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4862B1 -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4862B1
KR101264862B1 KR1020100008091A KR20100008091A KR101264862B1 KR 101264862 B1 KR101264862 B1 KR 101264862B1 KR 1020100008091 A KR1020100008091 A KR 1020100008091A KR 20100008091 A KR20100008091 A KR 20100008091A KR 101264862 B1 KR101264862 B1 KR 101264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damper
temperature
tube
temperature fu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8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8262A (ko
Inventor
원희섭
이성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써모랩
주식회사 그린씨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써모랩, 주식회사 그린씨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써모랩
Priority to KR1020100008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4862B1/ko
Publication of KR20110088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82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4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4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A62C2/06Physical fire-barriers
    • A62C2/24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 A62C2/246Operating or controlling mechanisms having non-mechanical actu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5/00Snap-action arrangements, i.e. in which during a single opening operation or a single closing operation energy is first stored and then released to produce or assist the contact movement
    • H01H5/04Energy stored by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방설비 및 소방장치가 동작하도록 하는 감온금속 온도휴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중앙부에 중공부를 형성하되 일측단부는 막히고, 타측 단부는 개방된 외관(12)과 내관(13)으로 이루어진 베이스관(11)과;
상기 베이스관(11)을 이루는 외관(12)과 내관(13) 사이에 설치되어 소정의 온도에서 용융될 수 있도록 끼워진 용융금속(14)와;
상기 베이스관(11)의 외관(12) 외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수평열과 수직열을 집열시킬 수 있도록 집열판(15)이 결합되어 온도휴즈(10)를 구성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방화 댐퍼의 방화구역 폐쇄 시간을 약 15초에서 20초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보다 빠르게 방화댐퍼를 차단하여 연기가 다른 방화구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인명피해와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 차단 장치{System cutoff damper fireproof sector used the temperature fuse}
본 발명은 소방설비 및 소방장치가 동작하도록 하는 감온금속 온도휴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재시 주위의 상승된 온도변화의 감지 작동 및 연기감지기 신호에 의하여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작동시킴으로서 방화구역 외로 연기가 확산되거나 화염이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여 초기진화 또는 건물내 사람의 신속한 대피와 재산 및 인명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가 발생하면 화재 및 연기의 확산을 막는 방화댐퍼와 방연댐퍼가 동작하거나, 화재를 진압하는 스프링쿨러, 자동식 소화설비, 자동식 소화기 등이 동작을 하게 된다. 하지만, 화재의 특성상 화재가 발생되면 연기가 먼저 발생된 후 몇분이 지난 후에 화염에 의한 열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화재발생시 열보다는 연기가 먼저 발생함으로 사람이 대피하기 전에 연기가 확산되면 대비자의 시야 확보가 안됨으로 방향감각을 잃는 동시에 유독가스에 의한 호흡곤란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화재시 스프링클러, 방화문, 방화셔터, 방화댐퍼, 환기덕트의 작동은 연기에 의해 작동되는 것도 있으나, 대부분은 열에 의한 온도 감지센서에 의해 작동되며, 특히, 온도와 연기감지를 동시에 수행하지 못함으로서, 화재가 발생되면 먼저 유독가스를 포함한 연기가 먼저 번진 후 열 감지에 의하여 소방설비 및 소방장치가 작동됨으로 실내의 장치물, 인테리어, 전선이나 전자회로 등에 분진이 함유된 진한 그을음이 달라붙어 각종 소방설비 및 소방장치가 동작하지 않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화재 