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37755B1 -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시설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 - Google Patents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시설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37755B1
KR101737755B1 KR1020170007872A KR20170007872A KR101737755B1 KR 101737755 B1 KR101737755 B1 KR 101737755B1 KR 1020170007872 A KR1020170007872 A KR 1020170007872A KR 20170007872 A KR20170007872 A KR 20170007872A KR 101737755 B1 KR101737755 B1 KR 1017377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sprinkler
bridge
duct
extingu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강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움이앤씨 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70007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77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77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77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48Special adaptations of floors for incorporating ducts, e.g. for heating or ventilat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04C3/04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 E04C3/06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of metal with substantially solid, i.e. unapertured, we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이 시설되도록 하여 스프링클러에서 분사되는 소화액의 분사 영역이 더욱 확장됨으로써 화재 진압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고, 브릿지 제연덕트를 통해 화재연기를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시설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는, 강재빔의 상단에 거치되어 상호 마주하는 양측 데크플레이트의 이웃한 마구리면에 형성된 덕트개구부에 양단이 접합되어 설치된 브릿지 제연덕트와; 상기 브릿지 제연덕트에서 연통되어 있는 데크플레이트의 하부로 개구된 데크 홈에 설치되어 있는 소화배관 지지체와; 일단이 상기 브릿지 제연덕트의 내부를 통해 인입된 후 상기 소화배관 지지체에 지지되어져 타단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시설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Fire fighting equipment for installing sprinkler fire piping attached bridge smoke extraction duct}
본 발명은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이 시설되도록 하여 스프링클러에서 분사되는 소화액의 분사 영역이 더욱 확장됨으로써 화재 진압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고, 브릿지 제연덕트를 통해 화재연기를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스프링클러는 슬래브의 하부측에 시공된다. 데크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가 시공되는 경우 데크플레이트에 행거를 설치하여 스프링클러용 배관을 지지시킨다. 이 경우 행거는 데크플레트에 천공작업을 하여 앵커볼트를 설치해야 하므로 천공작업을 인한 분진 발생 등으로 시설 작업이 매우 열악해지게 된다. 또한 건축물에 지진이 발생되는 경우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파손되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종래의 소방설비에서 제연을 하기 위해 별도의 배기풍도를 시설해야만 한다.
따라서 소방설비의 시공시 스프링클러의 안정된 설치는 물론이고 제연 시설이 함께 이루어지는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24336호로서, '제연덕트의 구조'가 제안되어 있다. 이는 건물구조체의 슬래브 내부에 고정되고, 내부에 설치공간이 형성되며, 내주면 사방에 상기 설치공간방향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지지판이 형성되고, 상단 외주면 사방과 하단 외주면 사방에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래브의 상하부면과 접하는 고정판이 형성되는 고정틀과; 상기 고정틀의 설치공간내에 전후좌우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외주면 사방에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고정틀의 지지판에 안착되는 안착판이 형성되며, 상기 안착판의 상하부에 위치하도록 상단 외주면 사방과 하단 외주면 사방에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고정판이 형성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상단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상단 외주면 사방에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몸체의 상단 외주면 사방에 형성된 고정판과 접하는 접촉판이 형성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하단 내부에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고, 하단 외주면 사방에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이동몸체의 하단 외주면 사방에 형성된 고정판과 접하는 접촉판이 형성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및 하부몸체와 연결되고, 상단 외주면 사방에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몸체의 접촉판에 접한상태로 고정되는 고정판이 형성되고, 하단 외주면 사방에 외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몸체의 접촉판에 접한상태로 고정되는 고정판이 형성되는 연결몸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작업자가 상기 고정틀의 설치공간에 제연덕트를 보다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은 제연덕트를 이용하여 스프링클러용 배관을 시공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124336호
