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887B1 -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 Google Patents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887B1
KR102084887B1 KR1020190105568A KR20190105568A KR102084887B1 KR 102084887 B1 KR102084887 B1 KR 102084887B1 KR 1020190105568 A KR1020190105568 A KR 1020190105568A KR 20190105568 A KR20190105568 A KR 20190105568A KR 102084887 B1 KR102084887 B1 KR 102084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lame
liquid film
extinguishing
supply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5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왕선
Original Assignee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90105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8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8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08Water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10Fire-proof curtai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1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 A62C2/242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mechanical actuators and heat sensitive parts with fusibl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기둥을 포함하는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가 제공되며, 상기 화재 진압 장치는, 화재 발생 영역을 지향하도록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마다 설치되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소화제 분출 노즐;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액막 형성용 액체를 공급하고 다수의 분출공이 형성된 공급 파이프; 및,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 사이에서 전개될 수 있도록 설치된 화염 차단막으로서, 상기 공급 파이프의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된 액막 형성용 액체가 표면에서 액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액막 유지 홈이 형성된, 화염 차단막;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Apparatus For suppressing Fire of Piloti Structure}
본 발명은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염의 전파를 차단할 수 있는 화염 차단막과 제한된 영역에 소화액을 집중시킬 수 있는 소화기가 구비된 화재 진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10 층 미만의 건물들, 예를 들어, 다세대 주택, 아파트, 상가 건물등에는 효율적인 공간 활용을 위하여 필로티 구조를 채택한다. 필로티 구조에서는 1 층에 기둥 구조가 설치되고, 상기 기둥 구조의 상부에 지지된 2 층부터 주거 공간이 구비된다. 통상적으로 1 층의 기둥 사이에는 건물을 위한 시설물이나 주차장이 마련될 수 있다.
필로티 구조를 채택한 건물의 1 층에 주차장이 마련되는 경우에, 주차된 차량에서 발생되는 문제는 건물의 안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된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 화재로 인한 화염, 열기, 연기는 필로티 구조의 상부에 있는 거주 공간으로 번져서 인명을 위태롭게 할 수 있고 재산상의 손실을 일으킬 수 있다. 더욱이, 주차된 차량이 2 대 이상일 경우에, 어느 하나의 차량에서 발생한 화재는 인접한 다른 차량으로 쉽게 번질 수 있어서 화재 규모가 더 확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접한 다른 건물로 화재가 번질 수 있다.
필로티 구조의 건물은 기둥이 외부로 노출되는 1 층에 난방 시설이 구비되지 않으므로, 동절기에 수도관이 동결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수관을 이용한 화재 진압 장치가 필로티 구조의 1 층에 구비될지라도, 겨울철에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진다. 예를 들어 상수관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화재 진압에 이용하는 스프링클러 및 드렌처(drencher)는 겨울철의 화재에서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기둥을 포함하는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화재 진압 장치는,
