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1049810A1 -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1049810A1
WO2021049810A1 PCT/KR2020/011780 KR2020011780W WO2021049810A1 WO 2021049810 A1 WO2021049810 A1 WO 2021049810A1 KR 2020011780 W KR2020011780 W KR 2020011780W WO 2021049810 A1 WO2021049810 A1 WO 2021049810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extinguisher
nozzle
cobra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0/01178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권대정
Original Assignee
권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대정 filed Critical 권대정
Priority to US17/638,365 priority Critical patent/US11986688B2/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00111618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54235B1/ko
Publication of WO2021049810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104981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62C13/78Suspending or sup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6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 A62C13/64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a single permanently pressurised container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released by means of a valv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28Accessories for delivery devices, e.g.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3/00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 B05B3/18Spraying or sprinkling apparatus with moving outlet elements or moving deflecting elements with elements moving in a straight line, e.g. along a track; Mobile sprinkl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bra fire extinguisher loading typ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 fire extinguishers are provided in buildings or vehicles in preparation for fire.
  • Fire extinguishers include fractional fire extinguishers that use compressed air with a cylinder made of metal, carbon dioxide gas fire extinguishers that emit chemically generated carbon dioxide gas, powder fire extinguishers that emit carbon dioxide powder, and foam fire extinguishers that emit bubbles of carbon dioxide gas.
  • fire extinguishers typically installed in buildings or vehicles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internal detonator is ruptured by pulling out a safety pin and pressing a lever to discharge the filled fire extinguishing liquid to the outside through a nozzle.
  •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0403498'Automatic Fire Extinguisher Operation Device' is mounted on a fire extinguisher and has a structure to operate the fire extinguisher by automatically pulling the lever when a fire occurs.
  •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0403498'Automatic Fire Extinguisher' has a structure to pull out a safety pin and does not have a function to lift a hose, so it cannot be applied to a fire extinguisher installed in the building as it is actually sold, and a separate fire extinguisher must be manufactured. There was a problem that had to be applied.
  • 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0403498'automatic operation device for fire extinguishers' simply pulls the lever to operate the fire extinguisher,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fire extinguishing range is limited because the fire extinguisher is sprayed from a fixed position in only one direc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ology for a cobra fire extinguisher-load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that automatically injects a fire extinguishing liquid to a fire location when a fire occurs through a fire extinguisher.
  • the present invention rotates a mounted fire extinguisher and moves the nozzle up and down without rotating the mounted fire extinguisher to accurately spray the fire extinguishing solution at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a cobra fire extinguisher loaded automatic fire extinguisher capable of spraying the fire extinguishing solution over a wide range.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echnology for a cobra fire extinguisher-load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injecting a fire extinguishing liquid to a fire location by manually manipulating the mounted fire extinguisher.
  • a cobra fire extinguisher mounted automatic fire extinguisher is to direct a nozzle of a built-in fire extinguisher to a fire location to inject a fire extinguishing liquid, and a fire extinguisher housing that has a front open and the fire extinguisher is disposed therein,
  • a nozzle fixing part that is rotatably disposed inside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and clamping a nozzle of the fire extinguisher, a nozzle rotation part disposed in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to rotate the nozzle fixing part so that the nozzle faces a fire occurrence position, and the fire extinguisher
  • a lever operation unit positioned in the housing and operated by pressing the lever of the fire extinguisher, a fire detector positioned in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and detecting a fire occurrence, and the nozzle rotation unit and the lever operation unit receiving a fire signal from the fire detector. It include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 the nozzle fixing part is located inside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and is located in a side rotation bracket connected to the nozzle rotation part, a nozzle fixing bracket that is bent at an end side of the side rotation bracket and a nozzle is clamped, and the nozzle fixing bracket. It includes a clamping part to fix.
  • the top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has a slit groove inserted while the side rotation bracket rotates, and the rotating side rotation bracket passes through the slit groove and is lif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to fix the nozzle.
  • the bracket may be positioned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insert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is not caught.
  • the clamping portion includes a nozzle fitting groove having an open end side of the nozzle fixing bracket, and a groove opening and closing portion positioned at the nozzle fixing bracket to open and close the opened side of the nozzle fitting groove.
  • the cobra fire extinguisher mounted automatic fire extinguisher further includes a fire extinguisher rotating part for rotating the fire extinguisher located inside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 the fire extinguisher rotating part is rotatably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and includes a rotating plate member on which the fire extinguisher is seated and a rotating motor rotating the rotating plate member.
  • the fire extinguisher rotating part further includes a housing support member rotatably positioned on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may be rotated by a rotary motor.
  • the rotating plate member rotates separate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when rotated in either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and when the rotating plate member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of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fire extinguisher It includes a ratchet structure that is hooked on the housing and rotates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integrally.
  • the cobra fire extinguisher mount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afety pin removal unit disposed in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and pulling out a safety pin for locking the operation of the lever of the fire extinguisher.
  • the safety pin removal unit includes a safety pin locking ring member that is caught on the safety pin, and a pin moving device for removing the safety pin from the fire extinguisher by pulling the safety pin locking ring member.
  • the safety pin locking ring member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is adjustable.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afety pin removal unit, the nozzle rotation unit, the fire extinguisher rotation unit, and the lever operation unit by receiving the fire occurrence location from the fire occurrence detector, and directing the nozzle to the detected fire occurrence location, and the fire extinguishing solution to the nozzle. Can be sprayed.
  • the fire detector includes an infrared camera or a fire shape detection IoT camera that detects that a fire has occurred while photographing the periphery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 the fire detection sensor includes a fire detection sensor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mbustible gas detection sensor, a toxic gas detection sensor, a complex gas concentration measurement sensor, a gas detection measurement sensor, and a combination thereof.
  • the cobra fire extinguisher mount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es a rail member installed on at least one of a ceiling, a floor, and a wall of a building and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is movable, and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is located in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along the rail member. It further includes a housing driving unit for moving the.
  • the cobra fire extinguisher mounted automatic fire extinguisher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fire detection unit located in the moving path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in the building to detect the occurrence of fire.
  • the control unit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ng with the external fire detection unit to transmit fire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 the cobra fire extinguisher mount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fire extinguisher fixing jig portion for holding and fixing the fire extinguisher located in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 the fire extinguisher fixing jig portion moves the first jig member and the second jig member, and the first jig member and the second jig member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e extinguisher in a direction that becomes narrower or wider. It includes a jig moving part that moves in the losing direction.
  • Each of the first jig member and the second jig member may have a V-groove portion into which a part of the body of the fire extinguisher is inserted, and a buffer pad may be positioned on an inclined surface forming the V-groove, respectively.
  • the clamping part is a base bracket positioned at an end side of the nozzle fixing bracket, a hinge fixing bracket that is erected on the base bracket, and a first nozzle insertion groove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fixing bracket and into which a portion of the nozzle is inserted into one side.
  • the first jig bracket is located, a second jig bracket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fixing bracket and a second nozzle insertion groove in which the rest of the nozzle is inserted into the other side, and a first jig mounted on the hinge fixing bracket It includes a jig rotation unit that rotates the bracket and the second jig bracket to widen or narrow the gap between the first jig bracket and the second jig bracket.
  • Each of the first nozzle insertion groove and the second nozzle insertion groove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to surround and fix the cone-shaped nozzle, and a nozzle buffer member made of an elastic material may be positioned on an inner surface thereof.
  • the clamping unit further includes a nozzle horizontal rotation unit positioned on the base bracket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spray position of the nozzle by rotating the hinge fixing bracket left and right.
  • the control unit includes a fire alarm lamp unit and a fire alarm speaker unit for notifying to the outside when a fire occurrenc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ion detector.
  • the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a broadcasting system in a building, and when a fire occurrenc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or, the control unit may output a warning sound evacuation notification voice through the broadcasting system in the building.
  • the control unit may have an automatic voice report function that automatically reports voice to a manager or 119 fire department when a fire occurrenc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or.
  • a fire extinguisher it is possible to install a fire extinguisher to automatically spray the fire extinguishing solution at the location of the fire when a fire occur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installed.
  • the fire extinguisher can be rotated, and the nozzle can be moved up and down without rotation of the mounted fire extinguisher to accurately spray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at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can be sprayed over a wide range, thereby effectively extinguishing the fire. It has the effect of extinguishing and preventing large-scale fire accidents by effectively suppressing the initial fire.
  • a user can manually manipulate a mounted fire extinguisher to spray a fire extinguishing liquid at a location where a fire occurs, so that it is convenient to use and the effect of suppressing a fire more efficiently.
