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3293B1 -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3293B1
KR101333293B1 KR1020120134718A KR20120134718A KR101333293B1 KR 101333293 B1 KR101333293 B1 KR 101333293B1 KR 1020120134718 A KR1020120134718 A KR 1020120134718A KR 20120134718 A KR20120134718 A KR 20120134718A KR 101333293 B1 KR101333293 B1 KR 101333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er
lower frame
pai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7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태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화이어텍리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화이어텍리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화이어텍리더스
Priority to KR10201201347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32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3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3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0Containers destroyed or opened by flames or hea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A62C37/14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with frangible vess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개의 소화기를 연동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부가 개방되고, 상면에 상호 대응하게 한 쌍의 다수개 관통공 및 한 쌍의 제1안내공과 제2안내공이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안내공과 제2안내공 상면에 각각 결합한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를 관통하여 마련되는 타격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를 관통하여 마련된 로드부와, 상기 하부프레임 상면에 상호 대응하게 위치한 한 쌍의 작동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된 각종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하부프레임과 결합하는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한 쌍의 다수개의 관통공 및 한 쌍의 제1안내공과 제2안내공과 상호 대응하게 소화기의 해드 상면에 다수개의 관통공과 안내공을 형성한 후, 결합부재로 하부프레임와 소화기를 결합하되, 상기 로드부 및 타격부재가 각각 하부프레임과 소화기의 해드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안내공을 관통한 상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화재시, 다수개의 소화기가 연동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연동소화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다수개의 소화기의 작용에 의해 넓은 면적으로 소화물질이 방사되어 화재를 초기에 신속히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Peristal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of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다수개의 소화기를 연동시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화재가 발생한 순간, 소화기에 구비된 플런저가 탄성부재에 의해 상승하여 소화기 상부에 마련된 유리벌브를 파손시켜 소화기통에 압축되었던 소화물질을 방출하는 동시에, 플런저에 상승으로 인해 연동소화장치가 작동하여, 상기 연동소화장치에 의해 다수개의 소화기 중 다른 하나인 소화기 상부에 마련된 유리벌브를 파손시켜 소화물질을 방출함으로써, 다수개의 소화기의 작용에 의해 넓은 면적으로 소화물질이 방사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화기는 소화약제가 수납된 소화기 본체 상부에 소화약제를 분사하는 분사니플과 가압작동으로 노즐을 개방하는 작동핀을 갖는 분사노즐을 구비하여 화재시 상기 분사노즐의 작동핀을 수동 또는 자동으로 탄발적으로 가압 작동시켜 분사노즐을 개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분사니플은 화재발생 위험지역을 향해 설치되는 분사관이 연결되어 이를 통해 소화기 몸체내에서 일정 압의 상태로 수납되어 있는 액상 또는 분말상태의 소화약제를 자동분사하므로 화재를 진화하게 된다.
보통의 자동소화기 구성은 유리벌브가 설치된 장치부와, 그 하부에 일측에 방출구와 하단에 체결부가 마련된 밸브몸체가 체결되고, 상기 밸브몸체의 방출구에 소화물질을 방사시키기 위해 방사노즐이 체결되고, 상기 밸브몸체의 하부에는 소화기통이 결합되며, 상기 소화기통 내부에 밸브몸체 하단에 마련된 체결부에 싸이폰관이 결합되고, 상기 소화기통 내부에 소화물질(분말약제)가 마련되어, 열기에 의해 순간적으로 유리벌브가 파괴되어 소화물질이 확산됨으로 화재를 신속히 진압한다.
