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0235U - 소화기 - Google Patents

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0235U
KR20220000235U KR2020200002559U KR20200002559U KR20220000235U KR 20220000235 U KR20220000235 U KR 20220000235U KR 2020200002559 U KR2020200002559 U KR 2020200002559U KR 20200002559 U KR20200002559 U KR 20200002559U KR 20220000235 U KR20220000235 U KR 2022000023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lting
fire extinguisher
automatic
diffusion head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2000025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95771Y1 (ko
Inventor
김희진
Original Assignee
(주)대동소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동소방 filed Critical (주)대동소방
Priority to KR20202000025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5771Y1/ko
Publication of KR202200002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02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57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57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2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usibl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bstract

소화약제가 충진되는 용기, 용기 입구에 결합되며 소화약제의 외부 방출 유로가 내부에 구비되는 플러그, 플러그의 유로에 결합되어 외부로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자동형 확산헤드, 플러그의 유로나 자동형 확산헤드의 통로 를 폐쇄하여 폐쇄상태가 되도록 하며 감열시에는 폐쇄된 곳을 개방하여 개방상태가도록 이루어진 감열식 개방장치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자동 요소를 가지는 소화기에 있어서, 감열식 개방장치는 저융점물질의 융해를 이용한 것이며, 확산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가 외측으로 수평보다 위로 향하도록 이루어지는 소화기가 개시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소화기는 화재 상황을 스스로 감지하여 소화약제가 자동 확산하게 되어 화재현장에서의 초기진화 및 조기진압의 확률지수를 높일 수 있고, 소화기에서의 자동 기능 동작에 의해 소화약제가 주변에 분사될 때 메인 분사노즐이 수평보다 상향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소화 범위를 증가시키고 소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소화기{FIRE EXTINGUISHER}
본 고안은 소화기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운용 요소를 가지는 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 건물의 사무소나 주택의 실내에 비치되는 소화기는 수동 소화기로 사용자의 작위적 행위에 의해 소화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업무용, 영업용, 주거용 등의 각종 건축물 전구역의 어느 장소에서 불시에 발생되는 화재의 초기진화 또는 소화할 목적으로 건축물 전구역에 이러한 수동 소화기를 갖추어 배치하고 이를 수시로 점검 관리하면서 사용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이러한 수동 소화기의 하나의 예에 대한 구조와 사용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은 소화기 구조에서는 소화약제를 충진하고 질소가스를 충진 수용하는 소화기 약제용기(1)와 소화약제의 방출 및 분사에 사용되는 유로와 이 유로의 개폐조작부를 갖춘 플러그(3)가 구비된다.
약제용기(1)의 상부에 결합되는 각기 다른 기능을 갖춘 내부 유로가 형성된 플러그(Plug)에는 약제용기 내부의 방출관(9)과 플러그에 결합되어 연통되는 플러그의 방출유로, 용기의 내부압력을 표시하는 지시압력계(6)와 연통되는 플러그의 압력유로, 용기 외부의 분사호스(2)와 연통되는 플러그의 분사유로, 방출관의 방출유로와 분사호스의 분사 유로 사이의 유로를 개폐하는 플러그의 누름핀(8)의 판, 누름핀을 이동시키기 위한 누름 조작부의 손잡이(4)(5), 누름핀의 고정을 위한 안전핀(7)장치, 소화기를 거는 벽걸이(1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수동 소화기는 충약된 소화약제를 질소가스압력에 의하여 분사하며, 사람이 조작하여 분사 소화하는 것이므로 소화기의 사용법은 화재 진압시 화원이 있는 곳으로 소화기를 이동시킨 다음 소화기의 손잡이(4)(5) 앞부분에 부착된 안전핀(7)을 뽑은 후 한 손으로 소화기의 손잡이를 잡고 다른 손으로 호스(2)를 잡아 빼들고 화점을 향하고 손잡이(4)(5)를 힘껏 움켜쥐어 분사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사람이 없거나 사람의 눈이 잘 닿지 않는 곳에서도 화재 발생의 가능성은 항상 있을 수 있는 것이며, 수동 소화기는 이런 상황에서는 화재 진압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화재 진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인 초기 진화가 어렵게 되고, 소화기의 효과적 사용이 어렵게 된다.
