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9871A - 협소지역을 위한 자동화재진압장치 - Google Patents

협소지역을 위한 자동화재진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9871A
KR20070029871A KR1020050084454A KR20050084454A KR20070029871A KR 20070029871 A KR20070029871 A KR 20070029871A KR 1020050084454 A KR1020050084454 A KR 1020050084454A KR 20050084454 A KR20050084454 A KR 20050084454A KR 20070029871 A KR20070029871 A KR 200700298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ing
high temperature
nozzle
extinguishing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4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학
오종환
송영수
이상호
Original Assignee
최상학
주식회사 씨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상학, 주식회사 씨플러스 filed Critical 최상학
Priority to KR1020050084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29871A/ko
Publication of KR2007002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8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2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usibl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kitchens or 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bstract

본 발명은 발화원이 비교적 가까이 있는 협소한 공간(14)에서 발생 될 수 있는 화재(17)를 진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관리자가 상주하지 아니하고 화재시 외부로부터의 진입이 어려운 협소한 공간(14)에서 발생되는 화재(17)에 대하여 고온(70℃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하는 용융재(40)를 분사구가 있는 관에 결합한 소화장치로 구성된 자동화재진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발화원이 비교적 가까이 있는 협소한 공간(14)에서 발생 될 수 있는 화재(17)를 진압하는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가정의 가스버너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이나, 전기배전반이나 제어반 내부 또는 연근해 소형선박(15)의 기관실(14) 등과 같이 관리자가 항상 감시를 위하여 상주하지 아니하고 화재시 외부로부터 진입이 어렵고 위험성이 높아 효과적인 소화작업을 할 수 없는 협소한 공간(14)에 적용할 수 있는 자동소화장치이다. 협소한 공간에서의 화재는 화재 발생 후 초기진압이 어려워 대체로 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협소한 공간에는 화재진압장치가 어렵다. 특히, 화재가 발생한 정확한 위치파악의 어려움으로 인해 화재진압 장치의 최적 설치위치와 관리자의 부재시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적절한 온도의 선정 및 소화장치의 외형에 대한 설치공간 확보의 어려움과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발화원이 비교적 가까이 있는 협소한 공간(14)의 바닥과 천정 및 벽면(26)에 배관형 화재진압장치(13)를 설치하여 초기에 화재(17)를 진압함을 목적 으로 한다. 배관형 화재진압장치(13)의 배관(21)에는 화재발생 가능성이 높은 위치에 T자형 관이음(25)을 연결하여 관이음의 수직아래 방향으로 소화약재가 분사되는 노즐(23)과 고온용융재(22)를 설치한다. 고온용융재(22)는 일정온도(70℃/90℃/110℃) 이상에서 용융되며, 5kg/cm2 이하의 압력에서는 파괴되지 않고 10kg/cm2 이상의 압력에서는 파괴되도록 한다. 노즐의 분사구(24)는 소화약재(19)가 확산되어 분사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여러개를 가공한다. 노즐(23)과 고온용융재(22)의 결합은 T자형 관이음의 수직아래 방향으로 노즐(23), 고온용융재(22), 나사형 캡(27)의 순서로 결합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고온 용융재는 용융되어 탈락되고 내부의 압축된 소화약재(19)는 자동으로 방출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화재가 발생하였으나 고온용융재가 설치된 위치가 화원과 비교적 떨어져 있어 자동으로 용융되지 않거나 관리자가 먼저 화재를 인지하였을때는 수동으로 밸브(11)를 열면 관의 압력이 10kg/cm2 이상이 되어 고온용융재가 파괴되고 소화약재가 방출되어 화재를 진압한다.
본 발명은 협소한 공간(14)에서의 효과적인 화재진압을 위하여 굴곡이 있는 협소한 공간(14)의 바닥과 천정이나 벽면(26)을 따라 관을 배치하고 화재가능성이 높은 위치에는 T자형 관이음(25)을 연결하여 고온 용융재를 결합함으로써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원(17)의 근처에 있는 용융재가 융화되면서 자동으로 소화약재(19)가 방사되어 화재를 효율적으로 초기진압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자동화재진압장치, 관형소화장치, 소화장치, 협소한 공간, 소형선박

