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26617B1 - 휴대용 자동 소화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자동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26617B1
KR101726617B1 KR1020150117421A KR20150117421A KR101726617B1 KR 101726617 B1 KR101726617 B1 KR 101726617B1 KR 1020150117421 A KR1020150117421 A KR 1020150117421A KR 20150117421 A KR20150117421 A KR 20150117421A KR 101726617 B1 KR101726617 B1 KR 101726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fire extinguisher
sensor
digestive fluid
h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7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2444A (ko
Inventor
김기열
Original Assignee
김기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열 filed Critical 김기열
Priority to KR1020150117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26617B1/ko
Publication of KR20170022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24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6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6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 A62C13/68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extinguishing material and pressure gas being stored in separate containers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leasing the extinguishing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28Liquid extinguishing substan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6Electric actuation of the alarm, e.g. using a thermally-operated switch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0Actuation by presence of smoke or gases, e.g. automatic alarm devices for analysing flowing fluid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휴대용 자동 소화기는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열연 센서,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빛 또는 소리의 형태로 화재 경보를 알리는 알람 모듈, 소화액을 주입하는 소화액 주입구 및 상기 소화액을 분사하는 노즐이 형성되고, 상기 소화액 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와 결합되는 소화액 용기, 상기 소화액을 분사하기 위해 상기 소화액 용기에 주입되는 기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되고,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기체를 상기 소화액 용기에 전달하는 밸브, 상기 카트리지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이면 정상 상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압력이 기준 압력 미만이면 비정상 상태를 출력하는 동작 감지 모듈, 상기 열연 센서, 상기 알람 모듈 및 상기 동작 감지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열연 센서, 상기 카트리지, 상기 밸브, 상기 알람 모듈, 상기 동작 감지 모듈 및 상기 배터리와 결합되고, 결합된 구성들 사이의 배선을 포함하는 메인 보드, 그리고 상기 메인 보드 및 상기 소화액 용기를 수용하는 휴대용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카트리지 및 상기 배터리는 상기 메인 보드에 탈착된다.

Description

휴대용 자동 소화기{PORTABLE AUTOMATIC BIDIRECTIONAL TRANSIVER}
본 발명은 소방 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경량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자동으로 화재 경보 및 진압이 가능한 휴대용 자동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내부에 포함된 소화제의 냉각 또는 공기차단 등의 효과를 이용하여 불을 끄는 기구를 말한다. 하지만, 일반적인 소화기는 사용자가 안전핀을 제거하고, 호스를 불이 난 곳으로 향하고, 손잡이를 직접 조작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현재 레저, 캠핑과 같은 야외 활동의 증가와 더불어, 건물과 같이 소화 시설의 설비가 용이하지 못한 지역에서의 활동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한편, 소화 시설 설비는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고, 설치를 위한 공간적인 한계가 존재한다. 이로 인해, 소화 시설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지역에서 소화기를 사용해야 하지만, 소화기는 매우 무거워서 휴대에 용이하지 않고, 화재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없음으로 사용자의 조작에만 의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경량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화재 경보 및 진압이 가능한 휴대용 자동 소화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자동 소화기는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열연 센서,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빛 또는 소리의 형태로 화재 경보를 알리는 알람 모듈, 소화액을 주입하는 소화액 주입구 및 상기 소화액을 분사하는 노즐이 형성되고, 상기 소화액 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와 결합되는 소화액 용기, 상기 소화액을 분사하기 위해 상기 소화액 용기에 주입되는 