한편, 건물의 스마트화가 진행되면서 센서가 화재의 발생을 감지하여 일정 조건이 되면 사람의 작위가 없이도 자동적으로 소화기능을 발휘하는 자동 소화기가 근래에 많이 설치되고 있다. 천정에 설치되어 연기나 열을 감지하는 센서가 가동되면 스프링쿨러 방식으로 위에서 물을 뿌리는 자동 소화기가 그 대표적인 예가 될 것이다.
그러나 자동 소화기는 통상 설치 비용이 높고 건물의 모든 곳의 화재를 커버하기 위해 상당한 비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건물에 자동 소화기를 설치하는 것은 전면적이고 빠르고 쉽게 이루어지기 어렵다.
기존의 수동 소화기와 자동 소화기의 설치 및 사용 상의 이런 어려움을 반영하여 하나의 보완방법으로서 건물에 비치되는 주로 분말형의 수동 소화기가 자동 기능을 일부 가지도록 하는 수동 자동 겸용 소화기의 사용이 제안되었다.
이런 경우, 자동 소화기로서의 기능은 열이나 연기를 감지하는 전자적 센서를 설치하기 보다는 주석과 납 등 금속이나 합금체를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가열할 때 일정한 온도에 이르면 고체상태에서 용융되거나 변형되는 특성을 갖는 감열체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확산형 헤드를 수동식 소화기의 플러그에 함께 설치, 조합하는 방법으로 자동확산형 구조를 형성한 수동 자동 겸용 소화기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도2의 (가)는 이러한 종래의 수동 자동 겸용 소화기의 일 예에서 플러그(12)를 중심으로 한 부분을, (나)는 이 플러그에 결합되는 자동형 확산헤드(11)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여기서 플러그(12)는 수동식 소화기의 플러그에 자동형 확산헤드를 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플러그(12)이며, 플러그의 내부단면에는 방출유로(90), 압력유로(60), 분사유로(20), 자동확산유로(11a, 11b, 11c) , 이들 유로의 개폐 관련 요소들이 나타나 있다. 누름핀(8)의 끝단의 판과 지렛대 원리로 작동하는 레버 형태로 개폐조작부(5, 4)는 수동 조작에 의한 유로의 개폐를 위해 형성된다.
도 2의 (나)의 자동형 확산헤드(11)는, 주석과 납 등의 합금체로서 가열시 일정 이상의 온도(작동온도)에서 고체상태에서 융해되어 변형되는 합금물질의 특성을 갖는 감열체로 이루어진 감열판을 구비한다. 주위온도가 작동온도에 도달하면 감열판과 감열체레바가 떨어져 나가고 내부압력 즉 여기서는 압력유로(60)에 걸려있는 압력에 의해 내부에 장착된 폐쇄디스크와 디플렉터가 자동으로 튀어나와 용기의 소화제가 외부로 방출되는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기존의 자동 수동 겸용 소화기는 자동으로 사용할 때의 실효성을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 감열체는 주변 온도가 증가하면 동작하게 되지만 소화기에서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노즐의 방향이 반드시 가장 적절한 방향을 지향하도록 할 수는 없고 전혀 엉뚱한 방향으로 소화약제가 방출되어 소화에 별다른 도움이 안될 수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화기 플러그에 여러 방향을 향하도록 다수의 자동확산형 헤드를 설치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런 경우 비용이 증가하고, 바람직하게는 여러 방향으로 향하는 자동확산형 헤드가 동시에 작용하여 여러 방향으로 동시에 소화약제를 분사하면 좋지만, 현실적으로 동시에 작용하기는 어려워 하나의 자동확산형 헤드가 동작하면 일시에 그 쪽으로 압력의 공백이 생겨 모든 약제가 그쪽으로만 분사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주변의 열에 의해 자동확산형 헤드가 동작하도록 감열체 구성을 할 때 감열체에 의해 헤드가 동작할 정도이면 이미 주변의 화재가 상당 부분 진행되었다는 것이고, 이런 상태에서는 자동확산형 헤드가 동작을 한다고 해도 주변의 화재를 진압하기에는 늦거나 불충분할 경우가 많게 된다.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고 실1997-000331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7-0023807
