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76682A -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76682A
KR20220076682A KR1020200165425A KR20200165425A KR20220076682A KR 20220076682 A KR20220076682 A KR 20220076682A KR 1020200165425 A KR1020200165425 A KR 1020200165425A KR 20200165425 A KR20200165425 A KR 20200165425A KR 20220076682 A KR20220076682 A KR 20220076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normal
temperature
fluid
monitoring object
spr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5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3710B1 (ko
Inventor
김기택
변현룡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1654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3710B1/ko
Publication of KR20220076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6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3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37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24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attached to ladders, poles, towers, or other structures with or without rotar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70Arrangements for moving spray heads automatically to or from the working 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6Thermosensitive pai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1/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 G01K11/12Measuring temperature based upon physical or chemical changes not covered by groups G01K3/00, G01K5/00, G01K7/00 or G01K9/00 using changes in colour, translucency or reflect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re Alarms (AREA)
  • Fire-Detection Mech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시 대상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방지 장치는, 감시 대상물을 관찰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감시 대상물에서 이상 발열이 발생한 이상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이상 부위의 온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제1 유체 또는 상기 이상 부위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2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에 선택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REVENTING FIRE}
본 발명은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감시 대상물에 화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 시설의 주요 설비 등에는 화재 감시를 위하여, 열, 연기, 가스 등을 감지하여 화재의 발생을 알리는 다양한 종류의 화재 감지 장치가 설치된다. 이와 같은, 화재 감지 장치는 고정된 장소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고, 경보음을 발생시켜 화재의 발생을 외부로 알리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화재 감지 장치는, 열, 연기, 가스 등이 일단 발생되어야만 감지가 가능하다. 즉, 종래의 화재 감지 장치는 1차적으로 화재가 발생한 다음, 화재 발생 지역에서 방출되는, 열, 연기, 가스 등과 같은 2차적인 징후를 감지하여 화재의 발생을 외부로 알리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화재 감지 장치는 화재의 발생을 외부로 알리는 역할을 수행할 뿐 실질적으로 화재의 발생을 예방할 수 없어,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조기 진화가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화재의 감지가 늦게 이루어질 경우 대형 사고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399475 B1
본 발명은 감시 대상물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여 화재 예방 조치를 수행할 수 있는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방지 장치는, 감시 대상물을 관찰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감시 대상물에서 이상 발열이 발생한 이상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이상 부위의 온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제1 유체 또는 상기 이상 부위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2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에 선택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유체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시온 도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온 도료는 설정된 온도에서 색상이 변화하도록 성분 및 조성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시온 도료는 설정된 온도 미만에서 투명한 색상을 가지며, 설정된 온도 이상에서 유색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분사부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기; 및 상기 이동기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체 또는 제2 유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사부는, 상기 이상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측정기 및 분사기는 상기 이동기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온도 측정기 및 분사기는 상기 이동기 상에서 일체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사기는, 상기 이상 부위에 제1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제1 노즐; 및 상기 이상 부위에 제2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제2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노즐 및 제2 노즐은 동일한 위치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노즐 및 제2 노즐은, 상기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각각 저장되고, 상기 분사부와 이격 배치된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유체 및 제2 유체를 공급받을 수 있다.
상기 감시 대상물이 설치되는 공간에는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이동기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방지 방법은, 감시 대상물을 관찰하는 과정; 상기 감시 대상물에서 이상 발열이 발생한 이상 부위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이상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이상 부위의 온도가 설정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이상 부위의 온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제1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에 분사하는 과정; 및 상기 이상 부위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이상 부위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2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에 분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감시 대상물을 관찰하는 과정은, 상기 감시 대상물을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 부위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감시 대상물을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이상 부위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이상 부위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상 부위의 발생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상 부위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감시 대상물을 촬영하여 획득된 가시광선 영상에, 불꽃 및 연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부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상 부위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감시 대상물을 촬영하여 획득된 적외선 영상에, 기준 온도 이상의 온도를 나타내는 부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온도는 상기 설정 온도보다 낮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이상 부위를 검출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제1 유체 또는 제2 유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기를 상기 이상 부위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에 분사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설정 온도에서 색상이 변화하는 시온 도료를 상기 이상 부위에 분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에 분사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분사기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거나, 다른 이상 부위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에 분사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이상 부위의 색상이 변화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이상 부위의 색상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이상 부위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2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에 분사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에 분사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이상 부위의 온도가 냉각 온도 미만으로 하강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이상 부위의 온도가 상기 냉각 온도 미만으로 하강하지 않는 경우, 화재 발생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온도는 상기 설정 온도보다 낮은 값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감시 대상물에서 이상 발열이 발생한 이상 부위에, 온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제1 유체 또는 냉각을 위한 제2 유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이상 부위의 온도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즉, 이상 발열은 발생하였으나, 이상 부위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는 도달하지 않아 화재의 위험성이 낮은 경우, 이상 부위에 도포된 제1 유체에 의하여 이상 부위의 온도가 차후에 설정 온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이상 부위는 제2 유체로 냉각시키고, 제2 유체에 의한 냉각에도 불구하고 이상 부위의 온도가 원하는만큼 하강하지 않는 경우 화재 발생 신호를 송출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사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사부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방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되어 도시될 수 있으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감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사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방지 장치는 감시 대상물(T)을 관찰하기 위한 감지부(100), 상기 감지부(100)로부터 감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감시 대상물(T)에서 이상 발열이 발생한 이상 부위(H)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부(200) 및 상기 이상 부위(H)의 온도를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제1 유체 또는 상기 이상 부위(H)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2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H)에 선택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300)를 포함한다.