진화 후 불에 타거나, 그을음이 도포된 장치물과 벽지등을 새로 교체해야 하며, 더불어, 전선으로 연결되어 전기적인 신호와 전력을 공급하는 전자 및 전기 기기 등을 새로 설치해야함으로 화재 후 경제적인 손실이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분야의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등록실용신안공고 제0192913호(선행기술 1)의 화재차단용 셔터덕트(duck) 내측 상부에 휴즈에 의해 고정지지 되는 셔터를 부착하여 일정온도에 도달시 휴즈가 단절되어 셔터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화재시 공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화재차단용 셔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격벽(1) 사이에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상의 덕트(2)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덕트(2) 내부에 한쌍의 안내대(3)를 설치하여 슬라이드공(4)을 형성하고, 슬라이드공(4) 상에는 절첩 가능한 셔터(5)를 위치시켜 상측을 덕트(2) 상에 고정하며, 안내대(3)에 연결고리(6,7)를 부착하고, 이들 상간에 약70℃ 온도에서 탈리되는 휴즈(8)를 장치하여 상기 셔터(5)를 절첩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일측 연결고리(6)는 안내대(3) 상에 핀(9)이 결합되도록 하여 화재시 등으로 온도가 상승시 휴즈가 탈리되어 덕트 내부를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도9a 및 도9b 참조)
그러나, 선행기술 1은 덕트 내에 설치된 절첩가능한 셔터(5)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안내 연결고리를 고정한 휴즈(8)가 약70℃에서 분리되도록 구성함으로 화재가 발생되어 70℃까지 공기가 상승하기 위해서는 화염이 번시는 시점으로서 이때는 이미 연기가 확산된 후가 됨으로 휴즈가 분리어 셔터를 하강시켜 차단한다 하더라도 연기는 각각의 방재구역으로 확산되어 인명피해가 방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실용신안공보 제1988-0000937호(선행기술 2)의 화기(火氣) 댐퍼(damper)는 차폐판(1)이 외통의 양측벽에 횡으로 축설되고 차폐판의 일축에는 스프링(2)이 탄설되며 타축에는 납고리(3)를 걸어서된 공지의 화기 댐퍼에 있어 동일한 외통(4)(5)을 2개로 나누어 ㄱ자형으로 형성하되 각 외통의 양측단부에는 각각 요구(6)와 나착부(7), 그리고 괘지턱(8)과 나사공(9)을 형성하며 상단면에는 걸림턱(10)을 형성하여 외통(4)(5)을 서로 결합하여서된 화기 댐퍼가 구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도10 참조)
상기 선행기술 2 역시 댐퍼 내에 설치된 차폐판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일측에는 스프링이 당겨지도록 설치하고, 타측에는 납고리를 걸어서 차폐판이 스프링의 당기는 힘에 의하여 댐퍼 통로가 차단되는 것을 방지하고 개구된 상태를 유지토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선행기술 2는 화재시 상승된 온도에 의해 납고리(3)이 녹아 분리되면 스프링의 당기는 힘에 의해 차폐판이 댐퍼 통로를 차단토록하고 있으나, 이 역시 납고리가 열에 의해 분리되는 시점은 화재로인 하여 연기가 확산된 후 상승된 열에 의해 용융됨으로 선행기술 2 역시 신속하게 작동하지 않고 소정의 온도까지 기다는 시간이 소요됨으로 차폐판이 작동하기까지는 2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어 화재의 초기진압에 실패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종래의 온도휴즈는 화재가 발생하여 주위의 온도가 온도휴즈의 작동에 필요한 온도까지 도달하더라도 온도휴즈가 동작에 필요한 충분한 열을 흡수하여 작동하기까지는 상당히 긴 시간이 지연되어 유해가스를 포함한 연기는 확산되어 신속하게 대피하는 것을 방해하고 화염은 이미 소방장치 주변까지 번진 상태에서 소방설비 및 소방장치가 작동함으로 화재 초기진압이나 확산 방지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의 천장 바닥 벽등에 설치되는 방화 댐퍼, 제연 댐퍼, 환기 댐퍼(이하"방화 댐퍼"라한다) 등에 설치되는 차단장치를 방호구역 별로 동작시키기 위한 감온금속 온도휴즈의 작동을 열 온도와 연기중 어느 하나의 감지에도 작동되도록 하는 동시에 온도 휴즈의 베이스관을 구성하는 외관과 내관 사이에 용융물질로 이루어진 용융금속관을 설치하고, 베이스관 외면에는 열을 조기에 흡수하는 다수의 집열판이 설치되어 화재시 초기에 수평열과 수직열을 집열 감지하여 소정의 온도에서 최단시간에 분리되도록 함으로서 초기 동작의 지연을 단축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화재를 초기에 진압하거나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화재로부터 보다 많은 인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차단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화재시 소방설비 및 소방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온도 휴즈에 있어서,
중앙부에 중공부를 형성하되 일측단부는 막히고, 타측 단부는 개방된 외관(12)과 내관(13)으로 이루어진 베이스관(11)과;
상기 베이스관(11)을 이루는 외관(12)과 내관(13) 사이에 설치되어 소정의 온도에서 용융될 수 있도록 끼워진 용융금속(14)와;