기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되고,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기체를 상기 소화액 용기에 전달하는 밸브, 상기 카트리지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이면 정상 상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압력이 기준 압력 미만이면 비정상 상태를 출력하는 동작 감지 모듈, 상기 열연 센서, 상기 알람 모듈 및 상기 동작 감지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열연 센서, 상기 카트리지, 상기 밸브, 상기 알람 모듈, 상기 동작 감지 모듈 및 상기 배터리와 결합되고, 결합된 구성들 사이의 배선을 포함하는 메인 보드, 그리고 상기 메인 보드 및 상기 소화액 용기를 수용하는 휴대용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카트리지 및 상기 배터리는 상기 메인 보드에 탈착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메인 보드의 전원 버튼을 통해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설정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알림 모듈은 상기 빛을 출력하기 위한 발광 소자, 또는 상기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열연 센서는 열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 센서, 및 연기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기 센서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소화액은 물, 이산화탄소 용액, 요소 용액, 염이온 용액, 탄산칼륨 용액, 탄화수소나트륨 용액, 암모늄 용액, 불소 화합물 용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자동 소화기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용 밴드를 더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질소 가스가 충전된 질소 카트리지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자동 소화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동작 감지 모듈을 동작시키는 동작 확인 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동작 감지 모듈은 상기 동작 확인 버튼에 의해 작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용 자동 소화기는 연기와 열을 감지하는 센서를 이용하여 소화액이 담긴 소화액 용기로 압축된 기체를 유입되도록 제어하는 구조를 가짐으로, 경량으로 휴대가 간편하게 구현할 수 있으며, 자동으로 화재 경보 및 진압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자동 소화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자동 소화기의 외부 하우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자동 소화기의 소화액 용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자동 소화기의 메인 보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휴대용 자동 소화기의 예시적인 측면도,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자동 소화기의 설치를 위한 후크 타입의 고정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및
도 7은 도 1의 휴대용 자동 소화기의 설치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경량으로 휴대가 간편하고, 화재 경보 및 진압이 가능한 휴대용 자동 소화기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자동 소화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는 열연 센서(110), 소화액 용기(120), 카트리지(130), 밸브(140), 알람 모듈(150), 동작 감지 모듈(160), 및 배터리(170)를 포함한다.
열연 센서(110)는 화재 발생에 따른 열을 감지하거나 연기를 감지한다. 열연 센서(110)는 열을 감지하는 열 센서와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열연 센서(110)는 미리 설정된 온도를 초과하는 열, 또는 미리 설정된 양을 초과하는 연기를 감지한다.
열연 센서(110)는 연기를 감지하는 열 센서와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센서를 포함한다. 열연 센서는 열 또는 연기의 감지에 따른 감지 신호를 화재 진압을 위해 밸브(140)와 화재 경보를 위한 알람 모듈(150)로 출력한다.
소화액 용기(120)는 상기 소화액은 물, 이산화탄소 용액, 요소 용액, 염이온 용액, 탄산칼륨 용액, 탄화수소나트륨 용액, 암모늄 용액, 불소 화합물(일예로, 친환경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 용액과 같은 화재 진압을 위한 액체가 저장된다. 또한, 소화액은 겨울과 같은 저온 상황에서 동결을 방지하기 위한 부동액 성분이 포함 또는 부동액 성분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는 구현에 따른 예로서, 소화액 용기(120)는 분말과 같은 고체 형태의 물질의 분사가 가능한 경우, 고체 물질이 저장될 수도 있다. 소화액 용기(120)는 화재 발생에 따라 밸브(140)를 통해 기체가 유입되면, 노즐을 통해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다. 소화액 용기(120)는 개폐가 가능하여 보충 및 교환이 용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카트리지(130)는 기체가 충전되어 있으며, 일예로, 질소와 같은 물질이 충전된 경우 질소 카트리지가 된다. 카트리지(130)는 기체의 상태를 액체 또는 압축된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소화액 용기(120) 내의 소화액을 분사하기에 충분한 형태로 기체를 수용한다. 이를 위해, 카트리지는 밸브(130)에 결합될 수 있다.
밸브(140)는 카트리지(130)가 결합되며, 소화액 용기(120)와 카트리지(130)와 사이에 위치한다. 밸브(140)는 열연 센서(110)를 통해 감지 신호에 응답하여 밸브를 개방할 수 있으며, 밸브 개방에 의해 카트리지(130) 내 기체는 소화액 용기(120) 내부로 주입된다. 예를 들면, 밸브는 솔 밸브 등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소화액 용기(120) 내의 액체는 간단히 교환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130)의 사용이 완료되면, 카트리지(130)의 교환을 통해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는 간단히 재사용이 가능하다.
