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9290B1 -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 - Google Patents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9290B1
KR101999290B1 KR1020180162404A KR20180162404A KR101999290B1 KR 101999290 B1 KR101999290 B1 KR 101999290B1 KR 1020180162404 A KR1020180162404 A KR 1020180162404A KR 20180162404 A KR20180162404 A KR 20180162404A KR 101999290 B1 KR101999290 B1 KR 101999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nishing
flue gas
ceil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천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80162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92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9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9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03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movable parts, e.g. pivoting panels, access d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08B17/125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by using a video camera to detect fire or smok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6/00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 G08B26/001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with individual interrogation of substations connected in parallel
    • G08B26/003Alarm systems in which substations are interrogated in succession by a central station with individual interrogation of substations connected in parallel replying the identity and the state of the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의 발생을 확인 및 진압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는 건축물의 천정을 마감하는 복수 개의 천정마감조립체, 상기 천정마감조립체와 상기 건축물의 천장의 사이에 형성되어 화재에 따른 연기가 수용되는 배연공간, 상기 복수 개의 천정마감조립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연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배연패널, 상기 배연패널의 둘레에 위치된 상기 천정마감조립체에서 상기 배연패널을 고정 및 고정을 해제하고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스토퍼, 상기 배연패널과 상기 천정마감조립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스토퍼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천정마감조립체의 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배연공간을 개방한 상태로 상기 배연패널을 상기 천정마감조립체에서 지지하는 강선, 상기 배연패널의 저면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의 감지 시 상기 배연패널이 상기 배연공간을 개방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스토퍼를 작동시키는 제어감지기, 상기 제어감지기에 설치되어 발화점을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으로 화재가 발생된 부분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서 촬영된 열화상 영상을 무선통신하여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열화상 영상에서 발화점을 검출하는 관제서버, 상기 발화점의 근방에 위치된 스프링쿨러가 작동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상기 스프링쿨러의 방화수 분사를 제어하는 개별작동밸브, 및 상기 배연패널과 대응되는 배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배연공간의 개방 시 상기 배연공간으로 연기의 유입을 유도하는 배연유도팬을 포함하고, 상기 천정마감조립체는 화재에 의한 소실되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프링쿨러로 공급되는 방화수의 일부를 가둬 온도를 낮추고, 천정을 마감하는 마감수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A Fire-fighting apparatus}
본 발명은 화재의 발생을 확인 및 진압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의 발생 시 유해 가스와 화염에 의해 많은 인명피해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건물에는 화재를 감지하여 경고기를 작동시키는 화재감지기와 스프링쿨러가 설치되지만, 화재감지기는 화재만을 감지하고, 스프링쿨러는 방화수에 의한 화재만 진압할 뿐, 화재의 발생에 따른 연기를 처리하지 못해 인명피해를 감소시키기에는 다소 역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93364호(2018.9.4.공고)의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소방용 방재장치는 장과 마감재 사이에 배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할 수 있게 마감재의 구멍에 설치되는 덕트; 덕트에 설치되어 외부의 공기를 강제흡입하는 흡기팬; 마감재의 구멍을 관통하여 덕트에 삽탈가능하게 끼워지는 마개와, 마개의 상단에 얹혀지는 링과, 덕트로부터 외부공기를 주입받을 수 있게 상단이 링에 고정된 상태로 마개의 내부에 수용되며, 마개의 이탈시 함께 낙하하면서 펼쳐져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는 나팔관형상의 난연성재질의 커튼부와, 커튼부의 하단에 설치되는 다수의 무게추로 구성된 제연커튼유닛; 마개를 고정 및 해제하는 솔레노이드; 마감재에 설치되어 연기를 감지해 신호를 출력하는 연기감지센서; 마감재에 설치되어 열을 감지해 신호를 출력하는 열감지센서; 커튼부와 주변으로 소방수를 분사하는 노즐을 갖추고서 천장과 마감재 사이에 배치되어 소방수를 노즐로 공급하는 소방수이송라인; 소방수이송라인에 설치되어 소방수이송라인의 내부를 개폐하는 전자밸브; 연기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의 공기가 덕트를 통해 커튼부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흡기팬을 동작제어하고, 마개가 구멍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솔레노이드를 동작제어하며, 열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아 소방수이송라인을 따라 소방수가 이송되어 노즐을 통해 분사될 수 있게 전자밸브를 동작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소방용 방재장치는 실내에서 화재가 일어났을 때 이를 즉각적으로 감지하여 실내에 있는 사람이 안전하게 구조될 때까지 열과 연기로부터 잠시 대피할 수 있는 안전가옥을 만들어 줌으로서 열에 의한 화상 및 연기로 인한 질식사고의 위험으로부터 실내에 있는 사람들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소방용 방재장치는 센서의 감지만으로 발화점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려우며, 화재의 발생시 모든 스프링쿨러에서 방화수가 분사되어 집기들이 방화수에 의해 손상될 뿐만 아니라, 질식사고만을 방지할 뿐, 화재진압은 