상기 베이스관(11)의 외관(12) 외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수평열과 수직열을 집열시킬 수 있도록 집열판(15)이 결합되어 온도휴즈(1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관(11)을 이루는 외관(12)의 막힌 단부와 내관(13)의 막힌 단부에 횡으로 고정구멍(16a)(16b)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관을 이루는 외관과 내관은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관의 외관 외면에 결합되는 집열판(15)은 중앙부에 외관(12)이 끼워지는 직경 크기로 결합홈(15a)이 형성되고, 결합홈(15a) 테두리에는 돌출턱(15b)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관의 외관은 고정구멍(16a)에 솔레노이드(17)의 가동축이 끼워져 화재시 연기 감지 신호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온도 휴즈(10)는 화재시 연기감지 또는 화재온도을 감지하여 방화 댐퍼(20) 및 환기댐퍼, 제연댐퍼를 조기에 작동시킴으로 화재발생시 초기진화하여 인명피해와 재상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화재시 휴즈의 분리가 늦어 소방설비 및 소방장치 등이 지연 작동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화구역 차단 및 진화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감온금속 온도 휴즈를 방화 댐퍼에 제공함으로서 화재시 온도, 연기, 불꽃 등을 감지하는 전기적인 장치에 의하여 중앙제어방식 혹은 방화구역별로 체계적이고 빠르게 제어되어 초기 화재 진압 및 확산 방지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한 감온금속 온도휴즈(10)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차단 장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재시 방화댐퍼의 폐쇄 작동 시간을 단축한 담파용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제공함으로서 화재시 온도에 의한 분리 또는 연기감지기에 의한 솔레노이드 작동에 의하여 분리되도록 함으로서 방화 댐퍼의 방화구역 폐쇄 시간을(소방규정상의 온도 67℃ 또는 72℃에서 각각 분리되도록 설정:소정의 온도라 칭함) 약 15초에서 20초 내에서 이루어지도록 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보다 빠르게 방화댐퍼를 차단하여 연기가 다른 방화구역으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인명과 재산을 화재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감온금속 온도휴즈의 부분를 절개하여 내부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감온금속 온도휴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온도휴즈 베이스관에 설치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집열판형상을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감온금속 온도휴즈가 적용된 방화댐퍼의 개방상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화재시 감온금속 온도휴즈가 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베이스관의 외관과 내관이 분리되어 방화댐퍼가 차단판에 닫힌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온도 휴즈가 연기감지기의 전기신호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밸브가 동작하여 온도휴즈가 분리되면서 방화댐퍼가 차단판에 의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7은 본발명의 방화댐퍼 연결관이 방화댐퍼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이고,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에 따른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 감온금속 온도휴즈의 도면 대용 사시사진과 정면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방화댐퍼(20) 연결관(21) 내면 중앙부 상부와 하부의 힌지축(22a)(22b)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방화 댐퍼를 폐쇄할 수 있도록 된 상하부 차단판(23a)(23b)과;
상기 상부 차단판(23a)이 설치된 전방의 방화댐퍼(20) 외면 상부에 설치되어 연기감지기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17)와;
상기 솔레노이드(17) 가동축과 상부 연결부재(24) 일측 단 고정구멍(16a)이 끼워지고 상부 연결부재(24) 타측단과 연결되어 연기감지기의 신호에 의해 분리 또는 화재시 열에 의해 외관(12)과 내관(13)이 분리되는 온도휴즈(10)와;
상기 상하부 차단판(23a)(23b) 일측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온도휴즈(10)가 분리시 상하부 힌지축(22a)(22b)을 중심으로 상하부 차단판(23a)(23b)이 방화댐퍼 연결관(21) 내부를 폐쇄시 가이드하는 지지바(26)와;
상기 하단 차단판(23b) 타측단에 연결되어 하부 힌지축(22b)을 중심으로 당겨 방화댐퍼 연결관(21) 내부가 상 하부 차단판(23a)(23b)으로 폐쇄되도록 하는 스프링(28)으로 구성된 방화댐퍼 차단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감온금속 온도휴즈의 부분를 절개하여 내부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은 화재시 방화댐퍼의 방화구역 폐쇄시간을 최단시간에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핵심 부품인 감온금속을 이용한 온도휴즈 제공함에 있다.
