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11265A -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 Google Patents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11265A
KR20110011265A KR1020090068828A KR20090068828A KR20110011265A KR 20110011265 A KR20110011265 A KR 20110011265A KR 1020090068828 A KR1020090068828 A KR 1020090068828A KR 20090068828 A KR20090068828 A KR 20090068828A KR 20110011265 A KR20110011265 A KR 201100112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unit
flame
detector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8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9665B1 (ko
Inventor
노고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Priority to KR1020090068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9665B1/ko
Publication of KR20110011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11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9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9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Landscapes

  • Fire Alarm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실내나 실외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발화위치를 자동으로 찾아내어 소화수나 소화약재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구조물 내/외부에서의 발화위치를 추적하여 자동 소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축구조물의 실내나 실외벽면에 설치되며 수평 회전하는 수평구동부, 상기 수평구동부에 연결되어 상/하로 선회하는 상하구동부, 상기 수평구동부와 상하구동부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면서 발화점을 탐색, 확인하는 감지부, 건축구조물 내/외부 벽면에 별도로 설치하여 화재를 확인하는 감시부, 상기 감지부 및 감시부의 발생신호를 전달받아 수평구동부와 상하구동부의 작동제어 및 소화수나 소화약재의 공급 차단하는 제어부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무인 건축구조물 내/외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동시에 발화지점을 탐색하여 확인하고 소화수나 소화약재를 분사시켜 화재를 자동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있으며, 발화지점의 확인으로 화재발생의 원인규명이 가능하고 소화수 및 소화약제를 집중 분사할 수 있어 초기화재 진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90068828
화재, 화재진압, 불꽃감지기, 열감지기, 무인화재진압, 감지셀, 소방

Description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It is a detection fire suppression device automatic point whether or not there is ignition}
본 발명은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축구조물의 실내나 실외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발화위치를 찾아내어 소화수나 소화약재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내부의 천장에 설치되는 종래의 소화 장치는 스프링 쿨러 형태로 제작되어 건축물 내부의 천장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스프링 쿨러 형태로 제작되어 건축물 내부의 천장에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종래의 소화 장치는 화재 발생 시 소화 장치를 중심점으로 하여 방사형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소화 장치가 배치되지 않는 건축물 실내/외부의 모서리 부위에서 화재가 발생하였을 경우 화재 진압을 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실제로 건축물 내부의 모서리 부위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소화 장치가 방사형으로 물을 분 사하더라도 상기 모서리 부위에서 발생한 화재를 직접적으로 진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관리인이 화재발생을 확인하지 않은 이상 초기 발화 원인을 확인할 수 없어 화재의 원인을 알아내는데 오랜 시간이 필요하며 대책을 수립하는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건축구조물 내/외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동시에 발화지점을 탐색하여 확인하고 소화수나 소화약재를 분사시켜 화재를 자동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꽃감지기의 감지 면적을 최소화하여 화재의 발화점을 정확히 탐색할 수 있으며, 발화지점의 확인으로 화재발생의 원인규명이 가능하고 소화수 및 소화약제를 집중 분사할 수 있어 초기화재 