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8769B1 -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 - Google Patents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8769B1
KR102648769B1 KR1020210016653A KR20210016653A KR102648769B1 KR 102648769 B1 KR102648769 B1 KR 102648769B1 KR 1020210016653 A KR1020210016653 A KR 1020210016653A KR 20210016653 A KR20210016653 A KR 20210016653A KR 102648769 B1 KR102648769 B1 KR 1026487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ultrasonic waves
piping module
pip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13012A (ko
Inventor
신경철
박상태
성기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원익홀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원익홀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원익홀딩스
Priority to KR1020210016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8769B1/ko
Publication of KR20220113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8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87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0Pipe-line systems wet, i.e. containing extinguishing material even when not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6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measuring frequency, phase shift or propagation time of electromagnetic or other waves, e.g. using ultrasonic flowmet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Levels Of Liquids Or Fluent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클러 배관 내의 액체 존부 및 그 수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단이 액체공급장치와 연결되고 타단이 스프링클러 헤드부(10)와 연결되어, 공급받은 액체를 전달하는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로서, 내부에 상기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저장공간(S)이 형성되는 금속의 액체저장배관(100)과; 상기 액체저장배관(10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저장공간(S)에 저장되는 상기 액체를 인식하는 액체인식부(200)를 포함하는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Piping module for sprinkler capable of internal monitoring}
본 발명은,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스프링클러 배관 내의 액체 존부 및 그 수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에 관한 것이다.
스프링클러는 물을 뿌리는 기구로서, 작물이나 잔디에 물을 주는데 사용되기도 하지만, 주로 건물의 천장이나 소방시설에 설치되어 실내 온도가 일정 이상이 되면 자동으로 물을 분사하는 소방용으로서 활용된다.
이때, 스프링클러는, 방화수를 공급하는 공급장치와 배관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배관을 통해 방화수를 공급받아 필요한 위치에 물을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유사시 스프링클러의 헤드를 통해 방화수를 안정적이면서도 신속하게 분사하기 위하여, 스프링클러용 배관에는 방화수가 채워져 있을 필요가 있고, 방화수가 채워져 있지 않은 경우 안정적인 방화수 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해, 스프링클러가 동작한다 할지라도, 방화수가 분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하고자 종래에는 스프링클러 또는 스프링클러용 배관 내에 액체 인식센서를 설치하였으나, 필연적으로 배관에 홀이 생기게 되어 방화수의 누수우려가 있고, 배관 내 저항이 커져 유수에 방해가 되며 센서의 고장 또는 에러 발생시 신속히 판단 및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비접촉식 센서를 이용하여 배관 내부 방화수의 존부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금속으로 구비되는 소형 배관 내를 센싱하지 못해 정밀한 모니터링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클러 시스템 또한, 온도 인식에 따른 방화수 분사 시, 배관 내의 방화수 존재 여부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분사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금속의 배관 내부 방화수의 존부 및 그 수위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일단이 액체공급장치와 연결되고 타단이 스프링클러 헤드부(10)와 연결되어, 공급받은 액체를 전달하는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로서, 내부에 상기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저장공간(S)이 형성되는 금속의 액체저장배관(100)과; 상기 액체저장배관(10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저장공간(S)에 저장된 상기 액체를 인식하는 액체인식부(200)를 포함하는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을 개시한다.