스프링쿨러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화재의 진압효과가 크지 않으며, 화재시 발생하는 연기를 처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재의 발생 시 마감재가 불에 타면서 무너져 진입 또는 탈출 통로를 막아 탈출 또는 진입의 지연에 따른 화재의 번짐 또는 인명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덕트의 설치로 인한 설비비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발화점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화점의 주변에 설치된 스프링쿨러를 작동시켜 전체 스프링쿨러의 작동으로 인한 집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덕트를 설치하지 않고 배연시켜 설비비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마감재가 불에 타는 것을 최소화시켜 마감재의 붕괴로 인한 탈출 또는 진입통로의 막힘을 최소화할 수 있는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화재의 번짐 시 스프링쿨러 외의 추가적인 수단에 의해 방화수를 분사하여 화재진압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는 건축물의 천정을 마감하는 복수 개의 천정마감조립체, 상기 천정마감조립체와 상기 건축물의 천장의 사이에 형성되어 화재에 따른 연기가 수용되는 배연공간, 상기 복수 개의 천정마감조립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연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배연패널, 상기 배연패널의 둘레에 위치된 상기 천정마감조립체에서 상기 배연패널을 고정 및 고정을 해제하고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스토퍼, 상기 배연패널과 상기 천정마감조립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스토퍼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천정마감조립체의 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배연공간을 개방한 상태로 상기 배연패널을 상기 천정마감조립체에서 지지하는 강선, 상기 배연패널의 저면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의 감지 시 상기 배연패널이 상기 배연공간을 개방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스토퍼를 작동시키는 제어감지기, 상기 제어감지기에 설치되어 발화점을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으로 화재가 발생된 부분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서 촬영된 열화상 영상을 무선통신하여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열화상 영상에서 발화점을 검출하는 관제서버, 상기 발화점의 근방에 위치된 스프링쿨러가 작동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상기 스프링쿨러의 방화수 분사를 제어하는 개별작동밸브, 및 상기 배연패널과 대응되는 배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배연공간의 개방 시 상기 배연공간으로 연기의 유입을 유도하는 배연유도팬을 포함하고, 상기 천정마감조립체는 화재에 의한 소실되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프링쿨러로 공급되는 방화수의 일부를 가둬 온도를 낮추고, 천정을 마감하는 마감수조를 포함한다.
상기 마감수조는 상기 방화수를 가두도록 측면 둘레를 따라 세워지는 측벽프레임, 및 상기 측벽프레임의 바닥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측벽프레임의 중앙에서 복수 개로 분할된 형태로 상기 측벽프레임에서 둘레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밀폐 시 천정을 마감함과 동시에 상기 방화수를 가둬두며, 개방 시 상기 마감수조에 가둔 방화수를 하부로 배출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복수 개의 마감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정마감조립체는 상기 마감패널의 끝단이 모인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마감패널이 밀폐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고정구에서 상기 마감수조의 내부로 돌출되는 나사부, 및 상기 마감수조의 내부에서 상기 나사부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스프링쿨러에서 방화수를 공급받는 분기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마감수조의 내부로 방화수를 분사하여 공급하는 공급구가 형성된 공급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는 화재의 발생 시 열에 의해 융해되면서 상기 상기 공급관부에서 상기 고정구가 이탈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열가소성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감지기의 설치위치와 열화상 카메라에 의해 발화점을 명확히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화점을 중심으로 주변에 위치된 스프링쿨러에서만 방화수를 분사하여 전체적은 스프링쿨러의 작동에 따른 집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화재의 발생 시 천정마감조립체에 방화수가 공급되어 천정마감조립체가 불에 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천정마감조립체의 붕괴를 최소화시켜 진입 또는 탈출을 위한 진입통로를 막아 진입 또는 탈출 지연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화재의 번짐 시 방화수를 수용하는 마감수조가 개방되면서, 저장된 방화수를 분출하여 화재의 진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스프링쿨러 외에 공급관부를 통해서도 방화수를 분사하여 화재의 진압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재의 발생 시 천정마감조립체와 천정의 사이에 형성된 배기공간으로 배연함으로써, 배연덕트의 설치로 따른 설비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를 구성하는 천정마감조립체를 도시한 사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를 구성하는 천정마감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를 구성하는 천정마감조립체의 측단면도로서, 고정구가 분리된 상태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를 구성하는 배연패널을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100)는 천정마감조립체(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천정마감조립체(110)는 건축물의 천정에 복수 개가 배열되어 건축물의 천정을 마감할 수 있다.
천정마감조립체(110)는 내부에 방화수를 수용할 수 있으며, 화재의 발생 시 수용된 방화수에 의해 천정마감조립체(110)가 소실되면서 바닥으로 낙하됨에 따라 탈출 또는 화재진압이 지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천정마감조립체(110)는 마감수조(111), 고정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감수조(111)는 천정을 마감하는 동시에 방화수를 수용할 수 있으며, 마감수조(111)는 측벽프레임(113)과 마감패널(112)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프레임(113)은 마감수조(111)의 사각의 측벽을 이루도록 사각의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마감패널(112)은 측벽프레임(113)의 바닥을 밀폐하는 구성으로서, 측벽프레임(113)에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마감패널(112)은 측벽프레임(113)의 바닥을 밀폐한 상태에서는 천정을 마감할 수 있으며, 측벽프레임(113)의 바닥을 개방한 상태에서는 마감수조(111)에 수용된 방화수를 하부로 배출할 수 있다.