알람 모듈(150)은 화재 발생에 따른 경보 기능을 갖는다. 알람 모듈(150)은 화재 경보를 위한 빛을 방출하기 위한 발광 소자(151), 또는 화재 경보를 위한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52)에 연결될 수 있다. 알람 모듈(150)은 열연 센서(110)로부터 감지 신호가 출력되면, 빛 또는 소리의 형태로 화재 발생을 사용자에게 인지하도록 경보할 수 있다.
동작 감지 모듈(160)은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는 모듈이다. 동작 감지 모듈(160)은 밸브(140)에 연결되고, 밸브에 결합된 카트리지(130)의 압력 상태로부터 작동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밸브(140)에 가해지는 압력이 기준 압력 미만이면 휴대용 자동 소화기가 정상 작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동작 감지 모듈(160)은 밸브(140)의 압력 상태가 기준 압력 이상이면, 정상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고, 밸브(140)의 압력 상태가 기준 압력 미만이면 비정상 상태에 대한 정보를 출력한다.
배터리(170)는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면, 배터리(170)는 열연 센서(110), 알람 모듈(150), 및 동작 감지 모듈(16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170)는 추가로 전원을 필요로 하는 모듈로 전원 공급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는 휴대가 가능한 간단한 구조를 통해 화재 발생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는 화재 진압과 동시에 빛과 소리의 형태로 경보를 함으로써, 화재로 인한 피해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자동 소화기의 외부 하우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의 외부 하우징(101)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외부 하우징(101)은 상단에 카트리지 인입 커버(1011), 배터리 인입 커버(1012), 전원 버튼 인입구(1013), 동작 확인 버튼 인입구(1014), 센서 개구부(1015), 소화액 주입 삽입구(1016), 및 노즐 커버(1017)를 포함한다.
카트리지 인입 커버(1011)는 외부 하우징(101)의 상단에 위치하고, 카트리지를 삽입하기 위해 형성된다.
배터리 인입 커버(1012)는 외부 하우징(101)의 상단에 위치하고, 배터리를 인입하기 위해 형성된다.
전원 버튼 인입구(1013)는 외부 하우징(101)의 상단에 위치하고, 전원 버튼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동작 확인 버튼 인입구(1014)는 외부 하우징(101)의 상단에 위치하고, 동작 확인 버튼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형태를 갖는다.
센서 개구부(1015)는 외부 하우징(101)의 상단에 위치하고, 센서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 개구부는(1015)는 열과 연기를 감지하기 위해 개방된 형태, 일예로 복수의 구멍들이 형성될 수 있다.
소화액 주입 삽입구(1016)는 외부 하우징(101)의 측면에 위치하고, 소화액을 주입하기 위한 소화액 주입구가 위치하는 부분이다.
노즐 커버(1017)는 외부 하우징(101)의 하단에 위치하고, 소화액 용기(120)의 노즐을 보호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외부 하우징(101)은 열과 연기에 따른 내구성이 강화된 난연 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제조되면, 내구성 향상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자동 소화기의 소화액 용기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소화액 용기(120)는 소화액(121), 소화액 주입구(122), 뚜껑(123), 기체 주입구(124), 및 소화액 분출구(125)를 포함한다.
소화액(121)은 화재 진압을 위한 액체 형태의 물질이고, 일예로, 물, 이산화탄소 용액, 요소 용액, 염이온 용액, 탄산칼륨 용액, 탄화수소나트륨 용액, 암모늄 용액, 불소 화합물(일예로, 친환경 디클로로플루오르에탄) 용액과 같은 액체를 포함할 수 있다. 소화액(121)은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가 비치되는 위치에서 발생 가능한 화재에 따라 다양한 액체로 변경하여 주입이 가능하다.
소화액 주입구(122)는 소화액 용기(123)의 측면에 위치하고, 소화액(121)을 주입하기 위해 형성된 부분이다.
마개(123)는 소화액 주입구(122)에 결합되어, 개폐에 따른 소화액 주입을 가능하게 한다.
기체 주입구(124)는 소화액(121)을 분사하기 위한 기체가 주입되는 부분이고, 밸브(140)에 연결된다. 기체 주입구(124)는 소화액 용기(120)의 상단에 위치하여 화재 발생시 기체가 주입된다.
소화액 분출구(125)는 소화액 용기(120)의 하단에 위치하고, 노즐 등에 결합되어 소화액(121)이 분출되는 부분이다.