상기 액체저장배관(100)은, 내부에 상기 액체저장공간(S)이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헤드부(10)가 연결되는 메인배관(110)과; 상기 메인배관(110)의 타단에서 결합되어 상기 액체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상부커버배관(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배관(110)은, 외측면 중 상기 액체인식부(2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매질부(220)가 형성되기 위한 단차부(1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액체인식부(200)는, 상기 내부공간(S)을 향해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반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내부공간(S)에 액체의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액체인식부(200)는, 초음파의 발생을 제어하고, 반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는 액체인식센서(210)와; 상기 액체인식센서(210)와 액체저장배관(10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상기 매질부(220)와; 상기 액체인식센서(210)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액체저장배관(100)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액체인식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인식센서(210)는, 초음파를 발생하거나 인지하기 위한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회로부(211)와; 상기 제어회로부(211)로부터 상기 초음파 신호를 인가받아 초음파를 발생하거나, 초음파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회로부(211)에 상기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는 초음파발생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인식센서(210)는, 발생되는 초음파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주파수조절부(21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발생부(212)는, 압전소자, 전왜소자, 자왜소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은, 스프링클러에 방화수를 공급하는 배관 내 모니터링이 가능함으로써, 방화수가 배관 내에 존재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은, 스프링클러용 배관 내에 방화수가 존재하는지 수시로 확인함으로써, 유사시 스프링클러를 통해 안정적인 방화수 분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은, 비접촉식으로 내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센서의 내구성이 향상되고 센서의 유지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은, 비접촉식으로 내부를 모니터링함으로써, 배관 내의 방화수의 흐름에 영향이 없으며, 금속의 소형 배관 내의 방화수 존재 여부를 명확하게 모니터링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시스템의 개략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스프링클러 시스템 중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의 개략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A-A 방향 단면도이다.
도 6는, 도 3에 따른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의 내부 모습을 보여주는 B-B 방향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 및 스프링클러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액체공급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액체를 분사하는 헤드부(10)와; 일단이 상기 액체공급장치와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헤드부(10)에 연결되어 상기 액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액체를 저장하며, 내부의 액체 인식이 가능한 배관모듈(20)과; 상기 배관모듈(20) 내부의 상기 액체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헤드부(10)의 상기 액체 분사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화재에 따른 온도 또는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자동으로 액체를 분사하는 구성으로서, 소방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10)는, 외부 액체공급장치로부터 전달되는 액체를 분사하는 스프링클러용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헤드부(10)는, 후술하는 배관모듈(20)에 저장되는 액체가 외부로 분사될 수 있도록, 배관모듈(20)의 일단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어부(30)의 제어신호에 따라 개방되어 저장된 액체를 외부로 분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헤드부(10)는, 화재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감지센서 또는 연기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으며, 특정공간으로 액체를 분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특정공간에서의 온도상승, 연기발생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헤드부(10)는, 화재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통해, 화재 발생여부를 감지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제어부(30)를 통해 제어되어 액체를 분사하거나, 액체 분사를 중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관모듈(20)에 외부의 액체공급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액체가 저장된 상태에서 헤드부(10)가 개방되면서 액체가 분사될 수 있는데, 만일 배관모듈(20)에 액체가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해 저장되지 않는 경우, 적절한 시점에 액체가 분사되지 못해 소방활동이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배관모듈(20)에 액체가 저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헤드부(10)가 개방됨으로써, 배관모듈(20) 내부가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배관모듈(20) 내 액체저장 여부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액체저장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에 유지보수 및 관리의 필요성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클러 시스템은, 내부에 액체저장 여부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이에 따라 대처가능하도록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즉, 상기 배관모듈(20)은, 내부에 액체를 저장하면서 내부의 액체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액체인식이 가능한 구성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배관모듈(20)은,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상기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저장공간(S)이 형성되는 금속의 액체저장배관(100)과; 상기 액체저장배관(10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저장공간(S)에 저장되는 상기 액체를 인식하는 액체인식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저장배관(100)은, 내부에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저장공간(S)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액체저장배관(100)은, 스프링클러용 배관에 적용 가능하도록 금속의 배관일 수 있으며, 종래 개시된 형태로서 상대적으로 소형의 저장용량을 가지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액체저장배관(100)은, 내부에 액체저장공간(S)이 형성되며, 일단에 헤드부(10)가 연결되는 메인배관(110)과; 메인배관(110)의 타단에서 결합되어 액체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상부커버배관(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배관(110)은, 