마감패널(112)은 측벽프레임(113)의 중앙을 중심으로 복수 개로 분할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측벽프레임(113)과 마감패널(112)이 접하는 부분에는 힌지부가 설치되어 마감패널(112)이 측벽프레임(113)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마감패널(112)은 측벽프레임(113)의 중앙을 중심으로 분할되는 형태로 형성되고 힌지부에 의해 결합되어 마감패널(112)이 마감수조(111)의 바닥을 밀폐할 때에는 복수 개의 마감패널(112)의 자유단이 마감패널(112)의 중앙에 모이도록 위치되고, 바닥을 개방하도록 회전할 때에는 측벽프레임(113)의 중앙에서 자중에 의해 측벽프레임(113)과 직선상에 위치되도록 하향회전할 수 있다.
한편, 마감패널(112)의 둘레에는 측벽프레임(113)의 바닥을 밀폐 시 마감수조(111)에 수용되는 방화수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성을 갖는 재료 예컨대, 고무, 우레탄, 실리콘 등으로 형성된 기밀씰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마감패널(112)은 측벽프레임(113)의 바닥을 밀폐한 상태에서 인접한 마감패널(112)들과의 사이, 및 측벽프레임(113)과 마감패널(112)의 사이에 실리콘에 의해 기밀처리 될 수 있다.
물론, 실리콘은 방화수의 기밀만 수행할 뿐 하기에 설명될 고정구(120)의 이탈 시 실리콘이 마감패널(112)에서 분리되면서 회전할 수 있으며, 화재가 발생한 상태이기 때문에 마감패널(112)들과 측벽프레임(113)의 틈으로 방화수가 새어도 문제되지 않는다.
그리고, 마감패널(112)은 바닥을 밀폐한 상태에서 마감패널(112)의 둘레가 인접한 마감패널(112)의 둘레와 일부 겹쳐지도록 단턱을 형성하여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감패널(112)은 불에 쉽게 타지 않는 난연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마감수조(111)의 상부에는 마감수조(111)를 가로지르는 지지프레임(114)이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114)은 건축물의 천정에 고정된 앵커볼트(210)에 고정되어 천정마감조립체(110)를 천정의 하부로 이격된 상태에서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마감패널(112)의 저면에는 천정을 마감하기 위한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120)는 마감패널(112)이 측벽프레임(113)의 바닥을 밀폐한 상태 즉, 마감수조(111)의 바닥을 밀폐한 상태로 마감패널(112)을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구(120)는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마감패널(112)의 끝단이 모인 중앙부분의 저면에 위치되어 마감패널(112)이 마감수조(111)의 바닥을 밀폐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다.
고정구(120)는 나사부(121)와 공급관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나사부(121)는 고정구(120)의 중앙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마감수조(111)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나사부(121)는 외면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공급관부(123)는 내부가 빈 파이프의 형태로 공급관부(123)의 내주에 나사체결될 수 있으며, 공급관부(123)는 배관라인(230)에서 스프링쿨러(145)로 공급되는 방화수의 일부를 공급하는 분기호스(127)가 연결될 수 있다.
공급관부(123)의 하부에는 분기호스(127)를 통해 공급되는 방화수를 마감수조(111)의 내부로 공급하도록 방화수를 분사하는 공급공(124)이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급공(124)은 대각선의 방향으로 하향분사되도록 경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공급관부(123)에 체결되는 나사부(121)는 공급관부(123)의 하단부분에서 상태에서 공급공(124)을 막지 않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나사부(121)는 화재시 열에 융해되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구(120)는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형성되고, 공급관부(123)는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부(121)가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형성되는 경우, 화재의 발생 시 고정구(120)가 화염에 의해 가열되고, 고정구(120)와 공급관부(123)를 연결하였던 나사부(121)가 용융되면서 고정구(120)가 이탈되어 마감패널(112)의 고정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급관부(123)에는 개방스프링(125)이 설치되어 고정구(120)에 의해 마감패널(112)이 고정된 상태에서 고정구(120)의 분리 시 탄성력에 의해 마감패널(112)을 지지할 수 있다.
개방스프링(125)은 공급관부(123)에 끼워져 일단은 마감패널(112)에 지지되고, 타단은 지지프레임(114)에 지지되며, 마감패널(112)이 마감수조(111)의 바닥을 밀폐한 상태에서는 압축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개방스프링(125)은 압축되면 탄성력이 발생하는 압축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100)는 배연공간(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배연공간(130)은 천정마감조립체(110)와 건축물의 천정 사이에 형성되어 화재에 의해 발생하는 연기를 배연할 수 있다.
