 적용하였으며 더 큰 사이즈의 중량물에 대해서는 별도의 가스스프링 용량 대체 설계로 가능하다.
가스스프링(2)은 문(4)의 크기에 비례하여 그 길이 조정이 가능하고 도어의 무게에 비례하여 가스스프링(2)의 압력을 조절하여 양쪽에서 문(4)의 무게를 지탱하여 준다. 압력의 최소 범위는 8-60kg/F 까지 조절 가능함으로 일반적으로 도어의 무게가 120㎏인 경우까지는 별도의 가스 스프링을 사용하지 않고 기존의 기성품으로도 설치가 가능하다.
틀(1)에 설치되는 고무판(9)의 역할은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첫 번째는 도어를 닫을 시 소음이 나지 않도록 하기위함이고, 두 번째는 사람이 밟고 있는 동안이나 충격에 의해 좌우로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고무판(2)의 두께는 3m/m 이상의 제품을 사용하고 본드로 접착한다. 문(4)상부에 설치되는 마감재(6)는 사용자의 취향이나 주위 환경에 적합한 재질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합성수지 계열의 타일이나, 에프알피(FRP) 평판, 원목 무늬판, 대리석이나 화강석 등을 사용한다. 마감재(6)의 고정은 문(4)하부 철판에 접착제나 나사못 등을 사용하여 고정한다.
본 제품의 설치는 상기 사항들을 조합하여 조립하여 보양재로 포장한 후 설치 장소로 운반한 후 설치 위치 바닥이나 벽 등에 앙카 철물을 고정하고 그 상부에 틀(1)을 용접한다.
하지만 상기 실용문헌은 문의 안쪽에 무거운 물체가 존재하면 자동으로 문이 개방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상기 실용문헌은 문은 잠금 기능이 없다는 단점이 있다.
실용문헌 0002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출입구(111)가 형성되는 몸체(110); 및 상기 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동에 따라 상기 출입구(111)로 인입되거나 상기 출입구(111)로부터 인출되면서 상기 출입구
(111)를 개폐하는 도어(120)를 포함하는 천장 점검구(100)에 있어서, 상기 몸체(110)와 상기 도어(120)를 연결하면서 상기 도어(120)의 개폐에 따라 충격이 완충되도록 하는 한편, 개폐가 서서히 이루어지도록 하는 완충장치(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130)가 구비된 천장 점검구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완충장치(130)는, 상기 출입구(111)를 이루는 상기 몸체(110)의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후단부가 개방되는 본체(131); 및 후단부가 상기 도어(120)의 상부 양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단부가 상기 본체(131)의 내측으로 전후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드(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131)를 상기 몸체(1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1연결수단(140); 및 상기 로드(132)를 상기 도어(12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하는 제2연결수단(15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수단(140)은, 상기 출입구(111)를 이루는 상부 둘레에 고정되는 지지판(142)과, 상기 지지판(142)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143)을 포함하는 제1프레임(141); 상기 본체(131)의 전단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캡(144); 및 일측은 상기측판(143)에 연결되고, 타측으로 상기 제1연결캡(144)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고정부재(145)를 포함하며, 상기 제2연결수단(150)은, 상기 도어(120)에 고정되는 지지판(152)과, 상기 지지판(152)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측판(153)을 포함하는 제2프레임(151); 상기 로드(132)의 후단부에 연결되는 제2연결캡(154); 및 타측은 상기 측판(153)에 연결되고 일측에 상기 제2연결캡(154)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고정부재(15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성가 실용문헌 0002는 본체가 늘어난다는 장점이 있지만 문 개방시 형상유지를 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1는 화재대피실 측으로만 열리는 출입구도어에 도어자동잠금장치를 설치하여 화재대피실로 사람이 들어가면 곧 바로 출입구도어가 닫혀서 화재대피실로 연기가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 하도록 하고, 화재대피실의 내측 상부에는 사람이 빠져나가는 비상구 측으로 연기가 퍼져나가지 않게 하는 연기 차단수단을 설치하며, 출입구도어가 설치된 출입구쪽의 화재대피실의 내측 상부에 환기수단을 설치하여 사람이 화재대피실로 들어가는 과정에서 화재대피실로 연기가 들어오는 경우라도 1차적으로 사람이 빠져나가는 비상구측으로 연기가 퍼져나가지 않게 하고, 2차로는 화재대피실 내측의 환기수단이 화재대피실로 들어온 연기를 외측으로 배출시켜 연기에 의해 사람이 질식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다층구조 건물의 베란다나 또는 건물의 일측벽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 방호벽을 설치하여 상,하로 이어지는 화재대피실을 구비하고, 상기 화재대피실의 입구측 방호벽에는 출입구를 형성시키며, 상기 출입구에는 잠금장치를 구비한 상태로 화재대피실측으로만 개폐되는 출입구도어가 설치되고, 상기 화재대피실의 바닥면에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된 비상구에는 잠금장치를 구비한 상태로 상부측으로만 개폐되는 비상구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화재대피실의 내벽에는 사다리가 설치되고, 상기 비상구는 출입구와 간격을 두고 설치하여 사용자가 발을 디딜 수 있는 지지면이 형성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화재대피실의 내부에는 비상구측으로 연기가 퍼져가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하는 연기차단수단으로서, 출입구측과 비상구측을 구획하는 연기차단벽이 하향 설치되며, 상기 연기차단벽의 하단에는 그 자유단부가 비상구측의 벽면과 접촉하도록 하향 경사지는 개폐식차단판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개폐식차단판은 상단측 힌지부가 스프링을 개재시킨 상태로 연기 차단벽과 힌지식으로 연결 설치되며, 상기 출입구의 틀체와 출입구도어에는 출입구도어가 자동으로 닫히게 하는 도어클로우저가 설치되고, 상기 화재대피실 내측의 출입구가 설치된 쪽의 외벽에는 환풍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특허문헌 0001은 문이 무겁다는 단점이 있으며 사람이 탈출시 문을 밀어서 탈출을 해야한다는 점과 문위에 물체가 있을 시 