본 고안은 기존의 소화기가 화재시 화재 진압에 불충분하거나 미흡한 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으로, 화재 상황을 스스로 감지하여 소화약제가 자동 확산하게 되어 화재현장에서의 초기진화 및 조기진압의 확률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자동 요소를 가지는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자동 요소의 기능 동작에 의해 소화약제가 주변에 분사될 때 소화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성을 가진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주변의 화재가 소화기로 진압하기에 어려울 정도가 되기 전에 적기에 소화제를 방출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는 소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소화기는 소화약제 및 분사용 충진가스가 함께 충진되는 용기, 용기 입구에 결합되며 소화약제의 외부 방출 유로가 내부에 구비되는 플러그, 플러그의 유로에 결합되어 외부로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통로와 출구노즐을 포함하는 자동형 확산헤드, 플러그의 유로나 자동형 확산헤드의 통로 혹은 출구노즐을 폐쇄하여 폐쇄상태가 되도록 하며 감열시에는 폐쇄된 곳을 개방하여 개방상태가도록 이루어진 감열식 개방장치를 구비하여 적어도 하나의 자동 요소를 가지는 소화기에 있어서,
감열식 개방장치는 저융점물질의 융해를 이용한 것이며, 확산헤드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노즐이 기본 비치 상태에서 방사상 외측으로 수평보다 위로, 가령 10 내지 45도 위쪽을 지향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서 자동형 확산헤드는 서로 평면적으로 볼 때, 지향 각도를 달리하는 복수의 출구노즐을 가지거나, 메인 출구노즐 외에 지향 각도를 달리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 출구노즐을 가질 수 있으며, 출구노즐 사이의 각도는 20 내지 180도가 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소화기는 감열식 개방장치를 포함하는 자동 요소에 더하여 손으로 조작하는 레버와 같은 수동 조작부에 의해 소화제가 방출되는 수동형 확산헤드와 같은 소화기의 구성 요소를 함께 가지는 수동 자동 겸용 소화기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소화기의 감열식 개방장치는 가령 100도씨 이상 250도씨 이하의 온도에서 용융되는 금속, 합금, 합성수지 가운데 하나로 이루어지며, 초기에는 어떤 출구노즐로도 소화제가 방출되지 못하도록 통로를 폐쇄하고 용융시에는 모든 출구노즐로 소화제가 방출되도록 감열식 개방장치가 개방상태가 되도록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소화기의 감열식 개방장치는 복수 개의 자동형 확산헤드를 가지고 플러그 위쪽에서 바라볼 때(평면도상에서 볼 때) 각 확산헤드의 출구노즐은 방사상으로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서로 20 내지 180도의 사이각을 이루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감열식 개방장치는 초기에는 모든 자동형 확산헤드의 모든 출구노즐을 폐쇄하고 용융시에는 모든 자동형 확산헤드의 모든 출구노즐을 함께 개방하도록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자동형 확산헤드의 빠른 개방 동작을 위해 감열식 개방장치는 외부 열에 의해 감열식 개방장치의 저융점물질이 용융되는 것에 더하여 내부 센서에 의해 촉발되는 전지 전류 흐름에 의한 오옴열을 발생시켜 저융점물질의 추가적 가열 및 용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방 촉진부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개방 촉진부는 센서, 전원으로서의 배터리와 오옴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히터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별도의 히터가 없이 저융점물질 자체를 통해 전류가 흐르도록 설계되고 저융점물질 자체에서 오옴열이 발생하여 