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8093B1 - 화재방향으로 소화액을 발사하는 자동소화발사기 - Google Patents

화재방향으로 소화액을 발사하는 자동소화발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8093B1
KR101308093B1 KR1020120088017A KR20120088017A KR101308093B1 KR 101308093 B1 KR101308093 B1 KR 101308093B1 KR 1020120088017 A KR1020120088017 A KR 1020120088017A KR 20120088017 A KR20120088017 A KR 20120088017A KR 101308093 B1 KR101308093 B1 KR 101308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l
fire
operating
gear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8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복
Original Assignee
이영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복 filed Critical 이영복
Priority to KR1020120088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8093B1/ko
Priority to PCT/KR2013/007211 priority patent/WO2014025233A1/ko
Priority to US14/410,708 priority patent/US9162096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8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8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6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thermally-expansibl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46Construction of the actuat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02Mechanical actuation of the alarm, e.g. by the breaking of a wir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62C13/6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valv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화재발생시에 소화액을 자동으로 화재가 일어나는 방향으로 발사하도록 하여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하도록 하고, 동시에 화재발생시에 조기에 경보를 울리어 사람들로 하여금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며, 작동 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소화발사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는 설치판의 기능을 하는 하부커버(20)와 상부커버(10), 상기 하부커버(20)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소화액공급원으로부터 소화액이 공급되는 통로(31)가 형성되고 있고, 중앙에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32)가 상기 통로(31)에 형성되어 있는 소화장치연결구(30), 상기 소화장치연결구(30)의 지지대(32)의 안내공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하이동하며 탄성스프링(41)에 의하여 상향으로의 탄력을 받도록 되어 있는 개폐축(40), 상기 개폐축(40)의 하단에 설치되어 소화장치연결구(30)의 통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구(50), 상기 소화장치연결구(3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부커버(10)의 위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관(60), 상기 회전관(60)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관(60)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뻗어 소화액을 분사하는 노즐(70), 상기 회전관(70)의 중간높이에 회전가능하게 노즐방향으로 뻗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축(40)을 하향으로 눌러 소화장치연결구(30)의 통로입구를 개방하기 위한 캠(81)이 설치되어 있고, 일측에 회전을 위한 캠축작동암(80a)이 형성되어 있는 캠축(80), 상기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사이에 360°의 방향을 각각 균일하게 분할된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방향벽(90), 상기 다수의 방향벽(90) 사이에 방사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구분벽(92), 상기 방향벽(90)의 외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작동바이메탈(100), 화재발생시 화재열에 의한 상기 작동바이메탈(100)의 작동에 의하여 동작하는 작동핀(110), 상기 각 방향벽(90)의 내면에 각각 설치된 것으로서, 평소 방향벽(90)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91)에 걸리는 중앙탄력부(122)와, 화재가 발생하여 상기 작동핀(110)이 내측으로 동작하여 중앙탄력부(122)가 내측으로 굴곡 할 때 탄성스프링(121)의 탄력에 의하여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부에 상기 캠축(80)의 캠축작동암(80a)이 걸리는 걸림밀판(124)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작동편(120), 상기 방향벽(90)의 내측끝단상부에 형성된 지지턱(92a)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저면에 상기 작동편(120)의 걸림밀판(124)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형성되어 있고 걸림밀판(124)이 상향으로 이동할 때 밀려 원주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경사부(132)와, 상면에 상기 상부커버(10)를 관통하는 작용핀(131)이 형성되어 있는 환형판(130), 상기 환형판(130)의 작용핀(131)이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때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작동멈치(140), 상기 작동멈치(140)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경우에 작동하여 상기 회전관(60) 및 캠축(80)을 회전시키는 기어열(150), 그리고 상기 기어열(150)에 회전력을 가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작동태엽(16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방향으로 소화액을 발사하는 자동소화발사기{Automatic fire extinguisher discharging the fire-extinguishing fluid to the fire place}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 자동으로 소화액을 발사하는 자동소화발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화재발생시에 소화액을 자동으로 화재가 일어나는 방향으로 발사하도록 하여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하도록 하고, 동시에 화재발생시 조기에 경보를 울리어 사람들로 하여금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며, 작동 후 재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소화발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이동식 소화기와 고정식 소화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이동식 소화기는 사무실이나 가정에 비치되는 통상의 분말소화기를 예로 들 수 있고, 고정식 소화기는 천장에 설치된 스프링클러, 자동 확산식 소화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동식 소화기는 화재발생시 사람이 있어야 작동시킬 수 있는 소화기로서 사람이 없을 때 화재가 발생한 경우에는 아무런 기능도 발휘하지 못한다.
