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5997Y1 -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 Google Patents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5997Y1
KR200385997Y1 KR20-2005-0006290U KR20050006290U KR200385997Y1 KR 200385997 Y1 KR200385997 Y1 KR 200385997Y1 KR 20050006290 U KR20050006290 U KR 20050006290U KR 200385997 Y1 KR200385997 Y1 KR 2003859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fire extinguishing
medicine tank
fire
automatic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6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연호
Original Assignee
이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연호 filed Critical 이연호
Priority to KR20-2005-0006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59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5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59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0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for kitchens or stov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원격지에 설치되고 소화약재가 내부에 충진되는 약재탱크, 약재탱크가 개방되면 원격지에 설치된 약재탱크로부터 소화약재를 전달받아 이를 감시구역에 분사하는 분사노즐, 감시구역에서 원격지까지 연결 설치된 와이어를 포함하고 감시구역에서 화재를 대비한 설정온도에 이르면 와이어가 동작하여 약재탱크를 개방시키는 자동소화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동차 엔진룸, 전산실, 전기실, 소규모 위험물 저장소, 아파트 베란다, 주방, 보일러실 등과 같이 화재발생 우려가 높은 다양한 감시구역에 용이하게 채택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하는 즉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도 와이어의 의한 기계적인 연동만으로 원격지로부터 소화약재의 공급을 개시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Automatic fire extinguishing apparatus using working together of a wire}
본 고안은 자동 소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차 엔진룸, 전산실, 전기실, 소규모 위험물 저장소, 아파트 베란다, 주방, 보일러실 등과 같이 화재발생 우려가 높은 다양한 감시구역에 용이하게 채택 가능하며, 화재가 발생하는 즉시 와이어의 의한 기계적인 연동에 의하여 원격지로부터 소화약재의 공급을 개시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는 데 적당하도록 한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이를 초기단계에 진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법적 한도를 초과하는 대형 건물의 경우 다양한 형태의 자동 소화 장치가 기본적으로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 소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자동 소화 장치는 감지부(10), 제어부(20) 및 소화부(30)로 구성된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감지부(10)에 의해 감시구역(A)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제어부(20)에서는 감지부(10)에서 출력된 전기신호를 분석하고 이를 근거로 표시부(미도시 됨)를 통해 화재사실을 표시하는 동시에 소화부(30)를 작동시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10)로는 화재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센서,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판독하는 열감지센서, 누전이나 전기합선 등에 의해 발생하는 스파크 등의 불꽃을 감지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판독하는 불꽃센서 등이 사용된다. 상기 제어부(20)는 마이컴(MPU 또는 MCU)에 프로그램을 입력하여 모든 제어를 자동으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소화부(30)는 제어부(20)로부터 제어를 받아 소화약재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것으로 소화약재가 충진된 약재탱크(31)의 지원을 받는다.
하지만, 종래의 자동 소화 장치는 상기 제어부(20)를 중심으로 감지부(10)와 소화부(30)가 이원화되어 있기 때문에 오작동의 문제를 늘 갖고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는 자동 소화 장치가 화재발생이라는 비상사태시를 대비하여 장시간 방치되기 때문에 매우 심각한 수준이다.