개방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0002는 천장 마감재에 결합되는 고정프레임과, 고정프레임 내측에 삽입되어 개폐되도록 결합되는 도어로 이루어진 천장 점검구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의 내부 측면에 띠 형상으로 형성된 요홈; 상기 도어의 내측으로 패널을 지지하고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도어프레임; 상기 관통공을 통해 출입되면서 요홈에 탄성 지지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천장 점검구의 고정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천장 마감재가 외주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내부 측면에 띠 형상의 요홈이 형성되며 내부 일측면에 복수의 돌출된 고정돌기가 형성된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내측으로 삽입되어 개폐되도록 결합되고 고정프레임에 대응하는 도어프레임이 형성된 도어; 상기 도어프레임의 내측에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을 통해 출입되면서 요홈에 탄성 지지되는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프레임의 일측에 복수의 지지공이 형성되고, 지지공에 탄성을 가진 지지와이어의 지지바가 결합되며, 도어프레임에 결합되는 지지와이어와 대응하는 고정프레임 내측에 지지와이어가 고정돌기에 탈착가능하게 지지되는 천장 점검구의 고정장치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하지만 문을 개방시 고정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의 힘을 많이 사용하여야 하며 강제 개방시 문이 부서질 위험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실용문헌 000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307285 (고안의 명칭: 만능 박닥(천장)출입구) (실용문헌 0002)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20-0488517 (고안의 명칭: 완충장치가 구비된 천장 점검구) 대한민국등록특허 10-0757204 (발명의 명칭: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0-0093352 (발명의 명칭: 천장 점검구의 고정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천장에 설치되는 몸통부(20)로부터 도어부(10)의 개폐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열쇠구멍부(60)를 회전시켜 결합된 잠금부회전부(80)를 'ㅡ'자형으로 만들어 잠금부(70)를 해제할 수 있는 천장에 구비한 천장 점검 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 및 요구를 해결하기 위하여, 천장에 구비된 전선 또는 배관 등을 점검할 수 있는 천장 점검 구(100);에 있어서,
전선 또는 배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도어부(10);
상기 도어부(10)를 폐쇄시 둘러싸고 있는 몸통부(20);
상기 몸통부(20)를 천장에 부착하는 접착부(21);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 구(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몸통부(20)는 ‘ㅁ’자형 또는 모서리만 둥글게 마감처리 한 것 등의 모양으로 제작가능하며, 몸통부(20)의 중앙이 천공된 사각기둥 형태로 구비되어 천공된 구멍으로 상술한 도어부(10)가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보호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도어부(10)는 하측에 구비된 우측도어고정틀부(30)와 좌측도어고정틀부(31)를 구비하고 우측이동틀부(40)와 좌측이동틀부(41)에 각각 우측도어고정나사부3(160), 좌측도어고정나사부3(161)와 우측도어고정너트부3(192), 좌측도어고정너트부1(193)를 결합하여 상기 도어부(10)에 결합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우측이동틀부(40)는 상술한 좌측이동틀부(41)와 동일하게 중앙에 홈이 있어 우측도어고정틀부(30)과 결합된 우측도어고정나사부3(160)가 홈 사이를 움직여 도어부(10)가 개폐가 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좌측이동틀부(41)는 중앙에 홈이 있어 좌측도어고정틀부(31)와 결합된 좌측도어고정나사부3(161)가 홈 사이를 움직여 도어부(10)가 개폐가 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도어부(10)는 배면부 상단에 구비된 열쇠구멍부(60)에 열쇠를 삽입시켜 도어부(10)안쪽면에 구비된 잠금부회전부(80)을 회전시켜 잠금부(70)를 상승 또는 하강 시켜 도어부(10)를 개폐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는 천장 점검구(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잠금부에 대한 잠금 또는 잠금해제에 따라 천장에 설치되는 몸체부로부터 도어의 개폐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부를 탈착 또는 개폐가 용이하여 천장으로의 작업을 위한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오래 사용한 천장 점검 구의 도어부를 용이하게 교체시킬 수 있는 기능이 있어 경제성이 좋고 사용 기간이 연장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부를 구비하고 있어 관리자만 열 수 있기 때문에 보안에 강한 특징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분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 정면도 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 배면도 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우측고정막대부의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좌측고정막대부의 도면이다.
도 3d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부 사시도 이다.
도 3e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 회전부와 잠금부, 열쇠삽입부의 사시도 이다.
도 3f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어우측고정막대부의 의한 도어부와 몸통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g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정형 도어좌측고정막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측이동틀부의 사시도 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측이동틀부 분해도 이다.
도 4b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측이동틀부 사시도 이다.
