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9102B1 - 자동 소화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소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9102B1
KR101899102B1 KR1020180017404A KR20180017404A KR101899102B1 KR 101899102 B1 KR101899102 B1 KR 101899102B1 KR 1020180017404 A KR1020180017404 A KR 1020180017404A KR 20180017404 A KR20180017404 A KR 20180017404A KR 101899102 B1 KR101899102 B1 KR 101899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agent
temperature
nozzle body
nozzle
discharge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7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9102B9 (ko
Inventor
곽만석
허정훈
김광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뱅가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3718813&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899102(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뱅가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뱅가드텍
Priority to KR1020180017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91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9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102B1/ko
Priority to PCT/KR2019/001657 priority patent/WO2019160290A1/ko
Priority to JP2020542263A priority patent/JP7030999B2/ja
Publication of KR101899102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9102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03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djustable, e.g. from spray to jet or vice versa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5Alarm destination chosen according to a hierarchy of available destinations, e.g. if hospital does not answer send to police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7/00Alarm systems in which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from a central station to a plurality of substat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자동 소화 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개방된 출구 단부를 포함하고, 출구 단부를 제외한 영역이 폐쇄되어 마련되며, 내부에 소화제를 수용하는 소화제 용기 및 출구 단부와 결합하여 출구 단부를 밀폐시키고, 소화제가 분사될 수 있는 토출구를 포함하며, 온도에 따라 토출구가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며, 소화제는,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고, 기 설정된 기화 온도에서 기화되는 물질이다.

Description

자동 소화 장치{AUTOMATED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자동 소화 장치와 관련된다.
일반적으로, 실내에는 화재 진압을 위해 스프링클러가 장착된다. 스프링클러는 실내 온도를 감지하여 실내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물을 뿌리도록 설계된다. 여기서, 스프링클러는 배관을 통해 물을 공급받는데, 배관의 밸브가 잠겨 있으면 물을 분사할 수 없게 된다. 즉, 실내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더라도 배관의 밸브가 잠겨 있으면 스프링클러의 역할을 수행 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겨울과 같이 날씨가 추워지면 배관이 동파될 위험이 있으며, 이 경우에도 스프링클러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스프링클러는 물이 분사되는 각도 내에서만 화재를 진압할 수 있으며, 물이 분사되는 각도를 벗어난 곳의 화재를 진압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재 발생 원인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전기 화재의 경우, 대부분의 소화 시설이 천정에 설치되어 발화점과 멀리 떨어져 있게 되며, 그로 인해 화재 발생 시 조기 발견 및 초기 진압이 되지 못해 대형 화재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게 된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63850호(2000.11.06)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별도의 배관 구성 없이 자동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자동 소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자동 소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개시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개방된 출구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 단부를 제외한 영역이 폐쇄되어 마련되며, 내부에 소화제를 수용하는 소화제 용기; 및 상기 출구 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출구 단부를 밀폐시키고, 상기 소화제가 분사될 수 있는 토출구를 포함하며, 온도에 따라 상기 토출구가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제는,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고, 기 설정된 기화 온도에서 기화되는 물질이다.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출구 단부와 결합되는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본체 내에서 상기 출구 단부를 밀폐시키고, 상기 토출구의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되며, 기 설정된 용융 온도에서 용융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용융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 부재의 용융 온도와 상기 소화제의 기화 온도 간의 차이는 기 설정된 임계 온도차 이상이 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출구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용융 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삽입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고, 하단부가 상기 토출구의 통로를 채우며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출구 단부와 평행하게 마련되고, 상기 출구 단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의 하단에서 상기 제1 본체와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출구 단부의 하단이 안착되는 제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노즐 본체의 상단부터 상기 노즐 본체의 하단까지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용융 부재는, 상기 토출구의 통로를 채우며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출구 단부와 결합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 공간과 상기 노즐 본체의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의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되고, 기 설정된 용융 온도에서 용융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용융 부재;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에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오리피스 통로를 형성하는 오리피스부; 상기 오리피스부 상에 마련되고 기 설정된 변형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변형을 일으키는 변형부; 및 상기 오리피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오리피스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되고, 상기 변형부의 변형에 따라 상기 오리피스 통로를 개방시키는 분사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 조절부의 하단은 상기 변형부의 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기 설정된 변형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상기 변형부의 단부가 휘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기 설정된 변형 온도는, 상기 소화제의 기화 온도 보다 높고 상기 용융 부재의 용융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소화제 용기는, 복수 개의 출구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복수 개의 출구 단부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노즐 본체; 및 상기 각 노즐 본체 내에서 각 출구 단부를 밀폐시키고, 상기 토출구의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되며, 기 설정된 용융 온도에서 용융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용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용융 부재들 중 하나 이상의 용융 부재는, 다른 용융 부재의 용융 온도와 상이한 용융 온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소화제 용기는, 제1 출구 단부 및 제2 출구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제1 출구 단부와 결합되는 제1 분사 노즐 및 상기 제2 출구 단부와 결합되는 제2 분사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분사 노즐은, 상기 제1 출구 단부와 결합되는 제1 노즐 본체; 상기 제1 노즐 본체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노즐 본체의 내부 공간과 상기 제1 노즐 본체의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 토출구; 상기 제1 토출구의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되고, 기 설정된 제1 용융 온도에서 용융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용융 부재; 상기 제1 노즐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노즐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1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1 오리피스 통로를 형성하는 제1 오리피스부; 상기 제1 오리피스부 상에 마련되고 기 설정된 제1 변형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변형을 일으키는 제1 변형부; 및 상기 제1 오리피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오리피스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 변형부의 변형에 따라 상기 제1 오리피스 통로를 개방시키는 제1 분사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분사 노즐은, 상기 제2 출구 단부와 결합되는 제2 노즐 본체; 상기 제2 노즐 본체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노즐 본체의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노즐 본체의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 토출구; 상기 제2 토출구의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 용융 온도 보다 높은 제2 용융 온도에서 용융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용융 부재; 상기 제2 노즐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노즐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2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2 오리피스 통로를 형성하는 제2 오리피스부; 상기 제2 오리피스부 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변형 온도 보다 높은 제2 변형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변형을 일으키는 제2 변형부; 및 상기 제2 오리피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 오리피스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2 변형부의 변형에 따라 상기 제2 오리피스 통로를 개방시키는 제2 분사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변형부의 온도에 따른 변형 정도는 상기 제1 변형부의 온도에 따른 변형 정도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자동 소화 장치는, 상기 소화제 용기 및 상기 분사 노즐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자동 소화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자동 소화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소화제 용기 및 상기 분사 노즐로 전달하는 열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는, 복수 개의 출구 단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소화제를 수용하는 소화제 용기; 상기 복수 개의 출구 단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 분사 노즐; 상기 복수 개의 출구 단부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제2 분사 노즐; 및 상기 제1 분사 노즐 및 상기 제2 분사 노즐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분사 노즐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토출구가 개방되어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분사 노즐은, 토출구가 기 설정된 온도에서 용융되는 용융 부재에 의해 폐쇄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소화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에서 화재 관련 