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0303B1 - 화재용 대피챔버 - Google Patents

화재용 대피챔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0303B1
KR100800303B1 KR1020060127717A KR20060127717A KR100800303B1 KR 100800303 B1 KR100800303 B1 KR 100800303B1 KR 1020060127717 A KR1020060127717 A KR 1020060127717A KR 20060127717 A KR20060127717 A KR 20060127717A KR 100800303 B1 KR100800303 B1 KR 100800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oxygen
chamber
evacuation
fir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7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병태
Original Assignee
정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병태 filed Critical 정병태
Priority to KR1020060127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03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0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0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5Small buildings, arranged in other buildings
    • E04H1/1261Cubicles for fire-prot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5/00Installa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poisonous or injurious substances, e.g. with separate breath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7/00Respiratory apparatus
    • A62B7/02Respiratory apparatus with compressed oxygen or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lmo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oxi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s Adapted To Withstand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AREA)
  • Special W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화재민이 안전히 대피하기 위한 화재용 대피챔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화재민이 대피하는 대피룸(112) 및 출입구(114)가 구비되도록 불연재로 이루어진 대피챔버(100); 상기 대피챔버(100)의 출입구(114)를 개폐시키도록 연결되어 화염을 차단하는 방화문(300); 상기 방화문(300)에 의해 개방된 출입구(114)를 통해 대피룸(112)으로 연기 및 유독가스의 유입을 차단토록 산소를 분사하는 산소분사노즐(400); 상기 산소분사노즐(400)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연결되는 산소통(600); 상기 산소통(600)과 산소분사노즐(400) 사이에 설치되어, 방화문(300)의 개폐에 따라 산소분사노즐(400)의 작동을 단속하도록 방화문(300)에 연결되는 개폐노브(632)를 갖는 분사노즐밸브(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층건물이나 지하층의 화재시 비상구 미확보로 인해 탈출이 어려울 경우, 화염과 연기 및 유독가스로부터 화재민이 안전히 대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화재, 대피챔버, 의자, 방화문, 산소분사노즐, 산소공급노즐.

Description

화재용 대피챔버{SHELTER CHAMBER}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피룸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a, 4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산소공급노즐의 작동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대피챔버 112 : 대피룸
114 : 출입구 130, 370 : 단열부재
200 : 의자 210 : 시트
220 : 시트프레임 230 : 탄성부재
300 : 방화문 340 : 실링
400 : 산소분사노즐 500 : 산소공급노즐
600 : 산소통 630 : 분사노즐밸브
632 : 개폐노브 640 : 공급노즐밸브
642 : 작동노브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화재민이 안전히 대피하기 위한 화재용 대피챔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층건물이나 지하층의 화재발생시 비상구 미확보로 인해 탈출이 어려울 경우에, 화염이나 유독가스로부터 화재민이 안전히 대피하는 동시에, 교통체증이나 소방도로의 미확보로 인해 지연되는 구조대원의 도착시간까지 장시간 동안 화재민이 안전히 대피하도록 산소가 공급될 수 있는 화재용 대피챔버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학교, 아파트, 병원, 공장, 백화점, 여관, 음식점 등 일정규모의 건축물에는 건축법이나 소방법에 의해 비상구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비상구는 보통 때는 사용하지 않으나 재난 등의 비상시에는 이곳을 통해 안전한 곳으로 대피하게 된다.
예컨대, 위에서 언급한 건축물 중 아파트의 경우에는 비상시 각 세대간에 설치된 경량칸막이를 통해 대피하도록 법으로 규정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 베란다에는 각종 물건들이 비치되어 비상시에 경량칸막이를 부수고 대피하기가 불가능하며, 이에 따른 인명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다른 예로서, 건축물의 지하층인 경우에는 화재로 발생되는 화염과 유독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아 화재민의 시야를 가림에 따라, 비상구를 통한 탈출이 어려운 문제점 등이 있었다.