  • a fire detector including an infrared camera, a fire shape detection IoT camera, and a fire detection sensor. Accordingly, the initial response to the occurrence of a fire is promptly proceeded, and human and material damage caused by the fire can be minimized.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bra fire extinguisher load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side view showing a cobra fire extinguisher mount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3 and 4 are schematic views showing a cobra fire extinguisher load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5 is a front view showing a cobra fire extinguisher mount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nozzle fixing part in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loaded with a cobra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bra fire extinguisher-loaded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side view showing a cobra fire extinguisher-loaded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obra fire extinguisher load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 Cobra fire extinguisher mount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is a flame generated in the event of a fire, as a cobra detects and hunts sensitively the body temperature and chemical properties of the prey using the body's sensory organs (Jacobson's organ). It is a device that automatically operates fire extinguishers by sensitively detecting flames, heat, and toxic gases through infrared cameras, IOT cameras, and toxic gas detection sensors.
  •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loaded with a fire extinguisher keeps a fire extinguisher 10 that sprays fire extinguishing liquid through a nozzle 12 located at the end of the flexible hose 11 by pressing the lever 13, and in the event of a fire, the fire extinguisher 10 It is a device to extinguish a fire by automatically injecting a fire extinguishing liquid with the nozzle 12 of) facing the fire location.
  • the fire extinguisher 10 is toxic to the human body in the case of a commercial fire extinguisher, a clean fire extinguisher filled with an extinguishing agent that is harmless to the human body may be used when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t will be operated in the presence of a person or in the presence of a person in the event of a fire. .
  • the fire extinguisher 10 may be a known fire extinguisher capable of pressing the lever 13 after removing the safety pin 14 including the safety pin 14 that locks the operation of the lever 13. That is, the fire extinguisher 10 is a known fire extinguisher for spraying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through the nozzle 12 located at the end side of the hose 11 by pressing the lever 13, and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Cobra fire extinguisher loading typ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includes a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in which the fire extinguisher 10 is embedded.
  • the fire extinguisher 10 built in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is a known fire extinguisher that presses the lever 13 and sprays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through the nozzle 12 located at the end side of the hose 11 as mentioned above. Let's take an example.
  •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has an open front side, and a nozzle fixing part 200 for holding the nozzle 12 of the fire extinguisher 10 is disposed on the side.
  • the nozzle fixing part 200 is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to be rotated upwards and downwards, and is rotated toward the open front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by the nozzle rotation part 300.
  • the nozzle rotation unit 300 rotates the nozzle fixing unit 200 holding the nozzle 12 to lift the nozzle 12 toward the position where the fire occurred.
  • the nozzle fixing part 200 is bent at the end side of the side rotation bracket 210 and the side rotation bracket 210 that are rotatably mounted on the side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and the nozzle 12 is clamped. It includes a bracket 220 and a clamping portion 230 positioned on the nozzle fixing bracket 220.
  • a slit groove 110 into which the side rotation bracket 210 is inserte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 the side rotation bracket 210 When the side rotation bracket 210 is lifted, it passes through the slit groove 110 and is exposed to the top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Accordingly, when the fire extinguisher 10 is inserted through the front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into the interior, it may be inserted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nozzle fixing bracket 220.
  • the nozzle fixing part 200 may be positioned so as not to be caught by the fire extinguisher 10 when the fire extinguisher 1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by rotating the side rotation bracket 210 to the upper side and standing vertically.
  • the nozzle fixing part 200 Since the nozzle fixing part 200 is positioned so that it does not get caught in the fire extinguisher 10, the operation of inserting and mounting the fire extinguisher 10 into the inside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is facilitated.
  • the clamping part 230 is located at the end side of the nozzle fixing bracket 220 and one side is opened in the nozzle fitting groove 231, the nozzle fixing bracket 220 is located at the open side of the nozzle fitting groove 231 As an example, it includes a groove opening and closing part 232 for opening and closing.
  • the groove opening/closing part 232 is a rotation opening/closing member rotatably connected to the nozzle fixing bracket 220.
  • the rotation opening/closing member may be coupled by force fitting to a fitting portion positioned on the nozzle fixing bracket 220, or may be fixed in position with a set screw.
  • the locking structure of the rotating opening/closing member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into a known locking structure capable of unlocking a known lock, so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 a lever operation unit 400 for operating the fire extinguisher 10 by pressing the lever 13 of the fire extinguisher 10 is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 the lever operation unit 400 further includes a lever pressing member 410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lever 13 to press the lever 13, and an elevator device 420 for lifting the lever pressing member 410.
  • the elevating device 420 may be a hydraulic cylinder, or various types of linear reciprocating devices such as a pinion gear rotated by a motor and a rack pinion structure using a rack gear meshed with the pinion gear, a ball screw type linear actuator, etc. A more detailed description that may be modified and implemented will be omitted.
  •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mounted on a cobra fire extinguisher further includes a fire extinguisher rotating part 700 for rotating the fire extinguisher 10 located in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 the fire extinguisher rotating part 700 is rotatably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and includes a rotating plate member 710 on which the fire extinguisher 10 is seated and a rotating motor 720 for rotating the rotating plate member 710. Includes.
  • the fire extinguisher rotating part 700 further includes a housing support member 730 in which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is rotatably positioned at the top, and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may be rotated by a rotary motor 720.
  • the rotating plate member 710 When the rotating plate member 710 is rotated in either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the rotating plate member 710 rotates separately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and the rotating plate member 71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of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It includes a ratchet structure to integrally rotate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by being caught in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when rotated.
  • the fire extinguisher rotation unit 700 rotates the fire extinguisher 10 left and right to control the direction of the nozzle 12 of the fire extinguisher 10 in a wider direction.
  • the ratchet structure is rotated only in one direction and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using a known ratchet structure having a locking structure in the other direction, so a mor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 the cobra fire extinguisher mount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safety pin removal unit 800 pulling the safety pin 14 of the fire extinguisher 10.
  • the safety pin removal unit 800 includes a safety pin locking ring member 810 caught on the safety pin 14, a pin moving device 820 for removing the safety pin 14 from the fire extinguisher 10 by pulling the safety pin locking ring member 810 do.
  • the pin moving device 820 may be a hydraulic cylinder, and a pinion gear rotated by a motor and a rack pinion structure using a rack gear meshed with the pinion gear, a ball screw type linear actuator, etc., are used. Bars that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will be omitted in more detail.
  • the safety pin locking ring member 810 has a structure that can be adjusted in length so that the safety pin 14 can be easily hooked and positioned according to the product type of the fire extinguisher 10.
  • the safety pin locking ring member 810 is a movable ring in which a fixed rod 811 connected to the pin moving device 820 is movably inserted into the fixed rod 811 and is positioned to be movably inserted into the fixed rod 811, and a ring hooked to the safety pin 14 is located at the end side. Includes a rod 812.
  • the position of the moving ring rod 812 is fixed with a set screw as an example, and can be fixed with a variety of known locking structures.
  • the safety pin removal unit 800 pulls and separates the safety pin 14 so that the lever 13 of the fire extinguisher 10 can be operated.
  • a fire detector 500 is positioned in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to detect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the fire detector 500 detects the occurrence of a fire, confirms the location of the fire,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600.
  • the fire occurrence detector 500 includes a camera that photographs the surroundings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while photographing a fire site that detects that a fire has occurred and transmits an image, an image, and the like. Cameras include infrared cameras, fire detection IoT cameras, thermal imaging cameras, and CCD cameras.
  • Fire shape detection IOT camera is installed in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along with an infrared camera, and automatically recognizes the shape of fire such as flames, sparks, soot, etc., generated when a fire occurs, and sends fir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600 when a fire occurs. Deliver.
  • the control unit 600 automatically operates an infrared camera for aiming at a fire point and operates a nozzle rotation unit, a lever operation unit, and the like so that the nozzle faces the fire point according to the fire extinguishing signal input.
  • the fire detection detector 500 includes a fire detection sensor capable of detecting smell, smoke, gas, etc. in addition to a camera.
  • the fire detection sensor may be composed of a flammable gas detection sensor system and a toxic gas detection sensor that smells gas generated when a fire occurs.
  • the fire detection sensor can be additionally configured as a complex gas concentration measurement sensor and a gas detection measurement sensor that can detect various toxic gases in the event of a fire.
  • the fire detection sensor generates smoke, various toxic gases, combustible gases, flames, sparks, and noise due to the nature of the fire when a fire occurs. To the controller 600.
  • the fire detector 500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using a known fire detector capable of detecting a fire occurrence location in addition to taking a camera and a sensor as an example.
  • the control unit 600 is a rechargeable battery that can supply electric power to the safety pin removal unit 800, the nozzle rotation unit 300, the fire extinguisher rotation unit 700, and the lever operation unit 400, or power that can be inserted into a power outlet in a building. It should be noted that it includes a known power supply unit such as a plug, a solar cell unit, or a hydraulic supply unit capable of supplying hydraulic pressure to a hydraulic cylinder.
  • the control unit 600 includes a fire alarm lamp unit 610 and a fire alarm speaker unit 620 for notifying to the outside when a fire occurrenc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or 500.
  • the control unit 600 When a fir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or 500, the control unit 600 outputs a warning sound or a voice such as “A fire has occurred. Please evacuate immediately” through the fire alarm speaker unit 620, so that people in the building can use it. Make sure you can evacuate safely.