도 4c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좌측이동틀부 분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몸통부 평면도 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측에서 본 사시도 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우측에서 본 사시도 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본 발명은 천장에 구비된 전선 또는 배관 등을 점검할 수 있는 천장 점검 구(100)에 있어서, 전선 또는 배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도어부(1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도어부(10)는 폐쇄 시 둘러싸고 있는 몸통부(20)와 천장에 부착하는 접착부(21)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몸통부(20)는 ‘ㅁ’자형 또는 모서리만 둥글게 마감처리 한 것 등의 모양으로 제작가능하며, 몸통부(20)의 중앙이 천공된 사각기둥 형태로 구비되어 천공된 구멍으로 상술한 도어부(10)가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보호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도어부(10)는 하측면에 우측도어고정틀부(30)와 좌측도어고정틀부(31)를 구비하고, 상술한 우측도어고정틀부(30)는 우측이동틀부(40)와 우측도어고정나사부3(160), 우측도어고정너트부3(192)를 결합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도어부(10)는 하측면에 도어좌측고정틀부(31)를 구비하고, 상술한 도어좌측고정틀부(31)는 좌측이동틀부(41)와 좌측도어고정나사부3(161), 좌측도어고정너트부1(193)를 결합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우측이동틀부(40)는 상술한 좌측이동틀부(41)와 동일하게 중앙에 홈이 있어 우측도어고정틀부(30)와 결합된 우측도어고정나사부3(160)가 홈 사이를 움직여 도어부(10)가 개폐가 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좌측이동틀부(41)는 중앙에 홈이 있어 좌측도어고정틀부(31)와 결합된 좌측도어고정나사부3(161)가 홈 사이를 움직여 도어부(10)가 개폐가 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우측이동틀부(40)는 중앙에 홈이 있어 우측도어고정틀부(30)와 결합된 우측도어고정나사부3(160)가 홈 사이를 움직여 도어부(10)가 개폐가 되는 작용을 하게 되는바 내구성이 높은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한 우측이동틀부(40)는 내구성이 높은 탄소강으로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우측이동틀부(40)의 재질은 탄소강으로서 탄소(C) 0.3~0.35, 규소(Si) 0.3~0.36, 망간(Mn) 1.3~1.35, 바나듐(V) 0.10~0.15, 질소(N) 0.01~0.012, 규소(Si) 0.1~0.35, 크롬(Cr) 0.3~1.5 중량(%)를 함유하고, 나머지는 철 및 첨가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어부(10)의 개폐시에 우측이동틀부(40)는 도어우측고정나사부3(160)에 의한 접촉 및 마찰이 일어나게 되며 그에 따라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 및 천장 점검구에 연결된 덕트 등에 의한 응결 및 화학적 작용으로 부식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한 첨가물은 우측이동틀부(40)의 강도를 더욱 높이고 내구성을 증진시켜서 부식 및 풍화를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첨가물은 인(P), 황(S), 알루미늄(Al), 몰리브덴(Mo), 탈크, 보로실리케이트(Borosilicate)를 혼합한 혼합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첨가물은 0.5~3중량%로 혼합되어 있는 것이 좋으며, 첨가물은 인(P) 100중량부에 황(S) 50~80중량부, 알루미늄(Al) 80~150중량부, 몰리브덴(Mo) 80~150중량부, 탈크 50~80중량부, 보로실리케이트(Borosilicate) 2~10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한 첨가물에서 보로실리케이트(Borosilicate)는 붕규산 유리라고도 하며 규산 대신에 붕산을 주체로 하는 유리로 붕산을 적어도 5% 이상 함유하며, 붕소를 첨가함으로써 팽창계수가 저하하여 화학적 내성, 특히 내산성 ·내후성(耐候性)이 증대하고, 내열충격성(耐熱衝擊性)이 풍부한 점이 특징이다.
특히, 본 발명은 상기한 첨가물에 천연 강화 첨가물을 더 혼합하여 우측이동틀부(40)의 내산성 및 내부식성을 현저히 높이는 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천장 점검구의 경우 욕실, 덕트, 냉방 또는 난방을 위한 배관, 배전선로 같은 각종 설비 등과 직접 연결되어 있어 물에 의한 부식, 산성 또는 염기성에 의한 화학적 풍화 현상 발생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은 상기한 첨가물에 천연 강화 첨가물을 더 혼합하여 우측이동틀부(40)의 내산성 및 내부식성을 현저히 높이는 작용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의 천연 강화 첨가물은 인(P)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80~200 중량부를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천연 강화 첨가물은 고삼 100중량부에 교맥 80~120중량부, 오매 80~120중량부, 자초 110~150중량부, 지부자 80~120중량부, 창출 30~55중량부, 목통 30~55중량부, 선퇴 50~80중량부, 형개 50~8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우측이동틀부(40)의 재질에 기능성 첨가물을 첨가하여 우측이동틀부(40)의 경도를 현저히 높이는 작용을 한다.
우측이동틀부(40)의 경도가 낮은 경우 개폐 작용에서 휘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기능성 첨가물을 첨가하여 이를 해결하는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인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기능성 첨가물을 0.2~1.5중량부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상기한 기능성 첨가물은 천궁 100중량부에 세신 80~120중량부, 천오두 80~120중량부, 백선피 80~120중량부, 맥문동 80~120중량부, 마황 80~120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한 천연 강화 첨가물 및 기능성 첨가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75~85%[질량%] 에탄올 1000중량부를 넣고,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여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80%[질량%] 에탄올 1000중량부를 넣고,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여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추출물은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분말 형태로 5~25중량부 정도 추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분말 형태의 추출물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좌측이동틀부(41)는 상기한 우측이동틀부(40)의 재료와 동일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열쇠구멍부(60)는 열쇠를 삽입시켜 상술한 도어부(10)의 안쪽면에 구비된 잠금부회전부(80)를 회전시켜 잠금부(70)를 상승 또는 하강 시켜 도어부(10)를 개폐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는 천장 점검구(100)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천장에 구비된 전선 또는 배관 등을 점검할 수 있는 천장 점검 구(100)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천장 점검 구(100)는 도어부(10)와 몸통부(20), 접착부(21)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술한 도어부(10)는 전선 또는 배관을 확인하는 부분이다.
상술한 몸통부(20)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도어부(20)의 외측면을 감싸고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몸통부(20)는 ‘ㅁ’자형 또는 모서리만 둥글게 마감처리 한 것 등의 모양으로 제작가능하며, 몸통부(20)의 중앙이 천공된 사각기둥 형태로 구비되어 천공된 구멍으로 상술한 도어부(10)가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보호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몸통부(20)는 접착부(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술한 접착부(21)는 천장에 도어부(10)를 부착할 수 있고 미관상 보기 좋게 하기 위하여 상술한 접착부(21)는 ‘ㅁ’자형 으로 제작하여 모서리를 둥글게 마감 처리 가능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도어부(10)는 잠금부(70)와 열쇠삽입부(60), 잠금부회전부(80), 잠금부회전부너트부1(150), 잠금부회전부너트부2(151) 도어우측고정틀부(30), 도어좌측고정틀부(31)를 구비하며 우측막대걸림쇠부(210), 좌측막대걸림쇠부(211)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잠금부(70)는 도어부(10)를 몸통부(20)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 시킬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잠금부회전부(80)는 잠금부회전부너트부1(150)과 잠금부회전부너트부2(151)를 결합하여 잠금부회전부(80)가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도어부(10)는 우측이동틀부(40)와 좌측이동틀부(41)를 구비하고 각각 도어우측고정나사부3(160), 도어좌측고정나사부3(161)가 상술한 우측이동틀부(40)와 좌측이동틀부(41)의 중앙에 구비된 홈를 관통하여 사이를 움직일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몸통부(20)는 하측면에 접착부(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술한 접착부(21)를 통하여 천장에 부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도어부(10)는 도어우측고정나사부1(110), 도어우측고정나사부2(111), 도어우측고정나사부3(160)와 도어우측고정너트부1(190), 도어우측고정너트부2(191), 도어우측고정너트부3(192), 좌측에는 도어좌측고정나사부1(112), 도어좌측고정나사부2(113), 도어좌측고정나사부3(161)와 도어좌측고정너트부1(193), 도어좌측고정너트부2(194), 도어좌측고정너트부3(195)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는 도 4 내지 도 4c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부(10)는 오른쪽 하측면에 도어우측고정틀부(30)를 구비하고 있고 상술한 도어우측고정틀부(30)는 도어우측고정나사부1(110), 도어우측고정나사부2(111)가 결합하는 부분이다.