상술한 소화액 용기(120)는 예시적인 구조로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휴대용 자동 소화기의 메인 보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인 보드(102)는 전원 버튼(1021), 동작 확인 버튼(1022), 카트리지 인입부(1023), 배터리 인입부(1024), 열 센서 인입부(1025), 연기 센서 삽입부(1026), 및 센서 연결선(1027)을 포함한다.
전원 버튼(1021)은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의 온 동작 또는 오프 동작을 제어하는 버튼이다. 전원 버튼(1021)을 통해 휴대용 자동 소화기의 동작 상태를 설정할 수 있다.
동작 확인 버튼(1022)은 동작 감지 모듈(160)에 연결될 수 있다. 동작 확인 버튼(1022)은 사용자에 의해 확인 요청 시 카트리지(130)로부터 밸브(140)로 인가되는 압력 상태에 따라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작 감지 모듈(160)은 정상 동작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LED)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버튼 조작 신호의 입력에 따라 LED를 통해 정상 동작 상태(예를 들면, 정상 동작이면 “녹색”, 비정상 동작이면 “적색” 등)를 출력할 수 있다.
카트리지 인입부(1023)는 카트리지(130)가 삽입되며, 카트리지 인입부(1023)의 일측에는 카트리지(130)와 결합되는 밸브(140)의 삽입을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카트리지 인입부(1023)는 카트리지(130)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배터리 인입부(1024)는 배터리(170)가 삽입된다. 배터리 인입부(1024)도 배터리 형태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열 센서 인입부(1025)는 열 센서(111a)가 인입 가능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연기 센서 삽입부(1026)는 연기 센서(112a)가 인입 가능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된다.
센서 연결선(1027)은 열 센서(111a)와 연기 센서(112a)이외의 추가적인 다른 센서들로의 연결을 위한 전원선 또는 신호선이다.
메인 보드(102)는 내부에 소화액 용기(120)를 제외한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의 전반적인 구성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도록 박스 형태를 갖는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며, 메인 보드 내부(102)에 구성 모듈들이 포함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휴대용 자동 소화기의 예시적인 측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는 상단에 메인 보드(102)가 위치하고, 메인 보드(102) 하단에 소화액 용기(120)가 위치한다.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의 외부 하우징(101) 내부에 메인 보드(102)와 소화액 용기(120)가 위치한다.
메인 보드(102)에는 카트리지(130), 배터리(170), 열 센서(111a), 연기 센서(112a)가 포함되어 있으며, 전원 버튼(1021), 및 동작 확인 버튼(1022)이 형성된다.
메인 보드 하단(102)에 위치한 소화액 용기(120)는 노즐(126)이 형성되어 있으며, 노즐(126)을 통해 소화액을 분사한다. 예를 들면, 노즐은 풀콘 노즐(일예로, 120각 풀콘 노즐)이 사용될 수 있다. 노즐(126)은 외보 하우징(101)에 형성된 노즐 커버(1017)의 안쪽에 배치된다.
노즐(126)은 마개 등이 결합될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시 소화액 분사에 따라 마개는 자동으로 이탈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소화액 용기(120)의 일측 하단에 열 센서(111b)와 온도 센서(112b)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열연 센서(110)는 열 센서들(111a, 111b, 112a, 112b) 중 적어도 하나에서 화재 발생에 따른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면, 화재 발생에 따른 감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열연 센서(110)는 추가적인 열 센서(111b)와 연기 센서(112b)를 통해 화재 감지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휴대용 자동 소화기의 설치를 위한 후크 타입의 고정 형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외부 하우징(101)의 상단의 코너 부분에 밴드 고정부들(1018a, 1018b, 1018c, 1018d)이 형성되어 있다. 밴드 고정부들(1018a, 1018b, 1018c, 1018d)은 밴드끈(202a, 202b)이 결합되는 부분이다.