  • control unit 600 is connected to the broadcasting system in the building, and when a fir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or 500, a warning sound or a voice such as "Fire has occurred. Please evacuate immediately" is output through the broadcasting system in the building. So that people in the building can evacuate safely.
  • control unit 600 is equipped with an automatic voice report function that automatically reports voice to the manager (building owner or building manager) and the 119 fire department, and when a fire occurrence signal is transmitted from the fire detector 500, the manager (building owner or building manager) And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signal the occurrence of a fire to the 119 fire department, and notify the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building by voice.
  • the control unit 600 receives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from the fire occurrence detector 50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safety pin removal unit 800, the nozzle rotation unit 300, the fire extinguisher rotation unit 700, and the lever operation unit 400 to be detected.
  •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is sprayed to the nozzle 12 with the nozzle 12 facing the fire occurrence position.
  • the fire extinguisher 10 is rota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e through the fire extinguisher rotation unit 700, and then the safety pin 14 is rotated to the safety pin removal unit 800. Simultaneously with removal, the nozzle rotation unit 300 is operated so that the nozzle 12 is dir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fire.
  • the lever operation unit 400 descends and presses the lever 13 to inject a fire extinguishing solution from the nozzle 12 to prevent a fire. It will be automatically suppressed.
  • Figures 3 and 4 are schematic diagrams showing a cobra fire extinguisher load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along the ceiling rail member 900 installed on the ceiling
  • FIG. 4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moves along the floor rail member 1100 installed on the floor.
  • a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is located so as to be movable, and a ceiling rail member 900 and a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are installed on the ceiling side. It is located at and further includes a housing driving unit 1000 for moving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along the ceiling rail member 900.
  •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is located to be movable and the floor rail member 1100 installed on the floor side,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 It further includes a housing driving unit 1000 located at 100 and moving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along the ceiling rail member 900.
  • the housing driving unit 1000 includes a driving wheel that rolls in contact with the ceiling rail member 900 or the floor rail member 1100, and a driving motor that rotates the driving wheel, in addition to the ceiling rail member 900 or the floor rail member ( It should be noted that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using a known driving structure capable of driving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along 1100.
  •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loaded with a cobra fire extinguisher further includes a wall rail member (not shown) installed on the wall, and is moved along the wall rail to the housing driving unit 1000. I can.
  • wall rail member can be installed vertically or horizontally.
  • Cobra fire extinguisher mount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monitors the occurrence of fire while periodically moving along the ceiling rail member 900, the floor rail member 1100, or the wall rail member (not shown). If a fire is detected during movement, the safety pin 14 is removed with the safety pin removal unit 800, and the nozzle 12 is lifted with the nozzle rotation unit 300 and directed to the fire location. After that, the lever 13 is pressed by the lever operation unit 400 and the fire extinguishing solution is injected through the nozzle 12 to extinguish the fire.
  •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er mounted on a Cobra fire extinguisher further includes an external fire detection unit (not shown) located in the moving path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in the building to detect the occurrence of fire, and ,
  • the control unit 600 further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fire occurrence information to the control unit 600 by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external fire detection unit.
  • the external fire detection unit is spaced apart from the movement path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which is moved through the ceiling rail member 900, the floor rail member 1100, or the wall rail member (not shown) by an infrared camera, and is located in plurality.
  • the external fire detection unit located in a plurality of spaced apart from the movement path of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photographs the surroundings and detects each occurrence of fire.
  •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when a fire is detected in any one of a plurality of external fire detection units,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is replaced with the ceiling rail member 900 or the floor rail. It moves along the member 1100 or the wall rail member (not shown) to move to the position where the occurrence of fire is detected.
  • FIG. 5 is a front view showing a cobra fire extinguisher loaded automatic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a cobra fire extinguisher load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fire extinguisher fixing jig portion 1200 for holding and fixing the fire extinguisher 10 located in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 the fire extinguisher fixing jig part 1200 holds the fire extinguisher 10 in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and fixes the position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10 falls or moves from an external shock, and the lever 13 is moved by the lever operation part 400. Prevent accidents that don't work properly.
  • the fire extinguisher fixing jig unit 1200 holds the fire extinguisher 10 in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and fixes the position when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moves along the ceiling rail member 900 or the floor rail member 1100.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accident in which the fire extinguisher 10 in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falls or moves and is separated from the outside due to an impact generated during movement.
  • the fire extinguisher fixing jig part 1200 includes a first jig member 1210 and a second jig member 1220, a first jig member 1210 and a second jig member 122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fire extinguisher 10. It includes a jig moving part 1230 that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becomes narrower or mov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each other becomes wider.
  • Each of the first jig member 1210 and the second jig member 1220 has a V-groove portion into which a part of the body of the fire extinguisher 10 is inserted,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s 10 of different sizes can be stably held and fixed.
  • buffer pads are located on the slopes forming the V-groove,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10 can be held and fixed more stably, and the fire extinguisher 10 can be safely stored by absorbing the shock applied to the fire extinguisher 10. To be able to.
  • the jig moving part 1230 is screwed through the first jig member 1210 and the second jig member 1220, but the jig moving screw and the jig moving screw are screwed in opposite directions. It includes a screw rotating motor.
  • the first jig member 1210 and the second jig member 1220 screwed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jig moving screw move in opposite directions by rotation of the screw rotation motor.
  • the first jig member 1210 and the second jig member 1220 are moved in a direction that narrows the gap from each other by the rotation of the screw rotation motor to hold and fix the body of the fire extinguisher 10, or the gap is wide.
  • the fire extinguisher 10 can be moved in the extinguishing direction so that the fire extinguisher 10 can be withdrawn from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or by placing the fire extinguisher 10 in the fire extinguisher housing 100.
  • FIG. 6 is a partial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nozzle fixing part 200 in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loaded with a cobra fire extinguis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clamping part 230 includes a base bracket 233 positioned at the end side of the nozzle fixing bracket 220, a hinge fixing bracket 234 that is erected on the base bracket 233, and a hinge fixing bracket 234.
  • a first nozzle insertion groove is positioned, into which a portion of the nozzle 12 is inserted,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hinge fixing bracket 234,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other side of the nozzle ( 12) is mounted on the second jig bracket 236, the hinge fixing bracket 234, in which the second nozzle insertion groove is inserted, and rotates the first jig bracket 235 and the second jig bracket 236
  • the first jig bracket 235 and the second jig bracket 236 includes a jig rotation unit 237 that widens or narrows the gap between the first jig bracket 235 and the second jig bracket 236.
  • the first nozzle insertion groove and the second nozzle insertion groove are each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so that the cone-shaped nozzle 12 can be wrapped and fixed, and a nozzle buffer member 238 made of elastic material is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nozzle. 12) to hold the first jig bracket 235 and the second jig bracket 236 more stably to be fixed.
  • the jig rotation unit 237 rotates the first jig bracket 235 and the second jig bracket 236 to opposite sides around the hinge, including a nozzle jig rotation motor (not shown), so that the first jig bracket 235 and The second jig bracket 236 may be variously modified and implemented using a known structure capable of widening or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second jig brackets 236.
  • the jig rotation unit 237 includes a jig rotation screw (not shown) that is screwed to the first jig bracket 235 and the second jig bracket 236 in opposite directions and rotated by a nozzle jig rotation motor. .
  • the jig rotation unit 237 rotates the first jig bracket 235 and the second jig bracket 236, respectively, to clamp the nozzle 12 or to release the clamping state of the nozzle 12 simply and quickly.
  • the jig rotation unit 237 automatically opens the gap between the first jig bracket 235 and the second jig bracket 236, so that the nozzle is as fast as possible.
  • the clamping state of (12) is released.
  • the clamping unit 230 further includes a nozzle horizontal rotation unit 239 that is positioned on the base bracket 233 and can rotate the hinge fixing bracket 234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spray position of the nozzle 12.
  • the nozzle horizontal rotation unit 239 rotates the nozzle 12 that is fixed between the first jig bracket 235 and the second jig bracket 236 horizontally, that is, to the left and right to adjust the spray direction of the nozzle 12.
  • the spraying direction of the nozzle 12 can be more accurately directed toward the fire occurrence location.
  • Cobra fire extinguisher mount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can automatically spray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at the location of the fire when a fire occurs by mounting a fire extinguisher, thereby reducing costs and authentication time due to the manufacture of a separate exclusive fire extinguishing device, etc. Economical installation is possible without the need.
  • Cobra fire extinguisher mounted automatic fire extinguisher rotates the fire extinguisher and moves the nozzle 12 up and down without rotating the mounted fire extinguisher to accurately spray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at the fire location, and can deliver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to a wide range. It can be sprayed to effectively extinguish fires, and to prevent large-scale fire accidents by effectively extinguishing initial fires.