상기 감온금속 온도휴즈(10)는 일측의 내부가 비어있거나 파이프와 같이 내부가 완전히 비어있는 외관(12)과, 상기 외관(12) 내부에 인입되는 직경크기로서 일측의 내부가 비어있거나 파이프와 같이 내부가 완전히 비어있는 내관(13)으로 이루어져 상호 결합되는 베이스관(1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관(11)을 이루는 외관(12)과 내관(13) 사이에는 소방법에서 규정한 온도(65℃, 67℃, 72℃ 등의 설정온도)에 용융될 수 있도록 하되 일정한 온도에서 녹는 저온납 등의 재질의 용융금속(14)으로 충진하여 응고된 것으로 화재시 신속하게 용융되어 베이스관(11)의 외관(12)과 내관(13)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외관(12)과 내관(13)이 용융금속(14)에 의해 결합되며, 외관(12) 외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집열판(15)이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다수의 집열판(15)은 외관(12)과 내관(13)으로된 베이스관(11)의 주위의 열을 보다 빠르고 많이 모을 수 있는 집열판(15)이 구비된다.
상기 집열판(15)은 중앙부에 결합공(15a)이 형성되고 결합공(15a) 테두리는 일측 방향으로 돌출턱(15b)이 형성되어 외관 외면에 끼워 결합시 접촉면적을 넓게 하는 동시에 집열판(10)으로부터 모아진 열을 외관에 신속하게 전달하여 용융금속(40)이 신속하게 녹아 베이스관(11)의 외관과 내관이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분리되는 과정에서 외관 외면에 결합된 다수의 집열판은 분리되지 않고 외관과 결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베이스관(11)을 구성하는 내관(13)의 직경은 외관(12)의 내부 직경보다 더 작게 형성하되 내관과 외관의 간격은 0.1㎜∼0.5㎜로 상호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어 액체상태로 용융금속(14) 스며들어 응고됨으로 내관과 외관이 고정된다.
상기 용융금속의 두께는 내관과 외관의 간격에 따라서 차이는 갖는 것으로 방화댐퍼의 크기가 소형일 경우에는 0.1㎜의 간격으로 형성되고, 대형일 경우에는 0.5㎜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특수한 경우 그 이상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감온금속 온도휴즈의 분해 사시도로서, 베이스관 외관에 결합되는 집열판과 외관과 내관 사이에 응고되어 고정되는 용융금속을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도 2에 도시된 용융금속(14)을 관 형태로 도시한 것은 편의상 표기한 것으로 결합시에는 액체상태에서 외관(12)과 내관(13) 사이로 유입되어 응고됨으로 외관과 내관이 결합 되도록 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온도휴즈 베이스 관에 설치되는 여러 가지 형태의 집열판형상을 나타낸 예시도로서, 집열판(15)의 결합홈(15a)은 외관(12)의 외면까지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약간 크게 형성하여 결합시 강제박음하거나, 솔더링 용접등의 방법으로 결합하는 것이 열전달에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집열판(15)은 결합되는 베이스관(11)의 외관(12) 형상에 따라서 결합홈(15a)의 형상이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즉, 베이스관(11)의 외관(12)과 내관(13)의 형상과 집열판의 결합홈(15a)은 원형, 사각형, 삼작형, 다각형으로 제작시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집열판의 외면형상 역시 원형,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감온금속 온도휴즈가 적용된 방화댐퍼의 개방상태 예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로서 화재시 감온금속 온도휴즈가 열에 의해 용융되면서 베이스관의 외관과 내관이 분리되어 방화댐퍼가 차단판에 닫힌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온도 휴즈가 연기감지기의 전기신호에 의하여 솔레노이드(17)가 동작하여 온도휴즈(10)가 분리되면서 방화댐퍼(20)가 상하 차단판(23a)(23b)에 의해 닫힌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감온금속 온도휴즈(10)의 온도가 주위온도에 보다 민감하게 반응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조건이 구비되어야 한다.
