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30460B1 - 지하 구조물용 비상 탈출구조 - Google Patents

지하 구조물용 비상 탈출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30460B1
KR100530460B1 KR10-2003-0088113A KR20030088113A KR100530460B1 KR 100530460 B1 KR100530460 B1 KR 100530460B1 KR 20030088113 A KR20030088113 A KR 20030088113A KR 100530460 B1 KR100530460 B1 KR 100530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cape
smoke
emergency
entranc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8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2157A (ko
Inventor
안상현
Original Assignee
안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현 filed Critical 안상현
Publication of KR200500221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21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4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5/00Other devices for rescuing from f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3/00Devices or single parts for facilitating escape from buildings or the like, e.g. protection shields, protection screens;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smoke penetrating into distinct parts of build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철로나 지하도 등의 지하 구조물의 내부에서 화재나 폭발, 붕괴 등의 비상사태 발생 시 연기나 먼지, 유독가스 등에 의해 해당 구조물의 출입구를 찾기 어려운 경우 신속하게 외부로의 비상 탈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탈출구가 지하 구조물의 내부와 연결되는 상태로 지하 구조물의 측면 지하에 적정 수로 매립 설치되는 지하 구조물용 비상탈출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비상 탈출에 필요한 모든 구조를 일체화된 단일의 유니트로 구성시켜 비상탈출구조의 구현이 간편하고 설치가 신속 용이하여 발명의 적용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진입구와 탈출통로의 계단사이에 일정 폭의 차연(遮煙)구조를 두어 지하 구조물에서 발생된 연기가 탈출통로로 진입될 수 없도록 하여 탈출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진입구에서 1차적 안전지대인 탈출통로의 초입까지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봉의 외주면에 촉감에 의해 방향성을 부여할 수 있는 형태의 방향 안내구를 다수 설치한 방향 가이드를 구비시켜 연기에 의해 가시능력이 상실된 상태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정확하게 탈출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고 안전한 탈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하 구조물용 비상 탈출구조{THE EMERGENCY ESCAPE STRUCTURE FOR SUBSTRUCTURE}
본 발명은 지하철로나 지하도 등의 지하 구조물의 내부에서 화재나 폭발, 붕괴 등의 비상사태 발생 시 연기나 먼지, 유독가스 등(이하 설명의 편의상 연기로 통침함)에 의해 해당 구조물의 출입구를 찾기 어려운 경우 신속하게 외부로의 비상 탈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탈출구가 지하 구조물의 내부와 연결되는 상태로 지하 구조물의 측면 지하에 적정 수로 매립 설치되는 지하 구조물용 비상탈출구조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비상 탈출에 필요한 모든 구조를 일체화된 단일의 유니트로 구성시켜 비상탈출구조의 구현이 간편하고 설치가 신속 용이하여 발명의 적용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진입구와 탈출통로의 계단사이에 차연(遮煙)구조를 두어 지하 구조물에서 발생된 연기가 탈출통로로 진입될 수 없도록 하여 탈출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진입구에서 1차적 안전지대인 탈출통로의 초입까지의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봉의 외주면에 촉감에 의해 방향성을 부여할 수 있는 형태의 방향 안내구를 다수 설치한 방향 가이드를 구비시켜 연기에 의해 가시능력이 상실된 상태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정확하게 탈출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고 안전한 탈출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근자에 들어 각종 대형 인명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지하철이나 지하도 등 환기가 불량하고 밀폐성이 강한 지하공간에서의 화재는 연기의 외부 배출이 불량하고 외부 전원의 단락이 초래되어 짙은 연기와 조명램프의 일시 소등에 의해 시야확보를 어렵게 하고 암흑 공간에 의해 말초적인 공포감이 조장됨으로써 이성을 놓친 무분별한 행동으로 인하여 출구를 찾지 못하고 우왕좌왕 하다가 연기에서 발생되는 유독가스와 열기에 의해 생명을 잃는 일이 허다하였던 것이다. 