또한, 각각 감시구역(A) 및 원격지(B)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감지부(10)와 소화부(3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20)는 필수적으로 전기를 사용해야만 하였다. 따라서 상용전원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고 정전시를 대비하여 별도의 비상전원(배터리)을 구비해야만 한다. 이 때문에 종래의 자동 소화 장치는 전체 구성이 복잡하게 되고 설치할 수 있는 대상물은 최소한 상용전원이 마련된 곳으로 제한되어 자동차와 같은 다양한 곳에 채택 설치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별도로 구비되는 배터리는 장기간 방치시 쉽게 방전되어 원래의 취지와는 다르게 정전시를 전혀 대비할 수 없는 경우가 빈번하였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화재발생 우려가 높은 다양한 감시구역에 용이하게 채택 가능하며, 화재가 발생하는 즉시 와이어의 의한 기계적인 연동만으로도 원격지로부터 소화약재의 공급을 개시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는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는 원격지에 설치되고, 소화약재가 내부에 충진되는 약재탱크와, 상기 약재탱크가 개방되면 원격지에 설치된 상기 약재탱크로부터 소화약재를 전달받아 이를 감시구역에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감시구역에서 원격지까지 연결 설치된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구역에서 화재를 대비한 설정온도에 이르면 상기 와이어가 동작하여 상기 약재탱크를 개방시키는 자동소화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자동소화모듈은, 상기 감시구역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가 상기 설정온도에 이르면 와이어의 이동을 허용하는 감지부와, 상기 원격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에서 와이어의 이동을 허용되면 소화약재의 분사를 위해 상기 약재탱크를 개방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를 상기 감지부 및 작동부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가 후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중공의 감지부 몸체와, 상기 감지부 몸체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와이어의 선단측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감지부 몸체와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와이어의 이동을 허용하는 보호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시구역에서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센서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화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보호마개를 가열하여 상기 감지부 몸체와 보호마개의 결합을 조기에 해제하는 가열수단이 상기 보호마개에 더욱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보호마개와 결합되는 가열수단 몸체와, 상기 가열수단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를 열로 변환시키는 히팅코일과, 상기 히팅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 발산 방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부 몸체 외주면에 나선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감지부 몸체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너트와 함께 천정 등에 상기 감지부 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후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약재탱크 및 분사노즐과 각각 연결되는 유입공 및 유출공이 형성되는 중공의 작동부 몸체와, 상기 작동부 몸체 내부에서 상기 유입공 및 유출공간 유통을 차단하고 있다가 상기 와이어가 이동하면 함께 이동하여 상기 유입공 및 유출공간 유통을 허용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힘을 가해 상기 플런저 및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와이어를 내부에 관통시키는 호스와, 상기 호수의 일단부 및 감지부를 결합시키는 제 1조인트와, 상기 호수의 타단부 및 작동부를 결합시키는 제 2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시구역에서 화재발생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와, 상기 약재탱크의 유출공측에 설치되어 상기 약재탱크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와, 상기 연기감지기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약재탱크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는 자동차의 엔진룸, 전산실, 전기실, 소규모 위험물 저장소, 아파트 베란다, 주방, 보일러실 등과 같이 화재발생 우려가 높은 다양한 감시구역에서 초기화재 진압을 위하여 채택되며, 화재가 발생하는 즉시 상용전원이나 비상전원 없이도 와이어의 의한 기계적인 연동만으로도 원격지로부터 소화약재의 공급을 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용전원이나 비상전원 모두를 사용할 수 없는 긴급상황도 대비할 수 있으며, 자동차의 엔진룸과 같이 전력공급을 받기 곤란한 환경에서도 간단하게 채택되어 보다 확실하고 안정적인 화재감시 및 진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고안의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를 채택한 장치 개요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감시구역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원격지에 설치된 약재탱크(100)로부터 소화약재를 공급받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약재탱크(100), 분사노즐(200) 및 화재가 발생하는 즉시 상기 약재탱크(100)를 개방시키기 위해 와이어(331)의 기계적인 연동에 의해 작동하는 자동소화모듈(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은 이같이 와이어(331)의 기계적인 연동만으로 작동하여 약재탱크(100)를 개방시키는 자동소화모듈(300)을 구비하기 때문에 특히 도 2b와 같이 상용전원이나 비상전원을 공급받을 수 없는 환경에서도 확실하고 안정적인 화재감시 및 진화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한 한가지 예로서 도 2b는 자동차의 엔진룸을 화재 감시구역(A)으로 뒷 트렁크를 원격지(B)로 하여 방재시스템을 구축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에 더해 본 고안은 도 2a에서와 같이 감시구역(A)에서 화재를 감지하기 위한 연기감지기(400), 상기 연기감지기(400)의 전기신호를 받아 약재탱크(100)를 개방토록 한 제어기(500)를 더욱 포함하는 방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상기와 같은 방재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 각각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약재탱크(100)는 원격지(B)에 설치되고, 질소가압방식에 의해 소화약재가 내부에 가압 충진된다. 상기 약재탱크(100)의 설치대수는 감시구역(A)의 개수에 따라 정해지며 도 2a 및 도 2b의 경우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해 하나의 약재탱크(100)와 감시구역(A)만을 간단히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약재탱크(100)에 충진되는 소화약재로는 하론, 이산화탄소를 포함해서 감시구역의 화재 특성에 적합한 것으로 구비되고 약재용량은 도 2a의 경우 대략 30[L] 정도면 적당하다.