한편, 배연공간(130)은 천정마감조립체(110)를 천정에서 이격시켜 고정하는 앵커볼트(210)에 의해 형성될 수 있으며, 배연공간(130)은 천정을 마감하는 천정마감조립체(110)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한 상태에서 그 제거된 천정마감조립체(110)가 설치될 부분으로 연기가 유입되고, 배연공간(130)과 대응되는 건축물의 측벽에는 외부로 배연하는 배기구가 형성되어 제거된 천정마감조립체(110)가 위치된 부분으로 연기가 유입되어 배기구를 통해 배기도리 수 있다.
여기서, 배연공간(130)은 별도의 배연덕트를 설치한 것이 아니라, 천정마감조립체(110)와 건축물의 천정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서, 배연덕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시공성 및 설비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100)는 배연패널(1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배연패널(140)은 천정마감조립체(110)로 구획된 배연공간(130)과 실내공간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배연패널(140)은 미리 설정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천정을 마감하는 천정마감조립체(110) 중 어느 하나를 제거하고, 그 제거된 부분에 설치되어 배연공간(130)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배연패널(140)은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천정마감조립체(11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배연패널(140)은 난연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배연패널(140)은 천정마감조립체(110)의 사이에서 바닥을 향해 하부로 이격되어 배연공간(130)을 개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100)는 솔레노이드스토퍼(1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솔레노이드스토퍼(141)는 배연패널(140)에 설치되어 배연공간(130)을 밀폐한 상태에서 배연패널(1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솔레노이드스토퍼(141)는 전자석에 의해 플런져가 출몰하는 공지된 솔레노이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스토퍼(141)는 배연패널(140)의 가장자리를 따라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스토퍼(141)는 플런져가 돌출된 상태에서 배연패널(140)의 둘레에 인접한 마감패널(112)조립체(110)의 상단에 걸쳐져 고정되고, 마감패널(112)조립체(110)에 걸쳐진 플런져가 전기적인 작동에 의해 삽입되면 고정이 해제될 수 있다.
솔레노이드스토퍼(141)는 하기에 설명될 제어감지기(15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100)는 강선(1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강선(143)은 배연패널(140)과 인접한 마감패널(112)조립체(110)를 연결할 수 있다.
강선(143)은 배연패널(140)의 둘레와 배연패널(140)과 인접한 마감패널(112)조립체(110)의 둘레에 연결될 수 있으며, 강선(143)은 배연패널(140)이 배연공간(130)을 밀폐한 상태에서는 배연패널(140)이 배연공간(130)을 개방할 길이만큼 여유를 가지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강선(143)은 솔레노이드스토퍼(141)의 작동에 따라 배연패널(140)이 배연공간(130)을 개방할 때, 배연패널(140)이 자중에 의해 하부로 낙하는 배연패널(140)을 지지하는 형태로 배연패널(140)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천정마감조립체(110)에서 배연패널(140)이 하부로 이격된 거리만큼 배연공간(130)으로 연기가 흡입되는 흡입구를 형성할 수 있다.
강선(143)은 화염에 의해 불이 타지 않는 금속와이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강선(143)은 복수 개를 꼬아 제작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100)는 제어감지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제어감지기(150)는 화재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감지기(150)는 배연패널(140)의 저면에 위치될 수 있으며, 제어감지기(150)는 화재의 발생 시 배연패널(140)이 배연공간(130)을 개방하도록 솔레노이드스토퍼(141)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감지기(150)는 화재감지센서(151)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151)는 화재의 발생을 감지할 수 있으며, 제어감지기(150)는 미리 설정된 이상의 온도가 감지될 경우, 감지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감지센서(151)는 온도만 감지하는 것이 아니라, 연기도 함께 감지하여 화재의 발생에 따른 감지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151)는 열전대식 열반도체식,광전식 등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회재감지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제어감지기(150)는 컨트롤러(15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53)는 화재감지센서(151)에서 감지신호가 발생된 경우, 감지신호에 따라 배연패널(140)이 배연공간(130)을 개방하도록 솔레노이드스토퍼(141)를 제어할 수 있으며, 컨트롤러(153)는 무선통신부(154)를 포함하여, 감지신호를 무선통신부(154)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무선통신부(154)는 인터넷통신망 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감지신호를 외부로 발신할 수 있으며, 무선통신부(154)는 WI-FI, ZigBee, WLAN, BLUETOOTH 등의 통신방법에 의해 외부와 통신할 수 있다.
제거감지기는 열화상 카메라(155)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열화상 카메라(155)는 화재의 발생 시 작동하여 발화점을 파악할 수 있도록 실내의 열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열화상 카메라(155)는 열의 발생에 따른 적외선을 촬영하는 적외선 카메라로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열화상 카메라(155)는 촬영된 열화상을 컨트롤러(153)로 제공하고, 컨트롤러(153)는 무선통신부(154)를 통해 열화상을 외부로 전송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100)는 관제서버(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관제서버(180)는 제어감지기(150)의 무선통신부(154)와 무선통신하여 제어감지기(150)에서 화재의 감지시 발신되는 감지신호 및 열화상 카메라(155)에서 촬영한 열화상을 수신할 수 있다.