한편 건물의 지하실, 지하철, 지하도 등 지하공간에서는 화재 시를 감안하여 상향식으로 이어지는 계단과 같은 지상으로의 대피로가 구비되고 있으나 이는 시야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입구를 찾기 어려울 뿐더러 탈출 방향을 감지하기 어려워 방향을 잃고 헤매게 됨으로써 탈출이 지연되고 이로 인해 인명의 희생이 늘어나게 되었다. 또한 대피로가 굴뚝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대피로서의 제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없었던 것으로, 즉, 화재 시의 열과 연기는 높은 온도로 인하여 팽창하면서 상승하려는 특성을 가지게 되는데, 지상으로 연결되는 계단이 설치된 공간은 지하로부터 지상을 향하여 계속해서 올라가는 구조를 가지므로 열과 연기는 계단을 통하여 지상으로 배출되는 것이어서 계단을 통하여 대피하려는 사람들은 열과 연기에 무방비로 노출될 수밖에 없어 탈출 성공률이 극히 저하되어 사람들을 안전하게 대피하는 주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워 실효성이 없었던 것이다.또한 계단식으로 마련되는 비상통로는 지하 구조물의 일부로서 콘크리트 구조물로 구성되는 것이어서 전체적인 지하 구조물의 설계와 시공이 복잡하게 되어 시간과 인력의 소모가 크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구조물의 시공 비 상승을 초래하였던 것이었다.따라서 지하철이나 지하도 등의 지하 구조물에는 상기와 같은 기 설치된 계단식의 출입구나 비상통로가 아닌 연기나 화기가 차단되고 탈출방향의 혼동을 야기시키지 않으며, 지하 구조물과 별개로 독립적으로 설치가 가능한 실효성을 가진 비상탈출구의 적용이 간절하게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존의 구조에서 기인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비상 탈출에 필요한 모든 구조를 일체화된 단일의 유니트로 구성시켜 비상탈출구조의 구현이 간편하고 설치가 신속 용이하여 발명의 적용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지하 구조물에서 발생된 연기가 탈출통로로 진입될 수 없도록 하여 탈출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연기에 의해 가시능력이 상실된 상태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정확하게 탈출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고 안전한 탈출을 유도할 수 있는 비상탈출구조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며,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 벽면에 도어를 가진 탈출구가 구비되며 내부에 탈출통로가 구비되고 상기 탈출구 본체의 하단에 내부와 연통되는 상태로 구성되며 탈출자를 탈출구 본체내로 안내하기 위한 진입구 및 내부에 상기 탈출구 본체 내부의 바닥에서 탈출구까지 이어지도록 일체로 구성되는 다단의 탈출계단을 갖는 박스형의 탈출구 본체를 제시한다.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진입구와 탈출계단의 사이에 구성되며 연기가 탈출통로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연(遮煙)구조를 제시한다.또한 본 발명은 진입구에서 1차적 안전지대인 탈출통로의 초입(初入) 사이에 고정 설치되며 가이드 봉체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촉감에 의해 방향성을 부여할 수 있는 형태의 방향 안내구를 다수 설치한 방향 가이드를 제시한다.이하, 첨부되는 도면에 의거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성 예를 보이는 요부 단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지하철로에 적용한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 구성을 보이는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요부 단면도를 보인 것으로서, 본 고안에 적용되는 탈출구 본체(10)의 내부에는 탈출계단(30)을 따라 이어지는 탈출통로(11)가 마련된다.또한 탈출구 본체(10)는 특정한 소재로 한정되지 않으나 원형 또는 사각 관체형으로 구성되고, 내열성과 내구성 및 내부식성이 강한 합성수지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 등의 소재로 구성됨이 적당하다.상기 탈출구 본체(10)의 상단 벽면에는 외부로 나갈 수 있는 도어(12)를 가진 탈출구(13)가 구비되며 도어(12)는 탈출자만이 조작할 수 있도록 안에서만 괘, 해정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탈출구 본체(10)는 도 2에서와 같이 지하 구조물(S)에 근접되는 위치의 지면을 파내어 설치공간을 마련한 다음 이에 본 발명을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매립 설치하게 되며, 이때 상기 탈출구(13)는 지상으로 노출되도록 하며 진입구(20)는 지하 구조물(S)의 일 측벽을 뚫어 마련한 구멍에 결합시켜 지하 구조물(S)의 내부와 연통되도록 한다.상기 진입구(20)가 설치되는 장소는 시야확보가 어렵더라도 손으로 더듬어 찾아내기 쉽도록 지하 구조물(S)의 직선의 주(主)벽체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대략 2~3개 정도 설치하게 된다.상기 탈출구 본체(10)의 상면에는 탈출자의 탈출안내를 위해 탈출통로(11)에의 자연채광이 가능하도록 투광판(14)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투광판(14)은 유리 또는 투명 아크릴 소재 등이 적용될 수 있다.