1) 주위 공기와 열교환을 할 수 있는 표면적이 넓어야 한다.
2)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구성하는 재료의 열전도율이 높아야 한다.
3) 감온금속 온도휴즈의 질량 및 비열은 낮아야 한다.
4) 주위 공기의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고 열접촉이 용이해야 한다.
따라서, 1)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다수의 집열판으로 구성된 집열판(15)을 구성하며, 2)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집열판(15)의 재질은 구리, 알루미늄 등의 감온금속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3)과 4)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적정 범위(0.2~0.6mm) 내에서의 얇은 금속 판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3)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 베이스관의 내관(13)과 외관(12) 사이의 간격 또한 얇을수록 좋지만 물리적인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약 0.2~0.6mm의 범위로 만들어지고, 2)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고 용융재의 접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기 위해서 구리, 황동 등의 재질로 만들거나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지는 경우 주석 또는 니켈 도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관(11)의 내관(13)과 외관(12)은 동일한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3)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내관(13)는 원형 혹은 여러 가지 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는 비어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외관(12)와 내관(13)의 결합을 유지하고 있는 용융금속(14)은 전체가 녹아야지만 비로소 외관(12)와 내관(13)의 이탈이나 압축이 이루어지므로 집열vks(15)는 용융금속(14)와 동일한 면적 또는 그 이상의 면적에 구비되어야만 용융금속(14)의 일부가 늦게 녹아 동작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적용방식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방화댐퍼, 방연댐퍼 등 인장력이 요구되어지는 소방설비 및 소방장치에는 외관(12) 및 내관(13)에 고정구멍(16a)(16b)과 같이 고정에 필요한 구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압축력이 작용하는 스프링쿨러 등에는 원뿔 형상 등의 상대물에 적합한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집열판(15)의 형상은 도면 3과 같이 원형,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작된 감온금속 온도휴즈(10)는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화재로 인하여 발생하는 열은 다수의 집열판(15)에서 흡수되어 외관(12)로 전달되어 외관(12)과 함께 용융금속(14)가 가열되어 녹음으로 외관(12)과 내관(13) 이탈 혹은 압축되어 소방설비 혹은 소방장치가 동작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연시간을 단축한 소방용 감온금속 온도휴즈가 구비된 방화댐퍼의 일 실시 예로서, 화재가 발생하여 방화댐퍼(20) 내부의 온도가 올라가면 도면 5와 같이 본 발병에 따른 감온금속 온도휴즈의 용융금속(14)이 용융되어 내관(13)가 감온금속 온도휴즈(10)로부터 이탈하며 스프링(28)의 복원력에 의하여 방화댐퍼(20) 내의 상하부 차단판(23a)(23b)이 닫히게 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화재에 의한 열, 연기, 불꽃 등이 전기적으로 동작하는 컨트롤러에 의해서 감지되는 경우 컨트롤러에서 제공 되어진 전기신호로 외관(12)과 내관(13) 사이에 충진되어 있는 용융금속(14)이 용융되지 않은 상태에서 솔레노이드(17)의 가동축이 상부연결부재(24)의 고정구멍(16a)에 끼워진 상태에서 후퇴 함으로 솔레노이드(17)의 가동축이 상부연결부재(24)의 고정구멍(16a)에서 이탈됨으로 온도휴즈(10)는 하향으로 떨어지는 동시에 하부 차단판(23b)을 당기고 있던 스프링(28)의 당김력에 의해 하부차단판(23b)은 하부힌지축(22b)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세워지는 동시에 가이드 지지바(26)가 상부 차단판(23a)을 상부 힌지축(22a)을 중신으로 수직으로 세워지도록 함으로 방화댐퍼(20)의 연결관(21) 내부는 상하부 차단판(23a)(23b)에 의해 패쇄됨으로 화재지역의 연기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온도 휴즈(10)가 감온금속 물질인 용융금속(14)이 화재시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시점부터 분리되기까지의 시간을 기존의 휴즈와 함께 실험한 결과를 보면 아래의 표1과 같다.