Description

협소지역을 위한 자동화재진압장치 {The automatic fire fighting system for the small room}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적용상태를 보인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소화약재가 들어있는 용기 18: 지지대
11: 밸브 19: 소화약재
12: 선박엔진 20: 화재진압장치 고정지지대
13: 배관형 화재진압장치 21: 배관
14: 협소한 공간 22: 고온용융재
15: 소형선박 23: 노즐
16: 내열성 호스 24: 노즐분사구
17: 화재 25: T자형 관이음
27: 나사형 캡 30: 고정지지대 볼트
28: 필름 31: 지지대 볼트
29: 용접 32: 캡
본 발명은 발화원이 비교적 가까이 있는 협소한 공간(14)의 화재(17)를 효과적으로 진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관리자가 항상 감시를 위하여 상주하지 아니하는 협소한 장소(14)에서의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바닥과 천정 및 벽면(26)을 따라 고온 용융재(22)가 결합되어 있는 관(21)을 설치하고 관의 끝을 소화약재(19)가 들어있는 용기(10)를 연결하여 일정한 압력의 소화약재(19)가 관(13)의 내부에 충만하도록 하며 화재(17)가 발생할 경우 배관형 소화진압장치(13)의 고온 용융재가 용융되어 내부의 소화약재를 방출시켜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하는 협소지역을 위한 자동소화진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협소한 공간에는 별도의 자동소화장치가 없으며 분말소화기를 비치하여 화재시 사람이 수동으로 조작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단지, 협소한 공간(14)이라 할 수 있는 소형선박(15)의 무인기관실에는 반구형 용기에 축압식 열 감응형 소화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화장치는 갑판에서 엔진상부까지의 거리가 600mm 밖에 되지 않는 협소한 공간(14)에 설치하는데 어려움과 유효적절한 소화약제 방사각도에 맞는 위치 선정에 문제점이 있다. 특히 압축가스 저장 용기의 크기는 적합한 설치위치를 찾는데 어려움이 있고, 열 감응부의 탈락과 같은 오동작으로 소화약제가 방사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소형선박의 경우 이러한 불편함으로 인하여 소화장치의 설치를 하지 않거나 형식적으로 한두 곳에만 반구형 용기에 축압식 열 감응형 소화장치를 설치하고 있어 화재시 정확한 화원의 위치에 소화약재를 분사하지 못하여 효과적인 초기화재진압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이러한 자동소화장치를 설치하지 않은 소형선박이나 협소한 공간에서는 화재진압을 위해 이동식 분말소화기를 비치하지만 초기에 화재를 인지하지 못하는 어려움으로 인해 외부에서 진입하여 화재를 진압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협소한 공간(14)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화재를 협소한 공간의 바닥과 천정 및 벽면(26)에서 소화약재(19)를 방출하여 효과적으로 진압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각 구성품의 특징을 첨부도면과 함께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적용상태를 보인 상세도이다. 도 2는 T자형 관이음에 노즐과 고온용융재를 사용하여 배관형 소화진압장치(13)를 구성한 상세도이다.
본 발명은 발화원이 비교적 가까이 있는 협소한 공간(14)에서의 효과적인 화재진압을 위하여 협소한 공간의 바닥과 천정 및 벽면(26)을 따라 화재가능성이 높 은 위치에 T자형 관이음(25)을 연결하여 배관형 화재진압장치(13)를 제작한다. 배관형 화재진압장치(13)는 화재(17)발생에 따른 고온의 열이 고온 용융재(22)를 용융시키게 되고 내부의 압축된 소화약재(19)가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하거나 수동으로 밸브(11)를 열어 관내부의 압력이 10kg/cm2 이상이 되면 고온용융재(22)가 파괴되어 화재를 진압하는 장치이다. 고온 용융재는 일정이상의 온도 및 압력에서 용융 또는 파괴되는 플락스틱 재질의 필름(28)을 원형으로 가공된 분사구가 있는 두개의 금속재 중간에 삽입하여 압착 가공한다. 또한 고온 용융재의 필름은 화재의 지역 및 화재발생온도에 따라 내부 성분을 조정하여 용융온도 및 파괴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온도나 압력에 의해 용융 또는 파괴되는 얇은 원판형 고온 용융재(22)를 고안한다. 화재발생 가능성이 높은 위치에 T자형 관이음(25)을 설치하고 노즐(23)과 고온 용융재(22)를 부착한다. 노즐과 고온용융재를 고정 및 밀폐시키기 위해 분사구가 있는 나사형 캡(27)으로 결합한다. 배관의 한쪽 끝단은 캡(32)으로 용접(29)을 하여 기밀토록 한다. 반대쪽 끝단은 소화약재가 들어있는 용기(10)와 연결한다. 관 내부에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소화약재를 충진시킨다. 소화약재용기(10)에는 솔레노이드밸브(11)를 설치하고 관의 일정 위치에 압력스치를 설치하여 용융재의 탈락으로 인해 관 내부압력이 떨어지면 압력스위치에서 전기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로 공급하게 된다. 전기신호에 의해 솔레노이드밸브가 자동으로 작동하게 되면 밸브를 열게 되고 소화약재가 분사된다. 솔레노이드밸브에는 수동버튼을 장착하여 자동으로 작동이 않되거나 필요시 수동으로 동작할 수 있게 하여 일정이상의 압력이 되면 고온용융재가 용융되지 않아도 압력에 의해서 탈락 될 수 있게 한다. 소화약재 용기와 배관은 내열성 호스(16)를 사용하여 호스와 관의 연결기를 이용하여 결합한다. 바닥 및 천정과 벽면(26)을 따라 관형 화재진압장치(13)를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대(18)와 화재진압장치 고정지지대(20)를 사용한다. 천정과 벽면의 성분이 금속일 경우 지지대는 용접(29)을 하며 목재 혹은 석재일 경우는 고정용 볼트를 사용한다. 화재진압장치 고정지지대(20)를 이용하여 한쪽 끝은 볼트(30)와 너트로 관을 고정시키고 반대편 끝은 지지대(18)에 볼트(31)와 너트로 고정시킨다. 본 발명에서 제안한 자동소화장치를 사용하여 협소한 공간(14)의 화재 발생 초기 시 내부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면 관의 여러곳에 부착되어 있는 고온용융재(22) 중 화원(17)이 있는 위치의 고온용융재가 용융되어 탈락되고 관내부의 압력이 떨어진다. 압력스위치가 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켜 소화약재용기(10)의 밸브를 열어 관내 압력이 상승하게되면 설치된 고온용융재가 모두 파괴되어 화재가 발생한 모든 협소한 공간에 소화약재가 분출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소화장치의 설치가 어렵고 관리자가 항상 감시를 위하여 상주하지 아니하는 협소한 공간(14)의 바닥과 천정 및 벽면에 배관형 소화진압장치(13)를 설치하여 자동으로 화재를 감지하여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하는데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관리자가 항상 감시를 위하여 상주하지 아니하고 화재시 외부로부터의 진입이 어렵고 위험성이 높아 소화작업을 할 수 없으며 발화원이 비교적 가까이 있는 협소한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 시 자동 및 수동으로 소화약재가 방사될 수 있고 공간 및 거리에 제한없이 소화장치를 설치하여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매우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1)