스프링클러, 자동확산식 소화기와 같은 고정식 소화기는 화재발생시 열감지하거나 또는 이미 화재가 확산 근접하여 그 열에 의하여 밀폐부가 녹거나 파괴되어 고정된 위치에서 소화액을 불특정 사방으로 분사하거나 미리 고정된 목표나 범위에 분사하도록 되어 있어서 그 만큼 화재발생방향으로 충분한 소화액을 분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소화기들은 자체에 화재발생시 자동으로 경보하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못하고 전기 등을 이용하는 별도의 경보장치를 해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고 화재발생시 갑작스러운 정전 및 방전 시에는 경보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소화기의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원을 이용하지 않음으로 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화재발생시에 소화액을 자동으로 화재가 일어나는 방향으로 발사하도록 하여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하도록 하며, 동시에 화재발생시에 미리 경보를 울리어 사람들로 하여금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소화발사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초기화재진압이 실패하여 화재가 광범위하게 번졌을 경우에는 기존의 스프링클러 역할을 하게 하는 자동소화발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오작동을 방지하여 재산 손실을 방지하고 재사용이 용이한 자동소화발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기존의 각종 소화기구와 결합하여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하기에 편리한 자동소화발사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는 설치판의 기능을 하는 하부커버와 상부커버, 상기 하부커버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소화액공급 장치로부터 소화액이 공급되는 통로가 형성되고 있고, 중앙에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가 상기 통로에 형성되어 있는 소화장치연결구, 상기 소화장치연결구의 지지대의 안내공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하이동하며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상향으로의 탄력을 받도록 되어 있는 개폐축, 상기 개폐축의 하단에 설치되어 소화장치연결구의 통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구, 상기 소화장치연결구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부커버의 위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관, 상기 회전관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관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뻗어 소화액을 분사하는 노즐, 상기 회전관의 중간높이에 회전가능하게 노즐방향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축을 하향으로 눌러 소화장치연결구의 통로입구를 개방하기 위한 캠이 설치되어 있고, 일측에 회전을 위한 캠축작동암이 형성되어 있는 캠축, 상기 상부커버와 하부커버 사이에 360°의 방향을 각각 균일하게 분할된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방향벽, 상기 다수의 방향벽 사이에 방사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구분벽, 상기 방향벽의 외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작동바이메탈, 화재발생시 화재열에 의한 상기 작동바이메탈의 작동에 의하여 동작하는 작동핀, 상기 각 방향벽의 내면에 각각 설치된 것으로서, 평소 방향벽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리는 중앙탄력부와, 화재가 발생하여 상기 작동핀이 내측으로 동작하여 중앙탄력부가 내측으로 굴곡 할 때 탄성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부에 상기 캠축의 캠축작동암이 걸리는 걸림밀판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작동편, 상기 구분벽의 내측끝단 상부에 형성된 지지턱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저면에 상기 작동편의 걸림밀판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형성되어 있고 걸림밀판이 상향으로 이동할 때 밀려 원주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경사부와, 상면에 상기 상부커버를 관통하는 작용핀이 형성되어 있는 환형판, 상기 환형판의 작용핀이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때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작동멈치, 상기 작동멈치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경우에 작동하여 상기 회전관 및 캠축을 회전시키는 기어열, 그리고 상기 기어열에 회전력을 가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작동태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는 또한 화재발생시 먼저 경보를 하기 위하여 벨작동기어와, 상기 벨작동기어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도록 되어 있는 벨진동편, 상기 벨진동편에 연결되어 있는 레바 및 타종추,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타종추가 내부에서 타격할 때 소리를 내는 벨 겸 외부커버, 상기 벨작동기어의 피동기어와 맞물려 있고 벨태엽에 의하여 회전하는 벨태엽기어, 상기 벨작동기어에 맞물려 있는 벨작동멈치, 상기 상부커버의 상부에 설치된 벨작동부 설치판, 상기 벨작동부 설치판의 저면에 설치된 것으로 실내온도보다 높고 작동바이메탈의 작동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작동하는 벨 바이메탈, 상기 벨바이메탈의 작동에 의하여 동작하는 작동핀, 그리고 상기 벨작동부 설치판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턱에 걸려 있는 탄력부가 형성되어 있고 화재가 발생하여 상기 작동핀이 상향으로 동작하여 탄력부가 걸림턱으로부터 이탈할 때 탄성스프링의 탄력에 의하여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벨작동멈치의 벨작동기어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 벨작동편을 포함하는 조기경보장치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는 또한 상기 노즐과 회전관은 화재확산 시 분리될 수 있도록 노즐과 회전관보다 용융점이 낮은 재질로 만든 연결핀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회전관의 상단부분에 스프링클러 확산편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는 또한 상기 작동멈치와 함께 상기 기어열의 작동멈치기어와 이중으로 맞물림을 유지하다가 상기 조기경보장치의 벨작동편에 의하여 벨작동멈치와 함께 동작하여 작동멈치기어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예비작동멈치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는 또한 상기 작동편의 하부돌출부를 하부커버 밑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작동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한 작동편을 아래로 당겨서 원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고; 회전된 캠축을 원 위치시키기 위하여 하부커버의 저면에 캠축정렬멈치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캠축정렬멈치는 캠축의 작동회전방향으로는 캠축작동암의 이동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꺾이고 캠축의 작동회전반대방향으로는 캠축작동암이 걸리도록 꺾이지 않게 되어 있으며; 벨작동편의 원위치손잡이가 벨 및 외부커버의 장공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되어 있고, 작동태엽의 태엽감개와 벨태엽의 태엽감개가 각각 벨 및 외부커버의 상부에 착탈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화재발생시에 소화액을 자동으로 화재가 일어나는 방향으로 집중하여 발사하도록 하여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고,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작동되므로 화재발생시 정전 및 방전으로 인한 장애를 받지 않고 관리가 용이하며, 동시에 화재발생시에 조기에 경보를 울리어 사람들로 하여금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또한 초기화재진압이 실패하여 화재가 광범위하게 번졌을 경우에도 노즐을 분리하여 종래의 스프링클러의 역할을 하게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또한 시험작동 및 화재가 발생하여 사용한 후에도 열파괴가 되지 않는 한 계속해서 재활용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서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B-B'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의 평면도,
도 5는 도 1에서 C-C'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의 구성요소인 캠축 및 캠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의 구성요소인 캠축을 지지하는 캠축지지구의 사시도,
도 6c는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의 구성요소인 캠축정렬멈치의 설치상태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의 구성요소인 작동편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의 구성요소인 환형판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의 구성요소인 벨작동편의 설치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인 캠이 개폐축을 눌렀을 때의 상태도,
도 11a는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의 사용상태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b는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의 사용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11c는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의 사용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는 사람의 조작 없이 자동으로 화재방향으로 소화액을 집중적으로 분사하는 장치, 화재발생시 조기에 경보하는 장치, 화재가 확산되었을 경우에 기존의 스프링클러와 같이 소화액을 분사하도록 하는 장치, 그리고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는 설치판의 기능을 하는 하부커버(20)와 상부커버(10), 상기 하부커버(20)에 고정되어 있는 소화장치연결구(30), 개폐축(40) 및 개폐구(50), 회전관(60), 노즐(70) 등이 구성되어 있다.