한편, 건축물의 화재시는 소방대원 및 구조대원이 긴급히 출동하여 화재를 재압하고 재난에 처한 화재민을 구조하는데, 근래에는 교통량의 가속된 증가에 따 라 빈번히 발생되는 교통체증과 불법주차로 인한 소방도로의 미확보로 인해 발화지점으로의 도착이 지연되며, 이같이 소방대원 및 구조대원의 도착이 지연됨에 따라 화염과 유독가스로 인한 인명피해가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첫째 목적은 화재발생시 건축물의 비상구 미확보로 인해 탈출이 어려울 경우 화재민을 대피챔버로 대피시켜 화염과 유독가스로부터 안전히 보호할 수 있는 화재용 대피챔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둘째 목적은 화재발생으로 인해 대피챔버로 대피한 화재민에게 산소를 공급하여, 교통체증이나 소방도로의 미확보로 인해 지연되는 소방대원 및 구조대원의 도착시간까지 안전히 보호할 수 있는 화재용 대피챔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셋째 목적은 상기와 같이 대피챔버로 대피한 화재민이 화재로 인해 당황하지 않고 차분히 머무르도록 산소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는 화재용 대피챔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화재민이 대피하는 대피룸 및 출입구가 구비되도록 불연재로 이루어진 대피챔버; 상기 대피챔버의 출입구를 개폐시키도록 연결된 방화문; 상기 방화문에 의해 개방된 출입구를 통해 대피룸으로 연기 및 유독가스의 유입을 차단토록 산소를 분사하는 산 소분사노즐; 상기 산소분사노즐에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통; 상기 산소통과 산소분사노즐 사이에 설치되어, 방화문의 개폐에 따라 산소분사노즐의 산소분사를 단속하도록 방화문에 연결되는 개폐노브를 갖는 분사노즐밸브; 상기 방화문에 의해 폐쇄된 대피룸으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산소통에 연결되는 산소공급노즐을 포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대피챔버는, 상기 대피룸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내부챔버와, 상기 내부챔버의 외면을 감싸면서 그 사이에 단열공간을 구비하는 외부챔버와, 상기 단열공간에 삽입되어 화염의 열기를 차단하는 단열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개폐노브의 일측은 대피챔버에 복원부재로 연결되어 개방된 방화문을 탄력적으로 복원시키는데, 상기 복원부재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화문은 테두리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둘레가 작아지는 철부가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피챔버에는 방화문의 철부가 밀착되도록 요부가 다단으로 형성되며, 상기 방화문의 요부와 대피챔버의 철부 사이에는 대피룸을 기밀히 밀폐시키도록 실링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방화문에는 외부를 관찰하도록 투명강화유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대피룸은, 화재민의 엉덩이를 받치는 시트와, 이 시트의 일측이 수평회전축으로 연결되어 타측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시트프레임으로 이루어진 의자를 포함하되, 상기 산소통에는 시트에 앉는 화재민에 의해 대피룸으 로 산소공급노즐의 산소공급을 단속하도록 시트에 연결되는 작동노브를 갖는 공급노즐밸브가 연결된다.
더하여, 상기 시트와 시트프레임 사이에는, 화재민이 일어나면서 시트가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복원되도록 탄성부재가 설치되어, 산소공급밸브를 통한 산소공급을 폐쇄시키도록 작동노브를 작동시키는데,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대피룸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산소공급노즐의 작동도를 나타낸 것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피룸(112) 및 출입구(114)가 구비된 대피챔버(100), 상기 대피챔버(100)의 출입구(114)를 개폐시키는 방화문(300), 상기 방화문(300)의 개방에 따라 출입구(114)로 산소를 분사하는 산소분사노즐(400), 상기 산소분사노즐(400)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통(600), 상기 산소분사노즐(400)의 작동을 단속하는 분사노즐밸브(630), 상기 방화문(300)에 의해 폐쇄된 대피룸(112)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공급노즐(500), 상기 산소공급노즐(500)의 작동을 단속하는 공급노즐밸브(640)를 포함한다.