한편 상기 탈출구 본체(10) 내부의 바닥에서 상단의 탈출구(13)사이에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다단의 탈출계단(30)이 마련되고 탈출계단(30)의 연부에는 난간(31)이 설치되어 탈출에 안전성을 부여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그리고 상기 진입구(20)와 탈출계단(30)의 사이는 지하 구조물(S)내의 연기가 탈출통로(11)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차연(遮煙)구조(40)를 구비하게 되며 이 차연(遮煙)구조(40)는 상기 진입구(20)보다 일정 깊이만큼 요입된 상태로 탈출구 본체(10)의 하방에 구성되며 연기차단을 위한 차연 용수(W)가 저장되는 저수조(41)와, 일단이 진입구(20)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며 타단은 저수조(41)의 차연용수(W)에 침수 상태로 유지되는 차연판(42)으로 구성된다.상기 침수되는 차연판(42)의 타단은 라운딩지게 곡면 처리하거나 소프트한 완충부재를 덧대어 탈출자의 신체 접촉 시 피부를 손상하는 것을 방지토록 함이 적당하다.또한 진입구(20)에서 1차적 안전지대인 탈출통로(11)의 초입(初入) 사이에는 탈출자의 안전한 이동을 위해 손으로 잡고 전진할 수 가이드 봉체(51)를 두되 가이드 봉체(51)는 차연판(42)의 밑으로 통과하게 되며 차연판(42)의 하방을 통과하는 부분은 차연용수(W)에 잠기게 된다.상기 가이드 봉체(51)의 외주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촉감에 의해 방향성을 부여할 수 있는 형태의 방향 안내구(52)를 다수 설치하여 방향 가이드(50)를 구성한다.상기 방향 안내구(52)는 도면에서는 외주면이 일방향으로 테이퍼진 원추형 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저수조(41)의 초입에는 탈출자의 슬립을 방지할 수 있도록 다수의 계단형의 슬립 방지턱(43)을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도면에서 일예로 들은 지하철과 같은 지하 구조물(S)내에서 화재가 발생 되고 연기와 유독가스에 의해 시야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에는 먼저 당황하지 말고 손으로 벽을 더듬어 가면서 신속하게 진입구(20)를 찾아 낸 다음 도 4에서와 같이 진입구(20)에 설치된 방향가이드(50)를 두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슬립 방지턱(43)을 밟고 저수조(41)의 차연용수(W)내로 진입하게 된다.이때 정상적인 탈출방향으로의 이동시 방향 가이드(50)를 파지한 손은 방향 안내구(52)의 가는 부분에서 직경이 굵은 부분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손의 이동을 저해하지 않게 되어 정상적인 탈출경로임을 알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진 도중 차연판(42)이 머리부분에 닿게 되면 일단 호흡을 멈춘 상태에서 몸을 굽히고 머리를 차연용수(W)내로 잠수시킨 상태에서 신속하게 차연판(42)의 단부를 통과한 다음 다시 몸을 세워 머리를 물 밖으로 꺼내게 되면 탈출자는 일단 1차적인 안전지대에 진입된 상태이며, 이때 지하 구조물(S)내에서의 연기는 차연판(42)의 단부가 차연용수(W)내에 침수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탈출통로(11)로의 진입이 원천적으로 봉쇄되는 상태이다.이와 같이 차연판(42)을 통과한 상태에서는 연기나 열기의 위험에서 벗어난 상태이고 연기가 없고 투광창(14)으로부터 자연채광이 가능하여 시야가 확보되는 상태이므로 심리적인 안정감을 찾은 상태에서 저수조(41)의 바닥에서부터 위로 이어지는 탈출계단(30)을 따라 난간(31)을 잡고 안전하게 끝까지 올라가 도어(12)를 열고 개방된 탈출구(13)를 통해 외부로 탈출하게 되는 것이다.한편 상기의 탈출과정에서 방향가이드(50)는 극도로 긴박하고 혼란스러워 이성을 유지하기 어려워 방향감각을 상실하기 쉽상인 탈출자에게 촉감을 통해 진행 방향을 안내하기 위한 구조로서 만일 탈출자가 방향가이드(50)를 잡은 상태에서 방향을 잃고 차연판(42)쪽이 아닌 반대쪽의 진입구(20)쪽으로 되돌아 나가려는 경우 손이 방향 안내구(52)의 턱에 걸려 진행이 방해받게 됨으로써 탈출방향이 아님을 인지하게 되어 즉시 방향을 전화하여 정상적인 탈출 경로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본 발명은 탈출자를 지하 구조물의 바닥보다 낮은 위치로 탈출시키게 되는 것이어서 상승하려는 특성을 가진 연기나 열기의 영향을 덜 받는 상태에서 탈출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비상 탈출에 필요한 모든 구조를 일체화된 단일의 유니트로 구성시켜 비상탈출구조의 구현이 간편하게 되며 또한 설치가 신속 용이하여 발명의 적용 효율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지하 구조물에서 발생된 연기가 탈출통로로 진입될 수 없도록 하여 탈출에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연기에 의해 가시능력이 상실된 상태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정확하게 탈출방향을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신속하고 안전한 탈출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2는 본 발명을 지하철로에 적용한 상태를 보이는 단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 구성을 보이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이는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차연(遮煙)구조를 에어커튼 방식으로 적용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차연(遮煙)구조를 물 커튼 방식으로 적용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차연(遮煙)구조를 진입구를 향해 바람을 불어주는 에어 블로워 방식으로 적용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탈출구 본체 11:탈출통로
12:도어 13:탈출구
14:투광판 20:진입구
30:탈출구 31:난간
40:차연구조 41:저수조
42:차연판 43:슬립 방지턱
44:에어 커튼기 45:물 커튼기