상기와 같은 자동소화기는 각종 건물 내부의 벽에 구비하여, 화재시 초기에 화재를 진압하게 되는데, 보통 한 개의 소화기로는 화재를 초기에 신속히 진압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개의 소화기를 연동소화장치에 장착하여, 화재시, 다수개의 소화기 중 하나가 작동하는 동시에, 연동소화장치가 작동하여 다수개의 소화기 중 다른 하나를 작동함으로써, 소화물질을 넓은 면적으로 방사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화재를 초기에 신속히 진압할 수 있는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상면에 상호 대응하게 한 쌍의 다수개 관통공 및 한 쌍의 제1안내공과 제2안내공이 형성된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안내공과 제2안내공 상면에 각각 결합한 제1지지부재 및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를 관통하여 마련되는 타격부재와, 상기 제1지지부재를 관통하여 마련된 로드부와, 상기 하부프레임 상면에 상호 대응하게 위치한 한 쌍의 작동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에 구비된 각종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하부프레임과 결합하는 상부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에 형성된 한 쌍의 다수개의 관통공 및 한 쌍의 제1안내공과 제2안내공과 상호 대응하게 소화기의 해드 상면에 다수개의 관통공과 안내공을 형성한 후, 결합부재로 하부프레임와 소화기를 결합하되, 상기 로드부 및 타격부재가 각각 하부프레임과 소화기의 해드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안내공을 관통한 상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작동부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일측면에 안내홈 및 고정홈이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에 형성된 안내홈에 안내되는 걸림부가 일단부 외주연에 형성되고, 타단은 몸체 일측면을 관통하여 좌우수평이동하기 위해 마련된 타격봉과, 상기 타격봉 일단부와 몸체 내부 일단면 사이에 마련되어, 타격봉을 좌우수평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드부는 제1지지부재를 삽입하되, 소화기의 해드 상면에 형성된 안내공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회동축과, 상기 회동축 상부에 결합한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축 하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타격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화재시, 다수개의 소화기가 연동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연동소화장치를 구비함으로써, 다수개의 소화기의 작용에 의해 넓은 면적으로 소화물질이 방사되어 화재를 초기에 신속히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를 구성하는 작동부의 작용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의 작동과정 1을 나타낸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의 작동과정 2을 나타낸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되고, 상면에 상호 대응하게 한 쌍의 다수개 관통공(13) 및 한 쌍의 제1안내공(11)과 제2안내공(12)이 형성된 하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1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안내공(11)과 제2안내공(12) 상면에 각각 결합한 제1지지부재(21) 및 제2지지부재(22)와, 상기 제2지지부재(22)를 관통하여 마련되는 타격부재(30)와, 상기 제1지지부재(21)를 관통하여 마련된 로드부(40)와, 상기 하부프레임(10) 상면에 상호 대응하게 위치한 한 쌍의 작동부(50)(50')와, 상기 하부프레임(10)에 구비된 각종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하부프레임(10)과 결합하는 상부프레임(60)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인 연동소화장치에 소화기(80)를 장착하는데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0)에 형성된 한 쌍의 다수개의 관통공(13) 및 한 쌍의 제1안내공(11)과 제2안내공(12)과 상호 대응하게 소화기(80)의 해드(90) 상면에 다수개의 관통공(91)과 안내공(92)을 형성한 후, 결합부재(70)로 하부프레임(10)와 소화기(80)를 결합하되, 상기 로드부(40) 및 타격부재(30)가 각각 하부프레임(10)과 소화기(80) 해드(90)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안내공(92)을 관통한 상태로 소화기(80)가 장착된다.
그럼, 본 발명인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에 구성요소들의 결합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거나, 상부와 양측면이 개방된 하부프레임(10)이 마련되는데,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상면에는 소화기(80)의 해드(90)를 장착하기 위해 한 쌍의 다수개의 관통공(13)이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다수개의 관통공(13) 측에 한 쌍의 제1안내공(11)과 제2안내공(1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안내공(11) 상면에는 제1안내공(11)과 직경이 동일한 제1지지부재(21)가 마련되며, 상기 제1지지부재(21)에 로드부(40)의 회동축(41)이 회동가능하게 삽입되되, 소화기(80) 해드(90)에 형성된 안내공(92)을 관통된 채로 위치한다.
상기 제1안내공(11)에 설치되는 로드부(4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로드부(40)는 제1지지부재(21)를 삽입되되, 소화기(80) 해드(90) 상면에 형성된 안내공(92)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회동축(41)과, 상기 회동축(41) 상부에 결합한 회동부재(42)와, 상기 회동축(41) 하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타격핀(43)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안내공(12) 상면에는 제2안내공(12)과 직경이 동일한 제2지지부재(22) 마련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22)에 타격부재(30)가 삽입되되, 소화기(80) 해드(90)에 형성된 안내공(92)을 관통한 채로 위치하게 된다.
한편, 하부프레임(10)에 형성된 한 쌍의 다수개의 관통공(13) 상측 또는 하측에는 한 쌍의 작동부(50)(50')가 위치하는데,
상기 한 쌍의 작동부(50)(50')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일측면에 안내홈(51-1) 및 고정홈(51-2)이 형성된 몸체(51)와, 상기 몸체(51)에 형성된 안내홈(51-1)에 안내되는 걸림부(52-1)가 일단부 외주연에 형성되고, 타단은 몸체(51) 일측면을 관통하여 좌우수평이동하기 위해 마련된 타격봉(52)과, 상기 타격봉(52) 일단부와 몸체(51) 내부 일단면 사이에 마련되어, 타격봉(52)을 좌우수평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탄성부재(53)로 구성된다.