이벤트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화재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알람 신호를 제1 연락처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관련 이벤트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연락처 단말기로부터 화재 진압 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분사 노즐의 토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소화제가 분사되도록 하고, 제2 연락처 단말기로 화재 알람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개시되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는, 하나 이상의 개방된 제1 출구 단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소화제를 수용하는 제1 소화제 용기; 하나 이상의 개방된 제2 출구 단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소화제를 수용하며, 상기 제1 소화제 용기와 연통하여 마련되는 제2 소화제 용기; 상기 제1 출구 단부와 결합되는 제1 분사 노즐; 상기 제2 출구 단부와 결합되는 제2 분사 노즐; 상기 제1 소화제 용기와 상기 제2 소화제 용기의 연통되는 통로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개폐 밸브; 및 상기 제1 분사 노즐 및 상기 제2 분사 노즐의 각 토출구의 개방을 제어하고, 상기 개폐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개시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소화제 용기 내부의 기체 상태의 소화제는 내부 압력이 높아진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분사되므로, 높은 분사 압력으로 한꺼번에 분출되어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즉, 소화제는 밀봉된 소화제 용기 내에서 계속적으로 열을 받아 운동 에너지가 높아진 상태에서 분사되므로,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고, 기체 상태로 분사되어 실내 전체에 걸쳐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분사 노즐을 복수 개 구비하고, 분사 노즐에서 서로 다른 용융 온도를 가지는 용융 부재를 사용함으로써, 하나의 분사 노즐로 화재의 1차 진압 실패 시 연속적으로 다른 분사 노즐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물 인터넷(IoT) 및 인공 지능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어 장치를 통해 화재 감지 시 자동으로 소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 기 설정된 연락처로 화재 발생 알람을 전송하여 화재를 초기에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을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벽면에 장착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벽면에 장착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을 나타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변형부가 변형되는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방법의 흐름도
도 20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신호 또는 정보의 "전송", "통신", "송신", "수신" 기타 이와 유사한 의미의 용어는 일 구성요소에서 다른 구성요소로 신호 또는 정보가 직접 전달되는 것뿐만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거쳐 전달되는 것도 포함한다. 특히 신호 또는 정보를 일 구성요소로 "전송" 또는 "송신"한다는 것은 그 신호 또는 정보의 최종 목적지를 지시하는 것이고 직접적인 목적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이는 신호 또는 정보의 "수신"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2 이상의 데이터 또는 정보가 "관련"된다는 것은 하나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획득하면, 그에 기초하여 다른 데이터(또는 정보)의 적어도 일부를 획득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상측, 하측, 일측, 타측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는 다양한 배향으로 위치 설정될 수 있으므로, 방향성 용어는 예시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이지 이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분사 노즐 또는 소화제 용기 등은 어느 하나의 실시예에서만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자동 소화 장치(100)는 소화제 용기(102) 및 분사 노즐(104)을 포함한다. 자동 소화 장치(100)는 실내의 천장 또는 벽면에 설치될 수 있으나, 자동 소화 장치(100)가 설치되는 장소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이외에 배전반, 단자함 등 다양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소화제 용기(102)는 내부에 소화제(불을 끌 수 있는 물질) 가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소화제는 상온에서는 액체로 존재하고, 기 설정된 온도에서 기화되는 물질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소화제는 3M의 Novec 1230 Fire Protection Fluid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소화제 용기(102)는 내부에 소화제가 수용된 상태에서 밀봉되어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화제 용기(102)는 기화된 소화제가 분출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출구 단부(102a)를 구비할 수 있다. 출구 단부(102a)는 개방되어 마련될 수 있다. 소화제 용기(102)는 출구 단부(102a)를 제외한 모든 영역이 폐쇄되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출구 단부(102a)는 분사 노즐(104)에 의해 밀폐될 수 있다.
소화제 용기(102)는 열 전도성 및 강도가 우수한 재질(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소화제 용기(102)는 자동 소화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에 화재 발생 시 그 온도를 내부의 소화제로 빠르게 전달할 수 있도록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소화제 용기(102)는
내부의 소화제가 기화되어 팽창하더라도 그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우수한 강도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화제 용기(102)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소화제 용기(102)는 소정 직경의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분사 노즐(104)은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에 결합될 수 있다. 분사 노즐(104)이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에 결합됨에 따라, 소화제 용기(102)는 전체가 밀봉되게 된다. 분사 노즐(104)은 노즐 본체(111), 용융 부재(113), 토출구(115), 및 분사각 조절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본체(111)는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에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노즐 본체(111)는 출구 단부(102a) 내부로 삽입되어 출구 단부(102a)와 결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즐 본체(111)는 출구 단부(102a)의 외면과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노즐 본체(111)와 출구 단부(102a) 간의 결합은 나사 결합, 끼움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용융 부재(113)는 노즐 본체(111)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용융 부재(113)는 토출구(115)의 내부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용융 부재(113)는 상온에서는 고체로 존재하고, 기 설정된 온도에서 용융되는 재질(예를 들어, 합금 재질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용융 부재(113)는 소화제의 기화 온도 보다 높은 온도에서 용융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용융 부재(113)의 용융 온도(예를 들어, 75℃ 또는 105℃ 등)는 소화제의 기화 온도(예를 들어, 49℃ 등) 보다 높을 수 있다.
용융 부재(113)의 용융 온도와 소화제의 기화 온도 간의 차이는 기 설정된 임계 온도차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소화제 용기(102) 내의 소화제가 기화된 후 기화된 소화제의 운동 에너지가 소화제 용기(102) 내에서 일정 수준에 도달할 수 있도록 용융 부재(113)의 용융 온도와 소화제의 기화 온도 간의 차이가 기 설정된 임계 온도차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토출구(115)는 노즐 본체(111)의 내부에 노즐 본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115)는 노즐 본체(111)의 일단에서 타단까지 노즐 본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115)는 용융 부재(113)가 녹아 내리는 경우, 소화제 용기(102)의 기화된 소화제가 외부로 분사되는 통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분사각 조절부(116)는 노즐 본체(111)의 타단에 마련될 수 있다. 분사각 조절부(116)는 토출구(115)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제의 방향을 변경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분사각 조절부(116)는 토출구(115)를 통해 분사되는 소화제의 방향을 수직한 방향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분사각 조절부(116)는 연장 몸체(116a) 및 분사각 조절홈(116b)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 몸체(116a)는 노즐 본체(111)의 타단에서 노즐 본체(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분사각 조절홈(116b)은 연장 몸체(116a)의 일부분이 절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분사각 조절홈(116b)은 연장 몸체(116a)에서 토출구(115)와 직각되는 일측면이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사각 조절홈(116b)은 분사각 조절홈(116b) 내의 공간이 토출구(115)와 연통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사각 조절홈(116b)의 내벽 중 토출구(115)를 바라보는 면은 토출구(115)에서 분사되는 소화제가 연장 몸체(116a)의 개방된 일측면을 향하도록 하는 분사각 조절면(116b-1)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각 조절면(116b-1)은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분사각 조절면(116b-1)은 곡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는, 분사 노즐(104)이 소화제 용기(102)의 일단에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화제 용기(102)의 용량을 크게 하는 경우, 소화제 용기(102)의 양단에 분사 노즐(104)이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이때, 각 분사 노즐(104)의 용융 부재(113)는 용융 온도가 서로 다른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자동 소화 장치(100)는 소화제 용기(102) 및 분사 노즐(104)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소화제 용기(102)는 출구 단부(102a)가 하부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소화 장치(100)가 실내의 천정에 설치되는 경우, 소화제 용기(102)는 천정을 따라 배치되고, 출구 단부(102a)가 지면을 향하여 하부로 절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화제 용기(102)의 형태 및 크기는 자동 소화 장치(100)가 사용되는 실내의 크기 및 장소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분사 노즐(104)은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에 결합될 수 있다. 분사 노즐(104)은 노즐 본체(111), 용융 부재(113), 및 토출구(115)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본체(111)는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를 감싸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노즐 본체(111)의 내부에는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가 삽입되는 삽입홈(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노즐 본체(111)는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노즐 본체(111)의 삽입홈(111a)의 내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의 외면에 제1 나사산과 대응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노즐 본체(111)는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와 끼움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용융 부재(113)는 노즐 본체(111)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용융 부재(113)는 노즐 본체(111)의 내부에서 소화제 용기(102)의 개방된 출구 단부(102a)를 폐쇄하며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용융 부재(113)는 토출구(115)의 내부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용융 부재(113)의 상단부는 노즐 본체(111)의 내부에서 삽입홈(111a)의 하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즉, 삽입홈(111a)의 하단은 노즐 본체(111)의 내부 바닥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용융 부재(113)의 상단부는 노즐 본체(111)의 내부 바닥부터 삽입홈(111a)의 하단까지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의 하단은 용융 부재(113)의 상단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용융 부재(113)의 하단부는 토출구(115)의 내부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즉, 용융 부재(113)의 하단부는 토출구(115)의 내부를 채우며 마련될 수 있다.