상기 분사노즐(200)은 감시구역(A)의 천정에 주로 설치되고 상기 감시구역(A)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약재탱크(100)로부터 소화약재를 공급받아 이를 방화 대상물에 분사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약재탱크(100)와 분사노즐(200) 사이에는 약재탱크(100)로터 분사노즐(200)까지 소화약재를 운반하기 위한 고압호수(210)가 설치된다.
상기 자동소화모듈(300)은 감시구역(A)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되면 와이어(331)에 의한 기계적 연동에 의해 원격지에 설치된 약재탱크(100)를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본 고안은 이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자동소화모듈(300)을 구비하여 전원을 공급받기 곤란한 환경의 감시구역에서도 신뢰할 수 있는 화재감시 및 진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자동소화모듈(300)에 대해서는 차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간단히 전술된 것처럼 약재탱크(100), 분사노즐(200) 및 자동소화모듈(300)로 이루어진 기본구성에 더해 연기감지기(400), 개폐밸브(220) 및 제어기(500)가 더욱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기감지기(400)는 감시구역(A)에서 화재시 발생하는 일정 농도 이상의 연기를 감지하고 전기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기(500)에 화재발생 여부를 알리는 용도로 설치된다. 이같은 연기감지기(400)로는 이온화식 연기센서, 비축적형 광전식 연기센서 등 시판되고 있는 다양한 제품 중 적당한 것으로 구비된다.
상기 개폐밸브(220)는 상기 약재탱크(100)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약재탱크(100)를 개폐시키는 역할을 하며 통상의 솔레노이드 밸브로서 구비된다.
상기 제어기(500)는 연기감지기(400)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약재탱크(100)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개폐밸브(220)를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기(500)는 모든 제어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마이컴(MPU 또는 MCU)에 프로그램을 입력한 것으로 구비된다.
이처럼 상기 연기감지기(400), 개폐밸브(220) 및 제어기(500)가 더욱 설치되면 화재발생시 상기 자동소화모듈(300)과는 별도로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약재탱크(100)를 개방하여 감시구역(A)에 소화약재를 분사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연기감지기(400)는 주로 온도에 의해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고 동작하는 자동소화모듈(300)과는 달리 연기의 농도에 의해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기 때문에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통해 전체 방재시스템의 신뢰도를 높여준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화모듈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화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화모듈의 부분단면도이다. 도 6은 화재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화모듈이 작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화모듈(300)은 감지부(310), 작동부(320) 및 연결부(330)로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310)는 감시구역에 설치되어 와이어(331)의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가 화재를 대비하여 설정된 온도가 되면 와이어(331)의 이동을 허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부(310)는 와이어(331)의 일단부가 후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중공의 감지부 몸체(311A,311B)와, 상기 감지부 몸체(311A,311B)의 선단부(311B)에 결합되어 와이어(331)의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감지부 몸체(311A,311B)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떨어져 나가면서 와이어(331)의 이동을 허용하는 보호마개(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 몸체(311A,311B)와 보호마개(313)는 그 사이에 형상변형재가 채워지거나 설치되어 상호 결합되며, 화재발생시 주위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하게 되면 상기 형상변형재가 본래 자기의 형상을 잃게 된다. 이로써 와이어(331)를 통해 가해지고 있는 작동부(320) 압축스프링(325)의 탄발력를 견디지 못하고 상기 보호마개(313)가 상기 감지부 몸체(311A,311B)로부터 떨어져 나가게 된다. 상기 형상변형재는 소정의 온도에서 자기 본래의 형상이 변형 또는 파괴되거나 용융되는 물질을 포함한다. 예컨대, 납, 형상 기억합금, 정온 금속, 고체파라핀과 같이 열반응에 의해 형상이 변형되는 기타 변형물질 및 유리벌브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부(310)에는 감지부 몸체(311A,311B) 외주면에 나선 결합되는 너트(315)와, 상기 감지부 몸체(311A,311B)의 후단부 외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너트(315)와 함께 조임작용을 하는 와셔 형태의 고정편(317)이 더욱 구비된다. 이로써, 감시구역의 천정을 천공하여 상기 감지부 몸체(311A,311B) 일부를 삽입한 후 상기 너트(315)를 감지부 몸체(311A,311B)에 체결하여 돌리면서 조여주면 상기 너트(315)와 고정편(317)의 협력작용에 의해 감지부(310) 전체가 고정된다.