진압이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리 인원이 요구되지 않아 관리 인력비용의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의 실내나 실외벽면에서의 발화위치를 추적하여 자동 소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건축구조물의 실내나 실외벽면에 고정되는 브라켓을 기준으로 수평작동모터와 연결된 기어군을 통해 수평 360°회전하며 건축구조물의 소화전에 연결되는 소방호스가 이동하는 회동전달링크를 구성하는 수평구동부와, 상기 수평구동부의 회동전달링크에 회동 연결되며 상하작동모터와 연결된 기어군을 통해 상하 방향 작동을 하면서 소방호스가 이동하는 상하작동링크에 연결된 소방노즐을 구성하는 상하구동부와, 상기 상하구동부의 소방노즐의 상부에서 평행하게 설치되어 불꽃 감지를 통해 발화지점을 탐색, 확인하는 발화점 감지부를 형성하고, 건축구조물의 실내나 실외벽면에 별도로 설치되어 불꽃 감지, 연기 감지, 열 감지를 하며 화재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감시부를 형성하며, 상기 수평구동부의 소방작동모터 및 소방펌프 작동제어, 개폐밸브 개폐제어와 상기 상하구동부의 상하작동모터의 작동제어, 상기 발화점 감지부와 감시부에서의 발생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를 형성하고, 상기 감시부에서 불꽃이나 연기 또는 열이 감지된 신호가 제어부로 전달되면 수평구동부와 상하구동부를 구동시키면서 발화점 감지부에 의해 발화지점을 탐색, 확인하면 제어부에서 소방펌프와 개폐밸브를 각 작동, 개폐시켜 소화수나 소화약재를 분사시켜서 화재를 진압하도록 구성하는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를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건축구조물 내/외부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동시에 발화지점을 탐색하여 확인하고 소화수나 소화약재를 분사시켜 화재를 자동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불꽃감지기의 감지 면적을 최소화하여 화재의 발화점을 정확히 탐색할 수 있으며, 발화지점의 확인으로 화재발생의 원인규명이 가능하고 소화수 및 소화약제를 집중 분사할 수 있어 초기화재 진압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더불어, 관리 인원이 요구되지 않아 관리 인력비용의 절감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는 건축구조물의 실내나 실외에서 발화위치를 추적하여 화재를 자동 소화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건축구조물의 실내나 실외벽면에 설치되며 수평 회전하는 수평구동부(10), 상기 수평구동부(10)에 연결되어 상/하로 작동하는 상하구동부(20), 상기 수평구동부(10)와 상하구동부(2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하면서 발화점을 탐색, 확인하는 감지부(30), 건축구조물 내에 별도로 설치하여 화재를 확인하는 감시부(40), 상기 감지부(30) 및 감시부(40)의 발생신호를 전달받아 수평구동부(10)와 상하구동부(20)의 작동제어 및 소화수나 소화약재의 공급 차단하는 제어부(50)로 자동화재진압장치(100)가 구성된다.
상기 수평구동부(10)는 건축구조물의 실내나 실외벽면에 고정되는 브라켓(11)을 기준으로 수평작동모터(12)와 연결된 기어군을 통해 수평 360°회전하며 건축구조물의 소화전에 연결되는 소방호스(16)가 내부로 이동하는 회동전달링크(15)로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전달링크(15)의 하부 끝단과 수평작동모터(12)의 모터축(도면번호 미도시)에는 기어군으로 연결되어 수평작동모터(12)의 구동으로 회동전 달링크(15)는 하우징(15a)에서 돌출된 상태로 360°회전하게 된다.
상기 상하구동부(20)는 수평구동부(10)의 회동전달링크(15)에 회동 연결되며 상하작동모터(21)와 연결된 기어군을 통해 상하 방향 작동을 하면서 소방호스(16)가 내부로 이동하는 상하작동링크(22)에 연결된 소방노즐(23)로 구성한다.
아울러, 상기 소방노즐(23)이 연결된 반대편 회동전달링크(15)의 끝단에는 평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상하작동모터(12)의 모터축(도면번호 미도시)에는 평기어가 결합되어 서로 기어 물림 됨으로써 상하작동모터(12)가 구동되면 회동전달링크(15)가 상하방향으로 작동한다.
이러한, 상기 상하작동모터(12)의 구동으로 상기 회동전달링크(15)는 0~85°의 범위로 상하 작동한다.
그리고, 상기 수평작동모터(12)와 상하작동모터(12)는 전류의 방향을 바꾸면 구동방향이 전환되는 정역모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회동전달링크(15)와 상하작동링크(22)는 소화수나 소화약재가 유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중공된 파이프 형상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발화점 감지부(30)는 상하구동부(20)의 소방노즐(23)의 상부에서 평행하게 설치되어 불꽃 감지를 통해 발화지점을 탐색, 확인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상기 발화점 감지부(30)는 상하구동부(20)의 소방노즐(23)에 설치하는 보호커버(31)의 내부공간에 설치하는 병(Bottle) 형태의 감지셀(32) 내부로 불꽃감지기(33)를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보호커버(31)는 반구 형태로 내열성이 있으며 투명한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아울러, 상기 감지셀(32)은 불꽃감지기(33)가 노출되는 전방 끝단의 개방홀(32a)을 작게 형성하여 발화점의 불꽃에서 발산하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의 위치를 불꽃감지기(33)에서 정확히 파악하도록 구성한다.