감지부(100)는 감시 대상물(T)을 관찰한다. 여기서, 감시 대상물(T)은 온도가 변화하여 화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산업 시설의 다양한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시 대상물(T)은 제철 공장에서 제조, 이동, 선별, 파쇄 등의 공정을 수행하는 가동 설비 또는 고정 설비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00)는 감시 대상물(T)을 촬영하여 감시 대상물(T)을 관찰할 수 있다. 감지부(100)는 감시 대상물(T)의 전체적인 모습 또는 상태를 촬영하기 위하여 감시 대상물(T)로부터 원격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부(100)는 감시 대상물(T)이 설치되는 공간의 벽체(W) 또는 천장(C)에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감지부(100)는 감시 대상물(T)의 일부를 촬영하도록 배치되고, 촬영 위치를 변경시켜 감시 대상물(T)을 전체적으로 촬영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감지부(100)는 감시 대상물의 가시광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1 카메라(112) 및 감시 대상물의 적외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2 카메라(11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카메라(112)는 CCD(Charge-Coupled Device)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감시 대상물(T)을 촬영하여, 감시 대상물(T)의 실제 영상, 즉 가시광선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12)로부터 획득되는 가시광선 영상으로부터는 감시 대상물(T)의 모습을 관찰하고, 감시 대상물(T)에 불꽃 또는 연기가 발생하는 부위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2 카메라(114)는 감시 대상물(T)을 촬영하여, 감시 대상물(T)의 적외선 영상, 즉 열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제2 카메라(114)로부터 획득되는 열 영상으로부터는 감시 대상물(T)의 발열 상태를 관찰하고, 감시 대상물(T)에 주변에 비하여 온도가 높은 부위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카메라(112) 및 제2 카메라(114)는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촬영 각도가 조절되도록, 감시 대상물(T)이 설치되는 공간의 벽체(W) 또는 천장(C)에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감지부(100)로부터 가시광선 영상, 열 영상 등과 같은 감지 정보를 입력받아, 감시 대상물(T)에서 이상 발열이 발생한 이상 부위(H)를 검출한다. 즉, 제어부(200)는 제1 카메라(112)로부터 획득되는 가시광선 영상에 불꽃 및 연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부위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불꽃 및 연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부위를 이상 부위(H)로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제2 카메라(114)로부터 획득되는 열 영상에 기준 온도(T0) 이상의 온도를 나타내는 부위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기준 온도(T0) 이상의 온도를 나타내는 부위를 이상 부위(H)로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온도(T0)는 감시 대상물(T)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거나 정상적인 상태인 경우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기준 온도(T0)는 예를 들어, 60℃의 온도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감시 대상물(T)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온도 값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200)는 감시 대상물(T)이 설치되는 공간으로부터 원격 배치되어, 감지부(100)로부터 감지 정보를 무선으로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감지부(100)로부터 입력받은 감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고, 감지부(100) 및 후술할 분사부(3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기 위한 HMI(Human Machine Interface)를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200)는 감시 대상물(T)의 구조에 관한 정보, 감시 대상물(T)이 설치되는 공간에 관한 정보가 저장되고, 감지부(100)로부터 입력받은 감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분사부(300)는 제어부(200)로부터 검출된 이상 부위(H)의 온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제1 유체 또는 이상 부위(H)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2 유체를 이상 부위(H)에 선택적으로 분사한다.
여기서, 제1 유체는 이상 부위(H)의 온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유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제1 유체는 이상 부위(H)에 도포되어, 이상 부위(H)의 온도 변화에 따라 형태가 변화하는 유체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감지부(100)를 통한 이상 부위(H)의 관찰을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제1 유체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시온 도료를 포함할 수 있다.