상기 작동부(320)는 원격지에 설치되고, 감지부(310)에서 보호마개(313)가 분리되어 와이어(331)의 이동이 허용되면 소화약재의 분사를 위해 상기 약재탱크(100)를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작동부(320)는 작동부 몸체(321A,321B), 플런저(323) 및 탄성수단인 압축스프링(32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작동부 몸체(321A,321B)는 상기 약재탱크(100) 및 분사노즐(200)과 각각 연결되는 유입공(322A) 및 유출공(322B)이 선단 및 외주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유입공(322A)이 형성되는 선단 외주면은 약재탱크측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나선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 몸체(321A,321B)의 내부는 상기 플런저(323)가 소정거리 왕복이동 가능하도록 설치공간을 갖는 중공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 몸체(321A,321B)는 상기 플런저(323) 및 압축스프링(325)의 내부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분리 가능한 2개의 피스(piece, 321A와 321B)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작동부의 플런저(323)는 상기 작동부 몸체(321A,321B)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압축스프링(32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소정거리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이같이 설치된 상기 플런저(323)는 도 5와 같이 와이어(331)의 이동이 허용되지 않는 평상시에는 상기 유입공(322A) 및 유출공(322B) 사이의 유통을 차단하도록 위치한다. 그러나 화재시 도 6과 같이 감지부(310) 보호마개(313)가 떨어져 나가면서 와이어(331)의 이동이 허용되면 압축스프링(325)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밀려나면서 상기 유입공(322A) 및 유출공(322B) 간의 유통을 허용하게 된다. 상기 플런저(323)의 외주면에는 작동부 몸체(321A,321B) 내벽과의 틈새를 막는 실링용 오링(324)이 설치된다.
상기 연결부(330)는, 와이어(331)를 내부에 관통시키는 호스(333)와, 호스(333)의 일단부 및 감지부(310)를 결합시키는 제 1조인트(335)와, 호스(333)의 타단부 및 작동부(320)를 결합시키는 제 2조인트(337)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330)는 감시구역으로부터 원격지까지의 거리가 멀어서 와이어(331)의 설치길이가 길어지는 경우에도 압축스프링(325)의 탄성복원력만으로 와이어(331)가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330)의 호스(333)는 불연성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및 도 2b를 참고로 본 고안의 동작을 개요적으로 설명하면, 감시구역(A)에 화재가 발생하여 설정온도(대략 72℃)까지 상승하게 되면 자동소화모듈(300)이 이를 감지하여 원격지(B)에 위치한 약재탱크(100)를 개방하게 된다. 그러면 약재탱크(100)에 가압충진된 소화약재가 고압호스(210)을 통해 감시구역(A)까지 전달된 후 분사노즐(200)을 통해 분사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이 과정을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화모듈(300)의 동작을 중심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감시구역(A)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하면 감지부 본체(311A,311B)와 보호마개(313)를 결합시키고 있는 형상변형재가 변형되면서 와이어(331)를 통해 전달되는 작동부(320) 압축스프링(325)의 탄발력을 견디지 못하고 상기 보호마개(313)가 떨어져 나간다.