  • the cobra fire extinguisher mount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allows the user to manually manipulate the mounted fire extinguisher and spray the fire extinguishing liquid at the location of the fire, so that the fire can be more efficiently extinguished with convenience in use.
  • the cobra fire extinguisher-load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is installed outside the control unit to perform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a control center that can control the cobra fire extinguisher-loaded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 Communication is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such as 3G, 4G, 5G, LTE, LTE-A, LTE-M, NB-IOT, RF, Wireless Broadband Internet, and Wi-Fi, as well as Zigbee, PLC, BLE, and JLC. , Web, SNS (Social Network Service), etc. can be used.
  • the cobra fire extinguisher loading typ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can be mounted and operated on an unmanned aerial vehicle such as a tracked robot vehicle or a drone. This can be more actively operated in public buildings, factories, large structures, ships, etc. for initial fire monitoring, alarm issuance, and fire extinguishing.
  • an unmanned aerial vehicle such as a tracked robot vehicle or a drone. This can be more actively operated in public buildings, factories, large structures, ships, etc. for initial fire monitoring, alarm issuance, and fire extinguishing.
  • the cobra fire extinguisher loading typ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is equipped with a general fire extinguisher on the market, but may be separately manufactured and mounted by changing the shape and design of the fire extinguisher pressure container. At this time, the equipment and devices mounted on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mounted on the Cobra fire extinguisher can be modified and used. In addition, the procedure for automatic operation in case of fire can be shortened or extended. Two or more fire extinguishers may be loaded and operated in the housing of the Cobra fire extinguisher loading typ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by a conveyor device and a fire extinguisher injection method.
  • Cobra fire extinguisher mounted automatic fire extinguisher includes camera devices such as IoT cameras, infrared cameras, thermal and visual cameras, and a control unit equipped with various sensors and measuring devices, and flames, flames, explosions, A fire information cloud system that learns various fire disaster situations such as smoke, gas, and noise in advance may be installed.
  • Cobra fire extinguisher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system which is loaded, can determine whether there is an initial fire situation based on the measured values of various sensors and fire burn information, etc., which are identified through calculation and communication with various mounted devices and devices. Accordingly, in case of a fire, the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loaded with the Cobra fire extinguisher can be automatically operated in response to the fire situation and the fire poi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소화기를 내부에 거치시키고,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하고 화재 발생 위치에 노즐을 향하게 한 후 소화액을 자동으로 분사 시킬 수 있어 별도의 전용 소화 장치 등의 제작으로 인한 비용 및 인증 시간 등을 소요할 필요가 없이 경제적인 설치가 가능하며, 소화기로 화재 위치에 소화액을 정확하게 분사함으로써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하고, 초기 화재에 대한 효율적인 진압으로 대형 화재 사고를 예방한다.

Description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본 발명은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이나 차량 등에는 화재를 대비하여 소화기가 비치되고 있다.
소화기는 금속으로 만든 원통으로 압착공기를 이용하는 분수소화기, 화학적으로 발생시킨 탄산가스를 분출시키는 탄산가스소화기, 중탄산소다가루를 분출시키는 분말소화기, 탄산가스의 기포를 분출하는 포말소화기 등이 있다.
한편, 통상적으로 건물이나 차량에 비치되는 소화기는, 안전핀을 뽑고 레버를 눌러 내부의 뇌관장치가 파열되어 충전된 소화액이 노즐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종래의 소화기는 화재 발생 시 사용자가 직접 안전핀을 뽑고 레버를 눌러 수동으로 작동시켜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소화기는 사람이 직접 수동으로 조작해서 작동시켜야 하므로 야간 시간대 등과 같이 건물 내에 사람이 없는 상태에서 화재가 발생되는 경우 비치된 소화기는 역할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람이 직접 수동으로 조작해서 불을 꺼야 하므로 사용자의 사고 발생 위험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403498호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403498호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는 소화기에 장착되어 화재 발생 시 레버를 자동으로 레버를 당겨 소화기를 작동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403498호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는 안전핀을 뽑는 구조와 호스를 들어 올리는 기능이 없어 실질적으로 현재 판매되어 건물 내에 비치 중인 소화기에 적용이 불가능하고, 별도의 전용 소화기를 제작해야 하여 적용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등록 제0403498호 '소화기용 자동 작동장치'는 단순히 레버를 당겨 소화기를 작동시키기 때문에 고정된 위치에서 한 방향으로만 소화액을 분사시키므로 소화 범위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소화기를 거치하여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위치에 자동으로 소화액을 분사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에 대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거치된 소화기를 회전시키고, 거치된 소화기의 회전 없이도 노즐을 상, 하 이동시켜 화재 위치에 소화액을 정확하게 분사할 수 있고, 넓은 범위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에 대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거치된 소화기를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조작하여 화재 발생 위치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에 대한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내장된 소화기의 노즐을 화재 발생 위치로 향하게 하여 소화액을 분사시키는 것으로, 전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소화기가 배치되는 소화기 하우징,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소화기의 노즐을 클램핑하는 노즐 고정부, 상기 소화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이 화재 발생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노즐 고정부를 회전시키는 노즐 회전부, 상기 소화기 하우징에 위치되고 상기 소화기의 레버를 눌러 작동시키는 레버 작동부, 상기 소화기 하우징에 위치되고,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발생 감지기 및 상기 화재 발생 감지기로부터 화재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노즐 회전부와 상기 레버 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노즐 고정부는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노즐 회전부와 연결된 측면 회전 브래킷, 상기 측면 회전 브래킷의 단부 측에서 꺾여져 위치되고 노즐이 클램핑되는 노즐 고정 브래킷 및 상기 노즐 고정 브래킷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을 고정하는 클램핑부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상기 측면 회전 브래킷이 회전하면서 삽입되는 슬릿홈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하는 상기 측면 회전 브래킷은 상기 슬릿홈을 통과하여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상부면으로 들어올려 짐으로써 상기 노즐 고정 브래킷은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는 소화기가 걸리지 않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노즐 고정 브래킷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노즐끼움홈, 그리고 상기 노즐 고정 브래킷에 위치되어 상기 노즐끼움홈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홈 개폐부를 포함한다.
상기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소화기를 회전시키는 소화기 회전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소화기 회전부는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소화기가 안착되는 회전판부재 및 상기 회전판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를 포함한다.
상기 소화기 회전부는 상기 소화기 하우징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하우징 받침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소화기 하우징은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전판부재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하부면에서 별도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판부재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소화기 하우징에 걸려 상기 소화기 하우징을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래칫 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상기 소화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소화기의 레버 작동을 잠금하는 안전핀을 뽑은 안전핀 제거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전핀 제거부는 상기 안전핀에 걸리는 안전핀 걸림 고리부재, 그리고 상기 안전핀 걸림 고리부재를 당겨 상기 안전핀을 상기 소화기에서 제거하는 핀 이동 기기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핀 걸림 고리부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 위치를 전달받아 상기 안전핀 제거부, 상기 노즐 회전부, 상기 소화기 회전부, 상기 레버 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감지된 화재 발생 위치로 노즐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노즐로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다.
상기 화재 발생 감지기는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주변을 촬영하면서 화재가 발생된 것을 감지하는 적외선 카메라 또는 화재형상 탐지 IoT 카메라를 포함한다.
상기 화재 발생 감지기는 가연성가스감지센서, 유독가스탐지센서, 복합가스농도측정센서, 가스탐지측정센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인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상기 소화기 하우징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건물의 천장, 바닥, 벽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설치되는 레일부재, 상기 소화기 하우징에 위치되고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상기 소화기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하우징 주행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상기 건물 내에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이동 경로에 위치되어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외부 화재 발생 감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화재 발생 감지부와 통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화재 발생 정보를 전달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한다.