화재 발생 영역을 지향하도록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마다 설치되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소화제 분출 노즐;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액막 형성용 액체를 공급하고 다수의 분출공이 형성된 공급 파이프; 및,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 사이에서 전개될 수 있도록 설치된 화염 차단막으로서, 상기 공급 파이프의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된 액막 형성용 액체가 표면에서 액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액막 유지 홈이 형성된, 화염 차단막;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화제 분출 노즐은 화재 발생시의 열에 의해 용융될 수 있는 차단부로 폐쇄됨으로써, 복수의 분출 노즐중 화재 발생 영역에 인접한 소화제 분출 노즐만이 개방되어 소화제를 분출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화염 차단막은 다수의 난연재 단편을 상호 접합하여 구성된 난연재 커튼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배치된 난연재 단편의 하부 접합부가 하부에 배치된 다른 난연재 단편의 중간 접합부에 접합됨으로써 상기 액막 유지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난연재 커튼의 하부에는 중량봉이 제공되고, 상기 난연재 커튼은 중량봉의 둘레에 감겨져서 상기 공급 파이프와 함께 퓨즈 타이로 고정되며, 상기 퓨즈 타이(fuse tie)는 화재 발생시에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절단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화염 차단막은 다수의 금속 플레이트를 힌지를 중심으로 접을 수 있도록 결합시켜서 구성되며, 각각의 금속 플레이트에는 금속 플레이트의 일부를 수평 방향으로 절개하여 굽힘으로써 형성된 굽힘부 및, 상기 굽힘부가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의 표면에 반대인 표면에 부착된 금속 박편에 의하여 상기 액막 유지 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다수의 금속 플레이트는 힌지를 중심으로 접혀져서 상기 공급 파이프와 함께 퓨즈 타이로 고정되며, 상기 퓨즈 타이(fuse tie)는 화재 발생시에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절단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복수의 화재 감지 센서들; 상기 복수의 소화제 노즐 각각을 액튜에이터로써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소화제 노즐 각각에 구비된 개폐 밸브;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 및 상기 액튜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 센서들의 화재 검지시에 상기 액튜에이트를 작동하여 복수의 소화제 노즐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개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는 필로티 구조물의 일부 영역에서 화재가 발생될 경우에, 상기 영역에 소화제를 집중적으로 분출함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다. 또한 화염 차단막을 전개시켜서 화재가 인접한 다른 영역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동절기에도 동결의 위험성 없이 화재 진압 장치가 작동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 는 도 1 에 도시된 화염 차단막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3 은 화염 차단막에 형성된 액막 유지 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는 화염 차단막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 는 금속 플레이트에 형성된 액막 유지 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1 에 도시된 소화제 분출 노즐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를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는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12)에 설치된 복수개의 소화제 분출 노즐(21),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고 복수의 분출공(31a)이 형성된 공급 파이프(31) 및,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 사이에서 전개될 수 있는 화염 차단막(35)을 구비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12)은 4 개의 측면을 가진 각기둥의 형태를 가지며, 소화제 분출 노즐(21)은 4 개의 측면상에 필요에 따라서 각각 하나씩 설치되거나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둥(12)의 제 1 면이 주차된 차량(11)을 향하고 있다면 소화제 분출 노즐(21)이 설치되지만, 상기 제 1 면과 직각을 이루는 제 2 면이 차량(11)을 향하고 있지 않다면 소화제 분출 노즐(21)이 설치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소화제 분출 노즐(21)은 화재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영역을 지향하는 기둥(12)의 측면에 제공된다. 하나의 기둥(12)에 설치된 4 개의 소화제 분출 노즐(21)은 바람직스럽게는 튜브(22)로 서로 연결되며, 기둥(12)에 설치된 소화제 탱크(23)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제를 분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공급 파이프(31)에는 다수의 분출공(31a)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급 파이프(31)의 일 단부에는 스프링클러(33)가 설치된다. 스프링클러(33)로부터 유동하는 액막 형성용 액체는 상기 공급 파이프(31)에 형성된 분출공(31a)을 통하여 지면으로 분출될 수 있다. 스프링클러(33)는 통상적인 스프링클러의 구성 원리에 따라서 구현될 수 있으며, 다만 통상적인 스프링클러 또는 드렌처는 물을 화재 현장에 확산시키도록 분출하는 반면에, 도면에 도시된 스프링클러(33)는 액막 형성용 액체를 공급 파이프(31)를 통해서만 유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막 형성용 액체는 빙점이 낮고 가연성이 없는 액체인 것이 바람직스럽다. 예를 들어, 부동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공급 파이프(31)는 액막 형성용 액체의 탱크(미도시)에 연결된다. 다른 예에서, 동결에 대한 대비가 이루어질 경우에 상수관의 물을 공급 파이프(31)를 통해 유동시켜서 액막을 형성할 수도 있다.