용융 부재(113)의 용융 온도(예를 들어, 75℃ 또는 105℃ 등)는 소화제의 기화 온도(예를 들어, 49℃ 등) 보다 높을 수 있다. 이 경우, 소화제 용기(102)의 소화제가 기화된 상태에서도 용융 부재(113)가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를 폐쇄할 수 있게 된다.
토출구(115)는 노즐 본체(111)의 하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115)는 노즐 본체(111)의 내부와 노즐 본체(111)의 외부를 연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115)는 용융 부재(113)가 녹아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가 개방되는 경우, 소화제 용기(102)의 기화된 소화제(즉, 기체 상태의 소화제)가 외부로 분사되는 부분이다. 토출구(115)는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에서, 용융 부재(113)는 일종의 온도 센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용융 부재(113)는 소화제 용기(102) 내의 소화제를 외부로 분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자동 소화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에 화재가 발생하여 실내 온도가 기 설정된 기화 온도보다 높아지게 되면, 소화제 용기(102)의 소화제는 기화되게 된다. 그리고, 실내 온도가 더욱 높아져 기 설정된 용융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이때, 소화제 용기(102) 내부의 소화제는 기화된 상태에서 팽창하고 있는 상태임), 용융 부재(113)는 녹아서 흘러 내리게 된다. 그러면,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가 개방되면서 내부의 기체 상태의 소화제가 토출구(115)를 통해 분사되게 된다.
여기서, 소화제 용기(102) 내부의 기체 상태의 소화제는 내부 압력이 높아진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분사되므로, 높은 분사 압력으로 한꺼번에 분출되어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즉, 소화제는 밀봉된 소화제 용기(102) 내에서 계속적으로 열을 받아 운동 에너지가 높아진 상태에서 분사되므로,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고, 기체 상태로 분사되어 실내 전체에 걸쳐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여기서는 도 2에 도시한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분사 노즐(104)은 노즐 본체(111), 용융 부재(113), 및 토출구(115)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본체(111)는 제1 본체(111-1) 및 제2 본체(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111-1)는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본체(111-1)는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즉,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의 내면에 제1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1 본체(111-1)의 외면에 제1 나사산과 대응되는 제2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본체(111-1)는 출구 단부(102a)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본체(111-2)는 제1 본체(111-1)의 하단에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본체(111-2)는 출구 단부(102a)의 하단이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115)는 노즐 본체(111)의 내부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출구(114)는 노즐 본체(111)의 상단부터 노즐 본체(111)의 하단까지 노즐 본체(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115)는 하단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넓어지는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용융 부재(113)는 노즐 본체(111)의 내부에서 토출구(115)의 내부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즉, 용융 부재(113)는 토출구(115)의 내부를 채우며 마련될 수 있다. 용융 부재(113)는 노즐 본체(111)의 하부면을 커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노즐 본체(111)가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의 내부로 삽입되고, 노즐 본체(111)의 토출구(115)가 용융 부재(113)로 채워짐에 따라,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가 폐쇄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벽면에 장착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자동 소화 장치(100)는 제1 장착부(10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장착부(106)는 자동 소화 장치(100)를 천장 또는 벽과 같은 평면(설치면)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이다. 장착부(106)는 설치면에 상호 이격하여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장착부(106)는 용기 고정부(106a) 및 날개부(106b)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 고정부(106a)는 소화제 용기(102)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소화제 용기(102)는 용기 고정부(106a)의 내부로 삽입되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용기 고정부(106a)는 소화제 용기(102)의 단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는, 용기 고정부(106a)가 파이프 형상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용기 고정부(106a)는 그 이외의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고정부(106a)는 하단이 개방되어 마련되고 소화제 용기(102)가 아래에서 위로 끼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날개부(106b)는 용기 고정부(106a)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날개부(106b)는 제1 장착부(106)를 자동 소화 장치(100)가 설치되는 면(즉, 설치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부분이다. 날개부(106b)는 결합 부재(예를 들어, 나사, 못, 양면 접착 테이프 등)를 통해 설치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여기서는 제1 장착부(106)의 용기 고정부(106a)가 한 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장착부(106)는 복수 개의 용기 고정부(106a)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장착부(106)는 제1 장착부(106)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호 이격된 용기 고정부(106a)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여러 개의 자동 소화 장치(100)가 하나의 제1 장착부(106)에 함께 장착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벽면에 장착하기 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자동 소화 장치(100)는 제2 장착부(10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장착부(108)는 설치면에 상호 이격하여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장착부(108)는 고정부(108a), 연결부(108b), 및 용기 고정부(108c)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08a)는 설치면에 고정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정부(108a)는 별도의 브라켓 등을 통해 설치면에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부(108b)의 일단은 고정부(108a)에 연결되고, 연결부(108b)의 타단은 용기 고정부(108c)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08b)는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결부(108b)는 다단 인출이 가능한 로드 형태로 이루어져 길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08b)는 플렉서블(Flexible) 하게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108b)는 다양한 방향으로 휘어져 자세를 유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용기 고정부(108c)는 소화제 용기(102)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 고정부(108c)는 하단이 개방되어 마련되고 소화제 용기(102)가 아래에서 위로 끼움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용기 고정부(108c)는 탄성 클립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108b)를 길이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자동 소화 장치(100)를 천정 또는 벽면 보다 화재원에 근접시킬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화재 발생 시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연결부(108b)를 플렉서블하게 함으로써, 설치 장소의 공간 형태에 따라 자동 소화 장치(10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어 설치 효율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의 (a) 및 (b)를 참조하면, 자동 소화 장치(100)는 소화제 용기(102), 분사 노즐(104), 및 제3 장착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제 용기(102)는 바닥 면적이 넓은 원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화제 용기(102)의 상단에는 압력 조절판(103)이 형성될 수 있다. 압력 조절판(103)은 소화제 용기(102)의 상단을 밀폐하며 마련될 수 있다. 압력 조절판(103)은 하부로 굴곡되어 마련될 수 있다. 소화제 용기(102)는 도 1의 자동 소화 장치(100)가 설치된 공간 보다 공간이 넓은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소화제 용기(102)의 하부에는 분사 노즐(104)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소화제 용기(102)의 상단에는 제3 장착부(110)가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3 장착부(110)는 자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 장착부(110)는 압력 조절판(103)의 테두리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3 장착부(110)는 양면 접착 테이프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3 장착부(110)는 별도의 브라켓 등을 통해 소화제 용기(102)를 설치면에 장착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사 노즐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소화제가 분사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위에 도시된 실시예와 차이가 나는 부분을 중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분사 노즐(104)은 노즐 본체(111), 용융 부재(113), 토출구(115), 오리피스부(117), 변형부(119), 고정부(121), 및 분사 조절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본체(111)는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와 결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노즐 본체(111)는 제1 본체(111-1) 및 제2 본체(1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본체(111-1)는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와 결합될 수 있다. 제1 본체(111-1)는 소화제 용기(102)의 출구 단부(102a)와 평행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본체(111-1)는 출구 단부(102a)가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는, 제1 본체(111-1)는 출구 단부(102a)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본체(111-2)는 제1 본체(111-1)의 단부에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본체(111-1)의 내부에 출구 단부(102a)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경우, 제2 본체(111-2)는 제1 본체(111-1)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 본체(111-1)가 출구 단부(102a)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경우, 제2 본체(111-2)는 제1 본체(111-1)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수직하게 마련될 수 있다.