시온 도료는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를 포함하여, 온도가 변화함에 따라 전자 공여체가 결합 또는 분리되어 색상이 변화하는 도료를 의미한다. 시온 도료는, 예를 들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고, 온도가 다시 하강하면 원색으로 복원되지 않는 불가역성 시온 도료와,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고, 온도가 다시 하강하면 원색으로 복원되는 가역성 시온 도료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이상 부위(H)의 온도 변화를 색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제1 유체로 색상이 온도에 따라 가역적으로 변화하는 가역성 시온 도료를 사용할 수 있다.
시온 도료는 설정된 온도에서 색상이 변화하도록 성분 및 조성이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1 유체로 사용되는 시온 도료는 설정된 온도 미만에서 투명한 색상을 가지며, 설정된 온도 이상에서 유색의 색상을 가지도록 그 성분 및 조성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온 도료는 후술할 설정 온도(T1) 미만에서 투명한 색상을 가지며, 설정 온도(T1) 이상에서 적색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유체는 이상 부위(H)를 냉각시키기 위한 유체를 포함한다. 즉, 제2 유체는 이상 부위(H)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 등의 냉각 유체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부(300)로부터 제1 유체 또는 제2 유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이상 부위(H)를 관찰하고, 온도를 제어하는 구체적인 내용과 관련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분사부(300)는 고정 설치되어, 유체의 분사 각도 및 거리를 조절하여 이상 부위(H)에 제1 유체 또는 제2 유체를 선택적으로 분사할 수도 있으나, 이상 부위(H)에 보다 정확하게 유체를 분사하기 위하여 이상 부위(H)를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분사부(300)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기(330) 및 상기 이동기(330)에 설치되어, 제1 유체 또는 제2 유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기(330)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분사부(3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은 이동기(330)는 감시 대상물(T)이 설치되는 공간에서 자율 주행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으나, 원하는 위치에 이동기(330)를 배치시키는 등 이동기(330)의 위치를 정확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감시 대상물(T)이 설치되는 공간에 마련된 레일(R)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레일(R)이 감시 대상물(T)이 설치되는 공간의 바닥(F)에 설치되는 모습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레일(R)은 감시 대상물(T)의 종류나 설치 위치에 따라 감시 대상물(T)이 설치되는 공간의 천장(C) 또는 벽체(W)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동기(330)는 이동을 위하여 모터(332) 및 구동 롤러(330)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32)는 감시 대상물(T)이 설치되는 공간 또는 레일(R)에 마련된 전력 공급기(미도시)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구동될 수 있다. 모터(332)는 제어부(2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전달받아 가속 또는 감속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 신호를 통하여 가감속이 가능한 기어드 모터(geared motor)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구동 롤러(336)는 레일(R)에 접하여 모터(332)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분사부(300)가 레일(R)을 따라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이동기(330)는 엔코더(3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엔코더(332)는 모터(332)의 회전 및 회전 속도를 통하여 레일(R)을 따라 이동한 이동 거리 및 레일(R) 상의 현재 위치에 관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분사기(320)는 제1 유체 또는 제2 유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기 위하여, 제1 노즐(322) 및 제2 노즐(324)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분사기(320)는 이상 부위(H)에 제1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제1 노즐(322) 및 이상 부위에 제2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제2 노즐(3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노즐(322) 및 제2 노즐(324)는 이상 부위(H)에 제1 유체 또는 제2 유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기 위하여 동일한 위치를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노즐(322) 및 제2 노즐(324)는 분사 방향 및 분사 각도가 조절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제1 노즐(322) 및 제2 노즐(324)는 저장부(10)로부터 제1 유체 및 제2 유체를 공급받아 이를 각각 분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부(10)는 분사부(300) 내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용량의 확보를 위하여 감시 대상물(T)이 설치되는 공간에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즉, 저장부(10)는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각각 저장되고 분사부(30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10)는 호스(20)를 통하여 제1 노즐(322) 및 제2 노즐(324)과 연결될 수 있으며, 호스(20)는 저장부(10) 또는 분사부(300) 내에서 감기거나, 풀리도록 연결되어 분사부(300)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분사기(320)는 이동기(330)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이상 부위(H)는 감시 대상물(T)에서 다양한 높이로 위치할 수 있으므로, 분사기(320)은 이상 부위(H)를 마주보고 제1 유체 또는 제2 유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기 위하여 이동기(330)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분사부(300)는 이상 부위(H)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기(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도 측정기(310)는 온도 센서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상 부위(H)의 가시광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3 카메라(312) 및 이상 부위(H)의 적외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4 카메라(314)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측정기(310) 역시 이동기(330)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이상 부위(H)는 감시 대상물(T)에서 다양한 높이로 위치할 수 있으므로, 온도 측정기(310) 또한 이상 부위(H)를 마주보고 이상 부위(H)를 촬영하여 이상 부위(H)의 온도를 정확하고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위하여 이동기(330)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온도 측정기(310) 및 분사기(320)는 이동기(330) 상에서 일체로 이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온도 측정기(310) 및 분사기(320)는 이동기(330) 상에서 온도 측정기(310) 및 분사기(320)를 보호하기 위한 하우징 내에 설치되고, 하우징이 이동기(330) 상에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온도 측정기(310) 및 분사기(320)가 이동기(330) 상에서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방지 장치가 동작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감지부(100)는 감시 대상물(T)을 실시간으로 관찰하여 감시 대상물(T)의 가시광선 영상과 적외선 영상을 포함하는 감지 정보를 제어부(200)로 송출한다.