이러한, 상기 불꽃감지기(33)는 불꽃감지기는 자외선 감지기(UV), 자외선/적외선 감지기(UV/IR), 적외선감지기(IR3)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감시부(40)는 건축구조물의 실내나 실외벽면에 별도로 설치되어 불꽃 감지, 연기 감지, 열 감지 또는 건축구조물 내부를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감시부(40)는 불꽃 감지기,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감시카메라 중 하나로 구성한다.
상기 제어부(50)는 수평구동부(10)의 소방작동모터(12) 및 소방펌프(13) 작동제어, 개폐밸브(14) 개폐제어와 상기 상하구동부(20)의 상하작동모터(21)의 작동제어, 상기 발화점 감지부(30)와 감시부(40)에서의 발생 신호를 전달받도록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는 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제어하는 추가적 기능이 있으며, 상기 수평구동부(10)의 소방작동모터(12) 및 소방펌프(13), 개폐밸브(14)와 상기 상하구동부(20)의 상하작동모터(21), 상기 발화점 감지부(30)와 감시부(40)의 이상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동화재진압장치(100)는 건축구조물의 실내나 실외벽면에 브라켓(11)을 고정 시공하여 설치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건축구조물의 천장에 설치하는 예로써 설명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50)는 건축구조물의 전원공급장치와 연결하여 수평구동부(10)의 소방작동모터(12) 및 소방펌프(13), 개폐밸브(14)와 상기 상하구동부(20)의 상하작동모터(21), 상기 발화점 감지부(30)와 감시부(4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감시부(40)도 천장에 설치하여 시공한다.
그리고, 건축구조물의 소화전에 소방펌프(13)를 연결하고 소화수나 소화약재의 이동을 개폐하는 개폐밸브(14)를 거치는 소방호스(16)를 수평구동부(10)의 회동전달링크(15)와 상하구동부(20)의 상하작동링크(22)의 내부로 연결한다.
즉, 상기 자동화재진압장치(100)의 설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건축구조물 내/외부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감시부(50)에서 불꽃이나 연기 또는 열이 감지된 신호가 제어부(50)로 전달된다.
한편, 상기 감지부(50)가 감시카메라로 구성될 경우 건축구조물의 통제실에서 화재를 모니터링을 한 후 제어부(50)를 작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제어부(50)는 수평구동부(10)와 상하구동부(20)를 구동시키면서 발화점 감지부(30)에 의해 발화지점을 탐색, 확인하도록 작동한다.
즉, 상기 수평구동부(10)와 상하구동부(20)의 구동으로 자동화재진압장 치(100)가 수평 또는 상하로 선회할 때 감지부(30)의 개방홀(32a)을 통해 불꽃에서 발산하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이 유입되어 불꽃감지기(33)에 감지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30)는 불꽃에서 발산하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의 양이 가장 큰 지점을 발화지점으로 판단하여 제어부(50)로 전달하면 수평구동부(10)와 상하구동부(20)의 구동을 해제하여 소방노즐(23)이 발화지점을 향하도록 멈춤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에서 수평구동부(10)의 소방펌프(13)를 작동시켜 소화수나 소화약재를 펌핑하는 동시에 개폐밸브(14)를 개방하면 수평구동부(10)로 소화수나 소화약재가 이동한다.
이렇게, 이동된 소화수나 소화약재는 소방호스(16) -> 수평구동부(10)의 회동전달링크(15) -> 상하구동부(20)의 상하작동링크(23) -> 소방노즐(23)을 통해 감지부(30)에서 탐색 확인한 화재의 발화지점에 소화수나 소화약재를 분사하여 화재를 신속하면서 간단히 진압한다.
