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94546A -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 Google Patents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546A
KR20200094546A KR1020190012162A KR20190012162A KR20200094546A KR 20200094546 A KR20200094546 A KR 20200094546A KR 1020190012162 A KR1020190012162 A KR 1020190012162A KR 20190012162 A KR20190012162 A KR 20190012162A KR 20200094546 A KR20200094546 A KR 202000945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metal
fire
fire extinguishing
ceil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2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468B1 (ko
Inventor
황명환
곽재관
김태완
Original Assignee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012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4468B1/ko
Publication of KR20200094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GPHYSICS
    • G12INSTRUMENT DETAILS
    • G12BCONSTRUCTIONAL DETAILS OF INSTRUMENTS, OR COMPARABLE DETAILS OF OTHE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2B1/00Sensitive elements capable of producing movement or displacement for purposes not limited to measurement; Associated transmission mechanisms therefor
    • G12B1/02Compound strips or plates, e.g. bimetallic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는, 천장에 인접하여 수평으로 마련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높이가 같고, 이격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마련되는 제2 지지부재; 상기 제1, 2 지지부재에 일측이 고정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바이메탈; 일측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바이메탈에 인접하고, 타측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바이메탈에 인접하는 다수개의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 상면에 위치하고, 분말소화약제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로 이루어지는 소화수단을 포함하고, 화재시 상기 밀봉부재가 녹아 상기 분말소화약제가 노출되고, 다수개의 상기 바이메탈이 휨 변형되면, 다수개의 상기 수평부재가 경사를 이루거나 바닥에 떨어져 상기 분말소화약제가 화재지점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시 밀봉부재가 녹아 분말소화약제가 노출되고, 다수개의 바이메탈이 휨 변형되면, 다수개의 수평부재가 경사를 이루거나 바닥에 떨어져 분말소화약제가 화재지점으로 방출되어 화재가 진압되는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이메탈이 화재시 열에너지에 노출이 잘 안 될 경우를 대비해서 바이메탈의 일단에서 실내의 바닥까지 이어지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의 열전달부재를 더 포함함으로 바닥 인근에서 난 화재도 빠르게 감지하는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AUTOMATIC FIRE EXTINGUISHER INSTALLED INSIDE OF CEILING USING BIMETAL}
본 발명은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천장의 역할을 하고, 화재발생시에는 열에너지로 인하여 휨 변형하는 바이메탈이 천장의 수평부재를 가압하여 생긴 틈으로 분말소화약제를 국소방출하는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재란 사람의 의도에 반하여 발생한 연소로서, 건물화재에 있어서 화재가 난 실내의 온도상승은 급격히 이루어진다. 건물의 형태, 건축자재의 종류, 가재도구의 많고 적음에 따라서 화재온도는 달라지며 불이 난 시점부터 실내화재의 온도변화는 일반적으로 발화원에 의해 가연물이 착화하는 단계에서는 실내온도(실내 중앙부의 천장부근에서 측정한 온도)가 그다지 올라가지 않으나(제1 성장기) 커튼이나 가재도구에 불이 붙어 불꽃이 천장 면을 따라 급속히 확대되면 실내전체에 불꽃이 보이는 단계(제2 성장기)로 발전한다.
따라서, 사람의 조작이 필요하지 않고, 자동으로 초기 화재를 완전하게 진압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어 진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62239호(등록일: 2011.08.30.)에는 천정 부착 타입형 자동소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62239호는, 원반형태의 체적을 갖는 소화약제용기와, 상기 소화약제용기 저면에 장착되는 자동소화밸브와, 상기 자동소화밸브 하방에 구비되어 상기 자동소화밸브의 작동에 따라 상기 소화약제용기로부터 분출되는 소화약제 및 가스를 분사하기 위한 분사노즐로 구성되는 천정 부착 타입형 자동 소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자동소화밸브는 몸체의 상면으로 외주면에 숫나사가 형성되는 용기결합구가 일체로 형성되고 양측면으로 각각 경보장치와 압력게이지를 부착하기 위한 체결공을 형성하고, 전면측으로 밸브자동개폐구가 장착되기 위한 결합공을 형성하고, 저면측 중앙으로 분사노즐이 결합되기 위한 노즐결합구를 구비하고 상기 노즐결합구와 편심되는 위치에 소화약제 및 가스를 충진하기 위한 충진주입공을 형성하여, 충진주입개폐구에 의해 개폐된다.