대피챔버(100)는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챔버(110)와 외부챔버(120)로 이루어진다. 내부챔버(110)에는 화재민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적 절한 크기의 대피룸(112)이 구비되고, 이러한 대피룸(112)으로 화재민의 출입이 가능토록 전면에 출입구(114)가 형성된다. 그리고 외부챔버(120)는 내부챔버(110)의 외면을 감싸면서 그 사이에 단열공간(122)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이같이 내·외부챔버(110)(120)로 이루어진 대피챔버(100)는 화재발생시 불에 잘 타지 않는 불연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불연재는 강도와 경도가 우수한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선택적으로 콘크리트, 벽돌, 알루미늄 따위의 불연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대피챔버(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으로 형성하였으나, 그 형상은 대피룸(112)과 출입구(114)가 구비된다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가능함은 자명하다.
여기서, 내부챔버(110)와 외부챔버(120) 사이에 형성된 단열공간(122)에는 단열부재(130)가 삽입되어 화재로 인한 열의 전도를 차단하는데, 이 단열부재(130)는 후술한다.
아울러, 대피챔버(100)의 대피룸(112)에는 화재민이 앉을 수 있도록 의자(20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의자(200)는 화재민의 엉덩이를 받치는 시트(210)와, 이 시트(210)를 대피룸(112)의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시트프레임(220)을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의자(200)는 대피룸(112)의 일측 또는 서로 마주하는 양측에 설치할 수 있다.
시트(210)는 다수의 화재민이 앉을 수 있도록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는데, 이 같이 형성된 시트(210)의 일측은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프레임(220)에 수평회전축(212)으로 연결되어, 시트(210)의 타측이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시트프레임(220)은 시트(210)에 수평회전축(212)으로 연결되는 시트플레이트(222)와, 이 시트플레이트(222)를 대피룸(112)의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지지바(2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지지바(224)는, 시트플레이트(222)의 저면을 수직으로 지지하도록 대피룸(112)의 바닥에 연결되는 수직지지바(224a)와, 시트플레이트(222)의 저면을 수평으로 지지하도록 대피룸(112)의 벽면에 연결되는 수평지지바(224b)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210)의 타측과 시트플레이트(222) 사이에는 탄성부재(230)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탄성부재(230)는 압축력을 작용하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선택적으로 압축력을 작용하는 판스프링 따위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시트(210)에 앉은 화재민이 일어나면 탄성부재(230)가 탄력적으로 작용하여 시트(210)가 수평회전축(212)을 중심으로 상부로 이동하고, 이같이 이동된 시트(210)는 후술하는 공급노즐밸브(640)의 작동을 단속하게 된다.
방화문(300)은 대피챔버(100)의 일측에 힌지(310)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출입구(114)를 개폐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방화문(300)는 화재발생시 불에 잘 타지 않는 불연재로서 강도와 경도가 우수한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선택적으로 콘크리트, 벽돌, 알루미늄 따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방화문(300)은 도 3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단열공 간(320)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지며, 이 단열공간(320)에는 단열부재(370)가 삽입되어 화재발생으로 인한 열의 전도를 차단하게 된다.
또한, 방화문(300)의 테두리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방향으로 둘레가 작아지는 철부(332)가 다단으로 형성되고, 이 방화문(300)의 철부(332)가 밀착되도록 대피챔버(100)의 출입구(114) 가장자리에는 요부(114a)가 다단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요부(114a)와 철부(332) 사이에는 실링(340)이 설치되어 방화문(300)이 대피챔버(100)를 기밀히 밀폐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방화문(300)과 대피챔버(100)의 출입구(114) 사이를 통해 연기 또는 유독가스가 대피룸(11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아울러, 방화문(300)에는 외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강화유리(350)가 설치되어, 대피챔버(100)로 대피한 화재민이 화재상태 및 화재의 진압상태 따위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관찰하게 된다.
더하여, 방화문(300)에는 손잡이(360)가 구비되어 대피챔버(100)의 출입구(114) 개폐를 용이하게 한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방화문(300)의 록킹을 단속하도록 손잡이(360)에는 자물쇠가 구비된다.