상기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상기 소화기 하우징 내에 위치된 소화기를 잡아 고정하는 소화기 고정 지그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소화기 고정 지그부는 상기 소화기의 양 측에 위치되는 제1지그부재와 제2지그부재, 그리고 상기 제1지그부재와 상기 제2지그부재를 서로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서로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그부재와 상기 제2지그부재는 각각 상기 소화기의 몸체 일부분이 삽입되는 V홈부가 각각 위치되고, 상기 V홈부를 형성하는 경사면에는 각각 완충패드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노즐 고정 브래킷의 단부 측에 위치되는 베이스 브래킷, 상기 베이스 브래킷에 세워져 위치되는 힌지 고정 브래킷, 상기 힌지 고정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노즐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1 노즐 삽입홈이 위치된 제1 지그 브래킷, 상기 힌지 고정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노즐의 나머지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2 노즐 삽입홈이 위치된 제2 지그 브래킷 및 상기 힌지 고정 브래킷에 장착되어 제1 지그 브래킷과 제2 지그 브래킷을 회전시켜 제1 지그 브래킷과 제2 지그 브래킷 사이 간격을 벌리거나 좁히는 지그 회전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노즐 삽입홈과 상기 제2 노즐 삽입홈은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콘 형상의 노즐을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내측면에 각각 탄성 재질의 노즐 완충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베이스 브래킷에 위치되어 상기 힌지 고정 브래킷을 좌, 우로 회전시켜 노즐의 분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노즐 수평 회전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가 전달되면 외부로 알림하는 화재 경보용 램프부와 화재 경보용 스피커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건물 내 방송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화재 발생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가 전달되면 건물 내 방송 시스템을 통해 경고음 대피 알림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가 전달되면 관리자 또는 119 소방서에 자동으로 음성 신고하는 자동 음성 신고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화기를 거치 시켜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위치에 자동으로 소화액을 분사시킬 수 있어 별도의 전용 소화 장치 등의 제작으로 인한 비용 및 인증 시간 등을 소요할 필요가 없이 경제적인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화기를 회전시키고, 거치된 소화기의 회전 없이도 노즐을 상, 하 이동시켜 화재 위치에 소화액을 정확하게 분사할 수 있고, 넓은 범위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어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하고, 초기 화재에 대한 효율적인 진압으로 대형 화재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거치된 소화기를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조작하여 화재 발생 위치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어 사용 시 편의성과 화재를 더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카메라, 화재형상 탐지 IoT 카메라 및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하는 화재 발생 감지기에 의해 화재 발생을 신속하게 감지할 수 있다. 이에 화재 발생에 따른 초기대응이 신속하게 진행되어 화재로 인한 인명 및 물적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에서 노즐 고정부의 다른 한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를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코브라가 체내의 감각기관(야곱슨 기관)을 활용하여 먹이의 체온과 먹이의 화학적 특성을 민감하게 탐지하여 사냥하듯, 화재 시 발생하는 화염, 불꽃, 열기 및 유독가스 등을 적외선 카메라 및 IOT카메라 등과 유독가스탐지센서 등을 통해 민감하게 탐지하여 자동으로 소화기를 자동으로 작동시키는 장치이다.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레버(13)를 눌러 플렉시블 한 호스(11)의 단부 측에 위치된 노즐(12)로 소화액을 분사시키는 소화기(10)를 내부에 보관하고 화재 발생 시 소화기(10)의 노즐(12)이 화재 발생 위치를 향하도록 하여 소화액을 자동으로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소화기(10)는 상용 일반소화기의 경우 인체 독성이 있으므로, 화재시 사람이 있는 곳이나 사람이 있는 상태에서 작동될 가능성이 많을 경우 인체에 무해한 소화약재가 충전된 청정소화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소화기(10)는 레버(13)의 작동을 잠금하는 안전핀(14)을 포함하여 안전핀(14)을 제거한 후 레버(13)를 누를 수 있는 공지의 소화기일 수도 있다. 즉, 소화기(10)는 레버(13)를 눌러 호스(11)의 단부 측에 위치된 노즐(12)로 소화액을 분사시키는 공지의 소화기고,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소화기(10)가 내장되는 소화기 하우징(100)을 포함한다.
소화기 하우징(100)에 내장되는 소화기(10)는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레버(13)를 눌러 호스(11)의 단부 측에 위치된 노즐(12)로 소화액을 분사시키는 공지의 소화기인 것을 일 예로 한다.
소화기 하우징(100)은 전면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고, 측면에 소화기(10)의 노즐(12)을 잡는 노즐 고정부(200)가 배치되어 있다.
노즐 고정부(200)는 소화기 하우징(100)의 내부 측면에 배치되어 상부와 하부로 회전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노즐 회전부(300)에 의해 소화기 하우징(100)의 개방된 전면을 향해 회전된다.
노즐 회전부(300)는 노즐(12)을 잡고 있는 노즐 고정부(200)를 회전시켜 노즐(12)을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향하도록 들어 올린다.
노즐 고정부(200)는 소화기 하우징(100)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측면 회전 브래킷(210)과 측면 회전 브래킷(210)의 단부 측에서 꺾여져 위치되고 노즐(12)이 클램핑되는 노즐 고정 브래킷(220) 및 노즐 고정 브래킷(220)에 위치되는 클램핑부(230)를 포함한다.
소화기 하우징(100)의 상부면에는 측면 회전 브래킷(210)이 삽입되는 슬릿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측면 회전 브래킷(210)이 들어올려질 때 슬릿홈(110)을 통과하여 소화기 하우징(100)의 상부로 노출된다. 이에 소화기(10)가 소화기 하우징(100)의 전면을 통해 내부로 삽입될 때 노즐 고정 브래킷(220)과 간섭되지 않고 삽입될 수 있다.
노즐 고정부(200)는 측면 회전 브래킷(210)을 상부 측으로 회전시켜 수직으로 세움으로써 소화기(10)를 소화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삽입할 때 소화기(10)에 걸리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노즐 고정부(200)가 소화기(10)에 걸리지 않도록 위치됨으로써 소화기 하우징(100)의 내부로 소화기(10)를 삽입하여 거치 시키는 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클램핑부(230)는 노즐 고정 브래킷(220)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노즐끼움홈(231), 노즐 고정 브래킷(220)에 위치되어 노즐끼움홈(231)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홈 개폐부(232)를 포함하는 것을 일 예로 한다.
홈 개폐부(232)는 노즐 고정 브래킷(22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 개폐부재인 것을 일 예로 한다.
회전 개폐부재는 노즐 고정 브래킷(220)에 위치된 끼움부에 억지끼움으로 결합될 수도 있고, 세트 스크류로 위치가 고정될 수도 있다.
회전 개폐부재의 록킹 구조는 공지의 잠금 해제가 가능한 공지의 다른 잠금 구조로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그리고, 소화기 하우징(100)의 상부에는 소화기(10)의 레버(13)를 눌러 소화기(10)를 작동시키는 레버 작동부(400)가 위치된다.
레버 작동부(400)는 레버(13)의 상부 측에 위치되어 레버(13)를 누르는 레버 가압부재(410), 레버 가압부재(410)를 승강 시키는 승강기기(420)를 더 포함한다.
승강기기(420)는 유압 실린더일 수도 있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와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레크기어를 이용한 레크 피니언 구조체, 볼 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 등 공지의 직선 왕복 이동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소화기 하우징(100) 내에 위치된 소화기(10)를 회전시키는 소화기 회전부(700)를 더 포함한다.
소화기 회전부(700)는 소화기 하우징(100)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며 상부면에 소화기(10)가 안착되는 회전판부재(710), 회전판부재(710)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720)를 포함한다.
또한 소화기 회전부(700)는 소화기 하우징(100)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하우징 받침부재(730)를 더 포함하고, 소화기 하우징(100)은 회전모터(72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회전판부재(710)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소화기 하우징(100)의 하부면에서 별도로 회전하게 되고, 회전판부재(710)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소화기 하우징(100)에 걸려 소화기 하우징(100)을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래칫 구조를 포함한다.
소화기 회전부(700)는 소화기(10)를 좌, 우로 회전시켜 소화기(10)의 노즐(12) 방향을 더 넓은 방향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래칫 구조는 어느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고 다른 한 방향으로는 걸림 구조를 가지는 공지의 래칫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므로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함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소화기(10)의 안전핀(14)을 뽑은 안전핀 제거부(800)를 더 포함한다.
안전핀 제거부(800)는 안전핀(14)에 걸리는 안전핀 걸림 고리부재(810), 안전핀 걸림 고리부재(810)를 당겨 안전핀(14)을 소화기(10)에서 제거하는 핀 이동 기기(820)를 포함한다.
핀 이동 기기(820)는 유압 실린더일 수도 있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피니언 기어와 피니언 기어에 맞물리는 레크기어를 이용한 레크 피니언 구조체, 볼 스크류 방식의 리니어 액추에이터 등 공지의 직선 왕복 이동기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바 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안전핀 걸림 고리부재(810)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져 소화기(10)의 제품 종류에 따라 안전핀(14)을 용이하게 걸어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안전핀 걸림 고리부재(810)는 핀 이동 기기(820)에 연결된 고정막대(811), 고정막대(811)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위치되고 단부 측에 안전핀(14)에 걸리는 고리가 위치된 이동고리막대(812)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동고리막대(812)의 위치는 세트 스크류로 고정되는 것을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공지의 다양한 잠금 구조로 고정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안전핀 제거부(800)는 안전핀(14)을 당겨 분리함으로써 소화기(10)의 레버(13)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소화기 하우징(100)에는 화재가 발생된 것을 화재 발생 감지기(500)가 위치되고, 화재 발생 감지기(500)는 화재 발생을 감지하고, 화재가 발생된 위치를 확인하여 제어부(600)로 전달한다.
화재 발생 감지기(500)는 소화기 하우징(100)의 주변을 촬영하면서 화재가 발생된 것을 감지하는 화재 현장을 촬영하여 영상, 이미지 등을 전달하는 카메라를 포함한다. 카메라는 적외선 카메라, 화재형상 탐지 IoT 카메라, 열화상카메라, CCD 카메라를 포함한다.