소화장치연결구(30)는 소화액공급원으로부터 소화액이 공급되는 통로(31)가 형성되고 있고, 중앙에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32)가 상기 통로(31) 상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소화액은 화재를 소화하는데 사용되는 물을 포함한 액체와 각종 소화분말, 소화가스 등 모든 종류의 소화물질을 의미한다. 소화액공급원은 자체분출압력이 있는 것은 모두 가능한데, 예를 들어 고정식 소화기인 경우에 수도파이프 또는 소방수 공급파이프도 될 수 있으며, 이동식 소화기인 경우에는 통상의 소화분말이 들어있는 소화통도 될 수 있다.
지지대(32)는 소화액은 통과하게 하면서도 개폐축(40)을 상하이동가능하게 하는 것으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개폐축(40)이 삽입되는 안내공이 형성되어 허브(32a)와 통로의 벽을 연결하는 스포크(spoke)(32b)로 형성되어 있다. 물론 지지대(32)의 구성은 도시된 것과 다른 형태로 할 수 있다.
개폐축(40)은 상기 소화장치연결구(30)의 지지대(32)의 안내공에 수직으로 끼워져 상하이동하며 상단에 설치된 너트(42) 및 탄성스프링(41)에 의하여 상향으로의 탄력을 받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개폐축(40)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개폐구(50)는 와셔(43) 및 너트(44)로 고정되어 있으며, 실리콘 등 밀폐가 용이하고 내구적인 재질로 되어 있고, 소화장치연결구(30)의 통로입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회전관(60)은 상기 소화장치연결구(3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부커버(10)를 관통하여 벨 및 외부커버(175)의 위로 돌출되어 있다. 회전관(60)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소화장치연결구(30)에 회전관(60)의 하단이 지지되는 지지턱(33)을 형성하고 회전관(60)의 외측면에 단면이 반원인 환형홈을 형성하며, 그 환형홈에 끝단이 반구형으로 형성된 슬립나사(34)를 체결한다. 슬립나사(34)는 회전관(60)의 회전은 용이하게 하고 소화액 분출시 회전관(60)이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회전관(60)의 상단에는 노즐(70)이 연결되어 있는데, 노즐(70)은 회전관(60)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뻗어 소화액을 분사하도록 되어 있으며, 360°회전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노즐(70)의 방향은 설치장소에 따라서 경사지게 할 수도 있다. 노즐(70)의 끝단에는 소화액이 확산되면서 분사도록 하는 가변노즐(71)이 결합되어 있다. 가변노즐(71)은 분출구 내부 중앙에 확산원뿔(71a)이 형성되어 전후진에 의해 분출압력을 조정할 수 있게 되어 있고 그 주위에는 확산원뿔(71a)을 지지하고 소화액분산을 위한 스포크(71b)가 +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확산노즐(71)은 설치장소 및 방향의 수에 따라 분출압력, 분출면적, 확산각도를 다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노즐(70)과 회전관(60)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핀(61)은 노즐(70)과 회전관(60)보다 용융점이 낮은 재질로 만들어 화재가 확산될 경우에 화재열에 의하여 녹아 노즐(70)이 분출압력에 의해 회전관(6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노즐(70)이 회전관(60)으로부터 분리되면 본 발명의 소화기는 스프링클러의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하여 회전관(60)의 상부에는 소화액이 배출되면서 분산되도록 하는 스프링클러 확산편(62)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도 1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는 화재발생시 상기 노즐(70)이 화재방향으로 향하도록 하기 위하여 노즐(70)과 동일방향으로 설치되는 캠축(80), 방향벽(90), 작동바이메탈(100), 작동핀(110), 작동편(120), 환형판(130), 작동멈치(140), 기어열(150), 노즐(70)을 회전시키는 힘을 가하는 작동태엽(170) 등이 구성되어 있다.
캠축(80)은 상기 회전관(70)의 중간높이에 수평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폐축(40)을 하향으로 눌러 소화장치연결구(30)의 통로입구를 개방하기 위한 캠(81)이 설치되어 있고, 일측에 캠축(80)의 회전을 위한 캠축작동암(80a)이 형성되어 있다. 캠축작동암(80a)은 작동 전에는 걸림이 없이 회전이 가능하지만 작동편(120)이 상향으로 작동한 후에는 걸림밀판(124)에 걸리도록 되어 있다. 캠(81)은 60°캠을 이용한다.
상기 캠축(80)은 60°범위에서 회전하도록 회전관(60)의 외면에 캠축지지구(82)가 설치되어 있으며, 캠축지지구(82)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에 2개의 스토퍼(82a)가 형성되어 있다.
60°의 캠(81)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60°회전부분에 평평한 걸림턱을 형성하여 개폐구(50)의 개방시 개폐축(40)의 상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 및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가 사용된 후에 재사용하고자 캠축(80)을 작동대기상태로 돌려놓기 위하여, 노즐(70)을 작동회전 반대방향으로 돌릴 때 캠축(80)의 캠축작동암(80a)이 걸려 꺾이지 않고, 작동회전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꺾여 캠축(80)의 캠축작동암(80a)이 스쳐지나가도록 구성된 캠축정렬멈치(83)가 하부커버(20)의 저면에 설치되어 있다. 캠축정렬멈치(83)는 비틀림 탄성스프링(83a)에 의하여 수직상태를 유지한다.