제어부(200)는 감지부(100)로부터 감지 정보를 입력받고, 감시 대상물(T)에서 이상 발열이 발생한 이상 부위(H)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는 감지부(100)로부터 전달받은 가시광선 영상으로부터 불꽃 또는 연기가 발생하는 부위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감지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적외선 영상으로부터 기준 온도(T0) 이상의 온도를 나타내는 부위가 있는지를 확인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여기서, 기준 온도(T0)는 감시 대상물(T)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거나 정상적인 상태인 경우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으며, 기준 온도(T0)는 예를 들어, 60℃의 온도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감시 대상물(T)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온도 값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기준 온도(T0) 이상의 온도를 나타내는 이상 부위(H)가 발견된 경우, 제어부(200)는 이상 부위(H)의 발생 위치를 검출한다. 이는 감지부(1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정보, 즉 가시광선 영상과 적외선 영상을 메모리에 저장된 감시 대상물(T)의 구조에 관한 정보와 비교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미리 저장된 구조 정보와 획득되는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대상의 위치를 검출하는 내용은 공지된 다양한 기술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부위(H)의 발생 위치가 검출되면, 제어부(200)는 제어 신호를 통하여 분사부(300)를 이상 부위(H)를 향하여 이동시킨다. 이때, 분사부(300)는 감시 대상물(T)이 설치되는 공간에 마련된 레일(R)을 따라 이상 부위(H)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분사부(300)에 마련된 온도 측정기(310) 및 분사기(320)는 이동기(330) 상에서 높이가 조절되어 이상 부위(H)를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분사부(300)가 이상 부위(H)를 향하여 이동되면, 온도 측정기(310)를 통하여 이상 부위(H)의 온도를 측정한다. 측정된 온도 정보는 제어부(200)로 전달되며, 제어부(200)는 이상 부위(H)의 온도가 설정 온도(T1) 이상인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설정 온도(T1)는 화재의 위험성이 높은 온도로서, 이상 발열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기준 온도(T0)의 온도 값보다 높은 온도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온도(T1)는 70℃의 온도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준 온도(T0)와 마찬가지로 감시 대상물(T)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온도 값으로 설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온도 측정기(310)를 통하여 이상 부위(H)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이상 부위(H)의 온도가 설정 온도(T1)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분사부(300)는 제1 노즐(322)을 통하여 이상 부위(H)의 온도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제1 유체, 예를 들어 시온 도료를 분사한다. 여기서, 시온 도료는 설정 온도(T1) 미만에서 투명한 색상을 가지며, 설정 온도(T1) 이상에서 유색, 예를 들어 적색의 색상을 가지도록 그 성분 및 조성이 조절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분사된 시온 도료는 이상 부위(H)에 도포된다. 시온 도료가 도포된 이상 부위(H)는 화재를 주의하여야 할 부위로, 이후 시온 도료의 색상 변화를 감지부(100)를 통하여 관찰하여 이상 부위(H)의 온도가 설정 온도(T1) 이상의 값을 가지는지를 신속하게 확인할 수 있다.