헤드부(10)와 함께 내부에 액체저장공간(S)을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일단이 헤드부(10)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부커버배관(12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메인배관(110)은, 헤드부(10)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부커버배관(120)을 통해 전달되는 액체가 소방을 위하여 분사되기 전에 일시적으로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메인배관(110)은, 통상의 배관과 같이 금속의 원기둥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헤드부(10) 및 상부커버배관(120)과 연결되는 위치에서 외주면이 각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메인배관(110)은, 양단이 개방된 구성으로서, 일단이 헤드부(10)에 연결되고 개방된 타단에 상부커버배관(120)이 결합될 수 있으며, 헤드부(1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배관(110)은, 외측면 중 액체인식부(2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매질부(220)가 형성되기 위한 단차부(11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차부(111)는, 메인배관(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홈으로서, 후술하는 액체인식센서(210)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액체인식센서(210)의 설치를 가이드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액체인식센서(210)와 메인배관(110) 사이에 매질부(220)가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차부(111)는, 메인배관(110)의 외주면에 액체인식센서(210)에 대응되어 직사각형 형상의 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에서 단차를 가지고 메인배관(110)의 하부 끝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에로서, 메인배관(110)의 상하부에서 단차를 가지고, 홈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또한 물론이다.
상기 상부커버배관(120)은, 메인배관(110)의 타단에서 결합되어 액체공급장치와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커버배관(120)은, 메인배관(110)의 개방구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도록 결합되어, 메인배관(110)에 결합할 수 있으며, 결합부위에 오링과 같은 실링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부커버배관(120)은, 외주방향으로 돌출되어 메인배관(110)의 일단에 간섭되는 확장부와 액체공급장치와 연결되어 액체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하는 커버배관(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인식부(200)는, 액체저장배관(10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액체저장공간에 저장된 액체를 인식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특히, 상기 액체인식부(200)는, 금속의 메인배관(110)을 관통하여 내부에 액체의 수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체인식부(200)는, 메인배관(110)을 향하여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반사되어 도달하는 초음파를 수신하여 액체의 존재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액체인식부(200)는, 내부공간을 향해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반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여 내부공간에 액체의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초음파의 발생을 제어하고, 반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는 액체인식센서(210)와, 액체인식센서(210)와 액체저장배관(10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매질부(220)와, 액체인식센서(210)가 내부에 수용되며, 액체저장배관(100)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액체인식하우징(2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인식부(200)는, 액체인식센서(21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24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액체인식센서(21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의 발생을 제어하고, 반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액체인식센서(210)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거나 인지하기 위한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회로부(211)와, 제어회로부(211)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인가받아 초음파를 발생하거나, 초음파를 인식하여 제어회로부(211)에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는 초음파발생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인식센서(210)는, 발생되는 초음파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주파수조절부(213)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체인식센서(210)는, 액체인식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로서, 액체 인식 결과를 외부에 표시하기 위한 조명부(214)와, 상기 제어회로부(211)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조명부(214)를 제어하는 출력제어부(21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회로부(211)는, 초음파를 발생시키거나 인지하기 위한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회로부(211)는, 종래 개시된 형태의 컨트롤러로서, 외부 신호 또는 미리 설정된 주기에 따라 초음파발생부(212)에 초음파 신호를 전달하여 특정 주파수 영역대의 초음파를 메인배관(110)을 향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회로부(211)는, 발생된 초음파가 반사되어 초음파발생부(212)에 전달됨으로써 초음파발생부(212)로부터 수신되는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메인배관(110)의 내부에 액체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조절부(213)는, 발생되는 초음파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주파수조절부(213)는, 제어회로부(211)를 통해 발생된 초음파 신호를 수신하여 특정 대역의 주파수 정보를 초음파 신호와 함께 초음파발생부(212)에 전달할 수 있으며, 초음파발생부(212)는 수신된 주파수 정보에 따른 초음파를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조명부(214)는, 액체인식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로서, 액체 인식 결과를 외부에 표시하는 구성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조명부(214)는, 액체인식하우징(230)에 형성되는 표시홀(235)에 대응되는 위치에서 액체인식센서(2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이로써 사용자가 외부에서 조명부(214)의 조명을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조명부(214)는, 액체인식 결과에 따라 출력제어부(215)를 통해 제어되어 발광할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특정 파장대의 색으로 발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명부(214)는, 메인배관(110)에 액체가 없는 것으로 인식되면, 제어회로부(211)를 통해 신호를 전달받은 출력제어부(215)에 의해 발광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며, 메인배관(110)에 액체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식되면, 제어회로부(211)를 통해 신호를 전달받은 출력제어부(215)에 의해 조명이 꺼지거나, 점멸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반대로 설정될 수 있음은 또한 물론이며, 메인배관(110)에 액체가 존재하는지 여부에 따라 특정 색깔, 예를 들면 녹색과 빨간색으로 구분하여 발광할 수도 있다.