아울러, 화재의 진압이 완료되면 감지부(30)에서는 불꽃에서 발산하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 등의 발산 여부를 판단한다
더불어, 상기 감시부(50)에서는 불꽃이나 연기 또는 열의 감지 여부와 카메라를 이용한 모니터링을 통해 화재의 진압 여부를 확인한 후 완전한 소화가 이루어지면 제어부(50)에서 소방펌프(13)의 펌핑 작동을 해제하는 동시에 개폐밸브(14)를 폐쇄하여 소화수나 소화약재의 공급을 차단한다.
추가적으로, 발화지점의 확인으로 화재발생의 원인규명이 가능하고 소화수나 소화약제를 집중 분사할 수 있어 초기화재 진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자동화재진압장치의 수평회전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
도 3은 자동화재진압장치의 상하회동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
도 4는 자동화재진압장치를 이용하여 건축구조물내의 화재를 진압하는 사용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수평구동부 11 : 브라켓
12 : 수평작동모터 13 : 소방펌프
14 : 개폐밸브 15 : 회동전달링크
20 : 상하구동부 21 : 상하작동모터
22 : 상하작동링크 23 : 소방노즐
30 : 감지부 31 : 보호커버
32 : 감지셀 33 : 불꽃감지기
40 : 감시부 50 : 제어부
100 : 자동화재진압장치

Claims (4)

  1. 건축구조물의 실내나 실외에서의 발화위치를 추적하여 자동 소화하는 장치에 있어서,
    건축구조물의 실내나 실외벽면에 고정되는 브라켓(11)을 기준으로 수평작동모터(12)와 연결된 기어군을 통해 수평 360°회전하며 건축구조물의 소화전에 연결되는 소방호스(16)가 이동하는 회동전달링크(15)를 구성하는 수평구동부(10)와,
    상기 수평구동부(10)의 회동전달링크(15)에 회동 연결되며 상하작동모터(21)와 연결된 기어군을 통해 상하 방향 작동을 하면서 소방호스(16)가 이동하는 상하작동링크(22)에 연결된 소방노즐(23)을 구성하는 상하구동부(20)와,
    상기 상하구동부(20)의 소방노즐(23)의 상부에서 평행하게 설치되어 불꽃 감지를 통해 발화지점을 탐색, 확인하는 발화점 감지부(30)를 형성하고,
    건축구조물의 실내나 실외벽면에 별도로 설치되어 불꽃 감지, 연기 감지, 열 감지를 하며 화재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감시부(40)를 형성하며,
    상기 수평구동부(10)의 소방작동모터(12) 및 소방펌프(13) 작동제어, 개폐밸브(14) 개폐제어와 상기 상하구동부(20)의 상하작동모터(21)의 작동제어, 상기 발화점 감지부(30)와 감시부(40)에서의 발생 신호를 전달받는 제어부(50)를 형성하고,
    상기 감시부(50)에서 불꽃이나 연기 또는 열이 감지된 신호가 제어부(50)로 전달되면 수평구동부(10)와 상하구동부(20)를 구동시키면서 발화점 감지부(30)에 의해 발화지점을 탐색, 확인하면 제어부(50)에서 소방펌프(13)와 개폐밸브(14)를 각 작동, 개폐시켜 소화수나 소화약재를 분사시켜서 화재를 진압하도록 구성하는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화점 감지부(30)는 상하구동부(20)의 소방노즐(23)에 설치하는 보호커버(31)의 내부공간에 설치하는 병(Bottle) 형태의 감지셀(32) 내부로 불꽃감지기(33)를 설치하여 구성하는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셀(32)은 불꽃감지기(33)가 노출되는 전방 끝단의 개방홀(32a)을 작게 형성하여 발화점의 불꽃에서 발산하는 자외선, 가시광선, 적외선의 위치를 불꽃감지기(33)에서 정확히 파악하도록 구성하는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부(40)는 불꽃 감지기, 연기 감지기, 열 감지기, 감시카메라 중 하나로 구성하는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KR1020090068828A 2009-07-28 2009-07-28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KR101119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828A KR101119665B1 (ko) 2009-07-28 2009-07-28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8828A KR101119665B1 (ko) 2009-07-28 2009-07-28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11265A true KR20110011265A (ko) 2011-02-08
KR101119665B1 KR101119665B1 (ko) 2012-03-16

Family

ID=43771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8828A KR101119665B1 (ko) 2009-07-28 2009-07-28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9665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8093B1 (ko) * 2012-08-10 2013-09-12 이영복 화재방향으로 소화액을 발사하는 자동소화발사기