본 발명은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이 시설되도록 하여 스프링클러에서 분사되는 소화액의 분사 영역이 더욱 확장됨으로써 화재 진압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고, 브릿지 제연덕트를 통해 화재연기를 신속히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른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시설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는, 강재빔의 상단에 거치되어 상호 마주하는 양측 데크플레이트의 이웃한 마구리면에 형성된 덕트개구부에 양단이 접합되어 설치된 브릿지 제연덕트와; 상기 브릿지 제연덕트에서 연통되어 있는 데크플레이트의 하부로 개구된 데크 홈에 설치되어 있는 소화배관 지지체와; 일단이 상기 브릿지 제연덕트의 내부를 통해 인입된 후 상기 소화배관 지지체에 지지되어져 타단에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배관 지지체는 박스형 구조로서 데크플레이트의 데크 홈에 밀착되는 양쪽 측벽부와 전면부 및 후면부를 갖고, 하면에 하부로 보강플랜지를 갖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완충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스프링클러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에 스프링 지지판이 고정 설치되고, 스프링 지지판은 상기 소화배관 지지체측에 일단이 고정된 지지봉의 타단에 삽입되어 있고, 지지봉의 하부에는 스프링 지지판을 지지하는 완충스프링이 삽입 설치되고, 완충스프링은 지지봉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된 잠금너트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릿지 제연덕트에 덕트개구부와 연통되어 있는 배기덕트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시설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는,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이 강재보의 밑부분을 지나는 것이 아니라 강재보에 지지되어 있는 데크플레이트에 접합되어 있는 브릿지 제연덕트를 거치기 때문에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에 접속된 스프링클러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시 스프링클러에서 분사되는 소화액의 분사반경이 넓어져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은 스프링 지지판을 매개로 지지봉에 설치된 완충스프링에 의해 완충적으로 지지되어져 있어 내진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브릿지 제연덕트에는 덕트개구부와 연통되어 있는 배기덕트가 더 연결되어 구성됨으로써 배연팬에 의해 화재연기를 브릿지 제연덕트를 거쳐서 배기덕트로 급기시켜 제연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방설비에 적용된 브릿지 제연덕트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A-A선에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3의 B-B선에서 본 단면도.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데크플레이트의 저면에서 본 사시도.
도 5b는 도 5a의 'K'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브릿지 제연덕트에 배기덕트가 설치된 상태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소방설비는 강재빔(12)의 상단에 거치되어 상호 마주하는 양측 데크플레이트(14,14)에 브릿지 제연덕트(16)가 설치되어 있다. 브릿지 제연덕트(16)는 양측 데크플레이트(14,14)의 이웃한 마구리면(141,141)에 형성된 덕트개구부(141a,141a)에 양단이 접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브릿지 제연덕트(16)의 단면은 사각으로 구성하였으나 이러한 단면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강재빔(12)은 데크플레이트(14,14)에 타설되는 콘크리트(15)와 함께 합성되어 합성보를 이루게 된다.
브릿지 제연덕트(16)에서 연통되어 있는 데크플레이트(14)에는 소화배관 지지체(20)가 설치되어 있다. 소화배관 지지체(20)는 데크플레이트(14)의 하부로 개구된 데크 홈(142)에 접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와 같이 소화배관 지지체(20)는 박스형 구조로서 데크플레이트(14)의 데크 홈(142)에 밀착되는 양쪽 측벽부(201,201)와 전면부(202) 및 후면부(203)를 갖고, 하면에 하부로 보강플랜지(205)를 갖는 개구부(204)가 형성되어 있다. 전면부(202)에는 소화배관(30)이 소화배관 지지체(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202a)을 갖는다. 삽입공(202a)은 긴 형태를 갖으나 이러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브릿지 제연덕트(16)의 내부를 통해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30)이 설치된다.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30)은 소화배관 지지체(20)에 지지되어져 있고, 스프링클러(40)가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30)의 말단에 접속되어 있다.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30)은 화재감지시 스프링클러(40)를 통해 물(소화액)을 분무시키도록 도시안된 소화펌프와 연결된다.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30)을 완충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스프링클러(40)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30)에 스프링 지지판(51)이 고정 설치되고, 스프링 지지판(51)은 상기 소화배관 지지체(20)측에 일단이 고정된 지지봉(52,52)의 타단에 삽입되어 있고, 지지봉(52,52)의 하부에는 스프링 지지판(51)을 지지하는 완충스프링(53)이 삽입 설치되고, 완충스프링(53)은 지지봉(52,52)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된 잠금너트(5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 지지판(51)은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30)에 나사 결합된 너트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소방설비는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30)이 강재보(12)의 밑부분을 지나는 것이 아니라 브릿지 제연덕트(16)를 거쳐서 배관되기 때문에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30)에 접속된 스프링클러(40)의 높이를 높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시 스프링클러(40)에서 분사되는 소화액의 분사반경이 넓어져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30)은 스프링 지지판(51)을 매개로 지지봉(52)에 설치된 완충스프링(53)에 의해 완충적으로 지지되어져 있어 내진에 대응할 수 있다.