상기 초음파발생부(212)는, 제어회로부(211)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인가받아 초음파를 발생하거나, 초음파를 인식하여 제어회로부(211)에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초음파발생부(212)는, 압전소자로서, 제어회로부(211)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전달받아 초음파를 발생시키거나, 반사되는 초음파를 인지하여 초음파 신호를 제어회로부(211)에 송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초음파발생부(212)는, 제어회로부(211)로부터 초음파 신호를 전달받아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발생소자(212a)와, 반사되어 도달하는 초음파에 의해 초음파 신호를 발생시켜 제어회로부(211)에 전달하는 초음파인지소자(212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예로서, 상기 초음파발생부(212)는, 압전소자 뿐만 아니라, 전왜소자, 자왜소자 등 초음파를 발생할 수 있는 구성이면 어떠한 구성도 적용 가능하다.
상기 매질부(220)는, 액체인식센서(210)와 액체저장배관(10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매질부(220)는, 액체저장배관(100)의 단차부(111)에 형성되어 액체인식센서(210)와 액체저장배관(100) 사이에 밀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매질부(220)는, 단차부(111)에 발라지는 합성수지일 수 있으며, 접착력을 가져 액체인식센서(210)와 액체저장배관(100)에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매질부(220)는, 액체인식센서(210)의 초음파발생부(212)를 통해 발생되는 초음파가 반사량이 큰 공기층을 매질로 이동하지 않도록 액체인식센서(210)와 메인배관(110) 사이의 공간을 메워도록 채워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매질부(220)는, 액체인식센서(210)로부터 발생되는 초음파가 메인배관(110)의 내부공간으로 공기층을 지나지 않도록 함으로써, 초음파의 진행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 상기 매질부(220)는, 단차부(111)에 대응되어 직사각형으로 채워질 수 있으며, 다른 예로서, 액체인식센서(210) 중 초음파발생부(212)에 대응되는 위치에만 채워질 수 있음은 또한 물론이다.