상술한 단열부재(130)(170), 즉 대피챔버(100)와 방화문(300) 각각의 단열공간(122)(320)으로 삽입되는 단열부재(130)(370)는 시공성과 편의성이 우수하면서 경제적으로도 저렴한 드라이비트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드리이비트는 발포폴리스티렌(Expanded Polystyrene; EPS단열판), 유리섬유메쉬, 접착제, 마감재로 구성되는데, EPS단열판은 변형이나 뒤틀림없는 단열기능을, 유리섬유메쉬는 균 열방지 및 충격보강기능을, 마감재는 내후성 및 내구성을 갖는 기능을 각각 발휘하게 된다.
따라서, 대피챔버(100)와 방화문(300) 각각의 단열공간(122)(320)으로 삽입되는 드라이비트는 화재로 발생된 열이 대피룸(112)으로 전도되는 것을 적절히 차단하여 화재민을 안전히 보호하게 된다.
산소분사노즐(400)은 대피룸(112)의 후방에 설치되어 대피챔버(100)의 출입구(114)로 산소를 분사하는 것으로, 이러한 산소분사노즐(400)은 화재민에 의해 방화문(300)이 개방된 대피챔버(100)의 출입구(114)로 산소를 분사함에 따라, 화재로 발생된 연기 및 유독가스가 대피룸(11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산소통(600)은 산소분사노즐(400)로 산소를 공급하는 것으로, 이러한 산소통(600)의 토출구(61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산소를 양측으로 분기시키는 분기관(620)이 연결되고, 분기관(620)의 일측에는 산소분사노즐(400)이 연결관(410)으로 연결되며, 분기관(620)의 타측에는 산소공급노즐(500)이 공급관(510)으로 연결된다.
첨부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분기관(620)의 일측 말단부에는 분사노즐밸브(630)가 설치되어 산소분사노즐(400)의 산소분사를 단속하는데, 이러한 분사노즐밸브(630)는 개폐노브(632)를 포함한다.
개폐노브(632)는 분사노즐밸브(630)의 작동을 단속하는데, 그 일측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화문(300)의 내측면에 개폐로드(636)로 연결되어, 방화문(300)의 개폐에 따라 분사노즐밸브(630)를 개폐시켜서 산소분사노즐(400)을 통한 산소분사를 자동으로 단속하게 된다. 그리고 개폐노브(632)의 일측은 대피챔버(100)에 복원부재(634)로 연결되어, 개폐노브(630)를 탄력적으로 복원시켜서 개방된 방화문(300)을 폐쇄시키게 된다. 여기서, 복원부재(634)는 인장력을 발휘하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방화문(300)을 화재민이 개방하게 되면, 개폐로드(636)로 연결된 개폐노브(632)가 당겨지면서 분사노즐밸브(630)가 개방되어 산소분사노즐(400)을 통해 산소가 자동으로 분사된다. 그리고 화재민이 대피챔버(100)로 대피한 후, 방화문(300)을 놓게 되면, 복원부재(634)가 탄력적으로 작용하여 개폐노브(632)를 복원시킴에 따라, 분사노즐밸브(630)가 자동으로 폐쇄되는 것이다.
또한, 산소통(600)의 분기관(620) 타측에는 산소공급노즐(500)이 공급관으로 연결되어 폐쇄된 대피룸(112)으로 산소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분기관(620)의 말단부에는 공급노즐밸브(640)가 설치되어 산소공급노즐(500)의 산소분사를 단속하는데, 이러한 공급노즐밸브(640)는 작동노브(642)를 포함한다.
작동노브(642)는 공급노즐밸브(640)의 작동을 단속하는데, 그 일측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210)의 저면에 작동로드(644)로 연결되어, 시트(210)의 상하이동에 따라 공급노즐밸브(640)를 개폐시켜서, 공급분사노즐(500)을 통한 산소공급을 자동으로 단속하게 된다.