KR101357283B1 (ko) * 2012-08-09 2014-01-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센서에 의한 전기 화재 소화 시스템 및 방법
CN112473057A (zh) * 2020-12-04 2021-03-12 江苏海祥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多功能消防炮
KR20220076682A (ko) *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포스코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416107B1 (ko) * 2021-07-23 2022-07-06 (주)테크원팩토리 차량용 화재진압 장치
KR20220131447A (ko) * 2021-03-19 2022-09-28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2200B1 (ko) * 2014-05-01 2015-10-23 중경기술주식회사 대공간 지능형 방수포 자동 소화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895726B1 (ko) 2017-07-25 2018-09-05 주식회사 목양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발화 지점을 검출할 수 있는 소방 지원 장치
KR102118263B1 (ko) 2018-10-10 2020-06-02 문홍찬 소화물질의 집중분사가 가능한 소방용 간이 스프링쿨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052Y1 (ko) * 2004-02-11 2004-04-30 주식회사 모아텍 발화위치 추적 자동 소화 장치
KR20060037498A (ko) * 2004-10-28 2006-05-03 주식회사 우당기술산업 다중 방식에 의한 옥내외 공간 전용 화재감지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7283B1 (ko) * 2012-08-09 2014-01-28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위치 센서에 의한 전기 화재 소화 시스템 및 방법
KR101308093B1 (ko) * 2012-08-10 2013-09-12 이영복 화재방향으로 소화액을 발사하는 자동소화발사기
KR20220076682A (ko) * 2020-12-01 2022-06-08 주식회사 포스코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
CN112473057A (zh) * 2020-12-04 2021-03-12 江苏海祥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多功能消防炮
KR20220131447A (ko) * 2021-03-19 2022-09-28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KR102416107B1 (ko) * 2021-07-23 2022-07-06 (주)테크원팩토리 차량용 화재진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9665B1 (ko) 2012-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665B1 (ko)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US11801407B2 (en) Wall-mountable spray head unit
KR101259478B1 (ko)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RU2319530C2 (ru) Роботизированный пожарный комплекс
CN201815039U (zh) 室内精确自动定位灭火装置
KR101059693B1 (ko) 자동소화설비장치
KR101895975B1 (ko) 공동주택의 전기장치를 이용한 화재감시와 진압시스템
CN205434770U (zh) 自动跟踪定位射流灭火装置
CN102631759B (zh) 采用两级传动机构的室内大空间自动灭火系统
KR102450845B1 (ko) 소방용 스마트 화재 감지장치
KR102346594B1 (ko) 건축물용 초기 화재 진압 소방장치
KR101828250B1 (ko) 건물의 외벽을 통한 화재확산 방지장치
KR101841428B1 (ko) 영상 및 광학센서를 이용한 화재감지 자동소화장치 및 자동소화시스템
CN101066494A (zh) 可探测报警、自动启闭的速喷式灭火装置
CN220455923U (zh) 一种烟雾火灾检测系统
JP2009093543A (ja) 住宅の防犯システム
KR101685512B1 (ko) 건축물의 소방배관 누수감지가 가능한 소방장치
KR101775486B1 (ko) 건축공간내 설치되는 자동 화재감지 소방장치
CN110618636A (zh) 一种实验室安全监控预警系统
CN209865110U (zh) 一种自动灭火装置
CN210044751U (zh) 一种低空间微型火焰光谱自动扫描灭火系统及灭火装置
CN201067593Y (zh) 可探测报警撞击式速喷灭火装置
CN101670158B (zh) 一种可缩短寻的时间的室内大空间自动灭火装置
JP5046315B2 (ja) 防火区画形成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