관제서버(180)는 무선통신부(154)와 동일한 무선통신방법에 의해 수신하는 무선통신모듈이 설치될 수 있으며, 관제서버(180)는 감지신호를 제공받아 화재의 발생을 화재경보기를 통해 건축물 전체로 알릴 수 있다.
그리고, 관제서버(180)는 열화상 카메라(155)에서 촬영된 열화상을 제공받아 발화점을 검출할 수 있다.
예컨대, 관제서버(180)는 열화상 카메라(155)에서 촬영된 열화상에서 가장 높은 온도색으로 표현된 부분이 발화점이라고 판단하고, 발화점의 위치를 관제서버(180)에 미리 저장된 건축물의 도면 또는 미리 저장된 건축물의 그래픽 모형에 표시하는 형태로 발화점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제어감지기(150)가 감지신호를 발신 시 제어감지기(150)의 정보를 함께 발신하고, 관제서버(180)는 제어감지기(150)의 정보에 따라 감지신호를 발생한 제어감지기(150)의 위치를 참고하여 정확한 발화점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관제서버(180)는 열화상 카메라(155)에서 촬영되는 영상은 온도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기 때문에 촬영된 열화상에서 높은 온도색상을 갖는 부분이 발화점이라고 판단하고, 감지신호에서 발생된 제어감지기(150)의 설치위치를 조합하여 정확한 발화점을 판단할 수 있다.
한편, 관제서버(180)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해 무선통신모듈을 통해 스프링쿨러(145)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신하여 하기에 설명될 개별작동밸브(16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100)는 개별작동밸브(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개별작동밸브(160)는 방화수를 공급하는 배관라인(230)에 설치되어 배관라인(230)에 연결된 스프링쿨러(145)로 방화수를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배관라인(230)에는 복수 개의 스프링쿨러(145)가 설치될 수 있으며, 개별작동밸브(160)는 각 스프링쿨러(145)에서 개별적으로 방화수를 공급 또는 차단하도록 배관라인(230)에서 각 스프링쿨러(145)로 방화수를 공급하기 위해 분기된 분기라인(231)마다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쿨러(145)는 배연패널(140)에 설치되어 배연패널(140)의 하부로 방화수를 분사하도록 설치되고, 배연패널(140)에 설치된 스프링쿨러(145)와 분기라인(231)은 플랙시블한 연결호스로 연결되어 연결호스를 통해 분기라인(231)으로 분기된 방화수가 스프링쿨러(145)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연결호스는 스프링쿨러(145)가 배연패널(140)에 연결되기 때문에 배연패널(140)이 배기공간을 개방하도록 이동하는 거리를 염두하여 이동하는 거리보다 더 긴길이의 여유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분기라인(231)에는 천정마감조립체(110)의 공급관부(123)로 방화수를 공급하기 위한 조립체(110)공급구가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조립체(110)공급구와 공급관부(123)는 플랙시블한 분기호스(127)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분기호스(127)는 배기패널을 중심으로 배기패널의 둘레에 위치된 천정마감조립체(110)에만 연결되어 개별작동밸브(160)에 의해 복수 개의 스프링쿨러(145) 중 어느 한 스프링쿨러(145)로만 방화수가 공급될 경우, 그 스프링쿨러(145)가 설치된 배기패널의 주변에 위치된 천정마감조립체(110)로만 방화수를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각 개별작동밸브(160)는 관제서버(180)에서 발신되는 제어신호를 송신받아 작동하도록 무선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모든 개별작동밸브(160)가 하나의 무선통신모듈에서 제어신호를 받아 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작동하는 경우, 화재 시 무선통신모듈이 소실되면 모든 개별작동밸브(160)가 작동하지 않기 때문에, 각 개별작동밸브(160)에 무선통신모듈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100)는 배연유도팬(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배연유도팬(170)은 화재의 발생 시 발생하는 연기가 배연공간(130)으로 유입되도록 배연을 유도할 수 있다.
배연유도팬(170)은 배연패널(140)과 대응되는 배연공간(130)에 위치되어 회전함에 따라 배연패널(140)에 의해 개방된 부분으로 연기를 흡입하여 배연공간(130)으로 토출할 수 있다.
그리고, 배연유도팬(170)은 분기라인(231)과 스프링쿨러(145)를 연결하는 연결호스에 결합되어 분기라인(231)을 통해 스프링쿨러(145)로 공급되는 방화수의 공급압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예컨대, 배연유도팬(170)은 일측에 방화수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유입된 방화수가 배출되는 토출구가 형성된 팬케이싱과, 팬케이싱의 내부에 설치되어 유입구에서 토출구로 지나는 유체에 의해 회전하며 배연유도팬(170)을 회전시키는 수차를 포함하고, 유입구는 분기라인(231)과 연결호스에 의해 연결되며, 토출구는 연결호스에 의해 스프링쿨러(145)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배연유도팬(170)은 분기라인(231)을 통해 방화수가 공급되면, 팬케이싱의 유입구로 유입된 방화수가 토출구로 토출되면서, 수차를 회전시켜 배연유도팬(170)을 회전시키고, 스프링쿨러(145)를 통해 분사되기 때문에 전기 사용을 배제하여 배연유도팬(170)에 의한 배연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배연유도팬(170)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각 구성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100)는 천정을 마감하도록 천정에 설치된 앵커볼트(210)에 의해 천정에서 천정마감조립체(110)가 이격되도록 복수 개의 천정마감조립체(110)를 설치한다.