그럼, 상기 한 쌍의 작동부(50)(50')의 작용을 간단히 설명하면,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타격봉(52) 일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부(52-1)를 잡고, 도면상 우측으로 수평이동시켜, 몸체(51)의 안내홈(51-1) 일단부에 하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51-2)에 안착시키게 되며, 상기 타격봉(52) 일단부와 몸체(51) 내부에 일단면 사이에 마련된 탄성부재(53)게 수축한 상태로 유지되며,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걸림부(52-1)를 상부로 가압하거나 타격하게 되면, 상기 타격봉(52)은 도면상 좌측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그럼, 상기 작동부(50)(50')와 로드부(40)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소화기(80) 내부에 마련된 소화물질(분말약재)이 방출되어 화재를 진압하게 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 예로,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고열에 의해 소화물질이 팽창하여, 한 쌍의 작동부(50)(50') 중 하나(50)에 장착된 소화기(80)에 구비되어 있는 플런저(83)가 스프링에 의해 상승하여 소화기(80) 상부에 마련된 유리벌브(82)를 파손시켜 소화기통에 압축되었던 소화물질을 방출하게 되며, 상기 플런저(83)가 타격부재(30)를 타격하여 상부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플런저(83)가 몸체(51)의 안내홈(51-1) 일단부에 하방향으로 형성된 고정홈(51-2)에 안착되어 있던 타격봉(52) 일단부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부(52-1)를 상부로 이동시키게 되는 동시에, 수축된 탄성부재(53)가 복원되어, 타격봉(52)을 도면상 좌측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게 되며, 상기 타격봉(52) 타단부가 로드부(40)의 회동부재(42)를 타격하여 로드부(40)의 회동축(41)을 회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회동축(41) 하부를 관통하여 구비된 타격핀(43)이 회동하여, 한 쌍의 작동부(50)(50') 중 다른 하나(50')에 장착된 소화기(80) 해드(90) 안쪽에 구비되어 있는 유리벌브(82)를 파괴하여, 소화기통에 압축되었던 소화물질을 방출함으로 화재를 진압하게 되는 것이다.
즉, 화재가 발생하면, 다수개의 소화기(80)가 연동소화장치의 연동작용에 의해 각각의 소화기(80)가 동시에 넓은 면적으로 소화물질이 방사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음으로써, 신속히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 예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 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 하부프레임 11: 한 쌍의 제1안내공
12: 한 쌍의 제2안내공 13: 한 쌍의 다수개 관통공
21: 제1지지부재 22: 제2지지부재
30: 타격부재 40: 로드부
50,50': 한 쌍의 작동부 51: 몸체
51-1: 안내홈 51-2: 고정홈
52: 타격봉 52-1: 걸림부
53: 탄성부재 60: 상부프레임
70: 결합부재 80: 소화기
90: 해드

Claims (3)

  1. 상부가 개방되고, 상면에 상호 대응하게 한 쌍의 다수개 관통공(13) 및 한 쌍의 제1안내공(11)과 제2안내공(12)이 형성된 하부프레임(10)과,
    상기 하부프레임(10)에 형성된 한 쌍의 제1안내공(11)과 제2안내공(12) 상면에 각각 결합한 제1지지부재(21) 및 제2지지부재(22)와,
    상기 제2지지부재(22)를 관통하여 마련되는 타격부재(30)와,
    상기 제1지지부재(21)를 관통하여 마련된 로드부(40)와,
    상기 하부프레임(10) 상면에 상호 대응하게 위치한 한 쌍의 작동부(50)(50')와,
    상기 하부프레임(10)에 구비된 각종 구성요소를 보호하기 위해 하부프레임(10)과 결합하는 상부프레임(60)으로 구성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0)에 형성된 한 쌍의 다수개의 관통공(13) 및 한 쌍의 제1안내공(11)과 제2안내공(12)과 상호 대응하게 소화기(80)의 해드(90) 상면에 다수개의 관통공(91)과 안내공(92)을 형성한 후, 결합부재(70)로 하부프레임(10)와 소화기(80)를 결합하되, 상기 로드부(40) 및 타격부재(30)가 각각 하부프레임(10)과 소화기(80)의 해드(90) 상면에 형성된 다수개의 안내공(92)을 관통한 상태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작동부(50)(50')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일측면에 안내홈(51-1) 및 고정홈(51-2)이 형성된 몸체(51)와, 상기 몸체(51)에 형성된 안내홈(51-1)에 안내되기 위해 일단 외주연에 걸림부(52-1)가 형성되고, 타단은 몸체(51) 일측면을 관통하여 좌우수평이동하기 위해 마련된 타격봉(52)과, 상기 타격봉(52) 일단부와 몸체(51) 내부 일단면 사이에 마련되어, 타격봉(52)을 좌우수평이동시키기 위해 마련된 탄성부재(5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40)는 제1지지부재(21)를 삽입하되, 소화기(80) 해드(90) 상면에 형성된 안내공(92)을 관통하여 구비되는 회동축(41)과, 상기 회동축(41) 상부에 결합한 회동부재(42)와, 상기 회동축(41) 하부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타격핀(4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