히터의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개방 촉진부를 구비하는 경우, 용융 촉진을 위한 자체 배터리에 의한 전류에서 오는 발열은 외부 가열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혹은 일정 이하의 온도에서, 가령 100도씨 이하의 주변 온도에서는 용융을 할 수 없는 정도의 전류 흐름이 되도록 전류를 제어하거나 제한하는 회로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저융점 물질에 주변 환경의 열을 잘 전달하도록 표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통상 설치되는 에어핀은 역으로 개방 촉진부의 전류에 의해 저융점물질에 전달되거나 저융점 물질에서 자체 발생하는 오옴열을 주변으로 전달하여 주변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에서는 저융점 물질이 쉽게 융해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고안의 소화기는 화재 상황을 스스로 감지하여 소화약제가 자동 확산하게 되어 화재현장에서의 초기진화 및 조기진압의 확률지수를 높일 수 있고, 소화기에서의 자동 기능 동작에 의해 소화약제가 주변에 분사될 때 메인 분사노즐이 수평보다 10 내지 45도 상향으로 분사되도록 하여 소화 범위를 증가시키고 소화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화기 주변의 화재가 열의 형태로 감지되면 감열식 개방장치에 의해 서로 일정한 사이각에 의해 지향방향을 달리하는 출구노즐이 동시적으로 개방되어 화재가 발생한 위치로 소화제를 분사하여 적절한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는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감열식 개방장치의 저융점물질을 융해시킬 때 주변에 일정 수준 이상의 열이 감지되면 센서가 작용하여 자체 내에서 배터리에 의한 전류가 흐르고 전류에 의한 열 발생이 저융점물질의 융해를 보조하여 주변 화재상황이 충분히 확산되기 전에 소화기를 작용시켜 화재를 소화, 조기 억제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종래의 수동 소화기의 일 예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2의 (가)(나)는 각각 종래의 자동 수동 겸용 소화기의 플러그 부분 및 자동용 확산헤드에 대한 측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플러그 부분과 여기에 결합되는 자동용 확산헤드에 대한 측단면도,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자동용 확산헤드에 대해 위쪽에서 본 경사단면도
도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에의 자동용 확산헤드에 설치되는 감열식 개방장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의 플러그 부분과 여기에 결합되는 자동용 확산헤드에 대한 측단면도이다. 먼저 본 고안의 소화기 전체에 대한 구성을 설명하면, 도1의 기존 수동 자동 겸용 소화기의 기본적 구성과 같이 약제 용기와 약제 용기 입구에 연결되는 유로를 가진 플러그를 구비하며, 플러그의 상단에는 수동소화를 위한 손잡이가 설치된다. 또한, 도2의 (가)와 비슷하게 플러그 중간에 플러그 내 유로와 통하는 통로를 가진 자동 소화를 위한 자동형 확산헤드가 설치되기 위한 자동확산용 유로구가 형성되어 있다.
단, 도3과 같은 본 실시예의 자동용 확산헤드는 도2의 (나)와 달리, 자동확산용 유로구에 고정되는 자동용 확산헤드의 유로(111) 혹은 노즐은 수평에서 θ만큼, 가령 10도 내지 45도 정도 상향하도록 형성된다. 10도 이하의 경우 출구를 경사지게 향하도록 하는 의미가 줄어들고, 45도 이상인 경우 오히려 소화제가 뿌려지는 범위가 줄어들게 된다. 구체적인 상향 경사의 각도는 노즐에서 소화제가 뿌려지는 콘 형태의 분사각도 범위와 소화약제 종류를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분말 소화약제의 분사각도 범위가 지향 방향 중심축에서 30도 정도로 퍼져 방출될 때에는 상향 경사를 10 내지 20도 정도로 낮게 하고, 분사각도 범위가 작을 때에는 상향 경사를 30도 정도로 형성할 수 있다.
유로의 끝단은 걸림턱이 형성되면서 개방된 구멍의 직경이 작아져 일종의 노즐을 형성한다.
유로의 끝단에는 노즐을 막는 마개가 일종의 감열식 개방장치로서 설치된다.