따라서, 도 4a와 같은 상태에서 시트(210)에 화재민이 앉게 되면, 도 4b에서와 같이 수평회전축(212)을 중심으로 시트(210)의 타측이 하부로 이동하는데, 이때 시트(210)에 연결된 작동로드(644)가 작동노브(642)를 작동시켜서 공급노즐밸 브(640)를 개방함에 따라, 산소공급노즐(500)을 통해 대피룸(112)으로 산소가 공급되는 것이다.
반면에,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 화재민이 시트(210)에서 일어나면, 도 4a에서와 같이 탄성부재(230)가 탄력적으로 작용하여 수평회전축(212)을 중심으로 시트(210)가 상부로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시트(210)에 연결된 작동로드(644)가 이동하면서 작동노브(642)를 작동시켜서 공급노즐밸브(640)를 폐쇄함에 따라, 대피룸(112)으로 공급되는 산소를 차단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내공간 가운데 발코니, 침실, 욕실 따위에 설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하층의 적당한 실내공간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재시 건축물의 외부로 대피하지 못할 경우에, 화재민이 손잡이(360)를 잡고 방화문(300)을 개방하여 대피챔버(100)의 대피룸(112)으로 들어가는데, 이때 산소분사노즐(400)에서 출입구(114)를 향해 산소를 분사하여 화재로 발생된 연기와 유독가스가 출입구(114)를 통해 대피룸(112)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같이 대피챔버(100)로 이동한 화재민이 방화문(300)을 닫으면, 개폐로드(636)가 분사노즐밸브(630)의 개폐노브(632)를 작동시켜서 산소분사노즐(400)을 통한 산소분사를 차단하게 된다.
이어서, 대피챔버(100)로 대피한 화재민이 의자(200)에 앉으면, 시트(210)가 도 4b에서와 같이 수평회전축(212)을 중심으로 하부로 이동하고, 이러한 시트(210)의 이동에 의해 작동로드(644)가 하부로 이동하면서 작동노브(642)를 작동시켜 산소공급노즐(500)을 개방함에 따라, 화재민이 대피한 대피룸(112)으로 산소가 공급된다.
이때, 대피룸(112)의 의자(200)에 앉은 화재민은 방화문(300)의 투명강화유리(350)를 통해 외부의 화재상태를 관찰하면서 소방대원 및 구급대원의 구조여부를 시각적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어, 대원들의 구조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소방대원 및 구급대원이 화재현장으로 투입되어 화재민이 의자(200)에서 일어나게 되면, 도 4a에서와 같이 탄성부재(230)에 의해 시트(210)가 수평회전축(212)을 중심으로 상부로 이동하여 작동노브(642)를 작동시킴에 따라, 산소공급노즐(500)이 폐쇄되어 산소공급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산소가 공급된 대피룸(112)으로 화염이 번지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화재가 확산되더라도, 불연재로 이루어진 대피챔버(100)와 방화문(200)이 화염에 의해 타지 않고 단열부재(130)(370)에 의해 화염의 열기가 대피룸(112)으로 전도되는 것을 차단함에 따라, 화재민이 안전히 대피하게 된다.
또한, 대피챔버(100)와 방화문(300) 사이에는 실링(340)이 설치되어 연기 및 유독가스의 침입을 방지하며, 이에 따라 화재민이 안전하게 대피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에 의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 할 뿐이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분명히 밝혀 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건축물의 비상구 미확보로 인해 탈출이 어려울 경우, 교통체증이나 소방도로의 미확보로 인해 소방대원 및 구조대원의 도착시간이 지연될 경우에, 화재민에게 적절량의 산소를 공급하여 일정한 시간까지 화염과 연기 및 유독가스로부터 화재민이 안전히 대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은 방화문을 개방하여 대피챔버로 화재민이 대피할 경우에, 산소분사노즐에서 산소를 자동으로 분사하기 때문에, 대피룸으로 유입되는 연기 및 유독가스의 침입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은 대피룸으로 대피한 화재민이 편리하게 의자에 앉아서 기다리 수 있으며, 의자에 앉는 순간 산소가 자동으로 공급되므로, 화재발생으로 당황한 화재민이 대피챔버에서 차분히 대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화재민이 대피하는 대피룸(112) 및 출입구(114)가 구비되도록 불연재로 이루어진 대피챔버(100);
    상기 대피챔버(100)의 출입구(114)를 개폐시키도록 연결된 방화문(300);
    상기 방화문(300)에 의해 개방된 출입구(114)를 통해 대피룸(112)으로 연기 및 유독가스의 유입을 차단토록 산소를 분사하는 산소분사노즐(400);
    상기 산소분사노즐(400)에 연결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통(600);
    상기 산소통(600)과 산소분사노즐(400) 사이에 설치되어, 방화문(300)의 개폐에 따라 산소분사노즐(400)의 작동을 단속하도록 방화문(300)에 연결되는 개폐노브(632)를 갖는 분사노즐밸브(6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 대피챔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룸(112)에는 화재민이 앉을 수 있도록 의자(20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 대피챔버.