화재형상 탐지 IOT카메라는 적외선 카메라와 함께 소화기 하우징(100)에 설치되어 화재 발생 시 발생하는 화염, 불꽃, 매연 등 화재 형상 등을 자동으로 화재신호로 인지하여 화재발생시 제어부(600)에 화재정보를 전달한다. 제어부(600)는 자동으로 화재 소화 신호입력에 따라 화재지점 조준을 위한 적외선 카메라 작동과 함께 노즐이 화재지점을 향하도록 노즐 회전부, 레버 작동부 등을 작동시킨다.
또한 화재 발생 감지기(500)는 카메라와 더불어 냄새, 연기, 가스 등을 감지할 수 있는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한다. 화재감지센서는 화재발생시 발생하는 가스에 대한 냄새를 맡는 가연성가스감지센서시스템 및 유독가스탐지센서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화재감지센서는 화재발생시 각종 유독가스 등을 탐지할 수 있는 복합가스농도측정센서, 가스탐지측정센서 등으로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화재감지센서는 화재발생시 화재의 특성상 매연, 각종 유독가스, 가연성 가스, 화염 및 불꽃과 소음을 발생시키므로 화재발생초기 발생하는 유독가스 및 가연성 가스 등에 대한 냄새를 맡는 것과 같은 기능을 발휘하여 화재발생신호를 제어부(600)에 전달한다.
화재 발생 감지기(500)는 카메라와 센서를 일 예로 하고, 이외에도 화재 발생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공지의 화재 감지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제어부(600)는 안전핀 제거부(800), 노즐 회전부(300), 소화기 회전부(700), 레버 작동부(400)로 전기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충전 배터리 또는 건물 내 전원 콘센트에 삽입될 수 있는 전원 플러그, 태양 전지부 등 공지의 전원 공급부 또는 유압 실린더로 유압을 공급할 수 있는 유압 공급부를 포함함을 밝혀둔다.
제어부(600)는 화재 발생 감지기(500)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가 전달되면 외부로 알림하는 화재 경보용 램프부(610)와 화재 경보용 스피커부(620)를 포함한다.
제어부(600)는 화재 발생 감지기(500)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가 전달되면 화재 경보용 스피커부(620)를 통해 경고음 또는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즉시 대피하십시오" 등의 음성을 출력하여 건물 내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600)는 건물 내 방송 시스템과 연결되어 화재 발생 감지기(500)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가 전달되면 건물 내 방송 시스템을 통해 경고음 또는 "화재가 발생했습니다. 즉시 대피하십시오" 등의 음성을 출력하여 건물 내 사람들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600)는 관리자(건물주 또는 건물 관리인) 및 119 소방서에 자동으로 음성 신고하는 자동 음성 신고 기능을 구비하여 화재 발생 감지기(500)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가 전달되면 관리자(건물주 또는 건물 관리인) 및 119 소방서에 자동으로 화재 발생을 음성 신호하고, 해당 건물의 주소를 음성으로 알림 할 수 있다.
제어부(600)는 화재 발생 감지기(500)로부터 화재 발생 위치를 전달받아 안전핀 제거부(800), 노즐 회전부(300), 소화기 회전부(700), 레버 작동부(400)의 작동을 제어하여 감지된 화재 발생 위치로 노즐(12)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노즐(12)로 소화액을 분사시킨다.
더 상세하게 화재가 발생된 것이 화재 발생 감지기(500)로부터 감지되면 소화기 회전부(700)를 통해 화재가 발생된 방향으로 소화기(10)를 회전시킨 후 안전핀 제거부(800)로 안전핀(14)을 제거함과 동시에 노즐 회전부(300)가 작동되면서 노즐(12)이 화재가 발생된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그리고, 안전핀(14)이 제거되고 노즐(12)이 화재가 발생된 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레버 작동부(400)가 하강하여 레버(13)를 가압함으로써 노즐(12)에서 소화액을 분사시켜 화재를 자동으로 진압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3은 천장에 설치된 천장 레일부재(900)를 따라 소화기 하우징(100)이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바닥에 설치된 바닥 레일부재(1100)를 따라 소화기 하우징(100)이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소화기 하우징(100)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천장 측에 설치되는 천장 레일부재(900), 소화기 하우징(100)에 위치되고 천장 레일부재(900)를 따라 소화기 하우징(100)을 이동시키는 하우징 주행부(1000)를 더 포함한다.
또한,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소화기 하우징(100)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바닥 측에 설치되는 바닥 레일부재(1100), 소화기 하우징(100)에 위치되고 천장 레일부재(900)를 따라 소화기 하우징(100)을 이동시키는 하우징 주행부(1000)를 더 포함한다.
하우징 주행부(1000)는 천장 레일부재(900) 또는 바닥 레일부재(1100)에 접촉되어 구르는 주행바퀴, 주행바퀴를 회전시키는 주행모터를 포함하며, 이외에도 천장 레일부재(900) 또는 바닥 레일부재(1100)를 따라 소화기 하우징(100)을 주행시킬 수 있는 공지의 주행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벽면에 설치되는 벽면 레일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하여 하우징 주행부(1000)로 벽면 레일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벽면 레일부재는 세로로 설치될 수도 있고, 가로로 설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천장 레일부재(900) 또는 바닥 레일부재(1100) 또는 벽면 레일부재(미도시)를 따라 주기적으로 이동을 반복하면서 화재 발생을 감시할 수 있고, 이동 중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정지 후 안전핀 제거부(800)로 소화기(10)의 안전핀(14)을 제거하고 노즐 회전부(300)로 노즐(12)을 들어올려 화재 발생 위치로 향하게 한 후 레버(13)를 레버 작동부(400)로 눌러 노즐(12)을 통해 소화액을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건물 내에 소화기 하우징(100)의 이동 경로에 위치되어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외부 화재 발생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600)는 외부 화재 발생 감지부와 무선 통신하여 제어부(600)로 화재 발생 정보를 전달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한다.
외부 화재 발생 감지부는 적외선 카메라로 천장 레일부재(900) 또는 바닥 레일부재(1100) 또는 벽면 레일부재(미도시)를 통해 이동되는 소화기 하우징(100)의 이동 경로에 이격되어 복수로 위치된다.
소화기 하우징(100)의 이동 경로에 이격되어 복수로 위치된 외부 화재 발생 감지부는 주변을 촬영하여 화재 발생을 각각 감지하게 된다.
또는,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복수의 외부 화재 발생 감지부 중 어느 하나에서 화재 발생이 감지되면 소화기 하우징(100)이 천장 레일부재(900) 또는 바닥 레일부재(1100) 또는 벽면 레일부재(미도시)를 따라 이동하여 화재 발생이 감지된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소화기(10)의 안전핀(14)을 제거하고 노즐(12)을 들어올려 화재 발생 위치로 향하게 한 후 레버(13)를 레버 작동부(400)로 눌러 소화액을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소화기 하우징(100) 내에 위치된 소화기(10)를 잡아 고정하는 소화기 고정 지그부(1200)를 더 포함한다.
소화기 고정 지그부(1200)는 소화기 하우징(100) 내에서 소화기(10)를 잡아 위치를 고정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소화기(10)가 넘어지거나 이동되어 레버 작동부(400)에 의해 레버(13)가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는 사고를 방지한다.
또한, 소화기 고정 지그부(1200)는 소화기 하우징(100) 내에서 소화기(10)를 잡아 위치를 고정하여 소화기 하우징(100)이 천장 레일부재(900) 또는 바닥 레일부재(1100)를 따라 이동할 때 이동 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소화기 하우징(100) 내의 소화기(10)가 넘어지거나 이동되어 외부로 이탈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소화기 고정 지그부(1200)는 소화기(10)의 양 측에 위치되는 제1지그부재(1210)와 제2지그부재(1220), 제1지그부재(1210)와 제2지그부재(1220)를 서로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서로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1230)를 포함한다.
제1지그부재(1210)와 제2지그부재(1220)는 각각 소화기(10)의 몸체 일부분이 삽입되는 V홈부가 각각 위치되어 서로 다른 크기의 소화기(10)를 안정적으로 잡아 고정할 수 있다.
또한, V홈부를 형성하는 경사면에는 각각 완충패드(미도시)가 위치되어 소화기(10)를 더 안정적으로 잡아 고정시킬 수 있고 소화기(10)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여 소화기(10)를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지그 이동부(1230)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지그부재(1210)와 제2지그부재(1220)를 관통하여 나사 결합하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 결합되는 지그 이동 스크류, 지그 이동 스크류를 양방향 회전시키는 스크류 회전모터를 포함한다.