도 2, 도 4 및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어우측고정틀부(30)는 도어우측고정나사부1(110), 도어우측고정나사부2(111), 도어우측고정나사부3(160)와 도어우측고정너트부1(190), 도어우측고정너트부2(191), 도어우측고정너트부3(192)가 결합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도어우측고정나사부1(110), 도어우측고정나사부2(111)는 도어우측고정틀부(30)가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하게 하고, 위치가 이탈되지 않도록 도어우측고정너트부1(190)와 도어우측고정너트부2(191)를 결합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도어우측고정나사부3(160)는 우측이동틀부(40)를 관통하여 결합하고 상술한 도어우측고정너트부3(192)와 결합하여 우측이동틀부(40)의 사이를 움직여 도어부(10)를 개폐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4b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술한 도어좌측고정틀부(31)는 도어좌측고정나사부1(112), 도어좌측고정나사부2(113), 도어좌측고정나사부3(161)와 도어좌측고정너트부1(193), 도어좌측고정너트부2(194), 도어좌측고정너트부3(195)가 결합하고, 상술한 도어좌측고정나사부3(161)는 좌측이동틀부(41)에 구비된 홈 사이를 움직여 도어부(1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술한 도어우측고정틀부(30)는 도어부(10)의 우측하단측에 바닥으로부터 8 ~ 12cm 이격시켜 구비되어 있으며 나사와 너트로 고정시키지만 추가적으로 용접하여 상술한 도어우측고정틀부(30)를 위치가 탈락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내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술한 도어좌측고정틀부(31)는 도어부(10)의 왼쪽 하단측에 바닥으로부터 일정간격 이격시켜 구비되어 있으며 나사와 너트로 고정시키지만 추가적으로 용접하여 상술한 도어우측고정틀부(30)를 위치가 탈락하지 않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술한 도어부(10)는 상측 중앙에서 5 ~ 10cm 이격된 거리에 잠금부(70)와 잠금부회전부(80), 열쇠삽입부(60)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잠금부회전부(80)는 잠금부(70)와 결합된 형태이고 잠금부회전부너트부1(150), 잠금부회전부너트부2(151)는 상술한 잠금부(70)와 맞물려 잠금부(70)가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잠금부회전부(80)는 열쇠삽입부(60)과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열쇠삽입부(60)에 열쇠를 삽입 시 회전을 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3 또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술한 도어부(10)는 상술한 제시한 것 이외에 추가적으로 하측면에서 4 ~ 8cm이격된 거리에 도어우측나사관통부1(120), 도어우측나사관통부2(121), 도어좌측나사관통부1(122), 도어좌측나사관통부2(123)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도어우측나사관통부1(120), 도어우측나사관통부2(121)는 도어우측고정나사부1(110), 도어우측고정나사부2(111)가 관통하여 도어우측고정틀부(30)를 고정시키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도어좌측나사관통부1(122), 도어좌측나사관통부2(123)는 도어좌측고정나사부1(112), 도어좌측고정나사부2(113)가 관통하여 도어좌측고정틀부(31)를 고정시키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도어부(10)는 우측걸림쇠막대관통부(230), 도어우측막대관통부(2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어부(10)는 좌측걸림쇠막대관통부(231), 도어좌측막대관통부(241)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b,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도어부(10)는 안쪽 하측에서 2 ~ 5cm 이격된 거리에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 우측막대걸림쇠부(210), 우측스프링부(220)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기한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는 당김부(200-1), 탄성작용부(200-2), 스프링지지부(200-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당김부(200-1)는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를 당길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한 탄성작용부(200-2)는 우측스프링부(220)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부분으로 당김부가 당겨지는 경우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에 탄성력이 작용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스프링지지부(200-3)는 탄성작용부(200-2)에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작용부(200-2)에 결합된 우측스프링부(220)가 탄성작용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도 3f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한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가 우측막대걸림쇠부(210)에 형성된 우측걸림쇠막대관통부(230)에 거치되고 지지되어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어부(10)를 몸통부(20)에 결합하거나 해제하는 경우 다음과 같이 작동하게 된다.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는 탄성작용부(200-2)의 말단부가 도어우측막대관통부(240) 및 접착부도어우측막대관통부(250)에 삽입이 되면 도어부(10)와 몸통부(20)에 결합하게 되는바, 이 결합된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의 당김부(200-1)를 잡아당기면 탄성작용부(200-2)가 왼쪽으로 움직이게 되며 탄성작용부(200-2)의 말단부가 삽입된 도어우측막대관통부(240) 및 접착부도어우측막대관통부(250)의 결합이 해제가 됨과 동시에 우측스프링부(220)가 탄성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탄성을 받은 탄성작용부(200-2)의 말단부가 도어부의 도어우측막대관통부(240) 및 접착부도어우측막대관통부(250)에 삽입되게 되면 도어부(10)와 몸통부(20)가 결합이 되고, 우측스프링부(220)가 우측막대걸림쇠부(210)에 의하여 탄성력을 받게 되므로 도어우측막대관통부(240) 및 접착부도어우측막대관통부(250)에 결합된 탄성작용부(200-2)의 말단부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도 3g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부(10)의 좌측 하단부는 고정형 도어좌측고정막대부(201-1)가 형성되어 있어서 몸통부(20)의 접착부도어좌측막대관통부(251)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고정형 도어좌측고정막대부(201-1)는 도어부에 접착되어 고정되어 있으며 결합봉의 형태를 가진 결합 구조 또는 수단을 의미한다.