  3. 건축물의 실내공간에 설치되어 화재민이 대피하는 대피룸(112) 및 출입구(114)가 구비되도록 불연재로 이루어진 대피챔버(100);
    상기 대피챔버(100)의 출입구(114)를 개폐시키도록 연결된 방화문(300);
    상기 방화문(300)에 의해 개방된 출입구(114)를 통해 대피룸(112)으로 연기 및 유독가스의 유입을 차단토록 산소를 분사하는 산소분사노즐(400);
    상기 산소분사노즐(400)에 연경되어 산소를 공급하는 산소통(600);
    상기 산소통(600)과 산소분사노즐(400) 사이에 설치되어, 방화문(300)의 개폐에 따라 산소분사노즐(400)의 작동을 단속하도록 방화문(300)에 연결되는 개폐노브(632)를 갖는 분사노즐밸브(630);
    상기 방화문(300)에 의해 폐쇄된 대피룸(112)으로 산소를 공급하도록 산소통(600)에 연결되는 산소공급노즐(5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 대피챔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챔버(100)는, 상기 대피룸(112)을 구비하도록 형성된 내부챔버(110)와, 상기 내부챔버(110)의 외면을 감싸면서 그 사이에 단열공간(122)을 구비하는 외부챔버(120)와, 상기 단열공간(122)에 삽입되어 화염의 열기를 차단하는 단열부재(1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 대피챔버.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노브(632)의 일측은 대피챔버(100)에 복원부재(634)로 연결되어, 개방된 방화문(300)을 탄력적으로 복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 대피챔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재(634)는 인장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 대피챔버.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300)은 테두리를 따라 내측방향으로 둘레가 작아지는 철부(332)가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대피챔버(100)의 출입구(114) 가장자리에는 방화문(300)의 철부(332)가 밀착되도록 요부(114a)가 다단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 대피챔버.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300)의 철부(332)와 대피챔버(100)의 요부(114a) 사이에는 대피룸(112)을 기밀히 밀폐시키도록 실링(34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 대피챔버.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화문(300)에는 외부를 관찰하도록 투명강화유리(3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 대피챔버.
  10.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대피룸(112)은, 화재민의 엉덩이를 받치는 시트(210)와, 이 시트(210)의 일측이 수평회전축(212)으로 연결되어 타측이 상하로 이동되도록 지지하는 시트프레임(220)으로 이루어진 의자를 포함하며,
    상기 산소통(600)에는, 시트(210)에 앉는 화재민에 의해 대피룸(112)으로 산소공급노즐(500)의 산소공급을 단속하도록, 시트(210)에 연결되는 작동노브(642)를 갖는 공급노즐밸브(640)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 대피챔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210)와 시트프레임(220) 사이에는, 화재민이 일어나면서 시트(210)가 수평회전축(212)을 중심으로 탄력적으로 복원되도록 탄성부재(230)가 설치되어, 산소공급밸브(640)를 통한 산소공급을 폐쇄시키도록 작동노브(642)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 대피챔버.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30)는 압축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용 대피챔버.