지그 이동 스크류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나사 결합된 제1지그부재(1210)와 제2지그부재(1220)는 스크류 회전모터의 회전에 의해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제1지그부재(1210)와 제2지그부재(1220)는 스크류 회전모터의 회전에 의해 서로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소화기(10)의 몸체를 잡아 고정시키거나, 서로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소화기(10)를 소화기 하우징(100) 내에서 인출하거나, 소화기 하우징(100) 내로 소화기(10)를 안착 시켜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한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에서 노즐 고정부(200)의 다른 한 실시예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클램핑부(230)는 노즐 고정 브래킷(220)의 단부 측에 위치되는 베이스 브래킷(233), 베이스 브래킷(233)에 세워져 위치되는 힌지 고정 브래킷(234), 힌지 고정 브래킷(2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노즐(12)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1 노즐 삽입홈이 위치된 제1 지그 브래킷(235), 힌지 고정 브래킷(23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노즐(12)의 나머지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2 노즐 삽입홈이 위치된 제2 지그 브래킷(236), 힌지 고정 브래킷(234)에 장착되어 제1 지그 브래킷(235)과 제2 지그 브래킷(236)을 회전시켜 제1 지그 브래킷(235)과 제2 지그 브래킷(236)의 사이 간격을 벌리거나 좁히는 지그 회전부(237)를 포함한다.
제1 노즐 삽입홈과 제2 노즐 삽입홈은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콘 형상의 노즐(12)을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내측면에 각각 탄성 재질의 노즐 완충부재(238)가 위치되어 노즐(12)을 제1 지그 브래킷(235)과 제2 지그 브래킷(236)을 더 안정적으로 잡아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지그 회전부(237)는 노즐 지그 회전모터(미도시)를 포함하여 제1 지그 브래킷(235)과 제2 지그 브래킷(236)을 힌지를 중심으로 각각 반대편으로 회전시켜 제1 지그 브래킷(235)과 제2 지그 브래킷(236)의 사이 간격을 벌리거나 좁힐 수 있는 공지의 구조를 이용하여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일 예로 지그 회전부(237)는 제1 지그 브래킷(235)과 제2 지그 브래킷(236)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나사 결합하고 노즐 지그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지그 회전용 스크류(미도시)를 포함한다.
지그 회전부(237)는 제1 지그 브래킷(235)과 제2 지그 브래킷(236)을 각각 전동을 회전시켜 노즐(12)을 클램핑시키거나 노즐(12)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할 때 간단하고 빠르게 할 수 있도록 하여 소화기(10)를 설치하는 경우 또는 소화기(10)를 분리하는 경우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일 예로,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소화기(10)를 들고 사용하는 경우 지그 회전부(237)에 의해 자동으로 제1 지그 브래킷(235)과 제2 지그 브래킷(236)의 사이 간격을 벌림으로써 최대한 빠르게 노즐(12)의 클램핑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또한, 클램핑부(230)는 베이스 브래킷(233)에 위치되어 힌지 고정 브래킷(234)을 좌, 우로 회전시켜 노즐(12)의 분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노즐 수평 회전부(239)를 더 포함한다.
노즐 수평 회전부(239)는 제1 지그 브래킷(235)과 제2 지그 브래킷(236)의 사이에서 물려 고정되는 노즐(12)을 수평 즉, 좌, 우로 회전시켜 노즐(12)의 분사 방향을 조절할 수 있어 노즐(12)의 분사 방향이 더 정확하게 화재 발생 위치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소화기를 거치시켜 화재 발생 시 화재 발생 위치에 자동으로 소화액을 분사시킬 수 있어 별도의 전용 소화 장치 등의 제작으로 인한 비용 및 인증 시간 등을 소요할 필요가 없이 경제적인 설치가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소화기를 회전시키고, 거치된 소화기의 회전 없이도 노즐(12)을 상, 하 이동시켜 화재 위치에 소화액을 정확하게 분사할 수 있고, 넓은 범위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어 화재를 효율적으로 진압하고, 초기 화재에 대한 효율적인 진압으로 대형 화재 사고를 예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거치된 소화기를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조작하여 화재 발생 위치에 소화액을 분사할 수 있어 사용 시 편의성과 화재를 더 효율적으로 진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제어부와 별도로 외부에 설치되어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를 제어할 수 있는 콘트롤센터 등과의 유ㅇ무선 교신할 수 있다. 교신은 3G, 4G, 5G, LTE, LTE-A, LTE-M, NB-IOT, 알에프(RF),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Internet), 와이파이(WiFi) 등의 무선통신망과 Zigbee, PLC, BLE, JLC, Web, SNS(Social Network Service)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궤도형 로봇차량, 드론 등의 무인 비행체에 탑재하여 운용할 수 있다. 이는 공공건물, 공장, 대형구조물, 선박 등의 초기 화재시의 감시, 경보발령, 화재진화 등에 더욱 적극적으로 운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에는 시중의 일반소화기가 탑재되나 소화기 압력용기의 형태 및 디자인을 달리하여 별도로 제작하여 탑재할 수 있다. 이때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에 탑재된 기기, 장치 등은 변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화재 시 자동 작동 절차는 단축 또는 확장될 수 있다.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의 하우징에는 콘베이어 장치와 소화기 사출방식에 의해 2개 이상의 소화기가 장전되어 운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에는 IoT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열화상 및 실화상 카메라 등의 카메라 장치와 각종 센서 및 측정 장치가 탑재된 제어부와 화재 시 발생하는 불꽃, 화염, 폭발, 매연, 가스, 소음 등의 다양한 화재재난 상황을 사전에 학습한 화재정보 클라우드 시스템이 탑재될 수 있다.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는 탑재된 각종 기기 및 장치와의 연산 및 교신을 통해 파악된 각종 센서 측정값과 화재화상 정보 등으로 초기 화재상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화재 시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가 자동으로 화재상황 및 화재지점에 반응ㅇ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5)

  1. 내장된 소화기의 노즐을 화재 발생 위치로 향하게 하여 소화액을 분사시키는 것으로,
    전면이 개방되어 있고 내부에 상기 소화기가 배치되는 소화기 하우징,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소화기의 노즐을 클램핑하는 노즐 고정부,
    상기 소화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노즐이 화재 발생 위치를 향하도록 상기 노즐 고정부를 회전시키는 노즐 회전부,
    상기 소화기 하우징에 위치되고 상기 소화기의 레버를 눌러 작동시키는 레버 작동부,
    상기 소화기 하우징에 위치되고,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화재 발생 감지기 및
    상기 화재 발생 감지기로부터 화재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노즐 회전부와 상기 레버 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노즐 고정부는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노즐 회전부와 연결된 측면 회전 브래킷,
    상기 측면 회전 브래킷의 단부 측에서 꺾여져 위치되고 노즐이 클램핑되는 노즐 고정 브래킷 및
    상기 노즐 고정 브래킷에 위치하고 상기 노즐을 고정하는 클램핑부
    를 포함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상기 측면 회전 브래킷이 회전하면서 삽입되는 슬릿홈이 형성되어 있고, 회전하는 상기 측면 회전 브래킷은 상기 슬릿홈을 통과하여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상부면으로 들어올려 짐으로써 상기 노즐 고정 브래킷은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전면을 통해 내부로 삽입되는 소화기가 걸리지 않게 위치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4. 제2항에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노즐 고정 브래킷의 단부 측에 위치되고 일측이 개방된 형태의 노즐끼움홈, 그리고
    상기 노즐 고정 브래킷에 위치되어 상기 노즐끼움홈의 개방된 일측을 개폐하는 홈 개폐부
    를 포함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5. 제1항에서,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된 상기 소화기를 회전시키는 소화기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소화기 회전부는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하부면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상기 소화기가 안착되는 회전판부재 및
    상기 회전판부재를 회전시키는 회전모터
    를 포함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7. 제6항에서,
    상기 소화기 회전부는
    상기 소화기 하우징이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위치되는 하우징 받침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소화기 하우징은 회전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8. 제7항에서,
    상기 회전판부재는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하부면에서 별도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회전판부재가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 중 다른 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소화기 하우징에 걸려 상기 소화기 하우징을 일체로 회전되도록 하는 래칫 구조를 포함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9. 제5항에서,
    상기 소화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소화기의 레버 작동을 잠금하는 안전핀을 뽑은 안전핀 제거부를 더 포함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10. 제9항에서,
    상기 안전핀 제거부는
    상기 안전핀에 걸리는 안전핀 걸림 고리부재, 그리고
    상기 안전핀 걸림 고리부재를 당겨 상기 안전핀을 상기 소화기에서 제거하는 핀 이동 기기
    를 포함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11. 제10항에서,
    상기 안전핀 걸림 고리부재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지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12. 제9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 위치를 전달받아 상기 안전핀 제거부, 상기 노즐 회전부, 상기 소화기 회전부, 상기 레버 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여 감지된 화재 발생 위치로 노즐을 향하게 한 상태에서 노즐로 소화액을 분사시키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13. 제1항에서,
    상기 화재 발생 감지기는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주변을 촬영하면서 화재가 발생된 것을 감지하는 적외선 카메라 또는 화재형상 탐지 IoT 카메라를 포함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14. 제1항 또는 제13항에서,