상기한 구성과 작용으로 본 발명은 도어부(10)를 몸통부(20)에 용이하게 결합하지만 결합력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또한 도어부(10)를 몸통부(20)에서 용이하게 탈착하도록 하게 하여 작업의 능률성을 높이는 작용을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부(10)에서 도어좌측고정막대부(201), 좌측막대걸림쇠부(211), 좌측스프링부(22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어좌측고정막대부(201)는 당김부(201-1), 탄성작용부(201-2), 스프링지지부(20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도어좌측고정막대부(201)의 구조와 기능은 상기한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와 동일하게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우측스프링부(220)의 재질은 탄성력이 좋고 복원력이 좋은 탄소강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우측스프링부(220)의 재질은 특수한 탄소강으로 되어 있어서 우측스프링부(220)의 탄성력을 높이고 복원력을 현저히 높여서 사용자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잡아당길 수 있으며 용이하게 복원되는 기능을 수행하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상기한 우측스프링부(220)의 탄소강의 재질은 바람직하게는 철(Fe) 100 중량부에 탄소(C) 0.5 ~1.5 중량부, 망간(Mn) 1~3 중량부, 인(P) 0.001~0.01 중량부, 황(S) 0.001 ~0.01 중량부, 구리(Cu) : 0.3 ~ 1.5 중량부, 니켈(Ni) 0.1~ 1중량부, 크롬(Cr) 0.05~0.3 중량부, 몰리브덴(Mo) 0.1~ 0.3 중량부, 알루미늄(Al) 0.01~ 0.08 중량부를 포함한 것으로 된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한 우측스프링부(220)의 탄성력을 높이고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강화 첨가물을 탄소강에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철(Fe) 100 중량부에 강화 첨가물을 0.1~0.5 중량부 혼합하여 탄성력을 높이고 강도를 현저히 높이게 된다.
본 발명의 강화 첨가물은 수산화알루미늄 100중량부에 탈크 2~10중량부, 리튬 1~5중량부, 칼슘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한 강화 첨가물이 포함된 탄소강으로 된 우측스프링부(220)의 탄성력이 적정하게 유지되고 강화 첨가물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보다 약 1.2~1.5배의 강도가 증진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우측스프링부(220)는 몸통부(20)와 가깝게 형성되어 있고 천장의 덕트, 통로 등에서 발생하는 응결현상으로 우측스프링부(220)가 물에 의한 부식, 산성에 의한 부식 및 탄성력의 감소 등이 발생할 수 있는바, 상기한 탄소강에 천연 첨가물을 혼합하여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철(Fe) 100 중량부에 천연 첨가물을 0.01~0.05 중량부 혼합하는 것이 내구성, 내산성 및 내부식성이 현저히 높게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의 천연 첨가물은 창출 100중량부에 함초 50~80중량부, 나복자 10~40중량부, 길경 10~40중량부, 생지황 110~150중량부, 지부자 50~80중량부, 백출 100~150중량부, 위령선 80~120 중량부, 선퇴 80~120 중량부, 시호 80~120 중량부, 적복령 80~120 중량부, 지각 80~120 중량부, 천마 80~1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한 천연 첨가물을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75~85%[질량%] 에탄올 1000중량부를 넣고,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여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의 혼합한 원재료 100 중량부에 80%[질량%] 에탄올 1000중량부를 넣고, 3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고 여액을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하는 방법으로 추출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은 추출물은 혼합한 원재료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5~25중량부 정도 추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우측스프링부(220)는 도어의 무게가 많아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음에도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를 쉽게 안쪽으로 당겨 문을 해체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좌측스프링부(221)는 도어의 무게가 많아 작업상의 어려움이 있음에도 도어좌측고정막대부(201)를 쉽게 안쪽으로 당겨 문을 해체 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는 우측걸림쇠막대관통부(230)와 도어우측막대관통부(240)를 관통하기 위하여 5 ~ 10cm 길이로 제작이 가능하다. 단 제작 형태나 크기에 따라 상술한 제시된 길이보다 크게 제작 가능한 특징이 있다.
상술한 도어좌측고정막대부(201)는 좌측걸림쇠막대관통부(231)와 도어좌측막대관통부(241)를 관통하기 위하여 5 ~ 10cm 길이로 제작이 가능하다. 단 제작 형태나 크기에 따라 제시된 길이보다 크게 제작 가능한 특징이 있다.
도 3b 또는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도어우측막대관통부(240)는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가 관통하고 막대가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술한 도어좌측막대관통부(241)는 도어좌측고정막대부(201)가 관통하고 막대가 위치를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부분이다.
도 4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부(10)는 도어우측나사관통부1(120), 도어우측나사관통부2(121)에 도어우측고정틀부(30)를 맞추고 도어우측고정나사부1(110), 도어우측고정나사부2(111)와 도어우측고정너트부1(190), 도어우측고정너트부2(191)를 결합시켜 도어우측고정틀부(30)를 고정시킨다.
상술한 도어우측나사관통부1(120)와 도어우측나사관통부2(121)는 도어우측고정나사부1(110), 도어우측고정나사부2(111)와 도어우측고정너트부1(190), 도어우측고정너트부2(191)를 결합시켜 도어우측고정틀부(30)가 결합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도어부(10)는 도어좌측나사관통부1(122), 도어좌측나사관통부2(123)에 도어좌측고정틀부(31)를 맞추고 도어좌측고정사사부1(112), 도어좌측고정나사부2(113)와 도어좌측고정너트부1(193), 도어좌측고정너트부2(194)를 결합시켜 도어우측고정틀부(30)를 고정시킨다.
상술한 도어좌측나사관통부1(122)와 도어좌측나사관통부2(123)는 도어좌측고정사사부1(112), 도어좌측고정나사부2(113)와 도어좌측고정너트부1(193), 도어좌측고정너트부2(194)가 결합하는 부분이다.
상술한 도어우측고정틀부(30)와 도어좌측고정틀부(31)는 추가적으로 용접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술한 도어부(10)는 상측에서 4 ~ 8cm 이격된 거리에 구비된 열쇠삽입구(60)는 잠금부회전부(80), 잠금부(70), 잠금부회전부너트부1(150), 잠금부회전부너트부2(151)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열쇠삽입구(60)는 열쇠를 삽입하는 부분이며 상술한 도어부(10)를 잠그고 열 수 있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열쇠삽입구(60)는 잠금부회전부(80)와 잠금부(70)가 함께 결합된 형태로 상술한 잠금부(70)는 잠금부회전부너트부1(150), 잠금부회전부너트부2(151)를 구비하여 잠금부(70)가 위치가 틀어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4 또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우측이동틀부(40)는 상측에는 도어우측고정틀부(30), 하측에는 접착부우측고정틀부(50)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도어우측고정틀부(30)는 나사와 너트가 서로 결합하여 도어부(10)의 하측면에 구비된 도어우측나사관통부1(120), 도어우측나사관통부2(121)에 고정시킨다.