KR1020060127717A 2006-12-14 2006-12-14 화재용 대피챔버 KR1008003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717A KR100800303B1 (ko) 2006-12-14 2006-12-14 화재용 대피챔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717A KR100800303B1 (ko) 2006-12-14 2006-12-14 화재용 대피챔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0303B1 true KR100800303B1 (ko) 2008-02-04

Family

ID=39342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717A KR100800303B1 (ko) 2006-12-14 2006-12-14 화재용 대피챔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03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09B1 (ko) 2009-07-21 2011-06-13 정은혜 화재 대피용 은폐장치
KR101091078B1 (ko) 2011-05-04 2011-12-09 윤석훈 다용도 재난 대피 장치
KR101165830B1 (ko) * 2009-01-30 2012-07-16 임상진 비상용 대피기구
KR20160003725U (ko) * 2015-04-20 2016-10-28 박효선 화재 발생시 비상탈출 캡슐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3477A (ja) * 1990-05-02 1992-05-26 Hiroshi Arai 耐火式の押入れ、物入れ
KR200350047Y1 (ko) 2004-02-27 2004-05-12 김성년 화재 대피를 위한 실내 조립 가설용 챔버
KR200395804Y1 (ko) 2005-07-04 2005-09-13 장대현 안전 대피 장치
KR20060109400A (ko) * 2006-09-06 2006-10-20 남주희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3477A (ja) * 1990-05-02 1992-05-26 Hiroshi Arai 耐火式の押入れ、物入れ
KR200350047Y1 (ko) 2004-02-27 2004-05-12 김성년 화재 대피를 위한 실내 조립 가설용 챔버
KR200395804Y1 (ko) 2005-07-04 2005-09-13 장대현 안전 대피 장치
KR20060109400A (ko) * 2006-09-06 2006-10-20 남주희 화재대피실이 구비된 건물의 피난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5830B1 (ko) * 2009-01-30 2012-07-16 임상진 비상용 대피기구
KR101041209B1 (ko) 2009-07-21 2011-06-13 정은혜 화재 대피용 은폐장치
KR101091078B1 (ko) 2011-05-04 2011-12-09 윤석훈 다용도 재난 대피 장치
KR20160003725U (ko) * 2015-04-20 2016-10-28 박효선 화재 발생시 비상탈출 캡슐의 제조방법
KR200486513Y1 (ko) 2015-04-20 2018-05-31 송송이 화재 대피용 시설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7891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0998240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WO2012107005A1 (zh) 建筑物火灾逃生系统及避难仓
KR101036763B1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0800303B1 (ko) 화재용 대피챔버
KR101607895B1 (ko)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의 차연 및 차열장치
KR101306151B1 (ko) 고층건물의 화재 대피공간용 화장실 시스템 및 그 작동 방법
EP2982416A1 (en) Building fire life-saving system and use method thereof
KR20150102832A (ko) 화재 피난 대피시설
KR102061008B1 (ko) 화재 대피실용 방화문
RU161992U1 (ru) Перенос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распространения и локализации пожара
KR200486513Y1 (ko) 화재 대피용 시설물
KR101543341B1 (ko) 개방력 확보장치가 장착된 피난문 및 이를 구비한 급기가압 시스템
CN210828951U (zh) 一种防火隔热安全门
CN210798753U (zh) 一种多功能木质防火门
CN111255288B (zh) 高层建筑火灾避难安全间
CN210396564U (zh) 一种双向防火疏散门
JP2013204357A (ja) ガラス耐火扉
KR101597890B1 (ko) 수막형성 방화문틀 및 그 시공방법
KR101355175B1 (ko) 고층 건물 화장실을 이용한 화재 대피 시스템
JPH0648695U (ja) 耐火避難室
CN209413771U (zh) 一种钢质隔热防火门
KR20090110530A (ko) 새로운 비상구 구조를 갖는 방화 스크린 셔터
CN110327559A (zh) 楼宇居民火灾避难设施
CN218324614U (zh) 一种方便逃生的建筑钢结构防火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