방향벽(90)은 상기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사이에 360°의 방향을 여러 방향으로 균일하게 구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향벽(90)이 8방향으로 균일하게 배치되어 되어 있지만 필요에 따라 방향의 수를 달리 할 수 있다. 각 방향벽(90) 사이에는 구분벽(92)을 방사선방향으로 설치하여 화재발생시 화재발생방향 이외의 작동바이메탈(100)에 복사열이 전달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화재의 방향을 확실히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방향벽(90)의 외면에는 각각 작동바이메탈(100)이 설치되어 있으며, 작동바이메탈(100)의 내부에는 방향벽(90)에 형성된 관통공에서 동작하는 작동핀(110)이 설치되어 있다. 작동핀(110)은 화재발생시 화재열에 의한 상기 작동바이메탈(100)의 작동에 의하여 동작한다. 작동바이메탈(100)은 원반형으로 착탈이 용이하며 설치장소의 특성에 따라 화재발생이 확실한 온도에서 작동하는 것을 채용한다.
작동편(120)은 상기 방향벽(90)의 내면에 각각 설치된 것으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소 방향벽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91)에 걸리는 중앙탄력부(122)와 그 우측상부에, 환형판(13)의 경사부(132)를 원주방향, 즉 작동회전방향으로 밀어내는 걸림밀판(124)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비틀림 탄성스프링(121)의 일측이 걸리는 스프링걸대(12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편(120)의 하부돌출부(120a)는 하부커버(20) 밑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작동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한 작동편(120)을 아래로 당겨서 원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다.
작동편(1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측의 안내대(123)(123')에 의하여 안내되어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작동편(120)의 중앙탄력부(122)는 평소에 방향벽(90)의 걸림턱(91)에 걸려 있다가 화재가 발생하여 상기 작동핀(110)이 내측으로 동작하면 굴곡하여 걸림턱(91)으로부터 이탈할 때 탄성스프링(121)의 탄력에 의하여 상향으로 이동하고, 상향으로 이동된 걸림밀판(124)은 상기 회전관(60)이 회전 할 때 캠축(80)의 캠축작동암(80a)을 걸리게 하여 노즐(70)을 화재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이어서 캠축(80)을 회전시켜 개폐구(50)를 개방하여 소화액을 분사하게 한다.
환형판(130)은 상기 방향벽(90)의 내측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편(120)의 상향이동에 의하여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판(130)의 저면에 상기 작동편(120)의 걸림밀판(124)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형성되어 있고 걸림밀판(124)이 상향 이동할 때 밀려 원주방향으로 그 폭 만큼 밀려 이동하게 하는 경사부(13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환형판(130)의 상면에는 상기 상부커버(10)를 관통하는 작용핀(131)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커버(10)에는 작용핀(131)이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는 장공(11)이 형성되어 있다.
환형판(130)의 설치를 위하여 구분벽(92)의 내측 끝단의 상부에는 지지턱(92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턱(92a) 상부의 공간은 환형판(130)의 두께 이상의 높이를 갖고 있어 환형판(130)의 움직임이 용이하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작동멈치(140)는 상기 환형판(130)의 작용핀(131)이 장공(11)을 따라 시계방향으로 이동할 때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작동멈치(140)는 작동기어(151)와 맞물리는 걸림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축(141)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고 비틀림 탄성스프링(142)에 의하여 작동기어(151)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기어열(150)은 상기 작동멈치(140)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경우에 작동하여 상기 회전관(60) 및 캠축(80)을 회전시키는 동작을 하는 것으로서, 작동태엽기어(152) 및 작동기어(153)로 이루어져 있다. 작동기어(153)는 회전관(60)과 일체로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있다.
작동태엽(160)은 상기 작동태엽기어(152)에 회전력을 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작동태엽(160)의 중앙 상부에는 작동태엽(160)을 감을 수 있는 태엽감개(160a)가 구성되어 있고, 탈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또한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작동멈치(140)와 함께 상기 기어열(150)의 작동멈치기어(151)와 맞물림을 유지하다가 조기경보장치의 벨작동편(184)에 의하여 벨작동멈치(178)와 함께 동작하여 작동멈치기어(151)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예비작동멈치(179)가 구성되어 있다.
예비작동멈치(179)도 작동멈치기어(151)와 맞물리는 걸림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고 비틀림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작동기어(151)를 이중으로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는 화재발생시 소화액을 분사하기에 앞서 먼저 경보를 하는 조기경보장치가 구성되어 있다.