구분(실험온도72℃) 시료 제품 A 시료제품 B 시료제품 C
본원발명
(온도 휴즈)

17.88초

18.2초

16.9초
기존제품
(온도 휴즈)

1분34초(94초)

1분27초(87초)

1분28초(88초)
이상 표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도휴즈(10)는 72℃에서 용융되어 분리되는 시간이 시료제품 A는 약18초(17.88초), 시료제품 B는 약18초(18.2초), 시료제품 C는 약16.9(약17초)초로서, 기존의 온도휴즈인 시료제품 A는 94초, 시료제품 B는 약87초, 시료제품은 C는 약88초에 비하여 평균 72초 더 빠르게 분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존의 휴즈에 비하여 72초 더 빠르게 분리되어 방화댐퍼를 차단한다면 이는 72초 동안 사람을 대피시킬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갖는 것으로 본원 발명은 화재시 재산손실과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10:온도휴즈 11:베이스관
12:외관 13:내관
14:용유금속 15:집열판
15a:결합홈 15b:돌출턱
16a, 16b:고정공 17:솔레노이드
20:방화댐퍼 21:연결관
22a:상부힌지축 22b:하부힌지축
23a:상부차단판 23b:하부차단판
24:상부연결부재 25:하부연결부재
26:지지바 28:스프링

Claims (6)

  1. 방화댐퍼(20) 연결관(21) 내면 중앙부 상부와 하부의 힌지축(22a)(22b)에 회전되도록 설치되어 방화 댐퍼를 폐쇄할 수 있도록 된 상하부 차단판(23a)(23b)과;상기 상부 차단판(23a)이 설치된 전방의 방화댐퍼(20) 외면 상부에 설치되어 연기감지기의 감지신호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솔레노이드(17)와;상기 상하부 차단판(23a)(23b) 일측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온도휴즈(10)가 분리시 상하부 힌지축(22a)(22b)을 중심으로 상하부 차단판(23a)(23b)이 방화댐퍼 연결관(21) 내부를 폐쇄시 가이드하는 지지바(26)와; 상기 하단 차단판(23b) 타측단에 연결되어 하부 힌지축(22b)을 중심으로 당겨 방화댐퍼 연결관(21) 내부가 상 하부 차단판(23a)(23b)으로 폐쇄되도록 하는 스프링(28)으로 구성된 방화구역 댐퍼차단 장치에 있어서,
    솔레노이드(17) 가동축과 상부 연결부재(24) 일측 단 고정구멍(16a)이 끼워지고 상부 연결부재(24) 타측단과 연결되어 연기감지기의 신호에 의해 분리 또는 화재시 열에 의해 외관(12)과 내관(13)이 분리되는 온도휴즈(10)를 설치하되,
    상기 외관과 내관이 분리되는 온도휴즈는,
    중앙부에 중공부를 형성하되 일측단부는 막히고, 타측 단부는 개방된 외관(12)과 내관(13)으로 이루어진 베이스관(11)과;
    상기 베이스관(11)을 이루는 외관(12)과 내관(13) 사이에 설치되어 소정의 온도에서 용융될 수 있도록 끼워진 용융금속(14)와;
    상기 베이스관(11)의 외관(12) 외면에 등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수평열과 수직열을 집열시킬 수 있도록 집열판(15)이 결합되어 온도휴즈(10)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차단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관(11)을 이루는 외관(12)의 막힌 단부와 내관(13)의 막힌 단부에 횡으로 고정구멍(16a)(16b)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차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관을 이루는 외관과 내관은, 사각형, 삼각형, 다각형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차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관의 외관 외면에 결합되는 집열판(15)은, 중앙부에 외관(12)이 끼워지는 직경 크기로 결합홈(15a)이 형성되고, 결합홈(15a) 테두리에는 돌출턱(15b)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차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관의 외관은, 고정구멍(16a)에 솔레노이드(17)의 가동축이 끼워져 화재시 연기 감지 신호에 의해 분리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차단 장치.