따라서, 제 1 후크(201a)는 제 1 끈밴드(202a)에 연결되고, 제 1 끈밴드(202a)는 밴드 고정부들(1018a, 1018b)에 연결되며, 길이 조절을 위한 끈밴드 조정부가 끈밴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 2 후크(201b)는 제 2 끈밴드(202b)에 연결되고, 제 2 끈밴드(202b)는 밴드 고정부들(1018c, 1018d)에 연결되며, 길이 조절을 위한 끈밴드 조정부가 끈밴드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후크 타입의 고정 형태는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의 설치를 위한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휴대용 자동 소화기의 설치예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가 텐트(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텐트 내부(10)에서 화재 발생 시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는 화재 경보와 동시에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는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는 야간과 같은 상황 발생 시에 즉각적인 화재 경보와 진압이 가능함으로써, 사용자들(21, 22)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는 경량으로 구현됨에 따라 휴대가 간편하고, 텐트, 건물, 화재취약 시설과 같은 다양한 분야에서 자동으로 화재 감지 및 진화에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와 소화액 용기 등의 구조는 카트리지와 소화액 등의 간단한 교환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 제안된 휴대용 자동 소화기(100)는 고가이며, 복잡한 구조를 갖는 소방 시설의 설치가 용이하지 못한 상황에서 화재 발생에 따른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간단한 거치를 통해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휴대용 자동 소화기 101: 소화기 하우징
102: 메인 보드 110: 열연 센서
120: 소화액 용기 130: 카트리지
140: 밸브 150: 알람 모듈
160: 동작 감지 모듈 170: 배터리
1011: 카트리지 인입 커버 1012: 배터리 인입 커버
1013: 전원 버튼 인입구 1014: 동작 확인 버튼 인입구
1015: 센서 개구부 1016: 소화액 주입 삽입구
1017: 노즐 커버 121: 소화액
122: 소화액 주입구 123: 뚜껑
124: 기체 주입구 125: 소화액 분출구
126: 노즐 1021: 전원 버튼
1022: 동작 확인 버튼 1023: 카트리지 인입부
1024: 배터리 인입부 1025: 열 센서 인입부
1026: 연기 센서 삽입부 1027: 센서 연결선
111a, 111b: 열 센서 112a, 112b: 연기 센서

Claims (8)

  1. 열 또는 연기를 감지하여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열연 센서;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빛 또는 소리의 형태로 화재 경보를 알리는 알람 모듈;
    소화액을 주입하는 소화액 주입구 및 상기 소화액을 분사하는 노즐이 형성되고, 상기 소화액 주입구를 개폐하기 위한 마개와 결합되는 소화액 용기;
    상기 소화액을 분사하기 위해 상기 소화액 용기에 주입되는 기체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와 결합되고, 상기 감지 신호에 따라 상기 기체를 상기 소화액 용기에 전달하는 밸브;
    상기 카트리지의 압력을 측정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압력이 기준 압력 이상이면 정상 상태 정보를 출력하고, 상기 카트리지의 압력이 기준 압력 미만이면 비정상 상태를 출력하는 동작 감지 모듈;
    상기 열연 센서, 상기 알람 모듈 및 상기 동작 감지 모듈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상기 열연 센서, 상기 카트리지, 상기 밸브, 상기 알람 모듈, 상기 동작 감지 모듈 및 상기 배터리와 결합되고, 결합된 구성들 사이의 배선을 포함하는 메인 보드; 그리고
    상기 메인 보드 및 상기 소화액 용기를 수용하는 휴대용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카트리지 및 상기 배터리는 상기 메인 보드에 탈착되는 휴대용 자동 소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메인 보드의 전원 버튼을 통해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설정되는 휴대용 자동 소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 모듈은
    상기 빛을 출력하기 위한 발광 소자; 또는
    상기 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포함하는 휴대용 자동 소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연 센서는
    열을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열 센서; 및
    연기를 감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기 센서를 포함하는 휴대용 자동 소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액은 물, 이산화탄소 용액, 요소 용액, 염이온 용액, 탄산칼륨 용액, 탄화수소나트륨 용액, 암모늄 용액, 불소 화합물 용액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휴대용 자동 소화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자동 소화기를 설치하기 위해 상기 휴대용 하우징에 결합되는 고정용 밴드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자동 소화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는 질소 가스가 충전된 질소 카트리지를 포함하는 휴대용 자동 소화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자동 소화기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동작 감지 모듈을 동작시키는 동작 확인 버튼을 더 포함하되,
    상기 동작 감지 모듈은 상기 동작 확인 버튼에 의해 작동하는 휴대용 자동 소화기.