그러나 등록특허공보 제1062239호는, 소화약제용기, 자동소화밸브, 및 분사노즐이 천장으로부터 하방에 구비됨으로써, 심미감이 저감되며 설치공간의 경제성이 없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62239호(등록일: 2011.08.30.)
본 발명의 목적은, 바이메탈의 성질을 이용하여 사람의 조작이 필요 없고, 전기적인 작동을 필요로 하지 않는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천장에 인접하여 수평으로 마련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높이가 같고 이격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마련되는 제2 지지부재; 상기 제1, 2 지지부재에 일측이 고정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바이메탈; 일측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바이메탈에 인접하고, 타측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바이메탈에 인접하는 다수개의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 상면에 위치하고, 분말소화약제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로 이루어지는 소화수단을 포함하고, 화재시 상기 밀봉부재가 녹아 상기 분말소화약제가 노출되고, 다수개의 상기 바이메탈이 휨 변형되면, 다수개의 상기 수평부재가 경사를 이루거나 바닥에 떨어져 상기 분말소화약제가 화재지점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 2 지지부재는, 단면이 각각 '└' 형태와 '┘'형태가 되도록 수직판과 수평판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재에는, 상기 수직판과 맞닿는 측면에 임시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에는, 상기 임시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임시결합홈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상기 수평부재를 설치하기 용이하되 상기 바이메탈이 휨 변형될 때 상기 임시결합돌기가 상기 임시결합홈에서 쉬운 이탈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은, 상기 제1, 2, 지지부재의 상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제1, 2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화재시 상기 제1, 2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에서 위쪽으로 휨 변형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은, 상기 제1, 2, 지지부재의 상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제1, 2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하나의 상기 수평부재가 상기 바이메탈의 휨 변형에 의해 경사를 이룰 때, 인접한 다른 상기 수평부재의 경사 방향이 교차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은, 상기 제1, 2, 지지부재의 측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화재시 상기 수평부재 쪽으로 휨 변형되어, 상기 수평부재의 일단이 상기 제1, 2 지지부재에서 이탈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바이메탈은, 화재시 열에너지에 노출이 잘 안 될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바이메탈의 일단에서 바닥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끈형태로,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의 열전달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재시 밀봉부재가 녹아 분말소화약제가 노출되고, 다수개의 바이메탈이 휨 변형되면, 다수개의 수평부재가 경사를 이루거나 바닥에 떨어져 분말소화약제가 화재지점으로 방출되어 화재가 진압되는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이메탈이 화재시 열에너지에 노출이 잘 안 될 경우를 대비해서 바이메탈의 일단에서 실내의 바닥까지 이어지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의 열전달부재를 더 포함함으로 바닥 인근에서 난 화재도 빠르게 감지하는 자동소화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의 평상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3은 도 1의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의 작동상태도,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의 지지부재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의 평상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의 지지부재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예를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용이한 이해를 위해 도 1에 표시된 방향(상, 하, 좌, 우, 전, 후)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예컨대, 제1, 2 지지부재(100, 100')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마련되었다고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약칭: 소방시설법) 제36조 제5항(소방용품의 형식승인 등)에 따른 가스ㆍ분말자동소화장치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준기준을 따른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1)는, 평상시에는 천장의 역할을 하고, 화재발생시에는 열에너지로 인하여 휨 변형하는 바이메탈(200)이 천장의 수평부재(300)를 가압하여 생긴 틈으로 분말소화약제(440)를 국소방출하여 화재를 제압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1)는, 제1, 2 지지부재(100, 100'), 바이메탈(200), 수평부재(300), 및 소화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다양한 건축물에 적용가능하지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로 창고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컨테이너(container) 형태로 이루어진 조립식 건물에 적용되는 것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에서 화재 발생이 예상되는 곳, 즉, 본 발명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1)가 설치될 공간을 "실내"라 하고, 실내의 가장 윗면을 "천장"이라 일컫고, 실내의 가장 아랫면을 "바닥"이라고 일컫기로 한다.
제1, 2 지지부재(100, 100')는, 실내 천장에 인접하고 수평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후술할 수평부재(300)와 소화수단(400)이 지지되도록 고정 및 설치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측벽의 상단면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천장을 이루는 프레임(도 6 참조)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지지부재를 '제1'과 '제2'로 구분한 것은, 다름을 나타내기 위함이 아닌 방향을 나타내기 위함이고, 수평부재(300) 및 소화수단(400)을 지지하기 위해 최소 한 쌍이 서로 마주보고 있음을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은 제1 지지부재(100), 우측은 제2 지지부재(100')라고 하겠다.