상기 액체인식하우징(230)은, 액체인식센서(210)가 내부에 수용되며, 액체저장배관(100)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액체인식하우징(230)은, 일면에 액체인식센서(210)에 대응되어 액체인식센서(210)가 안착되기 위한 개구홈(236)이 형성되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는 본체홀(231)과, 본체홀(231)에 대응되는 위치에 브라켓홀(234)이 형성되는 브라켓(233)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액체인식하우징(230)은, 메인배관(110)을 기준으로 액체인식센서(210)가 내부에 수용되며 일측에서 위치하는 본체부와, 메인배관(110)의 타측에서 본체부에 볼트(232)를 통해 결합하는 브라켓(233)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개구홈(236)은, 본체부 중 메인배관(110) 측을 향해 형성될 수 있으며, 상측에서 액체인식센서(210)가 삽입되어 내부에 안착되도록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홈(236)은, 액체인식센서(210)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메인배관(110)과 접하는 본체부는 원형의 메인배관(110)에 접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배관모듈(20) 내부의 상기 액체 인식 결과에 따라 상기 헤드부(10)의 상기 액체 분사여부를 제어하는 구성으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30)는, 배관모듈(20)의 액체인식부(200)의 판단결과에 따라 헤드부(10)의 개방을 통해 액체 분사여부를 제어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헤드부(10)에 구비되는 온도센서 또는 연기감지센서를 통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액체인식부(200)에 따라 액체가 저장된 것으로 판단될 때 헤드부(10)를 개방하여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한편, 액체인식부(200)에 소방수가 저장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에는 헤드부(10)를 개방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30)는, 헤드부(10)의 온도감지센서의 측정값을 토대로 미리 설정된 값보다 측정값이 큰 경우, 헤드부(10)를 개방하여 액체를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액체인식부(200)를 통해 액체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알람을 발생시켜 유지보수의 필요성을 인식시킬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상기 헤드부(10)의 개방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액체인식부(200)는, 액체저장배관(100)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액체저장배관(100)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또는 미리 설정된 소정간격을 가지도록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복수의 상기 액체인식부(200)는, 각각의 높이에서 액체의 존재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이로써 액체저장배관(100) 내의 액체 수위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액체저장배관(100)의 외주면에 수직방향으로 3개의 액체인식부(200)가 설치되는 경우, 액체가 인식된 액체인식부(200) 중 최상단 액체인식부(200)의 높이 수준에 대응되는 수위를 가지는 것으로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내부의 액체 수위를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30)는, 복수의 액체인식부(200) 각각의 액체인식 여부 결과를 토대로, 액체의 수위를 간접적으로 판단하고, 판단한 결과를 단계별로 표시하여 노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하측의 액체인식부(200)에 액체인식이 되지 못하는 경우, 수위가 매우 낮은 단계로서, 알람 또는 경고등의 점멸을 통해 유지보수 또는 액체공급이 필요함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중간높이의 액체인식부(200)에 액체인식이 되는 경우, 수위가 적정수준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표시할 수 있으며, 최상단의 액체인식부(200)에 액체인식이 되는 경우, 고수위로 충분한 액체가 저장된 것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헤드부 20: 배관모듈
30: 제어부 100: 액체저장배관
200: 액체인식부

Claims (8)

  1. 일단이 액체공급장치와 연결되고 타단이 스프링클러 헤드부(10)와 연결되어, 공급받은 액체를 전달하는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로서,
    내부에 상기 액체가 저장되는 액체저장공간(S)이 형성되는 금속의 액체저장배관(100)과;
    상기 액체저장배관(10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액체저장공간(S)에 저장된 상기 액체를 인식하는 액체인식부(200)를 포함하며,
    상기 액체저장배관(100)은,
    내부에 상기 액체저장공간(S)이 형성되며, 일단에 상기 헤드부(10)가 연결되고,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되는 메인배관(110)과;
    상기 메인배관(110)의 타단에서 결합되어 상기 액체공급장치와 연결되는 상부커버배관(120)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배관(110)은,
    외측면 중 상기 액체인식부(20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매질부(220)가 형성되기 위하여 표면이 평면으로 형성되는 단차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액체인식부(200)는,
    초음파의 발생을 제어하고, 반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는 액체인식센서(210)와;