반면, 온도 측정기(310)를 통하여 이상 부위(H)의 온도를 측정한 결과, 이상 부위(H)의 온도가 설정 온도(T1)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화재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분사부(300)는 제2 노즐(324)을 통하여 이상 부위(H)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2 유체, 예를 들어 냉각수를 분사한다. 냉각수는 설정된 시간동안 분사될 수 있으며, 온도 측정기(310)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중 및 분사한 후에도 이상 부위(H)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한다. 이상 부위(H)에 냉각수를 분사한 후 또는 냉각수를 분사하는 중에 이상 부위(H)의 온도가 냉각 온도(T2) 미만으로 하강하면, 화재의 위험은 해소된 것으로 판단될 수 있다. 여기서, 이상 부위(H)는 냉각수의 분사에 의하여 화재의 위험 뿐만 아니라, 이상 발열 현상까지 모두 해소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냉각 온도(T2)는 이상 발열의 판단 기준인 기준 온도(T0) 이하의 온도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온도(T1)는 40℃의 온도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이상 부위(H)에 냉각수를 분사한 후에도 이상 부위(H)의 온도가 냉각 온도(T2) 이상의 온도 값을 가지는 경우 제어부(200)는 화재 발생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화재 발생 신호에 의하여 감시 대상물(T)이 설치된 공간에는 알람(alarm)이 발생될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신호는 감시 대상물(T)을 통제하는 통제실로 전송되거나, 상급 재해 기관으로 직접 전달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방지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방지 방법은 화재 방지 장치를 이용하여 화재 발생을 방지하는 방법일 수 있으며, 이에 화재 방지 장치와 관련하여 전술한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내용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방지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재 방지 방법은, 감시 대상물(T)을 관찰하는 과정, 상기 감시 대상물(T)에서 이상 발열이 발생한 이상 부위(H)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이상 부위(H)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이상 부위(H)의 온도가 설정 온도(T1) 미만인 경우, 상기 이상 부위(H)의 온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제1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H)에 분사하는 과정 및 상기 이상 부위(H)의 온도가 설정 온도(T1) 이상인 경우, 상기 이상 부위(H)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2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H)에 분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감시 대상물(T)을 관찰하는 과정은 감지부(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100)는 감시 대상물(T)을 촬영하여 감시 대상물(T)을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감시 대상물(T)을 관찰하는 과정은 감시 대상물(T)을 촬영하는 과정(S100)을 포함할 수 있다. 감시 대상물(T)을 촬영하는 과정(S100)은 감시 대상물(T)의 가시광선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 및 감시 대상물(T)의 적외선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감시 대상물(T)의 가시광선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 및 감시 대상물(T)의 적외선 영상을 획득하는 과정은 각각 제1 카메라(112) 및 제2 카메라(114)에 의하여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상 부위(H)를 검출하는 과정은 감시 대상물(T)에서 이상 발열이 발생한 이상 부위(H)를 검출한다. 이를 위하여, 이상 부위(H)를 검출하는 과정은, 감시 대상물(T)을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이상 부위(H)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S200) 및 이상 부위(H)가 발생한 경우 이상 부위(H)의 발생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S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부위(H)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S200)은 제어부(200)가 감지부(100)로부터 감지 정보, 즉 가시광선 영상과 적외선 영상을 입력받아 수행된다. 이상 부위(H)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S200)은 감시 대상물(T)을 촬영하여 획득된 가시광선 영상에 불꽃 및 연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부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상 부위(H)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S200)은 가시광선 영상에 불꽃 및 연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부위가 있는 경우, 해당 부위를 이상 부위(H)로 검출한다. 또한, 이상 부위(H)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S200)은 감시 대상물을 촬영하여 획득된 적외선 영상에 기준 온도(T0) 이상의 온도를 나타내는 부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이상 부위(H)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S200)은 적외선 영상, 즉 열 영상을 확인하여 기준 온도(T0) 이상의 온도를 나타내는 부위가 있는 경우, 해당 부위를 이상 부위(H)로 검출한다. 여기서, 기준 온도(T0)는 감시 대상물(T)이 정상적으로 동작하거나 정상적인 상태인 경우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기준 온도(T0)는 예를 들어, 60℃의 온도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부위(H)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S200)에서 이상 부위(H)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면, 별도의 조치 없이 감시 대상물을 촬영하는(S100) 과정을 지속적으로 수행한다.