조기경보장치는 벨작동기어(170)와, 상기 벨기어작동기어(170)와 맞물려 진동하도록 되어 있는 벨진동편(172), 상기 벨진동편(172)에 연결되어 있는 레바(173) 및 타종추(174), 상기 상부커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타종추(174)가 내부에서 타격할 때 소리를 내고 외부커버의 기능을 하는 벨 겸 외부커버(175), 상기 벨기어작동기어(170)의 피동기어(170a)와 맞물려 있고 벨태엽(176)이 감겨져 있는 벨태엽기어(177), 상기 벨작동기어(170)에 맞물려 있는 벨작동멈치(178), 상기 상부커버(10)의 상부에 설치된 벨작동부 설치판(180), 상기 벨작동부 설치판(180)의 저면에 설치된 것으로 설치장소의 특성에 따라 통상의 실내온도보다 높은 온도에서 작동하는 벨 바이메탈(181), 화재발생시 상기 벨바이메탈(181)의 작동에 의하여 동작하는 작동핀(182), 그리고 상기 벨작동부 설치판(180)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턱(180a)에 걸려 있다가 화재가 발생하여 상기 작동핀(182)이 상향으로 동작할 때 탄성스프링(183)의 탄력에 의하여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벨작동멈치(178)의 벨작동기어(170)와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동시에 예비작동멈치(179)를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 벨작동편(18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전술한 작동편(120)의 동작원리와 유사하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작동편(184)은 상기 설치판(180)의 걸림턱(180a)에 걸리고 탄력적으로 휠 수 있는 탄력부(184a)와, 상기 비틀림 탄성스프링(183)이 걸리는 스프링걸대(184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원위치손잡이(185)가 구성되어 있다. 원위치손잡이(185)의 상단은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벨 및 외부커버(175)의 장공(175a)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되게 되어 있다. 벨작동편(184)은 안내대(186)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를 스테인리스강 태엽, 내열 PVC, 금속 등 부식되지 않은 재질로 제작하면, 시험작동 및 화재진압 등 작동 후에도 소실되지만 않으면 이후 반복적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A)는 소화액이 보관된 소화액통(190)에 설치하여 고정식 형태의 소화기를 만들 수 있다. 여기에 개폐밸브(190a)와 압력게이지(190b)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수동밸브와 노즐을 구성하여 이동식소화기를 겸용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A)는 천정에 설치된 소화액통(191)을 구비한 고정식 소화기의 열용융 개폐부 대신에 사용할 수 있다. 여기에 개폐밸브(191a)와 압력게이지(191b)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A)는 천정에 구비된 소화수전(192)에 설치할 수 도 있다. 여기에 개폐밸브(192a)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A)는 경보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기존의 경보장치나 스프링클러 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스프링클러의 숫자보다 적게 설치하여도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예를 들어 50℃에서 작동하는 벨바이메탈((181)과, 100℃에서 작동하는 작동바이메탈(100)과, 150℃에서 녹는 연결핀(61)을 사용하고, 자동소화발기(A)를 도 11c와 같이 천정에 구비된 방수파이프에 설치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열에 의하여 소화기 주위온도가 정상온도보다 높게 올라가는데, 이 때 대류열에 의하여 온도가 50℃에 도달하면 벨바이메탈(181)이 위로 굴곡 되어 작동핀(182)을 위로 올리고, 작동핀(182)은 벨작동부 설치판(180)의 걸림턱(180a)에 걸려 있던 벨작동편(184)의 탄력부(184a)를 위로 올린다.
이때 벨작동편(184)은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비틀림 탄성스프링(183)의 탄력에 의해 전방(도면에서 하향)으로 이동하면서 선단부(184c)가 벨작동멈치(178)와 예비작동멈치(179)를 동작시켜 맞물림 상태를 해제시킨다.
벨작동멈치(178)가 벨작동기어(170)와의 맞물림 상태에서 해제되면, 벨태엽(176)의 회전력에 의하여 벨태엽기어(177)가 회전하고, 이어서 벨작동기어(170)가 회전한다. 이 때 벨작동기어(170)가 회전하면서 벨진동편(172)을 진동시키고, 타종추(174)가 벨 겸 외부커버(175)를 타격하여 조기경보를 한다. 벨진동편(172)에는 벨작동기어(170)의 회전 시 맞물려 떨림을 일으키는 한 쌍의 기어 돌기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기경보가 울리면 주위에 사람들이 있을 경우에 즉시 화재를 진압하거나 대피할 수 있으나, 주위에 사람이 없거나 화재가 확산되어 복사열이 100℃에 이르면 먼저 가열된 화재방향의 작동바이메탈(100)이 작동하여 작동핀(110)을 누른다.
작동핀(110)이 눌려지면 작동편(120)의 중앙탄력부(122)가 탄력적으로 휘어 방향벽(90)의 걸림턱(91)을 벗어나므로 비틀림 탄성스프링(121)의 탄력에 의하여 작동편(120)이 안내대(123)(123')을 따라 위로 올라간다.
작동편(120)이 위로 올라가면 작동편(120)의 걸림밀판(124)이 환형판(131)의 저면에 형성된 경사부(132)를 밀면서 환형판(13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환형판(131)이 회전하면 그 상면에 형성된 작용핀(131)이 함께 상부커버(10)의 장공(11)을 따라 이동하므로 작동멈치(140)가 중심축(141)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작동멈치기어(151)와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 때 작동태엽(160)의 회전력에 의하여 작동태엽기어(152)가 회전하고 그 피니언기어(152a)와 맞물려 있는 작동기어(153)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회전관(60)도 함께 회전한다.
회전관(60)이 회전하면 캠축(80)도 함께 회전하는데 이 때 캠축작동암(80a)이 상향으로 이동한 작동편(120)의 걸림밀판(124)에 걸려 캠축(80)을 60°회전시키다가 캠축지지구(82)의 스토퍼(stopper)(82a)에 걸려 정지된다.
이 때 회전관(60)은 캠축작동암(80a)이 작동편(120)의 걸림밀판(124)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더 이상 회전하지 않는다. 그 상태에서는 노즐(70)의 방향이 동작한 작동바이메탈(100)의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한편, 캠축(80)이 회전하면 캠(81)이 회전하여 개폐축(40)을 아래로 밀어 개폐구(50)를 개방하고, 도 10과 같이 개폐축(40) 상단에 캠(81)의 평평한 부분이 올려져 개폐구(5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소화장치연결구(30)는 예를 들어 도 11a, 도 11b, 도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화액을 공급하는 소화기구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소화액은 자체 분출압력으로 소화장치연결구(30)의 통로(31), 회전관(60), 노즐(70) 및 가변노즐(71)을 통하여 화재가 일어난 방향으로 소화액을 집중적으로 분출한다.
상기와 같이 소화액을 분출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화재가 진압되지 않고 확산되어 주위온도가 더욱 올라가 150℃에 이르면 회전관(60)과 노즐(70)의 연결핀(61)이 녹아 노즐(70)이 회전관(60)으로부터 분리된다. 이 때 소화액은 스프링클러 확산편(62)에 의하여 사방으로 분출된다. 즉 스프링클러의 기능을 수행한다. 스프링클러 기능을 수행하려면 소화장치연결구((30)와 회전관(60)은 반드시 금속으로 제작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를 작동한 후 재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원위치조작을 한다.