용융 부재(113)는 노즐 본체(111) 내에서 토출구(115)의 내부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될 수 있다. 용융 부재(113)는 토출구(115)의 내부를 채우며 마련될 수 있다. 용융 부재(113)의 상단은 제2 본체(111-2)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토출구(115)는 노즐 본체(111)의 하단에 노즐 본체(111)의 내부와 노즐 본체(111)의 외부를 연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토출구(115)는 제2 본체(111-2)를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오리피스부(117)는 노즐 본체(111)의 내부에 마련되고, 토출구(115)와 연통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오리피스부(117)는 토출구(115)와 연통되는 노즐 본체(111)의 내부 공간을 좁혀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오리피스부(117)는 기화된 소화제가 토출구(115)로 분사될 때, 토출구(115)와 연통되는 노즐 본체(111)의 내부 공간을 좁혀줌으로써, 기화된 소화제가 신속하고 원활하게 토출구(115)를 통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오리피스부(117)는 토출구(115)의 상부에 노즐 본체(111)의 내부 직경보다 작으면서 토출구(115)의 직경보다 큰 통로(이하, 오리피스 통로라 지칭할 수 있음)(117a)를 제공할 수 있다.
변형부(119)는 노즐 본체(111) 내에서 오리피스부(117) 상에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변형부(119)는 한 쌍이 상호 이격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변형부(119)는 소정 폭을 가지는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그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변형부(119)의 단부는 오리피스 통로(117a) 측으로 돌출되어 마련될 수 있다. 변형부(119)는 기 설정된 변형 온도에서 변형이 시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변형부(119)는 기 설정된 변형 온도 이상에서 변형부(119)의 단부가 상부로 휘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기 설정된 변형 온도는 용융 부재(113)의 용융 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 설정된 변형 온도는 소화제의 기화 온도 보다 높고 용융 부재(113)의 용융 온도 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변형부(119)는 온도가 올라갈수록 변형부(119)의 단부가 상부로 점점 휘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변형부(119)는 형상 기억 합금 또는 바이메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부(121)는 노즐 본체(111) 내에서 오리피스부(117) 상에 마련될 수 있다. 고정부(121)는 변형부(119)와 이웃하여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1)는 오리피스부(117) 상에서 변형부(119)를 제외한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21)는 기 설정된 변형 온도 이상에서도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물질(예를 들어, 금속 재질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고정부(121)는 변형부(119)가 변형되더라도 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분사 조절부(123)는 변형부(119) 및 고정부(121)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분사 조절부(123)는 오리피스 통로(117a)를 폐쇄하며 마련될 수 있다. 변형부(119)의 단부가 상부로 휘어지는 경우, 분사 조절부(123)는 변형부(119)에 의해 들어올려 질 수 있다. 분사 조절부(123)가 들어올려지는 경우, 변형부(119)와 고정부(121) 사이에 틈이 형성되며, 그 틈으로 기화된 소화제가 유입될 수 있게 된다.
개시되는 실시예에서, 자동 소화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에 화재가 발생하여 실내 온도가 기 설정된 기화 온도 보다 높아지게 되면, 소화제 용기(102)의 소화제는 기화되게 된다. 그리고, 실내 온도가 높아져 기 설정된 변형 온도 이상이 되면, 변형부(119)의 단부가 상부로 휘어져 분사 조절부(123)를 들어올리기 시작한다. 실내 온도가 더욱 높아져 기 설정된 용융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용융 부재(113)가 녹아서 흘러 내리게 된다. 그러면, 기화된 소화제가 변형부(119)와 고정부(121) 사이의 틈으로 유입되어 오리피스 통로(117a) 및 토출구(115)를 통해 밖으로 분사되게 된다.
여기서, 실내 온도가 계속 높아지면 변형부(119)의 단부가 더욱 상부로 휘어져 틈이 더욱 벌어지게 되므로, 오리피스 통로(117a) 및 토출구(115)로 분사되는 기화된 소화제의 양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자동 소화 장치(100)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에 비례하여 분사되는 소화제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그로 인해 커지는 불길을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부(119)는 타단부가 상부로 휘어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즉, 변형부(119)는 제1 본체(111-1) 측에 인접한 단부가 상부로 휘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였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의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므로,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자동 소화 장치(200)는 소화제 용기(202), 제1 분사 노즐(204-1), 및 제2 분사 노즐(204-2)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제 용기(202)는 제1 출구 단부(202a-1) 및 제2 출구 단부(202a-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사 노즐(204-1)은 제1 출구 단부(202a-1)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분사 노즐(204-2)은 제2 출구 단부(202a-2)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분사 노즐(204-1)은 제1 노즐 본체(211-1), 제1 용융 부재(213-1), 제1 토출구(215-1), 제1 오리피스부(217-1), 제1 변형부(219-1), 제1 고정부(미도시), 및 제1 분사 조절부(221-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분사 노즐(204-2)은 제2 노즐 본체(211-2), 제2 용융 부재(213-2), 제2 토출구(215-2), 제2 오리피스부(217-2), 제2 변형부(219-2), 제2 고정부(미도시), 및 제2 분사 조절부(22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용융 부재(213-1)의 용융 온도와 제2 용융 부재(213-2)의 용융 온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용융 부재(213-1)의 용융 온도 보다 제2 용융 부재(213-2)의 용융 온도가 높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용융 부재(213-1)의 용융 온도는 75℃ 이고, 제2 용융 부재(213-2)의 용융 온도는 105℃ 일 수 있다.
또한, 제1 변형부(219-1)의 변형 온도와 제2 변형부(219-2)의 변형 온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제1 변형부(219-1)의 변형 온도 보다 제2 변형부(219-2)의 변형 온도가 높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변형부(219-1)의 변형 온도는 소화제의 기화 온도 보다 높고 제1 용융 부재(213-1)의 용융 온도 보다 낮은 온도일 수 있다. 제2 변형부(219-2)의 변형 온도는 소화제의 기화 온도 보다 높고 제2 용융 부재(213-2)의 용융 온도 보다 낮은 온도 일 수 있다.