여기서 감열식 개방장치는 외부로 돌출되는 몸통의 주변에 다수의 핀이 형성되는 감열부(113)와, 이 감열부에 결합되어 감열부로부터 주변 공기의 열을 전달받아 고온에서 쉽게 용융되는 저융점 금속합금으로 이루어진 융해부(115)로 이루어지며, 융해부는 유로(111)의 끝단에 형성된 걸림턱에 서로 걸리는 대응턱 부분을 가진다.
따라서, 주변 공기의 온도가 화재로 인하여 높아지면, 감열부(113)의 다수의 핀은 넓은 면적을 가지고 주변 공기로부터 빠르게 다량의 열을 전달받아 감열부의 몸통을 거쳐 융해부(115)로 전달한다. 융해부(115)는 열을 전달받으면 융해나 연화가 이루어져 강체로서의 성격을 잃게 된다.
자동형 확산헤드의 유로 단부의 걸림턱에 걸려있던 융해부(115)의 대응턱은 열에 의해 융해나 연화가 이루어지면 그 턱의 형상이 변형되고, 플러그 내압이 작용하여 융해부를 밖으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면 마개(감열식 개방장치)는 자동형 확산헤드로부터 빠져 밖으로 튀어나가게 된다. 마개가 없어지면 소화기 내부의 압력에 의해 소화제가 자동형 확산헤드의 노즐을 통해 밖으로 분출되어 소화작용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감열식 개방장치는 가장 단순한 걸림턱과 대응턱의 형태로 설치되어 노즐을 막고 있지만 도2의 (나)와 같은 좀 더 복잡한 형태, 기존에 알려진 자동형 확산헤드의 다른 형태, 구조를 가지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자동형 확산헤드의 유로가 수평에서 10 내지 45도 정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소화제의 방출 범위를 좀 더 멀리까지 확대시켜 소화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자동형 확산헤드는 위에서 볼 때 플러그를 기준으로 서로 반대 방향을 향하도록 중심각으로 볼 때 180도 이격된 형태를 이루고 있지만, 하나만 형성되거나, 120도 중심각으로 3개가 형성되거나, 90도 중심각으로 두 방향을 향하도록 2개, 3방향을 향하도록 3개, 사방을 향하도록 4개 혹은 그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자동용 확산헤드에 대해 위쪽에서 본 경사단면도이다. 자동형 확산헤드의 유로가 수평에서 경사지게 형성된다고 할 때 자동형 확산헤드를 수평면이 아닌 그 경사면에 의해 자른 단면을 위쪽에서 바라본 이 경사단면도에서, 플러그에 결합되는 쪽의 유로 단부는 반대쪽 단부에서 서로 90도의 각도를 가진 두 개의 가지로 나누어진다. 각각의 가지의 외측 단부도 직경이 좁아져 노즐 형태를 이룰 수 있으며, 여기서는 외측 단부도 유로와 같은 직경을 가지는 것으로 표현된다.
물론, 가지는 3개 이상의 복수개로 형성할 수도 있고, 가지 사이의 중심각은 다양한 각도가 될 수 있지만, 20도 이하 사이각은 가지를 나누는 의미가 적고, 180와 같은 너무 넓은 사이각은 소화제를 뿌리는 지향의 의미가 없으므로 대략 60도 내지 90도 정도가 적당하고 그 이상의 각도가 필요할 때에는 가지 갯수를 늘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가지의 외측 단부, 즉, 자동형 확산헤드의 유로의 외측 끝단들에는 단부의 구멍을 막는 마개가 일종의 감열식 개방장치로서 설치된다.
여기서 감열식 개방장치는 외부로 돌출되는 몸통의 주변에 다수의 핀이 형성되는 감열부(123)와, 이 감열부에 결합되어 감열부로부터 주변 공기의 열을 전달받아 고온에서 쉽게 용융되는 저융점 금속합금으로 이루어진 융해부(125a)로 이루어지며, 융해부에는 연결선(125b)이 고정되어 있다.