화염 차단막(35)은 화재 발생시에 기둥(12) 사이에 전개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염이 상기 화염 차단막(35)을 넘어서 전파되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화염 차단막(35)이 차량(11)의 사면에서 전개되도록 구성될 경우에,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공급을 차단할 수도 있다. 화염 차단막(35)은 다양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스럽게는 불에 타지 않는 난연성 재료 또는 금속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공급 파이프(31)로부터 공급된 액막 형성용 액체는 화염 차단막(35)을 타고 지면으로 떨어지며, 그에 따라서 액막 형성용 액체는 화염 차단막(35)의 표면에 액막을 형성함으로써 화염의 전파를 더욱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때, 액막 형성용 액체는 이후에 설명될 화염 차단막(35)의 액막 유지홈에 의해 지면으로 떨어지는 속도가 지연될 수 있어서, 액막의 화염 차단 효과가 극대화된다.
도 2a 및 도 2b 는 도 1 에 도시된 화염 차단막의 일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로서, 도 2a 는 화염 차단막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b 는 화염 차단막이 감겨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2a 를 참조하면 화염 차단막(35)의 상부 가장자리는 공급 파이프(31)에 고정되고, 화염 차단막(35)의 하부 가장자리는 중량봉(39)에 부착된다. 화염 차단막(35)은 예를 들어 난연재 커튼(37)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화염 차단막(35)의 상부 가장자리가 천정이나 또는 다른 구조물에 매달릴 수도 있다. 화염 차단막(35)에는 액막을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 유지할 수 있는 액막 유지 홈(41)이 형성되며, 상기 액막 유지 홈(41)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2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염 차단막(35)이 전개된 상태에서 화염 차단막(35)은 필로티 구조물의 1 층 천정과 바닥 사이에서 완전하게 차단하는 높이를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도 2b 를 참조하면, 화염 차단막(35)은 중량봉(39)의 원주면 둘레에 감길 수 있으며, 완전히 감겼을 때 상기 중량봉(39)과 공급 파이프(31)가 인접한 상태를 나타낸다. 퓨즈 타이(38)를 이용하여 중량봉(39)에 감긴 화염 차단막(35)과 공급 파이프(31)를 함께 감아서 고정시킨다. 즉, 퓨즈 타이(fuse tie, 38)는 화염 차단막(35)이 전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퓨즈 타이(38)는 화재 발생시에 일정 온도 이상의 온도가 되면 끊어질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융 가능한 금속이나 합성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된 와이어의 형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납을 이용하여 중량봉(39)과 화염 차단막(35)의 중량을 견딜 수 있는 와이어를 형성하면, 납의 용융점은 섭씨 327 도로 상대적으로 매우 낮으므로 화재 발생시에 쉽게 끊어질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퓨즈 타이(38)는 열에 매우 취약한 나일론과 같은 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또 다른 예에서, 퓨즈 타이(38)는 형상 기억 합금으로 제작될 수 있다. 즉, 형상 기억 합금으로 제작된 와이어의 퓨즈 타이(38)는 화염 차단막(35)과 중량봉(39)을 감겨진 상태로 유지하는 반면에, 화재시에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되면 퓨즈 타이(39)는 화염 차단막(35)과 중량봉(39)이 전개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도 3 은 화염 차단막의 일부를 단면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화염 차단막(35)은 다수의 난연재 단편(37a)을 상호 접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난연재 단편(37a)은 화염 차단막의 수평 방향으로 절단된 스트립(strip) 형태의 가늘고 긴 조각이다. 