상술한 나사는 도어우측고정나사부1(110)와 도어우측고정나사부2(111), 도어우측고정나사부3(160)를 의미하고, 상술한 너트는 도어우측고정너트부1(190)와 도어우측고정너트부2(191), 도어우측고정너트부3(192)를 의미한다.
상술한 도어우측고정틀부(30)는 도어우측고정나사부1(110), 도어우측고정나사부2(111), 도어우측고정나사부3(160)가 관통하는 도어우측고정틀나사관통부1(184), 도어우측고정틀나사관통부2(185), 도어우측고정틀나사관통부3(186)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도어우측고정틀나사관통부2(185), 도어우측고정틀나사관통부3(186)은 도어우측고정나사부1(110), 도어우측고정나사부2(111)를 관통하여 도어부(10)과 결합하는 부분이다.
본 발명의 접착부우측고정틀부(50)는 나사와 너트로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상술한 나사와 너트는 우측접착부나사부1(130), 우측접착부나사부2(131), 우측접착부나사부3(170), 우측접착부너트부1(140), 우측접착부너트부2(141), 우측접착부너트부3(142)를 의미하고 결합하여 고정하는 특징이 있다.
상술한 접착부우측고정틀부(50)는 접착부우측고정틀나사관통부1(180), 접착부우측고정틀나사관통부2(182), 접착부우측고정틀나사관통부3(183)는 우측접착부나사부1(130), 우측접착부나사부2(131), 우측접착부나사부3(170)가 관통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접착부우측고정틀나사관통부2(182), 접착부우측고정틀나사관통부3(183)는 우측접착부나사부1(130), 우측접착부나사부2(131)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부분이다.
상술한 도어우측고정나사부3(160)는 도어우측이동틀부(40)를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며 우측접착부나사부3(170)는 도어우측고정나사부3(160)과 반대로 우측이동틀나사관통부(181)를 관통하여 고정된 형태이다.
도 4b 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도어좌측고정틀부(31)는 나사와 너트가 서로 결합하여 도어부(10)의 하측면에 구비된 도어좌측나사관통부1(122), 도어좌측나사관통부2(123)에 고정시킨다.
상술한 도어좌측고정틀부(31)는 도어좌측고정나사부1(112), 도어좌측고정나사부2(113), 도어좌측고정나사부3(161)이 관통하는 도어좌측고정틀나사관통부1(302), 도어좌측고정틀나사관통부2(303), 도어좌측고정틀나사관통부3(304)를 구비하고 상술한 도어좌측고정나사부3(161)는 상술한 도어좌측고정틀부(31)에 구비된 홈에서 움직일 수 있어 도어부(10)를 개폐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도어좌측고정틀나사관통부1(302)는 도어좌측고정나사부1(112)가 관통하여 결합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으며 이는 도어좌측고정틀나사관통부2(303)와 도어좌측고정틀나사관통부3(304)에도 동일하게 적용한다.
상술한 접착부좌측고정틀부(51)는 나사와 너트로 결합하여 상술한 접착부좌측고정틀부(51)를 고정시킨다.
상술한 접착부좌측고정틀부(51)는 접착부좌측고정틀나사관통부1(300), 접착부좌측고정틀나사관통부2(310), 접착부좌측고정틀나사관통부3(311)를 구비하고 좌측접착부나사부1(132), 좌측접착부나사부2(133), 좌측접착부나사부3(171)이 관통하여 상술한 접착부좌측고정틀부(51)를 고정되도록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접착부좌측고정틀나사관통부2(310)는 좌측접착부나사관통부1(262)에 맞닫는 부분이며, 좌측접착부나사부1(132), 좌측접착부나사부2(133)를 관통하여 결합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좌측접착부나사관통부1(262)와 좌측접착부나사관통부2(263)는 상술한 접착부좌측고정틀나사관통부2(310)와 동일하게 좌측접착부나사부1(132), 좌측접착부나사부2(133)가 관통하여 결합하는 특징이 있는 부분이다.
상술한 도어좌측고정나사부3(161)는 도어좌측이동틀부(41)를 자유롭게 이동가능하며 좌측접착부나사부3(171)는 도어좌측고정나사부3(161)과 반대로 좌측이동틀나사관통부(301)를 관통하여 고정된 형태로 구성된다.
도 5, 도 5a 또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20)는 접착부(21)과 결합되어 있는 형태이다.
상술한 몸통부(20)는 ‘ㅁ’자형 또는 모서리만 둥글게 마감처리 한 것 등의 모양으로 제작가능하며, 몸통부(20)의 중앙이 천공된 사각기둥 형태로 구비되어 천공된 구멍으로 상술한 도어부(10)가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보호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몸통부(20)는 접착부(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술한 접착부(21)는 천장에 도어부(10)를 부착할 수 있고 미관상 보기 좋게 하기 위하여 상술한 접착부(21)는 ‘ㅁ’자형 으로 제작하여 모서리를 둥글게 마감 처리 가능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술한 몸통부(20)는 내측 우측바닥에 우측접착부나사관통부1(260), 우측접착부나사관통부2(261)를 구비하고 있고, 내측 좌측바닥에 좌측접착부나사관통부1(262), 좌측접착부나사관통부2(263)를 구비하고 있다.
상술한 몸통부(20)는 내측에 마주보는 구조로 접착부도어우측막대관통부(250) 또는 접착부도어좌측막대관통부(251)를 구비하고 있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접착부도어우측막대관통부(250)는 상술한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가 삽입되어 도어부(10)를 몸통부(20)에 결합시키는 쉽게 해체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한 접착부도어좌측막대관통부(251)는 도어좌측고정막대부(201)가 들어가서 도어부(10)를 몸통부(20)에 결합시켜 쉽게 해체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제시된 구성을 통해 상세하게 천장 점검 구(100)를 구동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쇠삽입부(60)는 열쇠를 삽입하여 잠금부회전부(80)를 회전시켜 잠금부(70)를 회전하여 도어부(10)를 개방한다.