연결선(125b)은 자동형 확산헤드 내에서 두 가지에 설치된 감열식 개방장치의 융해부(125a)를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연결선의 중간 부분은 당김고리(129a)에 걸려있고, 당김고리는 지지선(129b)의 일단에 고정되어 자동형 확산헤드의 플러그쪽 끝단쪽으로 당겨진다. 지지선의 반대쪽 단부는 자동형 확산헤드의 플러그쪽 끝단의 프레임(129c)에 고정된다. 물론 프레임은 여기서 유로를 폐쇄하지 않도록 설치된다.
각 가지(121b)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121c)이 있고, 걸림턱과 각 가지의 외측 끝단 사이에는 압축스프링(127)이 설치되며, 각 가지의 외측 끝단과 마개 사이에는 리크를 방지하는 오링(128)이 설치되고, 마개의 일부는 각 가지의 외측 끝단에 일정 구간 삽입된다.
지지선을 플러그쪽으로 완전히 당겨 프레임(129c)에 고정한 상태로 자동형 확산헤드(120)를 플러그에 결합시켜 고정하면, 소화기는 압축스프링(127)의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마개를 끌어당겨 각 가지의 외측 끝단의 개방된 구멍을 완전히 밀봉할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본 실시예의 자동 수동 겸용 소화기 주변에 화재가 발생하여 주변 온도가 높아지면, 감열식 개방장치의 감열부의 핀은 넓은 면적에서 주변의 열을 전달받아 감열부의 몸통을 거쳐 융해부(125a)로 전달한다. 융해부(125a)는 열을 전달받으면 융해가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융해부에 고정된 연결선(125b)이 융해부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한 가지에서 마개를 잡아주던 연결선이 분리되면 압축스프링과 플러그 내부 압력의 작용으로 마개는 자동형 확산헤드에서 외측으로 튀어나가면서 내부의 소화제도 밖으로 분출되어 소화작용이 이루어진다.
한편, 연결선의 중간 부분을 당기는 당김고리(129a)는 연결선을 완전히 고정한 것은 아니고 단순히 걸고 있는 것이므로 한쪽이 풀려난 연결선은 당김고리에도 불구하고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따라서 다른 가지에서도 연결선은 마개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다른 가지에서도 압축스프링과 플러그 내부 압력의 작용으로 마개는 자동형 확산헤드에서 외측으로 튀어나가면서 내부의 소화제도 밖으로 분출되어 소화작용이 이루어진다.
결국, 한 쪽의 가지의 융해부가 먼저 녹아서 마개가 개방되면 다른 쪽의 가지에서도 바로 마개가 개방되어 두 가지에서 거의 동시에 소화제가 방출되어 주변에 대한 소화작용이 이루어지고, 이는 소화 작용 범위를 넓혀 확률적으로 소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는 한 자동형 확산헤드에서 두 가지를 가지는 실시예에 대해서 연결선을 적용하는 경우를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도3과 같은 두 확산헤드를 가지는 경우에도 각 확산헤드의 감열성 개방장치의 구성과 연결선 구성을 도4의 실시예와 같이 적용하여 갖춤으로써 확대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에의 자동용 확산헤드에 설치되는 감열식 개방장치 구성을 개념적으로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자동형 확산헤드의 빠른 개방 동작을 위해 감열식 개방장치는 외부 열에 의해 감열식 개방장치의 저융점물질이 용융되는 것에 더하여 내부 센서(137c)에 의해 촉발되는 전지 전류 흐름에 의한 오옴열을 발생시켜 저융점물질의 추가적 가열 및 용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방 촉진부(137)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개방 촉진부(137)는 센서(137c), 전원으로서의 배터리(137b)와 오옴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별도의 히터(137a)를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별도의 히터가 없이 저융점물질 자체를 통해 전류가 흐르도록 설계되고 저융점물질 자체에서 오옴열이 발생하여 히터의 역할을 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개방 촉진부(137)를 구비하는 경우, 용융 촉진을 위한 자체 배터리에 의한 전류에서 오는 발열은 외부 가열이 전혀 없는 상태에서 혹은 일정 이하의 온도에서, 가령 100도씨 이하의 주변 온도에서는 용융을 할 수 없는 정도의 전류 흐름이 되도록 전류를 제어하거나 제한하는 회로 구성이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런 경우, 저융점 물질로 이루어진 융해부(135)에 주변 환경의 열을 잘 전달하도록 표면적을 확대하기 위해 통상 설치되는 감열부(133)의 에어핀은 역으로 개방 촉진부(137)의 전류에 의해 저융점물질에 전달되거나 저융점 물질에서 자체 발생하는 오옴열을 주변으로 전달하여 주변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에서는 저융점 물질이 쉽게 융해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런 실시예에서는 일정한 설정 온도, 가령 100도씨 이상이 되면 내부 센서(137c)가 주변 화재를 감지하여 회로를 동작시켜 배터리(137b)에 의해 전류가 히터(137a)를 통해 흐르도록 한다. 