한편, 브릿지 제연덕트(16)에는 덕트개구부(141a)와 연통되어 있는 배기덕트(17)가 더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기덕트(17)측에 설치되는 배연팬(19)에 의해 화재연기를 브릿지 제연덕트(16)를 거쳐서 배기덕트(17)로 배기시킴으로써 배연을 신속히 수행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6: 브릿지 제연덕트
17: 배기덕트
20: 소화배관 지지체
30: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
51: 스프링 지지판
52: 지지봉
53: 완충스프링

Claims (4)

  1. 강재빔(12)의 상단에 거치되어 상호 마주하는 양측 데크플레이트(14,14)의 이웃한 마구리면(141,141)에 형성된 덕트개구부(141a,141a)에 양단이 접합되어 설치된 브릿지 제연덕트(16)와;
    상기 브릿지 제연덕트(16)에서 연통되어 있는 데크플레이트(14)의 하부로 개구된 데크 홈(142)에 설치되며, 박스형 구조로서 데크플레이트(14)의 데크 홈(142)에 밀착되는 양쪽 측벽부(201,201)와 전면부(202) 및 후면부(203)를 갖고, 하면에 하부로 보강플랜지(205)를 갖는 개구부(204)가 형성된 소화배관 지지체(20)와;
    일단이 상기 브릿지 제연덕트(16)의 내부를 통해 인입된 후 상기 소화배관 지지체(20)에 지지되어져 타단에 스프링클러(40)가 설치되어 있는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30); 및
    상기 브릿지 제연덕트(16)의 덕트개구부(141a)와 연통되게 설치된 배기덕트(17); 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30)을 완충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스프링클러(40)의 상부측에 위치하여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30)에 스프링 지지판(51)이 고정 설치되고, 스프링 지지판(51)은 상기 소화배관 지지체(20)측에 일단이 고정된 지지봉(52,52)의 타단에 삽입되어 있고, 지지봉(52,52)의 하부에는 스프링 지지판(51)을 지지하는 완충스프링(53)이 삽입 설치되고, 완충스프링(53)은 지지봉(52,52)의 하단부에 나사 결합된 잠금너트(54)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시설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70007872A 2017-01-17 2017-01-17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시설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 KR1017377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872A KR101737755B1 (ko) 2017-01-17 2017-01-17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시설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872A KR101737755B1 (ko) 2017-01-17 2017-01-17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시설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37755B1 true KR101737755B1 (ko) 2017-05-18

Family

ID=59048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872A KR101737755B1 (ko) 2017-01-17 2017-01-17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시설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3775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307B1 (ko) * 2020-11-25 2021-07-06 (주)한승이엔씨 공동주택용 소방장치
KR102273405B1 (ko) * 2020-11-25 2021-07-06 (주)한빛기술단 공동주택의 소방용 제연 관리 시스템
KR102273400B1 (ko) * 2020-11-26 2021-07-07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소방 인명구조 시스템
KR102275409B1 (ko) * 2020-11-27 2021-07-13 (주)진전기엔지니어링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대피 시스템
KR102285097B1 (ko) * 2020-11-25 2021-08-03 주식회사 코담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자동감시 시스템
KR102288905B1 (ko) * 2020-11-26 2021-08-13 (주)반석기술단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용 소방시스템