감시 대상물(T)에 이상 부위(H)가 발생한 경우, 이상 부위(H)의 발생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S300)이 수행된다. 이상 부위(H)의 발생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S300)에서는 감지부(100)로부터 전달받은 감지 정보, 즉 가시광선 영상과 적외선 영상을 제어부(200)의 메모리에 저장된 감시 대상물(T)의 구조에 관한 정보 및 감시 대상물(T)이 설치되는 공간에 관한 정보와 비교한다. 즉, 제어부(200)에는 감시 대상물(T)이 설치되는 공간과 감시 대상물(T)의 구조를 나타내는 영상 및 이에 대한 위치 좌표가 저장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감지부(10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정보를 저장된 정보와 비교하여 이상 부위(H)의 위치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이상 부위(H)의 발생 위치를 검출한 후, 분사기(320)를 이상 부위(H)로 이동시키는 과정(S400)이 수행될 수 있다. 분사기(320)를 이상 부위(H)로 이동시키는 과정(S400)은 분사기(320)가 마련되는 분사부(300)를 이상 부위(H)로 이동시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분사부(300)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기(330) 및 상기 이동기(330)에 설치되어, 제1 유체 또는 제2 유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기(3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상 부위(H)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기(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분사기(320)를 이상 부위로 이동시키는 과정(S400)에서는 분사부(300)를 감시 대상물(T)이 설치되는 공간에 마련된 레일(R)을 따라 이상 부위(H)를 향하여 이동시키고, 분사부(300)에 마련된 온도 측정기(310) 및 분사기(320)의 높이를 조절하여, 온도 측정기(310) 및 분사기(320)가 이상 부위(H)를 마주보도록 배치시킬 수 있다.
이상 부위(H)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정(S500)은 분사부(300)에 마련된 온도 측정기(310)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온도 측정기(310)는 이상 부위(H)의 가시광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3 카메라(312) 및 이상 부위(H)의 적외선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제4 카메라(314)에 의하여 이상 부위(H)를 촬영하여 이상 부위(H)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 부위(H)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정(S500)에서 측정된 온도 정보는 제어부(200)로 전달된다.
이상 부위(H)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정(S500) 이후에, 이상 부위(H)의 온도가 설정 온도(T1) 이상의 온도 값을 가지는지를 확인하는 과정(S600)이 수행될 수 있다. 제어부(200)는 온도 측정기(310)로부터 온도 정보를 입력받아 이상 부위(H)의 온도가 설정 온도(T1) 이상의 온도 값을 가지는지를 확인한다. 여기서, 설정 온도(T1)는 화재의 위험성이 높은 온도로서, 이상 발열이 발생하였는지를 판단하는 기준 온도(T0)의 온도 값보다 높은 온도 값(T0<T1)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정 온도(T1)는 70℃의 온도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부위(H)의 온도가 설정 온도(T1) 미만인 것으로 확인되면, 이상 부위(H)의 온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제1 유체를 이상 부위(H)에 분사하는 과정(S700)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시온 도료는 설정 온도(T1) 미만에서 투명한 색상을 가지며, 설정 온도(T1) 이상에서 유색, 예를 들어 적색의 색상을 가지도록 그 성분 및 조성이 조절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1 유체를 이상 부위(H)에 분사하는 과정(S700)에서는 제1 유체를 제1 노즐(322)을 통하여 이상 부위(H)에 분사할 수 있다.
제1 유체를 이상 부위(H)에 분사하는 과정(S700)이 수행된 이후, 분사부(300)는 현재 위치에 대기하고 있거나, 이동하기 전의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또한, 감지부(100)로부터 감시 대상물(T)을 실시간으로 촬영한 결과, 감시 대상물(T)의 다른 부위에 이상 발열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이상 부위로 이동할 수도 있다.
분사된 시온 도료는 이상 부위(H)에 도포된다. 시온 도료가 도포된 이상 부위(H)는 화재를 주의하여야 할 부위로, 제1 유체를 이상 부위(H)에 분사하는 과정(S700) 이후에는 이상 부위(H)에 도포된 시온 도료를 통하여 이상 부위(H)의 색상을 확인하는 과정(S800)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 부위(H)의 색상이 변화하지 않는 경우에도 이상 부위(H)의 색상은 감지부(100)를 통하여 지속적으로 확인된다. 따라서, 이후에 이상 부위(H)의 색상이 변화한 경우 이상 부위(H)의 온도가 설정 온도(T1) 이상인 것으로 즉각적으로 판단하여, 분사부(300)를 통하여 이상 부위(H)에 제2 유체, 예를 들어 냉각수를 분사하는 과정(S900)이 수행될 수 있다.