먼저 상향으로 이동된 작동편(120)을 하부커버(20) 밑으로 돌출된 하부돌출부(120a)를 아래로 당겨 원위치시키고, 노즐(70)을 작동회전 반대방향으로 돌린다. 이 때 회전관(60) 및 캠축(80)도 함께 회전하고, 캠축작동암(80a)이, 작동방향으로는 꺾이고 작동반대방향으로는 꺾이지 않도록 구성된 캠축정렬멈치(83)에 걸린다. 이 때 캠축작동암(80a)은 캠축(80) 및 캠(81)을 원래의 위치로 회전시키고 다른 쪽의 스토퍼(82a)에 의하여 정지된다.
캠(81)이 원위치로 회전하면 개폐축(40)은 탄성스프링(41)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하며 개폐구(50)로 하여금 통로(31)의 입구를 막게 한다.
한편, 하부커버(20)의 저면 밖으로 돌출된 작동편(120)의 하부돌출부(120a)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그 중앙탄력부(122)가 방향벽(90)의 걸림턱(91)에 걸리고, 이 때 환형판(130)은 회전가능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작동멈치(140)는 비틀림 탄성스프링(142)의 탄력에 의하여 작동멈치기어(151)쪽으로 이동하여 맞물리고, 작동멈치(140)와 함께 작용핀(131)이 함께 이동하므로 환형판(131)도 작동전의 위치로 복귀한다.
또한 벨작동편(184)에 구성되어 있고 벨 및 외부커버(175) 밖으로 돌출된 원위치손잡이(185)를 작동반대방향으로 밀면 탄력부(184a)가 위로 휘면서 벨작동부 설치판(180)의 걸림턱(180a)을 넘어 걸린다. 그러면 벨작동멈치(178)가 비틀림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복귀하여 벨작동기어(170)와 맞물리고, 아울러 예비작동멈치(179)가 비틀림 탄성스프링에 의하여 복귀하여 작동멈치기어(151)와 맞물린다.
벨 및 외부커버(175) 밖으로 돌출된 태엽감개(160a)와 태엽감개(176a)를 각각 돌려 작동태엽(160)과 벨태엽(176)을 감아놓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는 분해하지 않고 외부조작만으로 재사용 원위치 조작이 가능하다.
노즐(70)의 연결핀(61)이 녹아버린 경우에는 새로운 연결핀(61)을 이용하여 노즐(70)을 회전관(60)에 설치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는 화재발생시에 노즐(70)을 자동으로 화재가 일어나는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그 곳에 소화액을 집중하여 발사하도록 하고, 전원을 이용하지 않고 작동되므로 설치 후 사후관리가 용이하고 화재발생시 정전 및 방전으로 인한 장애를 받지 않는다. 그리고 화재발생시에 조기에 경보를 울리므로 사람들이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또한 초기화재진압이 실패하여 화재가 광범위하게 번졌을 경우에는 노즐(70)을 분리하여 사방으로 소화액을 발사하게 하므로 종래의 스프링클러의 역할도 한다. 그리고 온도에 의하여 동작하므로 소화 작동에 신뢰성이 높고 예비작동멈치(179)로 인하여 오작동을 예방한다.
본 발명은 또한 작동에너지를 태엽으로 하고 있으므로 부식되지 않는 재질로 제작할 경우에는 언제 발생할지 모르는 화재에 대비하여 관리가 용이하고 시험작동 및 화재가 발생하여 사용한 후에도 재활용할 수 있고 소실되지 않는다면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다. 또한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는 자체 분출압력이 있는 모든 소화 장치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 상부커버 11 : 장공
20 : 하부커버 30 : 소화장치연결구
31 : 통로 32 : 지지대
32a : 허브 32b : 스포크(spoke)
33 : 지지턱 34 : 슬립나사
40 : 개폐축 41 : 탄성스프링
42, 44 : 너트 43 : 와셔
50 : 개폐구 60 : 회전관
61 : 연결핀 62 : 스프링클러 확산편
70 : 노즐 71 : 가변노즐
71a : 확산원뿔 71b : 스포크
80 : 캠축 80a : 캠축작동암
81 : 캠 82 : 캠축지지구
82a : 스토퍼 83 : 캠축정렬멈치
83a : 탄성스프링 90 : 방향벽
91 : 걸림턱 92 : 구분벽
92a : 지지턱 100 : 작동바이메탈
110 : 작동핀 120 : 작동편
120a : 하부돌출부 121 : 탄성스프링
122 : 중앙탄력부 124 : 걸림밀판
125 : 스프링걸대 123, 123' : 안내대
130 : 환형판 131 : 작용핀
132 : 경사부 140 : 작동멈치
141 : 중심축 142 : 탄성스프링
150 : 기어열 151 : 작동멈치기어
152 : 작동태엽기어 152a : 피니언기어
153 : 작동기어 160 : 작동태엽
160a : 태엽감개 170 : 벨작동기어
171 : 피동기어 172 : 벨진동편
173 : 레버 174 : 타종추
175: 벨 겸 외부커버 175a : 장공
176 : 벨태엽 176a : 태엽감개
177 : 벨태엽기어 178 : 벨작동멈치
179 : 예비작동멈치 180 : 벨작동부 설치판
180a : 걸림턱 181 : 벨 바이메탈
182 : 작동핀 183 : 탄성스프링
184 : 벨작동편 184a : 탄력부
184b : 스프링걸대 184c : 선단부
185 : 원위치손잡이 186 : 안내대
190, 191 : 소화액통 190a, 191a, 192a : 개폐밸브
190b, 191b : 압력게이지 192 : 소화수전
A : (본 발명의) 자동소화발사기

Claims (5)

  1. 설치판의 기능을 하는 하부커버(20)와 상부커버(10),
    상기 하부커버(20)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서, 소화액공급원으로부터 소화액이 공급되는 통로(31)가 형성되고 있고, 중앙에 안내공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대(32)가 상기 통로(31)에 형성되어 있는 소화장치연결구(30),
    상기 소화장치연결구(30)의 지지대(32)의 안내공에 수직으로 관통하여 상하이동하며 탄성스프링(41)에 의하여 상향으로의 탄력을 받도록 되어 있는 개폐축(40),
    상기 개폐축(40)의 하단에 설치되어 소화장치연결구(30)의 통로입구를 개폐하는 개폐구(50),
    상기 소화장치연결구(3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부커버(10)의 위로 돌출되어 있는 회전관(60),
    상기 회전관(60)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회전관(60)의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뻗어 소화액을 분사하는 노즐(70),