  1. 일정이상의 온도에서 용융되며 일정압력 이상의 힘에 의해 파괴되는 플라스틱 재질의 필름(28)이 두 개의 금속사이에 삽입되어 압착가공된 고온용융재(22);
    상기 고온용융재(22)와 노즐(23)이 T자형 관이음(25)에 부착되어 화재 시 고온의 열로 인해 고온용융재 내부의 필름이 용융되어 노즐(23)을 통해 관 내부의 소화약재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소지역을 위한 자동화재진압장치.
KR1020050084454A 2005-09-12 2005-09-12 협소지역을 위한 자동화재진압장치 KR2007002987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454A KR20070029871A (ko) 2005-09-12 2005-09-12 협소지역을 위한 자동화재진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4454A KR20070029871A (ko) 2005-09-12 2005-09-12 협소지역을 위한 자동화재진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871A true KR20070029871A (ko) 2007-03-15

Family

ID=38101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4454A KR20070029871A (ko) 2005-09-12 2005-09-12 협소지역을 위한 자동화재진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2987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814B1 (ko) * 2010-11-26 2013-06-25 주식회사 엔케이 선박 메인엔진의 화재진압 장치
KR20220063323A (ko) * 2020-11-10 2022-05-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박막 캡을 포함하는 자동차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814B1 (ko) * 2010-11-26 2013-06-25 주식회사 엔케이 선박 메인엔진의 화재진압 장치
KR20220063323A (ko) * 2020-11-10 2022-05-17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박막 캡을 포함하는 자동차 엔진룸 자동 소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9751A (en) Automatic fire sup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US10398915B2 (en) Extinguishing method and system using a liquid synthetic extinguishing agent and water
US20070215362A1 (en) Fire sprinkler system
JP3170412U (ja) 火災消火装置
US7841420B2 (en) Self-activated fire extinguisher
US10870028B2 (en) Sprinkler system with a pre-action sprinkler head
US20200346058A1 (en) Component for a Fire Protection System,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Fire Protection System Comprising the Same
US2012019937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multi-stage fire suppression
KR101069939B1 (ko)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KR101761721B1 (ko) 소화 및 제연기능을 갖춘 소방용 방재장치
KR102026969B1 (ko) 자동으로 작동되는 소화기
KR20170107728A (ko) 천장용 소화기시스템
KR20070029871A (ko) 협소지역을 위한 자동화재진압장치
KR20040098747A (ko) 소화기의 자동 소화 시스템
KR200477663Y1 (ko) 방화용 댐퍼
KR100832858B1 (ko) 면상발열체를 사용하는 기동용 헤드 어셈블리를 구비한스프링클러
KR100274472B1 (ko) 온도퓨즈를 이용한 자동식 소화기
JP2000140142A (ja) 浮屋根タンク用消火装置
US4997046A (en) Flue fire extinguisher
KR200495771Y1 (ko) 소화기
KR200385997Y1 (ko)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KR101328815B1 (ko) 유리벌브 파열장치
KR102580130B1 (ko) 소공간용 소화용구
KR20100000568U (ko) 스프링클러 소화기
KR20060039611A (ko) 전기 배전반 및 패널용 자동 소화장치의 분사헤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