    상기 화재 발생 감지기는 가연성가스감지센서, 유독가스탐지센서, 복합가스농도측정센서, 가스탐지측정센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인 화재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15. 제1항에서,
    상기 소화기 하우징이 이동 가능하게 위치되며 건물의 천장, 바닥, 벽면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에 설치되는 레일부재, 상기 소화기 하우징에 위치되고 상기 레일부재를 따라 상기 소화기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하우징 주행부
    를 더 포함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16. 제15항에서,
    상기 건물 내에 상기 소화기 하우징의 이동 경로에 위치되어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외부 화재 발생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17. 제16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화재 발생 감지부와 통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화재 발생 정보를 전달하는 무선통신부를 포함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18. 제1항에서,
    상기 소화기 하우징 내에 위치된 소화기를 잡아 고정하는 소화기 고정 지그부를 더 포함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19. 제18항에서,
    상기 소화기 고정 지그부는
    상기 소화기의 양 측에 위치되는 제1지그부재와 제2지그부재, 그리고
    상기 제1지그부재와 상기 제2지그부재를 서로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서로 간격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지그 이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그부재와 상기 제2지그부재는 각각 상기 소화기의 몸체 일부분이 삽입되는 V홈부가 각각 위치되고, 상기 V홈부를 형성하는 경사면에는 각각 완충패드가 위치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20. 제2항에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노즐 고정 브래킷의 단부 측에 위치되는 베이스 브래킷,
    상기 베이스 브래킷에 세워져 위치되는 힌지 고정 브래킷,
    상기 힌지 고정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측에 노즐의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1 노즐 삽입홈이 위치된 제1 지그 브래킷,
    상기 힌지 고정 브래킷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 노즐의 나머지 일부분이 삽입되는 제2 노즐 삽입홈이 위치된 제2 지그 브래킷 및
    상기 힌지 고정 브래킷에 장착되어 제1 지그 브래킷과 제2 지그 브래킷을 회전시켜 제1 지그 브래킷과 제2 지그 브래킷 사이 간격을 벌리거나 좁히는 지그 회전부
    를 포함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21. 제20항에서,
    상기 제1 노즐 삽입홈과 상기 제2 노즐 삽입홈은 각각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콘 형상의 노즐을 감싸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내측면에 각각 탄성 재질의 노즐 완충부재가 위치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22. 제20항에서,
    상기 클램핑부는, 상기 베이스 브래킷에 위치되어 상기 힌지 고정 브래킷을 좌, 우로 회전시켜 노즐의 분사 위치를 조정할 수 있는 노즐 수평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23.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가 전달되면 외부로 알림하는 화재 경보용 램프부와 화재 경보용 스피커부를 포함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24.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건물 내 방송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화재 발생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가 전달되면 건물 내 방송 시스템을 통해 경고음 대피 알림 음성을 출력하는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25. 제1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발생 감지기로부터 화재 발생 신호가 전달되면 관리자 또는 119 소방서에 자동으로 음성 신고하는 자동 음성 신고 기능을 구비한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PCT/KR2020/011780 2019-09-09 2020-09-02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WO2021049810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638,365 US11986688B2 (en) 2019-09-09 2020-09-02 Cobra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device capable of loading fire extinguish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1658 2019-09-09
KR20190111658 2019-09-09
KR1020200111618A KR102554235B1 (ko) 2019-09-09 2020-09-02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KR10-2020-0111618 2020-09-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49810A1 true WO2021049810A1 (ko) 2021-03-18

Family

ID=74867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0/011780 WO2021049810A1 (ko) 2019-09-09 2020-09-02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986688B2 (ko)
WO (1) WO2021049810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8178A (zh) * 2021-04-01 2021-07-02 张安民 可快速安装使用的移动式地铁轨道交通消防设备
CN113413565A (zh) * 2021-05-31 2021-09-21 嘉合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喷火灭火系统用消防装置
CN113559451A (zh) * 2021-08-27 2021-10-29 湖南兵器技术中心有限公司 灭火器自动开启装置控制电路
CN115779318A (zh) * 2022-09-08 2023-03-14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自动感应灭火设备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33255B (zh) * 2023-02-28 2023-06-02 中铁电气化铁路运营管理有限公司 一种小型电器的起火防治温度控制装置
CN116271665A (zh) * 2023-03-28 2023-06-23 安徽天之水消防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全自动消防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7515A (ja) * 1996-08-19 1998-03-03 Antetsukusu:Kk 消火器スタンド
KR19980041735U (ko)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자동차 실내 소화기 고정구조
KR101618991B1 (ko) * 2014-12-17 2016-05-1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지향형 소화기
KR101691031B1 (ko) * 2015-10-30 2017-01-09 주식회사 미들테크 소화기 탑재 로봇을 활용한 화재진화시스템
KR20190024856A (ko) * 2018-10-12 2019-03-08 (주)두업시스템 터널 내 사고 감시, 화재 방재, 및 피난자 구제가 가능한 터널 통합 방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93860A (en) * 1928-07-11 1931-02-24 Pyrene Mfg Co Fire extinguisher
US4418336A (en) * 1981-07-17 1983-11-29 Taylor John D Alarm indicating dislocation of fire extinguisher
US5153567A (en) * 1991-07-01 1992-10-06 Chimento Samuel V Alarm kit apparatus
US20060283608A1 (en) * 2005-06-16 2006-12-21 Hauck Curt A Fire extinguisher activating a remote alarm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57515A (ja) * 1996-08-19 1998-03-03 Antetsukusu:Kk 消火器スタンド
KR19980041735U (ko) * 1996-12-24 1998-09-25 김영귀 자동차 실내 소화기 고정구조
KR101618991B1 (ko) * 2014-12-17 2016-05-10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화재 지향형 소화기
KR101691031B1 (ko) * 2015-10-30 2017-01-09 주식회사 미들테크 소화기 탑재 로봇을 활용한 화재진화시스템
KR20190024856A (ko) * 2018-10-12 2019-03-08 (주)두업시스템 터널 내 사고 감시, 화재 방재, 및 피난자 구제가 가능한 터널 통합 방재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058178A (zh) * 2021-04-01 2021-07-02 张安民 可快速安装使用的移动式地铁轨道交通消防设备
CN113058178B (zh) * 2021-04-01 2022-08-26 嘉兴倍创网络科技有限公司 可快速安装使用的移动式地铁轨道交通消防设备
CN113413565A (zh) * 2021-05-31 2021-09-21 嘉合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喷火灭火系统用消防装置
CN113413565B (zh) * 2021-05-31 2022-08-09 嘉合智能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灭火系统用消防装置
CN113559451A (zh) * 2021-08-27 2021-10-29 湖南兵器技术中心有限公司 灭火器自动开启装置控制电路
CN115779318A (zh) * 2022-09-08 2023-03-14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自动感应灭火设备
CN115779318B (zh) * 2022-09-08 2024-01-16 国网福建省电力有限公司 一种自动感应灭火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986688B2 (en) 2024-05-21
US20220288433A1 (en)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1049810A1 (ko)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WO2012091332A1 (ko) 화재 지점 감지 및 자동 소화 장치
WO2017131320A1 (ko) 무선 재난 화재 감지 및 방범 예방을 겸용하기 위한 휴대 조명등을 구비하는 사회 안전망 시스템
WO2014027805A1 (ko) 무인 화재진압 시스템
WO2017074026A1 (ko) 캡슐형 소화 장치
TWM483806U (zh) 智慧安全防護整合系統載具
CN103550896B (zh) 基于物联网技术的悬挂式干粉智能灭火系统
KR101893364B1 (ko) 화재를 신속 확인할 수 있는 소방용 방재장치
JP5123775B2 (ja) 消火器具搬送装置
KR20210030204A (ko) 코브라 소화기 장전식 자동소화장치
WO2009119981A2 (ko) 건물용 화재피난장치
CN110604886A (zh) 一种巡检机器人及其灭火设备、灭火方法
CN211798418U (zh) 一种悬挂式超细干粉灭火装置
WO2019035505A1 (ko) 메쉬 네트워크로 연동되는 화재감지기 및 화재감지기를 설치하는 방법
KR20110088262A (ko) 감온금속 온도휴즈를 이용한 방화구역 댐퍼 차단 장치
CN212700203U (zh) 基于热感技术高温消防感应装置
WO2022163964A1 (ko) 잔불감시 모니터링 시스템
JP2003071640A (ja) 精密加工装置の消火システム
CN213716112U (zh) 一种弱电工程安全报警装置
WO2010044594A2 (ko) 제연경계용 스크린장치
CN212162499U (zh) 一种电气工程用配电箱
WO2024090753A1 (ko) 소화기를 탑재한 보안 로봇
WO2013110172A1 (en) Smart fire extinguishing system
WO2023038216A1 (ko) 고층빌딩 화재진압 및 재난탈출장치
KR200185266Y1 (ko) 소화설비용 수동 조작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08638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20863888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