    상기 액체인식센서(210)와 상기 메인배관(110)의 상기 단차부(111) 사이에 서로 밀착 구비되는 상기 매질부(220)와;
    상기 액체인식센서(210)가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액체저장배관(100)에 인접하여 설치되는 액체인식하우징(230)을 포함하는 것을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체인식부(200)는,
    내부공간(S)을 향해 초음파를 발생시키고, 반사되는 초음파를 감지하여 상기 내부공간(S)에 액체의 존재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체인식센서(210)는,
    초음파를 발생하거나 인지하기 위한 초음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어회로부(211)와; 상기 제어회로부(211)로부터 상기 초음파 신호를 인가받아 초음파를 발생하거나, 초음파를 인식하여 상기 제어회로부(211)에 상기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는 초음파발생부(2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액체인식센서(210)는,
    발생되는 초음파의 주파수를 조절하는 주파수조절부(213)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발생부(212)는,
    압전소자, 전왜소자, 자왜소자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
KR1020210016653A 2021-02-05 2021-02-05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 KR1026487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653A KR102648769B1 (ko) 2021-02-05 2021-02-05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653A KR102648769B1 (ko) 2021-02-05 2021-02-05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012A KR20220113012A (ko) 2022-08-12
KR102648769B1 true KR102648769B1 (ko) 2024-03-18

Family

ID=82803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653A KR102648769B1 (ko) 2021-02-05 2021-02-05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487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4931A (ja) * 2000-04-26 2001-10-31 Yokogawa Electric Corp クランプオン型超音波流量測定方法及びマルチパス超音波流量測定方法及びクランプオン型超音波流量形及びマルチパス超音波流量計
JP2007139437A (ja) * 2005-11-15 2007-06-07 Senko Medical Instr Mfg Co Ltd 超音波センサの取付け方法、及び超音波センサ取付けホルダ
US20190224515A1 (en) * 2018-01-24 2019-07-25 Marioff Corporation Oy Fire sprinkler system
JP2020171433A (ja) * 2019-04-09 2020-10-22 ホーチキ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作動状態検知システム、消火システム、送水部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4931A (ja) * 2000-04-26 2001-10-31 Yokogawa Electric Corp クランプオン型超音波流量測定方法及びマルチパス超音波流量測定方法及びクランプオン型超音波流量形及びマルチパス超音波流量計
JP2007139437A (ja) * 2005-11-15 2007-06-07 Senko Medical Instr Mfg Co Ltd 超音波センサの取付け方法、及び超音波センサ取付けホルダ
US20190224515A1 (en) * 2018-01-24 2019-07-25 Marioff Corporation Oy Fire sprinkler system
JP2020171433A (ja) * 2019-04-09 2020-10-22 ホーチキ株式会社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作動状態検知システム、消火システム、送水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012A (ko) 2022-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88427A1 (en) Wall-mountable spray head unit
US7032681B1 (en) Device for extinguishing a fire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1726617B1 (ko) 휴대용 자동 소화기
KR101793988B1 (ko) 건물 화재 소방용 노즐 헤드 장치
KR20120001141A (ko) 화재 모니터링 설비
KR102648769B1 (ko)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
KR100718507B1 (ko) 자동식 소화기
KR102676668B1 (ko) 스프링클러 시스템
KR20080001532U (ko) 알람밸브 작동 시험용 테스트 밸브
KR101954766B1 (ko) 초음파를 이용한 스프링클러 관리 시스템
CN217366985U (zh) 本质安全的预制舱式泛水型自动灭火系统
KR102395973B1 (ko) 로봇을 이용한 공동주택 소방시설 관리시스템
KR101774561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장치
JP5911143B2 (ja) 消火設備および消火装置
KR102332919B1 (ko) 소방펌프 및 소방밸브 등의 압력표시 기능이 있는 화재 수신기
KR200492692Y1 (ko) 수분센서를 이용한 소방용 스프링클러
KR101925911B1 (ko) 휴대용 자동 소화기
KR200414294Y1 (ko) 테스트용 오리피스 및 투명점검구가 구비된 알람밸브드레인 연결관
KR102721997B1 (ko) 과압방지기능이 구비된 일체형 복합밸브
KR102243460B1 (ko) 화재 진압 시스템
KR102349411B1 (ko) 건물 화재 진압시스템
KR102298824B1 (ko) 건축물 다목적 소방용 화재경보기
CN118354822A (zh) 用于指示装置状态的系统和方法
JPH07204290A (ja) 予作動式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