제2 변형부(219-2)의 온도에 따른 변형 정도는 제1 변형부(219-1)의 온도에 따른 변형 정도보다 크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변형부(219-2)는 제1 변형부(219-1) 보다 변형 정도가 커서 제2 분사 노즐(204-2)을 통해 분사되는 소화제의 양이 제1 분사 노즐(204-1)을 통해 분사되는 소화제의 양보다 많게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자동 소화 장치(200)가 설치된 장소에 화재가 발생하여 그 온도가 제1 용융 부재(213-1)의 용융 온도 이상이 되면 제1 분사 노즐(204-1)을 통해 기화된 소화제가 분사되어 화재를 1차적으로 진압하게 된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1 분사 노즐(204-1)에 의해서 화재가 진압되지 못하여 해당 장소의 온도가 더욱 올라가 제2 용융 부재(213-2)의 용융 온도 이상이 되면 제2 분사 노즐(204-2)을 통해서도 기화된 소화제가 분사되어 화재를 2차적으로 진압하게 된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자동 소화 장치(100)의 소화제 용기(102)는 미앤더(Meande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소화제 용기(102)는 지그 재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소화제 용기(102) 자체의 용량을 크게 할 수 있으며, 넓은 영역에 걸쳐 자동 소화 장치(100)를 설치하여 넓은 영역을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소화제 용기(102)는 동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소화제 용기(102)의 일단부에 제1 분사 노즐(104-1)을 결합시키고, 소화제 용기(102)의 타단부에 제2 분사 노즐(104-2)을 결합시킬 수 있다. 제1 분사 노즐(104-1)과 제2 분사 노즐(104-2)은 서로 독립된 공간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소화제 용기(102)는 제1 공간과 제2 공간에 걸쳐 형성되고, 제1 분사 노즐(104-1)은 제1 공간을 향하여 기화된 소화제를 분사하도록 마련되며, 제2 분사 노즐(104-2)은 제2 공간을 향하여 기화된 소화제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화제 용기(102)의 일단부와 타단부 사이에 분사 노즐이 결합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소화제 용기(102)는 타원형의 스파이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5의 (a)). 또한, 소화제 용기(102)는 원형의 스파이럴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도 15의 (b)). 즉, 소화제 용기(102)의 형태를 스파이럴 형태로 하여 그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는, 설명의 편의상 분사 노즐이 상부를 향하도록 도시하였다.
도 16을 참조하면, 자동 소화 장치(300)는 소화제 용기(302), 분사 노즐(304), 하우징(308), 조명부(310), 및 제어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308)은 자동 소화 장치(300)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308)은 자동 소화 장치(300)가 설치되는 면에 고정되어 장착될 수 있다. 하우징(308)은 제1 하우징(308-1), 제2 하우징(308-2), 및 제3 하우징(308-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308-1)은 소화제 용기(302) 및 분사 노즐(304)을 수용할 수 있다. 제2 하우징(308-2)은 조명부(310)를 수용할 수 있다. 제2 하우징(308-2)은 제1 하우징(308-1)을 사이에 두고 제1 하우징(308-1)의 양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제3 하우징(308-3)은 제어부(312)를 수용할 수 있다. 제3 하우징(308-3)은 제1 하우징(308-1) 및 제2 하우징(308-2)의 일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우징(308-1)에는 열 전달부(314)가 마련될 수 있다. 열 전달부(314)는 열 전도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열 전달부(314)는 제1 하우징(308-1)의 일면(즉, 설치면과 반대되는 면으로 화재 공간을 향하는 면)에 마련될 수 있다. 열 전달부(314)는 자동 소화 장치(300)가 설치되는 공간에 화재 발생 시 화재에 의한 열을 소화제 용기(302) 및 분사 노즐(304)로 전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열 전달부(314)는 금속 메쉬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열 전달부(314)는 소화제 용기(302) 및 분사 노즐(304)과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명부(310)는 제2 하우징(308-2)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조명부(310)는 제어부(31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자동 소화 장치(300)가 조명부(310)를 포함하여 구현됨에 따라, 평상시에는 조명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312)는 조명부(310)에 전원을 공급하고, 조명부(3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312)는 온도 센서 또는 연기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312)는 온도 센서 또는 연기 센서 등을 이용하여 화재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화재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312)는 통신 모듈을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예를 들어, 사용자의 단말기)로 화재 관련 이벤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12)는 화재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스피커 등을 통해 화재 경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자동 소화 장치(400)는 제1 소화제 용기(402-1), 제2 소화제 용기(402-2), 제1 분사 노즐(404-1), 제2 분사 노즐(404-2), 및 제어부(4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12)는 하우징(431), 센서부(433), 통신부(435), 개폐 밸브(437), 및 제어 모듈(439)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소화제 용기(402-1)의 일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1 분사 노즐(404-1)이 결합될 수 있다. 제1 소화제 용기(402-1)의 타단부는 하우징(431)의 일측을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제1 소화제 용기(402-1)는 소정 길이를 가지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소화제 용기(402-1)는 제1 공간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진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소화제 용기(402-2)의 일단부는 하우징(431)의 타측을 관통하며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소화제 용기(402-1)의 타단과 제2 소화제 용기(402-2)의 일단은 상호 연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2 소화제 용기(402-2)의 타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제2 분사 노즐(404-2)이 결합될 수 있다. 제2 소화제 용기(402-2)는 미앤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소화제 용기(402-2)는 제2 공간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진압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분사 노즐(404-1) 및 제2 분사 노즐(404-2)은 제어 모듈(439)의 제어에 따라 토출구를 개폐시켜 기화된 소화제를 분사하는 전자식 방식의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분사 노즐(404-1) 및 제2 분사 노즐(404-2)은 용융 부재 없이 제어 모듈(439)에 의해 제어되는 별도의 개폐 조절 수단이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하우징(431)은 제어부(412)의 외관을 구성할 수 있다. 하우징(431)은 제어부(412) 내부의 구성을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하우징(431)의 일면은 자동 소화 장치(400)가 설치되는 면에 고정되어 장착될 수 있다.
센서부(433)는 온도 센서 또는 연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433)는 자동 소화 장치(400)가 설치된 장소의 온도 및 연기 등을 감지하여 화재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센서부(433)는 화재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이를 제어 모듈(439)로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435)는 화재 관련 이벤트 발생 시 기 설정된 단말기로 화재 관련 이벤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435)는 기 설정된 단말기로부터 화재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개폐 밸브(437)는 제1 소화제 용기(402-1) 및 제2 소화제 용기(402-2)의 연통되는 통로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개폐 밸브(437)는 제어 모듈(439)의 제어에 따라 제1 소화제 용기(402-1) 및 제2 소화제 용기(402-2)의 연통되는 통로를 개폐할 수 있다.
제어 모듈(439)은 화재 관련 이벤트 발생 시 통신부(435)를 통해 기 설정된 단말기(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 관리실 단말기, 소방서 단말기 등)로 화재 관련 이벤트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439)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화재 동작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 모듈(439)은 화재 동작 제어 신호에 따라 제1 분사 노즐(404-1) 및 제2 분사 노즐(404-2) 중 하나 이상을 제어하여 기화된 소화제를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 모듈(439)은 화재 관련 이벤트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화재 동작 제어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 제1 분사 노즐(404-1) 및 제2 분사 노즐(404-2)의 토출구를 개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어 모듈(439)은 제1 소화제 용기(402-1)가 설치된 제1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제1 분사 노즐(402-1)을 통해 소화제를 분사하였는데, 화재 발생 후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여도 제1 공간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 경우, 개폐 밸브(437)를 통해 제1 소화제 용기(402-1) 및 제2 소화제 용기(402-2)의 연통되는 통로를 개방할 수 있다. 그러면, 제2 소화제 용기(402-2)에 수용된 소화제가 제1 소화제 용기(402-1)로 공급되어 제1 분사 노즐(402-1)을 통해 분사될 수 있게 된다.