즉, 제1, 2 지지부재(100, 100')는 분말소화약제(440)를 올려둘 수평부재(300)를 지지하기 위해 고정 및 설치되는 것으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예로, 단면이 각각 '└' 형태와 '┘'형태가 되도록 수직판과 수평판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도 1에 결부시키면, 수직판은 실내 측벽에 단단히 고정되도록 나사나 리브 등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수평판은 후술할 바이메탈(200)이 설치되고 수평부재(300)가 얹혀지도록 중력방향의 수직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2 지지부재(100, 100')의 재질은, 특별한 한정은 없으나, 바이메탈(200)에 열이 잘 전달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형성되거나 가벼운 합성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바이메탈(200)은, 열팽창계수가 매우 다른 두 종류의 얇은 금속판을 포개어 붙여 한 장으로 만든 막대 형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열팽창계수가 (상대적으로) 작은 금속을 위쪽으로 하고 열팽창계수가 (상대적으로) 큰 금속을 아래쪽으로 하여, 바이메탈(200)에 열에너지가 전달되면 두 금속의 열팽창계수 차이에 의해 위쪽으로 휨 변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바이메탈(200)은 제1, 2, 지지부재의 상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제1, 2 지지부재(100, 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즉, 다수개의 바이메탈(200)의 일측이 나사나 금속접착제 등으로 제1 지지부재(100)나 제2 지지부재(100')의 상면에 제1, 2 지지부재(100, 100')의 길이방향으로 고정되고, 타측은 화재시 열에너지를 받으면 제1, 2 지지부재(100, 100')의 길이방향에서 위쪽으로 휨 변형되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메탈(200)과 바이메탈(200)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바이메탈(200)에 열에너지가 전달되어 휨 변형될 때, 바이메탈(200)들끼리 서로 부딪혀 거치적거리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바이메탈(200)의 길이에 특별한 한정은 없으나, 휨 변형하는데 전혀 문제가 없는 길이어야 하며, 휨 변형되면 수평부재(300)가 전후방향으로 경사를 갖게 되어 수평부재(300)와 수평부재(300) 사이에 틈이 형성되도록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바이메탈(200)은, 도면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화재시 열에너지에 노출이 잘 안 될 경우를 대비해서 바이메탈(200)의 일단에서 연결되어 바닥에 인접하도록 끈형태로 이루어지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의 열전달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으로써, 열에너지가 열전달부재를 매개로 바이메탈(200)에 전달되기 때문에, 바닥 인근에서 난 화재도 자동소화장치(1)를 작동시켜 초기에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수평부재(300)는, 다수개의 긴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일측은 제1 지지부재(100)에 설치된 바이메탈(200)에 인접하고, 타측은 제2 지지부재(100')에 설치된 바이메탈(200)에 인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바이메탈(200) 상면에 수평부재(300)가 얹혀지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메탈(200) 하나의 전후길이와 수평부재(300) 하나의 전후길이가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100)에 설치되는 바이메탈(200)의 휨 방향과, 제2 지지부재(100')에 설치되는 (제1 지지부재(100)의 바이메탈(200) 위치에 대응되는) 바이메탈(200)의 휨 방향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다수개의 수평부재(300) 각각이 (바이메탈(200)이 휜 정도나 방향에 따라) 다양한 경사각도를 갖을 때, 수평부재(300) 사이사이에 틈이 구비된다면 그것으로 족하다.
한편, 수직판과 수평판으로 이루어진, '└' 형태나 '┘'형태의 제1, 2 지지부재(100, 100')의 내측 측면에는 라인홈으로 형성된 임시결합홈(104)이 형성되고, 이 임시결합홈(104)에 대응되는 임시결합돌기(302)가 수평부재(300) 단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 참조)
이는, 다수개의 수평부재(300)를 조립 및 설치하기 용이하고, 작은 유동에 미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바이메탈(200)이 휨 변형될 때 임시결합돌기(302)가 임시결합홈(104)에서 쉬운 이탈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임시결합돌기(302)가 임시결합홈(104)에 결합되는 높이를 조정하여 이탈되지 않고 임시결합돌기(302)를 중심으로 수평부재(300)가 바이메탈(200)의 휨 변형으로 인해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도 있다.