    상기 회전관(70)의 중간높이에 회전가능하게 노즐방향으로 뻗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개폐축(40)을 하향으로 눌러 소화장치연결구(30)의 통로입구를 개방하기 위한 캠(81)이 설치되어 있고, 일측에 회전을 위한 캠축작동암(80a)이 형성되어 있는 캠축(80),
    상기 상부커버(10)와 하부커버(20)사이에 360°의 방향을 각각 균일하게 분할된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방향벽(90),
    상기 다수의 방향벽(90) 사이에 방사선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구분벽(92),
    상기 방향벽(90)의 외면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작동바이메탈(100),
    화재발생시 화재열에 의한 상기 작동바이메탈(100)의 작동에 의하여 동작하는 작동핀(110),
    상기 각 방향벽(90)의 내면에 각각 설치된 것으로서, 평소 방향벽(90)의 내면에 형성된 걸림턱(91)에 걸리는 중앙탄력부(122)와, 화재가 발생하여 상기 작동핀(110)이 내측으로 동작하여 중앙탄력부(122)가 내측으로 굴곡 할 때 탄성스프링(121)의 탄력에 의하여 상향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상부에 상기 캠축(80)의 캠축작동암(80a)이 걸리는 걸림밀판(124)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작동편(120),
    상기 구분벽(92)의 내측끝단 상부에 형성된 지지턱(92a)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저면에 상기 작동편(120)의 걸림밀판(124)에 대응하는 위치마다 형성되어 있고 걸림밀판(124)이 상향으로 이동할 때 밀려 원주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경사부(132)와, 상면에 상기 상부커버(10)를 관통하는 작용핀(131)이 형성되어 있는 환형판(130),
    상기 환형판(130)의 작용핀(131)이 원주방향으로 이동할 때 맞물림이 해제되도록 구성된 작동멈치(140),
    상기 작동멈치(140)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경우에 작동하여 상기 회전관(60) 및 캠축(80)을 회전시키는 기어열(150), 그리고
    상기 기어열(150)에 회전력을 가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작동태엽(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발사기.
  2. 제1항에 있어서, 화재발생시 먼저 경보를 하기 위하여 벨작동기어(170)와, 상기 벨작동기어(170)의 회전에 의하여 진동하도록 되어 있는 벨진동편(172), 상기 벨진동편(172)에 연결되어 있는 레바(173) 및 타종추(174), 상기 상부커버(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상기 타종추(174)가 내부에서 타격할 때 소리를 내는 벨 겸 외부커버(175), 상기 벨작동기어(170)의 피동기어(171)와 맞물려 있고 벨태엽(176)에 의하여 회전하는 벨태엽기어(177), 상기 벨작동기어(170)에 맞물려 있는 벨작동멈치(178), 상기 상부커버(10)의 상부에 설치된 벨작동부 설치판(180), 상기 벨작동부 설치판(180)의 저면에 설치된 것으로 실내온도보다 높고 작동바이메탈(100)의 작동온도보다 낮은 온도에서 작동하는 벨 바이메탈(181), 상기 벨바이메탈(181)의 작동에 의하여 동작하는 작동핀(182), 그리고 상기 벨작동부 설치판(180)의 상면에 형성된 걸림턱(180a)에 걸려 있는 탄력부(184a)가 형성되어 있고 화재가 발생하여 상기 작동핀(182)이 상향으로 동작하여 탄력부(184)가 걸림턱(180a)으로부터 이탈할 때 탄성스프링(183)의 탄력에 의하여 중심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벨작동멈치(178)의 벨작동기어(170)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는 벨작동편(184)을 포함하는 조기경보장치가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발사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70)과 회전관(60)은 화재확산 시 분리될 수 있도록 노즐(70)과 회전관(60)보다 용융점이 낮은 재질로 만든 연결핀(61)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고, 회전관(60)의 상단부분에 스프링클러 확산편(62)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발사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멈치(140)와 함께 상기 기어열(150)의 작동멈치기어(151)와 이중으로 맞물림을 유지하다가 상기 조기경보장치의 벨작동편(184)에 의하여 벨작동멈치(178)와 함께 동작하여 작동멈치기어(151)와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예비작동멈치(179)가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발사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편(120)의 하부돌출부(120a)를 하부커버(20) 밑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작동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한 작동편(120)을 아래로 당겨서 원 위치시키도록 되어 있고; 회전된 캠축(80)을 원 위치시키기 위하여 하부커버(10)의 저면에 캠축정렬멈치(83)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캠축정렬멈치(83)는 일측방향으로는 캠축(80)의 캠축작동암(80a)이 걸리도록 회전하지 않게 되어 있고 반대방향으로는 캠축(80)의 캠축작동암(80a)의 이동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회전하게 되어 있으며; 벨작동편(184)의 원위치손잡이(185)가 벨 및 외부커버(175)의 장공(175a)을 통하여 상부로 돌출되어 있고, 작동태엽(160)의 태엽감개(160a)와 벨태엽(176)의 태엽감개(176a)가 각각 벨 및 외부커버(175)의 상부에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소화발사기.