그리고, 천정마감조립체(110)를 설치할 미리 설정한 한 부분에는 천정마감조립체(110) 대신 배연패널(140)을 설치한다.
배연패널(140)에는 스프링쿨러(145)와 제어감지기(1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어감지기(150)에는 화재감지센서(151)와 컨트롤러(153), 및 열화상 카메라(155)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배연패널(140)은 솔레노이드스토퍼(141)의 플런져가 인접한 천정마감조립체(110)의 상단에 걸쳐지도록 설치하고, 배연패널(140)과 천정마감조립체(110)를 강선(143)에 의해 연결한다.
또한, 천정과 천정마감조립체(110)의 사이에 형성된 배연공간(130)에는 배관라인(230)이 설치되며, 배관라인(230)의 분기라인(231)에는 연결호스에 의해 스프링쿨러(145)와 연결되며, 연결호스에는 배연유도팬(170)이 설치된다.
그리고, 분리라인에 형성된 조립체(110)공급구와 천정마감조립체(110)의 공급관부(123)는 분기라인(231)에 의해 서로 연결되며, 분기라인(231)에는 개별작동밸브(160)가 설치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100)는 화재가 발생하여 제어감지기(150)의 화재감지센서(151)가 감지하면, 화재감지센서(151)는 감지신호를 발생하여 컨트롤러(153)로 제공하고, 컨트롤러(153)는 솔레노이드스토퍼(141)에 전원을 인가하여 솔레노이드스토퍼(141)를 작동시킨다.
솔레노이드스토퍼(141)가 작동하면, 솔레노이드스토퍼(141)의 플런져가 내부로 삽입되면서, 배연패널(140)이 하부로 떨어지며, 배연공간(130)을 개방한다.
이때, 배연패널(140)은 강선(143)에 의해 인접한 천정마감조립체(110)에 연결되기 때문에 바닥으로 떨어지진 않는다.
한편, 컨트롤러(153)에 감지신호가 전달되면, 솔레노이드스토퍼(141)의 작동과 함께 열화상 카메라(155)가 동작하여 열화상을 촬영하고, 열화상 카메라(155)에 의해 촬영된 열화상과 감지신호를 무선통신부(154)를 통해 외부로 발신한다.
그리고, 관제서버(180)는 열화상 카메라(155)에서 촬영된 열화상의 온도에 따라 다른 색상의 차이와 감지신호에 포함된 화재를 감지한 제어감지기(150)의 설치 위치 정보를 조합하여 발화점을 판단한다.
관제서버(180)가 발화점을 판단하면, 화재경보기를 작동시켜 건물 내에 화재가 발생했음을 알림과 동시에 화재가 발생한 발화점 뿐만 아니라, 발화점을 중심으로 주변에 설치된 스프링쿨러(145)가 작동하도록 제어신호를 발신하고, 발신된 제어신호는 개별작동밸브(160)가 수신하여 작동할 스프링쿨러(145)로 방화수를 분기하여 공급하는 분기라인(231)을 개방한다.
그리고, 분기라인(231)을 통해 공급되는 방화수는 연결호스를 통해 배연유도팬(170)을 거쳐 스프링쿨러(145)를 통해 방화수를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한다.
그리고, 배연유도팬(170)이 방화수의 압력에 의해 회전하면, 배연패널(140)에 의해 개방된 배연공간(130)으로 화재의 발생시 발생하는 연기가 유입되고, 배연공간(130)으로 유입된 공기는 배기구를 통해 건물의 외부로 배기된다.
한편, 개별작동밸브(160)에 의해 분기라인(231)이 개방되면, 배연유도팬(170)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조립체(110)공급구에 연결된 분기호스(127)에 의해 공급관부(123)로 공급되며, 공급관부(123)로 공급되는 방화수는 공급공(124)을 통해 마감수조(111)로 공급된다.
여기서, 마감수조(111)로 공급되는 방화수는 마감패널(112)의 온도를 낮춰 마감패널(112)이 화염에 의해 소각되면서 마감패널(112)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방관들이 화재의 진압을 위해 건물내로 진입하거나, 거주자가 탈출할 때 방해요소로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가 진압되지 않고 계속 발생하는 경우, 화염이 고정구(120)를 가열하고, 고정구(120)는 나사부(121)로 열전달되면서, 나사부(121)가 용융되고, 나사부(121)가 용융되면 공급관부(123)에 연결되었던 고정구(120)가 이탈됨과 동시에 개방스프링(125)의 압축되었던 상태에서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마감패널(112)이 하부로 회전하며 마감수조(111)의 바닥을 개방한다.
마감패널(112)이 마감수조(111)의 하부를 개방하면, 천정마감조립체(110)의 소실을 방지하기 위해 공급되었던 방화수가 함께 쏟아지며, 스프링쿨러(145)와 함께 화재를 진압한다.