이로써, 상기 보호마개(313)에 의해 일단부의 이동이 제한되었던 와이어(331)가 상기 감지부 본체(311A,311B) 밖으로 돌출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같은 와이어(331)의 이동에 의해 와이어(331)에 접촉된 상태로 이동에 제한을 받던 작동부(320)의 플런저(323)가 압축스프링(325)에 의해 밀리면서 역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플런저(323)의 이동은 상기 작동부 몸체(321A,321B)의 유입공(322A) 및 유출공(322B) 사이를 가로막아 차단하던 위치에서 상기 유입공(322A) 및 유출공(322B) 간의 유통을 허용하는 위치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작동부 몸체(321A,321B) 내에서 상기 유입공(322A)와 유출공(322B) 간의 유통이 허용되면서 약재탱크(100)가 완전히 개방된다. 이후 상기 약재탱크(100)에 가압충진된 소화약재가 상기 작동부 몸체(321A,321B)의 유입공(322A) 및 유출공(322B), 고압호수(210)를 경유한 후 감시구역(A)에 설치된 분사노즐(200)을 통해 분사된다.
이로써, 감시구역(A)에서의 화재가 초기에 진압된다.
한편, 본 고안에 의한 자동 소화 장치에서 연기감지기(400)가 상기 자동소화모듈(300)의 감지부(310) 보다 먼저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발생을 알리는 전기신호를 제어기(500)로 보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기(500)는 상기 연기감지기(400)로부터 보내어진 전기신호를 근거로 약재탱크(100) 측에 설치된 개폐밸브(220)를 열어서 상기 약재탱크(100)를 개방시킨다. 이로써 상기 자동소화모듈(300)의 작동 없이도 분사노즐(200)을 통해 소화약재의 분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본적으로 전기공급 없이도 와이어의 기계적인 연동만으로 작동하는 자동소화모듈(300)에 의해 화재를 감지하고 소화약재를 분사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공급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비상시에도 신뢰할 수 있는 방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열이 아닌 연기를 감지하여 화재발생을 인지하는 연기감지기(400) 및 제어기(500)의 설치로 상기 자동소화모듈(300)을 더욱 보완한 방재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은 화재가 발생하면 보다 조기에 작동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도록 화재 감지센서와 이에 연동되어 상기 보호마개(313)가 상기 감지부 몸체(311A,311B)로부터 신속히 분리될 수 있도록 변형된 구성이 가능하다.
이에,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변형된 형태의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재 감지센서(미도시 됨)와 연동되는 상기 가열수단(600)은 상기 보호마개(313)와 결합되는 가열수단 몸체(610)와, 상기 가열수단 몸체(610)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를 열로 변환시키는 히팅코일(620)과, 상기 히팅코일(620)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 발산 커버(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단, 상기 화재 감지센서는 도 2a에서 도시된 연기감지기(400)를 포함하여 온도를 감지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판독하는 열감지센서, 누전이나 전기합선 등에 의해 발생하는 스파크 등의 불꽃을 감지하여 화재발생 여부를 판독하는 불꽃센서 등 시중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것으로 채용할 수 있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화재 감지센서에서 화재를 감지하여 제어기(500)로 전기신호를 보내면 상기 제어기(500)에서는 입력단(621)을 통해 제어신호를 상기 히팅코일(620)로 보내 작동케 한다. 그러면 상기 히팅코일(620)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형상변형재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어 그 결과 상기 보호마개(313)가 감지부 몸체(311B)로부터 분리된다. 이로써, 와이어(331)의 이동이 허용되고 상기 작동부(320)가 작동하여 약재탱크(100)가 개방되면서 소화약재가 분사된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8은 보호마개(700)가 솔레노이드 밸브구조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는 자기 코어(710)가 있는 솔레노이드 밸브에 전류를 통하거나 또는 통하지 않을 때 코어(710)의 움직임에 따라 밸브가 닫히거나 열리는 일반적인 솔레노이드 밸브이다. 이같은 구성에 의하여 상기 코어(710)가 움직여 밸브가 열리면서 와이어(331)의 이동이 허용된다.