하나의 난연재 단편(37a)은 다른 하나의 난연재 단편(37a)에 접합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위치된 난연재 단편(37a)의 하단 접합부(41b)는 하부에 위치된 난연재 단편의 중간 접합부(41a)에 접합된다. 접합은 예를 들어 꿰멤 또는 접착제에 의한 접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수의 난연재 단편(37a)을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부에 배치된 난연재 단편과 하부에 배치된 난연재 단편 사이에 액막 유지홈(41)이 형성된다. 상기 액막 유지홈(41)에는 공급 파이프(31)를 통해 공급되는 액막 형성용 액체가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화염이 화염 차단막(35)에 도달할지라도, 화염 차단막(35)에 형성된 액막 유지홈(41)의 액막 때문에 화염 차단막(35)을 벗어나서 외부로 전파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화염 차단막의 액막 유지홈(41)의 형상을 유지하기 위하여, 난연재 단편(37a)에는 형상 기억 합금이 구비될 수 있다. 공지된 바와 같이, 형상 기억 합금은 힘을 가하여 변형시켜도 가열에 의해 본래의 형상으로 복원하는 합금이며, 예를 들어 니켈-티탄 합금, 동-아연 합금, 금-카드뮴 합금, 인듐-탈륨 합금등이 형상 기억 합금으로 이용된다. 예를 들어 형상 기억 합금은 도 3 에 도시된 난연재 단편(37a)의 단면 형상으로 제작하여 난연재 단편(37a) 안에 매립될 수 있다. 화염 차단막(35)이 감겨진 상태에서는 외력에 의해 형상 기억 합금이 변형되는 반면에, 화염 차단막(35)이 전개된 상태에서 열을 받으면 도 3 의 난연재 단편(37a)의 단면 형상으로 형상 기억 합금 복원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화염 차단막(35)의 액막 유지홈(41)은 난연재 커튼이 장시간 감겨진 상태로 유지되더라도 전개와 동시에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원되며, 그에 따라 액막이 충분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4 는 화염 차단막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화염 차단막(35)은 힌지(52)로 연결된 다수의 금속 플레이트(51)로 구성된다. 금속 플레이트(51)는 공급 파이프(31)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며, 도 4 에 도시된 전개 상태에서는 가장 아래쪽에 위치된 금속 플레이트(51)가 바닥에 접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힌지(52)를 중심으로 금속 플레이트(51)가 접혀짐으로써, 다수의 금속 플레이트(51)들이 공급 파이프(31)에 인접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51)가 접혀질 때는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접혀지며, 즉, 갈지자 형태로 접혀질 수 있다. 금속 플레이트(51)가 접혀진 상태에서는 퓨즈 타이(38)가 금속 플레이트(51)와 공급 파이프(31)를 함께 묶어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한다. 화재 발생시에는 퓨즈 타이(38)가 절단되어 금속 플레이트(51)가 자중에 의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개되며, 화염과 열이 화염 차단막(35)을 넘어서 외부로 번지는 것을 방지한다.
화염 차단막(35)은 외부로부터 연소에 필요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는 연기를 포함하는 연소 생성물은 상승하는 반면에, 연소에 필요한 외부 공기는 측면과 저면으로부터 유입될 수 있으므로, 화염 차단막(35)이 바닥까지 도달하여 측면과 저면으로부터의 공기 유입을 차단하면 연소를 저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도 5 는 금속 플레이트에 형성된 액막 유지 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금속 플레이트(51)로 구성된 화염 차단막은 금속 플레이트(51)의 일부를 수평으로 절개하여 굽힘으로써 형성된 굽힘부(55)를 가진다. 금속 플레이트(51)를 절개함으로써 형성된 수평의 긴 개구(51a)는 금속 박막(58)을 금속 플레이트(51)에 접합함으로써 폐쇄될 수 있다. 상기 굽힘부(55)의 수평 방향 양 단부에는 금속편(55a)이 접합된다. 따라서 액막 유지 홈(61)은 그 안에 담긴 액막을 상대적으로 장시간 동안 유지할 수 있다. 이는 공급 파이프(31)로부터 공급되는 액막 형성용 액체가 바닥으로 낙하하여 소모되는 것을 지연시키며, 화염의 전파를 억제하고, 열에 의해 금속 플레이트(51)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한다. 결과적으로, 금속 플레이트(51)로 형성된 화염 차단막은 액막 유지 홈(61)에 유지되는 액막과 함께 화염의 전파를 방지할 수 있다.