임시결합홈(104)은, 각각 형성될 수도 있지만, 라인홈으로 형성되는 것이 수평부재(300) 하나하나를 조립 및 설치할 때, 결합위치를 하나씩 찾기보다 어느 위치에서 결합해도 정렬이 용이하게 된다.
소화수단(400)은, 화재를 진압하는 것으로, 분말소화약제(440) 및 밀봉부재(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분말소화약제(440)는, 공지된 것으로, 불꽃과 반응하여 열분해를 일으키며 이때 생성되는 물질에 의한 연소반응차단(부촉매효과, 억제), 질식, 냉각, 방진효과 등에 의해 소화하는 약제로서 방습가공을 한 나트륨 및 칼륨의 중탄산염 또는 인산염류 등 그 밖의 방염성능을 가진 염류를 주성분으로 제1종 분말(중탄산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한 것, NaHCO3), 제2종분말(중탄산칼륨을 주성분으로 한 것, KHCO3), 제3종분말(인산암모늄을 주성분으로 한 것, NH4H2PO4), 제4종 분말(제2종과 요소를 혼합한 것, KC2N2H3O3)로 분류되며, 일반적으로 소화기에 사용되는 분말은 제3종분말(ABC급 적용)을 사용할 수 있으며, 분말소화약제(440)의 저장량은 방호대상물의 표면적이나 소화약제의 종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밀봉부재(420)는, 분말소화약제(440)를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도록 하는 것으로, 설치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한 여름에 올라갈 수 있는, 밀봉부재(420)에 전달되는 최대치의 온도(T1)에서는 녹지 않지만, 화재가 발생하여 열에너지가 전달되면 녹아서 분말소화약제(440)를 노출시킨다. 즉, 밀봉부재(420)의 용융 온도는 T1보다 크다.
이를 위하여 밀봉부재(420)는 공지된 비닐봉투(폴리비닐 알콜 또는 폴리염화 바이널)의 재질(폴리에틸렌, LDPE, LLDPE 등)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분말소화약제(440)를 한 번에 밀봉할 수 있는 양을 조절할 수 있어 운반이 용이함과 동시에, 화재발생이 국부적일 경우, 열에너지를 받은 바이메탈(200)만 휨 변형 되고 밀봉부재(420)가 녹기 때문에, 화재 진압이 완료된 후, 밀봉부재(420)가 녹아서 사용된 소화수단(400)을 제외하고 재충전이 용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1)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100) 또는 제2 지지부재(100')에 설치된 바이메탈(200)이 판판한 형상을 유지하고, 제1 지지부재(100)의 바이메탈(200) 1개와 제2 지지부재(100')의 바이메탈(200) 1개 위로 수평부재(300) 1개가 안착되고, 이런 구조가 제1, 2 지지부재(100, 100') 위에 천장을 커버하는, 즉, 다수개의 수평부재(300)가 서로 맞닿아 정렬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그 수평부재(300) 위에는 분말소화약제(440)가 내장되어 있는 밀봉부재(420), 즉 소화수단(400)이 안착된다. 선택적으로 소화수단(400) 아랫면에 다수개의 수평부재(300)의 윗면이 임시 접착되어 운반의 용이성을 확보할 수도 있다.
화재시에는, 열에너지에 의해 밀봉부재(420)가 녹아 분말소화약제(440)가 노출되고, 다수개의 상기 바이메탈(200)이 휨 변형되기 시작한다.
열에너지를 받은 바이메탈(200)이 휨 변형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닿아 있던 수평부재(300)들이 각각 경사를 이루면서, 수평부재(300)들 사이에 공간이 생기고, 그 공간을 통해 분말소화약제(440)가 방출되어 초기 화재 진압을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바이메탈(200)에 열에너지가 더 빨리 도달하기 위해, 즉, 바닥 인근에서 발생한 화재를 더 빨리 감지하기 위해, 바이메탈(200)의 일단에서 바닥에 인접하도록 끈형태의 라인인 열전달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자동소화장치(1)는, 사람의 조작이 필요 없어 창고로 사용되거나 사람이 기거하지 않는 실내 또는 실외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분말소화약제(440)가 전체적으로 방출되는 것이 아닌, 화재발생지점, 즉 열에너지가 전달되어 바이메탈(200)이 휨 변형된 지점만 국부적으로 방출되어, 초기 화재 진압이 완료된 후 정리가 용이하고, 분말소화약제(440)의 재충진이 용이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의 작동상태도(소화수단(400) 생략)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1)는, 바이메탈(200)이 설치되는 방향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다.