이상 부위(H)의 온도가 설정 온도(T1) 이상인 것으로 확인되면, 이상 부위(H)를 냉각시킬 수 있는 제2 유체를 이상 부위(H)에 분사하는 과정(S900)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유체는 냉각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유체를 이상 부위(H)에 분사하는 과정(S900)은 설정된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제2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하는 과정(S900) 중 또는 제2 유체를 분사하는 분사하는 과정(S900) 이후에는 이상 부위(H)의 온도가 냉각 온도(T2) 미만인지를 확인하는 과정(S1000)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냉각 온도(T2)는 화재의 위험 뿐만 아니라, 이상 발열 현상까지 모두 해소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로 설정 온도(T2<T1) 미만일 뿐만 아니라, 이상 발열의 판단 기준인 기준 온도(T0) 이하(T2≤T0)의 온도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각 온도(T2)는 40℃의 온도 값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이상 부위(H)에 냉각수를 분사한 후에도 이상 부위(H)의 온도가 냉각 온도(T2) 이상의 온도 값을 가지는 경우 화재 발생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S1100)이 수행될 수 있다. 즉, 이상 부위(H)에 냉각수를 분사한 후에도 이상 부위(H)의 온도가 설정 온도(T1) 이상으로 상승하거나, 냉각 온도(T2) 미만으로 하강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200)는 화재 발생 신호를 송출한다. 화재 발생 신호에 의하여 감시 대상물(T)이 설치된 공간에는 알람(alarm)이 발생될 수 있으며, 화재 발생 신호는 감시 대상물(T)을 통제하는 통제실로 전송되거나, 상급 재해 기관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감시 대상물에서 이상 발열이 발생한 이상 부위에, 온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제1 유체 또는 냉각을 위한 제2 유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여 이상 부위의 온도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즉, 이상 발열은 발생하였으나, 이상 부위의 온도가 설정 온도에는 도달하지 않아 화재의 위험성이 낮은 경우, 이상 부위에 도포된 제1 유체에 의하여 이상 부위의 온도가 차후에 설정 온도에 도달하는지 여부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설정 온도보다 높은 온도를 가지는 이상 부위는 제2 유체로 냉각시키고, 제2 유체에 의한 냉각에도 불구하고 이상 부위의 온도가 원하는만큼 하강하지 않는 경우 화재 발생 신호를 송출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다.
상기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그러한 용어는 오로지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실시 예 및 기술된 용어는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이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청구범위 안에 속한다고 해야 할 것이다.
100: 감지부 200: 제어부
300: 분사부

Claims (19)

  1. 감시 대상물을 관찰하기 위한 감지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감시 대상물에서 이상 발열이 발생한 이상 부위를 검출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이상 부위의 온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제1 유체 또는 상기 이상 부위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2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에 선택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부;를 포함하는 화재 방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시온 도료를 포함하는 화재 방지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온 도료는 설정된 온도에서 색상이 변화하도록 성분 및 조성 중 적어도 하나가 조절되는 화재 방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온 도료는 설정된 온도 미만에서 투명한 색상을 가지며, 설정된 온도 이상에서 유색의 색상을 가지는 화재 방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이동기; 및
    상기 이동기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체 또는 제2 유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기;를 포함하는 화재 방지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이상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 측정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온도 측정기 및 분사기는 상기 이동기 상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화재 방지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온도 측정기 및 분사기는 상기 이동기 상에서 일체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는 화재 방지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분사기는,
    상기 이상 부위에 제1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제1 노즐; 및
    상기 이상 부위에 제2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제2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노즐 및 제2 노즐은 동일한 위치를 향하도록 배치되는 화재 방지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노즐 및 제2 노즐은,
    상기 제1 유체 및 제2 유체가 각각 저장되고, 상기 분사부와 이격 배치된 저장부로부터 상기 제1 유체 및 제2 유체를 공급받는 화재 방지 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물이 설치되는 공간에는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이동기는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화재 방지 장치.
  11. 감시 대상물을 관찰하는 과정;
    상기 감시 대상물에서 이상 발열이 발생한 이상 부위를 검출하는 과정;
    상기 이상 부위의 온도를 측정하는 과정;
    상기 이상 부위의 온도가 설정 온도 미만인 경우, 상기 이상 부위의 온도 변화를 시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제1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에 분사하는 과정; 및
    상기 이상 부위의 온도가 설정 온도 이상인 경우, 상기 이상 부위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2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에 분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화재 방지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감시 대상물을 관찰하는 과정은,
    상기 감시 대상물을 촬영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이상 부위를 검출하는 과정은,
    상기 감시 대상물을 촬영하여 획득된 영상으로부터, 상기 이상 부위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이상 부위가 발생한 경우, 상기 이상 부위의 발생 위치를 검출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화재 방지 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상 부위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감시 대상물을 촬영하여 획득된 가시광선 영상에, 불꽃 및 연기 중 적어도 하나가 발생하는 부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화재 방지 방법.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이상 부위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은,
    상기 감시 대상물을 촬영하여 획득된 적외선 영상에, 기준 온도 이상의 온도를 나타내는 부위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기준 온도는 상기 설정 온도보다 낮은 값을 가지는 화재 방지 방법.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이상 부위를 검출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제1 유체 또는 제2 유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기 위한 분사기를 상기 이상 부위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화재 방지 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에 분사하는 과정은,
    상기 제1 설정 온도에서 색상이 변화하는 시온 도료를 상기 이상 부위에 분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화재 방지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에 분사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분사기를 원위치로 복귀시키거나, 다른 이상 부위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화재 방지 방법.