도 6 은 도 1 에 도시된 소화제 분출 노즐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복수의 소화제 분출 노즐(21)들은 연결 튜브(22)를 통해 서로 연결되며, 공통의 소화제 탱크(23)로부터 소화제(72)가 복수의 소화제 분출 노즐(21)로 공급될 수 있다. 연결 튜브(22)와 노즐(21)은 상대적으로 높은 용융 온도를 가지는 금속으로 제작되는 반면에, 상기 노즐(21)을 차단하는 차단부(73)는 상대적으로 낮은 용융 온도를 가지는 금속 재료 또는 합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납을 이용하여 차단부(73)를 만들 경우에, 화재로 인한 열기가 차단부(73)를 용융시켜서 소화제(72)가 분출될 수 있다. 도 6 에서는 2 개의 분출 노즐(21)이 서로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에 있어서 더 많은 수의 분출 노즐(21)이 연결 튜브(2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출 노즐(21)은 기둥의 각 측면 마다 제공되고 연결 튜브(22)를 통해 연결된다. 따라서 화재가 발생한 영역에 인접한 기둥(12)의 어느 한 면에 설치된 분출 노즐(21)에서 차단부(73)가 용융되어 소화제(72)가 분출되더라도, 기둥(12)의 다른 면에 설치된 분출 노즐(21)에서는 차단부(73)가 용융되지 않으며, 불필요한 소화제(72)의 분출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는 소화제(72)의 낭비를 줄이고 화재 현장에만 집중적으로 소화제(72)를 분출할 수 있는 장점을 가져온다.
일 예에서, 소화제(72)는 소화제 탱크(23) 안에서 압축 공기 또는 압축 질소와 같은 압축 유체(71)의 압력을 받으며, 따라서 차단부(73)가 이탈되면 소화제(72)의 분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소화제 탱크(23)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12)마다 설치될 수 있으나, 다른 예에서 하나 이상의 탱크(미도시)가 기둥(12)이 아닌 다른 구조물에 장착되고 분출 노즐(21)이 연결 튜브(22)를 통해 소화제 탱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소화제(72)는 동절기에도 동결되지 않는 다양한 유형의 소화제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기에서 널리 사용되는 사염화탄소, 탄산수소나트륨, 일염화일브롬화메탄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 7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재 진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소화제 탱크(81)는 펌프(82)와 연결되며, 상기 펌프(82)에 연결된 공급 파이프(86)에는 다수의 소화제 분출 노즐(21)이 연결된다. 각각의 소화제 분출 노즐(21)로부터의 소화제 분출을 개폐할 수 있도록, 액튜에이터로 제어되는 개폐 밸브(85)가 각각의 소화제 분출 노즐(21)에 제공된다. 상기 소화제 분출 노즐(21)은 예를 들어 도 1 에 도시된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12)에서 각각의 측면부에 필요한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화재 감지 센서(84)가 다수 구비되며, 상기 화재 감지 센서(84)들은 예를 들어 차량 주차 공간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화재 감지 센서(84), 밸브(85)를 작동시키는 액튜에이터(미도시) 및, 펌프(82)는 제어부(83)에 의해 각각 제어된다. 예를 들어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12)들 사이에 주차된 다수의 차량들중 어느 하나의 차량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에, 다수의 화재 감지 센서(84)들중 하나에서 화재가 감지되고, 제어부(83)에 화재 감시 신호가 전달되면 그에 따라서 제어부(83)는 펌프(82)에 가동 명령을 전달한다. 이와 동시에, 다수의 소화제 분출 노즐(21)들중 화재 발생 공간을 지향하는 노즐에서만 소화제가 분출될 수 있도록, 제어부(83)는 선택된 밸브(85)만을 개방하도록 대응 액튜에이터를 작동시킨다. 이와 같은 제어부(83)의 작동에 의하여 최소한의 소화제만을 가지고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화재 진압 장치는 도 1 을 참조하여 설명된 화염 차단막(35)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화염 차단막이 감겨지거나 접힌 상태를 유지하는 도 2b 및 도 4 에 도시된 퓨즈 타이(38)도 제어부(83)의 제어하에 절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재 감지 센서(84)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화재 발생 영역을 둘러싸는 위치에 배치된 화염 차단막(35)이 선택되고, 상기 선택된 화염 차단막(35)의 퓨즈 타이(38)들이 커터(미도시)에 의해 끊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커터(미도시)를 작동하는 액튜에이터(미도시)는 제어부(83)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11. 차량 12. 기둥