KR102300165B1 (ko) * 2020-11-27 2021-09-10 (주)동현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소방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00167B1 (ko) * 2020-11-27 2021-09-13 (주)동현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안정화 시스템
KR102521681B1 (ko) 2022-07-15 2023-04-14 이계웅 설계 도면에 기초하여 비용 견적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678Y1 (ko) * 2001-07-19 2001-11-17 조하연 운동장 설치용 스프링클러 높이 조절장치
KR100500362B1 (ko) * 2000-11-14 2005-07-12 대한주택공사 공동주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의 세대배관 설치구조
KR101417641B1 (ko) * 2013-05-20 2014-07-10 김일영 제연덕트를 이용한 환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0362B1 (ko) * 2000-11-14 2005-07-12 대한주택공사 공동주택 스프링클러 소화설비의 세대배관 설치구조
KR200250678Y1 (ko) * 2001-07-19 2001-11-17 조하연 운동장 설치용 스프링클러 높이 조절장치
KR101417641B1 (ko) * 2013-05-20 2014-07-10 김일영 제연덕트를 이용한 환기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3307B1 (ko) * 2020-11-25 2021-07-06 (주)한승이엔씨 공동주택용 소방장치
KR102273405B1 (ko) * 2020-11-25 2021-07-06 (주)한빛기술단 공동주택의 소방용 제연 관리 시스템
KR102285097B1 (ko) * 2020-11-25 2021-08-03 주식회사 코담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소방시설 자동감시 시스템
KR102273400B1 (ko) * 2020-11-26 2021-07-07 (주)한국전설엔지니어링 공동주택의 소방 인명구조 시스템
KR102288905B1 (ko) * 2020-11-26 2021-08-13 (주)반석기술단 공동주택의 화재진압용 소방시스템
KR102275409B1 (ko) * 2020-11-27 2021-07-13 (주)진전기엔지니어링 화재발생시 공동주택의 소방 대피 시스템
KR102300165B1 (ko) * 2020-11-27 2021-09-10 (주)동현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소방 설비 통합 관리 시스템
KR102300167B1 (ko) * 2020-11-27 2021-09-13 (주)동현기술사사무소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방 안정화 시스템
KR102521681B1 (ko) 2022-07-15 2023-04-14 이계웅 설계 도면에 기초하여 비용 견적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7755B1 (ko) 데크플레이트의 브릿지 제연덕트에 시설된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갖는 소방설비
KR102591815B1 (ko)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KR101836117B1 (ko) 공동주택 화재 안전관리 시스템
KR101778487B1 (ko) 스프링클러용 소화배관을 강재보에 설치하기 위한 배관용 소방설비
KR20230026661A (ko) 수배전반(고압반, 저압반, 분전반, 모터 제어반)
JP2020080953A (ja) 防災設備
KR102306801B1 (ko) 벽면 패널 스프링클러 시스템
KR101765036B1 (ko) 건축공간 화재 진압용 자동 소방 장치
MX2022002860A (es) Soporte en angulo para un ensamble de soporte de aspersor contra incendios.
KR101945323B1 (ko) 옥내 소화전함용 내진 지지체
CN116059566A (zh) 一种充换电柜用防火隔断装置
KR102286749B1 (ko) 건축물 화재진화용 소화용수 분사노즐 클램핑구조
JP4322115B2 (ja) 消火方法及び装置
KR101925948B1 (ko) 소음 저감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피트 설치용 가벽 구조체
JP6109034B2 (ja) 消火設備
JP3286952B2 (ja) 駐車場の消火設備
JP2010229762A (ja) 建物ユニット
JPH10118214A (ja) ウォーターミストを利用した消火、消煙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624408B1 (ko) 소방 배관 설치구조
KR102478590B1 (ko) 화재진압효율이 향상된 소방용 방화장치
CN219440496U (zh) 一种充换电柜用防火隔断装置
CN212491221U (zh) 一种消防用无人机喷水装置
JPH0591709U (ja) 煙制御システム
CN215054156U (zh) 一种幕墙层间防火封堵结构
JP3974345B2 (ja) 消火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