이때, 공급관부(123)를 통해 마감수조(111)의 내부로 공급되던 방화수도 스프링쿨러(145)와 함께 방화수를 분사하며,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100)는 화재의 발생 시 제어감지기(150)가 열화상 카메라(155)에서 제공되는 열화상과 감지신호를 관제서버(180)로 제공하여 열화상과 제어감지기(150)의 설치 위치정보를 기초로 발화점을 명확히 확인할 수 있으며, 발화점이 확인된 주변에서만 방화수를 분사하여 전체적인 방화수 분사에 따른 집기의 파손을 최소할 수 있다.
또한, 천정마감조립체(110)에 방화수가 공급되어 천정마감조립체(110)의 소실로 인한 낙하하면서 진입통로 또는 탈출통로를 막아 화재진압을 위한 진입 또는 탈출의 방해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신속한 진입 또는 탈출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재의 확대 시 마감수조(111)의 바닥을 밀폐하는 마감패널(112)이 개방되어 마감수조(111)에 저장된 방화수를 하부로 배출하여 화재진압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마감패널(112)이 개방된 상태에서 스프링쿨러(145)와 함께 공급관부(123)를 통해 방화수를 분사하여 화재진압의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별도의 배연덕트를 설치할 필요 없이 천정과 천정마감조립체(110)의 사이를 배연공간(130)으로 사용하여 배연을 위한 설비비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소방용 방재 장치 110: 천정마감조립체
111: 마감수조 112: 마감패널
113: 측벽프레임 114: 지지프레임
120: 고정구 121: 나사부
123: 공급관부 124: 공급공
125: 개방스프링 127: 분기호스
130: 배연공간 140: 배연패널
141: 솔레노이드스토퍼 143: 강선
145: 스프링쿨러 150: 제어감지기
151: 화재감지센서 153: 컨트롤러
154: 무선통신부 155: 열화상 카메라
160: 개별작동밸브 170: 배연유도팬
180: 관제서버 210: 앵커볼트
230: 배관라인 231: 분기라인

Claims (3)

  1. 건축물의 천정을 마감하는 복수 개의 천정마감조립체,
    상기 천정마감조립체와 상기 건축물의 천장의 사이에 형성되어 화재에 따른 연기가 수용되는 배연공간,
    상기 복수 개의 천정마감조립체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배연공간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배연패널,
    상기 배연패널의 둘레에 위치된 상기 천정마감조립체에서 상기 배연패널을 고정 및 고정을 해제하고 전기적으로 작동하는 솔레노이드스토퍼,
    상기 배연패널과 상기 천정마감조립체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솔레노이드스토퍼의 고정이 해제되면 상기 천정마감조립체의 하부로 이격되어 상기 배연공간을 개방한 상태로 상기 배연패널을 상기 천정마감조립체에서 지지하는 강선,
    상기 배연패널의 저면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고, 화재의 감지 시 상기 배연패널이 상기 배연공간을 개방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스토퍼를 작동시키는 제어감지기,
    상기 제어감지기에 설치되어 발화점을 검출하기 위해 적외선으로 화재가 발생된 부분을 촬영하는 열화상 카메라, 및
    상기 열화상 카메라에서 촬영된 열화상 영상을 무선통신하여 제공받고, 제공받은 상기 열화상 영상에서 발화점을 검출하는 관제서버,
    상기 발화점의 근방에 위치된 스프링쿨러가 작동하여 화재를 진압하도록 상기 스프링쿨러의 방화수 분사를 제어하는 개별작동밸브, 및
    상기 배연패널과 대응되는 배연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배연공간의 개방 시 상기 배연공간으로 연기의 유입을 유도하는 배연유도팬을 포함하고,
    상기 천정마감조립체는
    화재에 의한 소실되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스프링쿨러로 공급되는 방화수의 일부를 가둬 온도를 낮추고, 천정을 마감하는 마감수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수조는
    상기 방화수를 가두도록 측면 둘레를 따라 세워지는 측벽프레임, 및
    상기 측벽프레임의 바닥을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측벽프레임의 중앙에서 복수 개로 분할된 형태로 상기 측벽프레임에서 둘레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밀폐 시 천정을 마감함과 동시에 상기 방화수를 가둬두며, 개방 시 상기 마감수조에 가둔 방화수를 하부로 배출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복수 개의 마감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마감조립체는
    상기 마감패널의 끝단이 모인 하부를 지지하여 상기 마감패널이 밀폐한 상태로 고정하는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구는
    상기 고정구에서 상기 마감수조의 내부로 돌출되는 나사부, 및
    상기 마감수조의 내부에서 상기 나사부에 나사체결되고, 상기 스프링쿨러에서 방화수를 공급받는 분기호스가 연결되며, 상기 마감수조의 내부로 방화수를 분사하여 공급하는 공급구가 형성된 공급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부는 화재의 발생 시 열에 의해 융해되면서 상기 상기 공급관부에서 상기 고정구가 이탈되어 상기 마감패널의 고정을 해제하도록 열가소성재료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
KR1020180162404A 2018-12-14 2018-12-14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 KR1019992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404A KR101999290B1 (ko) 2018-12-14 2018-12-14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404A KR101999290B1 (ko) 2018-12-14 2018-12-14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9290B1 true KR101999290B1 (ko) 2019-07-11

Family

ID=67254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404A KR101999290B1 (ko) 2018-12-14 2018-12-14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929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6742B1 (ko) * 2021-03-03 2021-08-06 (주)건축사사무소건일종합기술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CN114484664A (zh) * 2021-12-31 2022-05-13 安徽悦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过滤净化功能的车库消防排风设备