도 9는 보호마개(800)가 플라스틱 수용체로 구비된다. 플라스틱 수용체의 몸체(810)는 제어기(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온도에서 용융되는 정온 플라스틱(820)을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입력단(831)을 통해 제어신호가 보내어져 히팅코일(830)에서 열이 발산되면 상기 정온 프라스틱(820)이 용융되면서 와이어(331)의 이동이 허용된다.
도 10은 상기 보호마개(900)가 화약 수용체로 구비된다. 상기 화약 수용체의 몸체(910)는 제어기(5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일정온도에서 폭발하는 화약(920)을 수용하고 있다. 따라서 입력단(831)을 통해 제어신호가 보내어지면 상기 화약(920)이 폭발하면서 상기 보호마개(900)가 감지부 몸체(311B)로부터 떨어져나가 와이어(331)의 이동이 허용된다.
이처럼 본 고안에 따른 감지부(310)는 다양한 방법들에 의해 상기 와이어(331)의 이동을 조기에 허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데 제한받지 않는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와이어의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는 전력공급 없이도 와이어의 연동에 의해 작동하기 때문에 자동차 엔진룸, 전산실, 전기실, 소규모 위험물 저장소, 아파트 베란다, 주방, 보일러실 등과 같이 화재발생 우려가 높은 다양한 감시구역에 용이하게 채택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와 동일한 이유로 전원공급이 중단된 비상 상황에서도 원활하게 작동하여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기존의 연기감지기와 같은 다양한 화재 감지센서 및 제어기와 연동하여 보다 높은 신뢰도를 갖는 방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그 구성이 매우 간단한 방재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어서 부엌이나 자동차와 같은 곳에 저렴한 비용으로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자동 소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를 채택한 장치 개요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화모듈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화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화모듈의 부분단면도.
도 6은 화재시 본 고안에 따른 자동소화모듈이 작동된 모습을 보여주는 부분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변형된 형태의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다양한 형태로 변형된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약재탱크 200 : 분사노즐
300 :자동소화모듈 310 : 감지부
311A, 311B : 감지부 몸체 313 : 보호마개
315 : 너트 317 : 고정편
320 : 작동부 321A, 321B : 작동부 몸체
322A, 322B : 유입공, 유출공 323 : 플런저
325 : 압축스프링 330 : 연결부
331 : 와이어 333 : 호스
335, 337 : 조인트 600 : 가열수단

Claims (9)

  1. 원격지에 설치되고, 소화약재가 내부에 충진되는 약재탱크와;
    상기 약재탱크가 개방되면 원격지에 설치된 상기 약재탱크로부터 소화약재를 전달받아 이를 감시구역에 분사하는 분사노즐과;
    상기 감시구역에서 원격지까지 연결 설치된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구역에서 화재를 대비한 설정온도에 이르면 상기 와이어가 동작하여 상기 약재탱크를 개방시키는 자동소화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소화모듈은,
    상기 감시구역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가 상기 설정온도에 이르면 와이어의 이동을 허용하는 감지부와;
    상기 원격지에 설치되고, 상기 감지부에서 와이어의 이동을 허용되면 소화약재의 분사를 위해 상기 약재탱크를 개방시키는 작동부와;
    상기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를 상기 감지부 및 작동부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와이어의 일단부가 후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중공의 감지부 몸체와;
    상기 감지부 몸체의 선단부에 결합되어 와이어의 선단측 이동을 제한하고 있다가 설정온도에 도달하면 상기 감지부 몸체와의 결합이 해제되면서 와이어의 이동을 허용하는 보호마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구역에서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센서가 더욱 구비되고,
    상기 화재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보호마개를 가열하여 상기 감지부 몸체와 보호마개의 결합을 조기에 해제하는 가열수단이 상기 보호마개에 더욱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보호마개와 결합되는 가열수단 몸체와;
    상기 가열수단 몸체 내부에 설치되어 전기를 열로 변환시키는 히팅코일과;
    상기 히팅코일에서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열 발산 방지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감지부 몸체 외주면에 나선 결합되는 너트와, 상기 감지부 몸체의 후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너트와 함께 천정 등에 상기 감지부 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편이 더욱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후측으로부터 삽입되고, 상기 약재탱크 및 분사노즐과 각각 연결되는 유입공 및 유출공이 형성되는 중공의 작동부 몸체와;