즉, 제1 실시예에서는 바이메탈(200)이 제1, 2 지지부재(100, 100')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었다면, 제2 실시예에서는 바이메탈(200)이 제1, 2 지지부재(100, 100')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 즉,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도 4a의 확대된 부분은 위쪽에서 제1, 2 지지부재(100, 100')를 바라본 것으로, 제1 지지부재(100)의 바이메탈(200a)과 제2 지지부재(100')의 바이메탈(200b)은 교차되어 배열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100)의 상면과 바이메탈(200)의 상면은 동일면으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1)는, 화재시 바이메탈(200a)에 올려진 수평부재(300a)와 바이메탈(200b)에 올려진 수평부재(300b)가 서로 반대방향의 기울기를 가지며 기울어진다. 이렇게 서로 반대방향의 기울기를 가진 수평부재(300)들이 배열된 상태에서 수평부재(300)와 수평부재(300) 사이의 틈으로 분말소화약제(440)가 방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의 작동상태도(소화수단(400) 생략)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1)는, 바이메탈(200)이 설치되는 방향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같다.
즉, 제1, 2 실시예에서는 바이메탈(200)이 제1, 2 지지부재(100, 100')의 상면(수평판)에 설치되었다면, 제2 실시예에서는 바이메탈(200)이 제1, 2 지지부재(100, 100')의 측면(수직판)에 설치된다.
도 5a의 확대된 부분은 위쪽에서 제1 지지부재(100)를 바라본 것으로, 제1 지지부재(100)의 측면에 바이메탈(200)의 일측이 고정되고, 화재 발생시 열에너지가 바이메탈(200)에 전달되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메탈(200)이 휨 변형되면서 수평부재(300)를 제1 지지부재(100) 밖으로 가압하고, 수평부재(300)가 떨어지면서 소화분말약제가 화재지점에 투하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평상시에는 천장의 역할을 하고, 화재발생시에는 밀봉부재(420)가 녹아 분말소화약제(440)가 노출되고, 다수개의 바이메탈(200)이 휨 변형되면, 다수개의 수평부재(300)가 경사를 이루거나 바닥에 떨어져 분말소화약제(440)가 화재지점으로 방출되어 화재가 진압되는 자동소화장치(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바이메탈(200)의 성질을 이용하여 사람의 조작이 필요 없고, 전기적인 작동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설치공간의 효율성이 향상되는 자동소화장치(1)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1)는, 본 발명에서 설명되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 것으로서, 형상, 모양, 규격 등이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고, 상술한 실시예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하여 질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100 : 제1 지지부재
100' : 제2 지지부재
104 : 임시결합홈
200 : 바이메탈
300 : 수평부재
302 : 임시결합돌기
400 : 소화수단
420 : 밀봉부재
440 : 분말소화약제

Claims (6)

  1. 천장에 인접하여 수평으로 마련되는 제1 지지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와 높이가 같고, 이격간격을 두고 수평으로 마련되는 제2 지지부재;
    상기 제1, 2 지지부재에 일측이 고정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바이메탈;
    일측은 상기 제1 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바이메탈에 인접하고, 타측은 상기 제2 지지부재에 설치된 상기 바이메탈에 인접하는 다수개의 수평부재; 및
    상기 수평부재 상면에 위치하고, 분말소화약제를 밀봉하는 밀봉부재로 이루어지는 소화수단을 포함하고,
    화재시 상기 밀봉부재가 녹아 상기 분말소화약제가 노출되고, 다수개의 상기 바이메탈이 휨 변형되면, 다수개의 상기 수평부재가 경사를 이루거나 바닥에 떨어져 상기 분말소화약제가 화재지점으로 방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2 지지부재는,
    단면이 각각 '└' 형태와 '┘'형태가 되도록 수직판과 수평판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평부재에는,
    상기 수직판과 맞닿는 측면에 임시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판에는,
    상기 임시결합돌기와 대응되는 임시결합홈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상기 수평부재를 설치하기 용이하되 상기 바이메탈이 휨 변형될 때 상기 임시결합돌기가 상기 임시결합홈에서 쉬운 이탈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은,
    상기 제1, 2, 지지부재의 상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제1, 2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화재시 상기 제1, 2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에서 위쪽으로 휨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은,
    상기 제1, 2, 지지부재의 상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상기 제1, 2 지지부재의 길이방향의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되, 하나의 상기 수평부재가 상기 바이메탈의 휨 변형에 의해 경사를 이룰 때, 인접한 다른 상기 수평부재의 경사 방향이 교차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은,