  18.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에 분사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이상 부위의 색상이 변화하는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이상 부위의 색상이 변화하는 경우, 상기 이상 부위를 냉각시키기 위한 제2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에 분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화재 방지 방법.
  19.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를 상기 이상 부위에 분사하는 과정 이후에,
    상기 이상 부위의 온도가 냉각 온도 미만으로 하강하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및
    상기 이상 부위의 온도가 상기 냉각 온도 미만으로 하강하지 않는 경우, 화재 발생 신호를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냉각 온도는 상기 설정 온도보다 낮은 값을 가지는 화재 방지 방법.
KR1020200165425A 2020-12-01 2020-12-01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2573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425A KR102573710B1 (ko) 2020-12-01 2020-12-01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5425A KR102573710B1 (ko) 2020-12-01 2020-12-01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682A true KR20220076682A (ko) 2022-06-08
KR102573710B1 KR102573710B1 (ko) 2023-09-01

Family

ID=8198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5425A KR102573710B1 (ko) 2020-12-01 2020-12-01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37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903A (ja) * 1998-01-02 1999-08-03 Seii Tei 消火設備
KR20110011265A (ko) * 2009-07-28 2011-02-08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KR101399475B1 (ko) 2012-12-28 2014-06-02 주식회사 퓨처테크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시스템
KR101853631B1 (ko) * 2017-06-30 2018-05-02 상원엔지니어링(주) 다중감시 및 선택 진화기능을 가진 자동소화장치
KR102068978B1 (ko) * 2019-06-25 2020-01-22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6903A (ja) * 1998-01-02 1999-08-03 Seii Tei 消火設備
KR20110011265A (ko) * 2009-07-28 2011-02-08 주식회사 진화이앤씨 발화지점 자동감지 화재 진압장치
KR101399475B1 (ko) 2012-12-28 2014-06-02 주식회사 퓨처테크 실시간 스마트형 무인 화재 관제 시스템
KR101853631B1 (ko) * 2017-06-30 2018-05-02 상원엔지니어링(주) 다중감시 및 선택 진화기능을 가진 자동소화장치
KR102068978B1 (ko) * 2019-06-25 2020-01-22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건축물 화재 초기 진압 소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3710B1 (ko) 202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7773B1 (ko)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101656714B1 (ko) 화재 감지 및 방재 시스템
CN109276833A (zh) 一种基于ros的机器人巡逻消防系统及其控制方法
EP2023160B1 (de) Dreidimensionale Raumüberwachung mit Konfigurationsmodus zum Bestimmen der Schutzfelder
CN104007715A (zh) 具有位置和导数决定参考的基于识别的工业自动化控制
KR101838193B1 (ko) 특수환경 에서의 지능형 발화위치 추적 화재진압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39305A (ko) 화재 진압 소방로봇
KR101696753B1 (ko) 원격 소방 모니터링 시스템
CN104102185A (zh) 具有人和物体区分的基于识别的工业自动化控制
CN104076761A (zh) 具有基于置信度的决定支持的基于识别的工业自动化控制
KR102272780B1 (ko) 설비 진단 로봇 및 그 능동 회피 방법
US20200255267A1 (en) A safety system for a machine
KR101070715B1 (ko) 관리 대상의 안전 감시 시스템
JPH09122263A (ja) トンネル内保守システム
JP4057324B2 (ja) ロボット警備システム
KR20220076682A (ko) 화재 방지 장치 및 방법
KR101843650B1 (ko)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0622356B1 (ko) 가열로 내부 감시 시스템을 이용한 감시방법
KR101460176B1 (ko) 화재감지 시스템
KR102441268B1 (ko) 드론을 이용한 소방 점검 시스템
KR102088162B1 (ko) 자가 소화 설비를 구비한 로봇, 이를 이용하는 자가 소화 방법 및 교대 운영 방법
CN104800995A (zh) 一种臂架定位设备、消防车以及方法
JP2020013465A (ja) マルチコプターを対象とする壁面トレース型飛行制御システム
KR20210027000A (ko) 공동구 자동관제 시스템
KR101837474B1 (ko) 터널 자동제어시스템에 적용되는 3d 영상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