이런 경우, 융해부(135)는 감열부의 에어핀으로부터 절단되는 주변의 열에 더하여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받아 더 쉽게 융해, 변형될 수 있고, 마개를 걸림턱에 걸린 대응턱 부분을 녹여 마개가 내부 압력에 의해 밖으로 튀어나가게 하고, 소화제가 방출되면서 소화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만약 외부의 화재가 없는데, 센서의 고장으로 100도씨 이하의 낮은 온도 혹은 단순한 고온에서 회로가 동작하고 배터리의 전류가 히터에 흐르는 경우, 소화기가 작동하여 주변 환경을 오염시키고 손해를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런 문제를 방지하는 구성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령, 센서의 감지에 의해 히터에 흐르는 전류의 양을 조절하여 히터의 오옴열만으로는 융해부는 충분히 녹지 못하고, 열은 감열부를 통해 오히려 외부로 전달되므로 센서 오작용에 의한 소화기 동작은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내부 배터리는 자연방전을 통해 충전량이 줄어들 수 있으므로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구비하여 일정 기간마다 이를 측정하고 적정량에 못미치면 외부 전원을 연결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통해 본 고안을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적으로 설명된 것일 뿐 본원 고안은 이들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을 토대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형례나 응용예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10, 120: 자동형 확산헤드 111, 121a, 131: 유로
113, 123, 133: 감열부 115, 125a, 135: 융해부
121b: 가지 121c: 걸림턱
125b: 연결선 127: 압축스프링
128: 오링 129a: 당김고리
129b: 지지선 129c: 프레임
137: 개방촉진부 137a: 히터
137b: 배터리 137c: 센서

Claims (7)

  1. 소화약제가 충진되는 용기,
    상기 용기 입구에 결합되며 소화약제의 외부 방출 유로가 내부에 구비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의 유로에 결합되어 외부로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자동형 확산헤드,
    상기 플러그의 유로나 상기 자동형 확산헤드의 통로를 폐쇄하여 폐쇄상태가 되도록 하며 감열시에는 폐쇄된 곳을 개방하여 개방상태가도록 이루어진 감열식 개방장치를 구비하는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감열식 개방장치는 저융점물질의 융해를 이용한 것이며,
    상기 자동형 확산헤드에 구비되는 출구의 적어도 하나는 수평보다 위를 향하도록 경사지게 지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형 확산헤드는 상기 플러그에 위에서 볼 때(평면도에서 볼 때) 지향 각도를 달리하는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형 확산헤드는 위에서 볼 때(평면도에서 볼 때) 지향 각도를 달리하는 복수의 출구를 가지거나, 메인 출구 외에 지향 각도를 달리하는 하나 이상의 보조 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열식 개방장치를 포함하는 자동 요소에 더하여 수동 조작부에 의해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수동형 확산헤드를 더 포함하여 수동 자동 겸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형 확산헤드의 빠른 개방 동작을 위해 상기 감열식 개방장치는 외부 열에 의해 저융점물질이 융해되는 것에 더하여 센서에 의해 촉발되는 전류 흐름에 의한 오옴열로 저융점물질의 추가적 가열 및 융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방 촉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 촉진부는 배터리를 구비하며, 상기 저융점 물질의 융해 촉진을 위한 상기 배터리에 의한 전류 흐름 및 발열은 일정 온도 이하의 주변 온도에서는 상기 저융점 물질을 용점 이상으로 올릴 수 없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7. 소화약제가 충진되는 용기,
    상기 용기 입구에 결합되며 소화약제의 외부 방출 유로가 내부에 구비되는 플러그,
    상기 플러그의 유로에 결합되어 외부로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통로를 포함하는 자동형 확산헤드,