    상기 제1, 2, 지지부재의 측면에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은 화재시 상기 수평부재 쪽으로 휨 변형되어, 상기 수평부재의 일단이 상기 제1, 2 지지부재에서 이탈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메탈은,
    화재시 열에너지에 노출이 잘 안 될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바이메탈의 일단에서 바닥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끈형태로,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의 열전달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KR1020190012162A 2019-01-30 2019-01-30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KR102144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162A KR102144468B1 (ko) 2019-01-30 2019-01-30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2162A KR102144468B1 (ko) 2019-01-30 2019-01-30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546A true KR20200094546A (ko) 2020-08-07
KR102144468B1 KR102144468B1 (ko) 2020-08-13

Family

ID=72043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2162A KR102144468B1 (ko) 2019-01-30 2019-01-30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44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75886A (zh) * 2022-05-14 2022-07-22 韶关龙督装饰材料有限公司 吸音隔热环保型装饰铝天花板
US20220239410A1 (en) * 2021-01-15 2022-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for network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KR102670116B1 (ko) * 2023-05-17 2024-05-29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071A (ko) * 1999-03-23 1999-10-05 김천희 무지주천정틀
KR101062239B1 (ko) 2008-11-17 2011-09-06 (주)한국소방리더스 천정 부착 타입형 자동소화장치
KR200484274Y1 (ko) * 2017-01-20 2017-08-22 백수활 자동소화장치 배전반
KR101899102B1 (ko) * 2018-02-13 2018-09-19 주식회사 뱅가드텍 자동 소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071A (ko) * 1999-03-23 1999-10-05 김천희 무지주천정틀
KR101062239B1 (ko) 2008-11-17 2011-09-06 (주)한국소방리더스 천정 부착 타입형 자동소화장치
KR200484274Y1 (ko) * 2017-01-20 2017-08-22 백수활 자동소화장치 배전반
KR101899102B1 (ko) * 2018-02-13 2018-09-19 주식회사 뱅가드텍 자동 소화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39410A1 (en) * 2021-01-15 2022-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uplink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for network cooperative communication system
CN114775886A (zh) * 2022-05-14 2022-07-22 韶关龙督装饰材料有限公司 吸音隔热环保型装饰铝天花板
KR102670116B1 (ko) * 2023-05-17 2024-05-29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화재 대피 유도용 소방용 표시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4468B1 (ko) 2020-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4468B1 (ko) 바이메탈을 이용한 천장 내장용 자동소화장치
US3935681A (en) Fire screen for a structural panel
KR101737755B1 (ko)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시설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
KR101120044B1 (ko) 자가 소화 기능을 갖는 내외장 타일
KR102084527B1 (ko) 화재진압용 블라인드
CA2978989A1 (en) Fire protection sleeve
KR20110021450A (ko)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KR101670360B1 (ko) 화재 확산 방지 장치를 구비한 건물 배수관 설치 구조
KR101308093B1 (ko) 화재방향으로 소화액을 발사하는 자동소화발사기
KR102084887B1 (ko) 필로티 구조물의 화재 진압 장치
KR101264862B1 (ko)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 차단 장치
CN208280850U (zh) 具有灭火功能的防火门
JP2007517583A (ja) 料理用コンロトップ火災の自動鎮火モジュール
JP2018028247A (ja) 防火サッシ
JP3209178U (ja) 消火弾自動放出格納装置
KR101690748B1 (ko) 액자 겸용 투척식 소화기
US20170333738A1 (en) Fire extinguishing device
JP7496456B2 (ja) 防災設備のシート展開装置
KR20070115320A (ko) 소화기능이 구비된 도어
KR101560768B1 (ko) 목재 방화도어
KR101450249B1 (ko) 자동 차수판을 구비한 소화시스템
KR102180417B1 (ko) 화재진압 쓰레기통
JP2007252637A (ja) 消火システム
KR20220000235U (ko) 소화기
JP6092695B2 (ja) 郵便受けを備えた扉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