KR102423972B1 (ko) 2021-08-26 2022-07-26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US11545014B1 (en) 2020-08-18 2023-01-03 ArchAngel Fire Systems Holdings, LLC Fire detec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their use
KR102591000B1 (ko) * 2022-06-15 2023-10-20 (주)서영티이씨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층간 차단 시스템
CN117122847A (zh) * 2023-08-17 2023-11-28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安全监测装置及其监测方法
CN117605214A (zh) * 2024-01-22 2024-02-27 四川省材科院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吊顶及安装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646B1 (ko) * 2006-09-27 2007-09-17 민병창 건축용 조립식 패널 시공구조
JP2011239834A (ja) * 2010-05-14 2011-12-01 Shimizu Corp 機械排煙設備
KR101636738B1 (ko) * 2016-02-23 2016-07-20 (주)세정이에프씨 방화구역용 스프링클러 감시 시스템
KR101863516B1 (ko) * 2017-12-04 2018-06-29 (주) 미래이앤지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1893364B1 (ko) * 2017-12-14 2018-09-04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646B1 (ko) * 2006-09-27 2007-09-17 민병창 건축용 조립식 패널 시공구조
JP2011239834A (ja) * 2010-05-14 2011-12-01 Shimizu Corp 機械排煙設備
KR101636738B1 (ko) * 2016-02-23 2016-07-20 (주)세정이에프씨 방화구역용 스프링클러 감시 시스템
KR101863516B1 (ko) * 2017-12-04 2018-06-29 (주) 미래이앤지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1893364B1 (ko) * 2017-12-14 2018-09-04 주식회사 서광이에프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45014B1 (en) 2020-08-18 2023-01-03 ArchAngel Fire Systems Holdings, LLC Fire detection devices and systems and methods for their use
KR102286742B1 (ko) * 2021-03-03 2021-08-06 (주)건축사사무소건일종합기술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KR102423972B1 (ko) 2021-08-26 2022-07-26 주식회사 진명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의 소방 배관 설치구조
CN114484664A (zh) * 2021-12-31 2022-05-13 安徽悦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过滤净化功能的车库消防排风设备
CN114484664B (zh) * 2021-12-31 2023-10-20 安徽悦达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过滤净化功能的车库消防排风设备
KR102591000B1 (ko) * 2022-06-15 2023-10-20 (주)서영티이씨 공동주택 화재발생시 층간 차단 시스템
CN117122847A (zh) * 2023-08-17 2023-11-28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安全监测装置及其监测方法
CN117122847B (zh) * 2023-08-17 2024-02-13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安全监测装置及其监测方法
CN117605214A (zh) * 2024-01-22 2024-02-27 四川省材科院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吊顶及安装方法
CN117605214B (zh) * 2024-01-22 2024-04-05 四川省材科院消防科技有限公司 一种消防吊顶及安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9290B1 (ko) 화재 발생의 확인과 진압이 가능한 소방용 방재 장치
KR101887029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소방용 제연장치
KR100981725B1 (ko) 소화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1893364B1 (ko)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KR101863516B1 (ko) 화재감지 및 소화시스템
KR101766350B1 (ko) 전개형 방염천을 이용한 소방시스템
KR102236795B1 (ko) 문화재 화재 방지 강우 분사 시스템
KR101943368B1 (ko) 공동주택의 통신시설을 이용한 소방 통합 관리시스템
KR102035764B1 (ko) 공동주택에 설치되는 소방전원 컨트롤러장치
WO2021049810A1 (ko)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KR102172697B1 (ko) 화학물질 또는 가스 공급시스템에 구성되는 다중화된 자동 소화 시스템
KR20200098317A (ko) 실내용 화재감지 시스템
KR20100128779A (ko) 방화용 대피실
KR101784290B1 (ko) 전개노즐이 구비된 국부용 소방시스템
CN212700203U (zh) 基于热感技术高温消防感应装置
KR20210030204A (ko)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CN209564556U (zh) 一种智能消防喷淋系统
JP5911143B2 (ja) 消火設備および消火装置
CN110618636A (zh) 一种实验室安全监控预警系统
KR20200145982A (ko) 화재 대피실
KR102331073B1 (ko) 건축물의 소방용 제연장치
KR20200092619A (ko) 연기 흡입형 화재감지장치
KR20080097277A (ko) 지하공동구내 활선부 화재감지 및 소화장치
CN212700146U (zh) 一种自由分隔式柔性分区消防装置
KR102641542B1 (ko) Ess 전기실의 배터리 모듈에 의한 화재 확산 방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