KR1020120134718A 2012-11-26 2012-11-26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 KR101333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718A KR101333293B1 (ko) 2012-11-26 2012-11-26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718A KR101333293B1 (ko) 2012-11-26 2012-11-26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3293B1 true KR101333293B1 (ko) 2013-11-27

Family

ID=49858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718A KR101333293B1 (ko) 2012-11-26 2012-11-26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329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828A (ko) * 2020-12-17 2022-06-24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 및 이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소화기
WO2022214823A1 (en) * 2021-04-08 2022-10-13 Zenova Ltd A fire suppression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348A (ja) * 1995-06-28 1997-01-14 Miyata Ind Co Ltd 複数の消火装置を備えた厨房用自動消火設備の 起動方法および装置
KR200300638Y1 (ko) 2002-09-06 2003-01-14 주식회사 스타코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
JP4272531B2 (ja) * 2002-01-17 2009-06-03 マリオフ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ーワイ バルブ要素
KR200457601Y1 (ko) 2011-07-28 2011-12-28 (주)동신소방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0348A (ja) * 1995-06-28 1997-01-14 Miyata Ind Co Ltd 複数の消火装置を備えた厨房用自動消火設備の 起動方法および装置
JP4272531B2 (ja) * 2002-01-17 2009-06-03 マリオフ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ーワイ バルブ要素
KR200300638Y1 (ko) 2002-09-06 2003-01-14 주식회사 스타코 자동식 소화기의 작동장치
KR200457601Y1 (ko) 2011-07-28 2011-12-28 (주)동신소방 열감지식 소화기의 연쇄 작동구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6828A (ko) * 2020-12-17 2022-06-24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 및 이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소화기
KR102566677B1 (ko) 2020-12-17 2023-08-14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 및 이를 결합하여 구성되는 소화기
WO2022214823A1 (en) * 2021-04-08 2022-10-13 Zenova Ltd A fire suppression system
GB2620531A (en) * 2021-04-08 2024-01-10 Zenova Ltd A fire suppression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7227B1 (ko) 자동화연동소화장치
KR102031857B1 (ko) 스프링클러의 누수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소방방재장치
KR101161952B1 (ko)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KR101599680B1 (ko) 주방용 자동식 소화기
KR102048799B1 (ko) 소공간 자동 소화장치
KR101333293B1 (ko) 소화기의 연동소화장치
KR101308093B1 (ko) 화재방향으로 소화액을 발사하는 자동소화발사기
JP2010517664A (ja) 消火器の作動装置
JP2016165496A5 (ja) 消火ガス噴射装置の施工方法
KR20080114460A (ko) 패널형 소화장치
KR101252223B1 (ko) 다방향 방사노즐이 구비된 소화기
US8869905B2 (en) Actuation mechanism for a fire extinguisher
KR100679675B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200400018Y1 (ko) 소화약재 방출헤드 자동개방장치
KR20100054939A (ko) 360° 회전 분사노즐을 갖는 자동소화장치
CN207005420U (zh) 燃气型气体发生剂式驱动装置
KR20070000917U (ko) 소화기의 작동장치
KR101995986B1 (ko) 신속한 화재진압용 소방장치
KR101356018B1 (ko) 샌드위치판넬 화재 진압용 살수대
KR20150027576A (ko) 자동화연동소화장치
RU159602U1 (ru) Исполнительный механизм для спринклерно-пускового устройства пожаротушения
KR101558424B1 (ko) 주방 화재진압용 자동 및 수동식 소화장치
KR101264847B1 (ko) 소화시스템
KR100963121B1 (ko) 가압식 소화기 작동장치
KR20220096642A (ko) 자동소화기용 밸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