    상기 작동부 몸체 내부에서 상기 유입공 및 유출공간 유통을 차단하고 있다가 상기 와이어가 이동하면 함께 이동하여 상기 유입공 및 유출공간 유통을 허용하는 플런저와;
    상기 플런저에 힘을 가해 상기 플런저 및 와이어를 이동시키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와이어를 내부에 관통시키는 호스와;
    상기 호수의 일단부 및 감지부를 결합시키는 제 1조인트와;
    상기 호수의 타단부 및 작동부를 결합시키는 제 2조인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9. 제 1항 내지 제 3항, 제 6항 내지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구역에서 화재발생시 발생하는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감지기와;
    상기 약재탱크의 유출공측에 설치되어 상기 약재탱크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와;
    상기 연기감지기에서 감지된 결과에 따라 상기 약재탱크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기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KR20-2005-0006290U 2005-03-09 2005-03-09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KR200385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290U KR200385997Y1 (ko) 2005-03-09 2005-03-09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6290U KR200385997Y1 (ko) 2005-03-09 2005-03-09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5997Y1 true KR200385997Y1 (ko) 2005-06-07

Family

ID=43687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6290U KR200385997Y1 (ko) 2005-03-09 2005-03-09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59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9384A (zh) * 2019-04-29 2019-07-12 洛阳福格森机械装备有限公司 一种玉米收获机自动灭火装置
KR102144697B1 (ko) * 2019-07-15 2020-08-14 이돈창 슈퍼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용 전압안정기와 점프 스타터용 보조배터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99384A (zh) * 2019-04-29 2019-07-12 洛阳福格森机械装备有限公司 一种玉米收获机自动灭火装置
CN109999384B (zh) * 2019-04-29 2024-02-20 洛阳福格森机械装备有限公司 一种玉米收获机自动灭火装置
KR102144697B1 (ko) * 2019-07-15 2020-08-14 이돈창 슈퍼 커패시터를 이용한 차량용 전압안정기와 점프 스타터용 보조배터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9751A (en) Automatic fire suppression apparatus and method
US20070215362A1 (en) Fire sprinkler system
KR101853291B1 (ko) 천장용 소화기시스템
JP5574342B2 (ja) 非電源無人消火装置
KR102026969B1 (ko) 자동으로 작동되는 소화기
KR101069939B1 (ko) 복수 개의 자동 작동장치를 구비한 무인 자동 소화 장치
KR200385997Y1 (ko) 와이어 연동을 이용한 자동 소화 장치
US4519458A (en) Flue fire controller
KR101292512B1 (ko) 고체에어로졸 소화기 작동장치
JPH06142225A (ja) スプリンクラー消火設備および流水検知装置
KR102050140B1 (ko) 버스엔진룸 화재진압용 하이브리드 소화시스템
KR102187037B1 (ko) 공동주택의 소방용 스프링클러 고정장치
KR102078081B1 (ko) 소화가스 및 스프링클러 겸용 분사헤드 및 이를 이용한 소화시스템
US20050217723A1 (en) Valve assembly for opening and closing a fuel line
KR200210505Y1 (ko) 가스누설 감지 및 화재 진압 기능을 갖춘 레인지후드
RU2638238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предохра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истем безопасности в чрезвычайных ситуациях
KR100679670B1 (ko) 전기 배전반 및 패널용 자동소화장치
KR100463287B1 (ko) 전기panel전용 co2자동확산 소화기
KR200357392Y1 (ko) 소화기의 자동 소화 장치
CN220070578U (zh) 一种灭火装置间接启动机构
CN220070579U (zh) 一种间接启动的灭火装置
RU2715756C1 (ru)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модульная установк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й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и спринклерная систем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содержащая такой ороситель
KR200300648Y1 (ko) 자동확산소화기
CN218980318U (zh) 一种报警器部件侧装的消防喷头
KR20070029871A (ko) 협소지역을 위한 자동화재진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