    상기 플러그의 유로나 상기 자동형 확산헤드의 통로를 폐쇄하여 폐쇄상태가 되도록 하며 감열시에는 폐쇄된 곳을 개방하여 개방상태가도록 이루어진 감열식 개방장치를 구비하는 소화기에 있어서,
    상기 감열식 개방장치는 저융점물질의 융해를 이용한 것이며,
    상기 자동형 확산헤드의 빠른 개방 동작을 위해 상기 감열식 개방장치는 외부 열에 의해 저융점물질이 융해되는 것에 더하여 센서에 의해 촉발되는 전류 흐름에 의한 오옴열로 저융점물질의 추가적 가열 및 융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개방 촉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KR2020200002559U 2020-07-17 2020-07-17 소화기 KR2004957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59U KR200495771Y1 (ko) 2020-07-17 2020-07-17 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200002559U KR200495771Y1 (ko) 2020-07-17 2020-07-17 소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0235U true KR20220000235U (ko) 2022-01-26
KR200495771Y1 KR200495771Y1 (ko) 2022-08-19

Family

ID=80048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200002559U KR200495771Y1 (ko) 2020-07-17 2020-07-17 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5771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310A (ko) 1995-06-28 1997-01-28 이형도 고압용 전해 콘덴서용 전해액
KR20070023807A (ko) 2007-02-09 2007-02-28 정명철 다수 자동확산형 수동식 소화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7996B1 (ko) * 2000-09-27 2004-07-02 전명환 자동 분사 소화기
KR200429397Y1 (ko) * 2006-07-28 2006-10-23 (주)한국소방리더스 소방기기의 자동작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3310A (ko) 1995-06-28 1997-01-28 이형도 고압용 전해 콘덴서용 전해액
KR20070023807A (ko) 2007-02-09 2007-02-28 정명철 다수 자동확산형 수동식 소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5771Y1 (ko) 202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8915B2 (en) Extinguishing method and system using a liquid synthetic extinguishing agent and water
US20080087446A1 (en) Self-activated fire extinguisher
JP5128591B2 (ja) 熱トリップ機器を有する自動消火器及びノズル用密封装置
JP2009526615A (ja) 防火用特殊用途スプリンクラー
KR101731710B1 (ko)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KR101853291B1 (ko) 천장용 소화기시스템
US3888313A (en) Discharge head and fire protection system utilizing said head
KR101069939B1 (ko)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KR20100020774A (ko) 집열판 및 이를 구비하는 상향식 스프링클러
KR20170116999A (ko) 자동 겸용 수동 소화기
KR200495771Y1 (ko) 소화기
KR100807078B1 (ko) 다수 자동확산형 수동식 소화기
KR20040098747A (ko) 소화기의 자동 소화 시스템
JP4290914B2 (ja) 消火装置
KR101993606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KR101053637B1 (ko) 상하분사형 스프링클러
US3893513A (en) Discharge head and fire protection system utilizing said head
KR20180076589A (ko) 디플렉터 소화기
KR102629473B1 (ko) 수동 겸용 자동소화기
JP2009226014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20070029871A (ko) 협소지역을 위한 자동화재진압장치
JP4154079B2 (ja) 閉鎖型泡ヘッド
KR102651264B1 (ko) 화재시 소화약제 분사가 원활하도록 하는 자동소화장치
US3937284A (en) Exothermic chemical reactive sprinkler release
KR20100000568U (ko) 스프링클러 소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