즉, 제1 소화제 용기(402-1)에 수용된 소화제로 화재를 진압하기 어려운 경우, 제2 소화제 용기(402-2)에 수용된 소화제를 제1 소화제 용기(402-1) 측으로 공급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제2 소화제 용기(402-2)가 설치된 제2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설치 장소에는 복수 개의 자동 소화 장치(500)가 마련될 수 있다. 각 자동 소화 장치(500)는 소화제 용기(502), 제1 분사 노즐(504-1), 제2 분사 노즐(504-2), 제어부(512), 및 통합 관제 모듈(520)을 포함할 수 있다.
소화제 용기(50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어부(512)의 하우징을 관통하여 마련될 수 있다.
제1 분사 노즐(504-1)은 제어부(512)의 제어에 의해 토출구가 개방되어 소화제를 분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분사 노즐(504-1)은 전자식 제어 방식의 노즐이 사용될 수 있다. 반면, 제2 분사 노즐(504-2)은 용융 부재를 통해 용융 온도 이상에서 소화제가 분사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512)는 화재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512)는 화재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관련 이벤트 신호를 통합 관제 모듈(520)로 전송할 수 있다.
통합 관제 모듈(520)은 각 자동 소화 장치(500)의 제어부(512)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통합 관제 모듈(520)은 각 제어부(512)를 통합 관제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할 수 있다. 통합 관제 모듈(520)은 각 자동 소화 장치(500)를 연동하여 상호 협력 하에 화재를 진압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자동 소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소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흐름도에서는 상기 방법을 복수 개의 단계로 나누어 기재하였으나, 적어도 일부의 단계들은 순서를 바꾸어 수행되거나, 다른 단계와 결합되어 함께 수행되거나, 생략되거나, 세부 단계들로 나뉘어 수행되거나, 또는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단계가 부가되어 수행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자동 소화 장치(500)는 온도 센서 및 연기 센서 등을 통해 화재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여부를 감지한다(S 101). 예를 들어, 자동 소화 장치(500)의 센서는 자동 소화 장치(500)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가 소화제의 기화 온도 이상이 되면 화재 관련 이벤트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101의 확인 결과, 화재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자동 소화 장치(500)는 제1 연락처 단말기(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기)로 화재 알람 신호를 전송한다(S 103).
다음으로, 자동 소화 장치(500)는 제1 연락처 단말기로부터 화재 진압 명령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S 105). 예를 들어, 자동 소화 장치(500)는 화재 알람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기까지 화재 진압 명령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단계 S 105의 확인 결과, 제1 연락처 단말기로부터 화재 진압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자동 소화 장치(500)는 제1 분사 노즐(504-1)을 개방하여 소화제가 분사되도록 한다(S 107).
여기서, 자동 소화 장치(500)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가 제2 분사 노즐(504-2)의 용융 부재의 용융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제2 분사 노즐(504-2)에서도 자동적으로 소화제가 분사되게 된다(S 109). 예를 들어, 제1 분사 노즐(504-1)의 고장으로 제1 분사 노즐(504-1)이 개방되지 않거나 제1 분사 노즐(504-1)을 개방하였어도 화재가 진압되지 못하여 해당 공간의 온도가 제2 분사 노즐(504-2)의 용융 부재의 용융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제2 분사 노즐(504-2)에서도 자동적으로 소화제가 분사되게 된다.
단계 S 105의 확인 결과, 제1 연락처 단말기로부터 화재 진압 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자동 소화 장치(500)는 제2 연락처 단말기(예를 들어, 관리 사무실, 소방서, 경찰서 등의 단말기)로 화재 알람 신호를 전송한다(S 111). 여기서, 화재 알람 신호에는 제2 연락처 단말기에서 화재가 발생한 곳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하기 위해 자동 소화 장치(500)의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자동 소화 장치(500)는 제1 분사 노즐(504-1)을 개방하여 소화제가 분사되도록 한다(S 113). 단계 S 111 및 단계 S 113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자동 소화 장치(500)가 설치된 공간의 온도가 제2 분사 노즐(504-2)의 용융 부재의 용융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제2 분사 노즐(504-2)에서도 자동적으로 소화제가 분사되게 된다(S 115).
이러한 과정은 통합 관제 모듈(520)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 자동 소화 장치(500)의 제어부(512)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20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사용되기에 적합한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는 컴퓨팅 환경(10)을 예시하여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 컴포넌트들은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 상이한 기능 및 능력을 가질 수 있고, 이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추가적인 컴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컴퓨팅 환경(10)은 컴퓨팅 장치(12)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12)는 자동 소화 장치(예를 들어, 자동 소화 장치(100, 200, 300, 400))일 수 있다.
컴퓨팅 장치(12)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 및 통신 버스(18)를 포함한다. 프로세서(14)는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앞서 언급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4)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을 실행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컴퓨팅 장치(12)로 하여금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 내지 프로그램 코드, 프로그램 데이터 및/또는 다른 적합한 형태의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에 저장된 프로그램(20)은 프로세서(14)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의 집합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는 메모리(랜덤 액세스 메모리와 같은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이들의 적절한 조합),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광학 디스크 저장 디바이스들,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 그 밖에 컴퓨팅 장치(12)에 의해 액세스되고 원하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또는 이들의 적합한 조합일 수 있다.
통신 버스(18)는 프로세서(14),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16)를 포함하여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상호 연결한다.