21. 소화제 분출 노즐 22. 연결 튜브
31. 공급 파이프 35. 화염 차단막

Claims (7)

  1. 다수의 기둥을 포함하는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로서,
    화재 발생 영역을 지향하도록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마다 설치되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소화제 분출 노즐;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액막 형성용 액체를 공급하고 다수의 분출공이 형성된 공급 파이프; 및,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 사이에서 전개될 수 있도록 설치된 화염 차단막으로서, 상기 공급 파이프의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된 액막 형성용 액체가 표면에서 액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액막 유지 홈이 형성된, 화염 차단막;을 구비하고,
    상기 화염 차단막은 다수의 난연재 단편을 상호 접합하여 구성된 난연재 커튼으로 이루어지며, 상부에 배치된 난연재 단편의 하부 접합부가 하부에 배치된 다른 난연재 단편의 중간 접합부에 접합됨으로써 상기 액막 유지 홈이 형성되고,
    상기 난연재 단편에는 형상 기억 합금이 매립되고, 상기 난연재 커튼의 하부에는 중량봉이 제공되고,
    상기 난연재 커튼은 중량봉의 둘레에 감겨져서 상기 공급 파이프와 함께 퓨즈 타이로 고정되며,
    상기 퓨즈 타이(fuse tie)는 화재 발생시에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 분출 노즐은 화재 발생시의 열에 의해 용융될 수 있는 차단부로 폐쇄됨으로써, 복수의 소화제 분출 노즐중 화재 발생 영역에 인접한 소화제 분출 노즐만이 개방되어 소화제를 분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3. 삭제
  4. 삭제
  5. 다수의 기둥을 포함하는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로서,
    화재 발생 영역을 지향하도록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마다 설치되고, 서로 연결된 복수의 소화제 분출 노즐;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 사이에 설치되어 액막 형성용 액체를 공급하고 다수의 분출공이 형성된 공급 파이프; 및,
    필로티 구조물의 기둥 사이에서 전개될 수 있도록 설치된 화염 차단막으로서, 상기 공급 파이프의 분출공으로부터 분출된 액막 형성용 액체가 표면에서 액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액막 유지 홈이 형성된, 화염 차단막;을 구비하고,
    상기 화염 차단막은 다수의 금속 플레이트를 힌지를 중심으로 접을 수 있도록 결합시켜서 구성되며, 각각의 금속 플레이트에는 금속 플레이트의 일부를 수평 방향으로 절개하여 굽힘으로써 형성된 굽힘부 및, 상기 굽힘부가 형성된 금속 플레이트의 표면에 반대인 표면에 부착된 금속 박편에 의하여 상기 액막 유지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금속 플레이트는 힌지를 중심으로 접혀져서 상기 공급 파이프와 함께 퓨즈 타이로 고정되며, 상기 퓨즈 타이(fuse tie)는 화재 발생시에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절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7.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의 화재 감지 센서들; 상기 복수의 소화제 분출 노즐 각각을 액튜에이터로써 개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의 소화제 분출 노즐 각각에 구비된 개폐 밸브;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 및 상기 액튜에이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 센서들의 화재 감지시에 상기 액튜에이터를 작동하여 복수의 소화제 분출 노즐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KR1020190105568A 2019-08-28 2019-08-28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KR1020848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568A KR102084887B1 (ko) 2019-08-28 2019-08-28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5568A KR102084887B1 (ko) 2019-08-28 2019-08-28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887B1 true KR102084887B1 (ko) 2020-03-04