KR1020150117421A 2015-08-20 2015-08-20 휴대용 자동 소화기 KR101726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421A KR101726617B1 (ko) 2015-08-20 2015-08-20 휴대용 자동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7421A KR101726617B1 (ko) 2015-08-20 2015-08-20 휴대용 자동 소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444A KR20170022444A (ko) 2017-03-02
KR101726617B1 true KR101726617B1 (ko) 2017-04-26

Family

ID=58427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7421A KR101726617B1 (ko) 2015-08-20 2015-08-20 휴대용 자동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2661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406A (ko) * 2021-03-09 2022-09-16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방폭 구조를 갖는 자동소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26407A (ko) * 2021-03-09 2022-09-16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방폭 구조를 갖는 자동소화장치
KR20230174379A (ko) 2022-06-21 2023-12-28 주식회사 아산에스앤테크 휴대용 자동소화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5911B1 (ko) * 2017-06-20 2019-02-26 (주)에스앤지코리아 휴대용 자동 소화기
US20200147430A1 (en) * 2018-11-13 2020-05-14 Kidde Technologies, Inc. Interconnected fire detection and extinguishing system
CN109920197A (zh) * 2019-01-09 2019-06-21 中国电力科学研究院有限公司 用于储能电站的消防预警装置及系统
KR102420358B1 (ko) 2020-03-27 2022-07-13 배현규 휴대용 스프링클러
CA3210820A1 (en) * 2021-10-29 2023-05-04 Lg Energy Solution, Ltd. Battery pack with improved safet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8987A (ja) 2006-12-19 2008-07-03 Morita Ug:Kk 消火器用接点付き指示圧力計を設けた蓄圧式消火薬剤貯蔵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48987A (ja) 2006-12-19 2008-07-03 Morita Ug:Kk 消火器用接点付き指示圧力計を設けた蓄圧式消火薬剤貯蔵容器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6406A (ko) * 2021-03-09 2022-09-16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방폭 구조를 갖는 자동소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26407A (ko) * 2021-03-09 2022-09-16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방폭 구조를 갖는 자동소화장치
KR102563201B1 (ko) * 2021-03-09 2023-08-03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방폭 구조를 갖는 자동소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563202B1 (ko) * 2021-03-09 2023-08-03 주식회사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방폭 구조를 갖는 자동소화장치
KR20230174379A (ko) 2022-06-21 2023-12-28 주식회사 아산에스앤테크 휴대용 자동소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2444A (ko) 2017-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6617B1 (ko) 휴대용 자동 소화기
KR102100885B1 (ko) 선박운송용 컨테이너 내부의 화재진압을 위한 파이프형 소화 설비
US20080257566A1 (en) Portable life protec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CN106640177B (zh) 矿用移动式液态二氧化碳防灭火系统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CN204176069U (zh) 一种悬挂式七氟丙烷灭火器容器阀
CN205964753U (zh) 一种用于危险品运输的装置
KR101925911B1 (ko) 휴대용 자동 소화기
KR20170140649A (ko) 경광등이 구비된 소화기
KR101050827B1 (ko)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
KR101993606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CN217448770U (zh) 一种具有消防功能的电池包以及储能装置
CN218944200U (zh) 电池储能装置及其火灾控制系统
CN203408421U (zh) 智能自动探测灭火装置
KR20200053143A (ko) 휴대용 펌프식 자동 소화기
CN211285843U (zh) 一种基于智能消防系统的恒压给水设备
KR102420358B1 (ko) 휴대용 스프링클러
CN203861824U (zh) 一种灭火装置
CN210992715U (zh) 一种罐箱消防安全装置
US20160253893A1 (en) Vehicle for detecting chemical leakage
CN211158273U (zh) 特种车辆五防区火灾预警装置
CN219149080U (zh) 一种泵驱式全氟己酮自动灭火装置
KR102648769B1 (ko)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
CN219162787U (zh) 一种火灾报警装置
CN213324977U (zh) 一种消防垃圾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