도 1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도어부(10)는 개방 시 도어부 하측에 구비된 도어우측고정틀부(30)와 도어좌측고정틀부(31), 하측 구비된 몸통부(20)와 결합된 접착부(21)는 접착부우측고정틀부(50)와 접착부좌측고정틀부(51)를 연결해주는 우측이동틀부(40)와 좌측이동틀부(41)가 펼쳐지면서 도어부(10)가 개방된다.
도 4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우측이동틀부(40)와 좌측이동틀부(41)는 움직이기 위해서 도어우측고정틀부(30), 도어좌측고정틀부(31)에 각각 구비된 도어우측고정나사부3(160), 도어좌측고정나사부3(161)가 우측이동틀부(40)와 좌측이동틀부(41)의 가운데 파인 홈을 따라 위아래로 움직이면서 도어부(10)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도록 움직이는 특징이 있다.
상술한 도어우측고정나사부3(160)와 도어좌측고정나사부3(161)는 도어부(10)로 상승시 개방이 가능하며 이때 도어부(10)의 안쪽에 구비된 잠금부(70)를 열쇠삽입부(60)에 열쇠를 삽입시켜 잠금부회전부(80)과 함께 좌측으로 회전시켜 잠금부(70)를 해제해야만 개방이 가능하다.
상술한 도어우측고정나사부3(160)와 도어좌측고정나사부3(161)는 도어부(10)에서 하강 시 폐쇄 가능하며 이때 도어부(10)의 안쪽에 구비된 잠금부(70)를 열쇠삽입부(60)에 열쇠를 삽입시켜 잠금부회전부(80)와 함께 우측으로 회전시켜 잠금부(70)를 다시 상승시켜야 폐쇄가 가능하다.
상술한 도어부(10)는 오랜기간 사용함에 따라 재질 특성에 의해 부패 또는 낡음 등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하다.
도 4a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어부(10)는 교체가 가능하며 도어부 하측에 구비된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와 도어좌측고정막대부(200)를 도어부(10)를 정면에서 본 기준으로 중앙으로 옮겨 도어부(10)를 제거 할 수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도어부(10)를 제거하여 교체 시 도어우측고정틀부(30)와 도어좌측고정틀부(31)에 구비된 도어우측고정나사부3(160)와 도어좌측고정나사부3(161)에 결합된 도어우측고정너트부3(192)와 도어좌측고정너트부3(195)를 해제한 후에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와 도어좌측고정막대부(200)를 도어부(10)를 정면에서 본 기준으로 중앙으로 옮겨 도어부(10)를 제거하여 새로운 도어부(10)로 교체할 수 있는 천장 점검 구(100)를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의 천장 점검 구는 안전, 보안성이 뛰어나 제조, 생산하는 사업에 유용하다.
특히 본 발명은 잠금부를 구비하여 관리자외 사용자가 사용할 수 없도록 하여 보안성이 뛰어나 제조, 생산하는 산업에 유용하다.
10: 도어부 20: 몸통부
21: 접착부 30: 도어우측고정틀부
31: 도어좌측고정틀부 40: 우측이동틀부
41: 좌측이동틀부 50: 접착부우측고정틀부
51: 접착부좌측고정틀부 60: 열쇠삽입부
70: 잠금부 80: 잠금부회전부
100: 천장 점검 구 110: 도어우측고정나사부1
111: 도어우측고정나사부2 112: 도어좌측고정나사부1
113: 도어좌측고정나사부2 120: 도어우측나사관통부1
121: 도어우측나사관통부2 122: 도어좌측나사관통부1
123: 도어좌측나사관통부2 130: 우측접착부나사부1
131: 우측접착부나사부2 132: 좌측접착부나사부1
133: 좌측접착부나사부2 140: 우측접착부너트부1
141: 우측접착부너트부2 142: 우측접착부너트부3
143: 좌측접착부너트부1 144: 좌측접착부너트부2
145: 좌측접착부너트부3 150: 잠금부회전부너트부1
151: 잠금부회전부너트부2 160: 도어우측고정나사부3
161: 도어좌측고정나사부3 170: 우측접착부나사부3
171: 좌측접착부나사부3 180: 접착부우측고정틀나사관통부1
181: 우측이동틀나사관통부 182: 접착부우측고정틀나사관통부2
183: 접착부우측고정틀나사관통부3 184: 도어우측고정틀나사관통부1
185: 도어우측고정틀나사관통부2 186: 도어우측고정틀나사관통부3
190: 도어우측고정너트부1 191: 도어우측고정너트부2
192: 도어우측고정너트부3 193: 도어좌측고정너트부1
194: 도어좌측고정너트부2 195: 도어좌측고정너트부3
200: 도어우측고정막대부 201: 도어우측고정막대부
210: 우측막대걸림쇠부 211: 좌측막대걸림쇠부
220: 우측스프링부 221: 좌측스프링부
230: 우측걸림쇠막대관통부 231: 좌측걸림쇠막대관통부
240: 도어우측막대관통부 241: 도어좌측막대관통부
250: 접착부도어우측막대관통부 251: 접착부도어좌측막대관통부
260: 우측접착부나사관통부1 261: 우측접착부나사관통부2
262: 좌측접착부나사관통부1 263: 좌측접착부나사관통부2
300: 좌측접착부고정틀나사관통부1 301: 좌측이동틀나사관통부
302: 좌측도어고정틀나사관통부1 303: 좌측도어고정틀나사관통부2
304: 좌측도어고정틀나사관통부3 310: 좌측접착부고정틀나사관통부2
311: 좌측접착부고정틀나사관통부3

Claims (3)

  1. 천장에 구비된 전선 또는 배관 등을 점검할 수 있는 천장 점검 구(100)에 있어서,
    전선 또는 배관 등을 확인할 수 있는 도어부(10);
    상기 도어부(10)를 폐쇄시 둘러싸고 있는 몸통부(20);
    상기 몸통부(20)를 천장에 부착하는 접착부(21);로 구성되되,
    상기 도어부(10)의 하측에 구비된 우측도어고정틀부(30)와 좌측도어고정틀부(31)를 구비하고 있으며 우측이동틀부(40)와 좌측이동틀부(41)에 각각 우측도어고정나사부3(160), 좌측도어고정나사부3(161)와 우측도어고정너트부3(192), 좌측도어고정너트부1(193)을 결합하여 상기 도어부(10)을 열고 닫을 수 있게 움직일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도어부(10)에는 우측막대걸림쇠부(210), 좌측막대걸림쇠부(211)가 구비되고,
    우측스프링부(220), 당김부(200-1), 탄성작용부(200-2), 스프링지지부(200-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가 구비되고,
    좌측스프링부(221), 당김부(201-1), 탄성작용부(201-2), 스프링지지부(20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도어좌측고정막대부(201)가 구비되며,