KR1020120088017A 2012-08-10 2012-08-10 화재방향으로 소화액을 발사하는 자동소화발사기 KR1013080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017A KR101308093B1 (ko) 2012-08-10 2012-08-10 화재방향으로 소화액을 발사하는 자동소화발사기
PCT/KR2013/007211 WO2014025233A1 (ko) 2012-08-10 2013-08-09 화재방향으로 소화액을 발사하는 자동소화발사기
US14/410,708 US9162096B2 (en) 2012-08-10 2013-08-09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apable of discharging fire-extinguishing agent to fire sit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8017A KR101308093B1 (ko) 2012-08-10 2012-08-10 화재방향으로 소화액을 발사하는 자동소화발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8093B1 true KR101308093B1 (ko) 2013-09-12

Family

ID=49456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8017A KR101308093B1 (ko) 2012-08-10 2012-08-10 화재방향으로 소화액을 발사하는 자동소화발사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62096B2 (ko)
KR (1) KR101308093B1 (ko)
WO (1) WO2014025233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0102A (zh) * 2013-09-24 2014-01-01 山东康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隧道内智能巡检设备上的干粉灭火装置及方法
KR20180090404A (ko) * 2017-02-02 2018-08-13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선택분사 소화기
CN115154960A (zh) * 2022-08-01 2022-10-11 国网山东省电力公司菏泽供电公司 一种变电站火灾报警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08518A (zh) * 2019-03-25 2019-06-21 上海应用技术大学 一种自动灭火装置
CN112807592A (zh) * 2021-03-08 2021-05-18 浙江中互网络科技有限公司 全方位智能灭火双枪机器人及其工作方法
CN113633917A (zh) * 2021-08-26 2021-11-12 国星农机装备(新昌)有限公司 一种智能防火机器人
CN114177556B (zh) * 2021-11-17 2023-01-10 厦门佳因特科技有限公司 一种地下停车场用新能源汽车充电桩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937A (ko) * 2000-01-22 2001-08-03 우영석 열감지 센서의 바이메탈 구조
KR200357404Y1 (ko) 2004-03-18 2004-07-23 이영우 소화액의 토출력으로 회전되는 회전구를 갖는 화재경보음발생용 스프링클러헤드
KR20100054939A (ko) * 2008-11-17 2010-05-26 (주)한국소방리더스 360° 회전 분사노즐을 갖는 자동소화장치
KR20110011265A (ko) * 2009-07-28 2011-02-08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455870A (en) * 1935-07-13 1936-10-29 Joel Gordon Hirst Chrispin An improvement in or relating to fire extinguishers of the pressure reservoir type
US3802510A (en) * 1971-05-14 1974-04-09 Fire Control Corp Automatic fire sprinkler head
US3857446A (en) * 1974-05-22 1974-12-31 T Kenny Temperature-sensitive snap-action valve
US4633967A (en) * 1984-06-04 1987-01-06 Consolidated Solar Industries Corp. Circumbendibus safety system for a vehicle
US5315292A (en) * 1993-01-11 1994-05-24 Prior Mitchell K Ceiling mountable smoke detector and fire extinguisher combination
KR100716473B1 (ko) * 2005-12-08 2007-05-10 주식회사 파워텍 자동식 소화기
KR101059965B1 (ko) * 2009-10-13 2011-08-26 팔리왈샴순더 해적방지 고압분사노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3937A (ko) * 2000-01-22 2001-08-03 우영석 열감지 센서의 바이메탈 구조
KR200357404Y1 (ko) 2004-03-18 2004-07-23 이영우 소화액의 토출력으로 회전되는 회전구를 갖는 화재경보음발생용 스프링클러헤드
KR20100054939A (ko) * 2008-11-17 2010-05-26 (주)한국소방리더스 360° 회전 분사노즐을 갖는 자동소화장치
KR20110011265A (ko) * 2009-07-28 2011-02-08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80102A (zh) * 2013-09-24 2014-01-01 山东康威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用于隧道内智能巡检设备上的干粉灭火装置及方法
KR20180090404A (ko) * 2017-02-02 2018-08-13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선택분사 소화기
KR101890517B1 (ko) * 2017-02-02 2018-08-22 신성대학 산학협력단 선택분사 소화기
CN115154960A (zh) * 2022-08-01 2022-10-11 国网山东省电力公司菏泽供电公司 一种变电站火灾报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62096B2 (en) 2015-10-20
US20150217155A1 (en) 2015-08-06
WO2014025233A1 (ko) 2014-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093B1 (ko) 화재방향으로 소화액을 발사하는 자동소화발사기
CN212973939U (zh) 智慧式单通爆珠喷淋头
RU2379080C1 (ru) Спринклерный ороситель с управляемым пуском
KR102048799B1 (ko)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JP5128591B2 (ja) 熱トリップ機器を有する自動消火器及びノズル用密封装置
JP5574342B2 (ja) 非電源無人消火装置
TW201932160A (zh) 灑水頭
US20200406080A1 (en) Sprinkler Head
US8869905B2 (en) Actuation mechanism for a fire extinguisher
US20170043195A1 (en) Fire sprinkler water terminator
JP6219476B1 (ja) 簡易型自動消火器
JP2016106656A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
KR20070023807A (ko) 다수 자동확산형 수동식 소화기
US20170312561A1 (en) Fire prevention sprinkler with wrench boss detent and clip,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RU2464058C1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JPH01280481A (ja) スプリンクラー組立体用の締切装置
KR20220000235U (ko) 소화기
KR101558424B1 (ko)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RU2536226C2 (ru) Система водяног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JP3672699B2 (ja) 固定式消火設備の消火用散水ノズル
KR101333293B1 (ko)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
RU2754439C1 (ru) Запорно-пуск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быстродействующей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пожаротушащей системы
US250912A (en) Island
KR102285869B1 (ko) 공동주택의 화재발생시 자동 소방 작동 시스템
US1190963A (en) Automatic portable fire-extinguish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