컴퓨팅 장치(12)는 또한 하나 이상의 입출력 장치(24)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22) 및 네트워크 통신 인터페이스(26)는 통신 버스(18)에 연결된다. 입출력 장치(2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를 통해 컴퓨팅 장치(12)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포인팅 장치(마우스 또는 트랙패드 등), 키보드, 터치 입력 장치(터치패드 또는 터치스크린 등), 음성 또는 소리 입력 장치, 다양한 종류의 센서 장치 및/또는 촬영 장치와 같은 입력 장치, 및/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프린터, 스피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와 같은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입출력 장치(24)는 컴퓨팅 장치(12)를 구성하는 일 컴포넌트로서 컴퓨팅 장치(12)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고, 컴퓨팅 장치(12)와는 구별되는 별개의 장치로 컴퓨팅 장치(12)와 연결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200, 300, 400, 500 : 자동 소화 장치
102 : 소화제 용기
102a : 출구 단부
103 : 압력 조절판
104 : 분사 노즐
106 : 제1 장착부
106a : 용기 고정부
106b : 날개부
108 : 제2 장착부
108a : 고정부
108b : 연결부
108c : 용기 고정부
110 : 제3 장착부
111 : 노즐 본체
111-1 : 제1 본체
111-2 : 제2 본체
113 : 용융 부재
115 : 토출구
116 : 분사각 조절부
116a : 연장 몸체
116b : 분사각 조절홈
116b-1 : 분사각 조절면
117 : 오리피스부
117a : 오리피스 통로
119 : 변형부
121 : 고정부
123 : 분사 조절부
202 : 소화제 용기
202a-1 : 제1 출구 단부
202a-2 : 제2 출구 단부
204-1 : 제1 분사 노즐
204-2 : 제2 분사 노즐
302 : 소화제 용기
304 : 분사 노즐
308 : 하우징
308-1 : 제1 하우징
308-2 : 제2 하우징
308-3 : 제3 하우징
310 : 조명부
312 : 제어부
314 : 열 전달부
402-1 : 제1 소화제 용기
402-2 : 제2 소화제 용기
404-1 : 제1 분사 노즐
404-2 : 제2 분사 노즐
412 : 제어부
431 : 하우징
433 : 센서부
435 : 통신부
437 : 개폐 밸브
439 : 제어 모듈
502 : 소화제 용기
504-1 : 제1 분사 노즐
504-2 : 제2 분사 노즐
512 : 제어부
520 : 통합 관제 모듈

Claims (18)

  1. 하나 이상의 개방된 출구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출구 단부를 제외한 영역이 폐쇄되어 마련되며, 내부에 소화제를 수용하는 소화제 용기; 및
    상기 출구 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출구 단부를 밀폐시키고, 상기 소화제가 분사될 수 있는 토출구를 포함하며, 온도에 따라 상기 토출구가 개방되도록 마련되는 분사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소화제는,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고, 기 설정된 기화 온도에서 기화되는 물질이고,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출구 단부와 결합되는 노즐 본체; 및 상기 노즐 본체 내에서 상기 출구 단부를 밀폐시키고, 상기 토출구의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되며, 기 설정된 용융 온도에서 용융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용융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용융 부재의 용융 온도는 상기 소화제의 기화 온도 보다 높도록 마련되고, 상기 용융 부재의 용융 온도와 상기 소화제의 기화 온도 간의 차이는 상기 소화제가 기화된 후 기화된 소화제의 운동 에너지가 기 설정된 수준에 도달하도록 기 설정된 임계 온도차 이상이 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소화제 용기는, 상기 소화제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소화제로 열을 전달하도록 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화제가 기화되어 팽창하더라도 상기 소화제의 팽창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자동 소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출구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용융 부재는, 상단부가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삽입홈의 하부 공간에 수용되고, 하단부가 상기 토출구의 통로를 채우며 마련되는, 자동 소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 본체는, 상기 출구 단부와 평행하게 마련되고, 상기 출구 단부의 내부로 삽입되는 제1 본체 및 상기 제1 본체의 하단에서 상기 제1 본체와 수직하게 마련되고, 상기 출구 단부의 하단이 안착되는 제2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토출구는, 상기 노즐 본체의 상단부터 상기 노즐 본체의 하단까지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용융 부재는, 상기 토출구의 통로를 채우며 마련되는, 자동 소화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출구 단부와 결합되는 노즐 본체;
    상기 노즐 본체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 공간과 상기 노즐 본체의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토출구;
    상기 토출구의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되고, 기 설정된 용융 온도에서 용융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용융 부재;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노즐 본체의 내부에 상기 토출구와 연통되는 오리피스 통로를 형성하는 오리피스부;
    상기 오리피스부 상에 마련되고 기 설정된 변형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변형을 일으키는 변형부; 및
    상기 오리피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오리피스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되고, 상기 변형부의 변형에 따라 상기 오리피스 통로를 개방시키는 분사 조절부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분사 조절부의 하단은 상기 변형부의 단부에 안착되고,
    상기 변형부는, 상기 기 설정된 변형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상기 변형부의 단부가 상부로 휘어지도록 마련되는, 자동 소화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변형 온도는,
    상기 소화제의 기화 온도 보다 높고 상기 용융 부재의 용융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설정되는, 자동 소화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 용기는, 복수 개의 출구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복수 개의 출구 단부와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노즐 본체; 및
    상기 각 노즐 본체 내에서 각 출구 단부를 밀폐시키고, 상기 토출구의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되며, 기 설정된 용융 온도에서 용융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복수 개의 용융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용융 부재들 중 하나 이상의 용융 부재는, 다른 용융 부재의 용융 온도와 상이한 용융 온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자동 소화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화제 용기는, 제1 출구 단부 및 제2 출구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 노즐은, 상기 제1 출구 단부와 결합되는 제1 분사 노즐 및 상기 제2 출구 단부와 결합되는 제2 분사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분사 노즐은,
    상기 제1 출구 단부와 결합되는 제1 노즐 본체;
    상기 제1 노즐 본체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노즐 본체의 내부 공간과 상기 제1 노즐 본체의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1 토출구;
    상기 제1 토출구의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되고, 기 설정된 제1 용융 온도에서 용융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1 용융 부재;
    상기 제1 노즐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노즐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1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1 오리피스 통로를 형성하는 제1 오리피스부;
    상기 제1 오리피스부 상에 마련되고 기 설정된 제1 변형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변형을 일으키는 제1 변형부; 및
    상기 제1 오리피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1 오리피스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 변형부의 변형에 따라 상기 제1 오리피스 통로를 개방시키는 제1 분사 조절부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2 분사 노즐은,
    상기 제2 출구 단부와 결합되는 제2 노즐 본체;
    상기 제2 노즐 본체의 하단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노즐 본체의 내부 공간과 상기 제2 노즐 본체의 외부 공간을 연통시키는 제2 토출구;
    상기 제2 토출구의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1 용융 온도 보다 높은 제2 용융 온도에서 용융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제2 용융 부재;
    상기 제2 노즐 본체의 내부에 마련되고, 상기 제2 노즐 본체의 내부에 상기 제2 토출구와 연통되는 제2 오리피스 통로를 형성하는 제2 오리피스부;
    상기 제2 오리피스부 상에 마련되고 상기 제1 변형 온도 보다 높은 제2 변형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변형을 일으키는 제2 변형부; 및
    상기 제2 오리피스부의 상부에서 상기 제2 오리피스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되고, 상기 제2 변형부의 변형에 따라 상기 제2 오리피스 통로를 개방시키는 제2 분사 조절부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변형부의 온도에 따른 변형 정도는 상기 제1 변형부의 온도에 따른 변형 정도보다 크도록 마련되는, 자동 소화 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동 소화 장치는,
    상기 소화제 용기 및 상기 분사 노즐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자동 소화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에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 및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 마련되고, 상기 자동 소화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에서 발생되는 열을 상기 소화제 용기 및 상기 분사 노즐로 전달하는 열 전달부를 더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14. 복수 개의 출구 단부를 포함하고, 내부에 소화제를 수용하는 소화제 용기;
    상기 복수 개의 출구 단부 중 어느 하나와 결합되는 제1 분사 노즐;
    상기 복수 개의 출구 단부 중 다른 하나와 결합되는 제2 분사 노즐; 및
    상기 제1 분사 노즐 및 상기 제2 분사 노즐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화제는,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고, 기 설정된 기화 온도에서 기화되는 물질이고,
    상기 제1 분사 노즐 및 상기 제2 분사 노즐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출구 단부와 결합되는 노즐 본체; 상기 소화제가 분사될 수 있는 토출구, 및 상기 노즐 본체 내에서 상기 출구 단부를 밀폐시키고, 상기 토출구의 통로를 폐쇄하며 마련되며, 기 설정된 용융 온도에서 용융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용융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용융 부재의 용융 온도는 상기 소화제의 기화 온도 보다 높도록 마련되고, 상기 용융 부재의 용융 온도와 상기 소화제의 기화 온도 간의 차이는 상기 소화제가 기화된 후 기화된 소화제의 운동 에너지가 기 설정된 수준에 도달하도록 기 설정된 임계 온도차 이상이 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소화제 용기는, 상기 소화제 용기의 내부에 수용된 소화제로 열을 전달하도록 열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소화제가 기화되어 팽창하더라도 상기 소화제의 팽창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자동 소화 장치.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 분사 노즐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토출구가 개방되어 상기 소화제를 분사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분사 노즐은, 토출구가 기 설정된 온도에서 용융되는 용융 부재에 의해 폐쇄되도록 마련되는, 자동 소화 장치.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동 소화 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에서 화재 관련 이벤트를 감지하는 센서부; 및
    상기 화재 관련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 알람 신호를 제1 연락처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자동 소화 장치.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관련 이벤트 신호를 전송한 시점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상기 제1 연락처 단말기로부터 화재 진압 명령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분사 노즐의 토출구를 개방하여 상기 소화제가 분사되도록 하고, 제2 연락처 단말기로 화재 알람 신호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자동 소화 장치.