Family

ID=69783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5568A KR102084887B1 (ko) 2019-08-28 2019-08-28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8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7392B1 (ko) * 2022-11-11 2023-09-12 주식회사 에스제이코퍼레이션 차량화재 진압용 튜브
WO2024010151A1 (ko) * 2022-07-08 2024-01-11 전재균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KR102652696B1 (ko) * 2023-08-10 2024-03-29 (주)건일엠이씨 전기차 충전소 화재 방재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8256U (ja) * 1992-03-30 1993-10-26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防火防煙区画装置
KR20130017747A (ko) * 2011-08-11 2013-02-20 (주)씨아이제이 연무 차단 장치
KR101618991B1 (ko) * 2014-12-17 2016-05-1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지향형 소화기
KR20170123452A (ko) * 2016-04-29 2017-1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방장치
KR101899102B1 (ko) * 2018-02-13 2018-09-19 주식회사 뱅가드텍 자동 소화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8256U (ja) * 1992-03-30 1993-10-26 前田建設工業株式会社 防火防煙区画装置
KR20130017747A (ko) * 2011-08-11 2013-02-20 (주)씨아이제이 연무 차단 장치
KR101618991B1 (ko) * 2014-12-17 2016-05-1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지향형 소화기
KR20170123452A (ko) * 2016-04-29 2017-1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소방장치
KR101899102B1 (ko) * 2018-02-13 2018-09-19 주식회사 뱅가드텍 자동 소화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151A1 (ko) * 2022-07-08 2024-01-11 전재균 튜브형 차량화재진화장치
KR102577392B1 (ko) * 2022-11-11 2023-09-12 주식회사 에스제이코퍼레이션 차량화재 진압용 튜브
WO2024101509A1 (ko) * 2022-11-11 2024-05-16 주식회사 에스제이코퍼레이션 차량화재 진압용 튜브
KR102652696B1 (ko) * 2023-08-10 2024-03-29 (주)건일엠이씨 전기차 충전소 화재 방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4887B1 (ko)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CA2489074C (en) Method and system for extinguishing a fire
JPH114905A (ja) ウォーターミストを利用した消火、消煙装置及び方法
KR101069939B1 (ko)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US20090250230A1 (en) Fire protection
EP2293852B1 (en) Fire sprinkler system
KR101414949B1 (ko) 유리벌브형 스프링클러
US20200238113A1 (en) Wildfire containment barrier
KR200414720Y1 (ko) 화재 지연용 도어 장치
KR101289864B1 (ko) 에어커튼을 병행한 상하 복층식 화연 확산 방지 장치 및 이를 적용한 토목 건축 구조물
KR100898917B1 (ko) 패널 벽체의 자동소화 장치
KR101450249B1 (ko) 자동 차수판을 구비한 소화시스템
JP5046315B2 (ja) 防火区画形成システム
CN114945413A (zh) 防灾器具和防灾设备
KR200496259Y1 (ko) 화재 진압구를 갖춘 샌드위치 패널
KR20110075749A (ko) 스프링클러 헤드의 감열체
JP2007006932A (ja) 消火設備
KR100456071B1 (ko) 상수도 직결형 간이 스프링클러
JPH10118214A (ja) ウォーターミストを利用した消火、消煙方法及びその装置
JP3937381B2 (ja) 屋内消火設備
KR20200094546A (ko)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JP2004154448A (ja) 自動消火装置
JP7025860B2 (ja) 延焼防止装置
JP7162851B2 (ja) 消火設備および可燃物消火用ノズル
KR102619703B1 (ko) 건축물의 신속한 화재진압을 위한 안전성 향상 신속소방방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