    상기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가 우측막대걸림쇠부(210)에 형성된 우측걸림쇠막대관통부(230)에 거치되고 지지되어 좌우로 움직일 수 있게 되고 몸통부(20)에 형성된 도어우측막대관통부(240) 및 접착부도어우측막대관통부(250)에 삽입되거나 결합이 해제되는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도어좌측고정막대부(201)의 기능은 상기 도어우측고정막대부(200)와 동일하게 수행되어 도어부(10)가 몸통부(20)에 결합되고 해제되는 기능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 구(100).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스프링부(220)의 재질은 철(Fe) 100 중량부에 탄소(C) 0.5 ~1.5 중량부, 망간(Mn) 1~3 중량부, 인(P) 0.001~0.01 중량부, 황(S) 0.001 ~0.01 중량부, 구리(Cu) : 0.3 ~ 1.5 중량부, 니켈(Ni) 0.1~ 1중량부, 크롬(Cr) 0.05~0.3 중량부, 몰리브덴(Mo) 0.1~ 0.3 중량부, 알루미늄(Al) 0.01~ 0.08 중량부를 포함한 탄소강이고,
    상기 철(Fe) 100 중량부에 강화 첨가물을 0.1~0.5 중량부 혼합하되,
    상기 강화 첨가물은 수산화알루미늄 100중량부에 탈크 2~10중량부, 리튬 1~5중량부, 칼슘 1~5 중량부를 혼합하여 조성한 것이고,
    상기 철(Fe) 100 중량부에 천연 첨가물을 0.01~0.05 중량부가 혼합되되,
    상기 천연 첨가물은 창출 100중량부에 함초 50~80중량부, 나복자 10~40중량부, 길경 10~40중량부, 생지황 110~150중량부, 지부자 50~80중량부, 백출 100~150중량부, 위령선 80~120 중량부, 선퇴 80~120 중량부, 시호 80~120 중량부, 적복령 80~120 중량부, 지각 80~120 중량부, 천마 80~1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추출한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 구(100).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10)의 배면부 상단에 구비된 열쇠구멍부(60)는 열쇠를 삽입시켜 도어부(10)안쪽면에 구비된 잠금부회전부(80)을 회전시켜 잠금부(70)를 상승 또는 하강 시켜 도어부(10)를 개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장 점검 구(100).
KR1020190179347A 2019-12-31 2019-12-31 천장 점검 구 KR1022709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347A KR102270912B1 (ko) 2019-12-31 2019-12-31 천장 점검 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347A KR102270912B1 (ko) 2019-12-31 2019-12-31 천장 점검 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0912B1 true KR102270912B1 (ko) 2021-06-29

Family

ID=76626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347A KR102270912B1 (ko) 2019-12-31 2019-12-31 천장 점검 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091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75U (ja) * 1993-07-14 1995-02-14 トックベアリング株式会社 開閉部材の作動緩衝装置
JPH08254008A (ja) * 1995-03-15 1996-10-01 Daiken:Kk 天井点検口
KR200307285Y1 (ko) 2002-07-26 2003-04-16 다우산업개발(주) 만능 바닥(천장) 출입구
KR100757204B1 (ko) 2006-09-06 2007-09-11 남주희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20100093352A (ko) 2009-02-16 2010-08-25 이영권 천장 점검구의 고정장치
KR200488517Y1 (ko) 2018-06-19 2019-02-14 김종희 완충장치가 구비된 천장 점검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0575U (ja) * 1993-07-14 1995-02-14 トックベアリング株式会社 開閉部材の作動緩衝装置
JPH08254008A (ja) * 1995-03-15 1996-10-01 Daiken:Kk 天井点検口
KR200307285Y1 (ko) 2002-07-26 2003-04-16 다우산업개발(주) 만능 바닥(천장) 출입구
KR100757204B1 (ko) 2006-09-06 2007-09-11 남주희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20100093352A (ko) 2009-02-16 2010-08-25 이영권 천장 점검구의 고정장치
KR200488517Y1 (ko) 2018-06-19 2019-02-14 김종희 완충장치가 구비된 천장 점검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464040A (zh) 火灾及灾难避难装置
US7650723B1 (en) Concealed emergency attic egress system
KR102270912B1 (ko) 천장 점검 구
US20060230695A1 (en) Window shutter system
KR100860205B1 (ko) 시공이 용이한 소화전
CN108252636A (zh) 智能安全防火逃生系统
CN208950483U (zh) 一种智能家具用防火门
US20090217604A1 (en) Mullion base plate extension
CN215408156U (zh) 一种安装于grc幕墙上的消防救援窗
CN107288507A (zh) 一种隔烟逃生防火门
US20070033881A1 (en) Safety and security block window system
CN209704418U (zh) 一种隔热效果好的防火门
CN211397289U (zh) 一种具有隐藏式自动关闭装置的防火窗
US20050166367A1 (en) Window egress assistance handle
CN201024866Y (zh) 可拆装连锁式铝塑纱窗防盗护栏
CN210644870U (zh) 楼房火灾地震逃生装置
CN104033088A (zh) 一种无钥匙孔防盗门
CN2611552Y (zh) 一种安全复合窗
CN105927132B (zh) 防盗逃生窗
CN217106652U (zh) 一种复合型古建门窗
CN2934533Y (zh) 新型防盗窗
CN210508910U (zh) 一种防火窗外框及防火窗
CN2345667Y (zh) 安全防护窗
CN219081369U (zh) 具有消防功能的铝合金窗
CN219365528U (zh) 一种旧楼加装电梯的楼梯间平层入户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