  18. 삭제
KR1020180017404A 2018-02-13 2018-02-13 자동 소화 장치 KR101899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04A KR101899102B1 (ko) 2018-02-13 2018-02-13 자동 소화 장치
PCT/KR2019/001657 WO2019160290A1 (ko) 2018-02-13 2019-02-12 자동 소화 장치
JP2020542263A JP7030999B2 (ja) 2018-02-13 2019-02-12 自動消火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7404A KR101899102B1 (ko) 2018-02-13 2018-02-13 자동 소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9102B1 true KR101899102B1 (ko) 2018-09-19
KR101899102B9 KR101899102B9 (ko) 2021-09-06

Family

ID=63718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7404A KR101899102B1 (ko) 2018-02-13 2018-02-13 자동 소화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030999B2 (ko)
KR (1) KR101899102B1 (ko)
WO (1) WO2019160290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4887B1 (ko) * 2019-08-28 2020-03-04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KR102101467B1 (ko) * 2018-12-24 2020-04-16 주식회사 파이어캅 무동력 회전식 자동확산 소화기
KR20200073725A (ko) 2018-12-14 2020-06-24 곽만석 대용량의 자동 소화장치 및 시스템
IT201800021007A1 (it) * 2018-12-24 2020-06-24 Ennio SCHETTINI Dispositivo antincendio autonomo ad intervento calibrato
KR20200094546A (ko) * 2019-01-30 2020-08-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CN112912148A (zh) * 2018-10-05 2021-06-04 金相东 用于船舶运输用集装箱内部灭火的管式灭火设备
KR102445568B1 (ko) * 2021-11-05 2022-09-22 (주)티에스에이 초소형 자동 소화기
KR20220162907A (ko) 2021-06-01 2022-12-09 김박미 개선된 기능의 자동 소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48947B1 (en) 2017-01-13 2020-11-04 HS Marston Aerospace Limited Heat exchanger
US11918838B2 (en) * 2019-10-08 2024-03-05 Kidde Technologies, Inc. Fire suppressant system for aircraft cargo container
CZ34028U1 (cs) * 2020-03-31 2020-05-26 Ases Group, Se Automatický ochlazovací a hasicí systém
CN111632313A (zh) * 2020-06-19 2020-09-08 杭州巴倍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灭火装置
CA3188509A1 (en) * 2020-07-02 2022-01-06 Todd Patrick MELCHER Heat-activated alarm and response system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939B1 (ko) * 2009-08-26 2011-10-05 김성호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KR101450823B1 (ko) * 2014-05-23 2014-10-17 유한회사 홍석 카메라 연동 원격 화재 진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6663U (ko) * 1979-02-13 1980-08-18
JPS592359U (ja) * 1982-06-29 1984-01-09 小向 健 自動放射消火器
JPS61226065A (ja) * 1985-03-31 1986-10-07 倉増 保夫 可搬形自動消火器
JPH07390U (ja) * 1993-06-08 1995-01-06 株式会社間組 自動消火装置
JPH07328140A (ja) * 1994-06-15 1995-12-19 Yamato Protec Co 自動消火具
JPH0810347A (ja) * 1994-06-30 1996-01-16 Hisayasu Takeuchi 自動消火装置
JP2789445B2 (ja) * 1995-10-13 1998-08-20 勝俊 松本 自動式消火ガス噴射器具
JPH11146927A (ja) * 1997-11-15 1999-06-02 Masaru Waki スプリンクラー制御装置
KR100979485B1 (ko) * 2008-09-29 2010-09-02 랜스(주) 소화기 작동 완료메세지를 화재이상징후관리수단에 통보하는 화재방어용감지수단을 내장한 소화기 및 소화기 동작 확인 방법
US10118059B2 (en) * 2013-09-27 2018-11-06 Nichibou Co., Lt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equipment
KR101731905B1 (ko) * 2015-07-16 2017-05-24 장지훈 열차 속도개선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9939B1 (ko) * 2009-08-26 2011-10-05 김성호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KR101450823B1 (ko) * 2014-05-23 2014-10-17 유한회사 홍석 카메라 연동 원격 화재 진화 시스템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12148A (zh) * 2018-10-05 2021-06-04 金相东 用于船舶运输用集装箱内部灭火的管式灭火设备
KR20200073725A (ko) 2018-12-14 2020-06-24 곽만석 대용량의 자동 소화장치 및 시스템
KR102101467B1 (ko) * 2018-12-24 2020-04-16 주식회사 파이어캅 무동력 회전식 자동확산 소화기
IT201800021007A1 (it) * 2018-12-24 2020-06-24 Ennio SCHETTINI Dispositivo antincendio autonomo ad intervento calibrato
KR20200094546A (ko) * 2019-01-30 2020-08-07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KR102144468B1 (ko) * 2019-01-30 2020-08-13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KR102084887B1 (ko) * 2019-08-28 2020-03-04 (주)도심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KR20220162907A (ko) 2021-06-01 2022-12-09 김박미 개선된 기능의 자동 소화장치
KR102639815B1 (ko) * 2021-06-01 2024-02-23 김박미 개선된 기능의 자동 소화장치
KR102445568B1 (ko) * 2021-11-05 2022-09-22 (주)티에스에이 초소형 자동 소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512695A (ja) 2021-05-20
JP7030999B2 (ja) 2022-03-07
WO2019160290A1 (ko) 2019-08-22
KR101899102B9 (ko) 2021-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9102B1 (ko) 자동 소화 장치
EP1888254B1 (en) Releasing control unit for a residential fire protection system
US10556139B2 (en) Network-type temperature-controlled hanging extinguishing system
KR101853291B1 (ko) 천장용 소화기시스템
KR101069939B1 (ko)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KR101726617B1 (ko) 휴대용 자동 소화기
KR101731710B1 (ko)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KR102026969B1 (ko) 자동으로 작동되는 소화기
US20180099167A1 (en) Sprinkler Assembly Connector for Flexible Conduit
US1186538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ire suppression in a corridor
US9956443B1 (en) Attic sprinkler systems
KR20100020774A (ko) 집열판 및 이를 구비하는 상향식 스프링클러
KR102030695B1 (ko) 물류창고용 스프링클러 헤드
CN102939133B (zh) 用于均匀流体分配的喷头和流体分配系统
US20170333738A1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RU130857U1 (ru) Устройство тушения пожаров в складах со стеллажным хранением
RU2682431C2 (ru) Сборочный узел гидравл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ующего клапана и привода клапана
RU2536226C2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2078081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KR20180128270A (ko) 증발 냉방 장치와 연동되는 화재 확산 지연 장치
KR102670581B1 (ko)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KR102648769B1 (ko)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
KR101404284B1 (ko) 무인 자동 소화기의 자동 작동 헤드 구조
KR101322751B1 (ko) 살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스프링클러 시스템
RU2669298C2 (ru)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принклерна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000073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0304

Effective date: 20191122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200009043;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91226

Effective date: 20210121

J303 Written judgement (supreme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300010176; JUDGMENT (SUPREME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210

Effective date: 20210527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130000067;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210608

Effective date: 202106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