KR1020100008091A 2010-01-28 2010-01-28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 차단 장치 KR101264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091A KR101264862B1 (ko) 2010-01-28 2010-01-28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8091A KR101264862B1 (ko) 2010-01-28 2010-01-28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 차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262A KR20110088262A (ko) 2011-08-03
KR101264862B1 true KR101264862B1 (ko) 2013-05-14

Family

ID=449269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8091A KR101264862B1 (ko) 2010-01-28 2010-01-28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486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679B1 (ko) * 2017-05-10 2018-07-18 주식회사 파라텍 확산소화기
KR102193492B1 (ko) * 2020-07-01 2020-12-21 주식회사 라이프테크닉 회전제어구조를 갖는 과압 배출구
KR102193624B1 (ko) * 2020-06-16 2020-12-21 유성원 안전스톱퍼가 구비된 파이어댐퍼
KR20220027311A (ko) 2020-08-26 2022-03-08 지흥구 방화용 댐퍼 블레이드
KR20220027310A (ko) 2020-08-26 2022-03-08 지흥구 방화용 댐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8364B1 (ko) * 2014-07-01 2015-04-07 (주)파이터코리아 방화덕트 폐쇄용 자동소화기 연결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5696U (ko) * 1977-02-22 1978-09-14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15696U (ko) * 1977-02-22 1978-09-14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8679B1 (ko) * 2017-05-10 2018-07-18 주식회사 파라텍 확산소화기
KR102193624B1 (ko) * 2020-06-16 2020-12-21 유성원 안전스톱퍼가 구비된 파이어댐퍼
KR102193492B1 (ko) * 2020-07-01 2020-12-21 주식회사 라이프테크닉 회전제어구조를 갖는 과압 배출구
KR20220027311A (ko) 2020-08-26 2022-03-08 지흥구 방화용 댐퍼 블레이드
KR20220027310A (ko) 2020-08-26 2022-03-08 지흥구 방화용 댐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8262A (ko) 2011-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4862B1 (ko)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 차단 장치
CN111760221B (zh) 一种具有隔绝空气功能的配电柜阻燃装置
JP3170412U (ja) 火災消火装置
KR101999290B1 (ko)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
US9993675B2 (en) Pre-action sprinkler head
KR101731710B1 (ko) 화재의 초기 진압이 용이한 소방시스템
CN111714811A (zh) 一种数据服务器分级防火装置
JP2007517583A (ja) 料理用コンロトップ火災の自動鎮火モジュール
KR101380117B1 (ko) 덕트의 과압 배출 및 폐쇄 장치
KR100807078B1 (ko) 다수 자동확산형 수동식 소화기
KR20090002728U (ko) 접이식 수평 제연 경계벽 작동 장치
KR200411905Y1 (ko) 아파트 화재발생시 화염 확산 차단장치
JP2006122286A (ja) 消火装置
CN208858279U (zh) 一种防火百叶窗
KR200497704Y1 (ko) 확인창이 형성된 방화셔터
KR20120021588A (ko) 스프링클러 헤드
CN201963026U (zh) 一种负压引烟防火灾蔓延楼宇
CN114396223A (zh) 一种消防救援窗
CN106885239B (zh) 可快速熄灭倾倒防燃式安全酒精灯
CN216022878U (zh) 消防报警联动控制器
KR101047028B1 (ko) 스프링클러 헤드
CN205092438U (zh) 一种自动灭火的环控柜
KR100859583B1 (ko) 아파트 화재발생시 상층으로의 화염 유입 차단장치
CN116271665B (zh) 一种全自动消防系统
CN220849460U (zh) 一种具有密封阻烟功能的防火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