46:물탱크 47:배수구
48:회수펌프 49:에어 블로워
50:방향 가이드 51:가이드 봉체
52:방향 안내구

Claims (8)

  1. 상단 벽면에 도어(12)를 가진 탈출구(13)가 구비되며 내부에 탈출통로(11)가 구비되고, 하단에는 내부와 연통되는 상태로 구성되어 탈출자를 탈출구 본체(10)내로 안내하기 위한 진입구(20)를 구비하며 내부에는 탈출을 위한 다단의 탈출계단(30)을 일체로 구비하는 박스형의 탈출구 본체(10)를 포함하는 공지의 구조에 있어서;
    상기 진입구(20)와 탈출계단(30)의 초입 사이에 구성되며 화재 연기가 탈출통로(11)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진입구(20)보다 일정 깊이만큼 요입된 상태로 탈출구 본체(10)의 하방에 구성되며 연기차단을 위한 차연 용수(W)가 저장되는 저수조(41)와, 일단이 진입구(20)의 상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며 타단은 저수조(41)의 차연용수(W)에 침수 상태로 유지되는 차연판(42)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연(遮煙)구조(40)와;
    상기 진입구(20)에서 1차적 안전지대인 탈출통로(11)의 초입(初入) 사이에 고정 설치되는 가이드 봉체(51)와, 상기 가이드 봉체(51)의 외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되며 탈출 방향쪽으로 직경이 확장되는 원추형의 방향 안내구(52)로 구성되는 방향 가이드(50)를 각각 포함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구조물용 비상 탈출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탈출구 본체(10)의 상면에는 탈출통로(11)에의 자연채광이 가능하도록 투광판(14)을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지하 구조물용 비상 탈출구조.
  7. 삭제
  8. 삭제
KR10-2003-0088113A 2003-08-26 2003-12-05 지하 구조물용 비상 탈출구조 KR1005304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9320 2003-08-26
KR1020030059320 2003-08-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157A KR20050022157A (ko) 2005-03-07
KR100530460B1 true KR100530460B1 (ko) 2005-12-08

Family

ID=37230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8113A KR100530460B1 (ko) 2003-08-26 2003-12-05 지하 구조물용 비상 탈출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4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02323A (ko) * 2006-09-06 2006-09-27 남주희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1379996B1 (ko) * 2013-04-19 2014-04-03 노강석 방화벽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8109A (ko) * 1999-02-10 2000-11-25 사카이 미에코 방재용 건재
JP2003111858A (ja) * 2001-10-04 2003-04-15 Bunka Shutter Co Ltd 防火防煙区画形成システム
KR200314388Y1 (ko) * 2003-03-11 2003-05-27 이건학 U트랩형 비상 탈출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68109A (ko) * 1999-02-10 2000-11-25 사카이 미에코 방재용 건재
JP2003111858A (ja) * 2001-10-04 2003-04-15 Bunka Shutter Co Ltd 防火防煙区画形成システム
KR200314388Y1 (ko) * 2003-03-11 2003-05-27 이건학 U트랩형 비상 탈출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2157A (ko) 2005-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204B1 (ko)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KR102163322B1 (ko) 맨홀 내 유해가스 감지 및 배출 시스템
US4433733A (en) Oil storage tank extinguisher
CN101041103B (zh) 高楼火灾逃生管道
CN210131264U (zh) 一种高楼逃生装置
ATE326267T1 (de) Vorrichtung zur evakuierung von personen aus einem gebäude
KR100530460B1 (ko) 지하 구조물용 비상 탈출구조
KR101633071B1 (ko) 탈출이 용이한 방음 터널
KR101801739B1 (ko) 도어용 탈출 안전장치
KR100522151B1 (ko) 비상 탈출장치
KR200338226Y1 (ko) 지하 구조물용 비상 탈출구조
JP6031704B2 (ja) 津波・洪水など非常事態時の避難用シェルター
JP3171235U (ja) 水災害時避難用シェルター
CN2928140Y (zh) 巷道安全逃生装置
KR200414105Y1 (ko) 계단 핸드레일을 이용한 피난유도시스템
CN205617731U (zh) 一种自带梯子的三通式克拉管管道井
JP2017186751A (ja) 建築物
KR200317152Y1 (ko) 발광유도블록
JP2022138043A (ja) 床下タラップ出入口の手摺構造
KR101988250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베란다 난간
CN211473949U (zh) 一种防火逃生一体化窗户结构
NO304710B1 (no) FremgangsmÕte for Õ detektere utvaskinger pÕ en borestreng
KR101564173B1 (ko) 비상탈출 시설
CN210682921U (zh) 一种可防火的安全电梯门
CN204081552U (zh) 设置有逃生通道的建筑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